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603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603B1
KR102055603B1 KR1020190083791A KR20190083791A KR102055603B1 KR 102055603 B1 KR102055603 B1 KR 102055603B1 KR 1020190083791 A KR1020190083791 A KR 1020190083791A KR 20190083791 A KR20190083791 A KR 20190083791A KR 102055603 B1 KR102055603 B1 KR 102055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elastic body
wall
contact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함태
이희우
강정모
Original Assignee
(주)옥련건설
강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옥련건설, 강정모 filed Critical (주)옥련건설
Priority to KR1020190083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4Propping of endangered or damaged buildings or building parts, e.g. with respect to air-raid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된 보수부위를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수재로서 보수하면서 보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수부위를 덮도록 상기 벽체에 부착되는 보수재와 탄력적으로 접하는 밀착용 탄성체 ; 상기 보수부위에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를 구비하는 결합체 ; 및 상기 밀착용 탄성체와 보수재가 접해진 상태에서 상기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결합체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보수부위와 보수재를 매개로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의 탄력적인 가압압착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는 지지체 ; 를 포함하여, 상기 보수부위에 압착되어 상기 벽체와 일체화되도록 경화되는 보수재에 의해서 상기 보수부위를 보수하고, 상기 보수부위에 강제 침투된 보강수지의 경화에 의해서 보수부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Method and device for repair and strengthening the wall of concrete structures}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를 보수하면서 보강하는 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에 기인하여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되는 벽체의 보수부위에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수재를 덮은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서 일정시간 동안 압착하면서 경화시켜 벽체의 보수부위에 대한 보수 및 보강을 동시에 수행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우수한 내구성으로 인해 반영구적 구조물의 건설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주택이나 아파트를 비롯하여 댐이나 교량, 포장도로 및 터널, 지하구조물 등과 같이 인간생활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로 건설된 다양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의 재료 특성상 양생시 발생되는 건조수축등의 요인으로 균열이 발생하고, 외부환경의 변화나 진동은 물론 부동침하, 블리딩 또는 자체 하중에 의한 응력의 과다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크고 작은 균열이 벽체의 표면에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체적 팽창에 의해 콘크리트가 균열 및 박리를 일으킴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성능을 저하시키며, 특히 겨울철에는 콘크리트가 동결 및 융해 작용으로 인해 콘크리트의 파손이 발생하기도 하며, 자동차의 배기가스에 오랜기간 노출될 경우 중성화 현상으로 인해 내부 철근이 부식됨은 물론 콘크리트가 균열 또는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균열은 그 균열이 발생한 위치와 균열의 폭 및 깊이에 따라 콘크리트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철근 부식 등을 통한 열화의 원인이 되거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요인들 외에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 알칼리 골재반응, 화학적 침식 등에 의해서도 철근이 부식되고 콘크리트 구조물 자체가 손상될 수 있으며, 이는 외관 손상 및 방수성능 저하 등과 같은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즉, 콘크리트 구조물에 균열 등의 파손이 발생하면 방수 성능 저하, 철근 부식, 내구성 저하, 강도 저항 등으로 치명적인 결함을 초래함에 따라, 특히 벽체에 균열이나 손상이 발생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해서는 방수성, 내구성을 회복하거나 구조물의 안정성, 미관성 등을 고려하여 보수 및 보강을 위한 시공방법이 이루어지며, 이를 위한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1907917 B1
(특허문헌 2) KR10-1822867 B1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에 기인하여 벽체에 발생하는 균열이나 파손과 같은 보수부위를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수재로서 덮으면서 일정시간 동안 가압압착상태를 유지하면서 경화시켜 일체화함으로써 벽체에 균열 또는 손상으로 발생되는 보수부위를 간편하게 보수함과 동시에 보수부위에 침투된 후 경화되는 보강수지에 의해서 구조적으로 벽체를 보강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된 보수부위를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수재로서 보수하면서 보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수부위를 덮도록 상기 벽체에 부착되는 보수재와 탄력적으로 접하는 밀착용 탄성체 ; 상기 보수부위에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를 구비하는 결합체 ; 및 상기 밀착용 탄성체와 보수재가 접해진 상태에서 상기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결합체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보수부위와 보수재를 매개로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의 탄력적인 가압압착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는 지지체 ; 를 포함하여, 상기 보수부위에 압착되어 상기 벽체와 일체화되도록 경화되는 보수재에 의해서 상기 보수부위를 보수하고, 상기 보수부위에 강제 침투된 보강수지의 경화에 의해서 보수부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착용 탄성체는 외력에 의해서 압축변형되는 단일 탄성체로 구비되거나 복수개의 탄성판이 다층으로 적층되는 적층형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착용 탄성체는 적어도 하나의 기체주입구를 통한 기체주입시 부피팽창되는 튜브재와, 상기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튜브재의 외부면만 노출시키도록 상기 튜브재를 에워싸는 튜브재 수용체 및 상기 튜브재 수용체에 내부수용되어 부피팽창되는 튜브재를 위치고정하도록 상기 튜브재 수용체에 양단이 구속되는 복수개의 제1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착용 탄성체는 외측테두리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매개로 상기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팽창판의 외측테두리를 접합고정하는 강성판과, 상기 강성판에 구비되는 기체주입구를 통한 기체주입시 부피팽창되는 팽창판의 외측테두리를 강성판에 밀착고정하도록 상기 강성판에 양단이 구속되는 복수개의 제2밴드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팽창판의 외측테두리 내부에는 기체주입시 부피팽창되는 팽창판의 외측테두리가 팽창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체는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내부공간에 수용하여 배치하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탄성 수용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수용체는 상기 지지체의 일단과 연결되는 밀폐면의 외측테두리로부터 절곡연장되어 상기 밀착용 탄성체의 외측을 감싸는 스커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체는 상기 밀착용 탄성체가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판과, 상기 지지체의 선단과 결합되는 제2고정판 및 상기 제1고정판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판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안내공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안내바 및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좁아지도록 압축되면서 상기 제1고정판을 보수재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고정판 측으로 근접하도록 상대이동되는 제2고정판와 접하여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간격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재를 상기 안내바는 길이중간에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체는 상기 밀착용 탄성체가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판과, 상기 지지체의 선단과 결합되는 제2고정판 및 상기 제1고정판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판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안내공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안내바 및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넓어지도록 팽창되면서 상기 제1고정판을 보수재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고정판 측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대이동되는 제2고정판과 접하여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간격을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상기 