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755B1 - 다중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탁구 경기 점수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탁구 경기 점수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755B1
KR101579755B1 KR1020140162777A KR20140162777A KR101579755B1 KR 101579755 B1 KR101579755 B1 KR 101579755B1 KR 1020140162777 A KR1020140162777 A KR 1020140162777A KR 20140162777 A KR20140162777 A KR 20140162777A KR 101579755 B1 KR101579755 B1 KR 101579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e
sensor
racket
sensing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여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여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여우전자
Priority to KR1020140162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755B1/ko
Priority to CN201580063173.0A priority patent/CN106999752B/zh
Priority to PCT/KR2015/012409 priority patent/WO2016080757A1/ko
Priority to JP2017545839A priority patent/JP652723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86Timers, rhythm indicators or pac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탁구 경기 점수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탁구대의 각 구역 및 라켓에 설치된 충격감지센서로부터 탁구공과의 충돌 감지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감지신호의 입력 패턴에 따라서 탁구경기의 점수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점수산출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탁구 경기 점수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탁구 경기 점수표시방법{System for proceeding table tennis game with multiple shock sensor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ores of table tennis gam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탁구 경기 점수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탁구대에 각 구역별로 설치된 충격감지센서에 의한 감지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감지신호의 입력 패턴에 따라서 탁구경기의 점수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점수산출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탁구 경기 점수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구 경기는 2인이 시합을 하는 단식경기와 4인이 시합을 하는 복식경기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단식경기는 일측 선수와 타측 선수가 번갈아서 1회씩 타구를 하면서 경기가 진행되고, 복식경기는 2인조로 1팀을 이루어 일측팀과 타측팀이 번갈아서 1회씩 타구를 하되 해당 팀의 각 선수가 상호 번갈아가면서 타구를 하여야 한다.
또한, 탁구 경기는 21점 선승제와 11점 선승제의 경기 진행방식이 있는데, 근래에는 주로 11점 선승제 방식을 채택하여 대회를 운영하고 있다.
상기의 11점 선승제 방식은 각 세트마다 11점을 먼저 득점한 선수가 세트의 승자가 되며, 한 경기의 총 세트는 3세트, 5세트, 7세트, 9세트로 대회마다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상기 11점 선승제 방식에서는 점수 변화가 2점 있을 때마다 서브권을 서로 교대하고, 10 대 10 상황에서는 소위 듀스라 하여 먼저 연속으로 2 득점을 얻어야만 승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규칙을 가지는 탁구는 남녀노소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생활 스포츠로 자리잡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탁구 시합의 규칙이 비교적 복잡한 편이므로, 탁수 선수들이 출전하는 정식 대회에는 당연히 각 경기마다 심판과 점수 기록원이 배석하여 점수의 득실을 판정하고 점수의 기록관리를 수행하나, 일반인들끼리 탁구장 등에서 탁구 시합을 할 경우에는 별도의 심판이나 점수 기록원이 없이 탁구 시합을 하는 각 당사자가 스스로 점수 득실을 판정하고 점수 계산을 수행할 수 밖에 없어 경기에 집중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 탁구나 테니스 경기시의 점수 관리의 용이함을 위하여 게임중인 각 당사자가 리모컨을 통하여 무선 방식으로 자신의 점수를 표시하게 하는 스코어 입출력 장치가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 292529 호로 공지되어 있으나, 이 선행기술은 자신의 점수를 무선으로 변동시키는 단순한 기술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점수의 득실 판정과 점수 계산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없는 기술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탁구 시합시 심판이나 점수 기록원이 배석하지 않고도 점수의 득실 판정과 점수 계산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탁구경기의 진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탁구 경기 점수표시방법의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탁구경기 진행시스템의 구성은, 탁구대에 각 구역별로 설치된 충격감지센서에 의한 탁구경기 구성요소 (라켓, 탁구대, 네트 등)와 탁구공의 충격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감지신호의 입력 패턴에 따라서 탁구경기의 점수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점수산출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탁구경기 진행시스템은 종래와 같이 심판이나 점수 기록원이 배석하지 않아도 시합하는 각 당사자의 점수를 자동적으로 산출하여 표시하므로, 시합 당사자가 점수의 득실 판정과 점수 계산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이 오로지 탁구 경기에만 집중할 수 있어 탁구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점수산출단말의 통신부를 통하여 탁구경기 진행상황과 관련한 정보들을 외부의 통신기기로 송신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해당 탁구경기의 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면서 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단식 경기를 위한 본 발명 탁구경기 진행시스템의 실시예의 구성도,
도 2 는 복식 경기를 위한 본 발명 탁구경기 진행시스템의 실시예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 탁구경기 진행시스템의 탁구채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 탁구경기 진행시스템의 점수산출단말의 블럭다이어그램,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 탁구경기 진행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순서도로서, 도 5 는 단식 경기시의 순서도, 도 6 은 복식 경기시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탁구 경기 점수표시방법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단식 경기를 위한 본 발명 탁구경기 진행시스템의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단식 경기를 위한 탁구경기 진행시스템(1)은, 탁구대(10)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된 네트(net)부(50)를 중심으로 동일한 면적으로 구획된 제 1 구역(11)과 제 2 구역(12)을 가진 탁구대(1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시스템은 상기 탁구대(10)의 제 1 구역(11)에 설치되어 제 1 구역(11)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1 감지센서(41)와, 상기 탁구대(10)의 제 2 구역(12)에 설치되어 제 2 구역(12)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2 감지센서(4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 시스템은 일측 선수가 사용하는 제 1 라켓(20)과 일측 선수와 시합을 수행하는 타측 선수가 사용하는 제 2 라켓(3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라켓(20)에 라켓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1 라켓센서(21)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라켓(30)에 라켓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2 라켓센서(3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탁구대(10)의 네트부(50)는 네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네트센서(51)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감지센서(41), 제 2 감지센서(42), 제 1 라켓센서(21), 제 2 라켓센서(31) 및 네트센서(51)는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들 센서들의 설치위치는 센서의 감도를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탁구대(10)의 일측으로 점수산출단말(100)이 설치된다.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은 단식 경기시 상기 센서(41,42,21,31,51)들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양측 선수의 득점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서 양측 선수의 점수를 표시하고, 표시된 점수 등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부분으로서, 보다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시스템(1)은 점수산출단말(100)의 득점여부 판별방법에 따라서는 제 1 라켓(20)과 제 2 라켓(30)에 구비되는 센서(21,31)들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 은 복식 경기를 위한 본 발명 탁구경기 진행시스템의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복식 경기를 위한 탁구경기 진행시스템(2)은 상술한 단식 경기를 위한 탁구경기 진행시스템(1)과 비교하여 탁구대(10)의 제 1 구역(11)과 제 2 구역(12)을 각각 평면 방향에서 좌우로 구획한 제 1 구역우측부(11a)와 제 1 구역좌측부(11b) 및 제 2 구역우측부(12a)와 제 2 구역좌측부(12b)에 각각 해당 구역의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들을 더 구비한다. 이는 탁구 경기의 복식경기 규칙상의 서브시의 득점 여부를 판별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탁구의 복식경기는 2인조로 1팀을 이루어 일측팀과 타측팀이 번갈아서 1회씩 타구를 하되 해당 팀의 각 선수가 상호 번갈아가면서 타구를 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규칙에 따라서 경기가 수행되는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각 팀의 각 선수들의 라켓에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를 각각 부착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복식 경기를 위한 탁구경기 진행시스템(2)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복식 경기를 위한 진행시스템(2)은 탁구대(10)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된 네트(net)부(50)를 중심으로 동일한 면적으로 구획된 제 1 구역(11)과 제 2 구역(12)을 가진 탁구대(10)에 설치되는 시스템이다.
