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709B1 -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용 마감 브래킷 - Google Patents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용 마감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709B1
KR102011709B1 KR1020180026076A KR20180026076A KR102011709B1 KR 102011709 B1 KR102011709 B1 KR 102011709B1 KR 1020180026076 A KR1020180026076 A KR 1020180026076A KR 20180026076 A KR20180026076 A KR 20180026076A KR 102011709 B1 KR102011709 B1 KR 102011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iner
opening
sunroof
bracket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이태웅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2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60R13/0231Roof or head liners specially adapted for roofs with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08Sun roofs;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간 부분이 빈 격자 형태로 마감 브래킷을 제작하되, 이 마감 브래킷의 바깥 면에 헤드라이너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끼워서 마감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기존 마감 공정(감싸기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감싸기 공정에 필요한 장비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초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마감 브래킷의 바깥 면에 조명을 부착하여 선루프를 장착하는 헤드라이너의 개구부 주변이 밝아지게 하므로, 선루프 위치를 쉽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주변 공간이 더 커보이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조명이 헤드라이너 면을 비추거나 나란하게 비추도록 간접 조명 형태가 되게 구성하므로, 은은한 자동차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용 마감 브래킷{HEADLINER FINISH BRACKET FOR VEHICLE WITH SUNROOF}
본 발명은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용 마감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루프를 설치하려고 헤드라이너에 형성한 개구부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마감 브래킷을 끼워서 마감하므로, 헤드라이너를 제작할 때 표층 등을 개구부 가장자리에 감싸야 하는 감싸기 공정을 없애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마무리하여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 측 루프패널(R)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실내의 흡차음 성능 개선과 더불어 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헤드라이너(H)를 장착한다. 헤드라이너(H)는 구매자의 선택에 따라 루프패널에 선루프를 장착하여 자동차 실내의 환기와 채광 등을 모도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헤드라이너는, 아래의 (특허문헌 1)과 같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작한다. 그리고, 헤드라이너에는 아래의 (특허문헌 2)와 같이 표층을 장착하여 자동차 실내 미감을 높이고, 아래의 (특허문헌 3)과 같이 오프닝 브래킷을 이용하여 헤드라이너를 루프패널에 장착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 제0272799호