안내바는 후단에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체는 상기 결합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피결합구의 결합홈에 착탈가능하게 대응삽입되는 제1결합구를 일단에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가압봉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봉의 일단은 상기 제1결합구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체는 상기 결합체의 후면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연결바의 타단과 일단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다른 벽체에 일단이 접해지는 제2연결바의 타단과 타단이 나사결합되는 턴버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수재와 상기 밀착용 탄성체와의 사이에는 상기 보강수지의 침투를 차단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차단시트를 삽입하여 개재하거나 상기 밀착용 탄성체와 대응하는 보수재의 일면에 상기 보강수지의 침투를 차단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차단코팅층을 구비하거나 상기 보수재와 대응하는 일면에 박리재가 도포된 방수비닐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된 보수부위를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수재로서 보수하면서 보강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수부위에 보수재를 부착하거나 상기 보수재를 전면에 부착하는 밀착용 탄성체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구비하는 결합체의 후면에 일단이 연결되는 지지체를 상기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상기 보수부위와 보수재를 매개로 밀착용 탄성체를 접촉시키는 접촉단계 ; 및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수재에 가압력을 전달하여 상기 보수재를 압착가압하면서 상기 보수재의 압착가압상태를 유지하는 가압유지단계 ; 를 포함하여, 상기 보수부위에 압착가압되어 경화되는 보수재에 의해서 상기 보수부위를 보수하고, 상기 보수부위에 강제 침투된 보강수지의 경화에 의해서 보수부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유지단계는 상기 결합체의 후면에 연결되는 제1결합구와 일단이 나사결합되는 가압봉의 타단이 상기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다른 벽체에 접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봉의 정방향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상기 보수부위 측으로 근접하도록 이동시켜 상기 보수부위와 보수재를 매개로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를 압축변형시키는 가압력을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유지단계는 상기 결합체의 후면에 연결되는 제1연결바와 일단이 나사결합되는 턴버클의 타단과 나사결합되는 제2연결바를 상기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다른 벽체에 접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턴버클의 정방향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상기 보수부위 측으로 근접하도록 이동시켜 상기 보수부위와 보수재를 매개로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를 압축변형시키는 가압력을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유지단계는 상기 보수재와 접하도록 튜브 수용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복수개의 제1밴드에 의해서 외측테두리가 밀착고정되는 튜브재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재의 내부로 기체를 강제주입하고, 상기 튜브 수용체의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되어 보수재와 접해지는 튜브재의 부피팽창에 의해서 보수재를 압착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유지단계는 상기 보수재와 접하도록 강성판의 외측테두리에 도포되는 접합제를 매개로 하여 접합고정되고, 복수개의 제2밴드에 의해서 외측테두리가 밀착고정되는 팽창판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판과 강성판과의 사이로 기체를 강제주입하고, 보수재와 접해지는 팽창판의 팽창변형에 의해서 보수재를 압착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유지단계는 상기 밀착용 탄성체가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판과, 상기 지지체와 결합되는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판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판의 복수개의 안내공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안내바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체가 보수부위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좁아지면서 압축변형되는 제1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밀착용 탄성체와 접해지는 보수재를 압착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유지단계는 상기 밀착용 탄성체가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판과, 상기 지지체와 결합되는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기체주입시 부피팽창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판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판의 복수개의 안내공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안내바를 포함하여, 상기 제2탄성부재에 기체가 강제주입되어 상기 제2탄성부재가 부피팽창되어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넓어지면서 부피팽창되는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밀착용 탄성체와 접해지는 보수재를 압착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에 기인하여 벽체에 발생하는 균열이나 파손과 같은 보수부위를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수재로서 덮은 다음, 지지체를 통하여 밀착용 탄성체에 전달되는 가압력이나 기체주입시 부피팽창되는 튜브구조물의 부피팽창에 기인하는 가압력에 의해서 일정시간 동안 가압압착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보수부위에 부착되는 보수재를 경화시켜 벽체와 일체화하여 보수부위를 간편하게 보수함과 동시에 가압력에 의해서 보수부위에 높은 침투율로 침투된 보강수지의 경화에 의해서 구조적으로 벽체를 보강할 수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고,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단면 구성도이고, b)는 사시도이며, c)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단면 구성도이고, b)는 사시도이며, c)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단면 구성도이고, b)는 사시도이며, c)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단면 구성도이고, b)는 사시도이며, c)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대기상태이고, b)는 가압압착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대기상태이고, b) 는 가압압착상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에 적용되는 턴버클형 지지체를 도시한 것으로써,
a)는 1점 지지 턴버클형 지지체이고, b)는 2점 지지 턴버클형 지지체이며, c) 3점 지지 턴버클형 지지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에 적용되는 링크식 리프트형 지지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대기상태이고, b)는 가압압착상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와 결합되는 고정지지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이동상태이며, b)는 보수 및 보강시 고정상태이다.
도 10a 내지 도 10c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와 결합되는 고정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콘트리트 구조물의 수직한 벽체를 보수 및 보강하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11a 와 도 11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와 결합되는 고정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콘트리트 구조물의 수평한 천정벽체를 보수 및 보강하는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100)는 도 1a, 도 1b 및 도 1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C)의 벽체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된 보수부위(R)를 경화성 수지인 보강수지가 함침된 유리섬유와 같은 보수재(R1)로서 보수함과 동시에 보강할 수 있도록 탄성체(110), 결합체(120) 및 지지체(130)를 포함한다.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는 도 1a, 도 1b 및 도 1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의 벽체 표면에 발생하는 보수부위(R)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상기 벽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일정크기의 보수재(R1)와 직접적으로 접하여 외력에 기인하는 압축변형시 탄성복원력을 벽체 측으로 인가하는 탄성 구조물이다.
이러한 밀착용 탄성체(110)는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육면체상의 단일탄성체(111)로 이루어져 상기 보수재(R1)와 일면이 면접하는 단일 탄성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탄성판이 다층으로 적층되는 적층형 구조물로 이루어지거나 외부로부터 강제주입되는 공기와 같은 기체에 의해서 튜브재가 부피팽창되는 팽창형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체(120)는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의 일측면과 보수대상물인 보수부위(R)가 서로 대응하여 마주하도록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와 결합되어 위치고정하는 고정 구조물이다.
