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9004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9004A
KR20060099004A KR1020050019970A KR20050019970A KR20060099004A KR 20060099004 A KR20060099004 A KR 20060099004A KR 1020050019970 A KR1020050019970 A KR 1020050019970A KR 20050019970 A KR20050019970 A KR 20050019970A KR 20060099004 A KR20060099004 A KR 20060099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ir conditioner
cabinet
front cover
in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유중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9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9004A/ko
Priority to PCT/KR2006/000160 priority patent/WO2006095961A1/en
Priority to EP06250395A priority patent/EP1701100A3/en
Priority to US11/340,756 priority patent/US20060201043A1/en
Priority to CNB2006100094235A priority patent/CN100470143C/zh
Priority to CNU2006200030915U priority patent/CN2909061Y/zh
Publication of KR20060099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32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전면에 그림 또는 사진 등을 자유로이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 조화기의 기능이 수행됨과 동시에 실내 인테리어 효과도 함께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후방 캐비닛; 상기 후방 캐비닛의 전면에 결합되며, 측면 가장 자리 하측에 형성되는 흡입구와, 측면 가장 자리 상측에 형성되는 토출구가 포함되는 전방 캐비닛; 상기 후방 캐비닛의 내부 하측에 장착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상측부에 장착되어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전방 캐비닛의 전면에 장착되며, 그림 또는 사진 등이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 부재;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의하여,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진일보하여, 실내기 전면에 예술 작품이나 가족 사진 등을 부착하거나 자유로이 교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분위기와 조화를 이루는 하나의 가구 기능도 함께 발휘되는 효과가 있다.
프런트 커버, 프런트 패널, 데코 패널, 힌지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패널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패널 부재의 제 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패널 부재의 제 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패널 부재의 제 4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패널 부재의 제 5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패널 부재의 제 6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실내기 110 : 전면 프레임 120 : 헤파 필터
130 : 열교환기 140 : 송풍팬 150 : 후방 캐비닛
160 : 베이스 170 : 집진기 200 : 패널 부재
210 : 프런트 패널 220 : 프런트 커버 230 : 데코 패널
240 : 힌지 300 : 디스플레이부 310 : 케이블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전면에 그림 또는 사진 등을 자유로이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 조화기의 기능이 수행됨과 동시에 실내 인테리어 효과도 함께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압축과정, 응축과정, 팽창과정 및 증발과정이라는 냉동 사이클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에어컨의 경우, 냉매가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응축기에서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온도와 압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저온 및 저압의 냉매가 증발기를 지나면서 열을 흡수한 다음, 응축기로 다시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과정, 응축과정 및 팽창과정은 에어컨의 실외기 내에서 수행되고, 상기 증발과정은 실내기의 송풍팬과 열교환기에 의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기 에어컨은 크게 냉동 사이클 장치가 하나의 몸체내에 장착되어 창문 등에 설치되는 창문형 에어컨,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시내와 실외에 각각 설치되는 분리형 에어컨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분리형 에어컨의 경우, 설치방법에 따라 벽걸이형, 상치형, 천정 걸이형 및 천정 매립형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벽걸이형이나 상치형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천정 걸이형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구조의 실내기를 컨버터블형 실내기라고 한다.
한편, 공기 조화기 실내기는 실내 공기 흡입구와 토출구의 위치에 따라 다양 하게 분류된다. 예를 들어 측면으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는 실내기의 경우 전면부에 토출 루버가 설치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하면서 토출되는 실내 공기가 실내에 고루 분산되도록 한다.
