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651B1 -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 Google Patents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651B1
KR102014651B1 KR1020180087131A KR20180087131A KR102014651B1 KR 102014651 B1 KR102014651 B1 KR 102014651B1 KR 1020180087131 A KR1020180087131 A KR 1020180087131A KR 20180087131 A KR20180087131 A KR 20180087131A KR 102014651 B1 KR102014651 B1 KR 102014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 tennis
sub
unit
position detecting
b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경
Original Assignee
김상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경 filed Critical 김상경
Priority to KR1020180087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651B1/ko
Priority to JP2018226467A priority patent/JP677223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2Ultra-soun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를 사이에 두고 탁구공에 대한 제1바운드가 이루어지게 하는 제1부분 및 상기 네트를 넘어 제2바운드가 이루어지게 하는 제2부분으로 형성되는 탁구대와, 상기 제2부분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탁구공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감지를 통해 상기 제2바운드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서브 위치 감지부와,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에 설치되며, 설정 상태에 따라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의 외부로 서로 다른 색이 발광되도록 형성되는 발광부 및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와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로 상기 감지 센서를 위치 센싱 가능한 상태로 활성시키기 위한 제1신호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는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진동이 감지되면 제2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한다.

Description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Table tennis serve practice device}
본 발명은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탁구대의 지정된 위치로 서비스를 넣게 할 수 있도록 연습이 이루어지게 하는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구는 탁구대의 중앙에 그물을 치고 상대편 지역으로 작고 가벼운 탁구공을 라켓으로 쳐 넘겨 승부를 가리는 구기 경기로서, 작고 가벼운 공을 라켓으로 쳐 넘기는 경기의 특성으로 인해 경기자의 정확한 스윙동작 제어와 스윙의 힘 조절이 아주 중요한 경기이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스윙동작을 지속적으로 반복 연습하여 기술을 습득하고 숙련하여야 하고, 이와 함께 포핸드 스윙과 백핸드 스윙의 자연스러운 변환동작 또한 지속적으로 반복 연습하여 기술을 습득하고 숙련하여야 한다.
예컨대, 탁구 경기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서비스와 리시브 조차도, 서비스 하는 사람에 따라 탁구공의 높이와 속도, 방향이 달라 지속적인 연습을 통해서만이 효과적인 리시브가 가능하고, 나아가 공격으로도 전환이 가능한 것이다.
특히, 탁구 경기에 있어 서비스는 경기의 승패를 좌우할 정도로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서브를 넣을 수 있도록 연습을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가 거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서브 위치 감지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서브 연습 시 서브 위치를 단말기로 전달하고, 단말기에서 서브 위치를 저장 및 평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서브를 넣을 수 있게 연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브 능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는 네트를 사이에 두고 탁구공에 대한 제1바운드가 이루어지게 하는 제1부분 및 상기 네트를 넘어 제2바운드가 이루어지게 하는 제2부분으로 형성되는 탁구대와, 상기 제2부분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탁구공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감지를 통해 상기 제2바운드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서브 위치 감지부와,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에 설치되며, 설정 상태에 따라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의 외부로 서로 다른 색이 발광되도록 형성되는 발광부 및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와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로 상기 감지 센서를 위치 센싱 가능한 상태로 활성시키기 위한 제1신호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는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진동이 감지되면 제2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는 상기 감지 센서가 중심에 형성된 장착 홀을 차폐하며 거치되도록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장착 홀을 차폐하며 거치된 상기 감지 센서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몸체의 상면과 동일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는 상기 커버를 중심으로 경사를 가지며 상기 몸체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주면이 라운드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상기 탁구대와 마주하는 바닥면에 결합되며, 상기 탁구공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탁구대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형성되는 완충패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의 주변을 통과하는 상기 탁구공과 상기 몸체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초음파 센서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발광부는 상기 감지 센서에 대한 활성 가능 상태에서는 제1색이 발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바운드의 위치가 감지된 상태에서는 해당하는 