상기 제 1 구역(11)은 평면 방향에서 중앙선(13)을 기준으로 좌우로 구획되는 제 1 구역우측부(11a)와 제 1 구역좌측부(11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구역(12)은 평면 방향에서 중앙선(13)을 기준으로 좌우로 구획되는 제 2 구역우측부(12a)와 제 2 구역좌측부(12b)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 탁구경기 진행시스템(2)은 상기 제 1 구역우측부(11a)에 설치되어 제 1 구역우측부(11a)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1 감지센서(41)와, 상기 제 1 구역좌측부(11b)에 설치되어 제 1 구역좌측부(11b)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3 감지센서(43)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 탁구경기 진행시스템(2)은 상기 제 2 구역우측부(12a)에 설치되어 제 2 구역우측부(12a)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2 감지센서(42)와, 상기 제 2 구역좌측부(12b)에 설치되어 제 2 구역좌측부(12b)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4 감지센서(44)를 포함한다.
이때, 복식경기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탁구대(10)의 제 1 구역(11)의 좌우측부(11a,11b)와 제 2 구역(12)의 좌우측부(12a,12b)중 어느 영역에 탁구공이 접촉되었는지를 구별하여 서비스의 성공 여부를 판별하여야 하므로, 상기 제 1 감지센서(41)와 제 3 감지센서(43)의 상기 중앙선(13)으로부터의 거리 및 제 2 감지센서(42)와 제 4 감지센서(44)의 상기 중앙선(13)으로부터의 거리는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 시스템은 탁구 경기의 복식 경기 규칙에 따라서 2인으로 이루어진 일측팀의 선수들이 이용하는 제 1 라켓(20)과 제 3 라켓(60)을 포함하고, 또 다른 2인으로 이루어진 타측팀의 선수들이 이용하는 제 2 라켓(30)과 제 4 라켓(7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일측팀의 선수들이 이용하는 상기 제 1 라켓(20)은 라켓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1 라켓센서(21)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라켓(60)은 라켓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3 라켓센서(61)를 구비한다.
또한, 타측팀의 선수들이 이용하는 상기 제 2 라켓(30)은 라켓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2 라켓센서(31)를 구비하고, 상기 4 라켓(70)은 라켓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4 라켓센서(71)를 구비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탁구대(10)의 네트부(50)에는 네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네트센서(51)를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감지센서(41), 제 2 감지센서(42), 제 3 감지센서(43), 제 4 감지센서(44)와 제 1 라켓센서(21), 제 2 라켓센서(31), 제 3 라켓센서(61), 제 4 라켓센서(71) 및 네트센서(51)는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가 설치가능하며, 이들 센서들의 설치위치는 센서 감도를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탁구대(10)의 일측으로 점수산출단말(100)이 설치된다.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은 복식 경기시 상기 센서(41,42,43,44,21,31,61,71,51)들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양측 선수의 득점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서 양측 선수의 점수를 표시하는 부분으로서, 보다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감지센서(41,42,43,44)나 라켓센서(21,31,61,71) 및 네트센서(51)는 충격감지센서로서 널리 이용되는 가속도센서(accelerometer) 또는 음향 감지용 MEMS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압력 감지용 압력센서(pressure sensor)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비교적 저가이면서 내구성도 양호한 가속도센서(accelerometer)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도 3 은 전술한 본 발명의 탁구경기 진행시스템의 라켓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1 라켓(20)만을 도시한 것이며, 상술한 제 2 라켓(30), 제 3 라켓(60), 제 4 라켓(70)도 도시된 제 1 라켓(2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라켓(20)은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되는 손잡이(25)와 손잡이(25)에 부착되어 탁구공이 타구되는 플레이트(plate)(24)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 실시예의 라켓은 탁구공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플레이트(24) 부분보다는 손잡이(25) 부분에 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4)와 대향하는 손잡이(25)의 말단에 소정 깊이의 공간부(26)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26)에 상기 라켓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1 라켓센서(21)와 상기 제 1 라켓센서(21)가 생성하는 충격감지신호를 점수산출단말(100)에 무선으로 전달하는 송신기(22)를 장착한 후, 커버(23)를 이용하여 손잡이(25)의 공간부(26)를 차폐한다. 상기 커버(23)는 접착제 또는 스크류 나사(미도시)를 이용하여 손잡이 말단 부분에 결착시킬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 탁구경기 진행시스템의 점수산출단말(100)의 블럭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점수산출단말(100)은 탁구대(10)에 설치된 각 센서들의 충격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탁구 경기를 수행하는 각 선수들의 득점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서 각 선수들의 점수를 산출하여 표시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서브권 변경과 같은 경기 진행상황을 음성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점수산출단말(10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하기와 같이 전용 하드웨어장치로 제작된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 각 구성부분의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이 인스톨되어 실행 가능한 스마트폰(smart phone)이나 태블릿(tablet) PC 와 같은 범용 스마트기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범용 스마트 기기의 중앙처리장치, 전원공급부, 메모리, 통신 I/F, 사용자 I/F 등 하드웨어 구성 및 이를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하기 각 제어부(110), 센서입력부(120), 표시부(130), 음성출력부(140), 통신부(150), 전원부(160)), 및 저장부(17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술한 단식 경기를 위한 시스템의 각 센서들(41,42,21,31,51)들 또는 복식 경기를 위한 시스템의 각 센서들(41,42,43,44,21,31,61,71,51)들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감지신호를 수신받아 각 선수들의 득점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서 각 선수가 득점한 점수를 산출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10)는 통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MCU)과 그 주변부 회로가 실장된 