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670B1 - 플라스마 처리 표면상태 측정시약 - Google Patents

플라스마 처리 표면상태 측정시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670B1
KR102012670B1 KR1020170116484A KR20170116484A KR102012670B1 KR 102012670 B1 KR102012670 B1 KR 102012670B1 KR 1020170116484 A KR1020170116484 A KR 1020170116484A KR 20170116484 A KR20170116484 A KR 20170116484A KR 102012670 B1 KR102012670 B1 KR 102012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measurement
weight
parts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9203A (ko
Inventor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이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훈 filed Critical 이창훈
Priority to KR1020170116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6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6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3/00Investigating surface or boundary effects, e.g. wetting power; Investigating diffusion effect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surface, boundary, or diffusion effects
    • G01N13/02Investigating surface tension of liqu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마 처리된 측정대상물의 표면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측정대상물의 표면에너지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측정시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마 처리 표면상태 측정시약은 사용이 간단하여 별도의 측정장비가 없어도 산업현장에서 신속히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고 어두운 바탕의 측정대상물에서도 표면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인체 무해한 물과 에탄올을 기재로 하므로 친환경적이고 장기간 보관하여도 성능의 저하가 없으므로 유통 및 사용상 효용성이 높다.

Description

플라스마 처리 표면상태 측정시약{Reagent for Measuring Plasma Treated Surface Finish}
본 발명은 플라스마 처리된 측정대상물의 표면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측정대상물의 표면에너지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측정시약에 관한 것이다.
기체 상태의 물질에 계속 열을 가하여 온도를 올려주면 이온핵과 자유전자로 이루어진 입자들의 집합체인 플라스마(plasma)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플라스마는 산업의 여러 분야에 이용되고 있는데, 이들 중 플라스마 응용 표면처리기술은 플라스마를 이용하여 부품이나 소재의 표면 상태를 목적에 따라 가공처리(표면개질, 화학증착, 식각 등)하는 기술로서, 통상적으로 플라스마를 발생시키는 방식에 따라 상압 플라스마와 진공 플라스마로 분류된다.
플라스마를 이용한 표면개질 가공은 대상물의 표면에너지를 변화시켜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상태로 가공처리하는 작업이고 표면에너지는 코팅과 결착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물리량으로서 계면특성을 결정짓는 핵심요소이며, 표면에너지가 높을수록 부착력이 증가하여 코팅 또는 박막 증착이 용이하고 이종 소재의 접합도 쉽게 일어나 디스플레이의 터치스크린 패널 공정, 접합, 금속의 클래딩(cladding) 작업 등 산업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된다.
이러한 플라스마 표면개질 가공은 플라스마의 온도, 가공시간, 주위환경 등에 따라 처리된 표면상태가 변하므로 표면개질 가공 후에는 가공처리된 표면상태를 측정하여 검사하는 과정이 요구되며, 표면상태의 측정은 주로 표면에너지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표면에너지는 액체의 경우 표면장력 또는 습윤 장력으로 표현되는데, 표면에너지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편평한 시편에 물방울을 떨어뜨려 접촉각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표면에너지를 계산하는 방식이나, 측정하고자 하는 산업제품의 형상은 3차원적이거나 협소하거나 거친 표면상태를 가지는 경우가 많아서 편평한 표면이 요구되는 접촉각 측정방식은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실제 산업현장에서는 플라스마 처리 유무 또는 플라스마 표면처리 결과를 판단할 때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테스트잉크(측정시약)를 사용하며, 상기 측정시약은 표면의 에너지값을 다인값(Dyne value: mN/m)으로 수치화하고 다인값별로 각각 제작하여 사용하며, 정량적인 측정보다는 정성적인 구간 측정에 널리 사용된다.
표면에너지 측정은 상기 표면 측정시약을 면봉 또는 붓(brush)을 사용하여 표면에 길게 선을 긋듯이 발라서 측정시약의 퍼짐성을 관찰하여 판단하는데, 시중에 유통되는 표면에너지 측정시약들은 유독성의 포름아미드(formamide) 계열과 프로판올과 같은 친환경적인 알코올 계열로 크게 분류된다.
