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379B1 - 감속기 동심회전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감속기 동심회전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379B1
KR102014379B1 KR1020170124133A KR20170124133A KR102014379B1 KR 102014379 B1 KR102014379 B1 KR 102014379B1 KR 1020170124133 A KR1020170124133 A KR 1020170124133A KR 20170124133 A KR20170124133 A KR 20170124133A KR 102014379 B1 KR102014379 B1 KR 102014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otating member
cover
linkage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189A (ko
Inventor
김용철
홍응표
김지혜
허윤
남기태
권칠용
장윤희
이석민
류제청
Original Assignee
근로복지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근로복지공단 filed Critical 근로복지공단
Priority to KR1020170124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3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a rack-and-pinion or like gear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6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means of a rack-and-pinion or like gearing mechan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Nurs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 동심회전 유도장치는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는 제1 기어 및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기어 상에서 소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방향으로 왕복 운동되는 동시에 상기 소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되어 편심 운동이 구현되는 제2 기어를 구비하는 기어부; 및 상기 제2 기어와 연동하여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되는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재로 상기 회전 운동을 전달하되, 상기 회전부재로 상기 왕복 운동을 전달하지 않으며, 상기 연동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2 기어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연동부가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된 경우 상기 연동부에 의해 상기 회전 운동이 구현되되 상기 왕복 운동이 구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속기 동심회전 유도장치{Device for leading concentric trammel of reducer}
본 발명은 감속기 동심회전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감속기 동심회전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착석 가능한 한 다양한 의자, 시트 및 침대 등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지면을 기준으로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기어는 기어의 축이 편심되어 있어, 기어가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왕복 운동된다.
이러한 편심기어는 백래쉬가 없으며, 고 감속비를 가지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편심기어는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왕복 운동된다는 점에서 사용자에게 부드럽지 않은 느낌을 주게 된다.
즉, 사용자는 편심기어의 방사 방향의 왕복 운동으로 인해 몸이 흔들리는 불편함을 가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편심기어가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것을 상쇄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안락한 느낌을 줄 수 있는 감속기 동심회전 유도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감속기 동심회전 유도장치은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는 제1 기어 및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기어 상에서 소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방향으로 왕복 운동되는 동시에 상기 소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되어 편심 운동이 구현되는 제2 기어를 구비하는 기어부; 및 상기 제2 기어와 연동하여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되는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재로 상기 회전 운동을 전달하되, 상기 회전부재로 상기 왕복 운동을 전달하지 않으며, 상기 연동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2 기어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연동부가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된 경우 상기 연동부에 의해 상기 회전 운동이 구현되되 상기 왕복 운동이 구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연동부는,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된 경우 상기 회전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왕복 운동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연동부는,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되는 연동몸체부 및 상기 연동몸체부로부터 상기 회전부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연동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기어는, 기어 이가 형성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로부터 상기 연동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동몸체부에 연결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동몸체부는,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되는 연동삽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연동부가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된 경우 상호 이격되며, 상기 연동부가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된 경우 외부로부터 상기 기어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기어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기어가 상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기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부는, 상기 회전부재 상에서 상기 회전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커버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부가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부를 구속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속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거나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커버부를 구속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기어에 연결되는 커버몸체부 및 상기 기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커버몸체부로부터 상기 기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어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기어는, 기어 이가 형성된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로부터 상기 커버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몸체부에 연결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몸체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는 커버삽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연장부로부터 소정의 각을 가지며 연장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접촉되는 커버접촉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커버접촉부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어 모듈을 포함하는 의자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기어의 동심회전 유도장치에 따르면, 기어 모듈이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것을 상쇄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안락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어 모듈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어 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의 개략 동작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어 모듈의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어 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동부의 개략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개략 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의 개략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동부의 동작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어 