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873B1 - 싱크대용 거름망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거름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873B1
KR102005873B1 KR1020190000312A KR20190000312A KR102005873B1 KR 102005873 B1 KR102005873 B1 KR 102005873B1 KR 1020190000312 A KR1020190000312 A KR 1020190000312A KR 20190000312 A KR20190000312 A KR 20190000312A KR 102005873 B1 KR102005873 B1 KR 102005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le
discharge
por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문
Original Assignee
(주)라이프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이프엔티 filed Critical (주)라이프엔티
Priority to KR1020190000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유입구에 분리수단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본체의 배출구에 배출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음식물찌꺼기가 묻지 않아 위생적이고, 간단한 조작으로 음식물찌꺼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용 거름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체의 유입구에 분리수단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음식물찌꺼기를 배출시에만 분리수단을 본체에 결합하여 하부에 형성된 배출수단을 통해 음식물찌꺼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음식물찌꺼기가 묻지 않아 위생적이고 사용자에게 불결함을 주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싱크대용 거름망{Filter for sink drainage hole}
본 발명은 싱크대용 거름망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본체의 유입구에 분리수단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본체의 배출구에 배출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음식물찌꺼기가 묻지 않아 위생적이고, 간단한 조작으로 음식물찌꺼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용 거름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의 바닥에 형성되는 배수구는 물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와 함께 쓸려 내려가는 음식물 찌거기를 거르도록 거름망이 설치된다.
통상 거름망은 상부에 유입구를 갖고 둘레와 바닥은 막혀 있으며 그 둘레와 바닥에 배수를 위한 작은 구멍을 갖는다. 거름망에는 바닥으로부터 음식물 찌꺼기가 쌓여 올라오게 된다. 따라서 거름망에 쌓인 음식물 찌꺼기를 버리고자 할 경우는 뒤집어서 사용한다. 이는 거름망을 뒤집으면 유입구가 하방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거름망을 뒤집기 위해 오염된 부분을 잡아야 하므로 취급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싱크대용 거름망의 하부에 배출수단을 구비한 기술이 제안되었는 바, 특허문헌 1의 거름망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면에 유입구(121)와 외주면에 촘촘이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유출구(122)를 갖는 원통형 본체(12)와; 상기 원통형 본체(1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141,151)으로 연결되어 있고, 힌지축(141,151)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장공(142,152)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하부 배출도어(14,15)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배출도어(14,15)측 장공(141,15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원통형 본체(12)의 상면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푸쉬로드(18)와; 상기 푸쉬로드(18)를 상방으로 밀어올려서 한 쌍의 하부 배출도어(14,15)에 닫힘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수단(20); 및 상기 원통형 본체(12)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는 거름망 손잡이(2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하부 배출도어(14,15)는 서로 대칭형으로 동일한 구조로서 부리 또는 깔때기 형상을 갖고; 상기 푸쉬로드(18)는 상부에 지압면적을 제공하는 지압판(19)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음식물찌꺼기가 유입시 상면에 구비된 거름망 손잡이에 음식물찌꺼기가 묻어 음식물을 배출시 손잡이에 묻은 음식물이 사용자의 손에 묻어 위생적으로 좋지 않고, 사용자에게 불결함을 불러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69625호(2014년 02월 25일 등록) 하부 배출도어를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체의 유입구에 분리수단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본체의 배출구에 배출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음식물찌꺼기가 묻지 않아 위생적이고, 간단한 조작으로 음식물찌꺼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용 거름망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특히, 본체의 유입구에 분리수단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음식물찌꺼기를 배출시에만 분리수단을 본체에 결합하여 하부에 형성된 배출수단을 통해 음식물찌꺼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음식물찌꺼기가 묻지 않아 위생적이고 사용자에게 불결함을 주지 않도록 하는 싱크대용 거름망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공간(21)을 갖고, 상부에 유입구(22)를 가지며, 하부에 배출구(23)를 가지며, 외주면 상에 복수개의 타공(24)이 형성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배출구(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에 수용된 음식물 찌꺼기가 배출되도록 배출판(31)을 갖는 배출수단(30)과; 상기 본체(20)의 유입구(2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20)를 싱크대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거름망에서 상기 분리수단(40)은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공간(411)을 