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602B1 -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602B1
KR102007602B1 KR1020180010802A KR20180010802A KR102007602B1 KR 102007602 B1 KR102007602 B1 KR 102007602B1 KR 1020180010802 A KR1020180010802 A KR 1020180010802A KR 20180010802 A KR20180010802 A KR 20180010802A KR 102007602 B1 KR102007602 B1 KR 102007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ant
coating material
floor
ceramic coat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한
Original Assignee
최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한 filed Critical 최대한
Priority to KR1020180010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9D1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9D1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8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9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rgano-clay compounds; Organo-silicates, i.e. ortho- or polysilicic acid esters ; Organo-phosphorus compounds; Organo-inorganic complexes
    • C04B41/4905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rgano-clay compounds; Organo-silicates, i.e. ortho- or polysilicic acid esters ; Organo-phosphorus compounds; Organo-inorganic complexes containing silicon
    • C04B41/495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rgano-clay compounds; Organo-silicates, i.e. ortho- or polysilicic acid esters ; Organo-phosphorus compounds; Organo-inorganic complexes containing silicon applied to the substrate as oligomers or polymers
    • C04B41/4961Polyorganosiloxanes, i.e. polymers with a Si-O-Si-O-chain; "silicones"
    • C04B41/4966Polyorganosiloxanes, i.e. polymers with a Si-O-Si-O-chain; "silico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hydroxy groups, i.e. OH-blocked 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과정의 특징으로서, (A) 금속 알콕사이드(Metal Alkoxide)를 산 촉매 하에서 가수분해한 다음, 멜라민(Melamine)과 축합시켜 제1반응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콜로이드 실리카(Colloid Silica)와 멜라민을 축합시켜 제2반응물을 수득하는 단계; (C) 제1반응물과 제2반응물을 혼합한 다음,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와 축합시켜 제3반응물을 수득하는 단계; (D) 제3반응물에 안료, 소포제, 조절제, 탄산칼슘을 분산시켜 주제부를 수득하는 단계; 및 (E) 주제부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도장재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eramic painting material for floor waterproofing}
본 발명은 세라믹과 멜라민을 하이브리드 한 바닥 방수용 도장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수한 부착성, 보수성, 광택, 내화학성, 경도, 내균열 저항성을 가지게 되어 바닥의 균열에도 표면을 유지시켜 주는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무기계 콘크리트 바닥재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외부 충격에 의한 크랙, 파괴, 중성화와 염해 등의 열화 요인에 의한 콘크리트 단면의 내구성능 저하, 1차 콘크리트 시공면과의 접착력 부족으로 인한 탈리, 박리 현상 등은 시멘트 몰탈계 바닥재의 고질적인 문제로 여겨져 왔다.
반면, 에폭시나 우레탄과 같은 유기계 바닥재는 1차 콘크리트 시공면을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외형적인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폭시 및 우레탄 수지는 굴곡성, 방진성, 내오염성이 우수하고, 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초기 접착력이 매우 탁월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에폭시계 및 우레탄계 바닥재는 대부분 유독성 유기화합물을 기반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1차적으로는 시공시의 유해한 작업환경, 시공 후 잔여 용제로 인한 위험의 지속성 등 시공자 및 이용자의 장기적 위험 노출, 그리고 인화성이 높은 유기계 조성으로 인해 화재시 다량의 유독한 가스발생 등으로 인해 자칫 대형 사고를 부를 수 있는 2차적인 문제가 있다.
