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217Y1 - 안전봉 벽체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봉 벽체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217Y1
KR200476217Y1 KR2020140006170U KR20140006170U KR200476217Y1 KR 200476217 Y1 KR200476217 Y1 KR 200476217Y1 KR 2020140006170 U KR2020140006170 U KR 2020140006170U KR 20140006170 U KR20140006170 U KR 20140006170U KR 200476217 Y1 KR200476217 Y1 KR 2004762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ap
safety bar
tube portion
screw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희
Original Assignee
이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희 filed Critical 이윤희
Priority to KR2020140006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2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2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2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2Safety guards 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봉 벽체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F)을 지지하는 벽체(W)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제1나사산(14)이 형성된 서포트브라켓(10)과;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14)에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24)이 형성된 것으로서, 안전봉(S)이 관통되는 관통공(25)이 형성된 캡브라켓(20)과; 상기 서포트브라켓(10)의 내측에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관통공(25)을 관통한 상기 안정봉(S)이 걸치어지는 걸침날개(30)외; 상기 서포트브라켓(10)과 캡브라켓(20) 내측에서 상기 안정봉(S)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걸침날개(30) 단부와 상기 캡브라켓(20) 내측단에 가압되어 그 안전봉(S)에 밀착되는 밀착링(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봉 벽체고정장치{Safety bar fixing apparatus for window}
본 고안은 안전봉 벽체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을 가로지르는 안전봉을 벽체에 용이하게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안전봉 벽체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창문에는,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봉이 설치되며, 안전봉은 수평 방향으로 창문을 가로지르게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봉이 설치되는 창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고정되는 창틀(1)에는 창문(2)이 설치되고,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봉(4)이 창틀(1)의 측부에 설치된 브라켓(3)(3')이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창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안전봉(4)은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안전봉(4)은 창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는 있지만, 화재와 같은 위급한 상황시 오히려 탈출공간이 좁아지게 하기 때문에 탈출이 매우 어려워진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평소에는 안전봉이 창문을 가로지르게 설치되어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위급상황시 안전봉을 분리 제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공개번호 10-2012-0048128호에 창호용 안전봉이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평소에는 창문을 가로질러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다가, 화재와 같은 위급 상황시 그 안전봉을 신속하게 분리함으로써 탈출공간을 확보하게 할 수 있는 안전봉 벽체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구조변경없이 기존의 창문에도 적용할 수 있는 안전봉 벽체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안전봉 벽체고정장치는, 창틀(F)을 지지하는 벽체(W)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벽체(W)에 밀착되는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의 중앙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벽체(W)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볼트구멍(12)과, 상기 베이스(11)의 가장자리에서 형성된 것으로서 외주면에 제1나사산(14)이 형성된 서포트관부(13)를 포함하는 서포트브라켓(10); 상기 서포트관부(13)에 끼어지는 캡관부(23)와, 상기 캡관부(23)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나사산(14)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제2나사산(24)과, 상기 안전봉(S)이 관통하는 상기 관통공(25)을 포함하는 캡브라켓(20); 상기 서포트관부(13) 내측에서 상기 베이스(11)에 형성되되 상기 서포트관부(13)의 내주면에서 이격된 것으로서, 상기 관통공(25)을 관통한 상기 안정봉(S)이 걸치어지며, 상기 서포트관부(13) 측으로 탄성적인 휘어짐이 가능한 걸침날개(30); 및 상기 서포트브라켓(10)과 캡브라켓(20) 내측단 사이에서 상기 안정봉(S)에 헐렁하게 끼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캡브라켓(20)이 상기 서포트브라켓(10)에 완전히 나사결합될 때 상기 걸침날개(30) 단부와 상기 캡브라켓(20) 내측단에 의하여 가압되어 부피변화를 발생하면서 그 안전봉(S)의 표면을 밀착하고, 상기 캡브라켓(20)이 반대방향으로 약간만 회전되면 상기 걸침날개(30)의 단부와 상기 캡브라켓(20) 내측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안정봉(S)에 헐렁하게 끼어진 상태가 되는 밀착링(4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볼트구멍(12)은 장공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걸침날개(30)는, 상기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측으로 개방된 반원형상을 가진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평소에는 안정봉이 창문을 가로지르게 설치되어 있어 창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화재와 같은 위급 상황에서는 안전봉(S)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어 탈출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탈출(대피)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안전봉 벽체고정장치가 벽체(W)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설치가 가능하므로, 복잡한 구조변경이 필요없다. 