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874B1 - 직화 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직화 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874B1
KR102010874B1 KR1020180069747A KR20180069747A KR102010874B1 KR 102010874 B1 KR102010874 B1 KR 102010874B1 KR 1020180069747 A KR1020180069747 A KR 1020180069747A KR 20180069747 A KR20180069747 A KR 20180069747A KR 102010874 B1 KR102010874 B1 KR 102010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uel gas
supply pipe
fuel
fue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근
전주열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주) 에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너텍 filed Critical (주) 에너텍
Priority to KR1020180069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8Torches, e.g. for braz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2Nozzles for torches; for blow-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5/00Blast-producing apparatus before the fire
    • F23L5/02Arrangements of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06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fluid-fuel burners
    • F23Q7/1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fluid-fuel burners for gaseous fuel, e.g. in welding appliances

Abstract

본 발명은 소위 불맛이라고 하는 직화구이 특유의 그을린듯한 향을 쉽게 구현할 수 있고, 나아가 불맛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성과 이동성 및 보관성이 뛰어나며 야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가짐으로써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직화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 하우징; 일단부는 상기 장치 하우징에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공기-연료 공급관;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의 타단부에 구성되는 버너 노즐구; 상기 버너 노즐구의 일측에 구성되어 공급되는 연료가스를 점화시키는 스파크 플러그 수단;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수단;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가스 공급수단; 및 장치의 온/오프 및 상기 공기 공급수단과 연료가스 공급수단을 제어하여 화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조절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직화 구이 장치{ROAST DEVICE}
본 발명은 직화 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위 불맛이라고 하는 직화구이 특유의 그을린듯한 향을 쉽게 구현할 수 있고, 나아가 불맛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성과 이동성 및 보관성이 뛰어나며 야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가짐으로써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직화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화구이 장치는 숯불, 전기히터,가스버너 등과 같은 열원을 이용해 직화방식으로 육류 및 기타 식재료를 구이요리하는 장치로서, 육류 및 식재료가 열원에 의해 겉부터 익혀지면서 육류 및 다른 식재료 본연에 맛과 직화구이 특유의 그을린듯한향(이하, 불맛이라 함)을 포함한 상태로 구워져 고기 및 식재료를 풍미(風味)있게 하여 많은 사람이 선호하고 있는 장치이다.
가정이나 야외 또는 식당 등에서 숯불을 사용하여 고기 및 식재료를 굽는 방법으로는 숯불을 담은 화로 위에 석쇠와 같은 용구를 놓고 그 위에 고기 및 식재료를 올려 뒤집어 가면서 굽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의 숯불구이방식으로 고기 및 식재료를 굽는 경우에는 뒤집는 시점이 제각각일 수 밖에 없어서 가열시간을 고르게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결과적으로 고기 및 식재료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어 타는 부위가 있는가 하면 덜 익혀진 부위가 있을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기 및 식재료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구울 수 있는, 예를 들면 회전식 고기구이장치 등 다양한 종류의 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나, 대부분 그 크기가 커서 업소 등에서만 사용할 수 있을 뿐 가정이나 야외에서는 사용하기가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또한 연기가 많이 발생하고 구워진 형태가 지저분하여 섭취하는데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17385(2006.08.22. 등록)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22144(2001.02.19. 등록)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38891(2017.05.17. 등록) (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64456(2016.10.04. 등록) (문헌 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64456(2016.10.04. 등록)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화구이 특유의 그을린듯한향(불맛)을 쉽게 구현할 수 있고,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성과 이동성 및 보관성이 뛰어나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직화 구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불맛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연기 발생이 적으며, 타는 부위를 최소화하거나 방지하여 깔끔하게 구워진 형태로 구워질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한 섭취를 제공할 수 있는 직화 구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장치 하우징; 일단부는 상기 장치 하우징에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공기-연료 공급관;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의 타단부에 구성되는 버너 노즐구; 상기 버너 노즐구의 일측에 구성되어 공급되는 연료가스를 점화시키는 스파크 플러그 수단;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수단;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가스 공급수단; 및 장치의 온/오프 및 