KR20150133549A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3549A KR20150133549A KR1020140060483A KR20140060483A KR20150133549A KR 20150133549 A KR20150133549 A KR 20150133549A KR 1020140060483 A KR1020140060483 A KR 1020140060483A KR 20140060483 A KR20140060483 A KR 20140060483A KR 20150133549 A KR20150133549 A KR 201501335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air
- protective cover
- outdoor unit
- air conditio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보호커버가 장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외팬;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 공기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통기구; 상기 통기구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그릴; 및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지지되고, 상기 그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보호커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외팬;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 공기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통기구; 상기 통기구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그릴; 및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지지되고, 상기 그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보호커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보호커버가 장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소정 공간의 공기를 용도와 목적에 따라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 기기의 하나이며,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팽창장치와 증발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공기 조화기는 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냉매가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 같은 일련의 냉매 사이클을 수행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용도와 목적에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공기 조화기가 설치되는 공간은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으며, 일 예로 가정이나 사무실이 위치하는 집 또는 건물 등의 공간이 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 이동 수단의 탑승 공간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어 외부 공간에 설치되는 실외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실내기와 실외기는 소정 공간의 공기 조화 용도와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면서 공기 조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소정 공간의 냉방을 위하여 공기 조화기를 냉방 운전하는 경우에는, 실외기에 장착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실내기에 장착되는 실내 열교환기가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소정 공간의 난방을 위하여 공기 조화기를 난방 운전하는 경우에는, 실내기에 장착되는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실외기에 장착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형 공기 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각각 분리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실내기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에 설치되고, 실외기는 실내기와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실외 공간에 설치된다.
실내기에는 냉매와 공기의 열 교환을 위한 실내 열교환기와, 공기의 유동을 위한 팬과, 흡입되는 공기의 정화를 위한 필터 등이 장착될 수 있고, 실외기에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기와, 냉매와 공기의 열 교환을 위한 실외 열교환기와, 공기의 유동을 위한 팬 등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4121호에는, 실외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실외기의 토출구가 폐쇄되도록 하고, 실외기 작동 시에만 개방되도록 하는 실외기 토출구 개폐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발명이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 문헌에는 실외기의 작동 여부와 관계없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토출구를 통하여 이물질이 실외기 내부로 유입되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발명이 개시된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 문헌에는 외형을 이루고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케이스에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루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된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28187호에는 운전 정시시에 실외기의 그릴부재의 흡입구를 통해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조화기의 수명을 연장하고, 공조효과를 높이는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흡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 문헌에는 공기조화기의 비가동시에 그릴부재의 흡입구를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릴부재의 흡입구 일측에 자동차폐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이 개시된다. 이러한 자동차폐수단은 동력발생수단과, 회전수단과, 차폐수단과, 가이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개시된다.
상기의 선행기술 문헌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실외기의 토출구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실외기의 토출구를 통한 이물질의 유입이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문헌의 경우 실외기의 토출구를 통한 이물질의 유입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으로 루버 어셈블리의 구성 또는 자동차폐수단과 같은 구성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의 경우 토출구 개폐를 위한 다른 구성이 추가되어야 하는 형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토출구의 개폐를 위한 추가 구성으로 인해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형성되는 통기구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외팬;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 공기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통기구; 상기 통기구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그릴; 및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지지되고, 상기 그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보호커버; 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에 탈착 가능한 보호커버가 장착되어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통기성을 가지는 보호커버에 의해 공기가 투과하면서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이물질 유입에 의한 실외기의 훼손과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의 투과로 인해 보호커버 내부 공간의 습기가 제거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부착된 상태에서 부주의한 운전이 진행되더라도 최소한의 운전이 가능하게 되어 실외기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외부 공기의 직접적인 유입에 따른 팬 회전이 방지되어 팬과 연결되는 모터의 훼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접이식 형태에 의해 실외기에서 탈거 후 이동과 보관이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실외기에 장착되는 그릴의 외측에 설치되는 보호커버에 의해 외부 충격에 의한 그릴의 훼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그릴과의 거리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가양한 제품에 장착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통기성을 가지면서 외부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도록 형성되는 보호커버에 의해 보호커버의 내부 공간에 습기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습기에 의한 실외기의 훼손이 예방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통기성을 가지는 보호커버에 의해 보호커버가 설치된 상태에서 부주의하게 공기 조화기가 운전되더라도 최소한의 운전이 가능함으로써 부주의한 운전에 의한 실외기의 훼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외형을 나타낸 전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장착되는 보호커버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체결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장착되는 보호커버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장착되는 보호커버 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장착되는 보호커버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외형을 나타낸 전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장착되는 보호커버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체결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장착되는 보호커버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장착되는 보호커버 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장착되는 보호커버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첨부되는 예시적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에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될 수는 없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사용되는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한 용어이므로, 사용되는 용어에 의해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즉,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되는 경우, 그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고,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되는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외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장착되는 커버의 체결을 나타낸 체결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분리형 공기 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는 냉매와 실내 공기의 열 교환을 통해 실내 공간의 공기를 조화시키는 실내기와, 냉매와 실외 공기의 열 교환을 통해 냉매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실외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외기는 케이스(10)에 의해 외형이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10)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면서, 내부 공간에는 냉매의 유동 사이클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냉매의 유동 사이클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부품으로는,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을 따라 유동하는 냉매의 유동 여부를 결정하는 각종 밸브와, 냉매와 공기의 열 교환을 위한 실외 열교환기와,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결합되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케이스(10)에는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프레임이 장착될 수 있다.