따라서 기존의 창문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창틀(F)을 지지하는 양 벽체(W) 사이의 간격이 상부측과 하부측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하더라도, 안전봉(S)을 절단하지 않고도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안전봉(S)을 설치함에 있어 용접 과정을 채용하지 않아도 되어,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봉이 설치되는 창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봉 벽체고정장치가 벽체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안전봉 벽체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서포트브라켓의 정면도,
도 5는 도 2의 안전봉 벽체고정장치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안전봉 벽체고정장치에 안전봉이 결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안전봉 벽체고정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봉 벽체고정장치가 벽체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안전봉 벽체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서포트브라켓의 정면도이다. 또 도 5는 도 2의 안전봉 벽체고정장치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안전봉 벽체고정장치에 안전봉이 결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봉 벽체고정장치(100)(100')는, 창문(F1)을 가지는 창틀(F)을 지지하는 벽체(W)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제1나사산(14)이 형성된 서포트브라켓(10)과; 내주면에 제1나사산(14)에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24)이 형성된 것으로서, 안전봉(S)이 관통되는 관통공(25)이 형성된 캡브라켓(20)과; 서포트브라켓(10)의 내측에 위치된 것으로서, 관통공(25)을 관통한 안정봉(S)이 걸치어지는 걸침날개(30)와; 서포트브라켓(10)과 캡브라켓(20) 내측에서 안정봉(S)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걸침날개(30) 단부와 캡브라켓(20) 내측단에 가압되어 그 안전봉(S)에 밀착되는 밀착링(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포트브라켓(1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W)에 밀착되는 베이스(11)와, 베이스(11)의 중앙에 형성된 것으로서 벽체(W)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볼트구멍(12)과, 베이스(11)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서포트관부(13)와, 서포트관부(13)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나사산(14)을 포함한다.
볼트구멍(12)은 장공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벽체(W)에 고정되는 볼트(B)에 대하여 베이스(11)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서포트브라켓(10)의 설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캡브라켓(20)은 서포트관부(13)에 끼어지는 캡관부(23)와, 캡관부(23) 내주면에 형성되어 제1나사산(14)에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24)과, 상기 안전봉(S)이 관통하는 관통공(25)을 포함한다. 캡브라켓(20)은 캡관부(23)를 서포트관부(13)에 끼운 후 회전시킴에 따라 서포트브라켓(30)에 결합된다.
걸침날개(30)는, 관통공(25)을 관통한 안전봉(S)이 걸치어지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측으로 개방된 반원형상을 가진다. 이때 안전봉(S)이 걸치어지는 걸침홈(30a)에는 그 안정봉(S)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곡률이 형성되어 있다.
걸침날개(30)는 서포트관부(13) 내측에서 베이스(11)에 형성되되, 서포트관부(13)의 내주면에서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걸침날개(30)는 서포트관부(13) 측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짐이 가능하다.
걸침날개(30)는 상부측으로 개방된 걸침홈(30a)을 가지므로, 본원의 안전봉 벽체고정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특정한 간격을 가지는 양 벽체(W)에 본원의 안전봉 벽체고정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먼저 양 벽체(W)에 서포트브라켓(10)을 볼트(B)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고정된 서포트브라켓(10) 사이에서 안전봉(S)을 조립하여야 한다. 이때 걸침날개(30)는 상부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캡브라켓(20)을 관통한 안전봉(S)의 단부를 상부측으로부터 걸침날개(30)에 용이하게 걸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캡브라켓(20)을 서포트브라켓(10)에 나사결합시키는 단순한 동작으로 조립이 가능하다. 즉, 걸침날개(30)는 상부측을 통하여 걸치어지는 안전봉(S)의 설치위치를 가이드함으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걸침날개(30)는 안전봉(S) 사이의 간격과 수평 방향을 정확히 유지할 수 있도록 서포트브라켓(1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다수개의 안전봉(S)을 설치하기 위하여 양 벽체(W)에 다수개의 서포트브라켓(10)을 미리 설치하는데, 이때 다수개의 안정봉(S)이 상호 동일한 간격 및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서포트브라켓(10)의 위치를 가변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안전봉(S)을 걸침날개(30)에 걸치거나 분리하는 동작을 반복하여야 하는데, 걸침날개(30)는 상부측으로 개방된 걸침홈(30a)을 가짐으로써 이러한 반복적인 걸침 및 분리 동작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걸침날개(30)는 걸치어지는 안전봉(S)을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안전봉(S)은 양 벽체(W)에 설치된 벽체고정장치(100)(100')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안전봉(S)을 오른쪽의 벽체고정장치(100)로 완전히 밀게 되면, 안전봉(S)의 단부는 왼쪽의 벽체고정장치(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창틀(F)을 지지하는 양 벽체(W) 사이의 간격은 상부측과 하부측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그러나 안전봉(S)은 걸침날개(30)에 걸쳐져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양 벽체(W) 사이의 간격이 약간 다르더라도 안전봉(S)을 절단하지 않고도 설치가 가능하다.
