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707B1 -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707B1
KR102013707B1 KR1020170026762A KR20170026762A KR102013707B1 KR 102013707 B1 KR102013707 B1 KR 102013707B1 KR 1020170026762 A KR1020170026762 A KR 1020170026762A KR 20170026762 A KR20170026762 A KR 20170026762A KR 102013707 B1 KR102013707 B1 KR 102013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ain
user terminal
sound signal
traffic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372A (ko
Inventor
김주완
나동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26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7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99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교통 신호를 음성 신호로 안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은 주 음향 신호기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와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주 음향 신호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로부터 신호 종류 식별자, 신호 주기, 음향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교통신호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주 음향 신호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의 설치 위치, 설치 방향, 교차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주 음향 신호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음성안내 요청을 상기 주 음향 신호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주 음향 신호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주 음향 신호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의 음성안내를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METHOD FOR SOUND GUIDE OF TRAFFIC SIG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개시는 보행자 유도 안내 기술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행자 유도 안내를 위한 정보를 음성 신호를 사용하여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시각 장애인에게 보행안내정보와 보행신호등 정보를 음성으로 알려주는 방법은 시각 장애인의 보행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각 장애인의 보행을 지원하기 위하여,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의 상황, 예를 들어 교통 신호기의 상황을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사용하여 안내할 수 있는 음향 신호기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보행안내표지판의 관련 정보를 알려 주기 위해서 보행안내표지판이 나타내는 바를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사용하여 안내할 수 있는 음성 유도기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음향 신호기와 음성 유도기는 시각 장애인의 보행을 안내하는 목적도 있지만, 목적지까지 가는 경로에 있어 보행 상황을 알 수 있는 웨이 포인트를 확인하는 역할도 하고 있어 시각 장애인의 보행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음향 신호기와 음성 유도기에서 출력되는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필요로 하는 대상(예, 시각 장애인)에게 제한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무선 리모컨 또는 교통 신호기에 연결된 안내 버튼을 사용하여 교통 신호기의 상황을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사용하여 안내되고 있다.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필요로 하는 대상(예, 시각 장애인)은 교통 신호기에 연결된 안내 버튼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무선 리모컨을 활용하여 교통 신호기의 상황을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안내하는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무선 리모컨을 활용하여 교통 신호기의 상황을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안내하는 방식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블루투스와 같은 비컨 통신 장치를 사용한 음성 또는 음향 신호 안내 방법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진 바 있다.
그러나, 비컨 통신 장치가 통신할 수 있는 채널이 한정적이고, 한정된 채널을 사용하여 경쟁 송출을 통해 비컨 통신 장치들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지므로, 교통 신호기가 많이 요구되는 환경, 예를 들어 사거리 교차로에 복수의 교통 신호기가 설치되는 환경에서는 비컨 통신 장치들 사이 통신 연결 및 유지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통 신호기의 정보를 안정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교통 신호기의 정보를 안내할 수 있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교통 신호기와 연결되는 비컨 통신 장치들과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신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교통 신호기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르면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주 음향 신호기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와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주 음향 신호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로부터 신호 종류 식별자, 신호 주기, 음향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교통신호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주 음향 신호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의 설치 위치, 설치 방향, 교차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주 음향 신호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음성안내 요청을 상기 주 음향 신호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주 음향 신호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주 음향 신호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의 음성안내를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비컨 통신 장치들을 사용하여 교통 신호기의 정보를 안정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교통 신호기의 정보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및 장치를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이 설치되는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가 마련되는 환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에서 연결 동작을 도시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에서 교통신호 안내 동작을 도시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1)은 주 음향 신호기(10),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 및 사용자 단말(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은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에 마련된 신호기에서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교통 신호를 음성 신호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주 음향 신호기(10)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는 차로 또는 횡단보도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기와 유선/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신호기가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교통 신호와 관련된 교통신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교통신호정보는 교통 신호(예, 적색신호, 청색신호, 황색신호)의 종류를 표시하는 교통 신호 식별자, 각각의 교통 신호의 출력 주기를 나타내는 신호 주기 등을 포함하는 수신할 수 있다.
