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2656A - 안락의자 - Google Patents

안락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2656A
KR20160062656A KR1020150031005A KR20150031005A KR20160062656A KR 20160062656 A KR20160062656 A KR 20160062656A KR 1020150031005 A KR1020150031005 A KR 1020150031005A KR 20150031005 A KR20150031005 A KR 20150031005A KR 20160062656 A KR20160062656 A KR 20160062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base
seat
armchair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3525B1 (ko
Inventor
창-첸 린
Original Assignee
창-첸 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첸 린 filed Critical 창-첸 린
Publication of KR20160062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4Chair or stool bases for chairs or stools with central column, e.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락의자는 베이스, 등받이,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 시트, 전방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베이스는 두개의 측면 프레임을 갖는다. 등받이는 두개의 측면봉을 포함한다. 각 측면봉은 측면 결합부를 갖는 하단부를 포함한다. 구동 플레이트들의 상단 단부들은 측면 프레임들의 후방 단부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 구동 플레이트는 측면봉들 중 하나의 전방 단부와 결합되는 가이드 그루브를 포함한다. 시트는 두개의 측면 바를 포함한다. 각 측면 바는 구동 플레이트들 중 하나의 하단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단부를 포함한다. 전방 프레임은 시트 아래에 장착되며, 두개의 측면 보드를 포함한다. 각 측면 보드는 구동 플레이트들 중 하나의 하단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 단부를 포함한다. 각 측면 보드는 시트 및 베이스의 전방 단부들과 결합되는 전방 단부를 더 포함한다. 후방 프레임은 등받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Description

안락의자{Reclining Chair}
본 발명은 안락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안락의자를 앉은 자세에서 누운 자세로 변환시, 안락의자의 등받이에 대해 사용자의 등의 위치 변화를 경감시키기 위한 안락의자에 관한 것이다.
기존 유형의 안락의자는 안락성과 실용성의 증대를 위해 누운 자세로 시트를 넘어가게 할 수 있는 등받이를 포함한다. 도 10은 베이스(1'), 시트(2'), 및 등받이(3')를 포함하는 기존의 안락의자를 도시한다. 베이스(1') 상단의 후방부에는 제 1선회부(11')가 제공된다. 베이스(1') 전방의 중앙부에는 가이드부(12')가 제공된다. 시트(2')의 전방 측면에는 가이드 봉(21')이 제공되며, 가이드부(12')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시트(2')의 후방부에는 제 2선회부(22')가 제공된다. 등받이(3')의 하단에는 제 3선회부(31')가 제공되며, 베이스(1')의 제 1선회부(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등받이(3')는, 제 3선회부(31') 아래에 제공되고 제 2선회부(2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4선회부(32')를 더 포함한다. 등받이(3')에는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기 위한 허리받침대(33')가 제공된다.
앉은 자세에서, 사용자의 머리가 등받이(3')의 a' 위치에 정렬될 때, 사용자의 허리 위치 b'은 허리받침대(33')에 정렬된다. 등받이(3')의 경사각도가 증가하면, 시트(2')는 위쪽 및 앞쪽으로 이동하고 가이드 봉(21')이 베이스(1')의 가이드부(12')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사용자의 등이 등받이(3')에 정렬되게 하여 안락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등받이(3')의 경사각도가 증가하면 등받이(3')와 사용자의 등 사이에 상대적 위치 변화가 크게 일어난다.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앉은 자세에서 등받이(3')의 기준점 c'과 시트(2')의 기준점 d' 사이에는 간격 e'이 존재한다. 누운 자세에서 등받이(3')의 기준점 c'과 시트(2')의 기준점 d'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 f'는 앉은 자세에서의 간격 e'보다 훨씬 커서 약 45 ~ 60cm에 달함에 따라, 사용자의 등이 등받이(3')에 접촉하는 위치에 큰 변화를 야기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가 g'의 위치에 다다를 때까지 사용자의 등이 등받이(3')를 미끄러져 내려가게 할 수 있다. 이는 안락의자에 누워 있는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누운 자세에 있을 때 사용자의 허리는 허리받침대(33') 상에 지지되지 못하고, 사용자의 허리보다 더 높은 위치만큼 허리받침대(33')에 눕게 됨으로써 더 많은 불편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락의자를 앉은 자세에서 누운 자세로 위치 변환시, 안락의자의 등받이에 대해 사용자의 등의 위치 변화를 경감시키기 위한 안락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등받이에 장착되는 이동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안락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가능한 허리받침대는 앉은 자세 및 누운 자세에서 등받이로부터의 높이가 서로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른 안락의자는 그 양 측면에 두개의 측면 프레임을 갖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측면 프레임들 각각은 결합부를 갖는 전방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측면 프레임들 각각은 제 1 선회부를 갖는 후방 단부를 더 포함한다. 