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790B1 - 다중 벤딩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벤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790B1
KR102010790B1 KR1020190000569A KR20190000569A KR102010790B1 KR 102010790 B1 KR102010790 B1 KR 102010790B1 KR 1020190000569 A KR1020190000569 A KR 1020190000569A KR 20190000569 A KR20190000569 A KR 20190000569A KR 102010790 B1 KR102010790 B1 KR 102010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horizontal
vertical
fixed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인찬
Original Assignee
나인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인찬 filed Critical 나인찬
Priority to KR1020190000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6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in press brakes or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Pliers with form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피절곡물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에서 벤딩 가능하도록 구현한 다중 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피절곡물을 안착 고정하는 고정부;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의 일측면을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수평 벤딩하는 수평벤딩부; 및 고정부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의 다른 일측면을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수직 벤딩하는 수직벤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벤딩장치{Multi bending apparatus}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다중 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절곡물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에서 벤딩 가능하도록 구현한 다중 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벤딩장치는 고속도로 중앙분리대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결합에 사용되는 철근 등의 피절곡물을 절곡시키기 위한 기계장치로서, 피절곡물이 사용되는 기능 및 조건에 따라 다향한 구성을 포함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7497호(2004.03.31 등록)는 각관을 이용한 책,걸상용 하부받침대 및 그 밴딩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본체의 상부 양측에 회전 가능한 가이드몰드가 장착된 지지대를 이격 형성하고, 대향된 지지대의 사이에는, 하향 고정된 유압실린더에 연결된 상부몰드와,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상향 고정된 유압실린더에 장착된 수평의 하부몰드가 대향되게 하되, 가이드몰드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요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한 하부몰드의 상부면에는 안치요홈을 형성하여, 가이드요홈 및 안치요홈에 삽입된 각관이, 면접된 상부몰드 및 하부몰드의 유압실린더의 하강에 의해 가이드몰드의 회전과 동시에 상부몰드의 양측 절곡면을 따라 밴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58339호(2016.09.10 등록)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및 벤딩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중앙부에 세로레일을 설치하고, 세로레일 선단부 양측으로는 가로레일을 각각 설치하는 테이블; 세로레일에 전,후진 가능하게 미끄럼 결합되면서 성형프레임을 일정한 곡률로 벤딩시키는 벤딩부; 벤딩부 후미에 작용로드를 연결하면서 테이블 후미에 고정설치되는 벤딩실린더; 테이블 선단부에 설치되어 벤딩부의 전진거리를 한정하는 스토퍼; 가로레일에 전,후진 가능하게 미끄럼 결합되면서 성형프레임의 끝단부를 결합하고, 성형프레임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당김작용으로써 스트레칭 기능을 제공하는 스트레칭부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피절곡물이 사용되는 기능 및 조건에 따라 다공정 벤딩이 필요한 경우에 공정완료를 위해 복수개의 벤딩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749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5833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절곡물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에서 벤딩 가능하도록 구현한 다중 벤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본체부;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피절곡물을 안착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의 일측면을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수평 벤딩하는 수평벤딩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의 다른 일측면을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수직 벤딩하는 수직벤딩부를 포함하는 다중 벤딩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피절곡물을 안착하는 안착수단; 및 상기 안착수단의 일측에 형성되어, 안착된 피절곡물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착수단은, 상기 수직벤딩부가 피절곡물을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시에 상기 수직벤딩부와 상기 안착수단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안착수단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수단에 안착된 피절곡물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평벤딩부는, 상기 고정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이 수평방향으로 벤딩되도록 피절곡물을 지지하는 수평벤딩축지지수단; 및 상기 고정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의 일측면을 수평방향으로 가압하는 수평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평벤딩축지지수단은, 하부가 상기 고정부의 상부 일측에 고정 형성되며 상부가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외주면에 수나사산을 형성 하는 수평체결부재; 및 내주면의 하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체결부재에 결합되어 피절곡물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평지지부재는, 외주면 하측에 나사산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평가압수단은, 일측이 상기 고정부의 상부 다른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작동유를 수용하는 수평실린더본체부재; 상기 수평실린더본체부재의 내부에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전후진하는 수평피스톤부재; 상기 수평피스톤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실린더본체부재의 내주면과 미끄럼 접촉하여 작동유의 누설을 막는 수평피스톤밀봉부재; 상기 수평피스톤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피스톤부재의 직선 왕복운동력을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로 전달하는 수평피스톤로드부재; 상기 수평실린더본체부재의 일단에 결합되어, 작동유를 유입,유출 및 제어하는 제1수평커버부재; 및 상기 수평피스톤로드부재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평실린더본체부재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어, 작동유를 유입,유출 및 제어하는 제2수평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평벤딩부는, 상기 수평가압수단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마찰하는 