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115Y1 - 다층 폴리에스터(Polyester)를 소재로한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의 구조 및 그 설치용 몰딩류의 구조 - Google Patents

다층 폴리에스터(Polyester)를 소재로한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의 구조 및 그 설치용 몰딩류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115Y1
KR200272115Y1 KR2020010037420U KR20010037420U KR200272115Y1 KR 200272115 Y1 KR200272115 Y1 KR 200272115Y1 KR 2020010037420 U KR2020010037420 U KR 2020010037420U KR 20010037420 U KR20010037420 U KR 20010037420U KR 200272115 Y1 KR200272115 Y1 KR 2002721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finishing material
corner
fasten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만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호
Priority to KR2020010037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1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1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115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도가 다른 다층의 폴리에스터를 소재로한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의 구조와 이를 내부 벽체에 고정, 장착시키는 설치용 몰딩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내장의 마감공정은 단열ㆍ방음 및 미관을 고려하여 내부 벽체에 글레스 울(Glass Wool)이나 폴리스틸렌 폼(Polystyrene Foam)등을 넣은 후 석고보드를 목재 또는 스터드와 런너 등이 설치된 곳에 못이나 나사로 박은 후 마지막으로 벽지 등으로 도배를 하여 마감하게 되므로, 각각의 공정이 번잡하고 유기적이지 못하며, 단계에 따라 진행되어 공기가 길어지고 비용을 증가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내부 벽체에 미리 각 고정 몰딩류를 설치하고 단열 및 마감재료의 역할을 하는 일체형 복합 소재를 설치한 후 각 결합 몰딩류를 원터치 방식에 의하여 간단히 밀어 끼우는 것만으로 내부 건축 마감재료 및 각 몰딩류의 설치 시공이 완료될 수 있도록한 것으로, 이와 같은 작용을 하게 되는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는 인체에 무해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난연성 폴리에스터를 밀도가 다른 4단계의 다층 구조화 시켜 일체형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하고 시공자의 최소시간 요구를 달성하는 구조를 만족시켰으며, 설치용 각 몰딩류는 내부벽체 설치 먹메김 자리에 맞추어 배열 형성한 후 벽면이음형 고정몰딩 및 코너, 모서리이음형 고정몰딩을 대고 나사못으로 고정한 다음 일체형 건축 내장마감재료를 끼우고 벽면이음형 고정몰딩 및 모서리이음형 결합몰딩을 끼우는 것만으로 시공이 완료될 수 있도록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폴리에스터(Polyester)를 소재로한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의 구조 및 그 설치용 몰딩류의 구조{Structure of One body type Multilayer Polyester Fiber for Inner Construction Materials and Combined Structure of Installation Moldings.}
본 고안은 건축내장용 실내 마감재료 및 그 설치 몰딩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식벽체와 벽의 코너부를 둘러 별도의 다공정 없이 일체형으로 한번에 설치가능한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와 각 이음형 몰딩류 및 걸레받이 몰딩을 본드나 콘크리트 못으로 시공하는 불편없이 결합구조를 가진 몰딩을 이용하여 원터치 끼움방식에 의하여 간단히 설치가 가능토록한 것이다.