등받이는 그 양 측면에 두개의 측면봉 및 그 기저에 기저봉을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측면봉들 각각은 측면 결합부를 갖는 하단부를 포함한다. 베이스의 양 측면에는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들 각각은 베이스의 양 측면 프레임들 중 하나의 후방 단부에 있는 제 1 선회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선회부를 갖는 상단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들 각각은 상기 두개의 측면봉들 중 하나의 측면 결합부와 결합되는 가이드 그루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들 각각은 그 하단 단부에 서로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제 3 및 제 4 선회부를 더 포함한다. 시트는 두개의 측면 바(bar)를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측면 바들 각각은 상기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들 중 하나의 제 3 선회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5 선회부를 갖는 후방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측면 바들 각각은 결합부를 갖는 전방 단부를 더 포함한다. 시트 아래에는 전방 프레임이 장착된다. 상기 전방 프레임은 서로 반대로 위치한 두개의 측면 보드를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측면 보드들 각각은 상기 시트 및 베이스의 결합부와 각각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결합 펙(engagement pegs)을 갖는 전방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측면 보드들 각각의 전방 단부는 제 7 선회부를 더 포함한다. 후방 프레임은 서로 반대로 위치한 두개의 측면 빔을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측면 빔들 각각은 등받이의 두 측면봉들 중 하나의 측면 결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8 선회부를 갖는 후방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측면 빔들 각각은 상기 전방 프레임의 두 측면 보드들 중 하나의 제 7 선회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0 선회부를 갖는 전방 단부를 더 포함한다.
안락의자가 앉은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등받이의 두 측면 결합부들은 상기 두 구동 플레이트들의 가이드 그루브들의 상단 단부에 각각 위치한다. 등받이가 앉은 자세에서 누운 자세로 기울어지면, 상기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들은 시트, 전방 및 후방 프레임을 이동시키도록 구동됨으로서, 상기 등받이의 측면 결합부들이 두 구동 플레이트들의 가이드 그루브들의 하단 단부들로 이동되고 및 시트쪽으로 이동되게 한다.
안락의자는 허리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의 기저봉은 하단 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후방 프레임의 측면 빔들 각각은 상기 허리받침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9 선회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허리받침대는 등받이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그 양 측면에 두개의 측면 빔을 포함하고 및 그 기저에 기저 빔을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측면 빔들 각각은 상기 후방 프레임의 측면 빔들 중 하나의 제 9 선회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1 선회부를 포함한다. 상기 허리받침대의 기저 빔은 등받이의 하단 결합부에 위치한다. 상기 허리받침대는 안락의자가 앉은 자세에 있을 때, 등받이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등받이가 앉은 자세에서 누운 자세로 기울어지면, 상기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들, 전방 및 후방 프레임들은 등받이쪽으로 허리받침대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됨으로써 등받이로부터 허리받침대의 높이를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등받이의 하단 결합부는 상기 허리받침대의 기저 빔을 수용하도록 수용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그루브들의 폭은 상기 허리받침대의 기저 빔의 폭보다 더 크다. 안락의자는 두개의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개의 스프링들 각각은 상기 허리받침대의 두 측면 빔들 중 하나 및 상기 후방 프레임의 두 측면 빔들 중 하나에 각각 부착되는 두개의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의 두 측면 바들 각각의 결합부 및 베이스는 각각 가이드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시트 및 두 구동 플레이트들의 가이드 그루브들 각각에는 슬라이딩 블럭(sliding block)이 수용된다. 상기 등받이의 측면봉들 각각의 측면 결합부는 결합 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의 결합 펙 및 상기 전방 프레임의 두 측면 보드들의 하단 결합 펙들은 상기 베이스, 시트 및 두 구동 플레이트들의 가이드 그루브들 내의 슬라이딩 블럭들과 각각 결합된다.