마이컴(MICOM) 보드(board)의 형태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 시스템의 점수산출단말(100)은 센서들이 생성하는 충격감지신호를 통합적으로 수집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하는 센서입력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입력부(120)는 단식 또는 복식 경기를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이용되는 상기 센서들(41,42,43,44,21,31,61,71,51)이 생성하는 충격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신호처리를 위하여 충격감지신호의 전류나 전압을 증폭하거나 아날로그-디지털변환(AD converter)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입력부(120)와 상기 센서들(41,42,43,44,21,31,61,71,51) 사이의 충격감지신호의 전달은 공지된 유선 통신방식 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통신방식은 탁구대(10) 주변을 복잡하지 않게 하도록 유선 통신방식보다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무선 통신방식으로서는 무선인터넷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RFID 방식이 채용 가능하다. 특히, RFID 방식이 채용되는 경우 라켓에는 통신 수단을 수동(Passive) 방식의 RFID 칩으로 구성하여 라켓의 소모전력을 줄임으로써, 배터리등이 필요하지 않거나, 그 교환주기를 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점수산출단말(100)은 상기 제어부(110)가 산출한 각 선수들의 점수를 표시하는 표시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30)는 각 선수들의 득점 표시 이외에도 서브를 수행하는 서버(server)의 표시, 각 선수별 누적 점수 변동상황, 각 선수의 구분용 원문자나 네모문자 또는 색상을 병기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점수산출단말(100)은 상기 제어부(110)가 산출한 각 선수들의 점수, 경기의 시작과 종료 안내, 서브권의 변경 안내, 각 선수들의 득점 여부 등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점수산출단말(100)의 제어부(110)는 각 선수들의 점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진행중인 탁구 경기의 현재 각 선수별 점수 정보, 각 세트별 상황 정보나 해당 선수의 과거 게임 기록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10)와 연동된 저장부(170)에 저장하여 통상의 데이터베이스 관리기법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수산출단말(100)은 통신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150)를 통하여 상기 저장부(170)에 저장된 탁구 경기의 현재 각 선수별 점수 정보, 각 세트별 상황 정보나 해당 선수의 과거 게임 기록 정보 등을 공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외부의 통신망(N)으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N)에 접속된 통신기기(200)에서 전송된 현재 각 선수별 점수 정보, 각 세트별 상황 정보나 해당 선수의 과거 게임 기록 정보 등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를 통한 타 기기 또는 시스템과의 경기 상황과 기록에 대한 공유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통신부(150)와 통신망(N)과의 통신방식은 바람직하게는 유선 또는 무선의 인터넷 방식이거나 블루투스 방식, RFID 방식 등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 채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탁구경기 진행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탁구 경기의 점수를 통신망(N)에 접속된 통신기기(200)를 통하여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은 물론, 해당 선수의 과거 게임 기록 정보도 조회 가능하며, 타 기기 및 시스템과의 경기 상황과 기록에 대한 공유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통신기기(200)는 본 발명의 탁구경기 진행시스템이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조회하고 열람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이 인스톨되어 실행 가능한 스마트폰(smart phone)이나 태블릿(tablet) PC 와 같은 스마트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미설명부호 160 은 본 발명의 점수산출단말(100)의 구동 전력을 인가하는 전원부(160)이며, 상기 점수표시단말(100)의 조작을 위한 버튼, 터치스크린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가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탁구경기의 진행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5 는 단식 경기시의 순서도, 도 6 은 복식 경기시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탁구경기의 진행시스템의 제어는 전술한 본 발명 시스템의 탁구대(10)와 라켓(20,30,60,70), 네트부(50) 및 각 센서들(21,31,41,42,43,44,51,61,71) 및 점수산출단말(100)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서, 도 5 를 참조하여 단식 경기시의 제어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각 센서들과 점수산출단말(100)이 초기화되고(S 100), 초기화와 동시에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은 제 1 라켓센서(21)와 제 2 라켓센서(31)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선수들이 센서(21,31)가 구비된 라켓으로 경기를 수행하는지 판단한다(S 101).
상기의 판단 결과, 선수들이 가지고 있는 라켓이 센서(21,31)가 구비된 라켓일 경우와 센서(21,31)가 결여된 라켓으로 경기를 수행하는 경우로 나뉘어 제어가 수행된다.
즉, 센서(21,31)가 구비된 라켓으로 경기를 수행하는 경우, 일측 선수의 선공 서비스로 경기가 시작되면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은 네트부(50)의 네트 감지센서(51)로부터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 102).
네트 감지센서(51)로부터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서비스하던 탁구공이 네트부(50)에 걸린 것이므로 점수산출단말(100)은 다시 일측 선수의 서비스가 시작되기를 대기하면서 네트부(50)를 계속 감시한다.
그러나, 네트 감지센서(51)로부터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서비스하던 탁구공이 네트부(50)에 걸리지 않고 정상적으로 타측 선수에게 넘어간 것이므로, 다음으로 양 선수의 라켓(20,30)의 각 센서(21,31)들과 탁구대(10)의 제 1 구역(11)의 제 1 감지센서(41)와 제 2 구역(12)의 제 2 감지센서(42)들이 생성하는 충격감지신호의 입력패턴이 점수산출단말(100)의 저장부(170)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인 순서로 탁구 경기의 랠리(rally)가 진행되는지 판단한다(S 103).
즉, 일측 선수의 제 1 라켓(20)의 센서(21)에 의한 충격 감지신호를 A 라 하고, 타측 선수의 제 2 라켓(30)의 센서(31)에 의한 충격 감지신호를 B 라 하고, 일측 선수가 위치하는 제 1 구역(11)의 제 1 감지센서(41)에 의한 충격 감지신호를 C 라하고, 타측 선수가 위치하는 제 2 구역(12)의 제 2 감지센서(42)에 의한 충격감지신호를 D 라고 한다면, 일측 선수에 의하여 선공시 서비스가 이루어질 경우 충격 감지신호가 A->C->D->B->C->A->D->B->C->A->D->B->C 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점수산출단말(100)로 입력될 것이며, 이러한 입력순서가 저장부(170)에 기설정된 충격감지신호의 입력패턴을 만족한다면 점수산출단말(100)은 현재 양 선수가 정상적으로 탁구공을 주고 받는 랠리(rally)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계속적으로 탁구 랠리가 진행되는지 모니터링하게 된다.
