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094B1 - 투명광 산란체, 그것을 구비한 반사형 투명 스크린, 및 그것을 구비한 영상 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투명광 산란체, 그것을 구비한 반사형 투명 스크린, 및 그것을 구비한 영상 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094B1
KR102013094B1 KR1020187030867A KR20187030867A KR102013094B1 KR 102013094 B1 KR102013094 B1 KR 102013094B1 KR 1020187030867 A KR1020187030867 A KR 1020187030867A KR 20187030867 A KR20187030867 A KR 20187030867A KR 102013094 B1 KR102013094 B1 KR 102013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light scattering
scattering body
transparent ligh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0278A (ko
Inventor
사토루 이케다
코우스케 야마키
아키라 마츠오
Original Assignee
제이엑스티지 에네루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엑스티지 에네루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엑스티지 에네루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0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particulate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9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adapted to provide an additional optical effect, e.g. anti-reflection or fil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D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D125/06Polystyre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과제] 투명성 및 색재현성이 뛰어나고, 또한 고휘도이며, 화상을 선명하게 시인할 수 있는 반사형 투명 스크린을 실현할 수 있는 투명광 산란체의 제공. [해결 수단] 본 발명에 의한 투명광 산란체는, 투명 바인더와, 금속계 미립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금속계 미립자의 금속재료는, 측정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 R이 50% 이상이고, 또한 측정 파장 4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 R과 측정 파장 6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 R의 차의 절대값이, 측정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 R에 대하여 25% 이내이고, 투명광 산란체 내에 있어서의 상기 금속계 미립자의 평균 2차 입자경이 100nm∼20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명광 산란체, 그것을 구비한 반사형 투명 스크린, 및 그것을 구비한 영상 투영 시스템
본 발명은, 투명성 및 색재현성이 뛰어나고, 또한 고휘도이며, 화상을 선명하게 시인(視認)할 수 있는 반사형 투명 스크린 반사형 투명 스크린을 실현할 수 있는 투명광 산란체, 그것을 구비한 반사형 투명 스크린, 및 그것을 구비한 영상 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프로젝터용 스크린으로서, 프레즈넬 렌즈 시트와 렌티큘러 렌즈 시트를 조합한 것이 사용되어 왔다. 최근, 백화점 등의 쇼 윈도우나 이벤트 공간의 투명 파티션 등에 그 투명성을 유지한 채로 상품 정보나 광고 등을 투사 표시하는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장래적으로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투명 스크린의 수요는, 더욱더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프로젝터용 스크린은 투명성이 낮기 때문에, 투명 파티션 등에 적용할 수 없다는 기술적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고투명성을 실현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스크린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 상에, 알루미늄 인편(鱗片) 7중량부 및, 운모를 모체(母體)로 하여 이산화티탄을 코팅한 펄(pearl) 안료 인편 25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필러로 한 잉크를 인쇄 또는 코팅하여, 광반사층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스크린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기판 상에,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광반사제로서 논리필링 타입(non-refilling type)의 인편상(鱗片狀) 알루미늄 페이스트 10∼80중량을 포함하고, 또한 광확산제에 대하여 50중량% 이상의 광확산제를 포함하는 광확산층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용 반사형 스크린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또한, 광반사 기재 상에, 투명 수지로 구성된 연속층과, 이방성 투명 입자로 구성된 분산층으로 형성된 광확산층을 적층한 반사형 스크린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특개평 3-119334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특개평 10-186521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 특개 2004-54132호 공보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1∼3에는, 이하의 기술적 과제가 존재하는 것을 발견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반사형 스크린은, 평균 입경 5㎛∼200㎛의 인편 입자를 고농도로 기판 표면에 코팅하고 있기 때문에, 코팅막의 눈부심에 의해 화상을 선명하게 시인할 수 없고, 또한, 기판에 백색 염화비닐 필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투시는 불가능하여, 투명 스크린으로서는 적합하게 사용할 수 없다는 기술적 과제가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반사형 스크린은, 광반사제로서 평균 입경 4㎛∼60㎛의 인편상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10∼80중량으로 고농도로 포함하고 있어, 얻어진 필름은 투시 불가능하고, 투명 스크린으로서는 적합하게 사용할 수 없다는 기술적 과제가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반사 스크린은, 분산층에 분산된 이방성 투명 입자가, 운모, 탈크, 몬몰리로나이트의 비금속 입자이며, 특히 탈크, 몬몰리로나이트는 점토계의 입자이기 때문에 정반사율이 낮아, 반사형 투명 스크린으로서는 적합하게 사용할 수 없다는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투명성 및 색재현성이 뛰어나고, 또한 고휘도이며, 화상을 선명하게 시인할 수 있는 반사형 투명 스크린을 실현할 수 있는 투명광 산란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투명광 산란체를 구비한 투명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나, 그 투명광 산란체 또는 그 투명 스크린과, 영상투사장치를 구비한 영상 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銳意) 검토한 결과, 특정의 금속계 미립자를 투명 바인더 내에 분산시켜 투명광 산란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 반사형 투명 스크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투명광 산란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발견에 근거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에 의하면,
투명 바인더와, 금속계 미립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투명광 산란체로서,
상기 금속계 미립자의 금속재료는, 측정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 R이 50% 이상이고, 또한 측정 파장 4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 R과 측정 파장 6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 R의 차이의 절대값이, 측정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 R에 대하여 25% 이내이고,
상기 투명광 산란체 내에 있어서의 상기 금속계 미립자의 평균 2차 입자경이 100nm∼20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광 산란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금속계 미립자의 함유량이, 상기 투명 바인더에 대하여 0.0001∼0.0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금속재료의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유전율의 실수항 ε'이, -6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금속재료가, 알루미늄, 은, 백금, 티탄, 니켈, 및 크롬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투명광 산란체의 헤이즈값이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투명광 산란체의 전(全)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투명광 산란체의 사상성(寫像性)이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투명광 산란체가 반사형 투명 스크린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기의 투명광 산란체를 구비한, 반사형 투명 스크린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반사형 투명 스크린은, 변각 분광 광도계로 측정한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가, 하기의 조건 A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 A:반사형 투명 스크린면의 평행 방향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로 광을 입사하고, 정반사 방향인 135도의 휘도를 100으로 했을 때에, 90도의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가 0.001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기의 투명광 산란체 또는 상기의 반사형 투명 스크린을 구비한, 차량용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기의 투명광 산란체 또는 상기의 반사형 투명 스크린을 구비한, 건물용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기의 투명광 산란체 또는 상기의 반사형 투명 스크린과, 영상투사장치를 구비한, 영상 투영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투명광 산란체는, 투명성 및 색재현성이 뛰어나고, 또한 고휘도이며, 화상을 선명하게 시인할 수 있는 반사형 투명 스크린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투명광 산란체는, 차량용 부재나 건물용 부재에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투명광 산란체는, 화상 표시장치, 화상 투영 장치, 스캐너용 광원 등에서 사용되는 도광판으로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에 의한 투명광 산란체의 일 실시형태의 두께 방향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 본 발명에 의한 투명 스크린 및 화상 투영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의 측정 조건의 개략도이다.