선루프 헤드라이너의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헤드라이너 상면에 리벳으로 연결하는 스틸브라켓을 형성함에 있어서, 중앙에 통공을 천공한 절곡융기부와 상기 절곡융기부의 외측 좌우에 기립된 밴딩클립과 이 밴딩클립의 사이에 스톱퍼를 형성하며, 상기 스틸브라켓트와 연결하기위한 훅크브라켓트는 일측을 만곡하여서되는 훅크편의 하방에 요형부와 요형부의 외측을 약간 하향으로 절곡하여서되는 타단부측의 좌우에 가이드홈과 이 가이드홈의 중앙에 걸림홈을 형성하여 상기 스틸브라켓트의 절곡융기부의 저면측 공간부를 통하여 훅크브라켓트의 단부를 밀어넣어 통공으로 인출한 상태로 계속 밀어넣어 가이드홈에 밴딩클립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이 스톱퍼에 걸릴때 까지 밀어넣은후 밴딩클립을 훅크브라켓트의 상면에 절곡밴딩하여 스틸브라켓트에 훅크브라켓트를 조립하게된 것이며, 그 상태에서 선루프바디패널에 장착활 때에는 루프판넬에 상기 훅크편의 저면을 밀어넣어 헤드라이너의 처짐을 방지하여 다른 서브 부품들을 조립할 때 함께 조립하도록 구성하여서 되는 것으로서, 종래 듀얼락을 온도변화에 약한 양면테이프로 접착 연결하는 것 보다 품질향상과 조립의 간편화를 얻게 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463916호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선루프 개구부 스크랩을 이용한 소프트 시트백커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헤드라이너기재에 개구가공부를 절취할 수 있도록 커팅라인을 형성하는 작업과, 개구가공부에 시트백커버 제조를 위한 형상을 포밍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금형을 가공하는 금형가공단계; 상기 헤드라이너기재를 상기 금형에 올려 놓고 가압하여 개구부가 형성될 부분에는 커팅라인을 형성하고, 개구가공부의 표면에는 시트백커버의 형상을 갖도록 포밍하는 작업이 동시에 수행되는 헤드라이너 성형단계; 성형된 헤드라이너를 취출한 후 커팅라인을 따라 커팅하여 개구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절취된 개구가공부를 시트백커버로 후가공하는 제품가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선루프 개구부 스크랩을 이용한 소프트 시트백커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기존에 버려지던 스크랩을 타 부품으로 활용함으로서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시트백커버의 소프트감(쿠션감) 향상 및 중량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려한 외관 품질과 우수한 차실내 소음차단, 흡음성능 향상에도 기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705189호
일측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타측면은 오목하게 패인 절곡부를 갖는 선루프오프닝브라켓의 타측면에 헤드라이닝을 부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절곡부의 오목하게 패인 면이 윗쪽을 향하여 놓이도록 하형 위에 선루프오프닝브라켓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절곡부 위로 안착되도록 하형에 결합된 서포트부재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선루프오프닝브라켓과 서포트부재 위에 헤드라이닝을 안착시키고, 상형을 하강시켜 상기 헤드라이닝을 선루프오프닝브라켓에 가압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오프닝브라켓에 헤드라이닝을 부착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선루프오프닝브라켓에 헤드라이닝을 부착시키는 방법 에 의하면, 헤드라이닝 성형 시에, 동시접착을 위한 선루프오프닝브라켓 투입 시 걸림 방지를 위해 로드가 하향하며 서포트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세우고, 선루프오프닝브라켓 투입 후 성형을 위한 기재 투입전 로드를 상향시켜 서포트가 브라켓과 헤드라이닝 기재 사이의 빈틈을 채우고 상형이 하강하여 헤드라이닝을 성형하기 때문에, 하형의 지지면이 유지되어, 선루프 오프닝브라켓 성형 시, 눌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하지만, 기존 헤드라이너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선루프(S) 장착으로 헤드라이너(H)의 중간 부분에 형성한 개구부(O)를 마감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다.
(2) 즉, 헤드라이너(H)는, [도 1]과 같이, 루프패널을 마감하여 실내에 노출되지 않게 장착하는 데, 이때 [도 2]와 같이 선루프(S) 장착을 위한 개구부(O)를 형성하게 되므로, 이 개구부(O)의 가장자리를 표층(L) 등을 이용하여 마감하는 공정을 거쳐야 한다.
(3) 이때의 마감 공정은 통상 "감싸기 공정"이라고도 하며, 표층(L)에 개구부(O) 크기보다 조금 작게 자른 가장자리(E)를 젖혀서 헤드라이너(H)의 배면, 즉 루프패널(R)과 마주하는 면에 부착하여 마감한다.
(4) 이러한 마감 공정(감싸기 공정)은 이처럼 헤드라이너(H)에 개구부(O)를 형성함에 따라 그 가장자리를 마감하기 위한 공정으로, 감싸기 공정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갖춰서 마감 공정을 처리하고 있다.
(5) 이에, 초기 비용이 많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공정 수의 증가로 헤드라이너의 조제효율을 떨어뜨리는 한 가지 요인으로 작용한다.
(6) 또한, 이처럼 표층의 가장자리 부분을 헤드라이너 뒤로 젖혀서 부착할 때 잘못 부착하거나 어느 한쪽을 너무 강하거나 약하게 잡아당겨서 부착하면, 헤드라이너의 제조 불량이 되어 불량률이 높아진다.