주 음향 신호기(10)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는 상기 교통신호정보를 각각의 교통 신호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신호 또는 음성안내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주 음향 신호기(10)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는 상기 교통신호정보와 음성신호 또는 음성안내 메시지를 포함하는 음성교통신호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는 설치 위치, 설치 방향, 교차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는 주 음향 신호기(1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기기 정보 또는 음성교통신호정보를 주 음향 신호기(1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주 음향 신호기(10)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받고,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주 음향 신호기(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의 음성교통신호정보를 사용자 단말(30)에 제공할 수 있다. 주 음향 신호기(10)는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주 음향 신호기(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를 식별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제공받거나, 또는 주 음향 신호기(10)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주 음향 신호기(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30)은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30)은 미리 정해진 시간단위마다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30)의 이동 궤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은 주 음향 신호기(10)로부터 주 음향 신호기(10)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에 대한 기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은 기기 정보 및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주 음향 신호기(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은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주 음향 신호기(10)로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30)은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주 음향 신호기(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를 식별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30)에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주 음향 신호기(10), 보조 음향 신호기(20), 및 사용자 단말(30)은 근거리 통신망(15)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은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에서 교통 신호를 음성 신호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므로, 근거리 통신망(15)은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가 마련되는 환경에서 고정된 위치에 구비되는 주 음향 신호기(10)와, 보조 음향 신호기(20)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다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30)과, 상기 주 음향 신호기(10)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근거리 통신망(15)은 비컨의 송수신과 기기 간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나아가, 근거리 통신망(15)은 소규모 데이터 전송과, 저전력 통신을 지원하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며, 주 음향 신호기(10), 보조 음향 신호기(20), 및 사용자 단말(30)은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에 기초한 연결 동작 및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근거리 통신망(15)은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과, 광고(Advertising)/스캔(Scan)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의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주 음향 신호기(10)와 보조 음향 신호기(20)는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방식으로 연결되며, 주 음향 신호기(10)와 사용자 단말(30)은 광고(Advertising)/스캔(Scan) 방식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이 설치되는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가 마련되는 환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은 4거리 교차로에 신호기가 설치된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4거리 교차로에는 8개의 신호기가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210)은 주 음향 신호기(211)와, 7개의 보조 음향 신호기(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212g)를 구비할 수 있다.
주 음향 신호기(211)는 마스터 모드에 기초하여 응답요청(inquiry request)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슬레이브 모드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7개의 보조 음향 신호기(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212g)는 응답요청(inquiry request)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주 음향 신호기(211)로 응답(response)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주 음향 신호기(211)와 7개의 보조 음향 신호기(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212g)는 연결에 필요한 데이터를 교환하여, 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
주 음향 신호기(211)와 7개의 보조 음향 신호기(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212g)의 연결과정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주 음향 신호기(211)는 7개의 보조 음향 신호기(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212g)에 대한 각각의 기기 정보(설치 위치, 설치 방향, 교차로 식별자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주 음향 신호기(211)와 7개의 보조 음향 신호기(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212g)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15)이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210)에 진입하면, 주 음향 신호기(211)는 사용자 단말(215)과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주 음향 신호기(211)와, 사용자 단말(215)은 광고(advertise)/스캔(scan) 모드 방식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 음향 신호기(211)는 광고(advertise) 모드로서 동작하고, 사용자 단말(215)은 스캔(scan) 모드로서 동작할 수 있다.