그러다가, 상기의 정상적인 랠리 상황으로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즉, 기설정된 패턴으로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일측 선수 또는 타측 선수가 득점을 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선수의 점수를 산출하여 표시부(130)를 통하여 표시한다(S 104).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충격 감지신호가 A->C->D->B->C->A->D->B->C->A->D->B->C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들어오다가 중간에 타측 선수의 제 2 라켓(30)에 의한 충격감지신호인 B 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이는 타측 선수의 제 2 라켓(30)에 탁구공이 접촉되지 않아 충격 감지신호가 생성되지 않는 것이고, 이는 타측 선수가 일측 선수가 타구한 탁구공을 받아치지 못한 것이므로 점수산출단말(100)은 이러한 상황을 일측 선수가 득점을 한 것으로 판단하여 일측 선수의 점수를 1 점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이 증가시킨 일측 선수 또는 타측 선수의 점수가 해당 세트의 종료 스코어를 만족시키는 점수(예를 들어 11 점)이면(S 105), 해당 세트가 종료되었음을 표시부(130)나 음성출력부(140) 또는 이들 모두(130,140)를 통하여 알려준다(S 106).
상기 S 105 단계에서 해당 세트가 종료 스코어를 만족시키는 점수가 아니라면,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은 일측 선수의 점수와 타측 선수의 점수가 탁구 규정에 따른 해당 점수의 차이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S 107), 해당 점수의 차이가 발생하였다면(예를 들어 2 점차) 탁구 규정에 따라 점수산출단말(100)의 표시부(130)나 음성출력부(140)를 통하여 서비스 순서를 변경해야 함을 각 선수들에게 알려준 후(S 108), 상기 S 102 단계로 리턴하여 다음 랠리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S 10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선수들이 가지고 있는 라켓이 센서(21,31)가 구비되지 않은 라켓의 경우 하기와 같은 제어가 수행된다.
즉, 일측 선수의 선공 서비스로 경기가 시작되면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은 네트부(50)의 네트 감지센서(51)로부터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고(S 109), 네트 감지센서(51)로부터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상기 S 102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점수산출단말(100)은 다시 일측 선수의 서비스가 시작되기를 대기하면서 네트부(50)를 계속 감시하고, 네트 감지센서(51)로부터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탁구대(10)의 제 1 구역(11)의 제 1 감지센서(41)와 제 2 구역(12)의 제 2 감지센서(42)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감지신호가 점수산출단말(100)의 저장부(170)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으로 탁구 랠리(rally)가 진행되는지 판단한다(S 110).
즉, 일측 선수가 위치하는 제 1 구역(11)의 제 1 감지센서(41)에 의한 충격 감지신호를 C 라하고, 타측 선수가 위치하는 제 2 구역(12)의 제 2 감지센서(42)에 의한 충격감지신호를 D 라고 한다면, 일측 선수가 선공으로 서비스를 수행할 경우에는 충격감지신호가 C->D->C->D->C->D->C->D 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점수산출단말(100)로 입력될 것이며, 이러한 입력순서가 저장부(170)에 기설정된 패턴을 만족한다면 점수산출단말(100)은 양 선수가 현재 정상적으로 탁구공을 주고 받는 랠리(rally)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계속적으로 탁구 랠리가 진행되는지 모니터링하게 된다.
그러다가, 상기의 정상적인 랠리 상황으로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즉, 기설정된 패턴으로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일측 선수 또는 타측 선수가 득점을 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선수의 점수를 산출하고 표시부(130)를 통하여 표시한다(S 111).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충격 감지신호가 C->D->C->D->C->D->C->D 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들어오다가 타측 선수의 제 2 구역(12)의 감지신호인 D 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이는 타측 선수의 제 2 구역(12)에 탁구공이 접촉되지 않은 경우이고, 이는 일측 선수가 타구한 탁구공이 타측 선수의 제 2 구역(12)을 벗어난 상황에 해당하므로 점수산출단말(100)은 이러한 상황을 일측 선수가 실점을 한 것으로 판단하여 타측 선수의 점수를 1 점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S 111 단계 이후의 단계는 상술한 S 105 내지 S 108 단계와 동일하게 진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6 을 참조하여 복식 경기시의 본 발명의 탁구경기 진행시스템의 제어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각 센서들과 점수산출단말(100)이 초기화되고(S 200), 초기화와 동시에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은 2인 1조로 이루어진 일측팀의 선수의 선공 서비스로 경기가 시작되면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은 네트부(50)의 네트 감지센서(51)로부터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 201).
네트 감지센서(51)로부터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서비스하던 탁구공이 네트부(50)에 걸린 것이므로 점수산출단말(100)은 다시 일측팀의 서비스가 시작되기를 대기하면서 네트부(50)를 계속 감시한다.
그러나, 네트 감지센서(51)로부터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서비스하던 탁구공이 네트부(50)에 걸리지 않고 정상적으로 타측 선수에게 넘어간 것이므로 이 경우, 복식 경기의 탁구 규칙상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S 202).
즉, 복식 경기 규칙에서 서버에 의한 서비스는 반드시 서버의 대각선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제 1 구역우측부(11a)의 제 1 감지센서(41)와 제 1 구역좌측부(11b)의 제 3 감지센서(43) 및 제 2 구역우측부(12a)의 제 2 감지센서(42)와 제 2 구역좌측부(12b)의 제 4 감지센서(44)로부터 점수산출단말(100)로 입력되는 충격감지신호의 입력 시간차와 각 센서에 전달된 충격량을 통하여 서비스의 타구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구역우측부(11a)의 제 1 감지센서(41)의 충격감지신호를 C1 이라하고, 제 1 구역좌측부(11b)의 제 3 감지센서(43)의 충격감지신호를 C2 라 하면, 충격감지신호의 점수산출단말(100)로의 입력된 순서가 C1->C2 순서라면, 제 1 구역우측부(11a)의 제 1 감지센서(41)에서 먼저 탁구공의 낙하에 따른 충격을 감지한 것으로서, 탁구공이 떨어진 위치는 제 1 구역우측부(11a)가 된다(즉, 공의 낙하 지점은 좌측이 됨).
그리고, 충격감지신호의 점수산출단말(100)로의 입력된 순서가 역으로 C2->C1 순서라면, 제 1 구역좌측부(11b)의 제 3 감지센서(43)에서 먼저 탁구공의 낙하에 따른 충격을 감지한 것으로서, 탁구공이 떨어진 위치는 제 1 구역좌측부(11b)가 되는 것이다.
