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176B1 -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 - Google Patents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176B1
KR102012176B1 KR1020190040708A KR20190040708A KR102012176B1 KR 102012176 B1 KR102012176 B1 KR 102012176B1 KR 1020190040708 A KR1020190040708 A KR 1020190040708A KR 20190040708 A KR20190040708 A KR 20190040708A KR 102012176 B1 KR102012176 B1 KR 102012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tickets
gripper
un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연호
김기용
Original Assignee
전연호
김기용
지엘에스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연호, 김기용, 지엘에스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연호
Priority to KR1020190040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8Bundling paper sheets, envelopes, bags, newspapers, or other thin fla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장권이나 승차권 또는 할인권 등의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낱장씩 티켓을 공급하는 티켓공급부; 상기 티켓공급부로부터 배출되는 티켓을 낱장씩 공급받아 이송 처리하는 티켓이송부; 상기 티켓이송부의 이송 끝단부에 근접 배치되고,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티켓이송부를 통해 낱장씩 공급되는 티켓을 일정량으로 적재하는 적재대; 상기 적재대 상에 적재된 일정량의 티켓을 정렬하여줌과 동시에 전방(前方)으로 밀어내 위치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그립퍼유닛 측으로 삽입됨을 유도하는 정렬가이드유닛; 상기 정렬가이드유닛에 의해 정렬되면서 전방으로 위치이동되어 삽입되는 적재된 티켓을 선단부에서 그립(grip) 처리한 후 묶음기 측으로 회전 이송하도록 구비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묶음기에서의 묶음 처리를 통해 한데 묶여진 묶음 티켓을 밀어내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작을 갖게 한 그립퍼유닛; 상기 그립퍼유닛 상에서 그립된 상태에 있는 적재된 티켓을 띠부재로 묶어 묶음 처리하는 묶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 및 관리를 위한 발권번호를 갖는 입장권이나 승차권 또는 할인권 등을 비롯한 각종 티켓에 대해 일정량씩을 묶음 처리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연속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TICKET}
본 발명은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및 관리를 위한 발권번호를 갖는 할인권이나 입장권 또는 승차권 등의 각종 티켓에 대해 일정량씩 적재 및 정렬한 후에 자동으로 묶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연속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한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켓은 입장권, 승차권, 할인권 등 아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바코드나 마그네틱 또는 QR코드 등의 인식 표시를 통해 자동 인식기능을 탑재하는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입장권이나 승차권 또는 할인권 등의 티켓은 각종 경기장이나 관람장 또는 사업장 등지에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종합관리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인쇄기 또는 발권기를 통해 자동 발권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인쇄기 또는 발권기를 통해 자동 발권되는 입장권이나 승차권 또는 할인권 등의 티켓은 관리의 용이성을 위해 낱장마다 발권번호를 갖게 되며, 이를 통해 사용 여부 등을 간단하게 체크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낱장씩 발권되는 티켓에 대해 번호 순서대로 관리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고, 심지어는 관리 자체가 전혀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티켓이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선행기술문헌을 살펴보았을 때, 티켓을 대상물로 하여 자동 묶음하는 장치는 쉽게 찾아볼 수가 없었으며, 국내등록특허 제10-0318027호에서 "밴드(band)의 결속력에 대해 순간적으로 반력을 부여하여 제품에 대한 밴드의 결속력이 과도하게 작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밴드장력조절기를 설치함으로써 제품 포장시 포장되는 피포장물이 포장밴드에 의해 파손이나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포장용 묶음장치"를 제안 및 개시하고 있고, 국내등록특허 제10-0961408호에서 "자동으로 롤 포장지를 묶을 수 있도록 하고 