서브 위치 감지부로 제2색이 발광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로 제3신호가 제공되도록 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3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 중 어느 하나의 서브 위치 감지부에 제3색이 발광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는 복수개의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에 순차적 또는 랜덤하게 상기 제3색이 발광되도록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로 제공되는 상기 제3신호에 대한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네트에 인접한 상기 제2부분의 중앙부분에 구비되는 제1위치와, 상기 네트에 인접하되, 서버의 시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부분의 좌측 부분에 구비되는 제2위치와, 상기 네트를 기준으로 상기 서버가 위치한 반대편 탁구대의 일단에 구비되되, 서버의 시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부분의 좌측 부분에 구비되는 제3위치 및 상기 네트를 기준으로 상기 서버가 위치한 반대편 탁구대의 일단에 구비되되, 서버의 시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부분의 우측 부분에 구비되는 제4위치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제2바운드되는 시점에 상기 탁구공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탁구공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복수의 서브 위치 감지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서브 연습 시 서브 위치를 단말기로 전달하고, 단말기에서 서브 위치를 저장 및 평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서브를 넣을 수 있게 연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브 능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서브 위치 감지부에서 서브의 방향 및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 방향 및 회전량으로 서브를 넣을 수 있게 연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하여 단말기에 저장된 서브의 평가 정보가 중앙 서버로 전달, 기록되게 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해당 사용자의 랭킹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에 대한 서브 위치 감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에 대한 서브 위치 감지부 및 단말기 각각의 구성 및 이들 사이의 신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에 대한 서브 위치 감지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에 대한 서브 위치 감지부의 감지 센서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에 대한 서브 위치 감지부의 상면 모서리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에 대한 서브 위치 감지부의 몸체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에 대한 완충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에 대한 서브 위치 감지부의 초음파 센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에 대한 서브 위치 감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에 대한 서브 위치 감지부 및 단말기 각각의 구성 및 이들 사이의 신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에 대한 서브 위치 감지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에 대한 서브 위치 감지부의 감지 센서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에 대한 서브 위치 감지부의 상면 모서리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에 대한 서브 위치 감지부의 몸체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100)는 탁구대(10), 서브 위치 감지부(20), 발광부(30) 및 단말기(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탁구대(10)는 제1부분(11) 및 제2부분(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1부분(11)은 사용자가 탁구공을 타격하고 제1바운드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또한, 탁구대(10)의 제2부분(13)은 네트를 사이에 두고 제1부분(11)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상기와 같이 제1부분(11)에서 제1바운드가 이루어진 탁구공이 네트를 넘어 제2바운드가 이루어지게 된다.
서브 위치 감지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부분(13)에서 제2바운드가 이루어지는 위치를 감지하도록 중심, 즉 커버(24)의 내측에 감지 센서(21)를 구비한다.
이러한 감지 센서(21)는 사용자의 타격에 의한 탁구공의 제2바운드의 진동을 감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서브 위치 감지부(20)는 감지 센서(21)의 진동 감지에 의해 탁구공의 위치를 감지하면, 제2신호(47b)를 단말기(40)로 송신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서브 위치 감지부(20)는 사용자가 위치된 제1부분(11)에서 바라보는 시선을 기준으로 제2부분(13)에 위치되는 제1 내지 제4위치(23a, 23b, 23c, 23d)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제1 내지 제4위치(23a, 23b, 23c, 23d) 모두에 설치되어 감지 센서(21)를 통해 제2부분(13)의 복수의 위치에서 탁구공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위치(23a, 23b, 23c, 23d)는 모두 설정된 것으로, 제1위치(23a)는 네트에 인접한 제2부분(13)의 중앙 부분일 수 있고, 제2위치(23b)는 네트에 인접하면서, 사용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제2부분(13)의 좌측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위치(23c)는 사용자가 위치한 반대편 탁구대(10) 일단에 구비되되, 사용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부분(13)의 좌측 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4위치(23d)는 네트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위치한 반대편 탁구대(10)의 일단에 구비되되, 사용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제2부분(13)의 우측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위치 감지부(20)는 제1통신부(26)를 구비하는데, 제1통신부(26)에 의해 단말기(40)의 제2통신부(46)와 무선 통신할 수 있으며, 또한 감지 센서(21)의 온/오프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서브 위치 감지부(20)는 몸체(22) 및 커버(24)를 구비한다.