상기 공기 공급수단과 연료가스 공급수단을 제어하여 화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조절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은 전체적으로 "ㄷ"자형 절곡 형태를 갖는 곡관으로 이루어지되, 최종 단부 측 절곡부가 이전 절곡부에 대하여 둔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최종 단부 측 절곡부는 이전 절곡부와 이루는 내각이 90도 초과 11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은 상기 장치 하우징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향 연장부와, 상기 상향 연장부의 단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측방 연장부, 및 상기 측방 연장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하방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방 연장부와 하방 연장부가 이루는 내각은 90도 초과 11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너 노즐구는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에 연결되는 노즐 접속구와, 상기 노즐 접속구와 일체로 형성되는 통 형상의 노즐 바디, 및 상기 노즐 바디의 내부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점화 마찰편을 포함하며, 상기 스파크 플러그 수단은 중심 전극과 접지 전극이 불꽃 갭을 갖고 형성되는 점화 플러그와, 상기 점화 플러그를 상기 버너 노즐구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고정 브라켓, 상기 점화 플러그와 고정 브라켓을 커버하는 커버 하우징, 상기 점화 플러그의 중심 전극과 접지 전극으로 전원을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전기 케이블, 상기 전기 케이블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조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바디는 상기 노즐 접속구와 연통되는 소경부를 갖는 제1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소경부보다 큰 대경부를 갖는 제2 바디부와, 상기 소경부와 대경부를 연결하는 테이퍼진 형태의 확산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점화 마찰편이 끼움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점화 마찰편은 단면 십자형으로 구성되되, 하단면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너 노즐구의 단부에는 교체가능한 메쉬망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장치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의 자유 단부 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과 전기 케이블과 버너 노즐구 및 스파크 플러그 수단을 커버하는 커버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연장 및 수축 가능한 벨로우즈(bellows)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송풍로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과 연통하는 송풍 관로와, 상기 송풍 관로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가스 공급수단을 구성하는 하기 연료가스 공급관로로 공기 일부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송풍관로, 및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가스 공급수단은 연료가스 공급원과, 상기 연료가스 공급원으로부터 연료가스가 배출되고 상기 바이패스 송풍관로가 연결되는 연료가스 공급관로, 및 상기 연료가스 공급관로 내에서 혼합된 공기와 연료가스의 혼합가스를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노즐형 공기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직화구이 특유의 그을린듯한향(불맛)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성과 이동성 및 보관성이 뛰어나 캠핑 등 야외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구이 대상물의 불맛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조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연기 발생이 적고, 조리면을 넓게 하여 타는 부위를 최소화 또는 방지하여 깔끔하게 구워진 형태로 구워질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한 섭취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 장치를 구성하는 내부 구성요소들 및 이들은 통한 연료가스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 장치를 구성하는 버너 노즐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 장치를 구성하는 버너 노즐구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 장치를 구성하는 버너 노즐구의 노즐 바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 장치를 구성하는 버너 노즐구의 노즐 바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직화 구이 장치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 장치를 구성하는 내부 구성요소들 및 이들 구성요소들을 통한 연료가스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 장치를 구성하는 버너 노즐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 장치를 구성하는 버너 노즐구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 장치를 구성하는 버너 노즐구의 노즐 바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 장치를 구성하는 버너 노즐구의 노즐 바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 장치는, 도 1 내지 도 6의 일 실시 예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갖는 장치 하우징(110); 일단부는 장치 하우징(110)에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치 하우징(110)의 외부로 연장되는 공기-연료 공급관(120); 공기-연료 공급관(120)의 타단부에 구성되는 버너 노즐구(200); 상기 버너 노즐구(200)의 일측에 구성되어 공급되는 연료가스를 점화시키는 스파크 플러그 수단(300); 장치 하우징(1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공기-연료 공급관(120)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수단; 장치 하우징(110)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공기-연료 공급관(120)으로 연료(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가스 공급수단; 및 장치의 온/오프 및 상기 공기 공급수단과 연료가스 공급수단을 제어하여 화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조절 스위치(611);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직화 구이 장치는 장치 하우징(110)의 일면에 구성되어 제어 상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620)를 포함한다.