여기서, 일반적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전면부가 단순하게 커버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실내기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프런트 커버 부재는 실내기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팬, 열교환기 등의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어린이들이 손으로 만지거나 하여 전기적인 충격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기 전면이 외관상 단조로운 느낌을 주고 실내 분위기와 조화되지 못하고 딱딱한 느낌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여백 상태로 남아 있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면 커버에 그림이나 사진 등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실내 인테리어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후방 캐비닛; 상기 후방 캐비닛의 전면에 결합되며, 측면 가장 자리 하측에 형성되는 흡입구와, 측면 가장 자리 상측에 형성되는 토출구가 포함되는 전방 캐비닛; 상기 후방 캐비닛의 내부 하측에 장착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상측부에 장착되어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전방 캐비닛의 전면에 장착되며, 그림 또는 사진 등이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 부재;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면부가 단순히 실내기의 내부 부품만을 보호하는 기능만 수행하는 종래의 제품으로부터 탈피하여 실내 분위기에 부합되도록 하는 인테리어 기능도 함께 갖추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는 전방 캐비닛(110)과, 상기 전방 캐비닛(110)의 후측에 결합되는 후방 캐비닛(150)과, 상기 후방 캐비닛(150)의 전면에 안착되어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30)와,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에 장착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140)과, 상기 상기 전방 캐비닛(110)의 전면부 하측으로 삽입되어 실내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주는 헤파 필터(120) 및 에어 필터(121)와, 상기 전방 캐비닛(110)의 전면부에 안착되며 그림 또는 사진 등이 교체 가능하게 부착되는 패널 부재(20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후방 캐비닛(150)의 하단에는 베이스(160)가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160) 상부에 상기 후방 캐비닛(150)이 안착되는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60)의 전면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하면 흡입구(161)가 형성되고, 상기 하면 흡입구(161)는 하면 흡입 베인(116)에 의하여 개폐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전방 캐비닛(110)의 상부 테두리에는 상면 토출구(112)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 토출구(112)는 상면 토출 베인(111)에 의하여 개폐가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캐비닛(110)의 상부 측면 테두리에는 측면 토출구(113)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토출구(113)는 측면 베인(115)에 의하여 개폐가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캐비닛(110)의 하부 측면 테두리에는 측면 흡입구(114)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흡입구(114)도 상기 측면 베인(115)에 의하여 개폐가 조절된다. 상세히, 상기 측면 흡입구(114)와 측면 토출구(113)는 상기 측면 베인(115)에 의하여 동시에 개폐된다.
또한, 상기 전방 캐비닛(110)의 전면에는 상기 헤파 필터(120)가 삽입되기 위한 헤파 필터 삽입구(119)가 형성되고, 양 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에어 필터(121)가 삽입되기 위한 에어 필터 삽입구(1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필터 삽입구(118)의 내측에는 집진기(170)가 삽입되기 위한 집진기 삽입구(11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널 부재(200)는 상기 저방 캐비닛(1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런트 패널(210)과, 상기 프런트 패널(210)의 전면에 안착되고 그림 또는 사진 등이 부착되는 데코 패널(230)과, 상기 데코 패널(230)의 전면에 안착되어 상기 데코 패널(230)을 보호하는 프런트 커버(22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프런트 커버(220)는 상기 데코 패널(230)이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 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패널(210)의 전면에는 상기 실내기(100)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표시창(2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창(211)의 형성 위치에 따라 상기 데코 패널(230)이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으로 나뉘어져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장(211)이 상기 프런트 패널(210)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창(211)의 상측 및 하측에 데코 패널(230)이 장착되는 것을 실시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실내기(100)에 전원이 인가되고 작동 버튼을 누르면 상기 송풍팬(140)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미도시)가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된 상기 송풍팬(14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열교환기(130) 내부로 냉매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베인(115)과, 상면 토출 베인(111) 및 상기 하면 흡입 베인(116)이 회전하여 토출구 및 흡입구가 개구된다.