갖는 몸체(41)와; 상기 몸체(41)의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42)와;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상기 몸체(41)의 내부공간(411)에 결합되는 결합구(43)와; 상기 결합구(43)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삽입홀(441)이 형성되는 회동구(44)와; 하부가 상기 회동구(44)의 일측 상부에 위치되고, 상부가 상기 결합구(43)와 몸체(41)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형성되는 버튼(45)과; 양측이 상기 결합구(4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20)의 착탈홀(25)에 착탈되는 착탈구(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거름망에서 상기 착탈구(46)는 양끝단이 상기 본체(20)의 착탈홀(25)에 삽입되는 삽입단(461)과; 상기 삽입단(461)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구(43)에 핀(47) 결합되는 결합단(462)과; 상기 회동구(44)의 삽입홀(441)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단(461)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구(4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거름망에서 상기 배출수단(30)은 상기 본체(20)의 배출구(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판(31)과;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321)이 형성된 가이드(32)와; 상기 가이드(32)의 중공(321)에 삽입되고, 하부가 상기 배출판(31)과 맞닿게 형성되는 수직바(33)와; 하부가 상기 수직바(33)의 상부와 맞닿고, 상부가 상기 분리수단(40)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는 버튼(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거름망에서 상기 배출수단(30)의 배출판(31)은 일측이 상기 본체(20)의 배출구(23)에 힌지핀(3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구(311)를 갖고, 타측에 절개홈(312)을 가지며, 상기 절개홈(312) 상에 상기 본체(20)의 배출구(23)의 바닥면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구(313)를 갖고, 상부와 하부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출공(31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거름망에 의하면, 본체의 유입구에 분리수단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본체의 배출구에 배출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음식물찌꺼기가 묻지 않아 위생적이고, 간단한 조작으로 음식물찌꺼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체의 유입구에 분리수단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음식물찌꺼기를 배출시에만 분리수단을 본체에 결합하여 하부에 형성된 배출수단을 통해 음식물찌꺼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음식물찌꺼기가 묻지 않아 위생적이고 사용자에게 불결함을 주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거름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거름망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거름망에서 배출수단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거름망에서 배출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거름망에서 분리수단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거름망에서 분리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7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거름망(10)은 싱크대에 위치되는 본체(20)와, 본체(20)의 하부에 음식물찌꺼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30)과, 본체(20)를 싱크대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2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공간(21)을 갖고, 상부에 유입구(22)를 가지며, 하부에 배출구(23)를 가지며, 외주면 상에 복수개의 타공(24)이 형성된다. 이때, 본체(20)의 외주면 상부에는 착탈홀(25)이 형성된다.
배출수단(30)은 본체(20)의 배출구(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20)의 내부공간(21)에 수용된 음식물찌꺼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20)의 배출구(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판(31)과, 본체(20)의 내부공간(21)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321)이 형성된 가이드(32)와, 가이드(32)의 중공(321)에 삽입되고, 하부가 배출판(31)과 맞닿게 형성되는 수직바(33)와, 하부가 수직바(33)의 상부와 맞닿고, 상부가 분리수단(40)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는 버튼(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바(33)의 상부와 하부에는 가이드(32)의 중공에 비해 큰직경을 갖도록 걸림단(331)이 형성되고, 버튼(34)의 상부와 하부에는 분리수단(40)의 제2관통홀(413)에 비해 큰직경을 갖도록 걸림단(341)이 형성되어 진다. 이는 수직바(33)와 버튼(34)이 가이드(32) 및 분리수단(40)의 제2관통홀(413)에 위치시 가이드(32) 및 분리수단(40)의 제2관통홀(4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배출수단(30)의 배출판(31)은 일측이 본체(20)의 배출구(23)에 힌지핀(3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구(311)를 갖고, 타측에 절개홈(312)을 가지며, 절개홈(312) 상에 본체(20)의 배출구(23)의 바닥면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구(313)를 갖고, 상부와 하부가 관통하여 음식물찌꺼기에 포함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출공(314)을 갖는다. 이때, 걸림구(313)는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출수단(30)의 동작을 설명하면, 버튼(34)의 누름동작으로 버튼(34)은 하측으로 이동하여 수직바(32)의 상측을 누르게 되고, 수직바(32)는 배출판(31)을 누르게 된다. 수직바(32)가 배출판(31)을 누름으로 인해 걸림구(313)는 본체(20)의 배출구(23)의 바닥면으로부터 이탈되고, 배출판(31)은 회동하며, 본체(20)의 내부공간(21)에 수용된 음식물찌꺼기는 본체(20)의 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되어 지는 것이다.
