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514B1 -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514B1
KR102009514B1 KR1020170083411A KR20170083411A KR102009514B1 KR 102009514 B1 KR102009514 B1 KR 102009514B1 KR 1020170083411 A KR1020170083411 A KR 1020170083411A KR 20170083411 A KR20170083411 A KR 20170083411A KR 102009514 B1 KR102009514 B1 KR 102009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structure
support plate
plate
pressing plate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005A (ko
Inventor
이행기
손형민
김광목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83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5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0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 또는 기둥과 같은 건축 구조물의 균열이나 손상 부위에 보수재를 도포한 후 보수재가 도포된 부위에 강한 압력으로 밀착되어 보수재가 탈락하지 않고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는, 건축 구조물의 양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판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지지판과 건축 구조물의 일면 또는 양면 사이에 지지판에 대해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축 구조물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가압 밀착되는 압착판과; 상기 압착판을 상기 지지판에 대해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가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Apparatus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Concrete Sturcure And Method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을 보수 보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 또는 기둥과 같은 건축 구조물의 균열이나 손상 부위에 보수재를 도포한 후 보수재가 도포된 부위에 밀착되어 보수재가 탈락하지 않고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건설 후 각종 자연 또는 인위적 작용을 받아 사용연수에 따라 물리적, 화학적 변형으로 인하여 물리적인 성능이 저하된다. 특히, 최근 들어 건축 구조물의 안전성 및 성능의 확보 측면에서 보수를 실시하여 안전성 및 기능성능을 회복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건축 구조물의 노후화 현상이 가속화 될 경우 철근부식, 동결융해, 탄산화 현상 등에 의한 팽창압력으로 인하여 구조체 즉, 콘크리트부에서의 단면결손을 초래하게 되어 미관상, 구조내력상, 기능적인 측면에서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현재에는 균열 부위 또는 파손되어 떨어져 나간 부위의 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나 시멘트 모르타르, 에폭시 등의 보수재를 타설하여 균열 또는 손상 부위를 보수·보강하고 있다.
그런데, 균열 또는 손상 부위는 유동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보수재를 도포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중에 의해 보수재가 흘러 내려 탈락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647842호(2006.11.13. 등록) 등록특허 제10-1567983호(2015.11.04.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 또는 기둥과 같은 건축 구조물의 균열이나 손상 부위에 보수재를 도포한 후 보수재가 도포된 부위에 강한 압력으로 밀착되어 보수재가 탈락하지 않고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는, 건축 구조물의 양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판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지지판과 건축 구조물의 일면 또는 양면 사이에 지지판에 대해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축 구조물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가압 밀착되는 압착판과; 상기 압착판을 상기 지지판에 대해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가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형틀 장치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건축 구조물의 균열 또는 손상 부위에 보수 보강 작업을 수행한 후 보수재(R)를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보수재가 도포된 부분의 외측에 상기 본체부를 배치하여 보수재가 도포된 부분이 본체부의 지지판의 내면 또는 압착판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가동유닛을 작동시켜 압착판(20)을 건축 구조물 쪽으로 이동하여 건축 구조물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보 또는 기둥 등의 건축 구조물의 균열 또는 손상 부위에 보수재가 도포된 후 보수재가 도포된 부위에 본 발명의 형틀 장치가 견고하게 가압 밀착되면서 보수재를 지지하므로, 보수재가 자중에 의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정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형틀 장치는 건축 구조물의 외면에 본체부를 배치한 후 가동유닛의 나사축을 돌려서 압착판을 이동시켜 건축 구조물의 외면에 가압 밀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작동이 매우 용이한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의 형틀 장치는 하나의 모듈 구조를 가지므로, 건축 구조물의 손상 부위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형틀 장치를 측방 및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가 보 구조물에 장착된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가 보 구조물에 장착된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의 변형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의 가동유닛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및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의 본체부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가 보 구조물에 장착된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의 가동유닛 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에 도시된 가동유닛 부분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는 보 또는 기둥과 같은 건축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이나 손상 등의 보수 요구 부위에 보수재가 도포된 후 보수재가 도포된 부위에 장착되어 보수재의 탈락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6은 건축 구조물로서 기둥과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보(B)의 보수 보강을 위해 시공된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이 첫번째 실시예의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1)는, 보(B)의 양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지지판(11)과 제2지지판(12)을 구비하는 본체부(10)와, 상기 제1지지판(11)과 보(B)의 일면 사이에서 제1지지판(11)에 대해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B)의 일면에 가압 밀착되는 압착판(20)과, 상기 압착판(20)을 상기 제1지지판(11)에 대해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가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는 보(B)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지지판(11)과, 상기 제1지지판(11)의 반대편에서 보(B)의 반대편 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지지판(12)과, 상기 제1지지판(11)과 제2지지판(12)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판(13)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U'자형 패널 구조를 이룬다.