만일, 상기의 제 1 감지센서(41) 및 제 3 감지센서(43)의 센서감지신호가 동시에 발생되었다면, 탁구공이 제 1 구역우측부(11a)와 제 1 구역좌측부(11b)의 중간 영역으로 낙하한 것으로 보고 이를 탁구 규칙에 따른 점수 득실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은 충격감지신호의 입력 시간차 이외에도 센서에 전달된 충격량을 통하여 서비스의 타구 위치를 판별가능하다.
즉, 제 1 구역우측부(11a)의 제 1 감지센서(41)의 충격감지신호를 C1 이라 하고, 제 1 구역좌측부(11b)의 제 3 감지센서(43)의 충격감지신호를 C2 라 하고, 충격감지신호의 신호 세기가 C1 > C2 라면, 탁구공의 낙하점은 제 1 감지센서(41)가 제 2 감지센서(43)보다 더 가까운 것이된다. 만약 C1 과 C2 의 값이 동일하다면 상기 제 1 구역우측부(11a)와 상기 제 1 구역좌측부(11b)의 중간 지점에 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각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충격감지신호와 충격량 정보를 함께 반영함으로써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양팀 선수들의 라켓(20,30,60,70)의 각 센서(21,31,61,71)들과 탁구대(10)의 제 1 감지센서(41), 제 2 감지센서(42), 제 3 감지센서(43) 및 제 4 감지센서(44)들이 생성하는 충격감지신호의 입력패턴이 점수산출단말(100)의 저장부(170)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인 순서로 탁구 경기의 랠리(rally)가 진행되는지 판단한다(S 203).
즉, 일측팀의 일측 선수의 제 1 라켓(20)의 센서(21)에 의한 충격 감지신호를 A 라 하고, 일측팀의 타측 선수의 제 3 라켓(60)의 센서(61)에 의한 충격 감지신호를 B 라 하고, 타측팀의 일측 선수의 제 2 라켓(30)의 센서(31)에 의한 충격 감지신호를 C 라 하고, 타측팀의 타측 선수의 제 4 라켓(70)의 센서(71)에 의한 충격 감지신호를 D 라 하고, 제 1 구역(11)의 제 1 감지센서(41)의 충격 감지신호를 E 라 하고, 제 1 구역(11)의 제 3 감지센서(43)의 충격 감지신호를 F 라 하고, 제 2 구역(12)의 제 2 감지센서(42)의 충격 감지신호를 G 라 하고, 제 2 구역(12)의 제 4 감지센서(44)의 충격 감지신호를 H 라 하면, 일측팀의 일측 선수에 의하여 선공시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양측 팀의 랠리에 의한 충격 감지신호는 (A 타구)->(G or H)->(C 타구)->(E or F)->(B 타구)->(G or H)->(D 타구)->(E or F)->(A 타구)->(G or H)->(C 타구)->(E or F)->(B 타구)->(G or H)->(D 타구)->(E or F)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점수산출단말(100)로 입력될 것이며(일측팀의 일측 선수와 타측 팀의 일측 선수가 선수로 타구하는 경우), 이러한 입력순서가 저장부(170)에 기설정된 충격감지신호의 입력패턴을 만족한다면 점수산출단말(100)은 현재 양 선수가 정상적으로 탁구공을 주고 받는 랠리(rally)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계속적으로 탁구 랠리가 진행되는지 모니터링하게 된다.
그러다가, 상기의 정상적인 랠리 상황으로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즉, 기설정된 패턴으로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일측팀 또는 타측팀이 득점을 한 것으로 판단하는 방식으로 해당 팀의 점수를 산출하여 표시부(130)를 통하여 표시한다(S 204).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입력되는 충격 감지신호중 중간에 일측 팀의 선수들의 제 1 라켓(20) 또는 제 3 라켓(30)의 충격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이는 일측 팀의 제 1 라켓(20) 또는 제 3 라켓(30)에 탁구공이 접촉되지 않아 충격 감지신호가 생성되지 않는 것이고, 이는 타측 선수들이 타구한 탁구공을 일측 선수들이 받아치지 못한 것이므로 점수산출단말(100)은 이러한 상황을 타측 선수가 득점을 한 것으로 판단하여 타측 선수의 점수를 1 점 증가시는 방식으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이 증가시킨 일측팀 또는 타측팀의 점수가 해당 세트의 종료 스코어를 만족시키는 점수(예를 들어 11 점)이면(S 205), 해당 세트가 종료되었음을 표시부(130)나 음성출력부(140) 또는 이들 모두(130,140)를 통하여 알려준다(S 206).
상기 S 205 단계에서 해당 세트가 종료 스코어를 만족시키는 점수가 아니라면,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은 일측 선수의 점수와 타측 선수의 점수가 탁구 규정에 따른 해당 점수의 차이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S 207), 해당 점수의 차이가 발생하였다면(예를 들어 2 점차) 탁구 규정에 따라 점수산출단말(100)의 표시부(130)나 음성출력부(140)를 통하여 서비스 순서를 변경해야 함을 각 선수들에게 알려준 후(S 208), 상기 S 201 단계로 리턴하여 다음 랠리를 판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점수산출단말(100)은 탁구 경기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비하여 하기와 같은 판단 방법을 수행하며, 이는 해당 상황 발생시 즉시 적용된다.
1) 탁구공의 충격과 기타의 다른 물건에 의한 충격(예를 들어 손으로 탁구대를 건드리는 충격)을 구별하기 위하여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은 입력된 충격감지신호의 충격주파수를 분석하는 필터(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탁구공의 의한 충격과 기타의 다른 물건에 의한 충격을 구분한다. 사전 설정된 충격이 아닌 것으로 구분되는 경우 충격이 입력되더라도 이를 구분하여 점수 산출에는 반영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2) 경기중에 탁구라켓과 탁구대의 충격이 동시에 발생하면 탁구라켓이 탁구대에 부딪히는 충격으로 인식한다.
3) 선수가 서브를 넣을 때 라켓에 공이 맞지 않고 탁구대에 먼저 맞으면 선수가 서브 준비 단계에서 탁구대에 공을 튀기는 행동으로 판단한다.
