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127B1 -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 - Google Patents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127B1
KR102629127B1 KR1020230076544A KR20230076544A KR102629127B1 KR 102629127 B1 KR102629127 B1 KR 102629127B1 KR 1020230076544 A KR1020230076544 A KR 1020230076544A KR 20230076544 A KR20230076544 A KR 20230076544A KR 102629127 B1 KR102629127 B1 KR 102629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papering
attached
wallpaper
main body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6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익기
Original Assignee
권익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익기 filed Critical 권익기
Priority to KR1020230076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1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의 도배시 도배지의 일그러짐을 방지하고 코너 부분의 도배지의 마감 및 도배지의 절단을 이루어 미려한 인테리어를 이룰 수 있는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벽면의 코너 부분에 부착되게 접착부가 넓고 돌출부가 좁게 일체를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ㄴ"자 형상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벽면 코너 부분에 부착되게 본체 외측으로 접착부직포 부착 또는 접착재가 도포되는 접착면과; 상기 본체의 접착부 상부에 도배용 부직포가 일체를 이루게 부착되는 도배부착면으로 구비됨으로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Space forming corner finishing material for wallpapering}
본 발명은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의 도배시 도배지의 일그러짐을 방지하고 코너 부분의 도배지의 마감 및 도배지의 절단을 이루어 미려한 인테리어를 이룰 수 있는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배작업을 할 때에는 벽면에 초배지를 접착시키고 그 초배지 위에 벽지를 접착시키는데 이런 경우에 벽면의 불규칙성으로 인하여 벽지가 매끄럽게 벽면에 접착되지 못하고 일그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배지와 벽지 사이에는 방습공간이 없이 서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벽면의 습기가 그대로 벽지에 스며들어 도배 작업 후 벽지에 얼룩이 지고 탈리현상이 일어나며 곰팡이가 발생하여 벽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으로 인하여 도배작업 시에는 초배지와 벽지 사이에 운영지와 부직포를 붙이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운영지와 부직포를 붙이는 작업을 하여도 초배지와 부직포 사이에 적절한 공기층이 형성되지 못하므로 벽지의 일그러짐을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도배 작업이 진행되면 벽지의 일그러짐으로 인하여 벽지를 접착시키는 작업을 되풀이하여 시행해야되므로 도배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그로 인해 도배 작업의 능률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초배지 위에 운영지와 부직포가 접착되더라도 벽지가 접착할 때 조금의 일그러짐이라도 발생하면 초배지와 운영지 그리고 부직포가 서로 밀착되어 벽면에서 발생되는 습기가 차단되는 것 없이 그대로 벽지에 스며들어 도배작업 후 벽지에 얼룩이 생기거나 곰팡이가 발생하여 벽지가 탈리되는 현상이 일어나 벽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신축 건물에 대한 시멘트의 수축 팽창으로 인하여 건물 기둥의 모서리 부분에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
즉, 건물의 내부 벽면의 굴곡된 모서리 부분은 시멘트의 수축 또는 팽창 작용에 의해 모서리 부분 또는 모서리에 근접한 위치에 크랙 균열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바, 실내 인테리어의 미려한 마감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크랙 등의 균열이 발생된 부분에 벽지를 바르는 경우에도, 벽지의 일부분이 균열 부분의 내부로 함몰되어 마감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3649호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굴곡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상기 굴곡홈을 중심으로 일측의 제1 부분과 타측의 제2부분이 굴곡되어 벽면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접촉되는 마감부재; 및 상기 마감부재의 표면에 코팅되며 표면에는 상기 벽면에 부착되는 벽지가 접착되는 코팅부재;를 포함하는 코너 마감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실용신안의 경우 일면에만 굴곡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접었을 때 그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다시 펴지려는 반발 탄성이 생겨 접착했을 때 접착력이 약한 부분이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도배시 문지방 또는 여러 절곡부분 또는 콘서트와 같은 여러 장애물에 의해 도배가 원활하지 않으며, 도배완료 후 여러 장애물의 도배 마감을 위한 도배지 절단이 용이하지 않고, 도배지 절단시 문지방의 코팅지가 같이 절단되는 등 여러 장애물에 손상을 주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건물 내부의 도배시 코너 또는 여러 장애물에 코너 마감재를 시공하므로 도배시 벽면과 