수평롤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평롤링수단은, 상기 수평피스톤로드부재의 일단에 형성되어, 회전축을 구비하는 수평회전축부재; 및 상기 수평회전축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마찰하는 수평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직벤딩부는, 상기 고정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이 수직방향으로 벤딩되도록 피절곡물을 지지하는 수직벤딩축지지수단; 및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의 다른 일측면을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는 수직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직가압수단은, 일측이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고정 형성되어, 작동유를 수용하는 수직실린더본체부재; 상기 수직실린더본체부재의 내부에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전후진하는 수직피스톤부재; 상기 수직피스톤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실린더본체부재의 내주면과 미끄럼 접촉하여 작동유의 누설을 막는 수직피스톤밀봉부재; 상기 수직피스톤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피스톤부재의 직선 왕복운동력을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로 전달하는 수직피스톤로드부재; 상기 수직실린더본체부재의 일단에 결합되어, 작동유를 유입,유출 및 제어하는 제1수직커버부재; 및 상기 수직피스톤로드부재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직실린더본체부재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어, 작동유를 유입,유출 및 제어하는 제2수직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직벤딩부는, 상기 수직가압수단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의 다른 일측면과 접촉하여 마찰하는 수직롤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직롤링수단은, 상기 수직피스톤로드부재의 일단에 형성되어, 회전축을 구비하는 수직회전축부재; 및 상기 수직회전축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의 다른 일측면과 접촉하여 마찰하는 수직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안착수단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수단에 안착된 피절곡물의 하부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직벤딩축지지수단은, 하부가 상기 고정부의 상부 중앙측에 고정 형성되며, 상부의 하단이 상기 안착수단에 안착된 피절곡물의 상부면에 접하여 지지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이 수직방향으로 벤딩되도록 피절곡물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직벤딩축지지수단은, 하부가 상기 고정부의 상부 중앙측에 고정 형성되며 상부가 수평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외주면에 수나사산을 형성 하는 수직체결부재; 및 내주면의 하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체결부재에 결합되어 피절곡물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직지지부재는, 외주면 하측에 나사산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피절곡물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에서 벤딩 가능하도록 구현한 다중 벤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피절곡물에 대한 다공정 벤딩이 필요한 경우에, 하나의 벤딩장치에서 모든 공정을 완료할 수 있어, 공정이 간소화되어 불량발생률이 낮아질뿐만 아니라 벤딩공정에 투입되는 인력이 축소되어 전체적인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벤딩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고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수평벤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수평벤딩축지지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있는 수평롤링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수직벤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있는 수직롤링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있는 수직벤딩축지지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절곡물의 절곡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벤딩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벤딩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중 벤딩장치는, 본체부(100), 고정부(200), 수평벤딩부(300), 수직벤딩부(400)을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상부에 고정부(200)가 형성되어 피절곡물(W)이 안착 고정되고 수평벤딩부(300) 및 수직벤딩부(400)에 의해서 피절곡물(W)을 벤딩한다.
고정부(200)는, 본체부(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피절곡물(W)을 안착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평벤딩부(300)는, 고정부(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부(200)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W)의 일측면을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수평 벤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직벤딩부(400)는, 고정부(20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 고정부(200)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W)의 다른 일측면을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수직 벤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중 벤딩장치는, 피절곡물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에서 벤딩 가능하도록 구현한 다중 벤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피절곡물에 대한 다공정 벤딩이 필요한 경우에, 하나의 벤딩장치에서 모든 공정을 완료할 수 있어, 공정이 간소화되어 불량발생률이 낮아질뿐만 아니라 벤딩공정에 투입되는 인력이 축소되어 전체적인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고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부(200)는, 안착수단(210), 고정수단(220)을 포함한다.
안착수단(210)은, 본체부(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피절곡물(W)을 안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수단(220)은, 안착수단(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안착된 피절곡물(W)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200)는, 수직벤딩부(300)가 피절곡물(W)을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시에 수직벤딩부(300)와 안착수단(210)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통홀(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수단(220)은, 안착수단(210)의 일측에 고정형성되어, 피절곡물(W)의 외주면 전체를 파악하는 클램프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수단(220)은, 안착수단(2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수단에 안착된 피절곡물(W)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수단(220)은, 피절곡물(W)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실린더 형태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수평벤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평벤딩부(300)는, 수평벤딩축지지수단(310), 수평가압수단(320)을 포함한다.