상기한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장치 하우징(110)은 철재를 포함한 내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장치 하우징(110)은 조립성을 위하여 복수의 파트로 구성하여 조립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프레스 가공 또는 몰드 가공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공기-연료 공급관(120)은 후술하는 공기 공급수단과 연료가스 공급수단 각각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와 연료가스를 안내하기 위한 관로로서,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연료 공급관(120)은 전체적으로 대략 "ㄷ"자형 절곡 형태를 갖는 곡관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기-연료 공급관(120)에서 최종 단부 측 절곡부(123)는 이전 절곡부(122)에 대하여 둔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 최종 단부 측 절곡부(123)는 이전 절곡부(122)와 이루는 내각이 90도 초과 11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120)은 장치 하우징(11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향 연장부(121)와, 상기 상향 연장부(121)의 단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측방 연장부(122), 및 상기 측방 연장부(122)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하방 연장부(123)로 이루어지며, 측방 연장부(122)와 하방 연장부(123)가 이루는 내각은 내각이 90도 초과 11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공기-연료 공급관(120)에서 최종 단부 측 절곡부(123)(즉, 하방 연장부(123))와 이전 절곡부(122)(즉, 측방 연장부(122)) 간이 이루어지는 내각이 소정 각도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리 시 조리 용기로부터 뜨거운 열기가 버너 노즐구(200) 및 스파크 플러그 수단(300) 측으로 직접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한다.
또한, 이와 같이 내각을 갖도록 하는 것는 조리 중에 음식물이 버너 노즐구(200) 및 스파크 플러그 수단(300) 측(특히, 내측)으로 튀는 것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유지 관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는 본 발명의 발명자가 거듭한 시 제작품의 반복 설계와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버너 노즐구(200)는 도 3 내지 도 6의 예시에서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통 형상의 노즐 접속구(210)와, 노즐 접속구(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통 형상의 노즐 바디(220), 및 노즐 바디(220)의 내부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점화 마찰편(230)을 포함한다.
노즐 바디(220)는 노즐 접속구(210)와 연통되는 소경부(221a)를 갖는 제1 바디부(221)와, 제1 바디부(2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소경부(221a)보다 큰 대경부(222a)를 갖는 제2 바디부(222)와, 제1 바디부(221)의 소경부(221a)와 제2 바디부(222)의 대경부(222a)를 연결하는 확산부(223a)와, 제2 바디부(222)의 내벽에 형성되어 점화 마찰편(230)이 끼움 고정되는 고정홈(224)을 포함한다.
계속해서, 점화 마찰편(230)은 단면 십자형으로 구성되되, 하단면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점화 마찰편(230)의 하단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점화 마찰편(230)을 지나는 공기와 연료 가스(이하, "혼합 가스"라 함)는 중앙부와 가장자리에서의 흐름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불꽃 점화의 용이성과 불맛의 상승 효과를 거듭한 실험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 장치에서 버너 노즐구(200)의 단부에는 교체가능한 메쉬망(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메쉬망은 버너 노즐구(200)로부터의 불꽃 방출은 가능하게 하고, 조리 시 발생되는 그을음이나 조리물이 버너 노즐구(200) 내측으로 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메쉬망은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파크 플러그 수단(300)은 불꽃 갭을 형성하면서 중심 전극과 접지 전극(311)을 갖는 점화 플러그(310)와, 점화 플러그(310)를 버너 노즐구(200)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고정 브라켓(320), 점화 플러그(310)와 고정 브라켓(320)을 커버하는 커버 하우징(330), 점화 플러그(310)의 중심 전극과 접지 전극(311)으로 전원을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전기 케이블(340), 상기 전기 케이블(340)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미도시), 및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조작 버튼을 포함한다.
버너 노즐구(200)에 점화 플러그(3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점화 플러그(310)의 접지 전극(31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너 노즐구(200)의 노즐 바디(220)의 단부 측에서 소정 간극을 갖고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배터리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은 조작 스위치(611)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611)를 오프 상태에서 누름조작하면서 회전시키게 되면 배터리가 통전되어 전류가 중심전극과 접지 전극으로 제공되도록 하여 중심 전극과 접지 전극 간에 스파크가 발생하도록 하고, 이후 혼합가스가 점화되어 불꽃이 발생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공기 공급수단은 장치 하우징(1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송풍팬(410)과, 송풍팬(410)의 송풍로를 형성하며 공기-연료 공급관(120)과 연통하는 송풍 관로(420), 상기 송풍 관로(420)의 일측에 연결되어 후술하는 연료가스 공급수단을 구성하는 연료가스 공급관로(510)로 공기 일부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송풍관로(430), 및 송풍팬(410)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바이패스 송풍관로(430)는 생략 가능하나, 연료가스가 공급되는 측에 바이패스 송풍관로(430)를 통해 바이패스되는 공기 일부가 공급됨으로써 보다 원활하고 효율적인 공연비(air-fuel ratio)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410)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는 상기한 스파크 플러그 수단(300)을 구성하는 배터리와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연료가스 공급수단은 연료가스 공급원과, 연료가스 공급원으로부터의 연료가스가 배출되고 상기한 바이패스 송풍관로(430)가 연결되는 연료가스 공급관로(510), 및 연료가스 공급관로(510) 내에서 혼합된 공기와 연료가스의 혼합가스를 공기-연료 공급관(120)으로 공급하는 노즐형 공기 공급관(520)을 포함한다.