<투명광 산란체>
본 발명에 의한 투명광 산란체는, 투명 바인더와, 금속계 미립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투명광 산란체 내에서는, 투명 바인더에 분산된 금속계 미립자가 적당한 사이즈로 응집되고,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영상투사장치로부터 출사되는 투영광을 이방적으로 산란 반사시켜 결상(結像)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투명광 산란체를 반사형 투명 스크린으로서 사용한 경우, 투명성 및 색재현성이 뛰어나고, 또한 고휘도이며, 화상을 선명하게 시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명광 산란체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반사형 스크린으로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이란, 용도에 따른 투과 시인성을 실현할 수 있는 정도의 투명성이 있으면 되고, 반투명인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한 투명광 산란체의 일 실시형태의 두께 방향의 단면 모식도를 도 1에 나타낸다. 투명광 산란체(10)는, 투명 바인더(11) 내에 금속계 미립자(12)가 분산되어 이루어진다. 해당 투명광 산란체는, 보호층, 기재층, 점착층, 및 반사 방지층 등의 다른 층을 더 구비하는 복층 구성의 적층체이어도 된다.
해당 투명광 산란체는, 헤이즈값이, 바람직하게는 3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0%이며,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2∼15%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5∼10%이다. 전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고,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99%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7%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하이며,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이다. 색감(色味)은, 예를 들면 CIE1976(L*, a*, b*) 색공간에 있어서의 a*, b*의 값으로 평가할 수 있다. 백색광을 입사시켰을 때의 산란광의 색감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a*, b*함께 -20∼+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a*, b*함께 -10∼+1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a*, b*함께 -5∼+5이다. 헤이즈값 및 전광선 투과율이 상기 범위 내이면, 투명성이 높고, 투과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a*, b*의 값이 상기 범위 내이면, 색재현성이 뛰어나고, 스크린으로서의 성능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광 산란체의 헤이즈값 및 전광선 투과율은, 탁도계(일본전색공업(주)제, 품번:NDH-5000)를 사용하고 JIS-K-7361 및 JIS-K-7136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투명광 산란체의 색감은, 변각 광도계(일본전색공업(주)제, 품번:GC5000L, D65 광원)를 사용하고, 입사각을 45도로 세트했을 때의 0도 방향에의 반사광의 CIE1976 색공간로 나타냈을 때의 a*, b*의 값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해당 투명광 산란체는, 사상성이,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고,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99%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8%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7% 이하이며,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하이다. 해당 투명광 산란체의 사상성이 상기 범위 내이면, 투명 스크린을 투과하여 보이는 상이 매우 선명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상성이란, JIS K7374에 준거하여, 광학빗 폭 0.125mm로 측정했을 때의 상(像)선명도(%)의 값이다.
해당 투명광 산란체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용도, 생산성, 취급성, 및 반송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20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5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mm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광 산란체」이란, 소위 필름, 시트, 기판 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는 도막체, 플레이트(판상 성형물) 등의 여러 가지의 두께의 성형체를 포함한다.
(투명 바인더)
본 발명에 있어서는, 투명성이 높은 투명광 산란체를 얻기 위해서, 투명 바인더를 사용한다. 투명 바인더로서는, 유기계 바인더나 무기계 바인더가 있다. 유기계 바인더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나, 열경화성 수지 및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등의 자기(自己) 가교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비닐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불소계 수지, 및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수지, 셀룰오로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니트로셀루로오스 수지, 및 폴리스티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아크릴계나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나 에폭시계, 실리콘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가지는 것, 예를 들면 비교적 저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다가 알코올 등의 다관능 화합물의 (메타)알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 및 반응성 희석제로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스티렌, N-비닐피롤리돈 등의 단관능 모노머 및 다관능 모노머, 예를 들면, 폴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비교적 다량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및 용매와 혼합된 것이어도 된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페놀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멜라민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요소(尿素)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투명성이 높은 무기계 바인더로서는, 예를 들면, 물유리, 저(低)연화점을 가지는 유리 재료, 또는 졸 겔 재료를 들 수 있다. 물유리란, 알칼리 규산염의 농후 (濃厚) 수용액을 말하고, 알칼리 금속으로서는 통상 나트륨이 포함되어 있다. 대표적인 물유리는, Na2O·nSiO2(n:양의 임의의 수)에 의해 나타낼 수 있고, 시판품으로서는 후지화학(주)사제 규산 소다를 사용할 수 있다.
저연화점을 가지는 유리 재료는, 연화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150∼620℃의 범위에 있는 유리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화 온도가 200∼600℃의 범위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연화 온도가 250∼550℃의 범위이다. 이와 같은 유리 재료로서는, PbO-B2O3계, PbO-B2O3-SiO2계, PbO-ZnO-B2O3계, 산 성분 및 금속 염화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열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납프리 저연화점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저연화점 유리 재료에는, 미립자의 분산성 및 성형성 향상을 위해서, 용매 및 고비등점 유기용매 등을 혼합할 수 있다.
졸 겔 재료는, 열이나 광, 촉매 등의 작용에 의하여, 가수분해 중축합이 진행되어, 경화되는 화합물군이다. 예를 들면, 금속 알콕사이드(금속 알코올레이트),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할로겐화 금속, 액상 유리, 스핀 온 유리, 또는 이들의 반응물이며, 이들에 경화를 촉진시키는 촉매를 포함하게 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금속 알콕사이드 관능기의 일부에 아크릴기 등의 광반응성의 관능기를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이들은,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 종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졸 겔 재료의 경화체란, 졸 겔 재료의 중합 반응이 충분히 진행된 상태를 가리킨다. 졸 겔 재료는, 중합 반응의 과정에 있어서 무기 기판의 표면과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강하게 접착된다. 그 때문에, 경화물층으로서 졸 겔 재료의 경화체를 사용함으로써, 안정된 경화물층을 형성할 수 있다.