통상 건축물의 내부는 도7의 (a)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또는 내부벽체(8)에 목재구조나 런너(14) 및 스터드(15)를 설치한 후 단열재(16)를 끼우고 그 위에 석고보드(17)나 목재, 합판 등을 설치하여 최종 마감 재료인 벽지(18) 등을 바름으로써 종결되어 그 공정이 복잡하고 시공기간이 오래 걸리는 한편, 마감용 몰딩류의 설치시 본드 또는 콘크리트못 등을 사용하여 시공함으로써, 본드 접착 시공의 경우시간의 경과에 따라 탈착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콘크리트못 등으로 시공하게 되면 견고하나 몰딩 자체에 못을 타격하여 외관상 흉터가 남게 되므로 깨끗한 마감처리가 되지 못할 뿐아니라, 전체적으로는 개ㆍ보수시 분리작업 또한 여러공정을 역으로 시행하여야 하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마감재료 및 단열재료(16)의 경우 글레스 울(Glass Wool)이나 폴리스틸렌 폼(Polystyrene Foam), 석고보드(17) 등을 사용하여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할 뿐 아니라 시공 및 개ㆍ보수시 비산먼지에 의한 공해가 심하고, 재사용 및 재활용(Recycle)성이 없어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결점을 감안ㆍ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내부벽체(8)에 단열재(16), 석고보드(17), 마감벽지(18) 등을 한공정으로 단순화 시킨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4)를 목재구조나 런너(14) 및 스터드(15)의 필요없이 내부벽체(8)에 미리 고정해 놓은, 각 이음형 고정몰딩류(5)(9)(10)에 맞게 대고 그 위에 각 이음형 결합몰딩류(5)(7)(11)를 간단히 밀어 끼우는 것만으로 마감재료 및 몰딩의 설치 시공을 완료시킬 수 있는 원터치 시공 방식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건축물의 내부 마감시 기존 건축내장 마감재료로 주로 사용되었던 단열재(16) 및 석고보드(17) 벽지(18)등의 마감재료를 다층구조의 폴리에스터(Polyester)로 일체화 시켰으며, 이를 고정키 위해 사용되었던 목재구조물 또는 런너(14) 및 스터드(15)의 사용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 각 이음형 고정몰딩류(5)(9)(10)와 각 이음형 결합몰딩류(5)(7)(11) 및 걸레받이용 몰딩(12)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시공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현대 건축물의 조립화, 경량화 추세와 더불어 탁월한 단열 및 방음효과를 가진 마감재료를 통한 작업성 및 품질을 크게 향상 시킬수 있는 유효성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제1도의 (a)(b)는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의 (a)(b)는 벽면이음형 고정 및 결합 몰딩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3도의 (a)(b)(c)는 코너이음형 고정 몰딩의 구조 및 설치 예시도
제4도의 (a)(b)(c)는 모서리이음형 고정 및 결합몰딩의 구조와 설치 예시도
제5도의 (a)(b)는 걸레받이용 몰딩의 구조 및 설치 예시도
제6도의 (a)(b)는 기존 건축내장 마감재료와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 설치 방법의 비교도
제7도의 (a)(b)는 기존 건축내장 마감재료와 일체형 건축마감재료의 시공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폴리에스터 하드보드(Polyester Hardboard)
(2) 폴리에스터 펠트(Polyester Felt)
(3) 폴리에스터 스킨(Polyester Skin) (4)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
(5) 이음형 고정몰딩 (6) 체결고정턱
(7) 벽면이음형 결합몰딩 (8) 내부벽체
(9) 코너이음형 고정몰딩 (10) 모서리이음형 고정몰딩
(11) 모서리이음형 결합몰딩 (12) 걸레받이용 몰딩
(13) 각종 전선류 (14) 런너 (15) 스터드
(16) 단열재 (17) 석고보드 (18) 벽지
(19) 나사못 (20) 몰딩 보각 처리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4)는 도1의 (a)(b)에서와 같이 복합구조로서 각각 밀도를 달리하는 폴리에스터 하드보드(1)와 폴리에스터 펠트(2) 그리고 벽지마감용 재료인 폴리에스터 스킨(3)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제조공정에서부터 미리 일체형으로 생산ㆍ가공된 제품형태로 제조되며, 폴리에스터 하드보드(1)의 경우 방음 및 차음의 효과를 높일 뿐 아니라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4)의 각 양면에 부착되어 내부벽체(8)와의 높은 결합성을 유지시키고 안정된 마감효과를 나타내게 해준다. 폴리에스터 펠트(2)는 공기층을 가진 두터운 웹(WEB)상태를 유지하므로써 단열 및 보온 역할을 하며, 폴리에스터 스킨(3)층은 기존 종이 벽지보다 미려한 외관으로 뛰어난 실내효과를 가능케 해준다.