주 음향 신호기(211)와 사용자 단말(215)은 각각 광고(advertise)와 스캔(scan) 모드를 주기적으로 전환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주 음향 신호기(211)는 광고(advertise) 모드에서 주 음향 신호기(211)와 7개의 보조 음향 신호기(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212g)의 상기 기기 정보 또는 음성교통신호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15)은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5)은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215)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스캔(scan)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215)의 위치에 대응되는 기기(주 음향 신호기(211)와 7개의 보조 음향 신호기(212a, 212b, 212c, 212d, 212e, 212f, 212g)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지시하는 정보와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정보를 주 음향 신호기(21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은 4거리 교차로에 신호기가 설치된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4거리 교차로에는 8개의 신호기가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220)은 4개의 주 음향 신호기(221a, 221b, 221c, 221d)와, 4개의 보조 음향 신호기(222a, 222b, 222c, 222d)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주 음향 신호기(221a)와 제1 보조 음향 신호기(222a)는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주 음향 신호기(221a)가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고 제1 보조 음향 신호기(222a)가 슬레이브 모드로서 동작하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주 음향 신호기(221a)와 제1 보조 음향 신호기(222a)의 연결 처리와 마찬가지로 제2 주 음향 신호기(221b)와 제2 보조 음향 신호기(222b), 제3 주 음향 신호기(221c)와 제3 보조 음향 신호기(222c), 제4 주 음향 신호기(221d)와 제4 보조 음향 신호기(222d)는 각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주 음향 신호기(221a, 221b, 221c, 221d)는 각각 사용자 단말(225)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주 음향 신호기(221a, 221b, 221c, 221d)와 사용자 단말(225)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광고(advertise)/스캔(scan) 모드를 주기적으로 전환하여 동작할 수 있고, 상기 기기 정보 또는 음성교통신호정보의 전송,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정보를 송수신하여,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수행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은 횡단보도에 신호기가 설치된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횡단보도에는 양방향에 각각의 신호기가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230)은 주 음향 신호기(231)와, 보조 음향 신호기(232)를 구비할 수 있다.
주 음향 신호기(231)가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고 보조 음향 신호기(232)가 슬레이브 모드로서 동작하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주 음향 신호기(231)는 사용자 단말(235)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주 음향 신호기(231)와 사용자 단말(235)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광고(advertise)/스캔(scan) 모드를 주기적으로 전환하여 동작할 수 있고, 상기 기기 정보 또는 음성교통신호정보의 전송,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정보를 송수신하여,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수행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을 통해, 주 음향 신호기는 사용자 단말이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에 설치된 교통 신호기에 근접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영역에 대응되는 주 음향 신호기 및 보조 음향 신호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에 맞는 교통 신호기의 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에서 연결 동작을 도시하는 신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에서 교통신호 안내 동작을 도시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은 전술한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에 구비되는 구성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되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의 진행과정을 설명을 통해 전술한 교통신호 음성 안내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주 음향 신호기(10)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와의 연결을 수행한다(S301). 구체적으로, 주 음향 신호기(10)는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는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여, 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는 주 음향 신호기(10)로 기기 정보(설치 위치, 설치 방향, 교차로 식별자 등)를 전송할 수 있으며(S302, S304, S306), 상기 기기 정보(설치 위치, 설치 방향, 교차로 식별자 등)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S303, S305, S307).
비록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주 음향 신호기(10)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가 연결이 완료된 후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에 대한 기기 정보가 주 음향 신호기(10)에 제공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에 대한 기기 정보는 주 음향 신호기(10)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가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교환될 수도 있다.
주 음향 신호기(10)는 사용자 단말(30)과의 통신을 수행한다(S308).
주 음향 신호기(10)는 광고(advertising) 신호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30)로 주 음향 신호기(10)에 대한 기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09).
비록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주 음향 신호기(10)와 사용자 단말(30)의 광고(advertising) 신호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30)이 기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기 정보는 광고(Advertising)/스캔(Scan) 방식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교환될 수도 있다.