4) 선수가 서브를 넣을 때 라켓에 탁구공이 맞고 탁구대에 충격이 없이 다시 라켓에 맞으면 서브 준비단계에서 공을 마루바닥에 튀기는 행동으로 인식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탁구 경기 점수표시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2;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10; 탁구대
11; 제 1 구역
11a; 제 1 구역 우측부
11b; 제 2 구역 좌측부
12; 제 2 구역
12a; 제 2 구역 우측부
12b; 제 2 구역 좌측부
20; 제 1 라켓
21; 제 1 라켓센서
30; 제 2 라켓
31; 제 2 라켓센서
41; 제 1 감지센서
42; 제 2 감지센서
43; 제 3 감지센서
44; 제 4 감지센서
50; 네트부
51; 네트 감지센서
60; 제 3 라켓
61; 제 3 라켓센서
70; 제 4 라켓
71; 제 4 라켓센서
100; 점수산출단말
110; 제어부
120; 센서입력부
130; 표시부
140; 음성출력부
150; 통신부
160; 전원부
170; 저장부
200; 통신기기
N; 통신망

Claims (14)

  1. 네트부(50)를 중심으로 구획된 제 1 구역(11)과 제 2 구역(12)을 가진 탁구대(10)에 설치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역(11)에 설치되어 제 1 구역(11)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1 감지센서(41);
    상기 탁구대(10)의 제 2 구역(12)에 설치되어 제 2 구역(12)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2 감지센서(42);
    상기 네트부(5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네트센서(51);
    상기 탁구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들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양측 선수의 득점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서 양측 선수의 점수를 표시하는 점수산출단말(100);
    일측 선수가 사용하는 제 1 라켓(2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1 라켓센서(21);
    타측 선수가 사용하는 제 2 라켓(3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2 라켓센서(31);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2. 삭제
  3. 네트부(50)를 중심으로 구획된 제 1 구역(11)과 제 2 구역(1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구역(11)을 중앙선(13)을 중심으로 구획한 제 1 구역우측부(11a)와 제 1 구역좌측부(11b) 및 상기 제 2 구역(12)을 중앙선(13)을 중심으로 구획한 제 2 구역우측부(12a)와 제 2 구역좌측부(12b)를 가진 탁구대(10)에 설치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역우측부(11a)에 설치되어 제 1 구역우측부(11a)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1 감지센서(41);
    상기 제 2 구역우측부(12a)에 설치되어 제 2 구역우측부(12a)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2 감지센서(42);
    상기 제 1 구역좌측부(11b)에 설치되어 제 1 구역좌측부(11b)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3 감지센서(43);
    상기 제 2 구역좌측부(12b)에 설치되어 제 2 구역좌측부(12b)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4 감지센서(44);
    일측팀의 제 1 라켓(2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1 라켓센서(21)와 제 3 라켓(6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3 라켓센서(61);
    타측팀의 제 2 라켓(3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3 라켓센서(31)와 제 4 라켓(7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제 4 라켓센서(71);
    네트부(5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네트센서(51);
    상기 탁구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들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양측 선수의 득점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서 양측 선수의 점수를 표시하는 점수산출단말(1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센서(41)과 제 3 감지센서(43)의 중앙선(13)으로부터의 거리 및 제 2 감지센서(42)와 제 4 감지센서(44)와의 중앙선(13)으로부터 거리는 동일한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5.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켓(20,30,60,70)은 손잡이의 말단에 소정 깊이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라켓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라켓센서와 상기 라켓센서가 생성하는 충격감지신호를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에 무선으로 전달하는 송신기(22)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6.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은,
    센서들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감지신호를 수신받아 각 선수들의 득점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서 각 선수가 득점한 점수를 산출하는 제어부(110);
    상기 센서들이 생성하는 충격감지신호를 통합적으로 수집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하는 센서입력부(120);
    상기 제어부(110)가 산출한 각 선수들의 점수를 표시하는 표시부(130);
    상기 제어부(110)에 의하여 처리되는 탁구 경기의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70);
    상기 저장부(170)에 저장된 탁구 경기의 관련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외부의 통신망(N)으로 전송하여 통신망(N)에 접속된 통신기기(200)를 통하여 탁구 경기의 관련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1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은,
    상기 제어부(110)에 의하여 생성되는 탁구 관련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4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8. 탁구대(10)와 제 1 라켓(20), 제 2 라켓(30), 네트부(50)와 네트 감지센서(51), 제 1 라켓센서(21), 제 2 라켓센서(31), 상기 네트부(50)를 중심으로 구획된 제 1 구역(11)과 제 2 구역(12)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구역의 충격을 감지하는 제 1 감지센서(41) 와 제 2 감지센서(42) 및 점수산출단말(100)에 의하여 수행되는 단식 경기를 위한 탁구경기의 점수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과 점수산출단말(100)이 초기화되고(S 100),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은 제 1 라켓센서(21)와 제 2 라켓센서(31)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 101);
    상기 센서(21,31)가 구비된 라켓으로 경기를 수행하는 경우, 경기가 시작되면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은 네트부(50)의 네트 감지센서(51)로부터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 102);
    네트 감지센서(51)로부터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된 경우 네트부(50)를 계속 감시하고, 네트 감지센서(51)로부터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양 선수의 라켓(20,30)의 각 센서(21,31)들과 탁구대(10)의 제 1 구역(11)의 제 1 감지센서(41)와 제 2 구역(12)의 제 2 감지센서(42)들이 생성하는 충격감지신호의 입력패턴이 점수산출단말(100)의 저장부(170)에 기설정된 정상적인 패턴으로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 103);
    상기의 정상적인 패턴으로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일측 선수 또는 타측 선수가 득점을 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선수의 점수를 산출하여 표시부(130)를 통하여 표시하는 단계(S 104);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이 증가시킨 일측 선수 또는 타측 선수의 점수가 해당 세트의 종료 스코어를 만족시키는 점수이면(S 105),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이 해당 세트가 종료되었음을 표시부(130)나 음성출력부(140)를 통하여 알려주는 단계(S 10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경기 점수표시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S 105 단계에서 해당 세트가 종료 스코어를 만족시키는 점수가 아니라면,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은 일측 선수의 점수와 타측 선수의 점수가 탁구 규정에 따른 해당 점수의 차이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S 107), 해당 점수의 차이가 발생하였다면 탁구 규정에 따라 점수산출단말(100)의 표시부(130)나 음성출력부(140)를 통하여 서비스 순서를 변경해야 함을 각 선수들에게 알려주는 단계(S 108);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경기 점수표시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S 10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선수들이 가지고 있는 라켓이 센서(21,31)가 구비되지 않은 라켓의 경우,
    경기가 시작되면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은 네트부(50)의 네트 감지센서(51)로부터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고(S 109), 네트 감지센서(51)로부터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었다면 네트부(50)를 계속 감시하고,
    네트 감지센서(51)로부터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탁구대(10)의 제 1 구역(11)의 제 1 감지센서(41)와 제 2 구역(12)의 제 2 감지센서(42)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감지신호가 점수산출단말(100)의 저장부(170)에 기설정된 정상적인 패턴으로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 110);
    기설정된 패턴으로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일측 선수 또는 타측 선수가 득점을 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선수의 점수를 산출하고 표시부(130)를 통하여 표시하는 단계(S 11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경기 점수표시방법.
