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031B1 - 벽지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도배방법 - Google Patents

벽지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도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031B1
KR102008031B1 KR1020140081686A KR20140081686A KR102008031B1 KR 102008031 B1 KR102008031 B1 KR 102008031B1 KR 1020140081686 A KR1020140081686 A KR 1020140081686A KR 20140081686 A KR20140081686 A KR 20140081686A KR 102008031 B1 KR102008031 B1 KR 102008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paper
adhesive layer
protrusion
coupled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407A (ko
Inventor
정근수
이시영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081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031B1/ko
Publication of KR20160003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B44C7/04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B44C7/08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finishing operation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배시 벽지가 풀칠 없이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풀칠 작업에 따르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풀로부터의 유해 물질 배출로 인한 실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벽지 고정부재는,
일정한 길이의 판 형태로 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의 전면에 폭 방향으로 이어지는 접착층이 마련되며,
상기 제2몸체의 배면에 폭 방향으로 이어지느 접착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벽지 고정부재를 이용한 도배방법은,
일정한 길이의 판 형태로 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의 전면에 폭 방향으로 이어지는 접착층이 마련되며, 상기 제2몸체의 배면에 폭 방향으로 이어지느 접착층이 마련된 벽지 고정부재의 제1몸체를 벽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하는 제1몸체 결합단계;
상기 벽면에 고정된 상부 및 하부 제1몸체의 전면 접착층에 벽지 배면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접착하는 벽지 접착단계;
상기 벽지가 접착된 상부 및 하부 제1몸체 각각에 제2몸체를 결합하는 제2몸체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벽지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도배방법{ wallpaper fixing tool and wall papering method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벽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배시 벽지가 풀칠 없이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풀칠 작업에 따르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풀로부터의 유해 물질 배출로 인한 실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벽지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도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구조물의 실내 공간은 벽체에 의해 분할된다.
한편, 건축구조물의 실내 벽체는 통상 시멘트 블럭 또는 모르타르로 형성되므로 벽체가 그대로 외부로 노출될 경우 미감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시멘트 등에 포함된 유해 물질이 곧바로 실내로 방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벽체 시공 후 실내 벽체 외면에 벽지 또는 판재를 부착하여 미감을 높이고, 벽체로부터의 유해 물질이 실내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이때, 벽지는 종이 또는 부직포 또는 직물 또는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는 기재층과, 기재층 상면에 형성되는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층 배면에 공개특허 제10-1997-0059248호(공개일 1997. 08. 12)에 개시된 바와 같은 도배용 풀을 도포하여 벽면에 접착함에 따라 벽면에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일반 벽지 도배시 기재층 배면에의 풀칠 작업이 따르게 된다.
이때, 벽지에의 풀칠 작업은 자체로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벽지와 벽면 사이의 풀이 마르는데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도배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의 벽지에 도포되는 풀에는 접착성 강화를 위하여 화학적 접착 성분이 상당 부분 포함되므로 풀에 포함된 화학적 접착 성분으로부터 유해 물질이 상당량 방출되어 인체에 해를 미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풀칠 없이도 벽지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벽지를 풀칠하여 벽면에 고정함에 따라 풀칠 작업 과정과 풀 마름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도배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벽지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도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벽지를 풀칠하여 고정함에 따라 풀에 포함되는 화학적 접착 성분으로부터 유해 물질이 상당량 방출되어 인체에 해를 미치게 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벽지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도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벽지 고정부재는,