수평벤딩축지지수단(310)은, 고정부(20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W)이 수평방향으로 벤딩되도록 피절곡물(W)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평가압수단(320)은, 고정부(200)의 상부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고정부(200)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W)의 일측면을 수평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수평가압수단(320)은, 수평실린더본체부재(321), 수평피스톤부재(미도시), 수평피스톤밀봉부재(미도시), 수평피스톤로드부재(324), 제1수평커버부재(325), 제2수평커버부재(326)을 포함한다.
수평실린더본체부재(321)는, 일측이 고정부(200)의 상부 다른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작동유를 수용한다.
수평피스톤부재(미도시)는, 수평실린더본체부재(321)의 내부에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전후진하며 수평피스톤로드부재(324)가 연결된다.
수평피스톤밀봉부재(미도시)는, 수평피스톤부재(미도시)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수평실린더본체부재(321)의 내주면과 미끄럼 접촉하여 작동유의 누설을 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평피스톤로드부재(324)는, 수평피스톤부재(미도시)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수평피스톤부재(미도시)의 직선 왕복운동력을 고정부(200)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W)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수평커버부재(325)는, 수평실린더본체부재(321)의 일단에 결합되어, 작동유를 유입,유출 및 제어한다.
제2수평커버부재(326)는, 수평피스톤로드부재(324)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수평실린더본체부재(321)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어, 작동유를 유입,유출 및 제어한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수평벤딩축지지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평벤딩축지지수단(310)은, 수평체결부재(311), 수평지지부재(312)를 포함한다.
수평체결부재(311)는, 하부가 고정부(200)의 상부 일측에 고정 형성되며 상부가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외주면에 수나사산을 형성한다.
수평지지부재(312)는, 내주면의 하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수평체결부재(311)에 결합되어 피절곡물(W)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수평지지부재(312)는, 외주면 하측에 나사산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중 벤딩장치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며 연속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수평지지부재(312)를 다수개 구비하여 수평지지부재(312)의 축(C1)을 기준으로 피절곡물(W)이 기설정된 다양한 각도의 곡률을 가지도록 설정함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평벤딩부(300)는, 수평롤링수단(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롤링수단(330)은, 수평가압수단(320)의 일단에 형성되어, 고정부(200)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W)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마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는 도 3에 있는 수평롤링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평롤링수단(330)은, 수평회전축부재(331), 수평회전롤러(332)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수평회전축부재(331)는, 수평피스톤로드부재(324)의 일단에 형성되어, 회전축을 구비하여 회전축에 수평회전롤러(332)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수평회전롤러(332)는, 수평회전축부재(331)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W)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마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수평회전롤러(332)는, 피절곡물(W)에 선접촉(구름접촉) 함으로써, 피절곡물(W)에 대한 수평가압수단(320)의 미끌림현상을 방지하여, 벤딩시에 수평벤딩부(300)의 가압력이 일정하게 피절곡물(W)에 전달되도록 함에 따라 피절곡물(W)의 찍힘현상, 눌림현상 등의 절곡변형을 방지하여 생산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롤링수단(330) 없이 수평피스톤로드부재(324)만으로 피절곡물(W)에 가압력을 전달하게 되면, 벤딩된 각도에따라 피절곡물(W)에 불규칙적으로 면접촉하거나 선접촉하여 발생하는 수평피스톤로드부재(324)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수직벤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직벤딩부(400)은, 수직벤딩축지지수단(410), 수직가압수단(420)을 포함한다.
수직벤딩축지지수단(410)은, 고정부(20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W)이 수직방향으로 벤딩되도록 피절곡물(W)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직가압수단(420)은, 고정부(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고정부(200)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W)의 다른 일측면을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직가압수단(420)은, 수직실린더본체부재(421), 수직피스톤부재(미도시), 수직피스톤밀봉부재(미도시), 수직피스톤로드부재(424), 제1수직커버부재(425), 제2수직커버부재(426)를 포함한다.
수직실린더본체부재(421)는, 일측이 고정부(200)의 하부에 고정 형성되어, 작동유를 수용한다.
수직피스톤부재(미도시)는, 수직실린더본체부재(421)의 내부에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전후진한다.
수직피스톤밀봉부재(미도시)는, 수직피스톤부재(미도시)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수직실린더본체부재(421)의 내주면과 미끄럼 접촉하여 작동유의 누설을 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직피스톤로드부재(424)는, 수직피스톤부재(미도시)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수직피스톤부재(미도시)의 직선 왕복운동력을 고정부(200)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W)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수직커버부재(425)는, 수직실린더본체부재(421)의 일단에 결합되어, 작동유를 유입,유출 및 제어한다.
