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183B1 -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 - Google Patents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183B1
KR102010183B1 KR1020180081179A KR20180081179A KR102010183B1 KR 102010183 B1 KR102010183 B1 KR 102010183B1 KR 1020180081179 A KR1020180081179 A KR 1020180081179A KR 20180081179 A KR20180081179 A KR 20180081179A KR 102010183 B1 KR102010183 B1 KR 102010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hair
seat plate
backres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김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철 filed Critical 김병철
Priority to KR1020180081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47C4/03Non-upholstered chairs, e.g. metal, plastic or wooden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04Metal chairs, e.g. tubul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간편한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의자를 구성하는 좌판프레임의 내측에 탭너트를 형성하는 등 프레임을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여 조립이 쉽고 간단하여 비숙련자도 쉽게 조립할 수 있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먼지나 이물질이 의자에 적층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등받이 부분의 탄성은 유지하여 사용의 편리함과 더불어 안락한 사용을 보장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조립성이 향성된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Chair frame with improved assembly and chair for clean room}
본 발명은 조립이 간편한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의자를 구성하는 좌판프레임의 내측에 탭너트를 형성하는 등 프레임을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여 조립이 쉽고 간단하여 비숙련자도 쉽게 조립할 수 있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먼지나 이물질이 의자에 적층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등받이 부분의 탄성은 유지하여 사용의 편리함과 더불어 안락한 사용을 보장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조립이 간편한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용 의자를 구성하는 프레임은 등받이프레임과 좌판프레임 및 다리프레임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특히, 좌판프레임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판프레임(1)의 일측에 다리프레임(미도시)의 중심봉(미도시)이 끼움되는 구멍(2)과 상기 구멍(2)의 상부에 일측이 형성되고 타측이 외부로 돌출되어 회전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레버(3)와 타측에 상기 등받이프레임(4)의 일측이 연결되는 틸팅부(5)가 형성되어 상기 틸팅부(5)에 의하여 등받이프레임(4)이 후방으로 원상복귀 가능한 형태로 회전하여 사용자가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좌판프레임(1)과 등받이프레임(4)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는 틸팅부(5)는 그 동작형태와 의자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좌판프레임과 등받이프레임 및 틸팅부의 구성이 대부분 복잡하여 조립이 어려워 의자의 생산과정에서 생산량 저하, 조립의 불량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등받이프레임(4)의 경우 의자의 사용 중 좌우로 흔들리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러한 흔들림이 계속되는 경우 등받이프레임(4)과 좌판프레임(1)을 연결하는 틸팅부(5)가 손상되어 의자를 수리 또는 심한 경우 새로 구입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알려진 기술로 실용신안등록 제20-0444250호(등록일: 2009년 04월15일)프레임으로 구성된 의자는,
의자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pipe) 프레임 1쌍이 좌우 대칭구조를 이루어 제1보강프레임에 의해 결합되고, 일단은 팔걸이와 연결프레임에 결합되며, 타단은 하측으로 바닥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Z' 형상으로 절곡되는 외측프레임과; 내부가 꽉 찬 솔리드(solid) 프레임 1쌍이 좌우 대칭구조를 이루어 제2보강프레임에 의해 결합하고, 일단은 수평하게 절곡되어 좌판이 고정결합된 후 다시 수직하게 절곡되어 제2지지프레임에 결합되며, 타단은 하측으로 절곡되어 외측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내측프레임과; 1쌍이 좌우 대칭구조를 이루되, 일단은 외측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은 가로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지지프레임과 결합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 및 연결프레임이 결합한 상태에서 소정각도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내부에 복수의 회전홈을 구비하는 등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내측프레임의 하부에는 다른 의자의 외측프레임 저면이 밀착되어 의자를 적층할 수 있도록 하는 적층돌기와, 전면에서 볼 때 의자의 하측의 폭에 비해 상측의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유지하여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이 상부에서 교차하는 부위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 제안된 바가 있으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의자의 경우 좌판이 고정되는 구성상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껴 오랜시간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6811호(등록일: 2003년 02월 26일) "조립식 