이러한 결합체(120)는 도 1a, 도 1b 및 도 1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부피를 갖는 밀착용 탄성체(110)를 내부공간에 수용하여 배치하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탄성 수용체(121)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수용체(121)는 상기 지지체의 일단과 연결되는 밀폐면의 외측테두리로부터 절곡연장되어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의 외측을 감싸는 스커트(121b)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수용체(121)의 내부에는 단일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밀착용 탄성체(110)가 내부수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탄성판(112)이 다층으로 적층되는 적층형 구조물로 구비되는 밀착용 탄성체가 내부수용되거나 기체에 의해서 튜브재가 부피팽창되는 팽창형 구조물로 구비되는 밀착용 탄성체가 내부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수재(R1)와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110)는 상기 보수재와 대응하는 탄성 수용체(121)의 단부보다 상기 보수재(R1) 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탄성 수용체(121)의 내부에 수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의 일측면이 상기 탄성 수용체(121)의 단부보다 상기 보수재 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됨으로써 상기 보수재와 밀착용 탄성체와의 접촉시 상기 탄성 수용체의 단부보다 선행하여 상기 보수재에 접해짐과 동시에 강성재인 탄성 수용체의 단부가 벽체에 접해지면서 벽체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와 상기 탄성 수용체(121)와의 사이에 일정두께를 갖는 판상의 삽입재(미도시)를 적어도 하나이상 개재하여 배치함으로써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 일측면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30)는 도 1a, 도 1b 및 도 1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체(120)의 후면에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를 보수대상물인 보수부위(R)가 형성된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보수재(R1)와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와의 탄력적인 압착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체(130)는 상기 결합체(120)의 후면에 구비되는 피결합구(132)의 결합홈에 착탈가능하게 대응삽입되는 제1결합구(131a)를 일단에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가압봉(131)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봉(131)의 타단은 상기 보수부위와 대응하며 마주하는 다른 벽체에 접하여 지지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되어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지지장치(20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가압봉(131)의 타단에는 상기 벽체에 안정적으로 접하거나 상기 고정지지장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2결합구(131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봉(131)의 일단은 상기 제1결합구(131a)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압봉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조작에 의해서 상기 제2결합구가 접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다른 벽체나 상기 고정지지장치(200)에 대하여 제1결합구(131a)를 결합체와 더불어 상기 보수부위 측으로 근접하도록 이동시키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체(120)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보수부위에 보수재를 매개로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110)를 압축변형시키는 외력을 인가하거나 상기 밀착용 탄성체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외력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제1결합구(131a)는 상기 가압봉의 회전조작시 피결합구(132)의 결합홈내부에서 회전이 곤란하도록 세트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서 위치고정되는 원형단면상의 삽입부재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결합구(131a)는 상기 피결합구에 대략 사각단면상으로 함몰형성되는 결합홈에 회전이 곤란하도록 대응결합되는 대략 사각단면상의 삽입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130)는 상기 결합체(120)의 후면 중앙에 하나의 가압봉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치갯수를 늘려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100a)는 도 2a, 도 2b 및 도 2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탄성체(110), 결합체(120) 및 지지체(130)를 포함하는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의 벽체 표면에 발생하는 보수부위(R)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상기 벽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일정크기의 보수재(R1)와 직접적으로 접하여 외력에 기인하는 압축변형시 탄성복원력을 벽체 측으로 인가하는 탄성 구조물이다.
이러한 밀착용 탄성체(110)는 복수개의 탄성판(112)이 다층으로 적층되는 적층형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판(112)의 적층갯수는 적절히 조절되며, 상기 보수재와의 압착에 의한 손상시 분리제거된 다음 새로운 탄성판이 접합고정되거나 인접하는 다른 하층의 탄성판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체(120)는 상기 복수개의 탄성판(112)이 다층으로 적층되는 밀착용 탄성체(110)가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판(122a)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130)의 선단과 결합되는 제2고정판(122b)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판(122a)의 후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판(122b)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안내공(123a)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안내바(123)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좁아져 압축되면서 상기 제1고정판(122a)을 보수재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122a)과 제2고정판(122b)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부재(1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판(122a)은 상기 밀착용 탄성체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 판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고정판(122b)은 상기 제1고정판과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는 판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바(123)의 후단에는 스토퍼용 너트(123b)를 각각 체결하여 구비함으로써 상기 안내바가 상기 제2고정판의 안내공(123a)으로부터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부재(124)는 상기 제1고정판(122a)의 후면에 일단이 접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판(122b)의 전면에 타단이 접하여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복수개의 안내바에 삽입배치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판(122a)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탄성판(112)이 다층으로 적층되는 적층형 구조물로 구비되는 밀착용 탄성체가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일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밀착용 탄성체(110)가 고정설치되거나 기체에 의해서 튜브재(113)가 부피팽창되는 팽창형 구조물로 구비되는 밀착용 탄성체가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바(123)의 길이중간에는 상기 제1고정판(122a) 측으로 근접하도록 상대이동되는 제2고정판(122b)과 접하여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간격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재(123c)를 갖춤으로써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서 압축변형되는 제1탄성부재의 과도한 압축을 방지하여 구성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제어부재(123c)는 상기 안내바(123)의 길이중간에 위치고정되는 고정링이나 고정핀과 같은 고정형 부재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내바의 길이중간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갖추어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서 위치조절되는 이동링과 같은 이동형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수부위에 보수재가 부착되고, 상기 보수재에 밀착용 탄성체가 접해진 대기상태에서, 도 5a 및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수재(R1)와 대응하는 지지체(130)가 도면상 좌측으로 일정길이 전진이동한 다음 전진이동된 상태가 유지하게 되면, 상기 제1고정판(122a)과 제2고정판(122b)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좁아지면서 이들사이에 개재된 제1탄성부재(124)가 