일정한 길이의 판 형태로 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의 전면에 폭 방향으로 이어지는 접착층이 마련되며,
상기 제2몸체의 배면에 폭 방향으로 이어지느 접착층이 마련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에 제2몸체가 결합됨에 따라 걸레받이 또는 몰딩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의 전면에는 돌기가 형성된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의 배면에는 삽입홀이 형성된 결합턱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는 제1몸체의 돌출부에 마련된 돌기가 삽입홀에 삽입됨에 따라 제1몸체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의 돌기는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속되되, 선단이 뾰족한 쐐기형으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의 삽입홀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속되되, 제1몸체의 돌기와 일치하는 형태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의 접착층은 양면 테이프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의 접착층은 양면 테이프로 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벽지 고정부재를 이용한 도배방법은,
일정한 길이의 판 형태로 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의 전면에 폭 방향으로 이어지는 접착층이 마련되며, 상기 제2몸체의 배면에 폭 방향으로 이어지느 접착층이 마련된 벽지 고정부재의 제1몸체를 벽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하는 제1몸체 결합단계;
상기 벽면에 고정된 상부 및 하부 제1몸체의 전면 접착층에 벽지 배면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접착하는 벽지 접착단계;
상기 벽지가 접착된 상부 및 하부 제1몸체 각각에 제2몸체를 결합하는 제2몸체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 결합단계의 제1몸체는 피스 체결 또는 못 박음에 의해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지 접착단계의 상부 및 하부 제1몸체에 접착되는 벽지는 팽팽히 당겨진 긴장 상태로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지 접착단계의 일 벽지와 인접하는 타 벽지는 그 일측이 인접하는 일 벽지의 일측에 중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지 접착단계의 벽지 일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벽면의 돌출부가 절개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 결합단계의 제2몸체는 그 배면에 마련되는 결합턱의 삽입홀에 제1몸체의 전면에 마련되는 돌출부의 돌기가 삽입됨에 따라 제1몸체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 결합단계의 벽지 전면 상단과 하단 각각은 제2몸체의 배면에 마련되는 접착층에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벽지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도배방법은, 제1몸체의 전면에 접착층이 마련된 것이고, 제2몸체의 배면에 접착층이 마련된 것인바, 제1몸체를 벽면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한 이후 벽지 상단과 하단을 벽면 상단 및 하단에 결합된 제1몸체의 접착층에 접착하고, 벽지가 접착된 벽변 상단 및 하단의 제1몸체에 제2몸체를 각각 결합함에 따라 벽지를 풀칠 없이 벽면상에 도배할 수 있게 되므로풀칠 작업으로 인한 도배 작업의 효율 저하 및 유해 물질 방출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벽지 고정부재의 외형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벽지 고정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벽지 고정부재의 다른 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벽지 고정부재를 이용한 도배방법의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벽지 고정부재를 이용한 도배방법에서 제1몸체 결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벽지 고정부재를 이용한 도배방법에서 벽지 접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벽지 고정부재를 이용한 도배방법에서 벽지 접착단계의 절개부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벽지 고정부재를 이용한 도배방법에서 제2몸체 결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벽지 고정부재(A)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10)는 일정한 길이의 판 형태로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몸체(10)의 전면에는 폭 방향으로 이어지는 접착층(1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몸체(10)의 전면에 폭 방향으로 이어지는 접착층(11)이 마련됨으로써 벽지(300)의 상단 또는 하단을 접착층(11)에 접착함에 따라 제1몸체(10)에 벽지(3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몸체(10)의 접착층(11)은 양면테이프로 될 수 있다.