  11. 탁구대(10)와 제 1 라켓(20), 제 2 라켓(30), 제 3 라켓(60), 제 4 라켓(70), 네트부(50)와 네트 감지센서(51), 제 1 라켓센서(21), 제 2 라켓센서(31), 제 3 라켓센서(61), 제 4 라켓센서(71), 상기 네트부(50)를 중심으로 구획된 제 1 구역(11)과 제 2 구역(12)에 각각 설치되되 해당 구역의 중심선(13)을 중심으로 구획된 각 영역에 설치되는 제 1 감지센서(41), 제 2 감지센서(42), 제 3 감지센서(43), 제 4 감지센서(44) 및 점수산출단말(100)에 의하여 수행되는 복식 경기를 위한 탁구경기의 점수표시방법에 있어서,
    센서들과 점수산출단말(100)이 초기화되고(S 200), 경기가 시작되면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은 네트부(50)의 네트 감지센서(51)로부터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 201);
    네트 감지센서(51)로부터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었다면 네트부(50)를 계속 감시하고, 네트 감지센서(51)로부터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복식 경기의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 202);
    양팀 선수들의 라켓(20,30,60,70)의 각 센서(21,31,61,71)들과 탁구대(10)의 제 1 감지센서(41), 제 2 감지센서(42), 제 3 감지센서(43) 및 제 4 감지센서(44)들이 생성하는 충격감지신호의 입력패턴이 점수산출단말(100)의 저장부(170)에 기설정된 정상적인 패턴으로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 203);
    기설정된 패턴으로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일측팀 또는 타측팀이 득점을 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팀의 점수를 산출하여 표시부(130)를 통하여 표시하는 단계(S 204);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이 증가시킨 일측팀 또는 타측팀의 점수가 해당 세트의 종료 스코어를 만족시키는 점수이면(S 205), 해당 세트가 종료되었음을 표시부(130)나 음성출력부(140)를 통하여 알려주는 단계(S 20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경기 점수표시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해당 세트가 종료 스코어를 만족시키는 점수가 아니라면, 상기 점수산출단말(100)은 일측 선수의 점수와 타측 선수의 점수가 탁구 규정에 따른 해당 점수의 차이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S 207), 해당 점수의 차이가 발생하였다면 점수산출단말(100)의 표시부(130)나 음성출력부(140)를 통하여 서비스 순서를 변경해야 함을 각 선수들에게 알려주는 단계(S 208);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경기 점수표시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식 경기의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 202)는,
    상기 제 1 감지센서(41)와 상기 제 3 감지센서(43) 및 상기 제 2 감지센서(42)와 상기 제 4 감지센서(44)로부터 점수산출단말(100)로 입력되는 충격감지신호의 입력된 시간이 더 빠른 감지센서 측의 구역으로 탁구공이 낙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경기 점수표시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식 경기의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 202)는,
    상기 제 1 감지센서(41)와 상기 제 3 감지센서(43) 및 상기 제 2 감지센서(42)와 상기 제 4 감지센서(44)로부터 점수산출단말(100)로 입력되는 충격감지신호의 신호 세기가 더 큰 감지센서 측의 구역으로 탁구공이 낙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경기 점수표시방법.
KR1020140162777A 2014-11-20 2014-11-20 다중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탁구 경기 점수표시방법 KR101579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777A KR101579755B1 (ko) 2014-11-20 2014-11-20 다중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탁구 경기 점수표시방법
CN201580063173.0A CN106999752B (zh) 2014-11-20 2015-11-18 乒乓球比赛执行系统以及乒乓球比赛分数显示方法
PCT/KR2015/012409 WO2016080757A1 (ko) 2014-11-20 2015-11-18 다중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탁구 경기 점수표시방법
JP2017545839A JP6527238B2 (ja) 2014-11-20 2015-11-18 複数の衝撃感知センサーを含む卓球競技進行システムとこれを用いた卓球競技スコア表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777A KR101579755B1 (ko) 2014-11-20 2014-11-20 다중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탁구 경기 점수표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755B1 true KR101579755B1 (ko) 2015-12-24

Family

ID=55084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777A KR101579755B1 (ko) 2014-11-20 2014-11-20 다중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탁구 경기 점수표시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27238B2 (ko)
KR (1) KR101579755B1 (ko)
CN (1) CN106999752B (ko)
WO (1) WO2016080757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889A (ko) 2017-01-24 2018-08-01 왕한호 자동으로 점수를 세주는 탁구대
CN108568072A (zh) * 2017-12-12 2018-09-25 湖南现代科文体育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小型球类训练系统
KR101945935B1 (ko) * 2017-06-21 2019-02-11 김상경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KR101961772B1 (ko) * 2017-11-28 2019-03-2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탁구 스코어 장치
KR102014651B1 (ko) * 2018-07-26 2019-08-26 김상경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KR102053903B1 (ko) * 2018-11-27 2019-12-09 아미르 카만디 탁구 트레이닝 장치
KR20200113430A (ko) * 2019-03-25 2020-10-0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장치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탁구 점수 자동 카운팅 방법 및 시스템
KR102246517B1 (ko) * 2021-03-04 2021-04-29 강윤기 터치네트 감지장치를 구비한 네트
KR20210114155A (ko) 2020-03-10 2021-09-23 김호동 딥 러닝을 활용한 스마트 점수 표시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20210117385A (ko) 2020-03-18 2021-09-29 김호동 인공지능을 활용한 탁구 목표 훈련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20220108349A (ko) * 2021-01-27 2022-08-03 박기범 양손을 교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라켓 스포츠 장비
KR20240011318A (ko) 2022-07-19 2024-01-26 주식회사 여우전자 경기 운영 장치 및 방법
KR20240011319A (ko) 2022-07-19 2024-01-26 주식회사 여우전자 경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23870A (zh) * 2017-11-03 2018-03-23 杭州乾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乒乓球触碰的发球得分识别系统及方法
CN107899225B (zh) * 2017-11-03 2020-06-30 杭州乾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运动轨迹的乒乓球发球得分识别方法
CN107694061A (zh) * 2017-11-03 2018-02-16 杭州乾博科技有限公司 球拍撞击乒乓球后判断是否发球及球走向系统及方法
CN107670253A (zh) * 2017-11-03 2018-02-09 杭州乾博科技有限公司 乒乓球撞桌后判断是否合法来球及球走向系统及方法
CN107875620B (zh) * 2017-11-03 2020-08-04 杭州乾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运动轨迹的乒乓球接球失分识别方法