제2수직커버부재(426)는, 수직피스톤로드부재(424)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수직실린더본체부재(421)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어, 작동유를 유입,유출 및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직벤딩부(400)는, 수직롤링수단(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직롤링수단(430)은, 수직가압수단(420)의 일단에 형성되어, 고정부(200)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W)의 다른 일측면과 접촉하여 마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7은 도 6에 있는 수직롤링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수직롤링수단(430)은, 수직회전축부재(431), 수직회전롤러(432)를 포함한다.
수직회전축부재(431)는, 수직피스톤로드부재(424)의 일단에 형성되어, 회전축을 구비하여 수직회전롤러(432)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수직회전롤러(432)는, 수직회전축부재(431)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고정부(200)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W)의 다른 일측면과 접촉하여 마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수직회전롤러(432)는, 피절곡물(W)에 선접촉(구름접촉) 함으로써, 피절곡물(W)에 대한 수직가압수단(420)의 미끌림현상을 방지하여, 벤딩시에 수직벤딩부(400)의 가압력이 일정하게 피절곡물(W)에 전달되도록 함에 따라 피절곡물(W)의 찍힘현상, 눌림현상 등의 절곡변형을 방지하여 생산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롤링수단(430) 없이 수직피스톤로드부재(424)만으로 피절곡물(W)에 가압력을 전달하게 되면, 벤딩된 각도에따라 피절곡물(W)에 불규칙적으로 면접촉하거나 선접촉하여 발생하는 수직피스톤로드부재(424)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수단(200)은, 안착수단(2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안착수단(210)에 안착된 피절곡물(W)의 하부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구조로 설계 될 수 있고, 수직벤딩축지지수단(410)은, 하부가 고정부(200)의 상부 중앙측에 고정 형성되며, 상부의 하단이 안착수단(210)에 안착된 피절곡물(W)의 상부면에 접하여 지지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부(200)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W)이 수직방향으로 벤딩되도록 피절곡물(W)을 지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있는 수직벤딩축지지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직벤딩축지지수단(410)은, 수직체결부재(411), 수직지지부재(412)를 포함한다.
수직체결부재(411)은, 하부가 고정부(200)의 상부 중앙측에 고정 형성되며 상부가 수평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외주면에 수나사산을 형성하여 수직지지부재(412)가 체결되도록 한다.
수직지지부재(412)는, 내주면의 하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수직체결부재에 결합되어 피절곡물(W)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직지지부재(412)는, 외주면 하측에 나사산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중 벤딩장치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며 연속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수직지지부재(412)를 다수개 구비하여 수직지지부재(412)의 축(C2)을 기준으로 피절곡물(W)이 기설정된 다양한 각도의 곡률을 가지도록 설정함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절곡물의 절곡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피절곡물(W)은, 안착부(210)에 안착되며, 고정수단(220)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때 수평벤딩부(300)의 수평가압수단(320)은, 안착부(210)에 안착되고 고정수단(220)에 의해 고정된 피절곡물(W)의 일측면 수평방향으로 가압력을 전달하고, 수평가압수단(320)의 수평피스톤로드부재(324)가 신축하여 수평피스톤로드부재(324)의 일단에 형성된 수평롤링수단(330)이 고정부(200)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W)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마찰하고 수평벤딩축지지수단(310)에 지지되어 수평 벤딩한다. 수평 벤딩이 완료되면,
수직벤딩부(400)의 수직가압수단(420)은, 수평 벤딩이 완료된 피절곡물(W)의피절곡물(W)의 다른 일측면(중앙 일측면)의 수직 방향으로 가압력을 전달하고, 수직가압수단(420)의 수직피스톤로드부재(424)가 신축하여 수직피스톤로드부재(424)의 일단에 형성된 수직롤링수단(430)이 고정부(200)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W)의일측면과 접촉하여 마찰하고 수직벤딩축지지수단(410)에 지지되어 수직 벤딩하여 공정이 완료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본체부
200 : 고정부
210 : 안착수단
220 : 고정수단
300 : 수평벤딩부
310 : 수평벤딩축지지수단
320 : 수평가압수단
330 : 수평롤링수단
400 : 수직벤딩부
410 : 수직벤딩축지지수단
420 : 수직가압수단
430 : 수직롤링수단

Claims (5)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피절곡물을 안착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의 일측면을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수평 벤딩하는 수평벤딩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의 다른 일측면을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수직 벤딩하는 수직벤딩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벤딩부는, 상기 고정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이 수평방향으로 벤딩되도록 피절곡물을 지지하는 수평벤딩축지지수단; 및 상기 고정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의 일측면을 수평방향으로 가압하는 수평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평벤딩축지지수단은, 하부가 상기 고정부의 상부 일측에 고정 형성되며 상부가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외주면에 수나사산을 형성 하는 수평체결부재; 및 내주면의 하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체결부재에 결합되어 피절곡물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부재는, 외주면 하측에 나사산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직벤딩부는, 상기 고정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이 수직방향으로 벤딩되도록 피절곡물을 지지하는 수직벤딩축지지수단; 및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의 다른 일측면을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는 수직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직벤딩축지지수단은, 하부가 상기 고정부의 상부 중앙측에 고정 형성되며 상부가 수평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외주면에 수나사산을 형성 하는 수직체결부재; 및 내주면의 하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체결부재에 결합되어 피절곡물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직지지부재는, 외주면 하측에 나사산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벤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피절곡물을 안착하는 안착수단; 및
    상기 안착수단의 일측에 형성되어, 안착된 피절곡물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벤딩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벤딩부는,
    상기 수평가압수단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 고정된 피절곡물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마찰하는 수평롤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벤딩장치.