또한 기존의 건축마감재료에 비해 중량이 훨씬 감소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될 뿐 아니라 환경 친화적이고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건축물의 내장공정이 복잡하여 각 공정별 과다한 대기시간의 낭비와 각 공정별 투입 인원의 과다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7의 (a)(b)는 기존 건축마감재료와 일체형 건축마감재료의 시공예시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6의 (a)(b)는 이의 설치방법을 그림으로 예시한 블럭도이며 도2부터 도5까지는 각 몰딩류의 바람직한 구성예 및 그 설치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건축물의 내부벽체(8)에 먹메김을 실시하고, 건물내부의 각 구조에 따라 일반 벽면에는 바아(BAR) 타입의 이음형 고정몰딩(5)과 코너이음형 고정몰딩(9) 그리고 모서리이음형 고정몰딩(10)을 나사못(19)으로 체결 고정시킨후,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4)를 각 고정몰딩류와 고정몰딩 보각 처리부(20)가 일치하도록 설치한 후 이음형 결합몰딩(7), 모서리이음형 결합몰딩(11), 이음형 고정몰딩(5)을 각 고정몰딩류의 체결고정턱(6)까지 밀어 끼우게 되면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 고정이 완료되는 것으로 이때, 각 고정몰딩류의 체결 고정턱(6)은 90°각의 걸림구조를 형성하고 있어 임의로 빼내지 않는 이상 빠지지 않게 되며, 차후 실내 개ㆍ보수나 인테리어 공사시에는 도구를 이용하여 한쪽부분을 충분히 젖혀주면 간단히 분리되어 교체 및 시공이 편리하게 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각 몰딩류의 결합력은 기본적으로 각 고정몰딩류의 체결 고정턱(6)의 지지력에 의해서 형성되나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4)의 눌림 탄성에 의해서 그 체결력은 증대된다. 또한 코너이음형 고정몰딩(9)은 이음형 고정몰딩(5)과 호환되는 결합구조를 가지고 있어 그 사용이 범용적일 뿐 아니라 벽면과 천장 이음시 코너이음형 고정몰딩(9)과 이음형 고정몰딩(5)을 사용하여 미관을 깨끗이 처리할 수 있으며, 걸레받이용 몰딩(12)의 설치시 이음형 고정 몰딩(5)과 서로 호환, 사용되며 걸레받이용 몰딩(12)은 그 체결 상부가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4)에 의해 지렛대 작용으로 더욱 강한 지지력을 가지며 전기선이나 기타 소규모 배관 등이 장치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구성 예에서 각 설치용 몰딩류는 66나이론(66 Nylon)이나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등과 같은 플라스틱이나 그 외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필요하다면 가변탄성을 가진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건축물의 내부마감재를 시공시 단열재(16)와 석고보드(17), 벽지(18) 등의 마감재를 따로 시공할 필요성없이 기일체화된 일체형 마감재료를 사용하게되어 공정의 단순화 및 건물 하중의 경감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의 시공을 위한 내부벽체의 목재구조나 런너(14) 및 스터드(15), 기타 몰딩류의 시공을 생략함으로써 작업성과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환경 친화적이고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막고, 건축공기를 단축시켜 건축비용의 감소를 통해 궁극적으로 사회적비용을 감소시키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각각 다른 밀도와 형태를 가진 4층구조의 폴리에스터(Polyester)를 소재로한 일체형 건축마감재료(4)로서, 양면에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진 폴리에스터 하드보드(1)를 대고 그 가운데 공기층을 가진 웹(WEB) 형태의 폴리에스터 펠트(2)를 위치시켜 단열성과 보온성을 강화하는 한편 차음성과 흡음성을 향상 시키게 되는 구조를 가지며, 구성소재 내측의 두터운 폴리에스터 하드보드(1)에 벽지 대용의 폴리에스터(Polyester)를 소재로한 폴리에스터 스킨(3)을 접합시켜 단열재 및 마감재료를 완전 일체화시킨 것으로서 각 4면에 몰딩 보각 처리부(20)가 형성된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4)의 구조
  2.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4)를 설치, 고정하기 위하여 내부벽체에 나사못으로 고정시키는 이음형 고정몰딩(5)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속이 빈 삼각형 모양의 내부에 체결고정턱(6)이 형성되어 있으며, 벽면이음형 결합몰딩(7), 코너이음형 고정몰딩(9), 걸레받이용 몰딩(12)과 결합시 그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몰딩 삽입부 상단에 개방형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바아(Bar)타입의 이음용 고정몰딩(5)의 구조
  3.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4)를 내부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이음형 고정몰딩(5)과 결합되는 벽면이음형 결합몰딩(7)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표면은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4)와 동일한 폴리에스터스킨(3)으로 처리되어 있고,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4)의 연결 및 고정을 위하여 양 옆으로 날개 모양의 넓은 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설치시 이음형 고정몰딩(5)과의 결합력 증대를 위한 돌기 형태의 체결고정턱(6)이 형성되어 있는 벽면이음형 결합몰딩(7)의 구조