상기 등받이의 두 측면봉들 각각의 측면 결합부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상단 및 하단 결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 및 하단 결합 플레이트 각각에는 결합 펙이 제공된다. 상기 두 구동 플레이트 각각의 가이드 그루브는, 상기 등받이의 두 측면봉들 각각의 상단 및 하단 결합 플레이트의 결합 펙들을 각각 수용하는 상단부 및 하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그 양 측면에 각각 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양 측면 프레임들은 상기 양 포스트들에 각각 장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그 중앙부에 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는 횡단 빔이 장착되고, 상기 두 측면 프레임들은 상기 횡단 빔의 양 측면에 각각 장착된다.
베이스는 그 양 측면들 중 하나에 고정 노브(kno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노브는 결합 구멍 및 조임 노브(tightening knob)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프레임의 두 측면 보드들 중 하나의 하단 결합 펙에는 가이드 봉이 장착될 수 있으며, 로킹 블럭(locking block)을 통해 연장된다. 상기 로킹 블럭은 그 측면에 핀을 포함한다. 상기 핀은 상기 시트의 고정 노브의 결합 구멍을 통해 연장된다. 상기 핀은 상기 조임 노브와 나사 연결되는 스크류 구멍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안락의자를 앉은 자세에서 누운 자세로 위치 변환시, 안락의자의 등받이에 대해 사용자 등의 위치 변화를 경감시킬 수 있는 안락의자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등받이에 장착되는 이동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안락의자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안락의자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앉은 자세에서의 도 1의 안락의자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안락의자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안락의자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5는 부분적으로 기울어진 위치에 있는 도 1의 안락의자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누운 자세로 더 기울어진 위치에 있는 도 1의 안락의자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누운 자세에 있는 도 1의 안락의자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안락의자의 베이스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안락의자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안락의자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안락의자를 도시한다. 상기 제 1 실시예의 안락의자는 베이스(1), 등받이(2),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3), 시트(4), 전방 프레임(5), 후방 프레임(6) 및 허리받침대(7)를 포함한다. 베이스(1)는 그 양 측면에 두개의 포스트(11)를 포함하며, 상기 두 포스트들(11)에는 측면 프레임(12)이 각각 대칭으로 장착된다. 각 측면 프레임(12)은 가이드 그루브(13)의 형태로 된 결합부를 갖는 전방 단부를 포함하며, 그 후방 단부에서 전방 단부쪽으로 상향 연장되어 있다. 각 가이드 그루브(13)는 슬라이딩 블럭(131)을 수용한다. 각 측면 프레임(12)은 제 1 선회부(14)를 갖는 후방 단부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1)는 그 양 측면들 중 하나에 고정 노브(15)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 노브(15)는 결합 구멍(151) 및 조임 노브(152)를 포함한다.
등받이(2)는 그 양 측면에 두개의 측면봉(21) 및 그 기저에 기저봉(22)을 포함한다. 각 측면봉(21)은 측면 결합부(23)를 갖는 하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2)의 각 측면봉(21)의 측면 결합부(23)는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상단 및 하단 결합 플레이트(231)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 및 하단 결합 플레이트(231) 각각에는 결합 펙(232)이 제공된다. 상기 등받이(2)의 기저봉(22)은 그 중앙부에 하단 결합부(24)를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2)의 하단 결합부(24)는 그 중앙에 수용 그루브(241)를 포함한다.
베이스(1)의 두 측면에는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들(3)이 각각 장착된다. 각 구동 플레이트(3)는, 베이스(1)의 두 측면 프레임들(12) 중 하나의 후방 단부에 있는 제 1 선회부(1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선회부(31)를 갖는 상단 단부를 포함한다. 각 구동 플레이트(3)는, 등받이(2)의 두 측면봉들(21) 중 하나의 측면 결합부(23)와 결합되는 슬라이딩 블럭(321)을 수용하는 가이드 그루브(32)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각 구동 플레이트(3)의 가이드 그루브(32)는 상기 등받이(2)의 각 측면봉(21)의 상단 및 하단 결합 펙들(232)을 각각 수용하는 상단부 및 하단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2점 연결 구조에 의해, 등받이(2) 및 두 구동 플레이트들(3)의 이동 및 지지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들(3) 각각은 그 하단 단부에 위치하고 및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 3 선회부(33) 및 제 4 선회부(34)를 더 포함한다.