상기 연료가스 공급수단의 연료가스 공급원은 일회용 가스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건물에 시설되는 가스 공급 관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조절 스위치(611)는 전체 장치를 온/오프하고 연료와 공기의 양을 조절하게 되며, 이러한 조절 스위치(611)의 구성과 동작은 공지의 방식 또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직화 구이 장치는, 일단부가 장치 하우징(1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공기-연료 공급관(120)의 단부 측까지 연장되어 공기-연료 공급관(120)과 전기 케이블(340) 및 버너 노즐구(200) 및 스파크 플러그 수단(300)을 커버하는 커버 하우징(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 하우징은 통상 시 공기-연료 공급관(120)과 버너 노즐구(200) 및 스파크 플러그 수단(300) 모두를 커버하고, 사용 시에는 버너 노즐구(200)와 스파크 플러그 수단(300)이 노출되도록 수축되는 벨로우즈(bellows)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장치 하우징
120: 공기-연료 공급관
121: 상향 연장부
122: 측방 연장부
123: 하방 연장부
200: 버너 노즐구
210: 노즐 접속구
220: 노즐 바디
224: 고정홈
230: 점화 마찰편
300: 스파크 플러그 수단
310: 점화 플러그
311: 접지 전극
320: 고정 브라켓
330: 커버 하우징
340: 전기 케이블
410: 송풍팬
420: 송풍 관로
430: 바이패스 송풍관로
510: 연료가스 공급관로
520: 노즐형 공기 공급관
611: 조절 스위치
620: 디스플레이부

Claims (10)

  1. 장치 하우징;
    일단부는 상기 장치 하우징에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공기-연료 공급관;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의 타단부에 구성되는 버너 노즐구;
    상기 버너 노즐구의 일측에 구성되어 공급되는 연료가스를 점화시키는 스파크 플러그 수단;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수단;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가스 공급수단; 및
    장치의 온/오프 및 상기 공기 공급수단과 연료가스 공급수단을 제어하여 화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조절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노즐구는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에 연결되는 노즐 접속구와, 상기 노즐 접속구와 일체로 형성되는 통 형상의 노즐 바디, 및 상기 노즐 바디의 내부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점화 마찰편을 포함하며,
    상기 스파크 플러그 수단은 중심 전극과 접지 전극이 불꽃 갭을 갖고 형성되는 점화 플러그와, 상기 점화 플러그를 상기 버너 노즐구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고정 브라켓, 상기 점화 플러그와 고정 브라켓을 커버하는 커버 하우징, 상기 점화 플러그의 중심 전극과 접지 전극으로 전원을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전기 케이블, 상기 전기 케이블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조작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 바디는 상기 노즐 접속구와 연통되는 소경부를 갖는 제1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소경부보다 큰 대경부를 갖는 제2 바디부와, 상기 소경부와 대경부를 연결하는 테이퍼진 형태의 확산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점화 마찰편이 끼움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점화 마찰편은 단면 십자형으로 구성되되, 하단면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은 전체적으로 "ㄷ"자형 절곡 형태를 갖는 곡관으로 이루어지되, 최종 단부 측 절곡부가 이전 절곡부에 대하여 둔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단부 측 절곡부는 이전 절곡부와 이루는 내각이 90도 초과 11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은
    상기 장치 하우징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향 연장부와, 상기 상향 연장부의 단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측방 연장부, 및 상기 측방 연장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하방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방 연장부와 하방 연장부가 이루는 내각은 90도 초과 10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노즐구의 단부에는 교체가능한 메쉬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장치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의 자유 단부 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과 전기 케이블과 버너 노즐구 및 스파크 플러그 수단을 커버하는 커버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연장 및 수축 가능한 벨로우즈(bellows)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송풍로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과 연통하는 송풍 관로와, 상기 송풍 관로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가스 공급수단을 구성하는 하기 연료가스 공급관로로 공기 일부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송풍관로, 및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가스 공급수단은 연료가스 공급원과, 상기 연료가스 공급원으로부터 연료가스가 배출되고 상기 바이패스 송풍관로가 연결되는 연료가스 공급관로, 및 상기 연료가스 공급관로 내에서 혼합된 공기와 연료가스의 혼합가스를 상기 공기-연료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노즐형 공기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 장치.