모듈의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나아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구성들은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어 모듈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어 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를 외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를 내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외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내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를 외측에서 바라본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를 내측에서 바라본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의 개략 동작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어 모듈(10)은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회전부재(200)가 회전되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200)에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의자(C)가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부재(200)가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회전되며, 상기 의자(C)는 상기 회전부재(200)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기어 모듈(10)이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회전본체부(210) 및 상기 회전본체부(2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의자(C)에 연결되는 회전레버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본체부(210)는 상기 기어 모듈(10)의 회전을 구현하는 회전축(L)이 삽입될 수 있는 회전관통공(H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기어 모듈(10)이 연결될 수 있는 회전연결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회전본체부(210)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부(400)가 연결될 수 있는 회전가이드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레버부(220)는 상기 회전본체부(210)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의자(C)의 회전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의자(C)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의자(C)와의 연결을 구현하는 링크부재(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0)는 상기 의자(C)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재(100)는 지면에 고정될 수도 있고, 베이스 판(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의자(C)는 상기 고정부재(100)에 의해 지면 또는 상기 베이스판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재(100)는 상기 회전축(L)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관통공(H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될 기어부(300)가 연결될 수 있는 고정연결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어 모듈(10)은 상기 회전부재(200)가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어 모듈(10)은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부재(200)가 회전되도록 하는 기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부(300)는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는 제1 기어(310) 및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기어(310) 상에서 소정의 중심축(X1)을 기준으로 방사방향으로 왕복 운동되는 동시에 상기 소정의 중심축(X1)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되어 편심 운동이 구현되는 제2 기어(3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기어(310)는 상기 고정부재(100)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기어(310)는 기어 이가 형성된 제1 몸체부(311) 및 상기 제1 몸체부(311)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고정연결부(110)에 연결될 수 있는 제1 돌출부(3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310)는 상기 제1 돌출부(313)가 상기 고정연결부(110)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100)와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몸체부(311)는 상기 회전축(L)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관통공(H3)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기어(320)는 기어 이가 형성된 제2 몸체부(321) 및 상기 제2 몸체부(321)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200)에 연결되는 제2 돌출부(3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어(320)는 상기 제2 돌출부(323)가 상기 회전연결부(211)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재(200)와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재(200)가 회전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몸체부(321)는 상기 회전축(L)이 삽입될 수 있는 제2 관통공(H4)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기어(320)는 상기 회전축(L)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기어(310) 상에서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축(L)은 상기 회전관통공(H1), 상기 고정관통공(H2), 상기 제1 관통공(H3) 및 상기 제2 관통공(H4)에 삽입될 수 있으나, 외력에 의한 상기 회전축(L)의 회전력은 상기 제2 기어(320)에만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L)은 상기 제2 몸체부(321)에 맞물려 회전력을 상기 제2 기어(320)에만 전달하며, 상기 제2 기어(320)는 상기 회전축(L)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2 기어(320)의 상기 편심 운동을 더 자세히 설명하겠다.
상기 제2 기어(320)가 상기 회전축(L)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기어(320)는 상기 제1 기어(310) 상에서 도 7(a) 상태에서 도 7(b) 상태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2 기어(320)는 상기 소정의 중심축(X1)을 기준으로 방사방향으로 왕복 운동되는 동시에 상기 소정의 중심축(X1)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및/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운동되는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중심축(X1)은 상기 제1 기어(310)의 기어 이의 내측면(상기 제2 기어(320)의 기어 이에 대향하는 최내측면)이 규정하는 가상의 원의 중심점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관통공(H4)의 중심은 상기 제2 몸체부(321)의 중심이 아닌 어느 일 방향으로 편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L)은 상기 제2 몸체부(321)의 중심이 아닌 어느 일 방향으로 치우쳐 상기 제2 몸체부(321)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L)이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기어(320)는 상기 제2 몸체부(321)에 형성된 기어 이와 상기 제1 몸체부(311)에 형성된 기어 이가 상호 맞물려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소정의 중심축(X1)과 상기 제2 몸체부(321)의 기어 이의 외측면(상기 제1 기어(310)의 기어 이에 대향하는 최외측면)이 규정하는 가상의 원의 중심점(X2)은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제2 기어(320)의 상기 편심 운동은 일반적인 편심 기어 또는 싸이클로이드 기어의 운동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는 점에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기어(320)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기어(310) 상에서 왕복 운동 및 상기 회전 운동이 동시에 구현되는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어(320)와 연결된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제2 기어(320)와 연동되어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200)와 연결된 상기 의자(C)는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상기 기어 모듈(10)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 또는 간략히 설명하겠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어 모듈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어 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동부를 외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동부를 내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외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며, 도 11(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내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를 