게다가, 에폭시계 및 우레탄계 바닥재는 콘크리트면 거동에 의한 저항성이 부족하고, 1차 콘크리트 바닥면에 단순히 접착된 상태만을 유지하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무기계인 시멘트 바닥면과의 파단, 박리, 탈락현상이 발생하며, 열변화에 적응력이 떨어져 고온 및 물을 사용하는 장소에서는 수분의 증발압력에 의한 시공부위 들뜸(부풀어 오름)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무기계 바닥재 및 유기계 바닥재의 문제점들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유연한 성질을 가지는 폴리머계 바인더를 첨가한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충격성 및 내구성능 유지하기 위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폴리머계 바인더와 무기계 바닥재의 단순한 혼합은 기술된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에는 부분적으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한편으로는 각각의 단점을 모두 내포하고 있기에 궁극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47284호 (발명의 명칭: 무용제 에폭시 바닥재 도료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6212호 (발명의 명칭: 무용제 에폭시 바닥마감재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크리트면과의 부착력을 세라믹의 실록산 결합으로 콘크리트에 침투시키고 일체화 시켜서 콘크리트와의 강한 접착력을 형성하고 멜라민 특유의 강도를 발휘하여 내구성 있는 도막을 형성하여 콘크리트의 균열 저항성에도 안정하고 들뜸이 없는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금속 알콕사이드(Metal Alkoxide)를 산 촉매 하에서 가수분해한 다음, 멜라민(Melamine)과 축합시켜 제1반응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콜로이드 실리카(Colloid Silica)와 멜라민을 축합시켜 제2반응물을 수득하는 단계; (C) 제1반응물과 제2반응물을 혼합한 다음,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와 축합시켜 제3반응물을 수득하는 단계; (D) 제3반응물에 안료, 소포제, 조절제, 탄산칼슘을 분산시켜 주제부를 수득하는 단계; 및 (E) 주제부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도장재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는 테트라메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methyl orthosilicate) 또는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산 촉매로는 이타콘산(Itaconic Acid), 황산(Sulfuric acid), 질산(Nitr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염산(Hydrochloric Acid), 붕산(boric acid) 및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Non-valatile 30%, PH 2~3, 안정화 이온이 Na2O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안료는 이산화티탄(Titan Dioxide), 산화철(Iron Oxide), 산화크롬(Chromium Oxide) 중에서 단일 또는 둘 이상으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소포제는 플루오르 실리콘 코폴리머(Fluoro silicon copolymer), 2-페닐프로필알코올(2-phenylpropyl alcohol), 실록산(Siloxan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중에서 단일 또는 둘 이상으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절제는 디메틸(Dimethyl),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아세테이트(Polyethylene Oxide), 실록산(Siloxane) 중에서 단일 또는 둘 이상으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A)단계는 환류냉각기와 교반기가 구성된 반응기에 금속 알콕사이드 56~57 중량%를 투입하고,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를 교반하면서 증류수 0.8~0.9 중량%와 산도 35%인 촉매 0.2~0.3 중량%를 적하한 이후 70℃로 2시간 반응시키고, 여기에 멜라민 42~43 중량%를 첨가한 다음, 150℃로 3시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B)단계는 환류냉각기와 교반기가 구성된 반응기에 콜로이드 실리카 57~58 중량%와 멜라민 42~43 중량%를 투입하고,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와 멜라민을 교반하면서 150℃로 3시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C)단계는 환류냉각기와 교반기가 구성된 반응기에 제1반응물 48~49 중량%와 제2반응물 47~48 중량%를 투입하고, 상기 제1·2반응물을 교반하면서 포름알데히드 4~5 중량%를 첨가한 이후 130℃에서 3시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D)단계는 제3반응물 73~78 중량%에 안료 18~24 중량%, 소포제 0.01~0.1 중량%, 조절제 0.01~0.1 중량%, 탄산칼슘 6.0~7.0 중량%를 혼합한 다음, 비드 밀(Bead Mill)에서 4,000rpm의 속도로 10㎛의 입도까지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E)단계는 주제부와, 아민으로 조성된 제1경화제와, 규사로 조성된 제2경화제를 1:0.16:1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1경화제는 지환족 변성 아민,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γ-aminopropyltriethoxysilane) 중에서 단일 또는 둘 이상으로 혼합된 것이고, 제2경화제는 입도 120~500Mesh의 규사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TEOS-Melamine Olygomer를 형성시켜 콘크리트에 대한 침투성을 발휘하고, SilicaSol-Melamine Olygomer를 형성시켜 도막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실라놀 그룹으로 3차원적인 막을 형성함으서 도막의 크랙 저항성을 발휘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련되며, 도 1처럼 (A)단계 내지 (E)단계를 거쳐 도장재를 완성하는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A)단계는 금속 알콕사이드(Metal Alkoxide)를 산 촉매 하에서 가수분해한 다음, 멜라민(Melamine)과 축합시켜 제1반응물을 수득하는 과정이다. 즉, 환류냉각기와 교반기가 구성된 반응기에 금속 알콕사이드(TEOS) 56~57 중량%를 투입한다. 그리고 금속 알콕사이드를 300RPM으로 교반하면서 증류수 0.8~0.9 중량%와 산도 35%인 촉매(염산) 0.2~0.3 중량%를 적하한 이후 70℃로 2시간 반응시킨다.