한편, 상기 전방 캐비닛(11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측면 흡입구(114)와 상기 베이스(160)에 형성된 하면 흡입구(161)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헤파 필터(120)와 상기 에어 필터(121)를 통과하면서 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일차적으로 걸러진다. 그리고, 상기 에어 필터(121)를 통과한 실내 공기는 상기 에어 필터(121)의 내측에 장착되는 집진기(170)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이 이차적으로 걸러진다. 그리고, 상기 헤파 필터(120)와 에어 필터(121) 및 집진기(17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실내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30) 쪽으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30)를 통과하는 실내 공기는 열교환기(130) 내부를 따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하여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30)를 거치면서 온도가 낮아진 공기는 상기 상면 토출구(112) 및 측면 토출구(113)를 통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 베인(115)은 소정 각도로 회전 운동하면서 토출되는 공기가 실내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기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패널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부재(200)는 프런트 패널(210)과, 상기 프런트 패널(2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런트 커버(220)와, 상기 프런트 패널(210)의 전면에 안착되며 그림 또는 사진 등이 부착되는 데코 패널(23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프런트 패널(210)은 전면부에 상기 데코 패널(230)이 안착되기 위한 데코 패널 안착부(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커버(220)는 일측 테두리가 힌지(240)에 의하여 상기 프런트 패널(21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커버(220)의 후면 테두리부 즉, 상기 힌지(240)가 장착된 부분과 대향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넷(221)이 장착되어, 상기 프런트 커버(220)를 닫았을 때 상기 프런트 패널(210)로부터 일측 가장자리가 이격되어 요동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데코 패널(230)은 상기 표시창(21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안착되며 사용자는 상기 프런트 커버(220)를 열어서 데코 패널(230)을 자유로이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커버(220)는 상기 프런트 패널(210)의 크기와 동일 하게 구성될 수도 있는 반면, 상기 데코 패널(230) 각각을 개별적으로 덮어서 보호하도록 하는 것도 제안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데코 패널(230)을 덮을 수 있는 작은 크기로 상기 표시창(21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측에 장착된 데코 패널(230)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측부에 형성된 프런트 커버(220)만 개구하면 되므로,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상기 프런트 커버(22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패널 부재의 제 2 실시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부재(200)는 프런트 커버(220)와 프런트 패널(210)이 후크에 의하여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프런트 패널(210)에 상기 프런트 커버(220)가 힌지(24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은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프런트 커버(220)를 닫았을 때 상기 프런트 패널(210)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프런트 커버(220)의 후면 테두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22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패널(210)의 전면에는 상기 후크(222)가 삽입되기 위한 후크 삽입홈(21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상기 프런트 패널(210)에 안착된 데코 패널(230)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프런트 커버(220)를 앞으로 잡아 당겨서 상기 후크(222)가 상기 후크 삽입홈(213)으로부터 빠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데코 패널(230)을 교체한 다음에는 상기 프런트 커버(220)를 상기 힌지(221)를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시켜 상기 후크(222)가 상기 후크 삽입홈(213)에 다시 삽입되도록 한 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패널 부재의 제 3 실시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부재(200)는 프런트 커버(220)가 상기 프런트 패널(210)로부터 완전히 탈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프런트 커버(220)와 프런트 패널(210)을 연결하는 힌지(240) 대신 후크로 대체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프런트 커버(220)의 배면 테두리부에 다수 개의 후크(222)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프런트 패널(210)의 전면부에 상기 후크(223)가 삽입되기 위한 후크 삽입홈(212)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패널(210)의 전면부에 형성된 데코 패널 안착부(212)에는 데코 패널(230)이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상기 프런트 커버(220)의 배면에 형성된 후크(222)가 상기 후크 삽입홈(213)에 삽입되도록 상기 프런트 커버(220)를 상기 프런트 패널(210) 전면부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커버(220)를 프런트 패널(2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반대로 상기 프런트 커버(220)를 전방으로 잡아 당긴다.
여기서, 상기 프런트 커버(220)가 상기 프런트 패널(210)로부터 완전히 탈거되도록 하는 또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후크(222) 대신 마그네트가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후크(222)가 장착되는 위치에 마그네트가 장착되도록 하여 자력에 의하여 상기 프런트 커버(220)와 프런트 패널(210)이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부착되는 마그네트의 개수를 적절히 조절하여 마그네트의 자력 강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프런트 커버(220)를 프런트 패널(21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프런트 커버(220)가 프런트 패널(210)로부터 저절로 분리되어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패널 부재의 제 4 실시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부재(200)는 프런트 패널(210)의 내부에 데코 패널(230)이 삽입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데코 패널(230)이 상기 프런트 패널(210)의 상측부 또는 측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프런트 패널(210)은 내부가 보이는 투명 소재로 제작되고, 내부에 상기 데코 패널(230)의 폭과 길이 및 두께와 동일한 규격의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패널(210)의 측면부에 상기 데코 패널(230)이 삽입되기 위한 데코 패널 삽입구(214)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데코 패널(230)이 자유로이 교체되도록 함과 동시에 패널 부재(200)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 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패널 부재의 제 5 실시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는 전방 캐비닛(110)의 전면부에 프런트 패널(210)이 장착되고, 상기 프런트 패널(210)의 전면부에 LCD 또는 PDP 또는 유기 EL과 같은 디스플레이부(30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LCD(Liquid Crystal Display)는 2개의 얇은 유리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 물질인 액정을 주입해 상하 유리판 위 전극의 전압차로 액정분자의 배열을 변화 시킴으로써 명암을 발생시켜 숫자나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PDP(Plasma Display Panel)는 2장의 얇은 유리판 사이에 혼합 가스를 채운 뒤 전압을 가해 발생한 이온가스를 방전 시켜 컬러 영상을 만드는 장치이다. 그리고, 유기EL(Electroluminescence)은 음극과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와 정공(전자에 대응하는 양의 전하를 띤 입자)이 유기물 내에서 결합하여 빛을 내는 자체발광현상 혹은 그 현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를 말하며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라고도 한다.