외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를 내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동부의 동작 개념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어 모듈에서 기어부 및 연동부를 생략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9, 도 10,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기어 모듈(10)은 상기 제2 기어(320)와 연동하여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되는 연동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동부(400)는 상기 제2 기어(3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2 기어(320)가 상기 제1 기어(310) 상에서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되는 경우 상기 연동부(400) 역시 상기 제2 기어(320)와 연동하여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연동부(400)는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부재(200)가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재(200)로 상기 회전 운동을 전달하되, 상기 회전부재(200)로 상기 왕복 운동을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연동부(400)는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부재(200)가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되지 않고 오로지 상기 회전 운동만 구현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동부(400)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기어(320)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2 기어(3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기어 모듈(10)의 사용 목적, 기능 등에 따라 상기 연동부(400)를 상기 제2 기어(320)에 연결하거나 상기 제2 기어(3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연동부(400)가 상기 제2 기어(320)에 연결된 경우 상기 연동부(400)에 의해 상기 회전 운동이 구현되되 상기 왕복 운동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연동부(400)가 상기 제2 기어(320)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회전 운동과 상기 왕복 운동이 동시에 구현되는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동부(400)는 상기 제2 기어(320)에 연결된 경우 상기 회전부재(200) 상에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왕복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동부(400)는 상기 회전부재(200) 상에서 상기 회전부재(200)를 기준으로 상기 왕복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연동부(400)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동부(400)는 상기 제2 기어(320)에 연결되는 연동몸체부(410) 및 상기 연동몸체부(410)로부터 상기 회전부재(2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200)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연동돌출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동몸체부(410)는 상기 회전축(L)이 삽입될 수 있는 연동관통공(H7)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어(320)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2 돌출부(323)가 삽입되는 연동삽입부(411)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기어(320)와 상기 연동부(400) 간의 연결은 상기 제2 기어(320)의 상기 제2 돌출부(323)가 상기 연동삽입부(411)에 삽입됨으로 인해 구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연동부(400)는 상기 제2 기어(320)의 상기 편심 운동과 연동하여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연동돌출부(420)는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는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되나, 상기 회전부재(200)를 기준으로는 상기 왕복 운동만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동돌출부(420)는 상기 회전부재(200)의 회전가이드부(213)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가이드부(213)는 상기 연동돌출부(420)가 상기 회전가이드부(213) 상에서 상기 소정의 중심축(X1)을 기준으로 상기 방사방향으로 상기 왕복 운동이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방사방향으로 상기 연동돌출부(420)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동돌출부(420)가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되는 경우, 상기 연동돌출부(420)는 상기 소정의 중심축(X1)으로부터 상기 제2 기어(320)의 상기 중심점(X2) 방향으로 상기 회전가이드부(213) 상에서 상기 방사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회전가이드부(213) 상에서 상기 방사방향으로 상기 왕복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연동돌출부(420)는 상기 회전가이드부(213) 상에서 상기 방사방향으로 상기 왕복 운동이 구현되되 상기 회전부재(200)에 상기 회전 운동만 전달하여, 상기 회전부재(200)가 오로지 상기 회전 운동만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기어(320) 및 상기 연동부(400)는 상기 고정부재(100) 및 상기 제1 기어(310)를 기준으로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되되, 상기 연동부(400)와 연결된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고정부재(100) 및 상기 제1 기어(310)를 기준으로 오로지 회전 운동만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00)와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연동부(400)가 상기 제2 기어(320)에 연결된 경우 상기 연동부(400)가 상기 제2 기어(320)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보다 상호 더 이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동부(400)가 상기 제2 기어(32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부재(200)가 위치 이동되어 이격될 수도 있고, 상기 회전부재(200)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재(100)가 위치 이동되어 이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00)와 상기 회전부재(200) 사이에 배치된 상기 기어부(300) 및/또는 상기 연동부(400)는 상기 고정부재(100)와 상기 회전부재(2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기어부(300) 및/또는 상기 연동부(400)에 외부로부터 이물질 등이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 기어 모듈(10)은, 상기 연동부(400)가 상기 제2 기어(320)에 연결된 경우, 외부로부터 상기 기어부(300)를 보호하도록 상기 기어부(30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500)는 상기 제1 기어(310)에 연결되는 커버몸체부(510) 및 상기 기어부(300)를 커버하도록 상기 커버몸체부(510)로부터 상기 기어부(300)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어부(3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커버연장부(5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몸체부(510)는 상기 회전축(L)이 삽입될 수 있는 커버삽입공(H5)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1 돌출부(313)가 삽입되는 커버삽입부(511)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어(310)의 상기 제1 돌출부(313)는 상기 커버부(500)의 상기 커버삽입부(511)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몸체부(510)는 볼트 또는 나사(미도시) 등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0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500)는 상기 기어부(30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기어부(300)를 커버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기어(310)가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재(100)와 상기 제1 기어(310)를 연결하는 매개체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500)는 상기 커버연장부(520)로부터 소정의 각을 가지며 연장되어 상기 회전부재(200)와 접촉되는 커버접촉부(5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접촉부(530)는 상기 회전부재(200)와 접촉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커버접촉부(530)에 의해 상기 소정의 중심축(X1)으로부터 상기 방사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500)는 상기 고정부재(100)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위치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위치 고정된 상기 커버접촉부(530)는 상기 회전부재(200)가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운동이 구현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상기 왕복 운동이 구현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부재(200)를 상기 방사방향으로 구속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커버부(500)의 상기 