도배지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도배지의 일그러짐 및 굴곡을 방지하며 미려한 인테리어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벽면과 도배지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의해 보온을 이룰 수 있으며, 벽면에서 발생하는 곰팡이가 도배지로 전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벽면의 습기가 도배지로 전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코너 또는 장애물에 대한 도배지의 마감을 용이하게 이루고, 도배지의 절단시 코너 또는 장애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한번 시공된 코너 마감재를 재사용하며 기존의 도배지를 철거하고 새로운 도배를 재시공할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에 있어서, 벽면의 코너 부분에 부착되게 접착부가 넓고 돌출부가 좁게 일체를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ㄴ"자 형상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벽면 코너 부분에 부착되게 본체 외측으로 접착부직포 부착 또는 접착재가 도포되는 접착면과; 상기 본체의 접착부 상부에 도배용 부직포가 일체를 이루게 부착되는 도배부착면으로 구비됨으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경질의 합성수지에 의해 사출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접착부 전체와 돌출부 일부에 도배용 부직포가 일체를 이루게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접착부와 돌출부가 동일한 넓이를 이루게 구비되어 외측면 및 내측면으로 도배용 부직포가 일체를 이루게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도배용 부직포는 다단을 이루며 외측으로 이격구간을 이루게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는, 건물 내부의 도배시 코너 또는 여러 장애물에 코너 마감재를 시공하므로 도배시 벽면과 도배지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도배지의 일그러짐 및 굴곡을 방지하여 미려한 인테리어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벽면과 도배지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의해 보온을 이룰 수 있으며, 벽면에서 발생하는 곰팡이가 도배지로 전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벽면의 습기가 도배지로 전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너 또는 장애물에 대한 도배지의 마감을 용이하게 이루고, 도배지의 절단시 코너 또는 장애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번 시공된 코너 마감재를 재사용하며 기존의 도배지를 철거하고 새로운 도배가 이루어짐을 도배의 재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재 시공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누구나 간편하게 코너의 마감 및 도배시공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배시공시 도배풀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도배풀의 건조시간을 단축하여 도배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코너 마감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확대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확대 사용상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확대 사용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코너 마감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확대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확대 사용상태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이하 코너 마감재라 칭함)(10-1)은 벽면의 코너(12) 부분에 부착되게 접착부(22)가 넓고 돌출부(24)가 좁게 일체를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ㄴ"자 형상을 이루는 본체(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가 벽면 코너(12) 부분에 부착되게 본체(20) 외측으로 접착부직포(40) 부착 또는 접착재가 도포되는 접착면(26)과, 상기 본체(20)의 접착부(22) 상부에 도배용 부직포(42)가 일체를 이루게 부착되는 도배부착면(28)으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20)는 경질의 합성수지에 의해 사출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20)는 "ㄴ"자 형상으로 일체를 이룬 긴 바 형태로 구비되어 도배현장에서 사용자에 의해 적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부직포(40)는 도배시 사용되는 부직포가 일체를 이루게 부착되고, 표면에 접착재가 현장 또는 제작시 도포되어 벽면의 코너(12) 또는 천장몰드(14), 걸래받이(16) 또는 문틀, 스위치, 코드등과 같은 장애물(18)의 돌출면과 벽면의 코너(12)부분에 접착면(26)이 접착을 이루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도배용 부직포(42)는 도배부착면(28) 상부에 일체를 이루어 부착되어 도배시 초벌지(1)와 같은 도배 사전작업이 이루어 지거나 도배지(2)가 직접 부착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20)와 초벌지(1) 또는 도배지(2)가 본체(20)의 도배부착면(28)에 용이하게 부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코너 마감재(10-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의 코너(12)부분에 마감재로 부착을 이룬다.
그 한예로, 천정몰딩(14), 걸래받이(16) 또는 장애물(18)의 코너(12)에 코너 마감재(10-1) 외측의 접착면(26)에 접착부직포(40) 또는 접착재에 의해 접착면(26)이 코너(12)에 접착을 이룬다.