상세히, 상기 프런트 패널(21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일측면에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재로서 케이블(310)이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310)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림 또는 사진 등을 직접 부착할 필요 없이 다량의 그림 또는 사진과 같은 디지털 영상 신호를 디지털 화일로 저장하여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컴퓨터에 원하는 그림 또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파일 형태로 저장한 다음, 이를 상기 케이블(310)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300)에 디지털 화면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일일이 그림 또는 사진을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되며, 상기 실내기(100)의 전면부가 모니터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패널 부재의 제 6 실시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부재(200)는 전면 패널(210)에 안착되는 데코 패널(230)이 상기 전면 패널(210)의 전면 전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실시예들과 달리 상기 전면 패널(210)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는 표시창(211)이 상기 전면 패널(210)의 가장 자리에 배치되거나, 표시창(211)이 없이 작동 버튼만이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각각의 실시예에서 전면 패널(210)의 형상 및 데코 패널(230)에 있어서, 도 8에 제시되는 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명백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의하여,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진일보하여, 실내기 전면에 예술 작품이나 가족 사진 등을 부착하거나 자유로이 교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분위기와 조화를 이루는 하나의 가구 기능도 함께 발휘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후방 캐비닛;
    상기 후방 캐비닛의 전면에 결합되며, 측면 가장 자리 하측에 형성되는 흡입구와, 측면 가장 자리 상측에 형성되는 토출구가 포함되는 전방 캐비닛;
    상기 후방 캐비닛의 내부 하측에 장착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상측부에 장착되어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전방 캐비닛의 전면에 장착되며, 그림 또는 사진 등이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 부재;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부재는 상기 전방 캐비닛의 전면에 장착되는 프런트 패널과,
    상기 프런트 패널의 전면에 안착되며, 그림 또는 사진 등이 부착되는 데코 패널과,
    상기 데코 패널의 전면을 덮는 프런트 커버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부재는 그림 또는 사진 등이 부착되는 데코 패널과,
    상기 전방 캐비닛의 전면에 장착되며, 측면에 상기 데코 패널이 삽입되도록 하는 데코 패널 삽입구 및 내부에 상기 데코 패널이 수용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부재는 LCD 또는 PDP 또는 유기 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커버는 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커버는 상기 프런트 패널에 탈착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패널은 상기 전방 캐비닛으로부터 탈착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커버는 상기 프런트 패널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프런트 패널의 일측 테두리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커버의 배면 및/또는 상기 프런트 패널의 전면에 장착되며, 상기 프런트 커버가 상기 프런트 패널에 밀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착 부재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부재는 마그네트 또는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부재의 일측에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부가 형성되어, 상기 패널 부재에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패널은 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050019970A 2005-03-10 2005-03-10 공기 조화기 KR20060099004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970A KR20060099004A (ko) 2005-03-10 2005-03-10 공기 조화기
PCT/KR2006/000160 WO2006095961A1 (en) 2005-03-10 2006-01-13 Air conditioner
EP06250395A EP1701100A3 (en) 2005-03-10 2006-01-25 Air conditioner
US11/340,756 US20060201043A1 (en) 2005-03-10 2006-01-27 Air conditioner
CNB2006100094235A CN100470143C (zh) 2005-03-10 2006-02-22 空调器
CNU2006200030915U CN2909061Y (zh) 2005-03-10 2006-02-24 空调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970A KR20060099004A (ko) 2005-03-10 2005-03-10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004A true KR20060099004A (ko) 2006-09-19

Family

ID=3657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970A KR20060099004A (ko) 2005-03-10 2005-03-10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01043A1 (ko)
EP (1) EP1701100A3 (ko)
KR (1) KR20060099004A (ko)
CN (2) CN100470143C (ko)
WO (1) WO200609596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422B1 (ko) * 2005-05-23 2012-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1336046B1 (ko) * 2012-03-28 2013-12-04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6337754B2 (en) * 2006-02-07 2010-02-18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O2008106185A1 (en) * 2007-03-01 2008-09-04 Jack Richards Air circulation device with graphic images display