밀착링(40)은 캡브라켓(20)을 관통한 안정봉(S)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캡브라켓(20)이 서포트브라켓(10)에 완전히 나사결합되었을 때 안전봉(S)이 꺼덕거리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캡브라켓(20)이 서포트브라켓(10)에 완전히 나사결합되면, 걸침날개(30) 단부와 캡브라켓(20) 내측단은 밀착링(40)을 가압하여 부피변화를 발생시키고, 부피변화가 발생된 밀착링(40)은 안전봉(S)의 표면에 밀착됨으로써 안전봉(S)이 꺼덕거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밀착링(40)은 큰 마찰력을 가지는 가요성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등으로 구현된다.
다음 상기한 구조의 안전봉 벽체고정장치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본원의 안전봉 벽체고정장치를 조립하기 위하여, 먼저 볼트(B)를 이용하여 서포트브라켓(10)을 양 벽체(W)에 각각 고정시키고, 한쌍의 캡브라켓(20) 및 밀착링(40)을 끼운 후 안전봉(S)의 양단을 각각의 서포트브라켓의 걸침날개(30)의 걸침홈(30a)에 걸친다. 이후 각각의 캡브라켓(20)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브라켓(10)에 나사결합시킨다.
이후 캡브라켓(20)이 서포트브라켓(10)에 완전히 나사결합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링(40)은 걸침날개(30) 단부와 캡브라켓(20) 내측단 사이에서 가압되면서 부피변화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밀착링(40)은 안전봉(S)을 강하게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안전봉(S)은 밀착링(40)에 의하여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꺼덕거림이나 움직임이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안전봉(S)은 창문을 가지는 창틀(F)을 가로지르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창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캡브라켓(20)을 반대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킨다. 그러면 밀착링(40)은 걸침날개(30)와 캡브라켓(20) 내측단 사이에서 분리되면서 더 이상 가압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안전봉(S)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안전봉(S)은 단순히 걸침날개(30)에 걸치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봉(S)을 좌측의 안전봉 벽체고정장치(100) 측으로 밀수 있다. 그러면 안전봉(S)의 우측단은 안전봉 벽체고정장치(100')로부터 분리되고, 이후 안정봉(S)의 우측단을 화살표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올린후 잡아당기면 안전봉(S)은 좌측 벽체고정장치(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안전봉(S)의 좌측단은 서포트관부(13) 측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짐이 가능한 걸침날개(30)에 걸치어지기 때문에, 안전봉(S)의 우측단을 비스듬하게 올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탈출공간이 만들어지고 탈출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평소에는 안정봉(S)이 창문을 가로지르게 설치되어 있어 창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화재와 같은 위급 상황에서는 안전봉(S)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어 탈출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탈출(대피)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안전봉 벽체고정장치가 벽체(W)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설치가 가능하므로, 복잡한 구조변경이 필요없다. 따라서 기존의 창문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창틀(F)을 지지하는 양 벽체(W) 사이의 간격이 상부측과 하부측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하더라도, 안전봉(S)을 절단하지 않고도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안전봉을 설치함에 있어 용접 과정을 채용하지 않아도 되어,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서포트브라켓 11 ... 베이스
12 ... 볼트구멍 13 ... 서포트관부
14 ... 제1나사산 20 ... 캡브라켓
23 .. 캡관부 24... 제2나사산
25 ... 관통공 30 ... 걸침날개
30a ... 걸침홈 40 ... 밀착링

Claims (5)

  1. 창틀(F)을 지지하는 벽체(W)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벽체(W)에 밀착되는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의 중앙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벽체(W)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되는 볼트구멍(12)과, 상기 베이스(11)의 가장자리에서 형성된 것으로서 외주면에 제1나사산(14)이 형성된 서포트관부(13)를 포함하는 서포트브라켓(10);