제1몸체(10)의 접착층(11)이 양면테이프로 됨으로써 양면테이프의 일면을 제1몸체(10)의 전면에 부착함에 따라 제1몸체(10)에 접착층(11)이 간단히 마련될 수 있고, 양면테이프의 다른 일면에 벽지(300)의 상단 또는 하단을 접착함에 따라 제1몸체(10)에 벽지(300)가 간단히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몸체(10)의 전면에는 돌기(12a)가 형성된 돌출부(1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몸체(10)의 전면에 돌기(12a)가 형성된 돌출부(12)가 마련됨으로써 돌출부(12)가 후술하는 제2몸체(20)의 결합턱(22)에 안착됨에 따라 제1몸체(10)에 제2몸체(20)가 바르게 결합될 수 있고, 돌기(12a)가 후술하는 제2몸체(20)의 삽입홀(22a)에 삽입됨에 따라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돌출부(12)와 결합턱(22) 사이에 벽지(300)가 물림에 따라 벽지(300)의 고정이 견고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12a)는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12a)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속됨으로써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결합될 때 복수의 돌기(12a) 각각이 삽입홀(22a)에 삽입됨에 따라 결속력이 더해질 수 있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고, 복수의 돌기(12a) 각각이 벽지(300)를 관통함에 따라 벽지(300)의 고정이 견고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12a)는 선단이 뾰족한 쐐기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12a)가 선단이 뾰족한 쐐기형으로 됨으로써 삽입홀(22a)에의 돌기(12a) 삽입 및 돌기(12a)의 벽지(300) 관통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몸체(20)는 제1몸체(10)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2몸체(20)의 배면에는 폭 방향으로 이어지는 접착층(2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몸체(20)의 배면에 폭 방향으로 이어지는 접착층(21)이 마련됨으로써 벽지(300)의 상단 또는 하단이 제2몸체(20)의 접착층(21)에 접착됨에 따라 제2몸체(20)에 벽지(3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몸체(20)의 접착층(21)은 양면테이프로 될 수 있다.
제2몸체(20)의 접착층(21)이 양면테이프로 됨으로써 양면테이프의 일면을 제2몸체(20)의 배면에 부착함에 따라 제2몸체(20)에 접착층(21)이 간단히 마련될 수 있고, 양면테이프의 다른 일면에 벽지(300)의 상단 또는 하단을 접착함에 따라 제2몸체(20)에 벽지(300)가 간단히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몸체(20)의 배면에는 삽입홀(22a)이 형성된 결합턱(22)이 마련될 수 있다.
제2몸체(20)의 배면에 삽입홀(22a)이 형성된 결합턱(22)이 마련됨으로써 결합턱(22)에 제1몸체(10)의 돌출부(12)가 안착됨에 따라 제1몸체(10)에 제2몸체(20)가 바르게 결합될 수 있고, 삽입홀(22a)에 제1몸체(10)의 돌기(12a)가 삽입됨에 따라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합턱(22)과 돌출부(12) 사이에 벽지(300)가 물림에 따라 벽지(300)의 고정이 견고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홀(22a)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홀(22a)이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속됨으로써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결합될 때 복수의 삽입홀(22a) 각각에 돌기(12a)가 삽입됨에 따라 결속력이 더해질 수 있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결합이 견고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22a)은 제1몸체(10)의 돌기(12a)와 일치하는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홀(22a)이 제1몸체(10)의 돌기(12a)와 일치하는 형태로 됨으로써 삽입홀(22a)에의 돌기(12a) 삽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삽입홀(22a) 내면에 돌기(12a) 외면이 긴밀히 접촉하게 되므로 삽입홀(22a)과 돌기(12a)의 결합 상태가 견고해질 수 있다.
한편, 제1몸체(10)에 제2몸체(20)가 결합됨에 따라 걸레받이 또는 몰딩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10)에 제2몸체(20)가 결합됨에 따라 걸레받이 또는 몰딩이 형성됨으로써 됨으로써 벽면(100) 하단에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결합하여 걸레받이를 형성하게 되면 벽면(100) 하단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고, 벽면(100) 상단에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결합하여 몰딩을 형성하게 되면 천장(200)과 벽면(100) 연결 부위의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벽지 고정부재(A)를 이용한 도배방법은 제1몸체 결합단계(S1)와, 벽지 접착단계(S2)와, 제2몸체 결합단계(S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 결합단계(S1)는 일정한 길이의 판 형태로 되는 제1몸체(10), 상기 제1몸체(10)에 결합되는 