그런데 이들 측정시약들은 불투명타입이 아닌 반투명 타입이어서 어두운 색 특히 검은색 측정대상 표면에서는 측정시약이 잘 보이지 않아 측정결과를 판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특히 포름아미드 계열의 유독성 타입은 취급에 어려움이 있고 사용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서 친환경적이면서 어두운 바탕에서도 측정시약을 확연하게 구분할 수 있는 표면상태 측정시약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8-026170호에는 액정 반경 변화를 이용하여 고(高) 표면장력을 갖는 물질의 표면장력을 측정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에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을 용융시켜 회전체에 부착하고 회전체를 일정한 회전각속도(Ωi)로 회전시켜 정지한 다음, 액적의 회전체 방향 반경변화, 액적의 온도(T) 및 진동의 공명모드(resonance mode of occillation)(L)를 측정하고 액적의 반경 변화로부터 주파수(ωi)를 구하며, 회전각속도를 달리하여 반복 측정하고 이들 관계로부터 표면장력을 계산한다.
상기 방법은 종래의 물방울 접촉각을 이용하는 방식에 비하여 좀 더 정확성을 기할 수 있으나, 측정결과의 신뢰성을 얻기 위하여 측정대상 재료에 대한 시험을 반복하여 데이터를 축적해야 하고 측정대상이 제품일 경우 이를 용융시켜야 하므로 시험품이 손상될 수밖에 없으며, 시험장비가 필요하므로 산업현장에서 간단하면서 신속히 측정결과를 얻기 힘들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1-0006370호에는 측정대상 제품이 과산화수소 플라스마 멸균 처리가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구별할 수 있는 화학 지시약 조성물(지시약 잉크)에 관한 내용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은 과산화수소 및 과산화수소로부터 유도된 플라즈마로부터 선택된 물질 하나 이상과 접촉시켰을 때 색이 변화되는 염료와 주위 조건하에서 증발하지 않는 유기 아민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염료는 pH 5.5 내지 9.0 범위의 변화 간격을 갖는 pH 지시 기능을 가지고 있고 유기 아민화합물은 조성물의 pH를 알칼리 쪽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가져서 과산화수소 플라스마 처리된 측정대상물의 pH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으로 멸균상태를 확인한다.
상기 발명은 염료의 색상변화를 통하여 플라스마 처리 결과를 간단하고 신속히 얻을 수 있으나, 과산화수소와 같은 강산화제를 이용하는 공정에만 적용이 가능하고 pH 변화를 통하여 멸균처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 정도만 확인할 수 있을 뿐 플라스마 처리 효율, 성능, 수준 등을 정확히 확인하기는 어렵고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스마 처리된 측정대상물의 표면상태를 산업현장에서 간단하고 신속히 판단할 수 있는 플라스마 처리 표면상태 측정시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이 혼합된 용제 100 중량부에 아조 피라졸론계 안료 3~7 중량부 및 분자량 5000 g/㏖ 이상의 고분자량 습윤분산제 0.3~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조 피라졸론계 안료 100 중량부 기준 펄마이카 안료 10~30 중량부 및 피라졸론계 형광증백제 1~5 중량부가 첨가되고, 상기 펄마이카 안료에 함유된 이산화티타늄 100 중량부 기준 산화주석 20~50 중량부가 첨가된 플라스마 처리 표면상태 측정시약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마 처리 표면상태 측정시약은 사용이 간단하여 별도의 측정장비가 없어도 산업현장에서 신속히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고 어두운 바탕의 측정대상물에서도 표면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체 무해한 물과 에탄올을 기재로 하므로 친환경적이며, 장기간 보관하여도 성능의 저하가 없으므로 유통 및 사용상 효용성이 높다.
액체를 고체 표면에 도포할 경우, 액체의 표면장력(표면에너지)이 고체의 접착력(표면에너지)보다 크면 접촉면은 젖지 않고 액체의 표면장력이 고체의 접착력보다 작으면 접촉면은 젖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시약을 측정대상물의 표면에 도포하고 측정시약이 표면에 젖은 상태, 즉 퍼진 상태를 관찰하여 고체 표면의 표면에너지를 산출한다.
본 발명은 표면에너지(표면장력, 습윤 장력) 28~72 mN/m 범위에서 일련의 단계별 플라스마 처리 표면상태 측정시약을 준비하고 상기 측정시약을 고체 표면에 차례로 접촉시켜 고체 표면에 대한 습윤성(wettability) 수준을 파악하여 표면에너지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측정시약은 물과 에탄올을 기본으로 안료와 분산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물은 증류수와 같이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아야 하고 에탄올은 99.9 % 이상의 순도를 가져야 하며, 안료는 물 또는 에탄올을 용제로 하는 수계 또는 알코올계 안료를 사용하고 분산제는 안료를 용제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키면서 표면에너지 측정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비를 조정하여 표면에너지 측정시약을 제조하며, 예를 들어 중량기준 물 100 %, 물 90 %와 에탄올 10 %, 물 80 %와 에탄올 20 %, … 물 10 %와 에탄올 90 %, 에탄올 100 %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혼합비를 달리하여 용제를 준비한다.