    상기 서포트관부(13)에 끼어지는 캡관부(23)와, 상기 캡관부(23)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나사산(14)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제2나사산(24)과, 상기 안전봉(S)이 관통하는 상기 관통공(25)을 포함하는 캡브라켓(20);
    상기 서포트관부(13) 내측에서 상기 베이스(11)에 형성되되 상기 서포트관부(13)의 내주면에서 이격된 것으로서, 상기 관통공(25)을 관통한 상기 안정봉(S)이 걸치어지며, 상기 서포트관부(13) 측으로 탄성적인 휘어짐이 가능한 걸침날개(30); 및
    상기 서포트브라켓(10)과 캡브라켓(20) 내측단 사이에서 상기 안정봉(S)에 헐렁하게 끼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캡브라켓(20)이 상기 서포트브라켓(10)에 완전히 나사결합될 때 상기 걸침날개(30) 단부와 상기 캡브라켓(20) 내측단에 의하여 가압되어 부피변화를 발생하면서 그 안전봉(S)의 표면을 밀착하고, 상기 캡브라켓(20)이 반대방향으로 약간만 회전되면 상기 걸침날개(30)의 단부와 상기 캡브라켓(20) 내측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안정봉(S)에 헐렁하게 끼어진 상태가 되는 밀착링(4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봉 벽체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구멍(12)은 장공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봉 벽체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침날개(30)는,
    상기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측으로 개방된 반원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봉 벽체고정장치.
  5. 삭제
KR2020140006170U 2014-08-19 2014-08-19 안전봉 벽체고정장치 KR2004762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170U KR200476217Y1 (ko) 2014-08-19 2014-08-19 안전봉 벽체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170U KR200476217Y1 (ko) 2014-08-19 2014-08-19 안전봉 벽체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217Y1 true KR200476217Y1 (ko) 2015-02-11

Family

ID=5259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170U KR200476217Y1 (ko) 2014-08-19 2014-08-19 안전봉 벽체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21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972B1 (ko) * 2007-01-01 2007-12-10 김경희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
KR20100006602U (ko) *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대현상공 창문용 조립식 난간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972B1 (ko) * 2007-01-01 2007-12-10 김경희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
KR20100006602U (ko) *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대현상공 창문용 조립식 난간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669B1 (ko)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CN104768352A (zh) 固定装置
KR101811621B1 (ko) 방충망 설치가 용이한 방충창틀
KR200476217Y1 (ko) 안전봉 벽체고정장치
KR101606163B1 (ko) 경사진 창문용 롤블라인드장치
US8695174B1 (en) Anchor apparatus for bead chain of window covering
KR200475789Y1 (ko) 방범용 창틀
US10428579B2 (en) Device for stopping, releasing and restoring the position of roller-type window nets
KR101306000B1 (ko) 창호에 설치되는 방충망용 고정구
KR101226087B1 (ko) 창문이탈방지구
KR101995627B1 (ko)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KR20180002386U (ko) 방충망 고정장치
JP6316650B2 (ja) 巻取り式スクリーン装置における巻取りボックス
KR101626923B1 (ko)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US1071642A (en) Curtain-fixture.
JP6469600B2 (ja) スクリーン装置
KR102019508B1 (ko) 금속 천장재 고정 시스템 및 이탈방지장치
KR101628716B1 (ko) 방범망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조립된 방범망 조립체
KR101666435B1 (ko) 안전형 방충망
KR20190087042A (ko) 방충망 이탈 방지재
JP6470242B2 (ja) 外壁パネル用吊具
EP3128876B1 (en) A curtain wire fastening system onto a window frame
KR102014972B1 (ko)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US20190085625A1 (en) Roller blind end bracket with retaining member
KR20170032204A (ko)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