즉, 다수의 프레임이 골격을 형성하고, 이러한 다수의 프레임에 상기 플레이트가 체결, 고정되면서 상기 케이스(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플레이트(11)와,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케이스(10)는 상면과 전면 등이 하나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이러한 상기 케이스(10)에 후면과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플레이트가 결합되면서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일면 예를 들어,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2)에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 공기 유동을 위한 통기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구(13)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2)가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면서 원형의 형태로 절제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다각형의 형태로 절제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통기구(13)에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 유동에 의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그릴(14)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그릴(14)은 일정 정도의 지름 또는 폭을 가지는 빔의 형태로 형성되면서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 장착되면서 격자 형상으로 장착되어, 비교적 큰 이물질이 상기 통기구(13)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통기구(13)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실외팬(15)이 장착된다. 상기 실외팬(15)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통기구(13)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은 공기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외팬(15)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에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 운동함으로써 상기 케이스(10)의 외부 공기를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키거나, 내부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 공기 유동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에는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파이프가 다수 절곡 형성되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실외열교환기는 그 내부를 냉매가 유동하게 되고, 냉매가 유동하는 파이프 사이로 공기가 유동하면서 냉매와 열 교환됨으로써 냉매를 고온 또는 저온의 상태로 변화시키게 된다.
상기 통기구(13)의 전방에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2)에 지지되고, 상기 그릴(14)을 향하여 유동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보호커버(20)가 장착된다. 상기 보호커버(20)는 상기 그릴(14)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플레이트(12)에 형성되는 상기 그릴(14)과 이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20)는 상기 공기 조화기를 운전하지 않는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통기구(13)를 통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장착되는 보호커버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구성을 나타낸 후방 시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기구(13)가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13)를 통해 상기 케이스(10)의 전후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물론, 상기 통기구(13)가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며, 이때에는 상기 보호커버(20)가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보호커버(20)는 상기 통기구(13)가 형성되는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20)는 상기 통기구(13)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보호커버(20)가 상기 통기구(13)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면, 상기 보호커버(20)에 의해 상기 통기구(13)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면서 공기는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호커버(20)에 의해 상기 통기구(13)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그릴(14)이 이물질로부터 보호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 오염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20)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공기의 직접적 흡입이 방지됨으로써 공기 조화기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통기구(13)를 통해 공기가 유동되면서 정지된 상태의 상기 실외팬(15)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실외팬(15)과 결합되는 모터의 훼손을 예방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보호커버(20)는 전체적으로 사각 상자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통기구(13)와 마주보는 면 즉, 전면과 후면은 공기가 전후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호커버(20)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는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전면에는 통기성을 가지는 메쉬 형태의 전면커버(21)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커버(21)는 상기 통기구(13)와 대향되는 면에 위치되면서 통기성을 가지도록 메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21)는 상기 보호커버(2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면커버(21)가 상기 보호커버(20)의 전면을 형성하면서 고정 장착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이를 살펴보면, 상기 전면커버(21)는 상기 보호커버(20)의 전면에 위치되면서 상기 보호커버(20)의 전면 즉, 상기 통기구(13)와 대향되는 면은 통기성을 가지도록 메쉬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20)가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통기구(13)와 마주보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이처럼, 상기 보호커버(20)의 전면에 장착되는 통기성을 가지는 메쉬 형태의 상기 전면커버(2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호커버(20)의 전면을 통과하여 상기 통기구(13)로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면커버(21)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깨끗한 공기만 상기 통기구(13)를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호커버(2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커버(22)는 주름관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면커버(21)와 상기 통기구(13) 사이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측면커버(22)가 주름 형태가 아닌 단계적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상기 측면커버(22)는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소재 또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커버(22)가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소재 또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호커버(20)는 상기 전면커버(21)를 통하여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20)의 상기 전면커버(21)를 통하여 공기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보호커버(20)는 공기가 통과하는 면과 상기 통기구(13)와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20)의 측면이 주름관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호커버(20)의 전후 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10)로부터 이탈시킨 후 전후 방향 길이를 가장 짧게 형성하여 보관과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커버(21)와 상기 측면커버(22)는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고, 상기 전면커버(21)가 