금속 알콕사이드란, 가수분해 촉매 등에 의해 임의의 금속종을, 물이나 유기용매와 반응시켜 얻어지는 화합물군이며, 임의의 금속종과, 하이드록시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등의 관능기가 결합된 화합물군이다. 금속 알콕사이드의 금속종으로서는, 실리콘, 티탄, 알루미늄, 게르마늄, 붕소, 지르코늄, 텅스텐, 나트륨, 칼륨, 리튬, 마그네슘, 주석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종이 실리콘의 금속 알콕사이드로서는, 디메틸디에톡시실란, 디페닐디에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MTES), 비닐트리에톡시실란, p-스티릴트리에톡시실란, 메틸페닐디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우레이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트리에톡시실란, 디페닐실란디올, 디메틸실란디올 등이나, 이들 화합물군의 에톡시기가, 메톡시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하이드록시기 등으로 치환된 화합물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트리에톡시실란(TEOS), TEOS의 에톡시기를 메톡시 기로 치환한 테트라메톡시실란(TMOS)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 종류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용매)
이들 유기계 바인더, 무기계 바인더는 필요에 따라 용매를 더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용매로서는, 유기용매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도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매가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물을 시작으로 하는 친수성 용매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인더가 액체인 경우는 용매를 함유하지 않아도 되다.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IPA), n-프로판올, 부탄올, 2-부탄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코올류, 헥산, 헵탄, 옥탄, 데칸,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 테트라메틸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이소포론, 시클로헥산온, 시클로펜탄온, N-메틸-2-피롤리돈 등의 케톤류, 부톡시에틸에테르, 헥실 옥시에틸알코올, 메톡시-2-프로판올, 벤질옥시에탄올 등의 에테르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셀로솔브,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카르비톨, 메틸카르비톨, 에틸카르비톨, 부틸카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락트산에틸, γ-부티로락톤 등의 에스테르류, 페놀, 클로로페놀 등의 페놀류, N,N-디메틸폼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클로로폼, 염화메틸렌, 테트라클로로에탄, 모노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계 용매, 2황화탄소 등의 함(含)헤테로 원소 화합물, 물, 및 이들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용매의 첨가량은, 바인더나 미립자의 종류나 후술하는 제조 공정에 적합한 점도 범위 등에 따라,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금속계 미립자)
금속계 미립자에 사용하는 금속재료는, 투영광의 반사성 및 색재현성이 뛰어난 금속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금속재료는, 측정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 R이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55%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고,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99%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8%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7% 이하이며,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하이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반사율 R」이란, 금속재료에 대하여 광을 수직 방향으로부터 입사시켰을 때의 반사율을 가리킨다. 반사율 R은 금속재료 고유값인 굴절률 n과 소쇠계수(消衰係數) k의 값을 사용하여 하기 식(1)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n 및 k는, 예를 들면 Handbook of Optical Constants of Solids: Volume 1(Edward D.Palik저(著))이나, P.B. Johnson and R.W Christy, PHYSICAL REVIEW B, Vol.6, No.12, 4370-4379(1972) 등에 기재되어 있다.
   R={(1-n)2+k2}/{(1+n)2+k2}  식(1)
즉, 측정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 R(550)은, 파장 550nm로 측정했을 때의 n 및 k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금속재료는, 측정 파장 4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 R(450)과, 측정 파장 6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 R(650)의 차의 절대값이, 측정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 R(650)에 대하여 25% 이내이고, 바람직하게는 20% 이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내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상이며,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다. 이와 같은 금속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반사형 투명 스크린으로서 사용한 경우, 투영광의 반사성 및 색재현성이 뛰어나, 스크린으로서의 성능이 뛰어나다.
 금속계 미립자에 사용하는 금속재료는, 550nm에 있어서의 유전율(誘電率)의 실수항(實數項) ε'(550)이, 바람직하게는 -6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5, 더욱 바람직하게는 -47∼-8,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45∼-10이다. 또한, 유전율의 실수항 ε'는, 굴절률 n과 소쇠계수 k의 값을 사용하여 하기 식(2)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ε' = n2 - k2   식(2)
본 발명은 어떠한 이론에도 속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금속재료의 유전율의 실수항 ε'이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이하의 작용이 발생되어, 투명광 산란체가 반사형 투명 스크린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즉, 광이 금속계 미립자 안으로 들어오면, 금속계 미립자 중에는 광에 의한 진동 전계가 발생되지만, 동시에 금속계 미립자의 자유 전자에 의해 역방향의 전기분극이 발생되어 전계(電界)를 차폐하여 버린다. 표면 요철에 의한 확산이나 금속계 미립자에 의한 광의 흡수가 없다는 이상(理想) 상태를 가정하면, 금속재료의 유전율의 실수광 ε'이 0 이하일 때, 광이 완전하게 차폐되어 금속계 미립자 안으로 광이 들어갈 수 없는, 즉, 모든 광이 금속계 미립자 표면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광의 반사성은 강해진다. ε'이 0보다 클 때, 금속계 미립자의 자유전자의 진동은 광의 진동에 추종 할 수 없기 때문에, 광에 의한 진동 전계를 완전하게는 지우지 못하여, 광은 금속계 미립자 안으로 들어오거나, 투과하거나 한다. 그 결과, 금속계 미립자 표면에서 반사되는 것은 일부의 광만으로 되고, 광의 반사성은 낮아진다. 또한, 산화물 등은 진동에 기여할 수 있는 자유전자가 적기 때문에 광의 반사성이 낮다.
금속재료로서는, 상기의 반사율 R, 바람직하게는 유전율의 실수항을 더 만족하는 금속재료를 사용한 것이면 되고, 순금속이나 합금도 사용할 수 있다. 순금속으로서는 알루미늄, 은, 백금, 티탄, 니켈, 및 크롬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계 미립자로서는, 이들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나, 이들 금속재료를 수지, 유리, 천연 운모 혹은 합성 운모 등으로 피복한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계 미립자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박편상(薄片狀) 미립자나 대략 구상(球狀) 미립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각종의 금속재료에 관하여, 각 측정 파장에 있어서의 굴절률 n 및 소쇠계수 k를 표 1에, 그 값을 사용하여 산출한 반사율 R 및 ε'을 표 2에 정리한다. 여기서, n(450)은 측정 파장 450nm에 있어서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550)은, 측정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굴절률을 나타내며, n(650)은 측정 파장 650nm에 있어서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또한, k(450)는 측정 파장 450nm에 있어서의 소쇠계수를 나타내고, k(550)는, 측정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소쇠계수를 나타내며, k(650)는 측정 파장 650nm에 있어서의 소쇠계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8105441110-pct00001
Figure 112018105441110-pct00002
금속계 미립자는, 투명광 산란체 내에 있어서, 투명성과 반사성을 양립할 수 있는 적당한 사이즈로 응집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명광 산란체 내에 있어서의 금속계 미립자의 평균 2차 입자경은, 100nm∼2000nm이고, 바람직하게는 200nm∼1800n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nm∼1500nm이다. 평균 2차 입자경이 너무 작으면, 레일리(Rayleigh) 산란이 발생되어, 푸른 광이 반사되게 되기 때문에, 시인되는 영상광은 푸른빛을 띠어 버린다. 또한 평균 2차 입자경이 너무 작으면, 프로젝터로부터 출사된 투영광을 결상(結像)하기 위해서 미립자를 대량으로 첨가할 필요가 발생되어, 투명성이 뒤떨어지는 광산란체가 되어 버린다. 평균 2차 입자경이 100nm 이상이면, 시인되는 영상광이 푸른빛을 띠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평균 2차 입자경이 너무 크면, 투영광의 전방(前方) 산란이 증가되므로 헤이즈가 높아지고, 광산란체의 투명성이 저하된다. 평균 2차 입자경이 2000nm 이하이면, 특별히 뛰어난 투명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평균 2차 입자경은, 주사형 전자현미경(SEM, (주)히타치하이테크놀로지즈제, 상품명:SU-1500)으로 측정한 화상에 근거하여, 입자경=(장축 방향의 입자경+단축 방향의 입자경)/2로 했을 때의 입자경의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구한 값이다.