의자"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6641호(등록일: 2007년 09월 10일) "일체형 등판프레임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5903호(등록일: 2005년 09월 07일) "의자용 등받이 틸팅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0269호(등록일: 2004년 01월 19일) "학생용 의자의 틸팅구조" 등록특허공보 제10-1489924호(등록일: 2015년 01월 29일) "의자의 틸팅구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4250호(등록일: 2009년 04월 15일) "프레임으로 구성된 의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의자를 구성하는 좌판프레임의 내측에 다리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한 탭너트를 일체로 형성하는 등 좌판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비숙련자도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성 향상에 따른 불량율 저하와 생산성 향상에 따른 생산원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좌판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 함으로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쌓이는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멸균이나 제균이 용이하여 클린룸과 같이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는 공간에서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하고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좌판프레임과 등받이 프레임을 일체로 형성하되 등받이 프레임의 탄성은 유지되도록 형성하여 좌판프레임과 등받이프레임의 연결구성을 단순화함은 물론 등받이프레임의 좌우 흔들림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안함과 안락함은 유지하면서도 의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면에 금속이나 합성수지 또는 목재로 구성된 좌판(11)이 조립되는 좌판프레임(10)과, 상기 좌판프레임(10)의 하부에 조립되며 바퀴가 형성된 이동식 또는 고정식의 다리프레임(20) 및 상기 좌판프레임(1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 등받이(34)가 높이조절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는 등받이프레임(30)으로 구성된 의자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좌판프레임(10)은 함체 형태의 몸체(12) 양측에 외부측으로 확장되어 체결구멍(13)을 갖는 날개(14)와 내측에 한 쌍의 끼움공(15) 및 내부에 암나사공(16)이 형성된 복수 개의 탭너트부(17)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 프레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면에 금속이나 합성수지 또는 목재로 구성된 좌판(11)이 조립되는 좌판프레임(10)과, 상기 좌판프레임(10)의 하부에 조립되며 바퀴가 형성된 이동식 또는 고정식으로 구성되고 중심봉(40)이 조립된 다리프레임(20) 및 상기 좌판프레임(1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 등받이(34)가 높이조절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는 등받이프레임(30)으로 구성된 의자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좌판프레임(10)은 함체 형태의 몸체(12) 일측에 중심봉(40)이 끼움되는 가이드공(18)이 중앙에 형성된 연결브라켓(19)과 타측에 한 쌍의 끼움공(15)과 양측에 외부측으로 확장되어 체결구멍(13)을 갖는 날개(14) 및 일측에 중심봉(40)의 조절을 위한 레버(41)가 회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은 파이프 형태의 봉을 절곡하여 구성되며 하부에 상기 좌판프레임(10)의 끼움공(15)에 연결고정되어 등받이프레임(30)이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탄성연결부(31)와 중앙부분에 절곡부(32) 및 상부에 "U"형태의 마감부(33)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 프레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은 파이프 형태의 봉을 절곡하여 구성되며 하부에 상기 좌판프레임(10)에 연결고정되어 등받이프레임(30)이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탄성연결부(31)와 중앙부분에 절곡부(32) 및 상부에 "U"형태의 마감부(33)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의 탄성연결부(31)는 "U"형태로 단부가 좌판프레임(10)에 연결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린룸용 의자는, 좌판(11);과, 상기 좌판(11)의 하부에 양측의 날개(14)가 밀착되어 체결구멍(13)을 관통하는 볼트로 고정되며 내부에 한 쌍의 끼움공(15)과 내부에 암나사공(16)이 형성된 복수 개의 탭너트(17)가 일체로 형성된 좌판프레임(10);과, 파이프 형태의 봉을 절곡하여 구성되며 하부에 상기 좌판프레임(10)의 끼움공(15)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탄성연결부(31)와 중앙부분에 절곡부(32) 및 상부에 등받이(34)가 상하이동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는 "U"형태의 마감부(33)가 일체로 형성된 등받이프레임(30)과, 상기 좌판프레임(10)의 하부에 연결되며 중앙부분에 중심봉(40)이 삽입되는 연결공(44)과 일측에 상기 중심봉(40)의 상부에 일측이 밀착되는 레버(41) 및 가장자리로 상기 좌판프레임(10)의 탭너트(17)와 연결되는 볼트(50)가 삽입되는 구멍(43)이 형성된 연결부재(42)와, 상기 다리프레임(20)과 연결부재(42)를 연결하는 중심봉(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판(11)의 표면에는 사용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1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간편한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는 의자를 구성하는 좌판프레임의 내측에 다리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한 탭너트를 일체로 형성하여 다리프레임과의 연결이 볼트의 조립만으로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하여 조립성 향상에 따른 조립불량율 저하 및 의자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의자를 구성하는 좌판프레임과 등받이프레임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여 의자 