물과 에탄올은 표면장력이 서로 상이하므로 상기와 같이 물과 에탄올의 혼합비율을 순차적으로 달리하여 혼합하면 혼합물의 표면장력 또한 순차적인 변화폭을 보이는데, 본 발명에서 물과 에탄올 각각은 안료 및 분산제와 혼합되어 물 또는 에탄올 100 %에서 각각 72 mN/m, 28 mN/m의 표면에너지를 나타내고 양 성분의 혼합비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일정 수준의 표면에너지가 정해지며, 표면에너지가 다른 측정시약을 측정대상물에 도포하였을 시 측정대상물의 표면에너지에 따라 퍼짐상태가 달라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물과 에탄올의 혼합비를 달리하여 일련의 측정시약을 제조하고 각 측정시약의 표면에너지를 측정하여 데이터화 한 후, 플라스마 처리된 표면에 각각의 측정시약을 차례로 도포하여 측정시약의 퍼짐상태, 즉 습윤성을 관찰함으로써 표면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으며, 도포된 측정시약이 표면에서 동그랗게 응집되지 않고 도포된 상태 그대로 퍼져 있으면 이때의 측정시약 표면에너지 수치가 측정대상물의 표면에너지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측정시약은 물과 에탄올을 용제로 하므로 종래의 포름아미드와 같은 유독성을 나타내지 않아서 측정과정에서 인체에 접촉되거나 기화되어 주위 대기를 오염시켜도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종래의 표면상태 측정시약은 색상이 반투명 타입으로서, 표면 도포시 밝은 바탕의 측정대상은 측정시약의 퍼짐상태를 쉽게 판독할 수 있으나 진한 색상의 측정대상 표면에서는 퍼짐상태를 쉽게 판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측정시약에 함유되는 안료로서 불투명 타입의 수계-알코올계 안료를 사용하여 진한 색상의 측정대상에서도 퍼짐상태를 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
극성이 높은 수계에서 사용 가능한 안료는 종류가 많으나 수계 안료 중에서 극성이 낮은 알코올(에탄올)과 동시 사용이 가능한 안료는 드문 편인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료는 물과 에탄올을 용제로 사용하므로 물과 에탄올 모두에 분산되면서 안료 자체가 계면활성 작용을 갖지 않아서 측정시 표면에너지에 최소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과 에탄올의 혼합 비율에 따라 다인값이 달라지는데 각 다인값 별로 안료를 달리 사용하지 않고 통일된 안료를 사용하여 제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면서, 제조 후 시간이 경과하여도 표면에너지와 색상 변화가 없는 경시안정성을 가지는 안료가 생산 및 유통 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료로서, 본 발명에서는 아조 피라졸론계 안료를 사용하며, 아조 피라졸론계 안료는 아조(azo)계 유기안료의 일종으로서 분자 내에 피라졸론(pyrazolone) 고리를 갖고 있고 착색력, 내광성, 내열성, 내산성, 내알칼리성이 양호하며, 색상이 선명하고 분산성이 우수하며 색 분리가 없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아조 피라졸론계 안료는 측정시 표면에너지에 변화를 주지 않고 물과 에탄올 중에 장기간 보관하여도 표면에너지와 색상 변화가 거의 없어서 플라스마 처리 표면상태를 측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특성을 가진다.
안료 입자의 분산은 안료 입자 표면을 용제로 적절히 습윤시킨 후 교반 등에 의해 안료응집체를 미세한 입자로 분쇄하여 용제 내에 분산시키고 이를 안정화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런데 분쇄된 안료 입자는 작아지면서 비표면적이 커지고 표면의 자유에너지가 증대하여 불안정한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하여 안료의 재응집이 발생하여 분산 상태가 불량해지므로 안료 분산물이 재응집하지 못하도록 안료 표면의 자유에너지를 낮추어 분산을 안정화시킬 필요가 있다.