Figure 112018010096953-pat00001
여기에 멜라민 42~43 중량%를 첨가한 다음, 150℃로 3시간 반응시킨다. 그러면 아래의 반응식과 같이 제1반응물(TEOS-Melamine Oligomer)이 조성된다.
Figure 112018010096953-pat00002
이때, 금속 알콕사이드는 테트라메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methyl orthosilicate) 또는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중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산 촉매로는 이타콘산(Itaconic Acid), 황산(Sulfuric acid), 질산(Nitr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염산(Hydrochloric Acid), 붕산(boric acid)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멜라민은 C3H6N6(1,3,5-triazine-2,4,6-triamin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B)단계는 콜로이드 실리카(Colloid Silica)와 멜라민을 축합시켜 제2반응물을 수득하는 과정이다. 즉, 환류냉각기와 교반기가 구성된 반응기에 콜로이드 실리카 57~58 중량%와 멜라민 42~43 중량%를 투입한다. 그리고 콜로이드 실리카와 멜라민을 교반하면서 150℃로 3시간 반응시킨다. 그러면 아래의 반응식과 같이 제2반응물이 조성된다.
Figure 112018010096953-pat00003
여기서 콜로이드 실리카는 Non-valatile 30%, PH 2~3, 안정화 이온이 Na2O으로 조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C)단계는 제1반응물과 제2반응물을 혼합한 다음,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와 축합시켜 제3반응물을 수득하는 과정이다. 즉, 환류냉각기와 교반기가 구성된 반응기에 제1반응물 48~49 중량%와 제2반응물 47~48 중량%를 투입한다. 그리고 제1·2반응물을 교반하면서 포름알데히드 4~5 중량%를 첨가한 이후 130℃에서 3시간 반응시킨다. 그러면 아래의 반응식과 같이 제3반응물이 조성된다.
Figure 112018010096953-pat00004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D)단계는 제3반응물에 안료, 소포제, 조절제, 탄산칼슘을 분산시켜 주제부를 수득하는 과정이다. 즉, 제3반응물 73~78 중량%에 안료 18~24 중량%, 소포제 0.01~0.1 중량%, 조절제 0.01~0.1 중량%, 탄산칼슘 6.0~7.0 중량%를 혼합한다. 이러한 혼합제를 비드 밀(Bead Mill)에서 4,000rpm의 속도로 10㎛의 입도까지 분산시켜준다.
이때, 안료는 이산화티탄(Titan Dioxide), 산화철(Iron Oxide), 산화크롬(Chromium Oxide) 중에서 단일 또는 둘 이상으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소포제는 플루오르 실리콘 코폴리머(Fluoro silicon copolymer), 2-페닐프로필알코올(2-phenylpropyl alcohol), 실록산(Siloxan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중에서 단일 또는 둘 이상으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절제는 디메틸(Dimethyl),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아세테이트(Polyethylene Oxide), 실록산(Siloxane) 중에서 단일 또는 둘 이상으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E)단계는 주제부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도장재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즉, 주제부와, 아민으로 조성된 제1경화제와, 규사로 조성된 제2경화제를 1:0.16:1 중량비로 혼합한다. 그러면 아래의 반응식과 같이 도장재가 완성된다.