압축되어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1고정판을 보수재 측으로 가압하는 외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보수부위(R)와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수재(R1)와의 접촉면 및 상기 보수재와 밀착용 탄성체와의 접촉면에서 압착력을 일정시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증대시킬 수 있어 상기 보강수지가 보수부위의 균열이나 공극에 침투되는 침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체(120)는 도 6a 와 도 6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판(122a)과 제2고정판(122b)과의 사이에 개재되고, 외부로부터 강제주입되는 공기와 같은 기체의 주입에 의해서 부피가 팽창되어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넓어지면서 상기 제1고정판(122a)을 보수재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탄성부재(125)를 포함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125)는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기체주입구를 갖추어 상기 기체주입구를 통하여 강제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부피팽창되는 적어도 하나의 튜브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바(123)의 후단에는 상기 지지체(130) 측으로 향하여 상기 제1고정판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대이동되는 제2고정판(122b)과 접하여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간격을 제어하도록 스토퍼용 너트와 같은 제2제어부재(123d)를 갖춤으로써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서 기체주입시 부피팽창되는 제2탄성부재(125)의 과도한 부피팽창을 방지하여 구성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제어부재(123d)는 상기 안내바(123)의 후단에 위치고정되는 고정링이나 고정핀과 같은 고정형 부재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내바의 후단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갖추어 위치조절되는 이동링과 같은 이동형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수부위에 보수재가 부착되고, 상기 보수재에 밀착용 탄성체가 접해진 대기상태에서, 도 6a 및 도 6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탄성부재(125)에 강제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부피팽창되면, 상기 제1고정판(122a)과 제2고정판(122b)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넓어지기 때문에, 부피팽창되는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1고정판을 보수재 측으로 가압하는 외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보수부위(R)와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수재(R1)와의 접촉면 및 상기 보수재(R1)와 밀착용 탄성체(110)와의 접촉면에서 압착력을 일정시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증대시킬 수 있어 상기 보강수지가 보수부위에 침투되는 침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100b)는 도 3a, 도 3b 및 도 3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탄성체(110), 결합체(120) 및 지지체(130)를 포함하는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는 기체주입구(113a)를 통하여 기체주입시 부피팽창되는 튜브재(113)를 포함하고, 상기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튜브재의 외부면만 노출시키도록 상기 튜브재를 에워싸는 튜브재 수용체(114)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재 수용체에 내부수용되어 부피팽창되는 튜브재(113)를 위치고정하도록 상기 튜브재 수용체(114)에 양단이 구속되는 복수개의 제1밴드(115)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재(113)는 상기 튜브재 수용체(114)의 외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체주입구(113a)를 갖추어 이를 기체주입시 부피팽창되는 풍선형 팽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재 수용체(114)는 상기 보수재와 대응하는 일측면이 개구되고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육면체상의 박스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밴드(115)는 상기 튜브재 수용체(114)에 내부수용되어 부피팽창되는 튜브재(113)와 접하여 위치고정하도록 상기 튜브재 수용체의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밀착밴드(115a)와, 상기 밀착밴드의 양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튜브재 수용체의 외면에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밴드(115b)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재 수용체의 개구부 좌우양측에 구비되는 좌우한쌍의 제1밴드(115)의 밀착밴드(115a)는 상기 튜브재 수용체의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튜브재의 외부면 대부분을 외부노출시키도록 상기 튜브재 수용체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외측테두리에 근접하여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밴드(115b)의 단부에는 박스체로 이루어지는 튜브재 수용체의 하부모서리에 걸림고정되는 절곡단을 단부에 구비하거나 상기 튜브재 수용체(114)의 외면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튜브재(113), 튜브 수용체(114) 및 제1밴드(115)로 이루어지는 밀착용 탄성체(110)는 상기 튜브 수용체의 후면에 피결합구(132)를 갖추어 상기 피결합구에 가압봉의 제1결합구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탄성 수용체(121)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수용되거나 제1,2고정판(122a,122b)으로 이루어지는 결합체(120)의 제1고정판(122a)의 전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100c)는 도 4a, 도 4b 및 도 4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및 3실시예와 마찬가로 탄성체(110), 결합체(120) 및 지지체(130)를 포함하는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는 외측테두리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합부(117b)를 매개로 상기 보수부위(R)와 마주하는 팽창판(116)의 외측테두리를 접합고정하는 강성판(117)을 포함하고, 상기 강성판(117)에 구비되는 기체주입구(117a)를 통한 기체주입시 부피팽창되는 팽창판(116)의 외측테두리를 강성판에 밀착고정하도록 상기 강성판(117)에 양단이 구속되는 복수개의 제2밴드(118)를 포함한다.
상기 팽창판(116)은 상기 강성판(117)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체주입구(117a)를 통한 기체주입시 보수부위 측으로 부피팽창되는 얇은 두께의 고무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성판(117)은 상기 팽창판의 외측테두리를 접착제 및 복수개의 제2밴드(118)로서 일체로 밀착고정하는 금속소재의 강성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팽창판(116)의 외측테두리 내부에는 상기 기체주입구를 통한 기체주입시 부피팽창되어 변형되는 팽창판(116)의 외측테두리가 과다하게 팽창되어 상기 강성판과의 접합부로부터 강제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메쉬부재(116a)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밴드(118)는 상기 강성판(117)의 외측테두리를 따라 접합고정되는 팽창판의 외측테두리와 접해지는 밀착밴드(118a)와, 상기 밀착밴드의 양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강성판(117)의 외면에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밴드(118b)를 포함한다.
상기 제2밴드(118)의 밀착밴드(118a)는 상기 팽창판(116)과 강성판(117)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접합부와 대응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고정밴드(118b)의 단부에는 판체로 강성판(117)의 하부모서리에 걸림고정되는 절곡단을 단부에 구비하거나 상기 강성판(117)의 외면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팽창판(116), 강성판(117) 및 제2밴드(118)로 이루어지는 밀착용 탄성체(110)는 상기 강성판의 후면에 피결합구(132)를 갖추어 상기 피결합구에 가압봉의 제1결합구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탄성 수용체(121)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수용되거나 제1,2고정판(122a,122b)으로 이루어지는 결합체(120)의 제1고정판(122a)의 전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수용체 및 제1고정판에는 상기 강성판으로부터 연장되는 기체주입구가 인출되는 인출공을 각각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130)는 상기 결합체와 벽체와의 사이 또는 상기 결합체와 고정지지장치와의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결합체에 구비되는 밀착용 탄성체를 보수부위 측으로 가압하는 외력을 제공하거나 상기 보수재와 밀착용 탄성체와의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다른 벽체에 접하여 지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체(130)는 도 7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체(120)의 후면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연결바(134a)의 타단과 일단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다른 벽체에 일단이 접해지는 제2연결바(134b)의 타단과 타단이 나사결합되는 턴버클(133)을 포함한다.