시트(4)는 두개의 측면 바(41) 및 상기 두 측면 바들(41) 사이에 상호연결되는 횡단 바(42)를 포함한다. 상기 두 측면 바들(41) 각각은, 상기 두 구동 플레이트들(3) 중 하나의 제 3 선회부(3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5 선회부(43)를 갖는 후방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두 측면 바들(41) 각각은, 그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 단부쪽으로 상향 연장되고 및 가이드 그루브(44)의 형태로 된 결합부를 갖는 전방 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그루브(44)에는 슬라이딩 블럭(441)이 수용된다.
전방 프레임(5)은 시트(4) 아래에 장착된다. 상기 전방 프레임(5)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고 링크(52)에 의해 상호연결되는 두개의 측면 보드(51)를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측면 보드들(51) 각각은, 상기 구동 플레이트들(3) 중 하나의 제 4 선회부(3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6 선회부(53)를 갖는 후방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측면 보드들(51) 각각은, 상기 베이스(1) 및 시트(4)의 가이드 그루브들(44 및 13) 내의 슬라이딩 블럭들(441 및 131)과 각각 결합되는 상단 결합 펙(54) 및 하단 결합 펙(55)을 갖는 전방 단부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 봉(56)은 상기 전방 프레임(5)의 두 측면 보드들(51) 중 하나에 있는 하단 결합 펙(55)에 장착되며, 로킹 블럭(locking block, 57)을 통해 연장된다. 상기 로킹 블럭(57)은 그 측면에 핀(571)을 포함한다. 상기 핀(571)은 상기 베이스(1)의 고정 노브(15)의 결합 구멍(151)을 통해 연장된다. 상기 핀(571)은 상기 조임 노브(57)와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 구멍(572)를 포함한다. 상기 조임 노브(57)가 느슨해지면, 상기 가이드 봉(56)은 상기 로킹 블럭(57)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상기 조임 노브(57)가 조여지면, 상기 가이드 봉(56)은 잠긴다. 상기 두개의 측면 보드들(51) 각각의 전방 단부는 제 7 선회부(58)를 더 포함한다.
후방 프레임(6)은 서로 반대로 위치한 두개의 측면 빔(61)을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측면 빔들(61) 각각은, 상기 등받이(2)의 두 측면봉들(21) 중 하나의 측면 결합부(23)의 결합 펙(23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8 선회부(63)를 갖는 후방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 프레임(6)의 측면 빔들(61) 각각은 상기 제 8 선회부(63)의 전방에 제 9 선회부(6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측면 빔들(61) 각각은, 상기 전방 프레임(5)의 두 측면 보드들(51) 중 하나의 제 7 선회부(5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0 선회부(65)를 갖는 전방 단부를 더 포함한다.
허리받침대(7)는 상기 등받이(2)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그 양 측면에 두개의 측면 빔(71) 및 그 기저에 기저 빔(72)을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측면 빔들(71) 각각은, 상기 후방 프레임(6)의 측면 빔들(61) 중 하나의 제 9 선회부(6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1 선회부(73)를 포함한다. 상기 허리받침대(7)의 기저 빔(72)은 상기 등받이(2)의 하단 결합부(24)의 수용 그루브(241)에 수용된다. 상기 수용 그루브(241)의 폭은 상기 허리받침대(7)의 기저 빔(72)의 폭보다 크다. 안락의자는 두개의 스프링(74)을 더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스프링들(74) 각각은, 상기 허리받침대(7)의 두 측면 빔들(71) 중 하나 및 상기 후방 프레임(6)의 두 측면 빔들(61) 중 하나에 각각 부착되는 두개의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허리받침대(7)의 연결 안정성은 상기 스프링들(74)의 탄성 회동 연결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리받침대(7)가 앉은 자세와 누운 자세의 사이로 이동되면, 상기 기저 빔(72)은 수용 그루브(241) 내로 이동된다.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전방 프레임(5) 및 후방 프레임(6)은 시트(4)에 대한 지지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2)의 경사 각도가 변화하면, 상기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들(3), 시트(4), 전방 프레임(5), 후방 프레임(6) 및 허리받침대(7)는 이동될 수 있다. 안락의자가 앉은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등받이(2)의 두 측면 결합부들(23)은 상기 두 구동 플레이트들(3)의 가이드 그루브들(32)의 상단 단부들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5)의 각 측면 보드(51)의 상단 결합 펙(54)은 상기 시트(4)의 가이드 그루브들(44) 중 하나의 후방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방 프레임(5)의 각 측면 보드(51)의 하단 결합 펙(55)은 상기 베이스(1)의 가이드 그루브들(13) 중 하나의 후방 단부에 위치한다. 또한 등받이(2)의 기준점 a 및 시트(4)의 기준점 b 사이에는 간격 c가 존재한다. 또한 도 3과 같이, 안락의자가 앉은 자세에 있을 때, 허리받침대(7)는 높이 d 만큼 등받이(2)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5는 부분적으로 기울어져 있는 위치에 있는 안락의자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최대 경사각도로 누운 자세에 위치해 있는 안락의자를 도시한다.