이때, 접착부(22)의 도배부착면(28)이 도배를 이루는 방향으로 부착을 이루고, 돌출면(24)이 도배의 마감을 이루는 방향으로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부착된 코너 마감재(10-1)는 사전에 타카와 같은 공지의 고정수단에 의해 한번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코너 마감재(10-1)의 도배부착면(28) 상부로 초벌지(1) 또는 도배지(2)가 공지의 도배작업과 같이 부착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부착을 이룬 초벌지(1) 또는 도배지(2)는 도배에 사용되는 도배용 풀이 마름에 의해 수축을 이루며, 코너 마감재(10-1)의 높이 만큼의 이격공간(44)을 형성하며 벽면과 띄워지게 된다.
그리고, 도배지(2)의 마감부분은 돌출부(24)을 따라 사용자가 커팅을 이루면 용이하게 마감을 이룰 수 있으며, 돌출부(24)에 의해 커팅시 천정몰딩(14), 걸래받이(16), 문틀과 같은 장애물(18)에 손상을 주지않으며 도배의 마감을 이룰 수 있다.
아울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대동소이함으로 이에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20)의 접착면(22) 전체와 돌출부(24) 일부에 도배용 부직포(44)가 일체를 이루게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코너 마감재(10-2)가 부착되는 코너(12)의 특성에 맞추어 도배지(2)의 마감이 코너부분의 절곡끝단이 아닌 코너부분에서 더 절곡되게 도배를 이루기 위한 것으로서,
코너(12)의 절곡부분을 넘어 돌출면(24)의 일부에만 초벌지(1) 또는 도배지(2)가 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커팅에 마감을 이룰 수 있다.
아울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와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대동소이함으로 이에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20)는 접착부(22)와 돌출부(22)가 동일한 넓이를 이루게 구비되어 외측면 및 내측면으로 도배용 부직포(44)가 일체를 이루게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코너 마감재(10-3)에 의해 천정몰딩(14)이 없는 천정 코너(12) 또는 기둥 코너(12)와 같이 연속으로 마감없이 도배를 이루기 위한 것으로서,
천정 또는 기둥 코너(12)의 형장사항에 맞추어 내측면 또는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 접착재를 도포하여 접착면(26)을 이루어 코너(12)에 접착을 이루고, 다른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초벌지(1) 또는 도배지(2)가 부착되어 도배를 연속으로 이룰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제1 및 제3 실시예는 공지의 도배작업과 같이 코너 마감재(10-1,10-2,10-3) 부착 후 초벌작업을 이루고 본 도배작업을 이룰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본 도배작업을 바로 이룰 수 있다.
아울러, 도배 현장사항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호 혼영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코너 마감재는, 건물 내부의 도배시 코너 또는 여러 장애물에 코너 마감재를 시공하므로 도배시 벽면과 도배지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도배지의 일그러짐 및 굴곡을 방지하여 미려한 인테리어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벽면과 도배지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의해 보온을 이룰 수 있으며, 벽면에서 발생하는 곰팡이가 도배지로 전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벽면의 습기가 도배지로 전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너 또는 장애물에 대한 도배지의 마감을 용이하게 이루고, 도배지의 절단시 코너 또는 장애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번 시공된 코너 마감재를 재사용하며 기존의 도배지를 철거하고 새로운 도배가 이루어짐으로 도배의 재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재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누구나 간편하게 코너의 마감 및 도배시공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도배시공시 도배풀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도배풀의 건조시간을 단축하여 도배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확대 사용상태도로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대동소이 함으로 이에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20)에 부착되는 도배용 부직포(44)는 다단을 이루게 외측으로 이격구간(46)을 이루게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코너 마감재(10-4)에 도배용 부직포(42)가 본체(20)의 도배부착면(26)과 다단을 이루게 부착되어 본체(20)와 도배용 부직포(42)가 다단을 이룸으로 도배용 부직포(42)의 사용을 최소화하며 도배의 시공을 간편하게 이루고, 도배시공 후 건조시 이격공간(44) 형성이 용이하며, 도배지(2)가 이격구간(46)에 의해 지지되어 더욱 용이하고 매끄러운 도배를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1, 10-2, 10-3, 10-4: 코너 마감재