투명광 산란체 내의 금속계 미립자의 함유량은, 투명 바인더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01∼0.020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5∼0.015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01질량%이다. 금속계 미립자의 함유량이 0.0001% 이상인 경우, 투사광을 보다 선명하게 결상시킬 수 있으며, 0.020질량% 이하인 경우, 필름의 투명성 저하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금속계 미립자를 상기 범위와 같이 극저(極低) 농도로 수지 안에 분산시켜 투명광 산란체를 형성함으로써,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투영광을 충분히 산란 반사시켜 결상시킬 수 있다.
(기재층)
기재층은, 투명광 산란체를 지지하기 위한 층이며, 투명광 산란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기재층은, 투명광 산란체의 투과 시인성이나 원하는 광학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투명성이 높은 수지 또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의 투명광 산란체와 동일한 투명성이 높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비닐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페놀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설폰계 수지, 및 불소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및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수지를 2종 이상 적층한 적층체 또는 시트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기재층의 두께는, 그 강도가 적절히 되도록 용도·재료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1mm(1000㎛)의 범위로 해도 되고, 1mm 이상의 후판(厚板)이어도 된다.
(보호층)
보호층은, 투명광 산란체의 표면측(관찰자측) 및 이면측의 양면 또는 어느 한쪽의 면에 적층되어도 되고, 내광성(耐光性), 내상성(耐傷性), 기재 밀착성 및 방오성(防汚性) 등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층이다. 보호층은, 투명광 산란체의 투과 시인성이나 원하는 광학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층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수지)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가지는 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설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설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피드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혹은 상기 수지의 블렌드물 등이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의 예로서 들 수 있다. 그 밖에, 아크릴계나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나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에 열가소성 수지와 용매를 혼합한 것, 및 열경화형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피막 형성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가지는 것, 예를 들면 비교적 저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다가 알코올 등의 다관능 화합물의 (메타)알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 및 반응성 희석제로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스티렌, N-비닐피롤리돈 등의 단관능 모노머 및 다관능 모노머, 예를 들면, 폴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비교적 다량으로 함유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하기 위해서는, 이 중에 광중합 개시제로서 아세트페논류, 벤조페논류, 미히라벤조일벤조에이트, α-아밀옥심에스테르,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설파이드, 티옥산톤류나, 광증감제로서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폴리-n-부틸호소핀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올리고머로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경화 방법으로서는,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경화 방법은 통상의 경화 방법, 즉, 전자선 또는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선 경화의 경우에는, 콕크로프트 월턴(Cockcroft Walton)형, 반데그라프(Van de Graaff)형, 공진 변압형, 절연 코어 변압기형, 직선형, 다이나믹트론(dynamitron)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로부터 방출되는 50∼1000KeV, 바람직하게는 100∼300KeV의 에너지를 가지는 전자선 등이 사용되고, 자외선 경화의 경우에는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 크세논 아크,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의 광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외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호층은, 상기 전리방사(자외선)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도공액을 스핀 코트, 다이 코트, 딥 코트, 바 코트, 플로우 코트, 롤 코트, 그라비아 코트 등의 방법으로, 상기의 반사형 스크린용 투명광 산란체의 표면측(관찰자측) 및 이면측의 양면 또는 어느 한쪽의 면에 도포하고,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 도공액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호층의 표면에는, 목적에 따라, 요철 구조, 프리즘 구조, 마이크로 렌즈 구조 등의 미세 구조를 부여할 수도 있다.
(점착층)
점착층은, 지지체에 투명광 산란체를 첩부(貼付)하기 위한 층이다. 점착층은, 투명광 산란체의 투과 시인성이나 원하는 광학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천연 고무계, 합성 고무계, 아크릴 수지계, 폴리비닐에테르 수지계, 우레탄 수지계, 실리콘 수지계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고무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고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고무,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실리콘 수지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점착제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 점착제는, 적어도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모노머를 포함해 중합시킨 것이다. 탄소 원자수 1∼18 정도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모노머와 카복실기를 가지는 모노머와의 공중합체인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을 말한다.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모노머의 예로서는,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n-프로필, (메타)아크릴산sec-프로필, (메타)아크릴산n-부틸, (메타)아크릴산sec-부틸, (메타)아크릴산tert-부틸, (메타)아크릴산이소아밀, (메타)아크릴산n-헥실, (메타)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n-옥틸, (메타)아크릴산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운데실 및 (메타)아크릴산라우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통상은, 아크릴계 점착제 중에 30∼99.5질량부의 비율로 공중합되어 있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 점착제를 형성하는 카복실기를 가지는 모노머로서는,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산, 말레산모노부틸 및 β-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 점착제에는, 상기 이외에, 아크릴계 수지 점착제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가 공중합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의 예로서는, (메타)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2-하이드록시프로필 및 알릴알코올 등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모노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및 N-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모노머;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및 디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와 메틸올기를 함유하는 모노머;아미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비닐피리딘 등의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모노머와 같은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 그 밖에도 불소 치환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 이외, 스티렌 및 메틸스티렌 등의 비닐기 함유 방향족 화합물, 아세트산비닐, 할로겐화 비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는 시판의 것을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SK다인 2094, SK다인 2147, SK다인 1811L, SK다인 1442, SK다인 1435, 및 SK다인 1415(이상, 소켄화학(주)제), 오리바인 EG-655, 및 오리바인 BPS5896(이상, 토요잉크(주)제) 등(이상, 상품명)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
반사 방지층은, 투명광 산란체 표면 또는, 투명광 산란체가 지지체 등과의 적층체인 경우는 그 적층체의 최표면에 있어서의 반사나, 외광(外光)으로부터의 영상 겹침을 방지하기 위한 층이다. 반사 방지층은, 투명광 산란체나 그 적층체의 관찰자측 또는 반대측의 편면(片面)에만 적층되는 것이어도 되고, 양면에 적층되는 것이어도 된다. 특히 반사형 스크린으로서 사용할 때 관찰자 측에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은, 투명광 산란체나 그 적층체의 투과 시인성이나 원하는 광학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수지나 금속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선·전자선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 즉,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에 열가소성 수지와 용매를 혼합한 것, 및 열경화형 수지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코팅 필름의 첩합, 필름 기판에 직접 증착 또는 스퍼터링 등으로 드라이 코트하는 방식, 그라비아 도공, 마이크로 그라비아 도공, 바 도공, 슬라이드 다이 도공, 슬롯 다이 도공, 딥 코트 등의 웨트 코트 처리 등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광 산란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한 투명광 산란체의 제조 방법은, 투명광 산란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투명광 산란체를 형성하는 공정은, 혼련공정과 제막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압출 성형법, 캐스트 성막법, 스핀 코트, 다이 코트, 딥 코트, 바 코트, 플로우 코트, 롤 코트, 그라비아 코트, 스프레이 코트 등의 도포법, 사출 성형법, 캘린더 성형법, 블로우 성형법, 압축 성형법, 셀 캐스트법 등 공지의 방법에 의해 성형 가공할 수 있고, 성막 가능한 막두께 범위의 넓이로부터, 압출 성형법, 사출 성형법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압출 성형법의 각 공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혼련공정)
혼련공정은, 혼련압출기를 사용하고, 상기의 투명 바인더로서 수지와 금속계 미립자를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는 공정이다. 혼련압출기로서는, 단축 혼련압출기이어도 되고, 2축 혼련압출기를 사용해도 된다. 2축 혼련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2축 혼련압출기의 스크류 전체 길이에 걸친 평균값으로서, 바람직하게는 3∼1800KPa, 보다 바람직하게는 6∼1400KPa의 전단 응력을 걸면서, 상기의 수지와 금속계 미립자를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는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단 응력이 상기 범위 내이면, 미립자를 수지중에 충분히 분산시킬 수 있다. 특히, 전단 응력이 3KPa 이상이면, 미립자의 분산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1800KPa 이하이면, 수지의 분해를 방지하여, 투명광 산란체 내에 기포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단 응력은, 2축 혼련압출기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립자를 미리 첨가한 수지(마스터 배치)와, 미립자를 첨가하지 않은 수지를 혼합한 것을, 단축 혼련압출기 또는 2축 혼련압출기를 사용하여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어도 된다. 상기는 혼련공정의 일례이며, 단축 혼련압출기를 사용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작해도 되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분산제를 첨가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작해도 된다.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의 수지와 미립자 이외에도, 투명광 산란체의 투과 시인성이나 원하는 광학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종래 공지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활제, 자외선 흡수제, 상용화제, 핵제 및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지와 미립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혼련공정에 사용하는 2축 혼련압출기는, 실린더 내에 2개의 스크류가 삽입된 것이며, 스크류 엘리먼트(screw element)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스크류는, 적어도, 반송 엘리먼트와, 혼련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플라이트 스크류(flight screw)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혼련 엘리먼트는, 니딩(kneading) 엘리먼트, 믹싱 엘리먼트, 및 로터리 엘리먼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혼련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플라이트 스크류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전단 응력을 걸면서, 미립자를 수지 중에 충분히 분산시킬 수 있다.