커버접촉부(530)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왕복 운동이 구현되지 않되, 상기 연동부(400)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00)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 운동만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9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어 모듈(10)은 상기 커버부(500)가 상기 회전부재(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부(500)를 구속하는 구속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속부(600)는 상기 회전축(L)이 삽입될 수 있는 구속관통공(H6)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속부(600)는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부재(200)에 연결되거나 상기 회전부재(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200)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커버부(500)를 구속하지 않고, 상기 회전부재(200)와 연결된 경우 상기 커버부(500)를 구속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구속부(600)는 볼트 또는 나사로 인해 상기 회전부재(2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200)와 접촉하는 상기 커버접촉부(530)를 구속하여 상기 커버부(500)가 상기 회전부재(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사용목적 및 기능에 맞추어 상기 회전부재(200)가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회전 운동만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고정부재
200: 회전부재
300: 기어부
400: 연동부
500: 커버부

Claims (8)

  1.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기어 모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는 제1 기어 및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기어 상에서 소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방향으로 왕복 운동되는 동시에 상기 소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되어 편심 운동이 구현되는 제2 기어를 구비하는 기어부; 및
    상기 제2 기어와 연동하여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되는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재로 상기 회전 운동을 전달하되,
    상기 회전부재로 상기 왕복 운동을 전달하지 않으며,
    상기 연동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되거나 상기 제2 기어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연동부가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된 경우 상기 연동부로부터 상기 회전 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 운동이 구현되되 상기 왕복 운동이 구현되지 않고,
    상기 연동부가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기어로부터 상기 편심 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편심 운동이 구현되며,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연동부가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된 경우 상호 이격되며,
    상기 연동부가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된 경우 외부로부터 상기 기어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기어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회전부재와 탈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기어가 상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기어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회전부재 상에서 상기 회전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커버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왕복 운동이 구현되지 않으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부를 구속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속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거나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커버부를 구속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된 경우 상기 회전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왕복 운동이 구현되어 상기 회전부재로 상기 왕복 운동을 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되는 연동몸체부 및 상기 연동몸체부로부터 상기 회전부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연동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기어는,
    기어 이가 형성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로부터 상기 연동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동몸체부에 연결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동몸체부는,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되는 연동삽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모듈.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기어에 연결되는 커버몸체부 및 상기 기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커버몸체부로부터 상기 기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어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연장부로부터 소정의 각을 가지며 연장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접촉되는 커버접촉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커버접촉부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는,
    기어 이가 형성된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로부터 상기 커버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몸체부에 연결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몸체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는 커버삽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모듈.
  8.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어 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KR1020170124133A 2017-09-26 2017-09-26 감속기 동심회전 유도장치 KR102014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133A KR102014379B1 (ko) 2017-09-26 2017-09-26 감속기 동심회전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133A KR102014379B1 (ko) 2017-09-26 2017-09-26 감속기 동심회전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189A KR20190035189A (ko) 2019-04-03
KR102014379B1 true KR102014379B1 (ko) 2019-08-26

Family

ID=6616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133A KR102014379B1 (ko) 2017-09-26 2017-09-26 감속기 동심회전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019B1 (ko) 2020-09-23 2022-09-08 (주)다우테크놀로지 근력보조 휠체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308B1 (ko) * 2008-10-17 2011-05-16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올덤 커플링 타입 리클라이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189A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625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206803B1 (ko) 다이얼 리클라이너
KR102014379B1 (ko) 감속기 동심회전 유도장치
CN104854369B (zh) 扭振减振器
JP2006034729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TWI429834B (zh) Flexible snap gear device
CN106029439B (zh) 座椅倾斜装置
CN108302136A (zh) 离合器、驱动传递装置和成像设备
CN107380019B (zh) 车辆用座椅的角度调节器
KR20060049690A (ko)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CN103402815A (zh) 倾斜角度调节装置
KR20110001928A (ko) 일방향 클러치
JPWO2004012560A1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及びそのロック方法
JP6389427B2 (ja) 着座型運動装置
US8955910B2 (en) Recliner swing-gate control spacer
JP5262957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8149029A (ja) 椅子型運動器具
EP3381743A1 (en) Seat reclining device
KR101283186B1 (ko) 차량용 리클라이너 장치
CN206616625U (zh) 联接管道接管
TW200905102A (en) Damper
CN110001459A (zh) 用于车辆的座椅泵送装置
CN105636826A (zh) 用于机动车辆座椅的可分离的铰链组件
US20170328446A1 (en) Gear reduction assembly
KR101706336B1 (ko) 차량용 리클라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