포장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균일한 묶음 정도로 인해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롤 포장기의 묶음장치"를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1802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140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 및 관리를 위한 발권번호를 갖는 입장권이나 승차권 또는 할인권 등을 비롯한 각종 티켓에 대해 일정량씩을 묶음 처리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연속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티켓을 일정량씩 적재 및 정렬한 후 묶음 처리하되, 발권된 번호 순서대로 자동 묶음 처리함으로써 티켓의 사용 및 관리에 따른 효율성 및 묶음 처리작업에 따른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며 티켓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티켓을 일정량씩 적재하여 정열한 상태에 끈이나 띠 등으로 묶는 작업을 자동 수행한 후 장치 외부로 자동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는, 낱장씩 티켓을 공급하는 티켓공급부; 상기 티켓공급부로부터 배출되는 티켓을 낱장씩 공급받아 이송 처리하는 티켓이송부; 상기 티켓이송부의 이송 끝단부에 근접 배치되고,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티켓이송부를 통해 낱장씩 공급되는 티켓을 일정량으로 적재하는 적재대; 상기 적재대 상에 적재된 일정량의 티켓을 정렬하여줌과 동시에 전방(前方)으로 밀어내 위치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그립퍼유닛 측으로 삽입됨을 유도하는 정렬가이드유닛; 상기 정렬가이드유닛에 의해 정렬되면서 전방으로 위치이동되어 삽입되는 적재된 티켓을 선단부에서 그립(grip) 처리한 후 묶음기 측으로 회전 이송하도록 구비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묶음기에서의 묶음 처리를 통해 한데 묶여진 묶음 티켓을 밀어내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작을 갖게 한 그립퍼유닛; 상기 그립퍼유닛 상에서 그립된 상태에 있는 적재된 티켓을 띠부재로 묶어 묶음 처리하는 묶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티켓이송부 상에 고정 설치되고, 낱장씩 공급되어 이송되는 티켓을 카운팅하여 상기 적재대 상에 일정량의 티켓만 적재 가능하게 하는 카운팅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적재대는 바닥부와 폭방향으로의 측면지지부를 갖는 전후방 개방 구조의 몸체이되, 상기 바닥부의 폭방향 측 양측면부에 막대형 블록체를 배치하여 티켓이 블록체의 상면에서 순차 적재되도록 함에 의해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적재 처리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적재대의 전방으로는 상기 막대형 블록체의 앞쪽에 수직 배치되는 티켓이탈방지부재를 근접 배치하여 상기 티켓이송부로부터 이송되어 투입되는 티켓에 대해 적재대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적재 처리를 지원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승강수단은, 승강구동모터; 상기 승강구동모터 측 축결합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구비되는 리프트캠; 상기 리프트캠의 상측에 위치하여 외주면에 밀착 배치되는 제1자전베어링; 상기 제1자전베어링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수직 배치되고 상단부가 적재대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적재대 측 하단부의 전방(前方)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상에 수직 배치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승강구동모터를 통해 적재대를 승강 구동시 그립퍼유닛 측 그립개방 또는 그립을 위한 매개기능을 하도록 구비되는 그립개폐유도볼트; 상기 적재대 측 후방(後方)에 고정 설치되고, 승강구동모터를 통해 적재대를 상승시 함께 상승되어 티켓이송부를 통해 적재대 측으로 투입되는 티켓의 차단기능을 발휘하도록 구비되는 티켓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정렬가이드유닛은, 상기 티켓이송부와 적재대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의 상측에 하단부가 위치되고,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적재대가 상승하여 그립퍼유닛 측과 일직선상에 위치시 적재대 상에 적재된 티켓을 전방(前方)의 그립퍼유닛 측으로 밀어내면서 정렬시킴과 동시에 그립퍼유닛 측으로 삽입 처리하는 삽입밀대; 상기 삽입밀대의 상단부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어 수평 배치되고, 타측이 전후진유도캠에 지지 결합되어 전후진유도캠의 회전에 따라 삽입밀대의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하는 밀대이동바; 상기 밀대이동바의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지지 결합되는 전후진유도캠; 상기 밀대이동바의 타측부에 지지 결합된 채로 전후진유도캠의 외주면에 밀착 배치되는 제2자전베어링; 상기 전후진유도캠에 축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전후진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그립퍼유닛은, 