(제막공정)
제막공정은, 혼련공정에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제막하는 공정이다. 제막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투명광 산란체를 제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혼련공정에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융점 이상의 온도(Tm∼Tm+70℃)로 가열된 용융압출기에 공급하여, 수지 조성물을 용융한다. 용융압출기로서는, 단축 혼련압출기, 2축 혼련압출기, 벤트압출기, 텐덤압출기 등을 목적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용융한 수지 조성물을, 예를 들면 T 다이 등의 다이에 의해 시트 상(狀)으로 압출하고, 압출된 시트상물을 회전하고 있는 냉각 드럼 등으로 급냉 고화함으로써 시트상의 성형체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혼련공정과 연속하여 제막공정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혼련공정에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용융 상태인 채 직접, 다이에 의해 압출하여 시트상의 투명광 산란체를 성형할 수도 있다.
제막공정에 의해 얻어진 시트상의 투명광 산란체는,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또한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해도 된다. 상기의 투명광 산란체를 연신함으로써, 기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반사형 투명 스크린>
본 발명에 의한 반사형 투명 스크린은, 상기의 투명광 산란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반사형 투명 스크린은, 상기의 투명광 산란체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투명 파티션 등의 지지체를 더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반사형 투명 스크린은, 평면이어도 되고, 곡면이어도 되고, 요철면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지지체)
지지체는, 투명광 산란체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체는, 반사형 투명 스크린의 투과 시인성이나 원하는 광학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투명 파티션, 유리 윈도우, 승용차의 헤드 업 디스플레이, 및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해당 반사형 투명 스크린은, 변각 분광 광도계로 측정한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가, 하기의 조건 A를 만족한다. 조건 A를 만족함으로써, 스크린면의 평행 방향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로 광을 입사했을 때, 90도의 각도로 확산 반사하는 광의 휘도가 적합한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선명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조건 A:스크린면의 평행 방향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로 광을 입사하고, 정반사 방향 135도의 휘도를 100으로 했을 때에, 90도의 확산 반사광의 상대 휘도가 0.00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002 이상 1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4 이상 0.5 이하이다.
<차량용 부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부재는, 상기의 투명광 산란체 또는 반사형 투명 스크린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반사 방지층 등을 더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차량용 부재로서는, 프론트 유리나 사이드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차량용 부재는 상기의 투명광 산란체 또는 반사형 투명 스크린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스크린을 설치하지 않아도, 차량용 부재 상에 선명한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건물용 부재>
본 발명에 의한 건물용 부재는, 상기의 투명광 산란체 또는 반사형 투명 스크린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반사 방지층 등을 더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건물용 부재로서는, 주택의 창유리, 편의점이나 노면점의 유리벽 등을 들 수 있다. 건물용 부재는 상기의 투명광 산란체 또는 반사형 투명 스크린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스크린을 설치하지 않아도, 건물용 부재 상에 선명한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영상 투영 시스템>
본 발명에 의한 영상 투영 시스템은, 상기의 투명광 산란체 또는 반사형 투명 스크린과, 영상투사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영상투사장치란, 스크린 상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시판되는 프런트 프로젝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반사형 투명 스크린 및 영상 투영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의 모식도를 도 2에 나타낸다. 반사형 투명 스크린(20)은, 투명 파티션(지지체)(21)과, 투명 파티션(21) 상의 관찰자(22) 측에 배치된 투명광 산란체(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투명광 산란체(10)는, 투명 파티션(21)에 첩부하기 위해, 점착층을 포함해도 된다. 영상 투영 시스템은, 반사형 투명 스크린(20)과, 반사형 투명 스크린(20)에 대하여 관찰자(22)와 동일한 측(전면측)에 설치된 영상투사장치(2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영상투사장치(23)로부터 출사된 투영광(24)은, 투명 스크린(20)의 전면측으로부터 입사하고, 투명광 산란체(10)에 의해 이방적으로 산란함으로써, 관찰자(22)는 산란광(25)을 시인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각종 물성 및 성능 평가의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평균 2차 입자경
투명광 산란체 내에 있어서의 금속계 미립자의 평균 2차 입자경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히타치하이테크놀로지즈(주)제, 상품명:SU-1500)를 사용하여 취득한 화상에 근거하여, 입자경=(장축 방향의 입자경+단축 방향의 입자경)/2로 했을 때의 입자경의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측정했다.
(2) 헤이즈
투명광 산란체의 헤이즈값을, 탁도계(일본전색공업(주)제, 품번:NDH-5000)를 사용하고, JIS K7136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3) 전광선 투과율
투명광 산란체의 전광선 투과율을, 탁도계(일본전색공업(주)제, 품번:NDH-5000)를 사용하고, JIS K7361-1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4) 색감
변각 광도계(일본전색공업(주)제, 품번:GC5000L, D65 광원)를 사용하고, 입사각을 45도로 했을 때의 0도 방향으로의 반사광을 CIE1976 색공간으로 나타냈을 때의 a*, b*의 값을 측정함으로써 색감을 평가했다.
(5) 사상성
사상성 측정기(스가시험기(주)제, 품번:ICM-1 T)를 사용하고, JIS K7374에 준거하여, 광학빗 폭 0.125mm로 측정했을 때의 상(像)선명도(%)의 값을 사상성으로 했다. 상선명도의 값이 클수록 사상성이 높고, 투명 스크린을 투과하여 보이는 상이 선명하다.