상기 측면커버(22)의 개방되는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보호커버(20)의 개방된 후면 테두리 부분에는 자성을 가지는 자성체(2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23)의 자성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20)는 상기 통기구(13)가 형성되는 상기 케이스(10)의 상기 전면플레이트(1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20)의 개방된 후면 테두리 부분은 상기 통기구(13)의 테두리 부분 외측에 위치되도록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상기 보호커버(20)의 개방된 후면 테두리 부분에 상기 자성체(23)가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자성체(23)는 상기 측면커버(22)의 후단부를 따라 고정되면서, 상기 케이스(10)의 상기 전면플레이트(12)에 자체 자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20)의 후면 테두리 부분에 상기 자성체(23)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보호커버(20)의 개방된 후면 테두리 부분을 상기 통기구(13)의 테두리 부분 외측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자성체(23)가 상기 전면플레이트(12)와 접하도록 부착시킨 후 후방으로 압착하게 되면, 상기 보호커버(20)의 후면이 상기 케이스(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2)의 전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보호커버(20)가 상기 케이스(1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23)는 연질 플라스틱 자석의 형태로 고무자석이라 불리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질 플라스틱 자성체는 등방성과, 이방성과, 세미이방성으로 구분할 수 있고, 페라이트 등과 같은 원료에 자성 가루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성체(23)는 자성을 가지는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나, 상기 전면플레이트(12)와의 접촉 시 상기 전면플레이트(12)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질 플라스틱 자성체로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처럼, 상기 자성체(23)의 자성에 의해 상기 측면커버(22)의 후단부가 상기 전면플레이트(12)의 전면에 접하면서 장착되면, 상기 측면커버(22)의 주름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면커버(21)와 상기 통기구(13)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보호커버(20)가 전체적으로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과 후면 사이의 측면이 주름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물론, 개방된 전면에는 메쉬 형태의 상기 전면커버(21)가 장착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개방된 후면의 테두리 부분에는 상기 자성체(23)가 장착되면서 개방된 후면이 상기 전면플레이트(12)의 전면에 접하면서 원통 형태의 상기 보호커버(20)가 상기 케이스(10)에 장착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 상기 측면커버(22)는 실질적으로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호커버(20)의 전후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측면커버(22)가 통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나, 주름관 형태의 구성을 고려하여 볼 때 통기성을 가지지 않으면서 외부의 이물질과 빗물 등이 상기 보호커버(2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고분자 화합물과 같은 소재로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케이스
11. 상면플레이트
12. 전면플레이트 13. 통기구
14. 그릴 15. 실외팬
20. 보호커버 21. 전면커버
22. 측면커버 23. 자성체
12. 전면플레이트 13. 통기구
14. 그릴 15. 실외팬
20. 보호커버 21. 전면커버
22. 측면커버 23. 자성체
Claims (6)
-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외팬;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 공기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통기구;
상기 통기구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그릴; 및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지지되고, 상기 그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보호커버; 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통기구와 대향되는 면이 통기성을 가지도록 메쉬 형태로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에는 상기 보호커버를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자성체가 제공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공기가 통과하는 면과 상기 통기구와의 거리 조절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통기구와 마주보는 면을 제외한 면이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에서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하는 면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면서 통기성을 가지는 메쉬 형태로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0483A KR20150133549A (ko) | 2014-05-20 | 2014-05-20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0483A KR20150133549A (ko) | 2014-05-20 | 2014-05-20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3549A true KR20150133549A (ko) | 2015-11-30 |
Family
ID=5486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0483A KR20150133549A (ko) | 2014-05-20 | 2014-05-20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33549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0807B1 (ko) * | 2019-07-03 | 2020-01-29 | 김태성 | 지하 주차장의 내열용 환풍팬 및 온도감지용 퓨즈가 부가된 점검레버를 구비한 댐퍼 개폐장치 |
CN113587266A (zh) * | 2021-08-04 | 2021-11-02 | 武汉宏海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空调室外机防护顶盖组件 |
-
2014
- 2014-05-20 KR KR1020140060483A patent/KR2015013354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0807B1 (ko) * | 2019-07-03 | 2020-01-29 | 김태성 | 지하 주차장의 내열용 환풍팬 및 온도감지용 퓨즈가 부가된 점검레버를 구비한 댐퍼 개폐장치 |
CN113587266A (zh) * | 2021-08-04 | 2021-11-02 | 武汉宏海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空调室外机防护顶盖组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352401B (zh) | 空调 | |
US9702570B2 (en) | Bulkhead assemblies for air conditioner units | |
US20150007967A1 (en) | Wind-viso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 |
EP2997312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200034870A (ko) | 공기조화기 | |
CN104456797A (zh) | 吸顶嵌入式智能厨房空调 | |
KR102631918B1 (ko) | 공기조화기 | |
CN109804202B (zh) | 空调 | |
KR20080051974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JP5641089B2 (ja) | 化粧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 |
KR101956646B1 (ko) | 일체형 공기조화기 | |
US20160348926A1 (en) | Bulkhead assemblies for air conditioner units | |
KR20150133549A (ko)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
KR100867953B1 (ko) | 공기조화기 | |
JP6405524B2 (ja) | 空気調和機 | |
JP2008144999A (ja) | 空気調和機 | |
US20170089593A1 (en) | Air conditioner | |
JP2016038174A (ja) | 空気調和機の室内機 | |
KR102343464B1 (ko) |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 |
KR101778544B1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CN209877201U (zh) | 一种除湿机 | |
KR20090043361A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 |
KR101988343B1 (ko) | 차량용 송풍장치 | |
JP2014215012A (ja) | 化粧パネル、及び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 |
CN219367799U (zh) | 新风装置和空调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