먼저, 몸체(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장착 홀(H)을 구비하며, 감지 센서(21)가 장착 홀(H)을 차폐하며 거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몸체(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21)를 내부 중심, 다시 말해 몸체(22)의 상면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된 장착 홀(H) 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더 자세하게는 몸체(22)는 장착 홀(H)을 형성하는 몸체(22)의 단턱부(20b)에 감지 센서(21)의 테두리가 거치되어 장착 홀(H)을 차폐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와 같이 감지 센서(21)가 탁구대(10)의 표면과 접하도록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탁구공이 제2부분(13)에서 제2바운드 될 때, 몸체(22)의 주변으로 제2바운드 되는 경우에도 감지 센서(21)에 의해 진동이 감지되는 종래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커버(24)는 장착 홀(H)을 차폐하며 거치된 감지 센서(21)의 상면에 위치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2)의 상면과 동일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커버(24)는 감지 센서(21)를 보호하도록 구비되는데, 커버(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이 몸체(22)의 상면과 동일선을 이루도록 감지 센서(21) 상면에 안착되어, 단차 영역의 발생 없이 감지 센서(21)에 대한 효과적인 보호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버(24)가 결합된 몸체(22) 상면의 모서리(20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서브 위치 감지부(20)에 제2바운드 된 탁구공이 모서리(20a)와 충돌한 경우에도 그 충격량에 해당하는 진동이 감지 센서(21)로 전달되어 효과적으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커버(24)가 결합된 몸체(22) 상면의 모서리(20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이 라운드지도록 형성됨과 함께 모서리(20a)에 연결된 몸체(22) 또한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서브 위치 감지부(20)의 몸체(22)로 제2바운드 된 탁구공이 비스듬한 방향으로 충돌한 경우에도 그 진동이 효과적으로 감지 센서(21)로 전달되게 하여 정확한 진동의 감지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발광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위치 감지부(20), 다시 말해 몸체(22)의 상면에 설치되며, 설정 상태에 따라 서브 위치 감지부(20)의 외부로 서로 다른 색이 발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발광부(30)는 설정 상태에 따라 복수의 색을 방출 가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발광부(30)는 감지 센서(21)의 활성 가능한 상태에서는 제1색이 발광되도록 이루어지고, 제2바운드의 위치가 감지된 상태, 더 자세하게는 탁구공이 서브 위치 감지부(20)에 제2바운드 되어 진동을 감지한 상태에서는 해당 서브 위치 감지부(20)의 발광부(30)에 제2색이 발광되도록 이루어진다.
일례로, 발광부(30)의 제1색은 녹색일 수 있고, 제2색은 적색일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부(30)는 LED(Light Emitting Devic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부(30)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서브 위치 감지부(20)에 7개 이내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깜빡이게 발광될 수도 있다.
또한, 발광부(30)는 단말기(40)에 의해 제3신호(47c)가 제1통신부(26)로 제공됨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위치 감지부(20)의 발광부(30) 중 어느 하나의 서브 위치 감지부(20)의 발광부(30)에 제3색이 발광되게 할 수 있다.