(6)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
변각 분광 광도계((주)무라카미 색채기술연구소제, 제품번호:GSP-2)를 사용하고, 반사형 투명 스크린면의 평행 방향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로 광을 입사하고, 측정각을 변화시켜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를 측정하고, 정반사 방향 135도의 휘도를 100으로 했을 때의 90도에 있어서의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를 산출했다.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의 측정 방법의 개략도를 도 3에 나타냈다.
(7) 배경상과 투사 영상의 동시 시인성 평가
투명 스크린의 법선 방향에 대하여 하측에 45도의 각도로 50cm 떨어진 위치로부터, 초단초점형(超短焦点型) 프로젝터(세이코엡슨(주)제, 제품번호:EB-535 W)를 사용하여 화상을 투영했다. 다음으로, 스크린의 면 상에 초점이 맞추어지도록 프로젝터의 초점 손잡이를 조정한 후, 스크린의 전방 1m의 개소(箇所)(스크린을 사이에 두고 프로젝터와 동일한 측)로부터, 스크린 상의 투사 영상의 시인성과, 스크린을 투과하여 보이는 배경상의 시인성을 동시에 하기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평가 기준]
◎:매우 선명한 배경상과 매우 선명한 투영 화상을 동시에 시인할 수 있었다.
○:선명한 배경상과 선명한 투영 화상을 동시에 시인할 수 있었다.
△:○평가의 스크린보다 선명함은 뒤떨어지지만, 배경상과 투영 화상을 동시에 시인할 수 있어, 반사형 투명 스크린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배경상이 불선명했거나, 투영 화상이 불선명했기 때문에, 반사형 투명 스크린으로서 사용하는 데는 부적합했다.
<투명광 산란체의 제작>
[실시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펠렛((주)벨폴리에스테르제, 상표 IFG8L)과, PET 펠렛에 대하여 0.004질량%의 알루미늄 미립자 A(일본이온(주)제 알루미늄 나노 파우더)를, 텀블러 혼합기로 30분간 혼합하여, 표면에 균일하게 알루미늄 미립자 A가 부착된 PET 펠렛을 얻었다. 얻어진 펠렛을, 스트랜드 다이스를 구비한 2축 혼련압출기의 호퍼에 공급하여, 압출 온도 250℃에서 알루미늄 미립자 A가 혼련된 PET 펠렛을 얻었다. 얻어진 알루미늄 미립자 A 함유 PET 펠렛을, T 다이를 구비한 단축 압출기의 호퍼에 투입하고, 250℃에서 압출하고, 두께 100㎛의 필름을 제막하여, 투명광 산란체를 얻었다.
얻어진 투명광 산란체 내에 있어서의 알루미늄 미립자 A의 평균 2차 입자경을 측정했던바, 100nm이었다. 투명광 산란체는, 헤이즈값이 2.7%, 전광선 투과율이 89.1%이고, 색감의 지표인 a*는 0.12, b*는 3.15이며, 높은 투명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사상성은 93%이며, 투명광 산란체를 투과하여 보이는 상이 선명했다.
또한, 투명광 산란체를 그대로 투명 스크린으로서 사용하고,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를 변각 분광 광도계로 측정했던바, 0.118이며, 초단초점형 프로젝터로 영상을 투영했던바, 매우 선명한 배경상과 매우 선명한 투영 화상을 동시에 시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알루미늄 미립자 A 대신에, PET 펠렛에 대하여 0.015질량%의 알루미늄 미립자 B(야마토금속분공업(주)제 알루미늄 파우더)을 첨가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광 산란체를 제작했다.
얻어진 투명광 산란체 내에 있어서의 알루미늄 미립자 B의 평균 2차 입자경을 측정했던바, 1800nm이었다. 투명광 산란체는, 헤이즈값이 13.7%, 전광선 투과율이 76.1%이고, 색감의 지표인 a*는 0.15, b*는 2.72이며, 높은 투명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사상성은 85%이며, 투명광 산란체를 투과하여 보이는 상이 선명했다.
또한, 투명광 산란체를 그대로 투명 스크린으로서 사용하고,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를 변각 분광 광도계로 측정했던바, 0.025이며, 초단초점형 프로젝터로 영상을 투영했던바, 선명한 배경상과 선명한 투영 화상을 동시에 시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알루미늄 미립자 A 대신에, PET 펠렛에 대하여 0.01질량%의 은미립자((주) 요시미츠화학사제 알루미늄 파우더)를 첨가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광 산란체를 제작했다.
얻어진 투명광 산란체 내에 있어서의 은미립자의 평균 2차 입자경을 측정했던바, 500nm이었다. 투명광 산란체는, 헤이즈값이 4.1%, 전광선 투과율이 83.6%이고, 색감의 지표인 a*는 -0.06, b*는 3.43이며, 높은 투명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사상성은 87%이며, 투명광 산란체를 투과하여 보이는 상이 선명했다.
또한, 투명광 산란체를 그대로 투명 스크린으로서 사용하고,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를 변각 분광 광도계로 측정했던바, 0.007이며, 초단초점형 프로젝터로 영상을 투영했던바, 매우 선명한 배경상과 매우 선명한 투영 화상을 동시에 시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스퍼터링 장치((주)ULVAC사제, 제품번호:MLH-2304)를 사용하고, DC마그네트론 스퍼터법에 의해 두께 500nm의 니켈 박막을 제작하여, 얻어진 니켈 박막을 분쇄기(닛신엔지니어링사제 분쇄기, 제품번호:SJ-100C)에 의해 분쇄함으로써, 니켈 미립자 A의 분체를 얻었다.
알루미늄 미립자 A 대신에, PET 펠렛에 대하여 0.0005질량%의 상기의 니켈 미립자 A를 첨가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광 산란체를 제작했다.
얻어진 투명광 산란체 내에 있어서의 니켈 미립자 A의 평균 2차 입자경을 측정했던바, 1000nm이었다. 투명광 산란체는, 헤이즈값이 6.5%, 전광선 투과율이 80.2%이고, 색감의 지표인 a*는 0.49, b*는 1.90이며, 높은 투명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사상성은 92%이며, 투명광 산란체를 투과하여 보이는 상이 선명했다.
또한, 투명광 산란체를 그대로 투명 스크린으로서 사용하고,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를 변각 분광 광도계로 측정했던바, 0.005이며, 초단초점형 프로젝터로 영상을 투영했던바, 실시예 1보다 선명함은 뒤떨어지지만, 배경상과 투영 화상을 동시에 시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알루미늄 미립자 A 대신에, PET 펠렛에 대하여 0.004질량%의 알루미늄 미립자 C(야마토금속분공업(주)제, 알루미늄 파우더)을 첨가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광 산란체를 제작했다.