전체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판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 함으로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쌓이는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멸균이나 제균의 관리가 용이하여 클린룸과 같이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는 공간에서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한 조립이 간편한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좌판프레임과 등받이 프레임을 일체로 형성하되 등받이 프레임의 탄성은 유지되도록 형성하여 좌판프레임과 등받이프레임의 연결구성을 단순화함은 물론 등받이프레임의 좌우 흔들림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안함과 안락함은 유지하면서도 의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의자용 좌판프레임과 등받이 프레임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의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 중 좌판프레임과 등받이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프레임 중 좌판프레임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의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 중 좌판프레임과 등받이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이하,'의자 프레임'이라 함)(A)은 상면에 금속이나 합성수지 또는 목재 등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구성된 좌판(11)이 조립되는 좌판프레임(10)과, 상기 좌판프레임(10)의 하부에 조립되며 바퀴가 형성된 이동식 또는 고정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다리프레임(20) 및 상기 좌판프레임(1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 등받이(34)가 높이조절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는 등받이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
또한, 다리프레임(20)과 좌판프레임(10)의 사이에는 실린더로 구성된 중심봉(40)이 형성되며 상부에 형성된 레버(41)를 동작시켜 좌판(10)의 높이를 사용자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판프레임(10)은 함체 형태의 몸체(12) 양측에 외부로 확장되어 체결구멍(13)을 갖는 날개(14)와 내측에 한 쌍의 끼움공(15)과 내부에 암나사공(16)이 형성된 복수 개의 탭너트부(17)가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좌판프레임(10)은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제작하는 과정에서 프레스로 가압하여 몸체(12) 표면에 탭너트부(17)를 일체로 형성하고, 탭너트부(17)에 암나사공(16)을 형성함으로써 하부에서 다리프레임(20)의 레버(41)가 형성된 연결부재(42)의 구멍(43)을 암나사공(16)과 동일선상에 위치시킨 후 볼트(50)로 조임하여 쉽게 좌판프레임에 다리프레임(20)의 연결부재(42)를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특징을 갖으며 이러한 구성적 특징을 통하여 조립성과 생산성 향상 및 불량율 저하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판프레임(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좌판(11)은 몸체(12)의 날개(14)가 좌판(11)의 하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체결구멍(13)을 통하여 볼트로 조립하며, 특히, 좌판(11)은 의자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서 쿠션을 갖는 목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크린룸과 같이 청결한 환경이 유지되어야 하는 환경에서는 스테인레스 재질이나 알루미늄 재질의 좌판을 조립하여 우수한 멸균성과 제균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은 파이프 형태의 봉을 절곡하여 구성되며 하부에 "U"형태의 탄성연결부(31)와 중앙부분에 절곡부(32) 및 상부에 "U"형태의 마감부(3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좌판프레임(10)과 등받이프레임(30)의 연결구성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판프레임(10)의 끼움공(15)에 등받이프레임(30)의 탄성연결부(31) 끝부분을 삽입하여 끝부분면이 끼움공(15)을 관통하여 몸체(12)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형성하고,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좌판프레임(10)과 등받이프레임(30)을 일체로 형성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연결된 등받이프레임(30)은 좌판프레임(10)의 하부로 위치된 "U" 형태의 탄성연결부(31)에 의하여 후방측으로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등받이프레임(30)은 사용자가 등받이프레임(30)에 형성된 등받이(34)에 기대는 경우 "U" 형태로 이루어진 탄성연결부(31)가 벌어지며 등받이 프레임(30)의 절곡부(32)와 마감부(33)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고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은 좌판프레임(10)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좌우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함으로써 등받이프레임의 손상이나 파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의자로부터 일어나거나 앞으로 이동하는 경우 탄성연결부(31)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며 절곡부(32)와 마감부(33)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와 같은 등받이프레임(30)과 좌판프레임(10)의 연결구성을 통하여 종래 의자에 비하여 단순한 구성으로 제작하면서도 "U" 형태의 탄성연결부(31)가 스프링 역할을 대신하여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동시에 기존 의자에 비하여 등받이프레임(3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에 의하여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도 7에는 상기 좌판프레임(10)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좌판프레임(10)의 함체형태의 몸체(12) 일측에 