KR1020180069747A 2018-06-18 2018-06-18 직화 구이 장치 KR102010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747A KR102010874B1 (ko) 2018-06-18 2018-06-18 직화 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747A KR102010874B1 (ko) 2018-06-18 2018-06-18 직화 구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874B1 true KR102010874B1 (ko) 2019-08-14

Family

ID=67621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747A KR102010874B1 (ko) 2018-06-18 2018-06-18 직화 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8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456B1 (ko) 2022-09-27 2024-02-15 (주)신용산업 직화 구이기의 점화 플러그 고정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144Y1 (ko) 1999-04-09 2001-05-02 이철건 숯불구이기
KR100617385B1 (ko) 2006-05-18 2006-09-01 박상술 회전식 바비큐 그릴
KR20130005725U (ko) * 2012-03-23 2013-10-02 최완진 업소용 가스렌지를 이용한 직화구이용 하향식(下向式) 화구가 설치된 렌지
KR101664456B1 (ko) 2016-05-18 2016-10-10 윤덕근 가스를 이용한 직화 구이기
KR20170001564A (ko) * 2016-04-26 2017-01-04 최호성 하향식 숯불구이기구
KR101738891B1 (ko) 2015-10-30 2017-05-23 (주)월드코리아 가스 직화 구이기
KR101815533B1 (ko) * 2016-09-30 2018-01-05 김인배 직화 구이기 및 이를 구비한 가스렌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144Y1 (ko) 1999-04-09 2001-05-02 이철건 숯불구이기
KR100617385B1 (ko) 2006-05-18 2006-09-01 박상술 회전식 바비큐 그릴
KR20130005725U (ko) * 2012-03-23 2013-10-02 최완진 업소용 가스렌지를 이용한 직화구이용 하향식(下向式) 화구가 설치된 렌지
KR101738891B1 (ko) 2015-10-30 2017-05-23 (주)월드코리아 가스 직화 구이기
KR20170001564A (ko) * 2016-04-26 2017-01-04 최호성 하향식 숯불구이기구
KR101664456B1 (ko) 2016-05-18 2016-10-10 윤덕근 가스를 이용한 직화 구이기
KR101815533B1 (ko) * 2016-09-30 2018-01-05 김인배 직화 구이기 및 이를 구비한 가스렌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456B1 (ko) 2022-09-27 2024-02-15 (주)신용산업 직화 구이기의 점화 플러그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1995B2 (en) Dual-fuel gas-pellet burner assembly
US7227106B2 (en) Modular grill cooker and multipurpose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220071444A1 (en) Outdoor pellet grill
TWI757335B (zh) 燃燒器的點火裝置
KR20010077008A (ko) 휴대용 구이기
KR102010874B1 (ko) 직화 구이 장치
US20190274479A1 (en) Grill
KR101738814B1 (ko) 하향식 숯불구이기구
CA2693236A1 (en) Portable heating device
US11767980B2 (en) Longitudinal burn pot assembly and improved air flow system
KR200384374Y1 (ko) 열풍가열식 고기구이구
KR20150116603A (ko) 공기 공급구조를 갖는 업소용 직화 구이기
KR200480272Y1 (ko) 하향식 그릴장치
KR20190036694A (ko) 연통형 화로
JP3173613U (ja) 無煙炭火焼き器具
US20080081306A1 (en) Barbecue stove with two burners
CN212307608U (zh) 具有万用口罩盒的万用瓦斯炉结构
US20150245741A1 (en) Grill System and Process
KR20140013856A (ko) 가스 겸용 숯불구이기
CN211093498U (zh) 一种燃气炉具
JP3236853U (ja) 電気グリル
KR102390179B1 (ko) 캠핑용 다기능 구이기
KR102241546B1 (ko) 숯불을 적용한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20020001194A (ko) 가스겸용 회전식 꼬치구이기
KR102241542B1 (ko) 타원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