상기 제1지지판(11)과 제2지지판(12)은 사각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판(11)은 보(B)의 일면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지지판(12)은 상기 압착판(20)의 반대편에서 보(B)의 다른 일면에 가압 밀착되어 압착판(20)과 함께 형틀 장치(1)를 보(B)에 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연결판(13)은 상기 제1지지판(11) 및 제2지지판(12)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지지판(11)과 연결판(13), 제2지지판(12)과 연결판(13)이 서로 대칭되는 'L'형 단면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제1지지판(11)의 연결판(13)과 제2지지판(12)의 연결판(13)은 볼트(13a) 및 너트(13b)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상기 연결판(13)은 보(B)의 폭이 작을 경우에는 제1지지판(11)에 형성된 것과 제2지지판(12)에 형성된 것을 직접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보(B)의 폭이 증가할 경우, 일정한 폭을 갖는 보조연결판(14)을 상기 제1지지판(11)과 제2지지판(12)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판(13) 사이에 결합하여 전체 폭을 보(B)의 폭에 맞게 증가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1)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복수의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1)를 보(B)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함께 사용하거나,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의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1)를 보(B)의 길이 방향 및/또는 높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1)를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1지지판(11)과 제2지지판(12)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볼트(17)가 체결되는 복수의 볼트체결공(16)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플랜지(15)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형틀 장치(1)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형틀 장치(1)의 제1지지판(11)과 제2지지판(12) 가장자리의 연결플랜지(15)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볼트체결공(16)을 통해 볼트(17) 및 너트(18)를 체결하면 된다.
상기 압착판(20)은 편평한 사각 평판 형태로 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제2지지판(12)과 함께 보(B)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보수재(R)의 탈락을 방지함과 동시에 형틀 장치(1)를 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압착판(20)은 가동유닛에 의해 보(B)의 외면 쪽으로 이동하여 그 내측면이 보(B)의 외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 밀착된다.
상기 압착판(20)을 직선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가동유닛은, 상기 제1지지판(11)에 관통되게 형성된 탭홀(11a)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탭홀(11a)의 내주면과 나선 결합되어 회전 운동하면서 지지판(11, 12)에 대해 수평 이동하는 나사축(31)과, 상기 나사축(31)의 내측 단부를 상기 압착판(20)에 상대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베어링(32)을 포함한다.
상기 나사축(31)의 외측 단부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손잡이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축(31)의 내측 단부는 상기 베어링(32)의 내륜(32a)에 결합되어 나사축(31)이 압착판(2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나사축(31)의 외면에는 탭홀(11a)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선 결합되는 나사산이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33)를 손으로 잡고 돌리면 나사축(31)이 제1지지판(11)의 탭홀(11a) 내측에서 회전하면서 나사산 간의 작용에 의해 제1지지판(11)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수평하게 직선 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압착판(20)과 본체부(10)의 제2지지판(12)이 보(B)의 외면에 압착되면서 보수재(R)를 지지할 때 보수재(R)가 더욱 신속하게 양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0)의 내측면 또는 상기 압착판(20)의 내측면에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열하는 전기발열매트(40)를 설치하여 보(B)의 외면에 열을 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기발열매트(40)를 이용하여 보수재(R)에 열을 제공하면 보수재(R)의 경화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고, 특히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도 보수 부위의 빠른 경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기발열매트(40)는 본체부(10)의 제2지지판(12) 뿐만 아니라 제2지지판(12) 및 제1지지판(11)의 하단에 연결된 연결판(13)의 내측면(상부면)에도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형틀 장치(1)를 이용하여 건축 구조물을 보수 보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B)의 균열 또는 손상 부위에 소정의 보수 보강 작업을 수행한 후 보수재(R)를 도포한다. 그리고 상기 보수재가 도포된 부분의 외측에 상기 본체부(10)를 배치하여 보수재(R)가 도포된 부분이 본체부(10)의 제2지지판(12)의 내면 및/또는 압착판(20)의 내면에 마주보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체부(10)를 보(B)의 보수 보강된 부분 외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제2지지판(12)의 내면을 보(B)의 일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동유닛의 나사축(31)을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축(31)이 제1지지판(11)의 내측으로, 즉 보(B) 쪽으로 이동하여 압착판(20)이 보(B)의 일면에 가압 밀착된다.