중심봉(40)이 끼움되는 가이드공(18)이 중앙에 형성된 연결브라켓(19)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12)의 일측에 중심봉(40)의 조절을 위한 레버(41)가 회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좌판프레임(10)의 변형된 실시예의 구성을 통하여 다리프레임(20)의 중심봉(40)과 좌판프레임(10)의 연결이 별도의 연결부재가 없이도 연결할 수 있어 의자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형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의자의 청결관리가 용이함으로 크린룸과 같이 청결유지가 필수적인 공간에서도 사용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는 의자를 구성하는 좌판프레임의 내측에 다리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한 탭너트를 일체로 형성하고 등받이프레임의 일측을 좌판프레임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등 좌판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비숙련자도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성 향상에 따른 불량율 저하와 생산성 향상에 따른 생산원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의자 프레임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크린룸용 의자는, 스테인레스 재질이나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좌판(11);과,
상기 좌판(11)의 하부에 양측의 날개(14)가 밀착되어 체결구멍(13)을 관통하는 볼트로 고정되며 내부에 한 쌍의 끼움공(15)과 내부에 암나사공(16)이 형성된 복수 개의 탭너트(17)가 일체로 형성된 좌판프레임(10);과,
파이프 형태의 봉을 절곡하여 구성되며 하부에 상기 좌판프레임(10)의 끼움공(15)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탄성연결부(31)와 중앙부분에 절곡부(32) 및 상부에 등받이(34)가 상하이동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는 "U"형태의 마감부(33)가 일체로 형성된 등받이프레임(30)과,
상기 좌판프레임(10)의 하부에 연결되며 중앙부분에 중심봉(40)이 삽입되는 연결공(44)과 일측에 상기 중심봉(40)의 상부에 일측이 밀착되는 레버(41) 및 가장자리로 상기 좌판프레임(10)의 탭너트(17)와 연결되는 볼트(50)가 삽입되는 구멍(43)이 형성된 연결부재(42)와, 상기 다리프레임(20)과 연결부재(42)를 연결하는 중심봉(4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판(1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표면에 미끄럼방지부(111)를 형성하여 앉은 상태를 미끄러짐없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크린롬용 의자의 구성을 통하여 좌판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 함으로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쌓이는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멸균이나 제균이 용이하여 클린룸과 같이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는 공간에서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한 특징이 있으며, 특히, 좌판프레임과 등받이 프레임을 일체로 형성하되 등받이 프레임의 탄성은 유지되도록 형성하여 좌판프레임과 등받이프레임의 연결구성을 단순화함은 물론 등받이프레임의 좌우 흔들림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안함과 안락함은 유지하면서도 의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10 : 좌판프레임 11 : 좌판
12 : 몸체 13 : 체결구멍
14 : 날개 15 : 끼움공
16 : 암나사공 17 : 탭너트부
18 : 가이드공 19 : 연결브라켓
20 : 다리프레임 30 : 등받이프레임
31 : 탄성연결부 32 : 절곡부
33 : 마감부 34 : 등받이
40 : 중심봉 41 : 레버
50 : 볼트

Claims (6)

  1. 상면에 금속이나 합성수지 또는 목재로 구성된 좌판(11)이 조립되는 좌판프레임(10)과, 상기 좌판프레임(10)의 하부에 조립되며 바퀴가 형성된 이동식 또는 고정식의 다리프레임(20) 및 상기 좌판프레임(1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 등받이(34)가 높이조절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는 등받이프레임(30)으로 구성된 의자 프레임(A)에 있어서,
    상기 좌판프레임(10)은 함체 형태의 몸체(12) 양측에 외부측으로 확장되어 체결구멍(13)을 갖는 날개(14)와 내측에 한 쌍의 끼움공(15)이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은 파이프 형태의 봉을 절곡하여 구성되며 하부에 'U'형태의 탄성연결부(31)와 중앙부분에 절곡부(32) 및 상부에 'U'형태의 마감부(3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의 하부의 'U'형태의 탄성연결부(31)의 일단이 상기 끼움공(15)에 삽입되고 상기 끼움공(15)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12)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상기 밀착된 상기 몸체(12)의 상부면과 탄성연결부(31)를 고정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프레임(10)은 함체 형태의 몸체(12) 일측에 한 쌍의 끼움공(15)이 형성되고 양측에 외부측으로 확장되어 체결구멍(13)을 갖는 날개(1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2)의 내부에 암나사공(16)이 형성된 복수 개의 탭너트(17)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좌판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다리프레임(20)과 하부가 결합되는 중심봉(40)이 삽입되도록 중앙부분에 연결공(44)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중심봉(40)의 상부에 일측이 밀착되는 레버(41)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장자리로 상기 좌판프레임(10)의 탭너트(17)와 연결되는 볼트(50)가 삽입되는 구멍(43)이 형성되어 볼트(50)로 상기 좌판프레임(10)과 연결되는 연결부재(42)와,
    상기 다리프레임(20)과 연결부재(42)를 연결하는 중심봉(40)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 프레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11)의 표면에는 사용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1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 프레임.