회전구동모터; 상기 회전구동모터에 축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수평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티켓을 일부 수용하고 그립(grip) 처리 가능하게 한 그립퍼를 갖는 그립퍼부; 상기 그립퍼부의 정회전을 통해 묶음기 측으로 회전 이동하여 그립퍼 측 그립 상태에 있는 적재된 티켓을 묶음 처리한 후, 역회전을 통해 회전 이동하여 묶음이 완료된 묶음 티켓을 그립퍼로부터 배출시 역회전에 의한 그립퍼부의 회전정지신호를 제공하는 역회전정지센서; 상기 그립퍼부 상에 전후진 가능하도록 지지 결합되는 배출밀대를 구비하여 그립퍼 측 그립 상태에 있는 묶음이 완료된 묶음 티켓을 그립퍼 상에서 밀어냄으로써 외부로 배출 처리하는 티켓배출처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그립퍼부는, 상기 회전구동모터에 후단부가 축결합되어 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비 및 수평 배치되고, 선단부에 일정량의 적재된 티켓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상부 개방형 구조의 티켓수용홈을 갖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선단부 상측에 위치하되, 베이스부재 상에 시소(seesaw) 형태로 지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구비되고, 베이스부재의 티켓수용홈 내에 수용되어 배치되는 적재된 티켓의 상면을 누름 가압하여 지지하는 막대형 몸체의 그립퍼; 상기 그립퍼의 후단에 결합되어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 상기 그립퍼의 선단부 상에 고정 결합된 채로 하부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는 그립퍼개방매개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티켓배출부는,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 위치한 채로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수평 배치되고, 선단부가 티켓수용홈 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배출밀대; 상기 배출밀대의 후단부 상면에 결합되는 제3자전베어링; 상기 제3자전베어링에 외주면이 밀착 배치되고, 배출구동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도록 결합되며, 회전 구동에 의해 배출밀대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배출유도캠; 상기 배출밀대에 일측이 결합되고 베이스부재에 타측이 결합되어 배출밀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그립퍼 측 선단에는 베어링부재를 결합하여 배출밀대의 전진 배치를 통해 묶음 완료된 묶음 티켓을 그립퍼로부터 외부 배출시 그립 상태에서도 용이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를 위한 발권번호를 갖는 입장권이나 승차권 또는 할인권 등을 비롯한 각종 티켓에 대해 일정량씩을 묶음 처리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연속 수행할 수 있으며, 각종 티켓 관리에 따른 효율성 및 자동 묶음 처리에 따른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티켓을 일정량씩 카운팅하여 적재 및 정렬한 후 그립 처리하고, 이어서 회전 이동을 통해 일정량의 적재된 티켓을 자동 묶음 처리하며, 묶음 처리한 상태로 장치의 외부로 배출 처리할 수 있는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빌명은 티켓발권기와 연동하여 발권된 티켓에 대해 연속 작업으로 발권번호 순서대로 일정량씩 자동 묶음 처리할 수 있고, 티켓의 사용 및 관리에 용이함을 제공하며, 티켓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각종 입장권이나 승차권 또는 할인권 등의 사용 및 관리에 더욱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초기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적재대 상승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그립퍼유닛에 대해 묶음기 측 회전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그립퍼유닛에 대해 묶음 티켓의 배출을 위한 회전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에 있어 그립퍼유닛 측 요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에 있어 적재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1)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티켓공급부(100), 티켓이송부(200), 적재대(300), 정렬가이드유닛(400), 그립퍼유닛(500), 및 묶음기(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티켓공급부(100)는 묶음 처리를 위한 티켓(T)을 낱장씩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티켓공급부(100)는 입장권이나 승차권 또는 할인권 등을 비롯한 각종 티켓을 자동 발급하는 티켓발권기로서, 이는 공지된 기술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티켓공급부(100)는 바코드나 마그네틱 또는 QR코드 중에서 어느 1가지 이상의 자동인식표시를 갖는 티켓을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코드나 마그네틱 또는 QR코드 중에서 어느 1가지 이상의 자동인식표시를 갖는 입장권이나 승차권 또는 할인권일 수 있다.