상기 턴버클(133)의 양단에는 상기 제1,2연결바의 각 단부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턴버클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조작시 제2연결바(134b)가 접해지는 다른 벽체 또는 고정지지장치에 대하여 상기 결합체(120)를 보수부위 측으로 근접하도록 이동시키거나 상기 보수부위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턴버클(133)의 일단과 나사결합되는 제1연결바(134a)는 도 7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체의 후면에 일단이 1점 지지하거나 도 7b 와 도 7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체의 후면에 2점 지지하거나 3점 지지하도록 2개의 분기바(134c)를 구비하거나 3개의 분기바(134d)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체를 통하여 밀착용 탄성체를 압축변형시키는 가압력을 전달하는 접점을 증대시키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바(134b)의 단부에는 상기 보수부위가 형성되는 벽체와 마주하는 다른 벽체에 탄력적으로 접해지는 고무탄성재(135)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턴버클(133)의 정방향 회전조작에 의해서 상기 보수부위(R)에 부착되는 보수재(R1)와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를 1차 밀착시킨 다음, 상기 턴버클을 정방향으로 회전조작하거나 기체가 강제주입되는 밀착용 탄성체의 부피팽창에 의해서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를 보수재 측으로 가압하면서 일정시간 동안 압착상태를 유지하면서 보수재에 함침된 보강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보수부위에 대한 보수 및 보강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강제주입되는 기체에 의해서 부피팽창된 밀착용 탄성체(110)의 내부압은 사전에 설정된 내부압력값을 압력계에 의해서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수재의 가압압착에 의한 보수보강이 완료된 후 상기 턴버클의 역방향 회전조작에 의해서 밀착용 탄성체의 가압압착상태를 해제하거나 밀착용 탄성체에 강제주입된 기체의 외부배기에 의해서 가압압착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체 및 지지체를 서로 분리하여 간편하게 보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체(130)는 도 8a 와 도 8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구비하는 결합체의 후면에 일단이 접해지고 상기 보수부위가 형성되는 벽체와 마주하는 다른 벽체에 접해지는 링크식 리프트(136)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식 리프트(136)의 일단이나 결합체의 후면에 연결되는 작동체(137a)를 길이방향으로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키는 엑추에이터(1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추에이터(137)는 작동체인 로드선단을 전후진 작동시키는 실린더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작동체인 스크류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크류축을 전후진시키는 모터부재로 구비되거나 유압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엑추에이터(137)는 수동식, 유압식, 공압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체와 연결된 링크식 리프트를 보수부위 측으로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보수부위에 부착된 보수재와 밀착용 탄성체를 접촉시킨 다음 가압하여 상기 밀착용 탄성체의 탄성변형에 의해서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수재를 압착하는 가압력을 제공하여 보수부위에 대한 보수 및 보강작업을 수행하는 한편, 보수 및 보강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밀착용 탄성체, 결합체 및 지지체를 서로 분리할 수 있는 간격인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의 내경이 커서 서로 마주하는 벽체들간의 간격이 넓으면, 상기 지지체의 후단인 단부를 대경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에 접하여 지지하는 작업이 곤란하고, 지지체의 길이를 연장하면서 지지구조가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된 다음 상기 지지체(130)의 후단과 결합되어 상기 벽체를 대체하는 별도의 고정지지장치(200)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지지장치(2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외부로 진출입되도록 복수개의 이동휠(215)을 갖는 이동대차(21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대차의 상부면에 일정높이 연장되는 고정대(22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대(2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130)의 일단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공(245)을 갖추어 상기 이동대(230)에 구비되는 연결체(24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대차(210)의 좌우양측에는 보수 및 보강작업시 바닥면에 접하여 이동대차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앵커고정부(212)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휠을 이용한 이동이 용이하도록 작업자가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21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체(120)와 일단이 결합된 지지체(130)의 타단이 상기 연결체(240)의 연결공(245)에 대응삽입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진입되어 배치되는 고정지지장치(200)와 결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보수부위와 밀착용 탄성체(110)를 서로 마주하도록 대응한 다음 이들을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보수부위를 덮는 보수재에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를 통하여 전행되는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보수재에 함침된 보강수지가 보수부위에 침투되도록 압착가압한다.
이때, 상기 밀착용 탄성체의 상하높이가 상기 보수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낮거나 높은 경우, 도 10a, 도 10b 및 도 10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대(230)는 상기 고정대에 형성되는 수직한 안내레일을 따라 상하이동되도록 조립되는 바, 상기 고정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대를 상하이동시켜 상기 밀착용 탄성체의 상하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밀착용 탄성체와 보수부위를 서로 동일한 높이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간편하게 서로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체(240)는 상기 이동대에 회전축을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회전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회전구조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연결체와 결합되는 지지체를 상기 이동대와 동일한 수직축상에 위치되도록 회전시키면, 도 11a 와 도 11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밀착용 탄성체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천정부인 수평한 수평벽체와 마주하도록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직한 수직벽체에 발생되는 보수부위를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강재의 가압압착에 의해 보수하면서 보강하는 공정을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천정 벽체에 발생되는 보수부위를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강재의 가압압착에 의해 보수하면서 보강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100,100a,110b,110c)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C)의 벽체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된 보수부위(R)를 보강수지가 일정량 함침된 보수재(R1)로서 보수하면서 보강하는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준비단계, 접촉단계 및 가압유지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준비단계는 상기 보수부위(R)를 전체적으로 덮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보수재(R1)를 부착하거나 상기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밀착용 탄성체(110)의 전면에 보수재(R1)를 부착하여 준비한다.
상기 보수재(R1)에는 점착성이 높은 보강수지가 일정량 함침됨에 따라 이러한 보강수지에 의해서 벽체의 벽면이나 밀착용 탄성체의 전면에 부착하여 준비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접촉단계는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를 구비하는 결합체(120)의 후면에 가압봉(131)의 일단을 연결한 다음, 상기 지지체의 타단을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다른 벽체에 지지하여 상기 보수부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함으로써 상기 보수부위(R)는 보수재(R1)를 매개로 하여 밀착용 탄성체(110)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수재(R1)와 밀착용 탄성체(110)와의 사이에는 상기 보수재에 함침된 보강수지가 밀착용 탄성체의 표면에서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수지의 침투를 차단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차단시트를 삽입하여 개재하거나 상기 밀착용 탄성체와 대응하는 보수재의 일면에 상기 보강수지의 침투를 차단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차단코팅층을 구비하거나 상기 보수재와 대응하는 일면에 박리재가 도포된 방수비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단시트, 차단코팅층, 방수비닐 중 어느 하나가 보수재(R1)와 밀착용 탄성체(110)와의 사이에 개재되면, 상기 밀착용 탄성체의 압착가압 및 보강수지의 경화에 의해서 보수부위에 대한 보수 및 보강공정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상기 보수부위에 일체화된 보수재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결합체(120)와 결합되는 지지체(130)는 상기 결합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피결합구(132)의 결합홈에 착탈가능하게 대응삽입되는 제1결합구(131a)를 일단에 구비하는 가압봉(131)을 포함하고, 이러한 가압봉(131)의 일단에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결합구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체에 구비되는 밀착용 탄성체와 보수재가 접촉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서 상기 결합체의 후면에 지지체의 가압봉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가압봉의 타단을 다른 벽체에 지지하여 지지체를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하고, 보수 및 보강 작업후 상기 가압봉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를 결합체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갖는 결합체(120)와 결합되는 지지체(130)는 상기 결합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피결합구(132)의 결합홈에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대응삽입되는 제1연결바(134a)와, 상기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다른 벽체에 일단이 접하는 제2연결구(134b)와 양단이 각각 나사결합되는 턴버클(134)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턴버클 및 제2,3연결바를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턴버클의 정방향 회전조작에 의해서 밀착용 탄성체와 보수재가 서로 탄력적으로 접촉시키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보수 및 보강 작업후 상기 턴버클의 역방향 회전조작에 의해서 턴버클 및 제1,2연결바로 이루어지는 지지체, 결합체 및 밀착용 탄성체를 서로 분리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압유지단계는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를 통하여 상기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수재(R1)에 가압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수재를 압착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보수재의 압착가압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보수재의 압착가압시 보수재에 함침되어 있던 보강수지가 보수부위인 균열이나 공극으로 침투되고 침투된 보강수지와 더불어 보수재에 잔류하는 보강수지가 경화되면서 상기 보수재는 벽체와 일체화되어 상기 보수부위를 보수하고, 상기 보수부위에 강제 침투된 보강수지의 경화에 의해서 벽체의 보수부위를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수재(R1)에 가압력을 전달하여 상기 보수재를 압착가압하는 공정은 먼저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가 단일탄성체(111) 또는 복수개의 탄성판(112)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작업자가 상기 가압봉(131)이나 턴버클(133)로 이루어지는 지지체(130)를 정방향으로 회전조작함으로써 상기 제2결합구 또는 제2연결바가 접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다른 벽체에 대하여 결합체(120)와 더불어 밀착용 탄성체(110)를 상기 보수부위 측으로 근접하도록 이동시켜 외력인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보수부위에 보수재를 매개로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110)를 압축변형시킨다.