  4.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4)를 서로 안쪽으로 굽은 직각의 구석 부위에 설치하기 위하여 고정시키는 코너이음형 고정몰딩(9)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석 부위에 밀착되게 하기 위하여 몰딩의 두면은 직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은 90°의 걸림 구조를 갖는 돌기형태로서, 체결고정턱이 형성된 체결 부위가 이음형 고정몰딩(5)의 체결고정턱(6)과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며 나사못으로 고정되는 코너이음형 고정몰딩(9)의 구조
  5.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4)를 모서리 꺾임 부위에 설치하기 위하여 모서리 벽체에 고정시키는 모서리이음형 고정몰딩(10)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모서리의 굴곡까지 밀착되도록 모서리쪽으로 직각을 형성하여 나사못으로 고정되며, 중앙은 90°의 걸림구조를 갖는 돌기형태로서 체결고정턱(6)이 형성된 체결 부위가 모서리이음형 결합몰딩(11)의 체결고정턱(6)과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도록 고안된 모서리이음형 고정몰딩(10)의 구조
  6. 모서리이음형 고정몰딩(10)을 설치 후 모서리 부위에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4)를 설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모서리이음형 결합몰딩(11)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몰딩 안쪽은 모서리이음형 고정몰딩(10)의 중앙돌기에 형성된 체결고정턱(6)과 결합되는 체결고정턱(6)이 형성되어 있고, 몰딩 바깥쪽은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4)의 폴리에스터스킨(3)과 동일하게 마감 처리되어 있는 날개 형태의 면으로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4)를 설치, 고정 키시는 모서리이음형 결합몰딩(11)의 구조
  7.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4)의 걸레받이용 몰딩(12)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몰딩의 중앙부에는 이음형 고정몰딩(5)과 결합되는 90°의 걸림구조를 갖는 돌기형태의 체결고정턱이 형성된 체결부위가 있으며, 저부에는 건축물의 바닥면과 맞닿는 면이 형성되어 이음형 고정몰딩(5)과 결합되는 돌기 형태의 체결고정턱(6) 하부에는 기타 전선 등의 삽입이 가능케 하고, 상부에는 일체형 건축 내장 마감재료(4)가 설치, 고정 될 수 있도록 고안된 걸레받이용 몰딩(12)의 구조
KR2020010037420U 2001-11-30 2001-11-30 다층 폴리에스터(Polyester)를 소재로한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의 구조 및 그 설치용 몰딩류의 구조 KR2002721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420U KR200272115Y1 (ko) 2001-11-30 2001-11-30 다층 폴리에스터(Polyester)를 소재로한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의 구조 및 그 설치용 몰딩류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420U KR200272115Y1 (ko) 2001-11-30 2001-11-30 다층 폴리에스터(Polyester)를 소재로한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의 구조 및 그 설치용 몰딩류의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626A Division KR20030044739A (ko) 2001-12-20 2001-12-20 다층 폴리에스터(Polyester)를 소재로한 일체형 건축내장마감재료의 구조 및 그 설치용 몰딩류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115Y1 true KR200272115Y1 (ko) 2002-04-13

Family

ID=73071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420U KR200272115Y1 (ko) 2001-11-30 2001-11-30 다층 폴리에스터(Polyester)를 소재로한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의 구조 및 그 설치용 몰딩류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1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839B1 (ko) * 2002-05-29 2005-12-20 유니슨 주식회사 고흡음성을 갖는 방음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839B1 (ko) * 2002-05-29 2005-12-20 유니슨 주식회사 고흡음성을 갖는 방음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2115Y1 (ko) 다층 폴리에스터(Polyester)를 소재로한 일체형 건축내장 마감재료의 구조 및 그 설치용 몰딩류의 구조
KR20030044739A (ko) 다층 폴리에스터(Polyester)를 소재로한 일체형 건축내장마감재료의 구조 및 그 설치용 몰딩류의 결합구조
KR200182691Y1 (ko) 조립식 단열패널
JPH10331385A (ja) 化粧板の施工方法及び化粧板を含む構造
JPH0194152A (ja) 建築用パネル
JP5250437B2 (ja) パネル外周部納め用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建築用パネルの外周部納め構造
JP2005083158A (ja) 壁材の取付構造
KR200186890Y1 (ko) 천정마감용 몰딩
JPH0849393A (ja) 床 材
JPS6339309Y2 (ko)
JP4087966B2 (ja) 目地構造
JPH0450339Y2 (ko)
JPH038732Y2 (ko)
JPH042259Y2 (ko)
KR200271093Y1 (ko) 코너 마감재
JPH09209490A (ja) 建物用天井パネル
JPH0450343Y2 (ko)
JPH0449320Y2 (ko)
JPH0425872Y2 (ko)
JPH034674Y2 (ko)
JP4201453B2 (ja) 設備ユニットの間仕切壁構造
JPH0425871Y2 (ko)
JPH0426584Y2 (ko)
JPH0420100Y2 (ko)
JPH04938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