분산제는 분쇄된 미소 안료 입자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 가하는 첨가제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산제는 일반적으로 안료 분산에 사용되는 분산제이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나, 안료의 습윤과 분산안정화에 좀 더 효과적인 습윤분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안료 분자들은 개별분자로 구성되어 있어서 거의 비극성을 나타내고 이러한 비극성 분자는 비극성 용제에 잘 녹으나 극성 용제에는 잘 녹지 않는 특성이 있어서, 유기안료인 아조 피라졸론계 안료가 극성 용제인 물과 에탄올에 잘 녹지 않으므로 분산성이 불량해질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산제로서 고분자량의 습윤분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분자량 5000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저분자량의 분산제는 무기안료의 표면과는 강한 친화력을 가지나 유기안료와는 친화력이 다소 부족하고, 고분자량의 습윤 분산제는 하나의 사슬에 흡착성능을 나타내는 부사슬이 상당히 많이 결속되어 있어서 안료 표면에 견고히 흡착할 수 있으므로 분산제의 사슬을 이용하여 입체장애 효과로 분산안정화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측정시약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이 혼합된 용제에 안료와 분산제가 첨가되어 제조되고, 물/에탄올 용제 100 중량부에 아조 피라졸론계 안료 3~7 중량부, 분산제 0.3~1.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되며, 상기 아조 피라졸론계 안료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퍼짐상태 판독 성능이 더 이상 높아지지 않고 표면에너지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안료의 불투명도를 높여서 어두운 색상의 측정대상물에서도 퍼짐상태를 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안료에 펄마이카 안료(pearly mica pigment)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펄마이카 안료는 운모의 표면을 광반사율이 높은 이산화티타늄, 산화철 등으로 얇게 피복한 안료로서 이를 아조 피라졸론계 안료가 함유된 물/에탄올 용제에 분산시키면 입사한 광이 피복층과 운모 표면의 반사광과 간섭을 일으켜 특유한 색으로 보이면서 퍼짐상태를 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
안료의 불투명도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상기 펄마이카 안료와 함께 산화주석(tin oxide)을 첨가할 수 있으며, 산화주석은 흑색, 암녹색 또는 백색 분말로서 펄마이카 안료의 이산화티타늄과 작용하여 운모 표면에 화려한 착색효과를 부가함으로써 측정시약의 퍼짐상태를 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
안료의 불투명도를 높이기 위하여 첨가되는 상기 펄마이카 안료는 상기 아조 피라졸론계 안료 100 중량부 기준 10~30 중량부 첨가될 수 있고 산화주석은 상기 펄마이카 안료에 함유된 이산화티타늄 100 중량부 기준 20~50 중량부 첨가될 수 있으며, 이들 펄마이카 안료 및 산화주석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아조 피라졸론계 안료와 마찬가지로 판독 성능은 향상되지 않으면서 표면에너지 측정오차가 커지게 된다.
측정대상 표면이 어두운 색, 특히 검은색일 경우에 측정시약을 좀 더 용이하게 관찰하기 위하여 형광증백제를 더 첨가할 수도 있으며, 형광증백제는 자외선 대역의 빛을 흡수하여 푸른빛의 형광을 내기 때문에 단파장 측 흡수를 보충하여 육안으로 희게 보이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형광증백제에는 스틸벤(stilbene)계, 쿠마린(cumarine)계, 옥사졸(oxazol)계, 이미다졸(imidazol)계, 이미드(imide)계, 피라졸론(pyrazolone)계 등이 있고 측정대상의 재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안료가 아조 피라졸론계 안료를 사용하므로 아조 피라졸론계 안료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피라졸론계 형광증백제가 좀 더 바람직하다.
상기 형광증백제는 아조 피라졸론계 안료 100 중량부 기준 1~5 중량부 첨가될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표면에너지 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어두운 색의 측정대상 표면 관찰이 용이해진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14 및 비교예 1, 2>
교반기가 부착된 500 ㎖ 플라스크에 증류수, 99.9% 에탄올, 안료, 분산제(DISPERBYK-2012, BYK-Chemie GmbH, 독일), 펄마이카 안료(3-126-331, Kenis, 일본), 산화주석 및 형광증백제(C.I No 54)를 하기 표 1의 비율로 넣고 상온에서 10 분간 교반하였으며, 0.2 ㎛의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로 여과하여 플라스마 처리 표면상태 측정시약을 제조하였다.