상기 티켓이송부(200)는 상기 티켓공급부(100)의 배출구 측에 근접 배치되어 상기 티켓공급부(100)로부터 배출되는 티켓(T)을 낱장씩 공급받아 이송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티켓이송부(200)는 티켓의 이송 및 투입에 따른 효율성 및 생산성을 위해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컨베이어식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할 것이며, 컨베이어식이 아닌 다른 타입의 이송유닛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티켓이송부(200)는 컨베이어식 구성을 갖는 경우, 컨베이어프레임(210)과 모터(201) 및 풀리(20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무한궤도형 컨베이어벨트(220), 및 컨베이어프레임(210)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아이들롤러(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켓이송부(200) 상에는 카운팅센서(240)를 고정 설치하는 구성을 통해 낱장씩 공급되어 이송되는 티켓을 카운팅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적재대(300) 상에 일정량의 티켓만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0장, 100장 등의 형태로 카운팅하여 일정량씩 묶음 처리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적재대(300)는 상기 티켓이송부(200)의 이송 끝단부에 근접 배치되고,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티켓이송부(200)를 통해 낱장씩 공급되는 티켓을 일정량씩 적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적재대(300)는 바닥부(301)와 폭방향으로 양측에 돌출된 측면지지부(302)를 갖는 전후방 개방 구조의 몸체이되, 상기 바닥부(301)의 폭방향 측 양측면부에 막대형 블록체(303)를 배치하여 티켓(T)이 막대형 블록체(303)의 상면에서 순차 적재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적재대(300)는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바닥부(301)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적재 처리하도록 하며, 이후 동작에 따른 효율성 및 연속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적재대(300)의 전방으로는 상기 막대형 블록체(303)의 앞쪽에 위치하여 수직 배치되는 티켓이탈방지부재(304)를 근접 배치하여 상기 티켓이송부(220)로부터 이송되어 투입되는 티켓(T)에 대해 적재대(300) 상에서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면서 더 이상의 전진 이송을 제한하여 적재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적재대(300)를 승강 이동하기 위한 승강수단(300A)은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승강구동모터(310)와, 상기 승강구동모터(310) 측 축결합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구비되는 편심 몸체를 갖는 리프트캠(320)과, 상기 리프트캠(320)의 상측에 위치하여 외주면에 밀착 배치되는 제1자전베어링(330)과, 상기 제1자전베어링(330)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수직 배치되고 상단부가 적재대(300)에 결합되는 샤프트(340)와, 상기 적재대(300) 측 하단부의 전방(前方)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05) 상에 수직 배치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승강구동모터(310)를 통해 적재대(300)를 승강 구동시 그립퍼유닛(500) 측 그립 개방 또는 그립을 위한 매개기능을 하도록 구비되는 그립개폐유도볼트(350)와, 상기 적재대(300) 측 후방(後方)에 고정 설치되고 승강구동모터(310)를 통해 적재대(300)를 상승시 함께 상승되어 티켓이송부(200)를 통해 적재대(300) 측으로 투입되는 티켓(T)의 차단기능을 발휘하도록 구비되는 티켓차단부재(360)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그립개폐유도볼트(350)는 그립퍼유닛(500) 측 그럽퍼(522) 상에 고정되어 돌출 배치되는 그립퍼개방매개볼트(524)와 상하 동일직선상에 위치되어 상승시 상호간 접촉됨에 의해 그립퍼(522) 측 그립 개방을 가능하게 하고 하강시 상호 이격됨에 의해 그립퍼(522)를 통한 티켓(T)의 그립 처리가 가능하도록 매칭된다.
상기 티켓차단부재(360)는 U자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적재대(300)의 상승시 상기 티켓이송부(200) 상에 돌출 배치되는 프레임 몸체로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340)의 측부에 상승센서(371) 및 하강센서(372)를 설치하여 승강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렬가이드유닛(400)은 상기 적재대(300) 상에 적재된 일정량의 티켓(T)을 정렬하여줌과 동시에 그립퍼유닛(500)이 위치한 전방(前方)으로 밀어내 위치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그립퍼유닛(500) 측으로 삽입됨을 유도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정렬가이드유닛(400)은 상기 티켓이송부(200)와 적재대(300)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의 상측에 하단부가 위치되고 상기 승강수단(300A)에 의해 적재대(300)가 상승하여 그립퍼유닛(500) 측과 일직선상에 위치시 적재대(300) 상에 적재된 티켓을 전방(前方)의 그립퍼유닛(500) 측으로 밀어내면서 정렬시킴과 동시에 그립퍼유닛(500) 측으로 삽입 처리하는 삽입밀대(410)와, 상기 삽입밀대(410)의 상단부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어 수평 배치되고 타측이 전후진유도캠(430)에 지지 결합되어 전후진유도캠(430)의 회전에 따라 삽입밀대(410)의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하는 밀대이동바(420)와, 상기 밀대이동바(420)의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지지 결합되는 편심 몸체의 전후진유도캠(430)과, 상기 밀대이동바(420)의 타측부에 지지 결합된 채로 전후진유도캠(430)의 외주면에 