S31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은 주 음향 신호기(10)에 대한 기기 정보를 확인하고,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주 음향 신호기(10)에 대한 기기 정보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 단말(30)은 기 등록된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주 음향 신호기(10)에 대한 기기 정보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사용자 단말(30)은 주 음향 신호기(10)로, 주 음향 신호기(10) 및 상기 주 음향 신호기(1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에 대한 기기 정보를 요청하고(S311), 주 음향 신호기(10)로부터 전송되는 광고(advertising) 신호를 사용하여, 주 음향 신호기(10) 및 상기 주 음향 신호기(1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에 대한 기기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S312).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주 음향 신호기(10)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와 연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와의 데이터 송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가 전송하는 음성교통신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01, S402, S403). 여기서, 상기 음성교통신호정보는 교통 신호(예, 적색신호, 청색신호, 황색신호)의 종류를 표시하는 교통 신호 식별자, 각각의 교통 신호의 출력 주기를 나타내는 신호 주기, 교통 신호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신호 또는 음성안내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 음향 신호기(10)는 광고 모드와 스캔 모드를 주기적으로 전환활 수 있는데, 광고 모드에서, 상기 음성교통신호정보를 사용자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은 주 음향 신호기(10)의 광고 모드와 스캔 모드와 연동되어, 광고 모드와 스캔 모드를 주기적으로 전환활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은 주 음향 신호기(10)가 광고 모드로 동작하는 타이밍에 스캔 모드로 동작하고, 역으로 주 음향 신호기(10)가 스캔 모드로 동작하는 타이밍에 광고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S40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S40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은 주 음향 신호기(10)가 제공한 기기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주 음향 신호기(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은 사용자로부터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S406).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입력은 사용자 단말(30)에 구비되는 미리 정해진 버튼(또는 키패드)의 입력 또는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은 광고 모드로 전환되고, 주 음향 신호기(10)는 스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S408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은 광고 모드에서, 주 음향 신호기(10)로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정보는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에 대응되는 기기(주 음향 신호기(10)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지시하는 정보와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S409 단계에서, 주 음향 신호기(10)는 광고 모드로 전환되고, 사용자 단말(30)은 스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S410 단계에서, 주 음향 신호기(10)는 광고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30)의 위치에 대응되는 기기(주 음향 신호기(10)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지시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로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는 대응되는 교통신호에 대한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주 음향 신호기(10)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 사이의 통신과, 주 음향 신호기(10)와 사용자 단말(30) 사이의 통신 동작을 처리함에 있어서, 수신확인 메시지(ACK)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줄임으로써, 통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이 복수의 음향 신호기(10, 2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통신 성공률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보행자에게 교통정보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으며, 보행안전에 위협을 받을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0)은 주 음향 신호기(10)와 연결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안정적인 통신 연결을 유지할 수 있어, 교통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은 주 음향 신호기(10)와의 연결만으로, 복수의 음향 신호기(10, 20)에 대한 기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은 음향 신호기(10, 20)에 대한 기기 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기기 정보가 필요한 음향 신호기(10, 20)를 확인하고, 해당되는 음향 신호기(10, 20)에 대한 기기 정보를 주 음향 신호기(10)로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 단말(30)은 음향 신호기(10, 20)에 대한 기기 정보를 보다 빠르게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시에 따르면, 주 음향 신호기(10)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와의 통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사용자 단말(30)과의 통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 음향 신호기(10),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 및 사용자 단말(30) 사이의 효율적인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주 음향 신호기(10)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20)와의 통신 과정에서는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모드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30)과의 통신 과정에서는 광고(advertise)/스캔(scan) 모드 기반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Claims (10)

  1. 교통신호의 음성 안내 방법에 있어서,
    주 음향 신호기가 마스터(Master) 및 슬레이브(slave) 모드 방식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와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주 음향 신호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가 표시하는 상기 교통신호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교통신호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주 음향 신호기가 상기 주 음향 신호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의 설치 위치, 설치 방향, 교차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되, 광고(advertise)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 정보를 광고 신호를 사용하여 스캔(scan) 모드로 대기중인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자신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주 음향 신호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광고 신호를 사용하여,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정보를 상기 스캔 모드로 대기중인 주 음향 신호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주 음향 신호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주 음향 신호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에 대한 상기 교통신호 음성 안내를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교통신호정보는,
    상기 교통신호의 종류 식별자, 상기 교통신호의 주기, 상기 교통신호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향 안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신호 음성 안내를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주 음향 신호기에 대한 상기 교통신호의 변경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에 대한 상기 교통신호의 변경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교통신호의 변경에 대응되는 상기 교통신호의 음성 안내를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신호 음성 안내를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주 음향 신호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를 확인하고, 해당 상기 주 음향 신호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의 상기 교통신호를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된 상기 교통신호의 음성 안내를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5. 삭제
  6. 삭제
  7. 교통신호의 음성 안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상기 교통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교통신호를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음성신호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하는 주 음향 신호기와,
    상기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교통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교통신호를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음성신호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주 음향 신호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를 포함하되,
    상기 주 음향 신호기는,
    마스터(Master) 및 슬레이브(slave) 모드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와의 연결을 처리하고,
    사용자 단말과 광고(advertise) 모드와 스캔(scan) 모드를 주기적으로 전환하고,
    상기 주 음향 신호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 신호기의 설치 위치, 설치 방향, 교차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되, 상기 광고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 정보를 광고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스캔 모드로 대기중인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스캔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신호의 음향 안내를 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주 음향 신호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에 대한 상기 교통신호 음성 안내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 처리 시스템.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 음향 신호기에 대한 상기 교통신호의 변경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에 대한 상기 교통신호의 변경을 확인하고,
    상기 교통신호의 변경에 대응되는 상기 교통신호의 음성 안내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 처리 시스템.