증류수
(g)
에탄올
(g)
안료
(g)
분산제
(g)
펄마이카 안료(g) 산화주석
(g)
형광증백제(g)
실시예 1 100 0 51) 0.5 - - -
실시예 2 90 10 5 0.5 - - -
실시예 3 80 20 5 0.5 - - -
실시예 4 70 30 5 0.5 - - -
실시예 5 60 40 5 0.5 - - -
실시예 6 50 50 5 0.5 - - -
실시예 7 40 60 5 0.5 - - -
실시예 8 30 70 5 0.5 - - -
실시예 9 20 80 5 0.5 - - -
실시예 10 10 90 5 0.5 - - -
실시예 11 0 100 5 0.5 - - -
실시예 12 50 50 5 0.5 1 - -
실시예 13 50 50 5 0.5 1 0.2 -
실시예 14 50 50 5 0.5 1 0.2 0.1
비교예 1 50 50 52) 0.5 - - -
비교예 2 50 50 53) 0.5 - - -
주1) 실시예 1~11: 아조 피라졸론계 안료(Pyrazolone Orange, J & K SCIENTIFIC LTD., 중국)
주2) 비교예 1: 안트라 퀴논계 안료(ALIZARIN ASTROL, TCI America, 미국)
주3) 비교예 2: 트리페닐메탄계 안료(Acid Blue 9, J & K SCIENTIFIC LTD., 중국)
<시험예 1> 습윤 장력 측정
상기 실시예 1~14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측정시약을 KS M ISO 8296:2012(플라스틱-필름 및 시트-습윤 장력의 측정) 시험법에 의거 습윤 장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습윤 장력 측정결과
습윤 장력(mN/m)
실시예 1 71.8
실시예 2 55.4
실시예 3 46.3
실시예 4 41.1
실시예 5 37.6
실시예 6 35.0
실시예 7 32.8
실시예 8 31.1
실시예 9 29.7
실시예 10 28.6
실시예 11 27.7
실시예 12 34.2
실시예 13 33.7
실시예 14 33.2
비교예 1 31.7
비교예 2 32.0
상기 표 1과 표 2의 실시예 1~11을 보면, 증류수 100 %에서 습윤 장력이 71.8 mN/m이고 에탄올 100 %에서 27.7 mN/m이며, 증류수와 에탄올의 배합비가 순차적으로 변함에 따라 습윤 장력 또한 이에 종속적으로 변동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11와 같이 증류수와 에탄올의 배합비를 조절하여 습윤 장력(표면에너지)이 28~72 mN/m 범위에서 일정 간격을 갖는 측정시약 세트를 준비하고 측정대상물 표면에 상기 측정시약 세트를 차례로 도포하여 퍼짐상태를 판독함으로써 측정대상물 표면의 표면에너지를 산업현장에서 간단히 측정할 수 있다.
퍼짐상태를 좀 더 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펄마이카 안료(실시예 12), 산화주석(실시예 13), 형광증백제(실시예 14)를 첨가할 경우 습윤 장력의 편차가 크지 않고, 또한 펄마이카 안료, 산화주석, 형광증백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측정시약의 습윤 장력을 실시예 1~11과 같은 방법으로 데이터화 하면 표면에너지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안트라 퀴논계 안료와 트리페닐메탄계 안료를 사용한 비교예 1, 2의 경우, 습윤 장력의 저하폭이 커서, 실시예의 아조 피라졸론계 안료에 비하여 정확도가 저하될 것으로 예측된다.