CN101334209B (zh) * 2007-06-25 2012-01-1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前面板变形防止结构
KR101346502B1 (ko) * 2008-02-21 201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CN102072527B (zh) * 2009-11-20 2014-04-30 海尔集团公司 下出风柜式空调
CN102840653B (zh) * 2011-06-23 2015-03-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装饰条固定结构
KR102053223B1 (ko) * 2013-07-02 2020-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람 가리개 및 이를 포함한 공기 조화기
WO2017187562A1 (ja) * 2016-04-27 2017-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CN106996596B (zh) * 2017-04-18 2023-09-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系统及其余热回收方法
KR20210062276A (ko) * 2019-11-21 202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키보드 커버
US11796190B2 (en) 2019-12-10 2023-10-24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4003A (en) * 1958-07-10 1962-03-06 Air Preheater Heat exchanger
US3160431A (en) * 1962-02-26 1964-12-08 Nat Lock Co Latch assembly for medicine cabinets
US3465816A (en) * 1968-03-01 1969-09-09 Worthington Corp Combination heating and cooling unit with condenser fan flue product exhaustion means
US3888090A (en) * 1973-12-26 1975-06-10 Repco Products Corp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H0213752A (ja) * 1988-07-01 1990-01-18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H03213921A (ja) * 1990-01-18 1991-09-19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画面付空気調和装置
US5600963A (en) * 1994-08-20 1997-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system
KR0182545B1 (ko) * 1995-05-18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97683B1 (ko) * 1995-11-25 1999-06-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0187231B1 (ko) * 1995-12-30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FR2752611B1 (fr) * 1996-08-22 2000-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imatiseur de local et procedes correspondants de mise en oeuvre
IL123390A (en) * 1997-04-03 2000-11-21 Funai Electric Co Air conditioning system
JPH11132498A (ja) * 1997-10-28 1999-05-21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261693B1 (ko) * 1997-11-07 2000-07-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5950446A (en) * 1998-10-01 1999-09-14 Whirlpool Corporation Compact air conditioner
US6345511B1 (en) * 1999-02-25 2002-02-12 Kooltronic, Incorporated Air handling apparatus
KR20020033880A (ko) * 2000-10-30 2002-05-08 황한규 상치형 에어컨의 전면패널 구조
AU2002314572A1 (en) * 2001-06-19 2003-01-02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KR100437384B1 (ko) * 2001-08-11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459141B1 (ko) * 2002-02-07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어셈블리
DE102004011453B4 (de) * 2003-03-10 2018-07-19 Lg Electronics Inc. Netzwerksystem eines Kühlschranks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sselben
US7249466B2 (en) * 2003-09-04 2007-07-31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in air conditio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422B1 (ko) * 2005-05-23 2012-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1336046B1 (ko) * 2012-03-28 2013-12-04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909061Y (zh) 2007-06-06
US20060201043A1 (en) 2006-09-14
CN100470143C (zh) 2009-03-18
EP1701100A2 (en) 2006-09-13
CN1831435A (zh) 2006-09-13
EP1701100A3 (en) 2009-07-15
WO2006095961A1 (en)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99004A (ko) 공기 조화기
KR101126958B1 (ko) 공기 조화기
KR20060093985A (ko) 공기 조화기
KR101054623B1 (ko) 공기 조화기
AU2005326106B8 (en) Air conditioner
KR100769896B1 (ko) 공기조화기
US7530189B2 (en) Air conditioner
JP2006194581A (ja) 空気調和機
KR100691892B1 (ko) 공기 조화기
KR100885571B1 (ko) 공기 조화기
KR20060098911A (ko) 공기 조화기
KR20060081998A (ko) 공기 조화기
KR100691891B1 (ko) 공기 조화기
KR2007007736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95911A (ko) 공기 조화기
KR100849566B1 (ko) 공기 조화기
KR100691893B1 (ko) 공기 조화기
KR101101422B1 (ko) 공기 조화기
KR20080027679A (ko) 공기조화기
KR101280376B1 (ko) 공기조화기
KR20060088425A (ko)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