이때, 압축변형되는 밀착용 탄성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보수부위와 밀착용 탄성체와의 사이에 개재된 보수재를 압착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가압력은 상기 가압봉이나 턴버클의 회전량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는 기체주입구를 통한 기체주입시 부피팽창되는 튜브재(113)와, 상기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튜브재(113)를 에워싸는 튜브재 수용체(114)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재 수용체에 수용된 튜브재를 고정하는 제1밴드(115)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구비하는 결합체와 연결된 지지체가 상기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다른 벽체에 접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재 수용체에 내부수용된 튜브재에 기체를 강제 주입하면, 상기 튜브 수용체에서 노출되어 보수재와 접해지는 튜브재가 부피팽창되기 때문에 부피팽창되는 튜브재와 접해지는 보수재를 압착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는 강성판(117)의 외측테두리에 도포되는 접착제(117b)를 매개로 상기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팽창판의 외측테두리를 접합고정하고, 제2밴드에 의해서 평창판의 외측테두리가 강성판(117)에 확고히 고정됨으로써,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구비하는 결합체와 연결된 지지체가 상기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다른 벽체에 접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강성판의 기체주입구를 통하여 팽창판과 강성판과의 사이로 기체를 강제 주입하면, 상기 보수재와 접해지는 팽창판이 부풀어 오르도록 팽창되기 때문에 팽창되는 팽창판과 접해지는 보수재(R1)를 압착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튜브재(113)의 내부 공기압과 상기 팽창판과 강성판과 사이의 내부공기압은 사전에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내부 공기압은 기체주입라인에 구비되는 압력게이지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내부 공기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보강수지의 자연경화를 위해서 압착가압상태를 사전에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체와 결합되고 밀착용 탄성체를 구비하는 결합체(120)가 상기 밀착용 탄성체(110)를 일측면에 고정설치하는 제1고정판(122a)과, 상기 지지체(130)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고정판(122b)을 포함하고 이들과의 사이에 제1탄성부재(124)를 개재하여 배치하며, 상기 제1고정판(122a)의 후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복수개의 안내바(123)가 상기 제2고정판(122b)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안내공(123a)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130)의 가압봉이 보수부위 측으로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제2고정판이 이동되면, 상기 제1고정판(122a)과 제2고정판(122b)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이들사이에 압축변형되는 제1탄성부재(12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밀착용 탄성체와 접해지는 보수재를 압착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판(122a)과 제2고정판(122b)과의 사이에 기체주입시 부피팽창되는 제2탄성부재(125)를 개재하여 배치하게 되면, 기체주입구를 통한 기체주입시 튜브형으로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125)의 부피팽창시 상기 제1고정판(122a)과 제2고정판(122b)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은 넓어지게 되며, 부피팽창되는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밀착용 탄성체와 접해지는 보수재를 압착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연속하여, 상기 보수부위(R)가 보수재를 매개로 밀착용 탄성체(110)와의 탄력적인 압착가압상태가 일정시간 유지하게 되면, 상기 보수재에 함침된 보강수지가 벽체의 보수부위에 침투되고, 침투되는 보강수지와 보수재에 잔류하는 보강수지가 경화되기 때문에 경화되는 보수재가 벽체의 보수부위에 일체화되면서 보수부위를 보수함과 동시에 보수부위의 균열이나 공극에 침투되는 보강수지가 경화되어 벽체의 보수부위를 보강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콘리트 구조물의 벽체에 발생된 보수부위에 대한 보수 및 보강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결합체와 지지체와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벽체의 보수부위에 일체화된 보수재로부터 밀착용 탄성체를 분리하여 각 구성부품을 간편하게 분리수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밀착용 탄성체
111 : 단일 탄성체
112 : 탄성판
113 : 튜브재
114 : 튜브재 수용체
115 : 제1밴드
116 : 팽창판
117 : 결합판
118 : 제2밴드
120 : 결합체
121 : 탄성 수용체
122a,122b : 제1,2고정판
123 : 안내바
124 : 제1탄성부재
125 : 제2탄성부재
130 : 지지체
131 : 가압봉
132 : 피결합구
133 : 턴버클
200 : 고정지지장치
210 : 이동대차
212 : 앵커고정부
213 : 손잡이
220 : 고정대
230 : 이동대
240 : 연결체
C : 콘크리트 구조물
R : 보수부위
R1 : 보수재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된 보수부위를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수재로서 보수하면서 보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수부위를 덮도록 상기 벽체에 부착되는 보수재와 탄력적으로 접하는 밀착용 탄성체 ;
    상기 보수부위에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를 구비하는 결합체 ; 및
    상기 밀착용 탄성체와 보수재가 접해진 상태에서 상기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결합체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보수부위와 보수재를 매개로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의 탄력적인 가압압착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는 지지체 ; 를 포함하여,
    상기 보수부위에 압착되어 상기 벽체와 일체화되도록 경화되는 보수재에 의해서 상기 보수부위를 보수하고, 상기 보수부위에 강제 침투된 보강수지의 경화에 의해서 보수부위를 보강하고,
    상기 밀착용 탄성체는 적어도 하나의 기체주입구를 통한 기체주입시 부피팽창되는 튜브재와, 상기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튜브재의 외부면만 노출시키도록 상기 튜브재를 에워싸는 튜브재 수용체 및 상기 튜브재 수용체에 내부수용되어 부피팽창되는 튜브재를 위치고정하도록 상기 튜브재 수용체에 양단이 구속되는 복수개의 제1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4.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된 보수부위를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수재로서 보수하면서 보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수부위를 덮도록 상기 벽체에 부착되는 보수재와 탄력적으로 접하는 밀착용 탄성체 ;
    상기 보수부위에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를 구비하는 결합체 ; 및
    상기 밀착용 탄성체와 보수재가 접해진 상태에서 상기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결합체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보수부위와 보수재를 매개로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의 탄력적인 가압압착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는 지지체 ; 를 포함하여,
    상기 보수부위에 압착되어 상기 벽체와 일체화되도록 경화되는 보수재에 의해서 상기 보수부위를 보수하고, 상기 보수부위에 강제 침투된 보강수지의 경화에 의해서 보수부위를 보강하고,
    상기 밀착용 탄성체는 외측테두리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매개로 상기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팽창판의 외측테두리를 접합고정하는 강성판과, 상기 강성판에 구비되는 기체주입구를 통한 기체주입시 부피팽창되는 팽창판의 외측테두리를 강성판에 밀착고정하도록 상기 강성판에 양단이 구속되는 복수개의 제2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판의 외측테두리 내부에는 기체주입시 부피팽창되는 팽창판의 외측테두리가 팽창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6.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된 보수부위를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수재로서 보수하면서 보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수부위를 덮도록 상기 벽체에 부착되는 보수재와 탄력적으로 접하는 밀착용 탄성체 ;
    상기 보수부위에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를 구비하는 결합체 ; 및
    상기 밀착용 탄성체와 보수재가 접해진 상태에서 상기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결합체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보수부위와 보수재를 매개로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의 탄력적인 가압압착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는 지지체 ; 를 포함하여,
    상기 보수부위에 압착되어 상기 벽체와 일체화되도록 경화되는 보수재에 의해서 상기 보수부위를 보수하고, 상기 보수부위에 강제 침투된 보강수지의 경화에 의해서 보수부위를 보강하고,