Figure 112018010096953-pat00005
이때, 제1경화제는 지환족 변성 아민,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γ-aminopropyltriethoxysilane) 중에서 단일 또는 둘 이상으로 혼합된 것이고, 제2경화제는 입도 120~500Mesh의 규사로 조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금속 알콕사이드는 주제부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30 중량%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금속 알콕사이드가 30%를 초과하면, 세라믹에 의해 형성된 도막의 내수성과 내알카리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반대로 15% 미만이면, 유기물의 특성이 강하게 발현되어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그리고 콜로이드 실리카는 주제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30 중량%로 함유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즉, 콜로이드 실리카가 30%를 초과하면, 세라믹에 의해 형성된 도막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반대로 15% 미만이면, 유기물의 특성이 강하게 발현되어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또한, 멜라민은 주제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5 내지 35 중량%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멜라민이 35%를 초과하면, 세라믹에 의해 형성된 도막의 양생이 지연될 수 있다. 반대로 15중량% 미만이면, 무기물의 특성이 강하게 발현되어 도막이 brittle해 질 수가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고 본 발명의 도장재가 가진 실질적인 효과의 유효함을 알아보고자 한다.
<제1반응물>
환류냉각기와 교반기가 구성된 반응기에 금속 알콕사이드 200g을 투입하였다. 그리고 300RPM으로 교반하면서 증류수 3g과 산도 35%인 염산 1g을 적하한 이후 70℃로 2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멜라민 150g를 첨가한 다음, 150℃로 3시간 반응시켜 제1반응물을 조성하였다.
<제2반응물>
환류냉각기와 교반기가 구성된 반응기에 콜로이드 실리카 200g와 멜라민 150g를 투입하였다. 그리고 콜로이드 실리카와 멜라민을 교반하면서 150℃로 3시간 반응시켜 제2반응물을 조성하였다.
<제3반응물>
환류냉각기와 교반기가 구성된 반응기에 조성된 제1반응물과 제2반응물을 모두 투입하였다. 그리고 제1·2반응물을 교반하면서 포름알데히드 30g을 첨가한 이후 130℃에서 3시간 반응시켜 제3반응물을 조성하였다.
<주제부>
조성된 제3반응물과 안료, 소포제, 조절제, 탄산칼슘을 아래의 표 1과 같이 실시예별로 혼합하였다. 그리고 비드 밀(Bead Mill)에서 4,000rpm의 속도로 10㎛의 입도까지 분산시켰다.
제3반응물 안료 소포제 조절제 탄살칼슘
실시예1 730g 200g 1g 1g 68g
실시예2 700g 230g 1g 1g 68g
실시예3 670g 260g 1g 1g 68g
실시예4 760g 170g 1g 1g 68g
<도장재>
실시예별로 조성된 주제부와 제1경화제와 제2경화제를 아래의 표 2와 같이 실시예별로 혼합하여 도장재를 완성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에폭시

주제부 100g 100g 100g 100g
제1경화제 16g 16g 13g 16g
제2경화제 100g 100g 100g 100g
Total 216g 216g 216g 216g
<시험항목>
완성된 도장재를 아래의 표 3과 같은 항목별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항목 규격 시험방법
비휘발분(혼합) 95% 이상 KS M ISO 3251
용기내상태(제1주제부) 이상없을 것 KS M 5000-2011
연화도(제1주제부) 1NS이상 KS M 5000-2141
지촉건조 4시간 이내 KS M 5000-2512
경화건조 24시간 이내 KS M 5000-2512
가사시간 30분 이상 KS M 3331
내수성(168hr) 부풀음, 변색 등 이상이 없을 것
( 택감소율 60% 이하)
KS M ISO 2812-1
내알칼리성(168hr) 부풀음, 변색 등 이상이 없을 것
( 택감소율 60% 이하)
KS M ISO 2812-1
부착성능 1.20N/㎟이상 KS F 4937
윤하중저항
성능(300kg
80,000회)
표면상태 균열,잔갈린,떨어져 나감
등의 이상이 없고 하부층이 드러나지 않을 것


KS F 4937
두께감소깊이 시방서상 도막두께 이하
도막의상태 이상없을 KS M 5000-2421
광택(60도) 80 이상 KS M ISO 2813
내충격 성능 구멍 뚤림, 균열,잔갈림, 떨어져 나감 현상이 없을 것 KS F 4937
수밀성 바탕체 표면으로
투수되지 않을 것
KS F 4937
내마모성
(CS-17, 1,000g 1,000회전)
mg ASTM D 4060:1
<시험결과>
시험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에폭시
비휘발분(혼합) 98 98 98 98 97
용기내상태(제1주제부)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연화도(제1주제부) 2.5 2.5 2.5 2.5 2.0
지촉건조 3시간 3시간 3시간 3시간 4시간
경화건조 18시간 19시간 20시간 18시간 20시간
가사시간 50분 50분 50분 50분 50분
내수성(168hr)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내알칼리성(168hr)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부착성능 1.8 1.7 1.6 1.7 1.2
윤하중저항
성능(300kg
80,000회)
합치기

표면상태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두께감소깊이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도막의상태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광택(60도) 96 95 95 94 90