즉, 단말기(40)는 도 1의 제1 내지 제4위치(23a, 23b, 23c, 23d)에 위치된 서브 위치 감지부(20)로 제3신호(47c)를 제공, 제3색으로 발광부(30)가 발광되게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제3신호(47c)는 제1 내지 제4위치(23a, 23b, 23c, 23d)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발광부(30)가 발광되게 하거나, 또는 제1 내지 제4위치(23a, 23b, 23c, 23d)에 대하여 랜덤하게 발광부(30)가 발광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내지 제4위치(23a, 23b, 23c, 23d)에 순차적으로 발광부(30)가 발광되도록 제3신호(47c)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제1위치(23a), 제2위치(23b), 제3위치(23c), 제4위치(23c)의 순서, 또는 역순으로 발광부(30)가 발광되게 되고, 제1 내지 제4위치(23a, 23b, 23c, 23d)에 램덤하게 발광부(30)가 발광되도록 제3신호(47c)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불규칙 적으로 발광부(30)가 발광되게 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서비스 연습을 수행함에 있어서, 발광부(30)가 발광된 지점, 즉 순차적이거나 또는 랜덤하게 발광된 발광부(30)를 포함하는 서브 위치 감지부(20)를 향하여 탁구공을 타격하여 그에 대한 제2바운드 정보가 단말기(40)에 전달,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집중력을 제공하며 효과적인 서비스 연습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40)는 서브 위치 감지부(20)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단말기(40)는 제1통신부(26)와 무선 통신 가능한 제2통신부(46)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제1 및 제2통신부(26, 46)는 블루투스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40)는 서브 위치 감지부(20)에 감지 센서(21)의 위치 센싱을 활성 가능하게 하는 제1신호(47a)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감지 센서(21)에 의해 제2바운드가 감지되면, 서브 위치 감지부(20)로부터 송신되는 제2신호(47b)를 제공받게 된다.
단말기(40)는 여러 신호를 입력 가능하도록 하는 입력부(41)를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41)는 무선 통신을 통해 감지 센서(21)를 활성화 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43)는 상기와 같은 입력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고, 저장된 제2바운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단말기(40)는 예를 들어 사용자 등이 소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핸드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핸드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서브 위치 감지부(20)는 감지 센서(21)를 통해 제2부분(13)에서 제2바운드 되는 시점에서 탁구공의 위치 정보를 감지 가능할 수 있으며, 감지 센서(21)에서 감지된 탁구공의 위치 정보를 단말기(4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기(40)로 제공되는 제2신호(47b)는 감지된 탁구공의 위치 정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신호(47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위치 감지부(20)에서 단말기(40), 다시 말해 서브 위치 감지부(20)의 제1통신부(26)에서 단말기(40)의 제2통신부(46)로 전송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내지 제4위치(23a, 23b, 23c, 23d)에 서브 위치 감지부(20)가 설치되고, 제1위치(23a)에 설치된 감지 센서(21)가 활성화된 경우, 사용자가 탁구공을 타격하여 제1위치(23a)의 서브 위치 감지부(20)에 타격된 탁구공이 제2바운드되면, 감지 센서(21)는 이를 감지하고 단말기(40)에 제2신호(47b)를 송신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말기(40)는 사용자가 제1위치(23a)로 탁구공을 타격했음을 알 수 있게 되고, 탁구공이 제2바운드된 해당 서브 위치 감지부(20)는 발광부(30)를 통해 제2색을 발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바로 제1위치(23a)로 탁구공을 보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100)는 감지 센서(21)를 구비하는 서브 위치 감지부(20), 발광부(30) 및 단말기(40)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공의 바운드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 정보를 단말기(40)를 통해 사용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능력을 향상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100)는 단말기(40) 내부의 저장부(미도시)에 탁구공이 서브 위치 감지부(20)에 제2바운드 됨에 따라 평가된 스코어 정보 등이 인터넷을 통하여 중앙 서버로 전달, 기록되게 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해당 사용자의 랭킹을 등록 및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에 대한 완충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서브 위치 감지부(20)에는 몸체(22) 및 커버(24)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몸체(22)의 하부에는 완충패드(22a)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완충패드(22a)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탁구대(10)와 마주하는 몸체(22)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제2바운드 시 탁구대(10)에 탁구공이 충돌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완충패드(22a)를 통해 탁구대(10)의 상면, 더 자세하게는 서브 위치 감지부(20)와 인접한 탁구대(10)의 상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하여 서브 위치 감지부(20)의 주변으로 탁구공이 제2바운드 됨에 따라 발생된 진동이 감지 센서(21)로 전달되어 서브 위치 감지부(20)에 충돌한 것으로 잘못 인식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100)는 완충패드(22a)에 의해 상기와 같은 진동 감지에 대한 오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에, 감지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에 대한 서브 위치 감지부의 초음파 