제2몸체(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10)는 전면에 폭 방향으로 이어지는 접착층(11)이 마련되며, 상기 제2몸체(20)는 배면에 폭 방향으로 이어지느 접착층(21)이 마련된 벽지 고정부재(A)의 제1몸체(10)를 벽면(1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몸체 결합단계(S1)에서 제1몸체(10)는 피스(도면상 미도시) 체결 또는 못(도면상 미도시) 박음에 의해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몸체 결합단계(S1)에서 제1몸체(10)가 피스 체결 또는 못 박음에 의해 벽면(100)에 결합됨으로써 제1몸체(10)의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1몸체 결합단계(S1)에서 벽지 고정부재(A)는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이므로, 벽지 고정부재(A)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벽지 접착단계(S2)는 벽면(100)에 고정된 상부 및 하부 제1몸체(10)의 전면 접착층(11)에 벽지(300) 배면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접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벽지 접착단계(S2)에서 상부 및 하부 제1몸체(10)에 접착되는 벽지(300)는 팽팽히 당겨진 긴장 상태로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지 접착단계(S2)에서 상부 및 하부 제1몸체(10)에 접착되는 벽지(300)가 팽팽히 당겨진 긴장 상태로 접착됨으로써 벽지(300)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벽지 접착단계(S2)에서 일 벽지(300)와 인접하는 타 벽지(300)는 그 일측이 인접하는 일 벽지(300)의 일측에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지 접착단계(S2)에서 일 벽지(300)와 인접하는 타 벽지(300)의 일측이 인접하는 일 벽지(300)의 일측에 중첩됨으로써 벽지(300) 사이로 벽면(100)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벽지 접착단계(S2)에서 벽지(300) 일부에는 절개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벽지 접착단계(S2)에서 벽지(300) 일부에 절개부(310)가 형성됨으로써 절개부(310)를 통해 벽면(300)상의 돌출부 즉, 스위치(도면상 미도시) 등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 결합단계(S3)는 벽지(300)가 접착된 상부 및 하부 제1몸체(10) 각각에 제2몸체(20)를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2몸체 결합단계(S3)에서 제2몸체(20)는 그 배면에 마련되는 결합턱(22)의 삽입홀(22a)에 제1몸체(10)의 전면에 마련되는 돌출부(12)의 돌기(12a)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몸체 결합단계(S3)에서 제2몸체(20) 배면에 마련되는 결합턱(22)의 삽입홀(22a)에 제1몸체(10)의 전면에 마련되는 돌출부(12)의 돌기(12a)가 삽입됨으로써 삽입홀(22a)과 돌기(12a)의 결합에 의해 제2몸체(20)가 제1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몸체 결합단계(S3)에서 벽지(300) 전면의 상단과 하단 각각은 제2몸체(20)의 배면에 마련되는 접착층(21)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몸체 결합단계(S3)에서 벽지(300) 전면의 상단과 하단 각각이 제2몸체(20)의 배면에 마련되는 접착층(21)에 접착됨으로써 벽지(300)의 고정 상태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벽지 고정부재(A) 및 이를 이용한 도배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벽지 고정부재(A)의 제1몸체(10)가 벽면(100) 상단 및 하단에 결합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제1몸체 결합단계(S1)가 실시된다.
본 발명에서 제1몸체(10)는 일정한 길이의 판 형태로 되는바, 제1몸체(10)의 배면을 벽면(100)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밀착시킨 후 제1몸체(10)를 관통하여 피스를 체결하거나 못을 박음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100) 상단 및 하단에 제1몸체(10)가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몸체(10)에 벽지(300)가 접착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벽지 접착단계(S2)가 실시된다.
본 발명에서 제1몸체(10)의 전면에는 접착층(11)이 마련되는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지(300)의 배면 상단과 하단 각각을 벽면(100)에 결합한 상부 및 하부 제1몸체(10) 각각의 접착층(11)에 접착함으로써 제1몸체(10)에 벽지(300)가 접착될 수 있다.
이때, 벽지(300)는 팽팽히 당겨진 긴장 상태로 제1몸체(10)에 접착되므로 벽지(300)상에서 주름 발생이 방지되고, 일 벽지(300)와 인접하는 타 벽지(300)는 그 일측이 인접하는 일 벽지(300)의 일측에 중첩되므로 벽지(300) 사이로의 벽면(100) 노출이 방지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지(300)에 절개부(310)가 형성되므로 벽면(100)상의 돌출부 즉, 스위치 등이 절개부(310)를 통해 벽지(3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몸체(10)에 제2몸체(20)가 결합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제2몸체 결합단계(S3)가 실시된다.