    상기 결합체는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내부공간에 수용하여 배치하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탄성 수용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수용체는 상기 지지체의 일단과 연결되는 밀폐면의 외측테두리로부터 절곡연장되어 상기 밀착용 탄성체의 외측을 감싸는 스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7.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된 보수부위를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수재로서 보수하면서 보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수부위를 덮도록 상기 벽체에 부착되는 보수재와 탄력적으로 접하는 밀착용 탄성체 ;
    상기 보수부위에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를 구비하는 결합체 ; 및
    상기 밀착용 탄성체와 보수재가 접해진 상태에서 상기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결합체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보수부위와 보수재를 매개로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의 탄력적인 가압압착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는 지지체 ; 를 포함하여,
    상기 보수부위에 압착되어 상기 벽체와 일체화되도록 경화되는 보수재에 의해서 상기 보수부위를 보수하고, 상기 보수부위에 강제 침투된 보강수지의 경화에 의해서 보수부위를 보강하고,
    상기 결합체는 상기 밀착용 탄성체가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판과, 상기 지지체의 선단과 결합되는 제2고정판 및 상기 제1고정판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판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안내공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안내바 및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좁아지도록 압축되면서 상기 제1고정판을 보수재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판 측으로 근접하도록 상대이동되는 제2고정판와 접하여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간격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재를 상기 안내바의 길이중간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9.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된 보수부위를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수재로서 보수하면서 보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수부위를 덮도록 상기 벽체에 부착되는 보수재와 탄력적으로 접하는 밀착용 탄성체 ;
    상기 보수부위에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를 구비하는 결합체 ; 및
    상기 밀착용 탄성체와 보수재가 접해진 상태에서 상기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결합체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보수부위와 보수재를 매개로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의 탄력적인 가압압착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는 지지체 ; 를 포함하여,
    상기 보수부위에 압착되어 상기 벽체와 일체화되도록 경화되는 보수재에 의해서 상기 보수부위를 보수하고, 상기 보수부위에 강제 침투된 보강수지의 경화에 의해서 보수부위를 보강하고,
    상기 결합체는 상기 밀착용 탄성체가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판과, 상기 지지체의 선단과 결합되는 제2고정판 및 상기 제1고정판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판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안내공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안내바 및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넓어지도록 팽창되면서 상기 제1고정판을 보수재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판 측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대이동되는 제2고정판과 접하여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간격을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상기 안내바의 후단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11. 제3항,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결합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피결합구의 결합홈에 착탈가능하게 대응삽입되는 제1결합구를 일단에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가압봉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봉의 일단은 상기 제1결합구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12. 제3항,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결합체의 후면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연결바의 타단과 일단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다른 벽체에 일단이 접해지는 제2연결바의 타단과 타단이 나사결합되는 턴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13. 제3항,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재와 상기 밀착용 탄성체와의 사이에는 상기 보강수지의 침투를 차단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차단시트를 삽입하여 개재하거나 상기 밀착용 탄성체와 대응하는 보수재의 일면에 상기 보강수지의 침투를 차단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차단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14. 삭제
  15.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된 보수부위를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수재로서 보수하면서 보강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수부위에 보수재를 부착하거나 상기 보수재를 전면에 부착하는 밀착용 탄성체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구비하는 결합체의 후면에 일단이 연결되는 지지체를 상기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상기 보수부위와 보수재를 매개로 밀착용 탄성체를 접촉시키는 접촉단계 ; 및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수재에 가압력을 전달하여 상기 보수재를 압착가압하면서 상기 보수재의 압착가압상태를 유지하는 가압유지단계 ; 를 포함하여,
    상기 보수부위에 압착가압되어 경화되는 보수재에 의해서 상기 보수부위를 보수하고, 상기 보수부위에 강제 침투된 보강수지의 경화에 의해서 보수부위를 보강하고,
    상기 가압유지단계는 상기 보수재와 접하도록 튜브재 수용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복수개의 제1밴드에 의해서 외측테두리가 밀착고정되는 튜브재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재의 내부로 기체를 강제주입하고, 상기 튜브재 수용체의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되어 보수재와 접해지는 튜브재의 부피팽창에 의해서 보수재를 압착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16.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된 보수부위를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수재로서 보수하면서 보강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수부위에 보수재를 부착하거나 상기 보수재를 전면에 부착하는 밀착용 탄성체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구비하는 결합체의 후면에 일단이 연결되는 지지체를 상기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상기 보수부위와 보수재를 매개로 밀착용 탄성체를 접촉시키는 접촉단계 ; 및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수재에 가압력을 전달하여 상기 보수재를 압착가압하면서 상기 보수재의 압착가압상태를 유지하는 가압유지단계 ; 를 포함하여,
    상기 보수부위에 압착가압되어 경화되는 보수재에 의해서 상기 보수부위를 보수하고, 상기 보수부위에 강제 침투된 보강수지의 경화에 의해서 보수부위를 보강하고,
    상기 가압유지단계는 상기 보수재와 접하도록 강성판의 외측테두리에 도포되는 접합제를 매개로 하여 접합고정되고, 복수개의 제2밴드에 의해서 외측테두리가 밀착고정되는 팽창판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판과 강성판과의 사이로 기체를 강제주입하고, 보수재와 접해지는 팽창판의 팽창변형에 의해서 보수재를 압착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17.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된 보수부위를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수재로서 보수하면서 보강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수부위에 보수재를 부착하거나 상기 보수재를 전면에 부착하는 밀착용 탄성체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구비하는 결합체의 후면에 일단이 연결되는 지지체를 상기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상기 보수부위와 보수재를 매개로 밀착용 탄성체를 접촉시키는 접촉단계 ; 및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수재에 가압력을 전달하여 상기 보수재를 압착가압하면서 상기 보수재의 압착가압상태를 유지하는 가압유지단계 ; 를 포함하여,