센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100)는 서브 위치 감지부(20)를 포함하고, 이러한 서브 위치 감지부(20)는 초음파 센서(27)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 센서(27)는 몸체(22)의 상면에 설치되며, 몸체(22)의 주변을 통과하는 탁구공과 몸체(22)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초음파 센서(27)는 단말기(40)를 통해 감지 센서(21)를 센싱 가능한 상태로 활성시키기 위한 제1신호가 제공됨에 따라 함께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때 몸체(22)의 상면으로 초음파를 내보내고 받아들여 몸체(22)의 상면을 통과하는 탁구공과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센서(27)는 몸체(22)의 상면으로부터 약 5 ~ 7 cm에 해당하는 높이로 통과하는 탁구공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측정 정보를 단말기(40)로 전달하여 탁구공이 서브 위치 감지부(20)에 직접 충돌하지 않더라도 접근한 정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7 cm에 해당하는 높이로 탁구공이 서브 위치 감지부(20)를 통과하게 되면, 그에 따른 점수가 단말기(40)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만일 5 cm에 해당하는 높이로 탁구공이 서브 위치 감지부(20)를 통과하게 되면, 7 cm에 해당하는 높이로 통과하는 경우 보다 서브 위치 감지부(20)와 더 인접하게 통과하였으므로, 더 높은 점수를 부여받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100)는 초음파 센서(27)를 통해 탁구공이 서브 위치 감지부(20)에 직접적으로 제2바운드 되지 않더라도, 접근 정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의 높이 및 방향에 대한 수정 및 보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서브 위치 감지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서브 연습 시 서브 위치를 단말기로 전달하고, 단말기에서 서브 위치를 저장 및 평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서브를 넣을 수 있게 연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브 능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서브 위치 감지부에서 서브의 방향 및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 방향 및 회전량으로 서브를 넣을 수 있게 연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하여 단말기에 저장된 서브의 평가 정보가 중앙 서버로 전달, 기록되게 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해당 사용자의 랭킹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 : 탁구대 11 : 제1부분
13 : 제2부분 20 : 서브 위치 감지부
20a : 모서리 20b : 단턱부
21 : 감지 센서 22 : 몸체
22a : 완충패드 24 : 커버
26 : 제1통신부 27 : 초음파 센서
30 : 발광부 40 : 단말기
41 : 입력부 43 : 디스플레이부

Claims (12)

  1. 네트를 사이에 두고 탁구공에 대한 제1바운드가 이루어지게 하는 제1부분 및 상기 네트를 넘어 제2바운드가 이루어지게 하는 제2부분으로 형성되는 탁구대;
    상기 제2부분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탁구공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감지를 통해 상기 제2바운드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서브 위치 감지부;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에 설치되며, 설정 상태에 따라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의 외부로 서로 다른 색이 발광되도록 형성되는 발광부; 및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와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로 상기 감지 센서를 위치 센싱 가능한 상태로 활성시키기 위한 제1신호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는,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진동이 감지되면 제2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는,
    상기 감지 센서가 중심에 형성된 장착 홀을 차폐하며 거치되도록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장착 홀을 차폐하며 거치된 상기 감지 센서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몸체의 상면과 동일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는,
    상기 커버를 중심으로 경사를 가지며 상기 몸체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주면이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탁구대와 마주하는 바닥면에 결합되며, 상기 탁구공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탁구대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형성되는 완충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의 주변을 통과하는 상기 탁구공과 상기 몸체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초음파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감지 센서에 대한 활성 가능 상태에서는 제1색이 발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바운드의 위치가 감지된 상태에서는 해당하는 서브 위치 감지부로 제2색이 발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로 제3신호가 제공되도록 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3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 중 어느 하나의 서브 위치 감지부에 제3색이 발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복수개의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에 순차적 또는 랜덤하게 상기 제3색이 발광되도록 상기 서브 위치 감지부로 제공되는 상기 제3신호에 대한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네트에 인접한 상기 제2부분의 중앙부분에 구비되는 제1위치;
    상기 네트에 인접하되, 서버의 시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부분의 좌측 부분에 구비되는 제2위치;
    상기 네트를 기준으로 상기 서버가 위치한 반대편 탁구대의 일단에 구비되되, 서버의 시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부분의 좌측 부분에 구비되는 제3위치; 및