1: 초벌지 2: 도배지
12: 코너 14: 천정몰딩
16: 걸래받이 18: 장애물
20: 본체 22: 접착부
24: 돌출부 26: 접착면
28: 도배부착면 40: 접착부직포
42: 도배용 부직포 44: 이격공간
46: 이격구간

Claims (5)

  1. 벽면의 코너 부분에 부착되게 접착부가 넓고 돌출부가 좁게 일체를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ㄴ"자 형상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벽면 코너 부분에 부착되게 본체 외측으로 접착부직포 부착 또는 접착재가 도포되는 접착면과, 상기 본체의 접착부 상부에 도배용 부직포가 일체를 이루게 부착되는 도배부착면으로 구비되되,
    상기 본체는 경질의 합성수지에 의해 사출성형되어, "ㄴ"자 형상으로 일체를 이룬 긴 바 형태로 구비되어 도배현장에서 사용자에 의해 적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사용되며,
    천정몰딩, 걸래받이 또는 장애물의 코너에 본체 외측의 접착면에 접착부직포 또는 접착재에 의해 접착면이 코너에 접착되고,
    상기 접착부의 도배부착면이 도배를 이루는 방향으로 부착을 이루고, 돌출면이 도배의 마감을 이루는 방향으로 부착되어 도배부착면 상부로 초벌지 또는 도배지가 도배작업에 의해 부착을 이루며,
    부착을 이룬 초벌지 또는 도배지는 도배에 사용되는 도배용 풀이 마름에 의해 수축을 이루어 본체 높이 만큼의 이격공간을 형성하며 벽면과 띄워지고,
    도배지의 마감부분은 돌출부을 따라 사용자가 커팅을 이루어 마감을 이루며, 돌출부에 의해 커팅시 천정몰딩, 걸래받이, 문틀과 같은 장애물에 손상을 주지않으며 도배의 마감을 이루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접착부 전체와 돌출부 일부에 도배용 부직포가 일체를 이루게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접착부와 돌출부가 동일한 넓이를 이루게 구비되어 외측면 및 내측면으로 도배용 부직포가 일체를 이루게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도배용 부직포는 다단을 이루게 외측으로 이격구간을 이루게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
KR1020230076544A 2023-06-15 2023-06-15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 KR102629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544A KR102629127B1 (ko) 2023-06-15 2023-06-15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544A KR102629127B1 (ko) 2023-06-15 2023-06-15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9127B1 true KR102629127B1 (ko) 2024-01-24

Family

ID=8971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544A KR102629127B1 (ko) 2023-06-15 2023-06-15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1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2331A (ko) * 2011-11-11 2013-05-22 손형엽 부직포대를 이용한 도배방법
KR20160003407A (ko) * 2014-07-01 2016-01-11 (주)엘지하우시스 벽지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도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2331A (ko) * 2011-11-11 2013-05-22 손형엽 부직포대를 이용한 도배방법
KR20160003407A (ko) * 2014-07-01 2016-01-11 (주)엘지하우시스 벽지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도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9127B1 (ko)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
KR100752399B1 (ko) 조형물 및 그 조형물을 구비하는 구조물
US2779983A (en) Wall corner molding
KR100738508B1 (ko) 건물 외장용 조형물의 보강구조
KR101663626B1 (ko) 자연 암석 형상의 조립식 방갈로 제조 방법
CN216076068U (zh) 一种墙面板阴角连接结构
US20070101492A1 (en) Mold and process for forming a desired wall surface
KR200241616Y1 (ko) 문틀재
KR200493023Y1 (ko) 덧붙임용 몰딩
KR100348685B1 (ko) 문틀조립체
KR200329320Y1 (ko) 타일용 마감재
JP3794655B2 (ja) インナーバルコニーの構築方法
JPH094077A (ja) 外壁材の目地処理方法
KR200233422Y1 (ko) 타일마감재
KR200262981Y1 (ko) 타일마감재
KR200496953Y1 (ko) 건축용 줄눈의 성형부재
KR100689100B1 (ko) 조형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조형물
CN210622230U (zh) 墙砖与地面阴角线收边
KR100255876B1 (ko) 패널을 이용한 주택건축물의 내측벽 시공방법
KR200272115Y1 (ko) 다층 폴리에스터(Polyester)를 소재로한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의 구조 및 그 설치용 몰딩류의 구조
JPS6215398Y2 (ko)
JP2000303616A (ja) 壁面等の下地材
KR20050105652A (ko) 조형물
JP5392521B1 (ja) クロス張り用目地部材
KR200258042Y1 (ko) 문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