밀착 배치되는 제2자전베어링(440)과, 상기 전후진유도캠(430)에 축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전후진구동모터(450)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그립퍼유닛(500)은 상기 정렬가이드유닛(400)에 의해 정렬되면서 전방으로 위치이동되어 삽입되는 적재된 티켓을 선단부에서 그립(grip) 처리한 후 묶음기(600) 측으로 회전 이송하도록 구비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묶음기(600)에서의 묶음 처리를 통해 한데 묶여진 묶음 티켓을 밀어내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작을 갖게 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그립퍼유닛(500)은 좌우 방향으로의 수평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회전구동모터(510)와, 상기 회전구동모터(510)에 축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수평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적재대(300)로부터 배출되는 적재된 티켓(T)을 일부 수용하고 그립(grip) 처리 가능하게 한 그립퍼(522)를 갖는 그립퍼부(520)와, 상기 그립퍼부(520)의 정회전을 통해 묶음기(600) 측으로 회전 이동하여 그립퍼(522) 측 그립 상태에 있는 적재된 티켓(T)을 묶음 처리한 후 다시 역회전을 통해 회전 이동하여 묶음이 완료된 묶음 티켓을 그립퍼(522)로부터 배출시 역회전에 의한 그립퍼부(520)의 회전정지신호를 제공하는 역회전정지센서(530)와, 상기 그립퍼부(522) 상에 전후진 가능하도록 지지 결합되는 배출밀대(541)를 구비하여 그립퍼(522) 측 그립 상태에 있는 묶음이 완료된 묶음 티켓을 그립퍼(522) 상에서 밀어냄으로써 외부로 배출 처리하는 티켓배출처리부(540)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그립퍼부(520)는 상기 회전구동모터(510)에 후단부가 축결합되어 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비 및 수평 배치되고 선단부에 일정량의 적재된 티켓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상부 개방형 구조의 티켓수용홈을 갖는 베이스부재(521)와, 상기 베이스부재(521)의 선단부 상측에 위치하되 베이스부재(521) 상에 시소(seesaw) 형태로 지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구비되고 베이스부재(521)의 티켓수용홈 내에 수용되어 배치되는 적재된 티켓의 상면을 누름 가압하여 지지하는 막대형 몸체의 그립퍼(522)와, 상기 그립퍼(522)의 후단에 결합되어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523)와, 상기 그립퍼(522)의 선단부 상에 고정 결합된 채로 하부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그립개폐유도볼트(350)와 매칭되게 구비되는 그립퍼개방매개볼트(52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티켓배출처리부(540)는 상기 베이스부재(521) 상에 위치한 채로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수평 배치되고 선단부가 베이스부재의 티켓수용홈 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배출밀대(541)와, 상기 배출밀대(541)의 후단부 상면에 결합되는 제3자전베어링(542)와, 상기 제3자전베어링(542)에 외주면이 밀착 배치되고 배출구동모터(545)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도록 결합되며 회전 구동에 의해 배출밀대(541)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편심 몸체의 배출유도캠(543)과, 상기 배출밀대(541)에 일측이 결합되고 베이스부재(521)에 타측이 결합되어 배출밀대(541)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544)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그립퍼(522) 측 선단에는 베어링부재(525)를 결합하는 구성을 갖게 함으로써 배출밀대(541)의 전진 배치를 통해 묶음 완료된 묶음 티켓을 그립퍼(522)로부터 외부 배출시 그립 상태에서도 용이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그립퍼(522)는 일자형 구조의 막대형 몸체로 구비하고, 상기 배출밀대(541)는 상기 그립퍼(522)를 감싸듯이 배치되는 디귿자형 프레임몸체로 구비 및 이격 배치하는 형태로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묶음기(600)는 상기 그립퍼유닛(500) 상에서 그립된 상태에 있는 적재된 티켓(T)을 띠부재 등으로 묶어 자동 묶음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띠부재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고, 티켓의 크기에 맞게 일정한 폭을 갖는 형태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띠부재는 플라스틱 소재인 경우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비롯한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가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묶음기(600)는 공지된 기술구성이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1)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티켓공급부(100)로부터 낱장씩 배출되는 티켓은 티켓이송부(200)를 통해 이송 처리되어 적재대(300)로 투입된다.
이때, 티켓이송부(200)에서는 카운팅센서(240)의 카운팅 신호에 따라 이송되는 낱장의 티켓을 카운팅함으로써 적재대(300) 측으로 50장 또는 100장 씩 일정량이 투입되게 한다.
이에, 적재대(300) 상에 일정한 양의 티켓이 카운팅되어 투입 및 적재되면, 승강수단(300A)을 구동하여 적재대(300)를 상승시키며, 이를 통해 적재된 티켓을 갖는 적재대(300)에 대해 그립퍼유닛(500) 측과 동일직선상에 위치되게 한다.
이때, 승강수단(300A)의 구동에 의해 적재대(300)가 상승하게 되면, 적재대(300) 상에 고정 설치된 티켓차단부재(360)와 그립개방유도볼트(350)가 동시에 상승하게 되고, 이들은 티켓이송부(200) 측 티켓의 투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그립퍼유닛(500) 측 그립부(520)의 그립퍼(522)에 대한 그립 개방을 유도하여 그립을 개방시킨다.