한국등록실용 제0272799호 (등록일 : 2002.04.08) 한국등록특허 제1463916호 (등록일 : 2014.11.14) 한국등록특허 제1705189호 (등록일 : 2017.02.03)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중간 부분이 빈 격자 형태로 마감 브래킷을 제작하되, 이 마감 브래킷의 바깥 면에 헤드라이너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끼워서 마감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기존 마감 공정(감싸기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감싸기 공정에 필요한 장비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초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한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용 마감 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마감 브래킷의 바깥 면에 조명을 부착하여 선루프를 장착하는 헤드라이너의 개구부 주변이 밝아지게 하므로, 선루프 위치를 쉽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주변 공간이 더 커보이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용 마감 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조명이 헤드라이너 면을 비추거나 나란하게 비추도록 간접 조명 형태가 되게 구성하므로, 은은한 자동차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한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용 마감 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용 마감 브래킷은, 헤드라이너의 중앙 부분에 선루프를 장착할 수 있도록 개방한 개구부(O)에 끼워서 사용하는 마감 브래킷에서, 상기 개구부(O)에는 전체 가장자리에 끼워서 마감하는 마감 부재(110)를 포함하되;, 상기 마감 부재(110)는, 미리 정한 폭을 가진 폐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O)에 마주하는 바깥 면에는 제1 턱(111), 헤드라이너(H)의 가장자리를 끼울 수 있도록 제2 및 제3 턱(112, 113)을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마감 부재(110)에는, 상기 바깥 면에는 전체 가장자리에 제4 턱(114)을 돌출 성형하여 띠 형태로 조명(120)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조명(120)은, 상기 제3 턱(113)과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한 제4 턱(114) 사이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조명(120)은, 헤드라이너(H)와 나란하게 비추게 하여 간접 조명으로 이용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용 마감 브래킷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선루프 장착을 위해 헤드라이너에 형성한 개구부에 본 발명에 따른 마감 브래킷을 끼워서 마감하므로, 이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표층으로 씌워서 감싸기 하는 공정을 없앨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2) 특히, 감싸기 조립은 감싸기 조립에 필요한 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초기 제조 비용이 많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숙련이 필요하나, 본 발명에 따른 마감 브래킷은 바로 개구부에 끼워서 조립하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3) 한편, 마감 브래킷에는 조명을 갖춰서 개구부 주변을 밝힐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개구부 주변이 넓어지게 하는 효과와 자동차 실내의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게 한다.
(4) 특히, 조명은 헤드라이너와 나란하거나 헤드라이너를 향해 조사하게 구성하여 간접 조명으로 비출 수 있게 구성하므로, 이러한 자동차의 실내 분위기를 은은하게 비출 수 있게 한다.
[도 1]은 선루프를 장착한 차량에 설치하는 헤드라이너의 한 가지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헤드라이너에 선루프 장착에 따라 형성한 개구부 부분에 장착한 헤드라이너에 감싸기를 하여 마감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1]에서의 "A-A"선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 부재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 부재를 헤드라이너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용 마감 브래킷(10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헤드라이너(H)에 형성한 개구부(O)의 전체 가장자리에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한 마감 부재(11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마감 부재(110)는 개구부(O)의 전체 가장자리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누구든지 쉽게 본 발명에 따른 마감 브래킷(100)을 헤드라이너(H)에 쉽게 장착할 수 있게 하여, 기존의 개구부(O) 주변을 표층 등으로 감싸게 하는 감싸기 공정을 없앨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마감 부재(110)에는 조명(120)을 장착하므로, 자동차의 실내 분위기를 개선할 수 있고, 특히 선루프 주변이 넓어 보이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조명(120)은 헤드라이너(H)를 향하게 비추거나 헤드라이너(H)와 나란하게 비추게 하여 간접 조명 효과를 얻을 수 있게 장착하므로, 자동차의 실내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다양한 느낌과 편안하고 안락한 느낌을 느낄 수 있게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마감 부재(110)에 헤드라이너(H)와 조명(120) 등을 고정할 수 있게 이 마감 부재(110)의 외주에 턱을 형성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마감 브래킷(100)을 쉽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R"은 자동차의 천장에 해당하는 루프패널을, "S"는 루프패널에 선택적으로 장착하는 선루프를, "O"는 루프패널에 선루프를 장착함에 따라 이 선루프와 마주하는 헤드라이너 부분에 관통하여 개방한 개구부를 각각 나타낸다.
<마감 부재>
마감 부재(11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헤드라이너(H)에 선루프(S) 장착으로 형성한 개구부(O)를 마감할 수 있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마감 부재(110)는 띠 형상의 부재를 개구부(O)의 형상이 되게 폐곡선 형상으로 제작한다.