    상기 네트를 기준으로 상기 서버가 위치한 반대편 탁구대의 일단에 구비되되, 서버의 시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부분의 우측 부분에 구비되는 제4위치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제2바운드되는 시점에 상기 탁구공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탁구공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87131A 2018-07-26 2018-07-26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KR102014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131A KR102014651B1 (ko) 2018-07-26 2018-07-26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JP2018226467A JP6772238B2 (ja) 2018-07-26 2018-12-03 卓球サーブ練習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131A KR102014651B1 (ko) 2018-07-26 2018-07-26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651B1 true KR102014651B1 (ko) 2019-08-26

Family

ID=6780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131A KR102014651B1 (ko) 2018-07-26 2018-07-26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772238B2 (ko)
KR (1) KR10201465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9212A (ja) * 2011-08-15 2013-02-28 Yutaka Taira スピン検出装置
US20150360114A1 (en) * 2014-06-12 2015-12-17 Indian Industries, Inc. Automated scoring system for table tennis
KR101579755B1 (ko) * 2014-11-20 2015-12-24 주식회사 여우전자 다중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탁구 경기 점수표시방법
KR101602065B1 (ko) * 2014-11-04 2016-03-0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탁구 점수 자동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0541A (ko) * 2015-12-14 2017-06-22 경상남도 (교육청) 탁구 연습 장치
KR101945935B1 (ko) * 2017-06-21 2019-02-11 김상경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1260B2 (ja) * 1997-09-17 2000-05-15 コナミ株式会社 卓球装置
JP4424787B2 (ja) * 1999-08-03 2010-03-03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卓球遊戯装置
JP2008246174A (ja) * 2007-03-30 2008-10-16 Sega Corp 面発光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球技用遊戯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9212A (ja) * 2011-08-15 2013-02-28 Yutaka Taira スピン検出装置
US20150360114A1 (en) * 2014-06-12 2015-12-17 Indian Industries, Inc. Automated scoring system for table tennis
KR101602065B1 (ko) * 2014-11-04 2016-03-0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탁구 점수 자동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579755B1 (ko) * 2014-11-20 2015-12-24 주식회사 여우전자 다중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탁구 경기 점수표시방법
KR20170070541A (ko) * 2015-12-14 2017-06-22 경상남도 (교육청) 탁구 연습 장치
KR101945935B1 (ko) * 2017-06-21 2019-02-11 김상경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72238B2 (ja) 2020-10-21
JP2020014825A (ja)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6348B2 (en) Device to control the movement of a virtual player and a virtual ball in a game application
US8353791B2 (en) Tracking balls in sports
US9415263B2 (en) Athletic train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90126120A1 (en) Tennis training device using virtual targets
US20080102991A1 (en) Athlete Reaction Training System
JP5909514B2 (ja) バスケットボールショット判定システム
US106539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user-configurable athletic training apparatus
KR101099479B1 (ko) 유도식 발광 골프공
KR20110072713A (ko) 타격상태 출력 기능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 및 방법
KR101641650B1 (ko) 타점 감지유닛을 가지는 라켓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타점 감지방법
KR102014651B1 (ko)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KR101435506B1 (ko) 타격 훈련 코칭 로봇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45935B1 (ko)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CN108159664B (zh) 一种训练用的网球拍
KR102521041B1 (ko)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90344144A1 (en) Sports ball having electronics and method of use
KR101842388B1 (ko) 스마트 테니스 연습기
KR101991061B1 (ko) 포핸드-백핸드 판별형 고성능 테니스 연습장치
JP5057178B2 (ja) 離隔攻撃判定装置
CN110523068B (zh) 一种球类落点判定装置及方法
TWM507287U (zh) 棒球
KR101029918B1 (ko) 가정용 골프 시뮬레이터
KR101963080B1 (ko) 모의 골프클럽을 이용한 복합 플레이 방식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376357B1 (ko)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격투기 경기의 돌려차기 감지시스템
KR20100080641A (ko) 골프공의 출발위치정보와 착지위치정보를 인식하는 골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