KR1020180081179A 2018-07-12 2018-07-12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 KR102010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179A KR102010183B1 (ko) 2018-07-12 2018-07-12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179A KR102010183B1 (ko) 2018-07-12 2018-07-12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183B1 true KR102010183B1 (ko) 2019-08-12

Family

ID=67624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179A KR102010183B1 (ko) 2018-07-12 2018-07-12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1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171B1 (ko) 2021-02-03 2021-08-27 김병철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크린룸용 의자
US20230046483A1 (en) * 2021-05-14 2023-02-16 Steelcase Inc. Chair having a flexible support member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7405A (ja) * 1996-10-28 1998-05-19 Uchida Yoko Co Ltd 椅子の組立構造
KR200306811Y1 (ko) 2002-12-20 2003-03-12 이규윤 조립식 의자
KR200340269Y1 (ko) 2003-09-19 2004-01-31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학생용 의자의 틸팅 구조
CN2678464Y (zh) * 2004-01-01 2005-02-16 鸿钲实业有限公司 办公椅组装结构
KR200395903Y1 (ko) 2005-06-29 2005-09-14 (주)거성 의자용 등받이 틸팅장치
KR200436641Y1 (ko) 2007-01-03 2007-09-18 주식회사 대하정공 일체형 등판프레임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KR200444250Y1 (ko) 2007-05-25 2009-04-22 장정기 프레임으로 구성된 의자
KR101489924B1 (ko) 2013-06-18 2015-02-06 김승호 의자의 틸팅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7405A (ja) * 1996-10-28 1998-05-19 Uchida Yoko Co Ltd 椅子の組立構造
KR200306811Y1 (ko) 2002-12-20 2003-03-12 이규윤 조립식 의자
KR200340269Y1 (ko) 2003-09-19 2004-01-31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학생용 의자의 틸팅 구조
CN2678464Y (zh) * 2004-01-01 2005-02-16 鸿钲实业有限公司 办公椅组装结构
KR200395903Y1 (ko) 2005-06-29 2005-09-14 (주)거성 의자용 등받이 틸팅장치
KR200436641Y1 (ko) 2007-01-03 2007-09-18 주식회사 대하정공 일체형 등판프레임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KR200444250Y1 (ko) 2007-05-25 2009-04-22 장정기 프레임으로 구성된 의자
KR101489924B1 (ko) 2013-06-18 2015-02-06 김승호 의자의 틸팅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171B1 (ko) 2021-02-03 2021-08-27 김병철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크린룸용 의자
US20230046483A1 (en) * 2021-05-14 2023-02-16 Steelcase Inc. Chair having a flexible support member
US11857083B2 (en) * 2021-05-14 2024-01-02 Steelcase Inc. Chair having a flexible support memb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3688B2 (ja) 椅子
US7547067B2 (en) Tilt and swivel chair and mechanism therefor
JP5005167B2 (ja) 椅子の背凭れ構造
US7234772B2 (en) Articulated seating mechanism
DE102012107778B4 (de) Stuhl, insbesondere Bürostuhl
US20090127914A1 (en) Backrest device in a chair
US6672669B2 (en) Swingable chair back with top pivot
JP4919633B2 (ja) 車椅子
KR102010183B1 (ko)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크린룸용 의자
US7007963B2 (en) Raising wheel chair
KR101468703B1 (ko) 의자용 등받이
US6092870A (en) Rocking and gliding mechanism for furniture
DE102005049179B3 (de) Vorrichtung zur Anpassung des Körpergewichtes und des Schwerpunkts einer Person an ein Sitzmöbel
US10349743B2 (en) Electric drive mechanism for recliner chair
KR200472419Y1 (ko) 의자
WO2009107909A1 (en) Chair for handicapped person
JP2021500118A (ja) シートモジュール及び傾斜機構
WO2006056051A1 (en) Tilt and swivel chair and mechanism therefor
KR200340269Y1 (ko) 학생용 의자의 틸팅 구조
KR100893156B1 (ko) 등받이가 이동되는 의자
KR20160062656A (ko) 안락의자
KR102458967B1 (ko) 허리 밀착 의자
KR20190106261A (ko) 휠체어
JP7400298B2 (ja) ソファ
EP1210887B1 (de) Sitzmöbel mit wenigstens einem Fusste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