등받이(2)가 앉은 자세에서 누운 자세로 기울어지면, 상기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들(3)은 시트(3), 전방 프레임(5) 및 후방 프레임(6)뿐만 아니라 허리받침대(7)까지 이동시키도록 구동된다. 구체적으로는, 등받이(2)가 기울어지면 상기 등받이(2)의 두 측면봉들(21)은 슬라이딩 블럭들(321)을 가이드 그루브(32) 내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구동 플레이트들(3)의 제 2 선회부(31)가 베이스(1)에 대해 회동함으로써 상기 구동 플레이트들(3)의 하단부들을 상향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구동 플레이트들(3)의 제 3 선회부(33)에 의해 상기 시트(4)의 제 5 선회부(43)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시트(4)의 하단부를 상향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구동 플레이트들(3)의 제 4 선회부(34)에 의해 상기 전방 프레임(5)의 제 6 선회부들(53)이 전방으로 이동된다. 전방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전방 프레임(5)의 상단 결합 펙들(54)은 상기 시트(4)의 가이드 그루브들(44)의 전방 단부로 이동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5)의 하단 결합 펙들(55)은 상기 베이스(1)의 가이드 그루브들(44)의 전방 단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시트(4)와 베이스(1) 간의 전방 프레임(5) 연결에 의해 시트(4)는 안정된 지지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2)의 측면 결합부들(23)이 앞쪽으로 이동하여 시트(4)의 후방 아래 위치로 가는 한편 상기 구동 플레이트들(3)의 가이드 그루브들(32)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함으로써, 등받이(2)의 기준점 a와 시트(4)의 기준점 b 사이의 간격 e 와 앉은 자세에서의 간격 c 와의 차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앉은 자세에서 누운 자세로 갈 때, 사용자의 등과 등받이(2) 간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경감시킴으로써 안락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등받이(2)가 기울어지면, 상기 전방 프레임(5)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측면 빔들(61)의 전방 단부들에서 상기 후방 프레임(6)의 제 10 선회부들(65)의 상향 이동을 유발하고, 등받이(2)에 대해 상기 측면 빔들(61)의 후방 단부들에서 상기 후방 프레임(6)의 제 8 선회부들(63)의 회동을 유발하므로, 상기 제 9 선회부들(64)을 등받이(2)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등받이(2)로부터 허리받침대(7)의 높이 f를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높이 f는 도 3에 도시된 앉은 자세일때의 높이 d보다 작다. 따라서 누운 자세에서의 등받이(2)는 보다 평평해짐으로써, 허리받침대(7)가 등받이(2) 위로 크게 돌출되지 않으므로 안락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앉은 자세에서 누운 자세로 이동시 사용자의 등과 등받이(2) 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크게 변하지 않으므로, 허리받침대(7)의 위치가 사용자의 허리 위로 위치함으로써 초래하는 불편한 감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앉은 자세에서 누운 자세로 이동시, 상기 전방 프레임(5)의 가이드 봉(56)은 상기 베이스(1)의 고정 노브(15)와 결합되는 로킹 블럭(57)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등받이(2)의 경사각도를 조절시, 상기 조임 노브(151)가 조여져 로킹 블럭(57) 및 가이드 봉(56)을 고정함으로써, 등받이(2)의 경사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안락의자를 도시한다.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 간의 차이는, 베이스(1)가 그 중앙부에 포스트(11)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상기 포스트(11)의 상단에는 횡단 빔(111)이 장착되며, 상기 횡단 빔(111)의 양 측면에는 측면 프레임(12)이 각각 장착된다.