도면에서, 상기 개구부(O)는, [도 1]과 같이, 직사각형 형태이면서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지게 제작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마감 부재(110)도 이와 같은 모서리가 라운드 진 사각형 격자 형태로 제작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특히, 상기 마감 부재(110)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1 턱(111)을 형성한다. 제1 턱(111)은 때에 따라 마감 부재(110)를 루프패널(R)에 고정할 필요가 있을 때 루프패널(R)에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턱을 말한다. 이러한 제1 턱(111)은 헤드라이너(H)에 마감 부재(110)를 삽입하여 충분하게 지지할 수 있을 때는 루프패널(R)에 고정 장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감 부재(110)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외주에 두 개의 제2 및 제3 턱(112, 113)을 돌출 성형한다. 제2 및 제3 턱(112, 113)은 이들 턱 사이에 헤드라이너(H), 더욱 바람직하게는 헤드라이너(H)에 형성한 개구부(O)의 가장자리를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턱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및 제3 턱(112, 113)은 이들 사이의 간격이 개구부(O)의 가장자리를 억지로 끼워서 삽입할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헤드라이너(H)의 중간 부분에 선루프(S)의 위치에 대응하여 개구부(O)를 관통 성형하게 형성함에 따라 이 개구부(O)의 잘린 면을 마감 처리해야 하는 데,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마감 처리해야 할 개구부(O)의 가장자리를 상기 제2 및 제3 턱(112, 113) 사이에 강제로 끼워서 삽입함에 따라 별도의 마감 처리 공정(또는 감싸기 처리 공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및 제3 턱(112, 113)은 개구부(O)의 가장자리 전체에 밀착하게 마감 부재(110)의 외주 전체에 걸쳐 형성할 수도 있고, 그 외주 전체에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 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제2 및 제3 턱(112, 113) 중에서 자동차 실내 측에 노출되는 경우, [도 4]의 경우 제3 턱(113)은 마감 부재(110)의 외주 전체에 형성함으로써, 개구부(O)의 가장자리가 실내 측에 노출되지 않게 하여 마감 효과를 높일 수 있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마감 부재(110)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조명(120)을 더 추가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조명(120)은 띠 형상으로 마감 부재(110)의 전체 외주에 장착함으로써, 마감 부재(110)의 형상과 같이 빛을 발산하게 하여 개구부(O) 부분의 크기가 더 커 보이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120)은 광이 헤드라이너(H)와 나란하거나 헤드라이너(H)를 향하여 조사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간접 조명 효과를 통해 자동차의 실내 분위기를 은은하게 느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처럼 조명(120)을 마감 부재(110)에 장착할 때는 스크루 등을 이용하여 마감 부재(110)에 조명(120)을 직접 체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4 턱(114)을 형성하여 조명(120)을 강제로 끼워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4 턱(114)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제3 턱(113)과 마주하게 형성하여, 이들 제3 및 제4 턱(113, 114) 사이에 조명(120)을 삽입하여 장착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마감 부재를 통해 루프패널에 선루프를 장착함에 따라 헤드라이너에 형성한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이 마감 부재에 끼워서 고정함에 따라 기존 감싸기 공정을 하지 않고 바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감 부재에 조명을 장착하여 개구부 부분이 커지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조명을 간접 조명으로 구성하여 자동차의 실내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활용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처럼 헤드라이너나 조명 등을 장착하려고 마감 부재에 형성한 여러 개의 턱을 통해 이처럼 장착 구조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마감 부재의 강성 리브와 같은 기능을 하게 하여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100 : 마감 브래킷
110 : 마감 부재
111 : 제1 턱
112 : 제2 턱
113 : 제3 턱
114 : 제4 턱
120 : 조명

Claims (4)

  1. 헤드라이너의 중앙 부분에 선루프를 장착할 수 있도록 개방한 개구부(O)에 끼워서 사용하는 마감 브래킷에서,
    상기 개구부(O)에는 전체 가장자리에 끼워서 마감하는 마감 부재(110)를 포함하되,
    상기 마감 부재(110)는,
    미리 정한 폭을 가진 폐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O)에 마주하는 바깥 면에는 제1 턱(111), 헤드라이너(H)의 가장자리를 끼울 수 있도록 제2 및 제3 턱(112, 113)을 돌출 성형하고,
    상기 마감 부재(110)에는,
    상기 바깥 면에는 전체 가장자리에 제4 턱(114)을 돌출 성형하여 띠 형태로 조명(120)을 장착하며,
    상기 조명(120)은,
    상기 제3 턱(113)과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한 제4 턱(114) 사이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용 마감 브래킷.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조명(120)은,
    헤드라이너(H)와 나란하게 비추게 하여 간접 조명으로 이용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용 마감 브래킷.