본 발명에서 제1몸체(10)의 전면에는 돌기(12a)가 형성된 돌출부(12)가 마련되고, 제2몸체(20)의 배면에는 삽입홀(22a)이 형성된 결합턱(22)이 마련되는바, 제2몸체(20)의 삽입홀(22a) 내측으로 제1몸체(10)의 돌기(12a)가 삽입되도록 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22a)과 돌기(12a)의 물림에 의해 제2몸체(10)가 제1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2몸체(20) 배면에는 접착층(21)이 마련되는바, 제2몸체(20)의 접착층(21)이 제1몸체(10)에 접착된 벽지(300) 전면에 접착되어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에 의해 벽지(300)가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으므로 벽지(300)를 풀칠 없이 벽면(100)에 도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몸체(10)에 제2몸체(20)가 결합됨에 따라 걸레받이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딩이 형성되는바, 벽면(100) 하단에서 1몸체(10)와 제2몸체(20)를 결합하여 걸레받이를 형성하게 되면 벽면(100) 하단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고, 벽면(100) 상단에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결합하여 몰딩을 형성하게 되면 천장(200)과 벽면(100) 연결 부위의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의 설명에서는 벽지 고정부재(A)가 벽면(100)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으나, 벽지 고정부재(A)는 천장(200) 양측 단부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므로 본 발명을 통해 벽면(100) 뿐만 아니라 천장(200)을 도배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벽지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도배방법은, 제1몸체(10)의 전면에 접착층(11)이 마련된 것이고, 제2몸체(20)의 배면에 접착층(21)이 마련된 것인바, 제1몸체(10)를 벽면(100)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한 이후 벽지(300) 상단과 하단을 벽면(100) 상단 및 하단에 결합된 제1몸체(10)의 접착층(11)에 접착하고, 벽지(300)가 접착된 벽면(100) 상단 및 하단의 제1몸체(10)에 제2몸체(20)를 각각 결합함에 따라 벽지(300)를 풀칠 없이 벽면(100)상에 도배할 수 있게 되므로 풀칠 작업으로 인한 도배 작업의 효율 저하 및 유해 물질 방출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제1몸체 11 : 접착층
12 : 돌출부 12a : 돌기
20 : 제2몸체 21 : 접착층
22 : 결합턱 22a : 삽입홀
100 : 벽면 200 : 천장
300 : 벽지 310 : 절개부
A : 벽지 고정부재 S1 : 제1몸체 결합단계
S2 : 벽지 접착단계 S3 : 제2몸체 결합단계

Claims (16)

  1. 일정한 길이의 판 형태로 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의 전면에 폭 방향으로 이어지는 접착층이 마련되며,
    상기 제2몸체의 배면에 폭 방향으로 이어지는 접착층이 마련되고,
    상기 제1몸체의 전면 상단 또는 하단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전면에는 벽지에 관통될 수 있도록 선단이 뾰족한 쐐기형의 돌기가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의 배면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결합턱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턱의 전면에는 상기 돌기가 일치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의 접착층과 상기 제2몸체의 접착층은 양면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고정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 제2몸체가 결합됨에 따라 걸레받이 또는 몰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고정부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일정한 길이의 판 형태로 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의 전면에 폭 방향으로 이어지는 접착층이 마련되며, 상기 제2몸체의 배면에 폭 방향으로 이어지는 접착층이 마련되고,
    상기 제1몸체의 전면 상단 또는 하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전면에는 벽지에 관통될 수 있도록 선단이 뾰족한 쐐기형의 돌기가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의 배면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결합턱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턱의 전면에는 상기 돌기가 일치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홀이 구비된 벽지 고정부재의 제1몸체를 벽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하는 제1몸체 결합단계;
    상기 벽면에 고정된 상부 및 하부 제1몸체의 전면 접착층에 벽지의 상단과 하단 한쪽면을 각각 접착하되 상하가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접착하면서 이웃하는 일 벽지와 타 벽지를 길이방향 일측이 서로 중첩되도록 하고, 상기 벽지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제1몸체의 돌출부에 마련된 돌기에 관통되도록 하는 벽지 접착단계;및