슬라이딩 블럭들(131, 441 및 321)은 생략되거나 롤러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로 대체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본원에는 특정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된다.

Claims (8)

  1. 베이스, 등받이,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 시트, 전방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는 안락의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그 양 측면에 두개의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두개의 측면 프레임들 각각은 결합부를 갖는 전방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측면 프레임들 각각은 제 1 선회부를 갖는 후방 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는 그 양 측면에 두개의 측면봉 및 그 기저에 기저봉을 포함하고, 상기 두개의 측면봉들 각각은 측면 결합부를 갖는 하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의 양 측면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의 두 측면 프레임들 중 하나의 후방 단부에 있는 제 1 선회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선회부를 갖는 상단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들 각각은 상기 두 측면봉들 중 하나의 측면 결합부와 결합되는 가이드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들 각각은 그 하단 단부에 서로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제 3 선회부 및 제 4 선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트는 두개의 측면 바를 포함하고, 상기 두개의 측면 바들 각각은 상기 두 구동 플레이트들 중 하나의 제 3 선회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5 선회부를 갖는 후방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측면 바들 각각은 결합부를 갖는 전방 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은 시트 아래에 장착되고, 상기 전방 프레임은 서로 반대로 위치한 두개의 측면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측면 보드들 각각은 상기 두 구동 플레이트들 중 하나의 제 4 선회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6 선회부를 갖는 후방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개의 측면 보드들 각각은 상기 시트 및 베이스의 결합부들에 각각 결합되는 상단 결합 펙 및 하단 결합 펙을 갖는 전방 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측면 보드들 각각의 전방 단부는 제 7 선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 프레임은 서로 반대로 위치한 두개의 측면 빔을 포함하고, 상기 두개의 측면 빔들 각각은 상기 등받이의 두 측면봉들 하나의 측면 결합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8 선회부를 갖는 후방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측면 빔들 각각은 상기 전방 프레임의 두 측면 보드들 중 하나의 제 7 선회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0 선회부를 갖는 전방 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락의자가 앉은 자세에 있을 때, 상기 등받이의 두 측면 결합부들은 상기 두 구동 플레이트들의 가이드 그루브들의 상단 단부들에 각각 위치하고, 및
    상기 등받이가 앉은 자세에서 누운 자세로 기울어지면, 상기 두 구동 플레이트들은 상기 시트, 전방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을 이동시키도록 구동됨으로써, 상기 등받이의 측면 결합부들이 상기 두 구동 플레이트들의 가이드 그루부들의 하단 단부들로 이동되고 및 시트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락의자는 허리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의 기저봉은 하단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방 프레임의 측면 빔들 각각은 상기 허리받침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9 선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리받침대는 상기 등받이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그 양 측면에 두개의 측면 빔 및 그 기저에 기저 빔을 포함하고, 상기 허리받침대의 두개의 측면 빔들 각각은 상기 후방 프레임의 측면 빔들 중 하나의 제 9 선회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1 선회부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받침대의 기저 빔은 상기 등받이의 하단 결합부에 위치하며,
    상기 안락의자가 앉은 자세에 있을 때, 상기 허리받침대는 상기 등받이의 전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등받이가 앉은 자세에서 누운 자세로 기울어지면, 상기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들, 전방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은 상기 허리받침대를 등받이쪽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됨으로써 상기 등받이로부터 허리받침대의 높이를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하단 결합부는 수용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받침대의 기저 빔은 상기 수용 그루브 내에 수용되며, 상기 수용 그루브의 폭은 상기 허리받침대의 기저 빔의 폭보다 크고,
    상기 안락의자는 두개의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두개의 스프링들 각각은 상기 허리받침대의 두 측면 빔들 중 하나 및 상기 후방 프레임의 두 측면 빔들 중 하나에 각각 부착되는 두개의 단부를 포함하는