여기에서, 그립개방유도볼트(350)는 상승됨에 따라 그립퍼유닛(500) 측 그립퍼(522) 상에 고정되어 하측방향으로 돌출 배치된 그립퍼개방매개볼트(524)를 밀어올림에 의해 시소 구조를 갖는 그립퍼(522)의 선단부를 위로 상승시켜 그립이 개방되는 상태를 만들며, 티켓차단부재(360)는 U자형 구조로서 티켓이송부(200) 상에 위치하여 돌출 배치됨에 의해 티켓이송부(200)의 전후방에서 티켓의 이송을 2중으로 차단한다.
적재대(300)의 상승이 완료되면, 정렬가이드유닛(400) 측 전후진구동모터(450)를 구동하여 전후진유도캠(430)을 회전시킴으로써 밀대이동바(420)를 당겨 전진 배치함으로써 이와 동시에 삽입밀대(410)를 전진 이동시켜 적재대(300)에 적재된 일정량의 티켓을 밀어내면서 정렬한다. 또한, 삽입밀대(410)로 티켓(T)을 밀어냄에 의해 그립퍼유닛(500) 측으로 삽입 처리할 수 있다.
이후, 삽입밀대(410)는 전후진유도캠(430)의 회전에 따라 후진하여 원래의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렇게 그립퍼유닛(500) 측으로 삽입된 일정량의 적재된 티켓은 그립퍼부(520)의 베이스부재(521) 측 티켓수용홈 내에 일부가 수용되고, 상승수단(300A)의 하강에 따라 적재대(300)가 원래의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서 그립개방유도볼트(3500와 그립퍼개방매개볼트(524)의 접촉상태가 해제됨에 의해 그립 개방상태에 있던 그립퍼(522)는 선단부가 다운되면서 베이스부재(521) 상에 삽입 수용된 티켓 측 상면을 누름 가압하여 그립 처리한다.
이때, 적재대(300) 측으로는 원래 위치로의 복귀에 따라 티켓의 차단이 해제되면서 티켓공급부(100)와 티켓이송부(200)를 통해 티켓이 다시 공급 및 이송 처리된다.
이어서, 그립퍼유닛(500) 측에서 그립퍼(522)를 통해 적재된 티켓을 그립한 상태에 회전구동모터(510)를 정회전 구동하여 그립퍼부(520)를 묶음기(600) 측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자동 묶음하여 일정량의 적재된 티켓을 묶음 처리한다.
이후, 회전구동모터(510)를 역회전 구동하되, 역회전정지센서(530)의 신호에 따라 역회전 상태를 제어하여 정지시킨 상태에 배출구동모터(545)를 구동시킴으로써 배출유도캠(543)을 회전 구동시키며, 이에 그럽퍼부(520) 측 베이스부재(521) 상에 위치한 배출밀대(541)를 전진 배치시킴으로써 그립퍼(522)가 그립하여 쥐고 있는 묶음 완료된 묶음 티켓을 밀어내는 기능을 하여 장치의 외부로 묶음 티켓을 배출 처리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과 작동상태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를 통해서는 사용 및 관리를 위한 발권번호를 갖는 입장권이나 승차권 또는 할인권 등을 비롯한 각종 티켓에 대해 일정량씩을 묶음 처리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연속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티켓공급부 200: 티켓이송부
300: 적재대 300A: 상승수단
310: 승강구동모터 320: 리프트캠
330: 제1자전베어링 340: 샤프트
350: 그립개폐유도볼트 360: 티켓차단부재
400: 정렬가이드유닛 410: 삽입밀대
420: 밀대이동바 430: 전후진유도캠
440: 제2자전베어링 450: 전후진구동모터
500: 그립퍼유닛 510: 회전구동모터
520: 그립퍼부 521: 베이스부재
522: 그립퍼 523: 탄성체
524: 그립퍼개방매개볼트 530: 역회전정지센서
540: 티켓배출처리부 541: 배출밀대
542: 제3자전베어링 543: 배출유도캠
544: 스프링 600: 묶음기

Claims (8)

  1. 낱장씩 티켓을 공급하는 티켓공급부; 상기 티켓공급부로부터 배출되는 티켓을 낱장씩 공급받아 이송 처리하는 티켓이송부; 상기 티켓이송부의 이송 끝단부에 근접 배치되고,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티켓이송부를 통해 낱장씩 공급되는 티켓을 일정량으로 적재하는 적재대; 상기 적재대 상에 적재된 일정량의 티켓을 정렬하여줌과 동시에 전방(前方)으로 밀어내 위치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그립퍼유닛 측으로 삽입됨을 유도하는 정렬가이드유닛; 상기 정렬가이드유닛에 의해 정렬되면서 전방으로 위치이동되어 삽입되는 적재된 티켓을 선단부에서 그립(grip) 처리한 후 묶음기 측으로 회전 이송하도록 구비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묶음기에서의 묶음 처리를 통해 한데 묶여진 묶음 티켓을 밀어내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작을 갖게 한 그립퍼유닛; 상기 그립퍼유닛 상에서 그립된 상태에 있는 적재된 티켓을 띠부재로 묶어 묶음 처리하는 묶음기;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퍼유닛은,