이에 따라 보(B)의 양면이 본체부(10)의 제2지지판(12)과 압착판(20)에 의해 강한 압력으로 밀착되므로 형틀 장치(1)가 보(B)에서 떨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보(B)에 균열 또는 손상 부위에 도포된 보수재(R)가 본체부(10) 및/또는 압착판(20)에 의해 지지되므로 경화 과정에서 탈락하지 않고 안정된 정착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형틀 장치(1)를 보(B)의 외면에 설치한 후 전기발열매트(40)에 전기를 인가하면 전기발열매트(40)가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열하여 보수재(R)에 열을 전달하고, 보수재(R)가 더욱 신속하게 경화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형틀 장치(1)는 압착판(20)이 제1지지판(11)의 내측에만 설치되고, 가동유닛이 압착판(20)의 중앙부에 직접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도 7 내지 도 11b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것과 같이 복수의 압착판(20)이 제1지지판(11)과 제2지지판(12)의 내측에 각각 대향되게 배치되고, 압착판(20)과 가동유닛 사이에 압착판(20)이 지면(地面)에 대해 연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건축 구조물의 면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더라도 압착판(20)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압력으로 건축 구조물에 가압 밀착되게 할 수도 있다.
즉, 도 7 내지 도 11b에 도시한 두번째 실시예의 형틀 장치(1)는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와 동일하나, 본체부(10)의 제1지지판(11)과 제2지지판(12)의 내측에 복수의 압착판(20)이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압착판(20)의 외면과 가동유닛의 나사축(31)의 내측 단부 사이에 나사축(31)에 대한 압착판(20)의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1조인트부재(35)와 제2조인트부재(36) 및 힌지축(37)이 설치되어, 압착판(20)이 보(B)의 외면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힌지축(37)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가압 밀착될 수 있도록 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1조인트부재(35)는 압착판(20)의 중앙부 외면에 설치되며, 제2조인트부재(36)는 상기 가동유닛을 구성하는 나사축(31)의 내측 단부에 베어링(32)을 매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조인트부재(35) 및 제2조인트부재(36)는 지면(地面)에 대해 연직한 힌지축(37)을 매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유닛에 의해 압착판(20)이 직선 운동하여 보(B)의 외면에 밀착될 때 보(B)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제1조인트부재(35)가 힌지축(37)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압착판(20)이 보(B)의 기울어진 면에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형틀 장치는 보 또는 기둥 등의 건축 구조물의 균열 또는 손상 부위에 보수재(R)가 도포된 후 보수재(R)가 도포된 부위에 안정적으로 가압 밀착되면서 보수재(R)를 지지하므로, 보수재(R)가 자중에 의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정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틀 장치는 건축 구조물의 외면에 본체부(10)를 배치한 후 가동유닛의 나사축(31)을 돌려서 압착판(20)을 이동시켜 건축 구조물의 외면에 가압 밀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작동이 매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형틀 장치가 하나의 모듈 구조를 가지므로, 건축 구조물의 손상 부위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형틀 장치를 측방 및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B : 보 R : 보수재
1 : 형틀 장치 10 : 본체부
11 : 제1지지판 11a : 탭홀
12 : 제2지지판 13 : 연결판
14 : 보조연결판 15 : 연결플랜지
20 : 압착판 31 : 나사축
32 : 베어링 33 : 손잡이부
40 : 전기발열매트

Claims (13)

  1. 건축 구조물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지지판(11)과, 상기 제1지지판(11)의 반대편에서 건축 구조물의 반대편 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지지판(12)과, 상기 제1지지판(11)과 제2지지판(12)을 연결하는 연결판(13)을 포함하는 본체부(10)와;
    상기 지지판과 건축 구조물의 일면 또는 양면 사이에서 상기 제1지지판(11) 또는 제2지지판(12)에 대해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축 구조물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가압 밀착되면서 건축 구조물에 도포된 보수재(R)의 탈락을 방지하는 압착판(20)과;