얻어진 투명광 산란체 내에 있어서의 알루미늄 미립자 C의 평균 2차 입자경을 측정했던바, 1200nm이었다. 투명광 산란체는, 헤이즈값이 3.7%, 전광선 투과율이 86.1%이고, 색감의 지표인 a*는 0.17, b*는 1.38이며, 높은 투명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사상성은 91%이며, 투명광 산란체를 투과하여 보이는 상이 선명했다.
또한, 투명광 산란체를 그대로 투명 스크린으로서 사용하고,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를 변각 분광 광도계로 측정했던바, 0.007이며, 초단초점형 프로젝터로 영상을 투영했던바, 선명한 배경상과 선명한 투영 화상을 동시에 시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스퍼터링 장치를 사용하고 두께 300nm의 니켈 박막을 제작하여, 얻어진 니켈 박막을 분쇄기에 의해 분쇄함으로써, 니켈 미립자 B의 분체를 얻었다.
알루미늄 미립자 A 대신에, PET 펠렛에 대하여 0.02질량%의 상기의 니켈 미립자 B를 첨가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광 산란체를 제작했다.
얻어진 투명광 산란체 내에 있어서의 니켈 미립자 B의 평균 2차 입자경을 측정했던바, 200nm이었다. 투명광 산란체는, 헤이즈값이 9.2%, 전광선 투과율이 71.6%이고, 색감의 지표인 a*는 0.62, b*는 2.35이며, 높은 투명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사상성은 93%이며, 투명광 산란체를 투과하여 보이는 상이 선명했다.
또한, 투명광 산란체를 그대로 투명 스크린으로서 사용하고,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를 변각 분광 광도계로 측정했던바, 0.002이며, 초단초점형 프로젝터로 영상을 투영했던바, 선명한 배경상과 선명한 투영 화상을 동시에 시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알루미늄 미립자 A 대신에, PET 펠렛에 대하여 0.001질량%의 백금 미립자(코어·프론트사제, 9410DX)를 첨가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광 산란체를 제작했다.
얻어진 투명광 산란체 내에 있어서의 백금 미립자의 평균 2차 입자경을 측정했던바, 300nm이었다. 투명광 산란체는, 헤이즈값이 5.4%, 전광선 투과율이 88.3%이고, 색감의 지표인 a*는 0.33, b*는 2.42이며, 높은 투명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사상성은 89%이며, 투명광 산란체를 투과하여 보이는 상이 선명했다.
또한, 투명광 산란체를 그대로 투명 스크린으로서 사용하고,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를 변각 분광 광도계로 측정했던바, 0.009이며, 초단초점형 프로젝터로 영상을 투영했던바, 선명한 배경상과 선명한 투영 화상을 동시에 시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알루미늄 미립자 A 대신에, PET 펠렛에 대하여 0.004질량%의 알루미늄 미립자 D(일본이온(주)제, 알루미늄 파우더)을 첨가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광 산란체를 제작했다.
얻어진 투명광 산란체 내에 있어서의 알루미늄 미립자 D의 평균 2차 입자경을 측정했던바, 3000nm이었다. 투명광 산란체는, 헤이즈값이 7.7%, 전광선 투과율이 82.5%이며, 색감의 지표인 a*는 0.23, b*는 1.18이었다. 또한, 사상성은 82%이었다.
또한, 투명광 산란체를 그대로 투명 스크린으로서 사용하고,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를 변각 분광 광도계로 측정했던바, 0.0002이며, 초단초점형 프로젝터로 영상을 투영했던바, 선명한 배경상과 선명한 투영 화상을 동시에 시인할 수 없었다.
[비교예 2]
알루미늄 미립자 A 대신에, PET 펠렛에 대하여 0.10질량%의 산화티탄 미립자(이시하라산업(주)제, 상품명:CR·EL)를 첨가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광 산란체를 제작했다.
얻어진 투명광 산란체 내에 있어서의 산화티탄 미립자의 평균 2차 입자경을 측정했던바, 500nm이었다. 투명광 산란체는, 헤이즈값이 7.3%, 전광선 투과율이 82.8%이고, 색감의 지표인 a*는 -1.66, b*는 -12.90이며, 불투명했다. 또한, 사상성은 83%이며, 투명광 산란체를 투과하여 보이는 상은 선명했지만, 색감은 전체적으로 푸른빛을 띄어, 색재현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또한, 투명광 산란체를 그대로 투명 스크린으로서 사용하고,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를 변각 분광 광도계로 측정했던바, 0.010이며, 초단초점형 프로젝터로 영상을 투영했던바, 선명한 배경상과 선명한 투영 화상을 동시에 시인할 수 없었다.
[비교예 3]
스퍼터링 장치를 사용하고, DC마그네트론 스퍼터법에 의해 두께 30nm의 구리 박막을 제작하여, 얻어진 동박막을 분쇄기에 의해 분쇄함으로써 구리 미립자를 얻었다.
알루미늄 미립자 A 대신에, PET 펠렛에 대하여 0.05질량%의 상기의 구리 미립자를 첨가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광 산란체를 제작했다.
얻어진 투명광 산란체 내에 있어서의 구리 미립자의 평균 2차 입자경을 측정했던바, 80nm이었다. 투명광 산란체는, 헤이즈값이 32.2%, 전광선 투과율이 45.0%이고, 색감의 지표인 a*는 13.87, b*는 17.50이며, 투명광 산란체는 불투명하고, 색재현성도 뒤떨어져 있었다. 또한, 사상성은 58%이며, 투명광 산란체를 투과하여 보이는 상은 선명했다.
또한, 투명광 산란체를 그대로 투명 스크린으로서 사용하고,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를 변각 분광 광도계로 측정했던바, 0.14이며, 선명한 화상을 시인할 수 있었지만, 초단초점형 프로젝터로 영상을 투영했던바, 선명한 배경상과 선명한 투영 화상을 동시에 시인할 수 없었다.
[비교예 4]
스퍼터링 장치를 사용하고, DC마그네트론 스퍼터법에 의해 두께 약 1000㎛의 금 박막을 제작하고, 얻어진 금 박막을 분쇄기에 의해 분쇄함으로써 금 미립자를 얻었다.
알루미늄 미립자 A 대신에, PET 펠렛에 대하여 0.0001질량%의 상기의 금 미립자를 첨가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광 산란체를 제작했다.
얻어진 투명광 산란체 내에 있어서의 금 미립자의 평균 2차 입자경을 측정했던바, 3000nm이었다. 투명광 산란체는, 헤이즈값이 0.4%, 전광선 투과율이 89.2%이고, 색감의 지표인 a*는 -1.25, b*는 -8.27이며, 투명광 산란체는 투명했지만, 색재현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또한, 사상성은 92%이며, 투명광 산란체를 투과하여 보이는 상이 선명했다.