내충격 성능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수밀성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내마모성
(CS-17, 1,000g 1,000회전)
30mg 32mg 35mg 32mg 130mg
시험결과 표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의 도장재는 내마모성, 도막 광택, 그리고 실록산 결합에 의한 바닥면과의 부착성능이 기존의 에폭시에 대비하여 대부분 우수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장재의 경우, 무기 도료의 장점인 내마모성과 부착강도 및 유기 도료의 장점인 광택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금속 알콕사이드(Metal Alkoxide)를 산 촉매 하에서 가수분해한 다음, 멜라민(Melamine)과 축합시켜 제1반응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콜로이드 실리카(Colloid Silica)와 멜라민을 축합시켜 제2반응물을 수득하는 단계;
    (C) 제1반응물과 제2반응물을 혼합한 다음,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와 축합시켜 제3반응물을 수득하는 단계;
    (D) 제3반응물에 안료, 소포제, 조절제, 탄산칼슘을 분산시켜 주제부를 수득하는 단계; 및
    (E) 주제부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도장재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는 테트라메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methyl orthosilicate) 또는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 촉매로는 이타콘산(Itaconic Acid), 황산(Sulfuric acid), 질산(Nitr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염산(Hydrochloric Acid), 붕산(boric acid) 중에서 단일 또는 둘 이상으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Non-valatile 30%, PH 2~3, 안정화 이온이 Na2O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이산화티탄(Titan Dioxide), 산화철(Iron Oxide), 산화크롬(Chromium Oxide) 중에서 단일 또는 둘 이상으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는 플루오르 실리콘 코폴리머(Fluoro silicon copolymer), 2-페닐프로필알코올(2-phenylpropyl alcohol), 실록산(Siloxan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중에서 단일 또는 둘 이상으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제는 디메틸(Dimethyl),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아세테이트(Polyethylene Oxide), 실록산(Siloxane) 중에서 단일 또는 둘 이상으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환류냉각기와 교반기가 구성된 반응기에 금속 알콕사이드 56~57 중량%를 투입하고,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를 교반하면서 증류수 0.8~0.9 중량%와 산도 35%인 촉매 0.2~0.3 중량%를 적하한 이후 70℃로 2시간 반응시키고, 여기에 멜라민 42~43 중량%를 첨가한 다음, 150℃로 3시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환류냉각기와 교반기가 구성된 반응기에 콜로이드 실리카 57~58 중량%와 멜라민 42~43 중량%를 투입하고,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와 멜라민을 교반하면서 150℃로 3시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환류냉각기와 교반기가 구성된 반응기에 제1반응물 48~49 중량%와 제2반응물 47~48 중량%를 투입하고, 상기 제1·2반응물을 교반하면서 포름알데히드 4~5 중량%를 첨가한 이후 130℃에서 3시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주제부와, 아민으로 조성된 제1경화제와, 규사로 조성된 제2경화제를 1:0.16:1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화제는 지환족 변성 아민,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γ-aminopropyltriethoxysilane) 중에서 단일 또는 둘 이상으로 혼합된 것이고, 제2경화제는 입도 120~500Mesh의 규사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
KR1020180010802A 2018-01-29 2018-01-29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 KR102007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802A KR102007602B1 (ko) 2018-01-29 2018-01-29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802A KR102007602B1 (ko) 2018-01-29 2018-01-29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602B1 true KR102007602B1 (ko) 2019-08-05

Family

ID=6761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802A KR102007602B1 (ko) 2018-01-29 2018-01-29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60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284A (ko) 1998-12-31 2000-07-25 김충세 무용제 에폭시 바닥재 도료 조성물