<시험예 2> 저장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측정시약을 20 ℃와 35 ℃의 온도에서 3 개월간 저장한 후 상기 시험예 1과 같은 시험법으로 습윤 장력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저장안정성 평가결과
제조 직후
습윤 장력(mN/m)
3 개월간 저장 후 습윤 장력(mN/m)
20 ℃ 35 ℃
실시예 1 71.8 71.7 71.8
실시예 2 55.4 55.4 55.4
실시예 3 46.3 46.2 46.0
실시예 4 41.1 41.1 41.0
실시예 5 37.6 37.6 37.5
실시예 6 35.0 35.0 34.8
실시예 7 32.8 32.7 32.8
실시예 8 31.1 31.1 31.0
실시예 9 29.7 29.6 29.5
실시예 10 28.6 28.4 28.3
실시예 11 27.7 27.5 27.3
실시예 12 34.2 34.0 33.7
실시예 13 33.7 33.6 33.3
실시예 14 33.2 32.9 32.6
비교예 1 31.7 30.8 29.3
비교예 2 32.0 31.1 29.6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측정시약은 3 개월간 저장한 후에도 습윤 장력의 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보관하면서 사용 가능하나, 비교예의 측정시약은 실시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변동폭이 커서 장기간 보관시 측정결과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Claims (7)

  1.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이 혼합된 용제 100 중량부에 아조 피라졸론계 안료 3~7 중량부 및 분자량 5000 g/㏖ 이상의 고분자량 습윤분산제 0.3~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조 피라졸론계 안료 100 중량부 기준 펄마이카 안료 10~30 중량부 및 피라졸론계 형광증백제 1~5 중량부가 첨가되고,
    상기 펄마이카 안료에 함유된 이산화티타늄 100 중량부 기준 산화주석 20~50 중량부가 첨가된 플라스마 처리 표면상태 측정시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116484A 2017-09-12 2017-09-12 플라스마 처리 표면상태 측정시약 KR102012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484A KR102012670B1 (ko) 2017-09-12 2017-09-12 플라스마 처리 표면상태 측정시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484A KR102012670B1 (ko) 2017-09-12 2017-09-12 플라스마 처리 표면상태 측정시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203A KR20190029203A (ko) 2019-03-20
KR102012670B1 true KR102012670B1 (ko) 2019-08-21

Family

ID=6603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484A KR102012670B1 (ko) 2017-09-12 2017-09-12 플라스마 처리 표면상태 측정시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6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0012A (ja) * 2000-06-09 2001-12-21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ー用熱硬化性インキ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170A (ko) * 1996-10-08 1998-07-15 김종진 고 표면장력을 갖는 물질의 표면장력 측정방법
ES2244058T3 (es) * 1997-04-17 2005-12-01 Ethicon, Inc. Indicador quimico y su uso.
KR100961381B1 (ko) * 2008-08-25 2010-06-07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편광판 결함 검출용 마킹 잉크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0012A (ja) * 2000-06-09 2001-12-21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ー用熱硬化性インキ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203A (ko)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umelha Simple production of photoluminescent polyester coating using lanthanide‐doped pigment
Abdelhameed et al. Photochromic and fluorescent ink using photoluminescent strontium aluminate pigment and screen printing towards anticounterfeiting documents
Khattab et al. Facile development of photochromic cellulose acetate transparent nanocomposite film immobilized with lanthanide‐doped pigment: ultraviolet blocking, superhydrophobic, and antimicrobial activity
JP4825941B2 (ja) サーモクロミック性質を有する熱硬化性物質の調製用組成物
Baia et 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2O3 Bi2O3 glasses with high transition metal oxide content
CN106414624B (zh) 等离子体处理检测用墨液组合物及等离子体处理检测指示器
CN103305153B (zh) 封框胶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EP3252116B1 (en) Near-infrared ray absorbing microparticle dispersion solut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3960753A (en) Fluorescent liquid crystals
Assaf et al. Supramolecular assemblies through host–guest complexation between cucurbiturils and an amphiphilic guest molecule
US20160133444A1 (en) Ink composition for detecting plasma treatment and indicator for detecting plasma treatment
JP2007297255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含有する分散液
Khan et al.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microamounts of thorium with thorin in the presence of cetylpyridinium chloride as surfactant in perchloric acid
CN103387770B (zh) 一种水油通用纳米透明氧化铁红色浆的制备方法
CN112986060A (zh) 钛白粉在油性涂料中的分散性检测方法
KR102012670B1 (ko) 플라스마 처리 표면상태 측정시약
TWI777961B (zh) 電漿處理檢測用組成物及電漿處理檢測用指示劑
CN102313719B (zh) 一种定量测量炭黑水分散性的检测方法
EP2980168B1 (en) Light-shielding paint, light-shielding paint set, light-shielding film, optical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element
Handschuh‐Wang et al. Determination of the Wall Thickness of Block Copolymer Vesicles by Fluorescence Lifetime Imaging Microscopy
Alshehri et al. Ultrasensitive and highly selective detection of nickel ion by two novel optical sensors
KR20180039956A (ko) 가스 센서 분산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스 센서
KR100268596B1 (ko) 침투탐상 시험방법에 이용하는 고감도 침투액
KR102128455B1 (ko) 미량 포름알데하이드 감지 가시적 지시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779342A (zh) 制备疏水性二氧化硅颗粒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