    상기 압착판(20)을 상기 제1지지판(11) 또는 제2지지판(12)에 대해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가동유닛;
    상기 본체부(10)의 내측면 또는 상기 압착판(2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건축 구조물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건축 구조물의 외면에 열을 가하는 전기발열매트(40);
    상기 압착판(20)에 설치되는 제1조인트부재(35);
    상기 제1조인트부재(35)에 힌지축(37)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동유닛에 결합되는 제2조인트부재(36);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유닛에 의해 압착판(20)이 직선 운동하여 건축구조물의 일면에 밀착될 때 건축 구조물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제1조인트부재(35)가 힌지축(37)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압착판(20)이 건축 구조물의 일면에 밀착되며,
    상기 가동유닛은, 상기 제1지지판(11) 또는 제2지지판(12)에 관통되게 형성된 탭홀(11a)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탭홀(11a)의 내주면과 나선 결합되어 회전 운동하면서 지지판(11, 12)에 대해 수평 이동하는 나사축(31)과, 상기 나사축(31)의 내측 단부를 상기 제2조인트부재(36)에 상대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베어링(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20)은 상기 제1지지판(11)과 건축 구조물의 일면 사이에 설치되어 건축 구조물의 일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2지지판(12)이 건축 구조물의 다른 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20)은 복수 개가 상기 제1지지판(11)과 건축 구조물의 일면 사이와, 제2지지판(12)과 건축 구조물의 다른 일면 사이에 설치되어 건축 구조물의 양면에 압착판(20)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31)의 외측 단부에 손잡이부(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1, 12)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다른 형틀 장치의 지지판(11, 12)과의 연결을 위한 볼트체결공(16)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플랜지(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
  11. 제1항 및 제3항 및 제4항 및 제6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형틀 장치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으로서,
    (a) 건축 구조물의 균열 또는 손상 부위에 보수 보강 작업을 수행한 후 보수재(R)를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보수재가 도포된 부분의 외측에 상기 본체부(10)를 배치하여 보수재가 도포된 부분이 본체부(10)의 지지판의 내면 또는 압착판(20)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c) 상기 가동유닛을 작동시켜 압착판(20)을 건축 구조물 쪽으로 이동하여 건축 구조물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본체부(10)의 양측에 복수 개의 압착판(20)을 배치하여 (c) 단계에서 복수 개의 압착판(20)이 건축 구조물의 양면에 가압 밀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본체부(10)의 내측면 또는 상기 압착판(20)의 내측면에 설치된 전기발열매트(40)에 전기를 인가하여 건축 구조물의 외면에 열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
KR1020170083411A 2017-06-30 2017-06-30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 KR102009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411A KR102009514B1 (ko) 2017-06-30 2017-06-30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411A KR102009514B1 (ko) 2017-06-30 2017-06-30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05A KR20190003005A (ko) 2019-01-09
KR102009514B1 true KR102009514B1 (ko) 2019-08-12

Family

ID=6501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411A KR102009514B1 (ko) 2017-06-30 2017-06-30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5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090B1 (ko) 2019-11-26 2021-04-02 한국과학기술원 콘크리트의 촉진양생을 위한 자기발열 거푸집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605B1 (ko) * 2019-07-11 2019-12-13 (주)옥련건설 콘크리트 구조물의 헌치부 보수 및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