    상기 벽지의 한쪽면이 접착된 상부 및 하부 제1몸체 각각에 제2몸체를 결합하되, 벽지의 다른 한쪽면에 상기 제2몸체의 배면 접착층이 접착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1몸체의 돌출부가 상기 제2몸체의 결합턱에 결합될 때 상기 벽지에 관통된 돌기가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도록 하는 제2몸체 결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벽지 접착단계에서 벽지 일부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벽면의 돌출부가 절개부를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고정부재를 이용한 도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결합단계의 제1몸체는 피스 체결 또는 못 박음에 의해 벽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고정부재를 이용한 도배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40081686A 2014-07-01 2014-07-01 벽지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도배방법 KR102008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686A KR102008031B1 (ko) 2014-07-01 2014-07-01 벽지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도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686A KR102008031B1 (ko) 2014-07-01 2014-07-01 벽지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도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07A KR20160003407A (ko) 2016-01-11
KR102008031B1 true KR102008031B1 (ko) 2019-08-06

Family

ID=5516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686A KR102008031B1 (ko) 2014-07-01 2014-07-01 벽지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도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0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127B1 (ko) * 2023-06-15 2024-01-24 권익기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860577R (fr) * 1977-11-08 1978-05-08 Tombu Gerard Dispositif de fixation de tissus muraux sans couture
FR2658849B1 (fr) * 1990-02-23 1997-04-04 New Mat Sa Dispositif de fixation et de maintien en tension d'au moins une feuille souple, feuilles en materiau souple equipees d'au moins un element selon ce dispositif et installations mettant en óoeuvre au moins une feuille.
US4986332A (en) * 1990-08-09 1991-01-22 Craig S. Lanuza Fastening track assembly for fabric wallcoverings
KR100733513B1 (ko) * 2005-11-30 2007-06-29 이형우 조립식 도배방법 및 이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07A (ko) 201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76415A (en) Gypsum-panel acoustical monolithic ceiling
US20150233123A1 (en) Reinforced board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KR102008031B1 (ko) 벽지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도배방법
KR100893557B1 (ko) 실크 벽지 부착용 초배지
JP2006219872A (ja) 板材施工方法及び板材施工構造
ES2957161T3 (es) Conjunto para fijar la posición de tableros en la cara vista de una pared y sistema para montar tableros en la cara vista de una pared
JP2009250019A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タイル張り工法
JP2007315165A (ja) ユニット床材
JP2008231728A (ja) 外壁構造及び外壁工法
KR100730712B1 (ko) 알루미늄 방염 석고보드 및 가공 방법
JP3950338B2 (ja) 壁下地材及び建屋室内壁構造
JP2012046957A (ja) 屋内の内装構造
JP2000356030A (ja) 木質化粧床材
JP5392521B1 (ja) クロス張り用目地部材
JP2000303652A (ja) 目地化粧方法及び入隅化粧方法並びに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建築用ボード
JP2007177398A (ja) 平板複合型型枠パネル
JP2005256544A (ja) 化粧板とその施工方法
JP2016142086A (ja) 陶磁器板の張り付け工法および壁構造
KR101448424B1 (ko) 단추조인트부를 형성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복합방수공법
KR200402705Y1 (ko) 알루미늄 방염 석고보드
JP2020020116A (ja) 天井の立体的装飾施工法
JP2020051036A (ja) 壁紙取付構造、壁紙取付方法及び壁紙取替方法
JPH04221161A (ja) タイルの貼着構造
JP2010070949A (ja) 化粧板貼着治具とその貼着治具を用いた化粧板の貼着方法
JP2007261003A (ja) 室内装飾材とそ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