  5. 삭제
KR1020190000569A 2019-01-03 2019-01-03 다중 벤딩장치 KR102010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569A KR102010790B1 (ko) 2019-01-03 2019-01-03 다중 벤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569A KR102010790B1 (ko) 2019-01-03 2019-01-03 다중 벤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790B1 true KR102010790B1 (ko) 2019-08-14

Family

ID=6762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569A KR102010790B1 (ko) 2019-01-03 2019-01-03 다중 벤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7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2320A (zh) * 2020-09-28 2021-01-15 怀化志远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折弯机
KR102390063B1 (ko) * 2021-08-05 2022-04-26 (주) 건우기계 철근 자동 다중 절곡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497Y1 (ko) 2004-01-26 2004-04-14 장춘석 각관을 이용한 책,걸상용 하부받침대 및 그 밴딩장치
KR101121770B1 (ko) * 2010-08-31 2012-03-09 김광호 철근 받침대용 절곡장치
KR101658339B1 (ko) 2015-08-07 2016-09-22 주식회사 싸이텍 스트레치 벤딩장치 및 벤딩방법
KR101818528B1 (ko) * 2017-09-19 2018-01-15 주식회사 정운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절곡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497Y1 (ko) 2004-01-26 2004-04-14 장춘석 각관을 이용한 책,걸상용 하부받침대 및 그 밴딩장치
KR101121770B1 (ko) * 2010-08-31 2012-03-09 김광호 철근 받침대용 절곡장치
KR101658339B1 (ko) 2015-08-07 2016-09-22 주식회사 싸이텍 스트레치 벤딩장치 및 벤딩방법
KR101818528B1 (ko) * 2017-09-19 2018-01-15 주식회사 정운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절곡성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2320A (zh) * 2020-09-28 2021-01-15 怀化志远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折弯机
KR102390063B1 (ko) * 2021-08-05 2022-04-26 (주) 건우기계 철근 자동 다중 절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790B1 (ko) 다중 벤딩장치
KR101403206B1 (ko) 소재 벤딩장치
CN108746332A (zh) 一种拉压复合式板材拉伸成形机
WO2007069708A1 (ja) ステムスライド装置
US7251973B2 (en) Hydroforming apparatus
CN208772272U (zh) 一种拉压复合式板材拉伸成形机
CN205599802U (zh) 一种两用立式胀管机
CN204320872U (zh) 一种肋骨冷弯机的中机架
CN209577787U (zh) 一种大口径沟槽管件再加工用液压整形机
CN205324410U (zh) 用于船舶的钢材折弯机
US20090320543A1 (en) Device for internal high pressure forming
CN208245674U (zh) 一种冲压模具加工用固定装置
CN208195464U (zh) 一种管件扩口加工器
CN213591583U (zh) 一种全自动缩管机
CN104354180A (zh) 用于管材冲槽的动力机构
CN204159708U (zh) 一种大直径弯管的热煨成型装置
CN209238715U (zh) 挤压杆左右移动短行程铝型材挤压机
CN209021071U (zh) 一种冲压机用管材压弯模具
RU174424U1 (ru) Пресс для высадки конца металлической трубы
CN104475496A (zh) 一种粗轴类零件的校直方法及设备
CN210435100U (zh) 一种管子先焊后弯弯管机用液压助推滚轮组滑板装置
CN205463786U (zh) 一种电视机铝合金底座二次折弯机构
CN204771363U (zh) 一种套管机
CN209613957U (zh) 一种管道支架护板用弯曲装置
CN211175060U (zh) 一种注脂压盖机用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