JP2006124457A (ja) * 2004-10-27 2006-05-18 Dainippon Ink & Chem Inc 水溶性メラミン系樹脂の製造方法
KR100844252B1 (ko) * 2006-12-27 2008-07-07 대한화인세라믹 주식회사 대전방지용 세라믹코팅 패널과 그 제조방법
KR20100119102A (ko) * 2009-04-30 2010-11-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전방지성 하드코팅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대전방지성 하드코팅 필름
KR101046212B1 (ko) 2011-01-28 2011-07-04 (주)미성빌드 무용제 에폭시 바닥마감재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70049816A (ko) * 2015-10-29 2017-05-11 (주)대한세라믹 방수 세라믹 수성도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방수 세라믹 수성도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284A (ko) 1998-12-31 2000-07-25 김충세 무용제 에폭시 바닥재 도료 조성물
JP2006124457A (ja) * 2004-10-27 2006-05-18 Dainippon Ink & Chem Inc 水溶性メラミン系樹脂の製造方法
KR100844252B1 (ko) * 2006-12-27 2008-07-07 대한화인세라믹 주식회사 대전방지용 세라믹코팅 패널과 그 제조방법
KR20100119102A (ko) * 2009-04-30 2010-11-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전방지성 하드코팅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대전방지성 하드코팅 필름
KR101046212B1 (ko) 2011-01-28 2011-07-04 (주)미성빌드 무용제 에폭시 바닥마감재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70049816A (ko) * 2015-10-29 2017-05-11 (주)대한세라믹 방수 세라믹 수성도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방수 세라믹 수성도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073B1 (ko) 내구성 및 기능성이 개선된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방법
KR10191447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친환경 기능성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마감 공법
KR102060506B1 (ko) 기능성 친환경 도막형 바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도막형 바닥재 시공방법
KR100942723B1 (ko) 무기계 폴리머 스톤몰탈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15713B1 (ko) 친환경 무기질계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3380B1 (ko) 열악한 환경하의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보호용 친환경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마감 공법
EP0501055B1 (en) Coating composition
KR102476926B1 (ko) 무용제형 수용성 에폭시 바닥재
JP5072494B2 (ja) 防火断熱体
KR101528551B1 (ko) 대마를 이용한 고내수성 및 고접착력 친환경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KR101967268B1 (ko) 바닥재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01861A (ko) 건축물 상도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제 제조방법 및 그 재료
KR101049269B1 (ko) 상온경화형 표면코팅제, 미끄럼방지 표면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393016B1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表面保護被膜形成方法
KR102007602B1 (ko) 바닥 방수용 세라믹 도장재의 제조방법
KR101614399B1 (ko) 철과 콘크리트 구조물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02134B1 (ko) 환경 친화성 무기계 세라믹 콘크리트 열화방지제의 제조방법
JP5437570B2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積層体の形成方法
KR102175592B1 (ko) 수용성 난연 콘크리트 바닥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의 마감 시공방법
KR101996331B1 (ko) 고인화점/고내후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 조성물
KR102480581B1 (ko) 고성능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JP4695829B2 (ja) 水性塗料組成物
WO2019073698A1 (ja) 床面の表面保護被膜形成方法
KR102314931B1 (ko) 수처리 구조물용 세라믹 코팅제 및 방수도장공법
KR101404180B1 (ko) 침투반응형 작용기를 가지는 비스페놀a융합수지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 비스페놀a융합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유무기융합 도료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호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