KR1020180026076A 2018-03-06 2018-03-06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용 마감 브래킷 KR102011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076A KR102011709B1 (ko) 2018-03-06 2018-03-06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용 마감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076A KR102011709B1 (ko) 2018-03-06 2018-03-06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용 마감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709B1 true KR102011709B1 (ko) 2019-08-19

Family

ID=6780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076A KR102011709B1 (ko) 2018-03-06 2018-03-06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용 마감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7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340B1 (ko) 2022-02-24 2023-08-01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일체형 선루프 오프닝 브래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2093U (ko) * 1989-11-20 1991-07-22
JPH08310299A (ja) * 1995-05-18 1996-11-26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マップランプ配設部構造
JPH09267641A (ja) * 1996-03-29 1997-10-14 Ikeda Bussan Co Ltd サンルーフ構造
KR100272799B1 (ko) 1998-09-24 2000-11-15 황익현 다공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그 포장방법
KR101463916B1 (ko) 2013-02-14 2014-11-21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선루프 개구부 스크랩을 이용한 소프트 시트백커버 제조방법
KR101705189B1 (ko) 2015-12-09 2017-02-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선루프오프닝브라켓에 헤드라이닝을 부착시키는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2093U (ko) * 1989-11-20 1991-07-22
JPH08310299A (ja) * 1995-05-18 1996-11-26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マップランプ配設部構造
JPH09267641A (ja) * 1996-03-29 1997-10-14 Ikeda Bussan Co Ltd サンルーフ構造
KR100272799B1 (ko) 1998-09-24 2000-11-15 황익현 다공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그 포장방법
KR101463916B1 (ko) 2013-02-14 2014-11-21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선루프 개구부 스크랩을 이용한 소프트 시트백커버 제조방법
KR101705189B1 (ko) 2015-12-09 2017-02-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선루프오프닝브라켓에 헤드라이닝을 부착시키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340B1 (ko) 2022-02-24 2023-08-01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일체형 선루프 오프닝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5416A (en) Sun visor with integral core
US7458185B2 (en) Belt molding structure for motor vehicles
JPH08310313A (ja) 自動車用ピラーガーニッシュ支持構造
JP2008126997A (ja) 車両用ドアフレーム、車両用ドアガラスラン装飾リップおよび車両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
CN103568790A (zh) 车门框架的竖直窗框立柱
US20020011738A1 (en) Visor for vehicles
KR102011709B1 (ko)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용 마감 브래킷
JP2016527142A (ja) 成形ジョイントおよびトリムを備えたグレージング、トリム、ならびにグレージングの製造方法
JPH11334367A (ja) ドアフレームモール取付構造
JP4800293B2 (ja) コンバーティブルトップカバーのアタッチメントシステム
JPH0640028Y2 (ja) 車両の成形天井取付構造
JP2001180287A (ja) 自動車のドアインサイドベルトウエザストリップ固定構造
US6824188B1 (en) Sun visor assembly with vanity mirror brow
JPH0640026Y2 (ja) 車両の成形天井取付構造
CN219487149U (zh) 车门外水切组件及车门
JPS5851053Y2 (ja) 車輌のスライディングル−フ装置におけるスライドル−フ部材のシ−ル部材取付構造
CN212890092U (zh) 一种汽车内门槛氛围灯及汽车
CN216886555U (zh) 一种尾门装饰条的开关安装结构
CN214607364U (zh) 一种顶盖内饰板安装结构
JP2001173612A (ja) 自動車のトリム設置用クリップ
JPH0755139Y2 (ja) 車両のサンルーフ構造
JPH0544165Y2 (ko)
JPH0640003Y2 (ja) 車両の冷気案内装置
JPH0641860Y2 (ja) ドアトリム用プルハンドルの取付構造
JPH078312Y2 (ja) 自動車の成形天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