또한, 투명광 산란체를 그대로 투명 스크린으로서 사용하고,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를 변각 분광 광도계로 측정했던바, 0.0001이며, 초단초점형 프로젝터로 영상을 투영했던바, 선명한 배경상과 선명한 투영 화상을 동시에 시인할 수 없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투명광 산란체의 상세(詳細) 및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105441110-pct00003
10 투명광 산란체
11 투명 바인더
12 금속계 미립자
20 반사형 투명 스크린
21 투명 파티션(지지체)
22 관찰자
23 영상투사장치
24 투영광
25 산란광

Claims (13)

  1. 투명 바인더와, 금속계 미립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투명광 산란체로서,
    상기 금속계 미립자의 금속재료는, 측정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 R이 50% 이상이고, 또한 측정 파장 4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 R과 측정 파장 6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 R의 차의 절대값이, 측정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반사율 R에 대하여 25% 이내이고, 상기 투명광 산란체 내에 있어서의 상기 금속계 미립자의 평균 2차 입자경이 100nm∼2000nm이고,
    상기 금속계 미립자의 함유량이, 상기 투명 바인더에 대하여 0.0001∼0.01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광 산란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료의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유전율의 실수항 ε'이 -60∼0인, 투명광 산란체.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료가, 알루미늄, 은, 백금, 티탄, 니켈, 및 크롬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투명광 산란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광 산란체의 헤이즈값이 35% 이하인, 투명광 산란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광 산란체의 전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인, 투명광 산란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광 산란체의 사상성이 70% 이상인, 투명광 산란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광 산란체가 반사형 투명 스크린용인, 투명광 산란체.
  8. 청구항 1에 기재된 투명광 산란체를 구비한, 반사형 투명 스크린.
  9. 청구항 8에 있어서,
    변각 분광 광도계로 측정한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가, 하기의 조건 A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투명 스크린.
    조건 A:반사형 투명 스크린면의 평행 방향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로 광을 입사하고, 정반사 방향인 135도의 휘도를 100으로 했을 때에, 90도의 확산 반사광 상대 휘도가 0.001 이상이다.
  10. 청구항 1, 2, 4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투명광 산란체 또는 청구항 8 또는 9에 기재된 반사형 투명 스크린을 구비한, 차량용 부재.
  11. 청구항 1, 2, 4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투명광 산란체 또는 청구항 8 또는 9에 기재된 반사형 투명 스크린을 구비한, 건물용 부재.
  12. 청구항 1, 2, 4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투명광 산란체 또는 청구항 8 또는 9에 기재된 반사형 투명 스크린과, 영상투사장치를 구비한, 화상 투영 시스템.
  13. 삭제
KR1020187030867A 2016-04-25 2017-04-12 투명광 산란체, 그것을 구비한 반사형 투명 스크린, 및 그것을 구비한 영상 투영 시스템 KR102013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87322 2016-04-25
JPJP-P-2016-087322 2016-04-25
PCT/JP2017/015035 WO2017187990A1 (ja) 2016-04-25 2017-04-12 透明光散乱体、それを備えた反射型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映像投影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278A KR20180120278A (ko) 2018-11-05
KR102013094B1 true KR102013094B1 (ko) 2019-08-21

Family

ID=6016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867A KR102013094B1 (ko) 2016-04-25 2017-04-12 투명광 산란체, 그것을 구비한 반사형 투명 스크린, 및 그것을 구비한 영상 투영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41933B2 (ko)
EP (1) EP3451058A4 (ko)
JP (1) JP6313919B2 (ko)
KR (1) KR102013094B1 (ko)
CN (1) CN109073963B (ko)
WO (1) WO2017187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75816A1 (en) * 2018-08-30 2020-03-05 Oregon State University Micro-led apparatus with enhanced illumination, and method for forming such
CN112949411B (zh) * 2021-02-04 2024-02-09 南京大学 一种光谱图像校正方法及装置
KR20230164323A (ko) * 2022-05-25 2023-12-04 한국기계연구원 나노 클러스터를 이용한 대면적 투명 반사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1556A (ja) * 2005-06-28 2007-02-15 Sony Corp 反射型スクリーン
WO2015159829A1 (ja) * 2014-04-14 2015-10-22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透明スクリーン用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1573A (ja) * 1974-10-30 1976-05-07 Kanegafuchi Chemical Ind Biseibutsubaiyoho
EP0281436A1 (fr) * 1987-02-12 1988-09-07 Martine Harraca-Roehl Matériau composite et écrans réalisés dans ce matériau
JPH0795186B2 (ja) 1989-10-03 1995-10-11 凸版印刷株式会社 反射型スクリーン
JP3674891B2 (ja) 1996-12-24 2005-07-27 株式会社きもと プロジェクタ用反射型スクリーン
WO2003050612A1 (en) * 2001-12-13 2003-06-19 Sony Corporation Scree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system
JP4111011B2 (ja) * 2002-03-14 2008-07-02 ソニー株式会社 投影用スクリーン
JP2004054132A (ja) 2002-07-23 2004-02-19 Daicel Chem Ind Ltd 反射スクリーン
KR100754165B1 (ko) * 2003-11-06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및 이를 이용한 프로젝터
CN101118291B (zh) * 2006-08-04 2010-04-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扩散片
JP5621312B2 (ja) * 2010-05-11 2014-1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クリーン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US7911692B2 (en) 2009-07-03 2011-03-22 Seiko Epson Corpora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CN104145215B (zh) * 2012-03-02 2016-12-14 三菱制纸株式会社 透射型屏幕
US9335027B2 (en) * 2013-01-02 2016-05-1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parent display using scattering nanoparticles
JP5752834B1 (ja) * 2014-04-14 2015-07-22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透明スクリーン用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
US10018754B2 (en) * 2014-12-22 2018-07-10 Jxtg Nippon Oil & Energy Corporation Sheet-form transparent molding, transparent screen comprising same, and image projection device comprising same
WO2016203915A1 (ja) 2015-06-15 2016-12-22 Jxエネルギー株式会社 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映像投影システム
EP3314820B1 (en) * 2015-06-30 2021-02-24 K4Connect Inc. Home automation system including device signature pairing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1556A (ja) * 2005-06-28 2007-02-15 Sony Corp 反射型スクリーン
WO2015159829A1 (ja) * 2014-04-14 2015-10-22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透明スクリーン用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41933B2 (en) 2020-05-05
KR20180120278A (ko) 2018-11-05
EP3451058A4 (en) 2019-12-25
CN109073963A (zh) 2018-12-21
US20190146127A1 (en) 2019-05-16
WO2017187990A1 (ja) 2017-11-02
JPWO2017187990A1 (ja) 2018-06-28
CN109073963B (zh) 2020-06-23
EP3451058A1 (en) 2019-03-06
JP6313919B2 (ja)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3522B1 (ja) 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映像投影システム
JP6199530B1 (ja) 反射型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
JP6480081B2 (ja) 視認性向上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積層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JP6266844B2 (ja) シート状透明積層体、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映像投影システム
WO2017010217A1 (ja) 透明スクリーンの透明光散乱層を形成するための分散液、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透明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WO2016190137A1 (ja) 透明積層体、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映像投影システム
KR102013094B1 (ko) 투명광 산란체, 그것을 구비한 반사형 투명 스크린, 및 그것을 구비한 영상 투영 시스템
JP6691815B2 (ja) 映像投影システム
JP6765912B2 (ja) 映像を投影可能な積層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映像投影システム
JP7134123B2 (ja) 映像投影システム
JP6691809B2 (ja) 映像投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