  10. 교통신호 음성 안내를 처리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주 음향 신호기와 광고(advertise) 모드와 스캔(scan) 모드를 주기적으로 전환하고,
    주 음향 신호기로부터, 상기 주 음향 신호기 및 상기 주 음향 신호기와 마스터(Master) 및 슬레이브(slave) 모드 방식에 기초하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의 설치 위치, 설치 방향, 교차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상기 스캔 모드에서 수신하고,
    자신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주 음향 신호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주 음향 신호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주 음향 신호기에 제공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주 음향 신호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음향 신호기에 대한 상기 교통신호 음성 안내를 상기 광고 모드에서 상기 주 음향 신호기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 음성 안내를 처리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70026762A 2017-02-28 2017-02-28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KR102013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762A KR102013707B1 (ko) 2017-02-28 2017-02-28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762A KR102013707B1 (ko) 2017-02-28 2017-02-28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372A KR20180099372A (ko) 2018-09-05
KR102013707B1 true KR102013707B1 (ko) 2019-10-21

Family

ID=6359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762A KR102013707B1 (ko) 2017-02-28 2017-02-28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7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736B1 (ko) 2011-08-30 2012-11-15 (주)엘엠솔루션 마스터-슬레이브 모델을 이용한 교통 신호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1743B1 (ko) 2012-08-06 2013-06-05 이정명 시각 장애인용 교통 편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549A (ko) * 2002-02-21 2003-08-27 (주)한길핸디케어 지능형 교통 정보 음성 안내 시스템
KR101590885B1 (ko) * 2014-07-04 2016-02-05 도로교통공단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736B1 (ko) 2011-08-30 2012-11-15 (주)엘엠솔루션 마스터-슬레이브 모델을 이용한 교통 신호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1743B1 (ko) 2012-08-06 2013-06-05 이정명 시각 장애인용 교통 편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372A (ko)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98931A (ja) 車車間通信方法及び車載用通信装置
CN108139215B (zh) 利用声音信号对人员的路径导引
CA2961884C (en) Integrated accessible pedestrian system
KR101873883B1 (ko) 긴급출동차량의 도로 통행 알림시스템
KR102075646B1 (ko) 시각장애인용 횡단경로 안내 방법
US11430327B2 (en) Integrated accessible pedestrian system
RU2018105565A (ru) Устройство, использующее синхронную и сбалансированную связь v2v
KR102013707B1 (ko) 교통신호 음성 안내 방법
KR102460709B1 (ko) 스마트 표지병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861094B1 (ko)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교통약자 안내 시스템 및방법
KR10187348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차로 통행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01736B1 (ko) 마스터-슬레이브 모델을 이용한 교통 신호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GB2554529A (en) A Movable traffic signal or movable pedestrian signal system
KR102590978B1 (ko) 교통약자를 위한 안전신호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7178596A (ja) 情報発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発信方法
KR20170030788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내 방법
KR100963509B1 (ko) 교통신호제어기의 무선제어장치
JP3995425B2 (ja) 短距離無線を応用した交通信号システム、これで用いるユーザ端末、および横断歩道の信号誘導方法
KR20210001885A (ko) 시각장애인용 횡단경로 안내 시스템
KR20170037368A (ko) 주차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14541B1 (ko) 시각장애인용 횡단경로 안내 시스템
KR101691963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향안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향안내서비스 제공 방법
KR20100025610A (ko)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과 이를 위한네비게이션 장치
KR20070009006A (ko) 신호등 제어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과그를 이용한 신호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17021705A (ja) 通信システム及び車載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