KR102055603B1 (ko) * 2019-07-11 2019-12-13 (주)옥련건설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
KR102094983B1 (ko) * 2019-11-28 2020-05-15 노딕기술 주식회사 가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하수박스 보수 보강시스템 및 공법
CN113513150B (zh) * 2021-03-26 2022-08-09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层叠组合式混凝土伺服模板的施工方法
CN112709424B (zh) * 2021-03-26 2021-06-18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组合式混凝土模板系统及其施工方法
CN113580632A (zh) * 2021-08-02 2021-11-02 吴坚 一种装修板材拼缝开裂加固构造装置
CN116752786A (zh) * 2023-08-01 2023-09-15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建筑加固施工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7578A (ja) 2014-06-02 2015-12-17 株式会社安藤・間 コンクリートの電気化学的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7025620A (ja) 2015-07-24 2017-02-02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鋼材の補強構造及び鋼材の補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42B1 (ko) 2006-09-05 2006-11-23 (주)도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지하주차장 철근콘크리트 기둥 보강구조
KR20100004444A (ko) * 2008-07-04 2010-01-13 차용철 발열 거푸집 패널 제조방법
KR101421664B1 (ko) * 2011-12-19 2014-07-24 주식회사 네비엔 곡선 빔 제작용 거푸집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곡선 빔 제작방법
KR20150039954A (ko) * 2013-10-04 2015-04-14 박건희 장선재에 간격 유지부재가 체결되는 거푸집 패널
KR101567983B1 (ko) 2013-11-18 2015-11-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콘크리트 기둥의 내력 보강 장치 및 그 보강방법
KR101704478B1 (ko) * 2015-03-17 2017-02-09 김동기 Lng선 또는 화학탱크의 플랜트 제작에 소용되는 비철 금속자재 파지용 스크류 클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7578A (ja) 2014-06-02 2015-12-17 株式会社安藤・間 コンクリートの電気化学的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7025620A (ja) 2015-07-24 2017-02-02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鋼材の補強構造及び鋼材の補強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090B1 (ko) 2019-11-26 2021-04-02 한국과학기술원 콘크리트의 촉진양생을 위한 자기발열 거푸집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05A (ko)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514B1 (ko)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
RU2564328C2 (ru) Башня с переходной частью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ашни с переходной частью
EP2253782B1 (en) Support structure for a wind turbine
US10138615B2 (en) Base body of electric transmission tower using micropile
JP6370729B2 (ja) 道路橋防護柵の設置工法
CN108386002A (zh) 一种用于钢筋混凝土梁板的碳纤维筋加固装置及加固方法
KR101704245B1 (ko) 철골 구조물 인상장치
KR100432318B1 (ko) 탄소봉을 이용한 기존 건축·토목 구조물의 보수 및보강공법
KR102144308B1 (ko) 강재용 고전단 링앵커
CN110656657A (zh) 压缩机基础地脚螺栓安装方法
CN104563524A (zh) 防渗水的预制板施工方法
KR102193641B1 (ko) 박층 프리캐스트 포장 구조, 박층 프리캐스트 포장의 시공방법
JPH09273163A (ja) 既存建築物の耐震補強方法
CN210396131U (zh) 一种新型机电洞口套管加固装置
CN219622347U (zh) 一种悬挑工字钢与预埋u形环的加固装置
JP6882728B2 (ja) 緊張材の緊張装置
CN220099632U (zh) 一种多节段预制拼装墩柱结构
JP7303766B2 (ja) パネルユニットおよび構造物の構築方法
KR102160937B1 (ko) 나사형 철근을 이용한 선조립 공법의 철근 체결 장치 및 방법
JP2018150785A (ja) 型枠固定材(セパキャップ)
CN220150940U (zh) 一种用于竖向预制构件的套筒灌浆加固装置
KR102618685B1 (ko) 동바리용 엔형유격제
CN111042513B (zh) 建筑工程用铝合金模板组件及其安装方法
KR101249129B1 (ko) 나사산 철근을 이용한 기초 앵커 볼트
CN208841337U (zh) 一种预制板构件修补工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