    안락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두 측면 바들 각각의 결합부 및 베이스는 각각 가이드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시트 및 두 구동 플레이트들의 가이드 그루브들 각각에는 슬라이딩 블럭(sliding block)이 수용되며, 상기 등받이의 두 측면봉들 각각의 측면 결합부는 결합 펙(engagement peg)을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의 결합 펙 및 상기 전방 프레임의 두 측면 보드들의 상단 및 하단 결합 펙은 상기 시트, 베이스 및 두 구동 플레이트들의 가이드 그루브에 있는 슬라이딩 블럭들과 각각 결합되는
    안락의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두 측면봉들 각각의 측면 결합부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상단 및 하단 결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및 하단 결합 플레이트 각각에는 결합 펙이 제공되며, 상기 두개의 구동 플레이트들 각각의 가이드 그루브는 상기 등받이의 두 측면봉들 각각의 상단 및 하단 결합 플레이트들의 결합 펙들을 각각 수용하는 상단부 및 하단부를 포함하는
    안락의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그 양 측면에 두개의 포스트(post)를 포함하고, 상기 두개의 측면 프레임들은 상기 두 포스트들에 각각 장착되는
    안락의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그 중앙부에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는 횡단 빔이 장착되며, 상기 두개의 측면 프레임들은 상기 횡단 빔의 양 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안락의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그 양 측면들 중 하나에 고정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노브는 결합 구멍 및 조임 노브를 포함하며, 가이드 봉이 상기 전방 프레임의 두 측면 보드들 중 하나의 하단 결합 펙에 장착되고 로킹 블럭(locking block)을 통해 연장되며, 상기 로킹 블럭은 그 측면에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시트의 고정 노브의 결합 구멍을 통해 연장되며, 상기 핀은 상기 조임 노브와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 구멍을 포함하는
    안락의자.
KR1020150031005A 2014-11-25 2015-03-05 안락의자 KR101853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3220842 2014-11-25
TW103220842U TWM497968U (zh) 2014-11-25 2014-11-25 可斜躺之座椅結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656A true KR20160062656A (ko) 2016-06-02
KR101853525B1 KR101853525B1 (ko) 2018-04-30

Family

ID=5343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005A KR101853525B1 (ko) 2014-11-25 2015-03-05 안락의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98002U (ko)
KR (1) KR101853525B1 (ko)
TW (1) TWM49796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556U (ko) * 2018-08-31 2020-03-11 창-첸 린 전동식 레저용 리프트 리클라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68829A (zh) * 2020-11-29 2022-06-03 文宜平 一种轻便午睡椅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14126B4 (de) 2010-04-07 2011-11-10 Ferdinand Lusch Gmbh & Co. Kg Sitzmöbel mit einem in eine Aufstehhilfesposition schwenkbaren Sitz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556U (ko) * 2018-08-31 2020-03-11 창-첸 린 전동식 레저용 리프트 리클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525B1 (ko) 2018-04-30
TWM497968U (zh) 2015-04-01
JP3198002U (ja)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8180B2 (en) Chair, in particular office chair
US9504330B2 (en) Chair
US9364093B2 (en) Chair riser assembly
US9833075B2 (en) 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and seat
KR20190044580A (ko) 의자 구조 및 의자
US8465091B2 (en) Adjustable office chair
CA2941579C (en) Stand-up wheelchair
US9532653B2 (en) Adjustable chairs and related methods
KR101853525B1 (ko) 안락의자
GB2523584A (en) Chair
JPH1066629A (ja) 可動椅子
US6802783B1 (en) Swing including a seat unit with a tiltable backrest and a footrest movable relative to a seat frame
CA2732705C (en) Rocking chair
KR101405302B1 (ko) 착탈식 의자 등받이
TWM554785U (zh) 具有椅背傾斜補償之椅具
WO2009107909A1 (en) Chair for handicapped person
US4699422A (en) Reclining and swingable chair
JP3834502B2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
CN210810072U (zh) 座椅组成结构
CN201668146U (zh) 一种坐垫和靠背可联动调节的座椅
KR101165345B1 (ko) 무릎지지대가 구비된 교구용 책상
KR20150108091A (ko)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CN217743555U (zh) 课椅的靠板调节机构
CN110558760B (zh) 座椅组成结构
CN213962569U (zh) 便捷下座式办公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