    상기 보수부위에 압착가압되어 경화되는 보수재에 의해서 상기 보수부위를 보수하고, 상기 보수부위에 강제 침투된 보강수지의 경화에 의해서 보수부위를 보강하고,
    상기 가압유지단계는 상기 밀착용 탄성체가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판과, 상기 지지체와 결합되는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판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판의 복수개의 안내공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안내바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체가 보수부위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좁아지면서 압축변형되는 제1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밀착용 탄성체와 접해지는 보수재를 압착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18.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된 보수부위를 보강수지가 함침된 보수재로서 보수하면서 보강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수부위에 보수재를 부착하거나 상기 보수재를 전면에 부착하는 밀착용 탄성체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구비하는 결합체의 후면에 일단이 연결되는 지지체를 상기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상기 보수부위와 보수재를 매개로 밀착용 탄성체를 접촉시키는 접촉단계 ; 및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벽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수재에 가압력을 전달하여 상기 보수재를 압착가압하면서 상기 보수재의 압착가압상태를 유지하는 가압유지단계 ; 를 포함하여,
    상기 보수부위에 압착가압되어 경화되는 보수재에 의해서 상기 보수부위를 보수하고, 상기 보수부위에 강제 침투된 보강수지의 경화에 의해서 보수부위를 보강하고,
    상기 가압유지단계는 상기 밀착용 탄성체가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판과, 상기 지지체와 결합되는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기체주입시 부피팽창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판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판의 복수개의 안내공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안내바를 포함하여,
    상기 제2탄성부재에 기체가 강제주입되어 상기 제2탄성부재가 부피팽창되어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넓어지면서 부피팽창되는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밀착용 탄성체와 접해지는 보수재를 압착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19. 제15항, 제16항, 제17항 및 제1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지단계는 상기 결합체의 후면에 연결되는 제1결합구와 일단이 나사결합되는 가압봉의 타단이 상기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다른 벽체에 접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봉의 정방향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상기 보수부위 측으로 근접하도록 이동시켜 상기 보수부위와 보수재를 매개로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를 압축변형시키는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20. 제15항, 제16항, 제17항 및 제1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지단계는 상기 결합체의 후면에 연결되는 제1연결바와 일단이 나사결합되는 턴버클의 타단과 나사결합되는 제2연결바를 상기 보수부위와 마주하는 다른 벽체에 접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턴버클의 정방향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밀착용 탄성체를 상기 보수부위 측으로 근접하도록 이동시켜 상기 보수부위와 보수재를 매개로 접해지는 밀착용 탄성체를 압축변형시키는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KR1020190083791A 2019-07-11 2019-07-11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 KR102055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791A KR102055603B1 (ko) 2019-07-11 2019-07-11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791A KR102055603B1 (ko) 2019-07-11 2019-07-11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603B1 true KR102055603B1 (ko) 2019-12-13

Family

ID=68847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791A KR102055603B1 (ko) 2019-07-11 2019-07-11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6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1773A (zh) * 2019-12-26 2020-04-17 中北大学 一种土木建筑用混凝土框架结构居住建筑的加固方法
CN114809364A (zh) * 2022-05-20 2022-07-29 安徽正一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再生混凝土的隔音墙体及其施工工艺
CN116591499A (zh) * 2023-05-30 2023-08-15 河南商都古建工程有限公司 一种文物古建筑变形墙体的矫正修复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5771A (ja) * 1989-02-23 1990-09-07 Fuji Giken Kogyo Kk 建築構造物のひび割れ補修工法
KR20190003005A (ko) * 2017-06-30 2019-01-09 한국과학기술원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5771A (ja) * 1989-02-23 1990-09-07 Fuji Giken Kogyo Kk 建築構造物のひび割れ補修工法
KR20190003005A (ko) * 2017-06-30 2019-01-09 한국과학기술원 건축 구조물 보수 보강용 형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1773A (zh) * 2019-12-26 2020-04-17 中北大学 一种土木建筑用混凝土框架结构居住建筑的加固方法
CN114809364A (zh) * 2022-05-20 2022-07-29 安徽正一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再生混凝土的隔音墙体及其施工工艺
CN114809364B (zh) * 2022-05-20 2023-09-22 安徽正一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再生混凝土的隔音墙体及其施工工艺
CN116591499A (zh) * 2023-05-30 2023-08-15 河南商都古建工程有限公司 一种文物古建筑变形墙体的矫正修复装置及方法
CN116591499B (zh) * 2023-05-30 2023-10-31 河南商都古建工程有限公司 一种文物古建筑变形墙体的矫正修复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60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 보수 및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
US11299895B2 (en) Method for strengthening concrete or timber structures using CFRP strips and concrete or timber structures strengthened by this method
US20100319295A1 (en) Foam-concrete rebar tie
US201102774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eaking crack repair
US20080048375A1 (en) Threaded-rod-driven, mechanically-actuated, portable, truss press
JP403529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US2971237A (en) Flexible building panel form
CN110607920B (zh) 一种用于表层嵌贴预应力frp板条的张拉锚固装置
CN106703288B (zh) 碳纤维网格复合板材混凝土连续梁制作方法
KR10205560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헌치부 보수 및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
KR101083626B1 (ko) 표면매립 긴장공법의 구조물 충전방법
JP4381621B2 (ja) ひび割れ注入方法
JP5492483B2 (ja) 型枠固定金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既設構造物の補強工法
KR200254776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장치
KR10045000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장치
JP4061343B2 (ja) 木材の修復・強化方法
JP2005105683A (ja) 繊維強化樹脂プレ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構造物補強方法
CN212103487U (zh) 拼装式浮置单元板
KR102213857B1 (ko) 보강 강판을 포함하여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KR20030028107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및 조인트 내에 삽입되어 누수를차단하는 지수재 및 이를 이용한 지수공법
JP6770784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及び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CN118346085A (zh) 一种横向残损木构件的修复方法及修复装置
KR102213860B1 (ko) 강판 및 와이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보강 공법 및 구조물
KR20000067421A (ko) 섬유보강 에폭시 수지판넬 및 그 제조방법
GB2334743A (en) System for prestressing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