    회전구동모터; 상기 회전구동모터에 축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수평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티켓을 일부 수용하고 그립(grip) 처리 가능하게 한 그립퍼를 갖는 그립퍼부; 상기 그립퍼부의 정회전을 통해 묶음기 측으로 회전 이동하여 그립퍼 측 그립 상태에 있는 적재된 티켓을 묶음 처리한 후, 역회전을 통해 회전 이동하여 묶음이 완료된 묶음 티켓을 그립퍼로부터 배출시 역회전에 의한 그립퍼부의 회전정지신호를 제공하는 역회전정지센서; 상기 그립퍼부 상에 전후진 가능하도록 지지 결합되는 배출밀대를 구비하여 그립퍼 측 그립 상태에 있는 묶음이 완료된 묶음 티켓을 그립퍼 상에서 밀어냄으로써 외부로 배출 처리하는 티켓배출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이송부 상에 고정 설치되고, 낱장씩 공급되어 이송되는 티켓을 카운팅하여 상기 적재대 상에 일정량의 티켓만 적재 가능하게 하는 카운팅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는 바닥부와 폭방향으로의 측면지지부를 갖는 전후방 개방 구조의 몸체이되, 상기 바닥부의 폭방향 측 양측면부에 막대형 블록체를 배치하여 티켓이 블록체의 상면에서 순차 적재되도록 함에 의해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적재 처리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적재대의 전방으로는 상기 막대형 블록체의 앞쪽에 수직 배치되는 티켓이탈방지부재를 근접 배치하여 상기 티켓이송부로부터 이송되어 투입되는 티켓에 대해 적재대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적재 처리를 지원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승강구동모터;
    상기 승강구동모터 측 축결합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구비되는 리프트캠;
    상기 리프트캠의 상측에 위치하여 외주면에 밀착 배치되는 제1자전베어링;
    상기 제1자전베어링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수직 배치되고 상단부가 적재대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적재대 측 하단부의 전방(前方)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상에 수직 배치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승강구동모터를 통해 적재대를 승강 구동시 그립퍼유닛 측 그립개방 또는 그립을 위한 매개기능을 하도록 구비되는 그립개폐유도볼트;
    상기 적재대 측 후방(後方)에 고정 설치되고, 승강구동모터를 통해 적재대를 상승시 함께 상승되어 티켓이송부를 통해 적재대 측으로 투입되는 티켓의 차단기능을 발휘하도록 구비되는 티켓차단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가이드유닛은,
    상기 티켓이송부와 적재대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의 상측에 하단부가 위치되고,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적재대가 상승하여 그립퍼유닛 측과 일직선상에 위치시 적재대 상에 적재된 티켓을 전방(前方)의 그립퍼유닛 측으로 밀어내면서 정렬시킴과 동시에 그립퍼유닛 측으로 삽입 처리하는 삽입밀대;
    상기 삽입밀대의 상단부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어 수평 배치되고, 타측이 전후진유도캠에 지지 결합되어 전후진유도캠의 회전에 따라 삽입밀대의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하는 밀대이동바;
    상기 밀대이동바의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지지 결합되는 전후진유도캠;
    상기 밀대이동바의 타측부에 지지 결합된 채로 전후진유도캠의 외주면에 밀착 배치되는 제2자전베어링;
    상기 전후진유도캠에 축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전후진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부는,
    상기 회전구동모터에 후단부가 축결합되어 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비 및 수평 배치되고, 선단부에 일정량의 적재된 티켓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상부 개방형 구조의 티켓수용홈을 갖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선단부 상측에 위치하되, 베이스부재 상에 시소(seesaw) 형태로 지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구비되고, 베이스부재의 티켓수용홈 내에 수용되어 배치되는 적재된 티켓의 상면을 누름 가압하여 지지하는 막대형 몸체의 그립퍼;
    상기 그립퍼의 후단에 결합되어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
    상기 그립퍼의 선단부 상에 고정 결합된 채로 하부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는 그립퍼개방매개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티켓배출처리부는,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 위치한 채로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수평 배치되고, 선단부가 티켓수용홈 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배출밀대;
    상기 배출밀대의 후단부 상면에 결합되는 제3자전베어링;
    상기 제3자전베어링에 외주면이 밀착 배치되고, 배출구동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도록 결합되며, 회전 구동에 의해 배출밀대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배출유도캠;