CN107823864B (zh) * 2017-11-03 2021-03-05 杭州乾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运动轨迹的乒乓球对局发球识别系统及方法
CN107694074A (zh) * 2017-11-03 2018-02-16 杭州乾博科技有限公司 一种乒乓球网装置及识别乒乓球经过球网时位置的方法
CN107694073A (zh) * 2017-11-03 2018-02-16 杭州乾博科技有限公司 球拍撞击乒乓球后判断是否合法接球及球走向系统及方法
CN107823871A (zh) * 2017-11-03 2018-03-23 杭州乾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乒乓球触碰的接球失分识别系统及方法
CN107694058A (zh) * 2017-11-03 2018-02-16 杭州乾博科技有限公司 乒乓球过网后判断是否首次过网及球走向系统及方法
CN107670250A (zh) * 2017-11-03 2018-02-09 杭州乾博科技有限公司 乒乓球撞桌后判断是否有效发球及球走向系统及方法
CN107875601A (zh) * 2017-11-03 2018-04-06 杭州乾博科技有限公司 乒乓球撞网后判断是否首次撞网及球走向系统及方法
RU2746335C1 (ru) * 2020-09-17 2021-04-12 Александр Петрович Гольцов Тренажер для оценки эффективности тренировочного процесса в настольном теннисе
CN114949825A (zh) * 2020-10-19 2022-08-30 上海名图软件有限公司 羽毛球比赛自动记分系统及其计分方法
DE102022112520A1 (de) 2022-05-18 2023-11-23 janova GmbH Intelligenter Tischtennisschläg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192A (ja) * 1992-07-06 1994-03-08 Jr Joseph E Newgarden 自動卓球競技装置
JP2001037937A (ja) * 1999-08-03 2001-02-13 Namco Ltd 卓球遊戯装置
JP2002095782A (ja) * 2000-09-25 2002-04-02 Hama Bowl:Kk 卓球競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1260B2 (ja) * 1997-09-17 2000-05-15 コナミ株式会社 卓球装置
US7369038B1 (en) * 2005-10-28 2008-05-06 Thompson James F Automated detection system for sports fields and the like
US20100090811A1 (en) * 2008-10-10 2010-04-15 Ahem Frank W Pong scores
CN201782279U (zh) * 2010-08-28 2011-04-06 蔡诗伟 乒乓高手训练桌
CN103041569A (zh) * 2012-12-20 2013-04-17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基于无线电子记分牌的乒乓球比赛记分系统和方法
CN103599630B (zh) * 2013-12-13 2016-09-21 张中举 智能乒乓球拍
CN103785160A (zh) * 2014-01-28 2014-05-14 吴光勤 乒乓球触台感应器、乒乓球比赛裁判系统
CN203750154U (zh) * 2014-01-28 2014-08-06 吴光勤 乒乓球触台感应器、乒乓球比赛裁判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192A (ja) * 1992-07-06 1994-03-08 Jr Joseph E Newgarden 自動卓球競技装置
JP2001037937A (ja) * 1999-08-03 2001-02-13 Namco Ltd 卓球遊戯装置
JP2002095782A (ja) * 2000-09-25 2002-04-02 Hama Bowl:Kk 卓球競技装置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889A (ko) 2017-01-24 2018-08-01 왕한호 자동으로 점수를 세주는 탁구대
KR101945935B1 (ko) * 2017-06-21 2019-02-11 김상경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KR101961772B1 (ko) * 2017-11-28 2019-03-2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탁구 스코어 장치
CN108568072A (zh) * 2017-12-12 2018-09-25 湖南现代科文体育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小型球类训练系统
KR102014651B1 (ko) * 2018-07-26 2019-08-26 김상경 탁구 서비스 연습 장치
KR102053903B1 (ko) * 2018-11-27 2019-12-09 아미르 카만디 탁구 트레이닝 장치
KR20200113430A (ko) * 2019-03-25 2020-10-0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장치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탁구 점수 자동 카운팅 방법 및 시스템
KR102182173B1 (ko) * 2019-03-25 2020-11-2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장치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탁구 점수 자동 카운팅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14155A (ko) 2020-03-10 2021-09-23 김호동 딥 러닝을 활용한 스마트 점수 표시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20210117385A (ko) 2020-03-18 2021-09-29 김호동 인공지능을 활용한 탁구 목표 훈련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20220108349A (ko) * 2021-01-27 2022-08-03 박기범 양손을 교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라켓 스포츠 장비
KR102478036B1 (ko) * 2021-01-27 2022-12-14 박기범 양손을 교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라켓 스포츠 장비
KR102246517B1 (ko) * 2021-03-04 2021-04-29 강윤기 터치네트 감지장치를 구비한 네트
KR20240011318A (ko) 2022-07-19 2024-01-26 주식회사 여우전자 경기 운영 장치 및 방법
KR20240011319A (ko) 2022-07-19 2024-01-26 주식회사 여우전자 경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99752A (zh) 2017-08-01
JP6527238B2 (ja) 2019-06-05
WO2016080757A1 (ko) 2016-05-26
CN106999752B (zh) 2019-12-06
JP2017535395A (ja)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755B1 (ko) 다중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탁구경기 진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탁구 경기 점수표시방법
US11862334B2 (en) Flight time
KR101954959B1 (ko) 운동 수행의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들
JP7094031B2 (ja) ゴルフ練習・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234928B2 (ja) スポーツアイテムのユーザ依存の状態を検出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50104772A1 (en) Fitness device configured to provide goal motivation
WO2015027132A1 (en) Energy expenditure device
US20150224380A1 (en)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Device
KR20180104366A (ko) 모바일 골프 진행 관리 시스템
US10313868B2 (en) Athletic data aggregation and display system
KR100972828B1 (ko)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641650B1 (ko) 타점 감지유닛을 가지는 라켓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타점 감지방법
US20180250575A1 (en) Games
CN206652197U (zh) 篮球运动数据采集装置
US201802643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bowling shot performance
JP2017521193A (ja) ラケットスポーツ用ポータブルセルフスコアリング装置
TWI700114B (zh) 網球發球訓練系統及其方法
KR102478036B1 (ko) 양손을 교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라켓 스포츠 장비
KR101127744B1 (ko) 골프 스윙 측정장치
KR200282383Y1 (ko) 골프용 타수계산기
CN115025484A (zh) 一种基于多传感器识别的辅助投篮计分系统
KR20170078391A (ko) 배드민턴 운동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분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