    상기 배출밀대에 일측이 결합되고 베이스부재에 타측이 결합되어 배출밀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 측 선단에는 베어링부재를 결합하여 배출밀대의 전진 배치를 통해 묶음 완료된 묶음 티켓을 그립퍼로부터 외부 배출시 그립 상태에서도 용이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
KR1020190040708A 2019-04-08 2019-04-08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 KR102012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708A KR102012176B1 (ko) 2019-04-08 2019-04-08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708A KR102012176B1 (ko) 2019-04-08 2019-04-08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176B1 true KR102012176B1 (ko) 2019-08-20

Family

ID=6780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708A KR102012176B1 (ko) 2019-04-08 2019-04-08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17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752B1 (ko) * 1994-04-27 1998-04-11 박선호 미싱바늘쌈지제조기의 일정개수 쌈지자동묶음 이송장치
KR100318027B1 (ko) 1999-10-12 2001-12-22 심용택 밴드장력조절기를 갖는 포장용 밴딩장치
KR20070013126A (ko) * 2005-07-25 2007-01-30 박근영 지폐 및 상품권 수거장치
KR20090072666A (ko) * 2007-12-28 2009-07-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KR100961408B1 (ko) 2010-03-25 2010-06-09 (주) 한독 롤 포장기의 묶음장치
US20100313521A1 (en) * 2009-06-15 2010-12-16 Kabushiki Kaisha Toshiba Paper sheeet processing system
JP2016133935A (ja) * 2015-01-16 2016-07-2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システム及び紙葉類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752B1 (ko) * 1994-04-27 1998-04-11 박선호 미싱바늘쌈지제조기의 일정개수 쌈지자동묶음 이송장치
KR100318027B1 (ko) 1999-10-12 2001-12-22 심용택 밴드장력조절기를 갖는 포장용 밴딩장치
KR20070013126A (ko) * 2005-07-25 2007-01-30 박근영 지폐 및 상품권 수거장치
KR20090072666A (ko) * 2007-12-28 2009-07-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US20100313521A1 (en) * 2009-06-15 2010-12-16 Kabushiki Kaisha Toshiba Paper sheeet processing system
KR100961408B1 (ko) 2010-03-25 2010-06-09 (주) 한독 롤 포장기의 묶음장치
JP2016133935A (ja) * 2015-01-16 2016-07-2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システム及び紙葉類処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6748C1 (ru) Укладывающее стопой и оберт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8567156B2 (en) Paper sheet processing system
JP5326267B2 (ja) 紙幣整理装置
CN101910033A (zh) 纸张类处理装置
CN106780979B (zh) 钞把码垛系统
JP2006107029A (ja) 紙幣処理機
KR102012176B1 (ko) 티켓용 자동 묶음장치
JP4991988B2 (ja) 紙幣保留装置、及び還流式紙幣処理装置
RU2468972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укладки документов в коробки
CN109920127B (zh) 钞把处理系统
KR101591152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EP037987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vidually printing signatures during delivery to a bindery line
KR102012177B1 (ko) 티켓묶음 자동 적재장치
JPH08305808A (ja) プリペードカード判別装置
WO2001052196A1 (en) Banknote handling
CN216685130U (zh) 一种吊牌打包机的尾数打包装置
CN209248633U (zh) 钞把清分系统
JP4473563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5190597B2 (ja) 紙幣保留装置、及び還流式紙幣処理装置
JPH08324510A (ja) 紙葉類結束機
TW205028B (en) Three-dimensional sheet block stacking system
JP2011042378A (ja) 紙葉束包装装置
JPS6262B2 (ko)
JPH04142216A (ja) 結束装置
JPH02219721A (ja) 紙葉類整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