분리수단(40)은 본체(20)의 유입구(2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20)를 싱크대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공간(411)을 갖는 몸체(41)와, 몸체(41)의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42)와,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몸체(41)의 내부공간(411)에 결합되는 결합구(43)와, 결합구(43)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삽입홀(441)이 형성되는 회동구(44)와, 하부가 회동구(44)의 일측 상부에 위치되고, 상부가 결합구(43)와 몸체(41)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형성되는 버튼(45)과, 양측이 결합구(4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20)의 착탈홀(25)에 착탈되는 착탈구(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41)는 버튼(45)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제1관통홀(412)을 갖고, 배출수단(30)의 버튼(34)이 관통하도록 제2관통홀(413)을 갖는다.
결합구(43)는 몸체(41)의 제1관통홀(412)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관통홀(431)이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에 핀홀(432)이 형성되어 회동구(44)와 착탈구(46)가 핀홀(432)에 핀(47) 결합되도록 한다.
회동구(44)는 버튼(45)의 누름동작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결합구(43)의 핀홀(432)과 핀(47) 결합되도록 핀홀(442)이 형성되고, 상부가 버튼(45)의 하부와 맞닿게 형성되며, 내측의 삽입홀(441) 상에는 후술하는 착탈구(46)의 연결구(463)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회동구(44)의 타측은 절개되어 착탈구(46)의 연결구(463)가 절개된 부분을 통해 삽입홀(441)에 삽입되도록 한다.
착탈구(46)는 양끝단이 본체(20)의 착탈홀(25)에 삽입되는 삽입단(461)과, 삽입단(461)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결합구(43)에 핀(47) 결합되는 결합단(462)과, 회동구(44)의 삽입홀(441)을 관통하여 삽입단(461)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구(4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분리수단(40)의 동작을 설명하면, 버튼(45)을 누르면 버튼(45)은 하측으로 이동하여 회동구(44)의 일측 상부를 누르게 되고, 회동구(44)는 회동하여 착탈구(46)의 연결구(463)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착탈구(46)의 연결구(463)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연결구(463)의 양측에 결합된 삽입단(461)은 본체(20)의 착탈홀(25)로부터 이탈하여 분리수단(40)은 본체(20)로부터 분리되어 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거름망(10)에 의하면, 본체(20)의 유입구(22)에 분리수단(40)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본체(20)의 배출구(23)에 배출수단(30)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음식물찌꺼기가 묻지 않아 위생적이고, 간단한 조작으로 음식물찌꺼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체(20)의 유입구(22)에 분리수단(40)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음식물찌꺼기를 배출시에만 분리수단(40)을 본체(20)에 결합하여 하부에 형성된 배출수단(30)을 통해 음식물찌꺼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음식물찌꺼기가 묻지 않아 위생적이고 사용자에게 불결함을 주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거름망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싱크대용 거름망
20 : 본체 21 : 내부공간
22 : 유입구 23 : 배출구
24 : 타공 25 : 착탈홀
30 : 배출수단 31 : 배출판
311 : 회동구 312 : 절개홈
313 : 걸림구 314 : 배출공
32 : 가이드 321 : 중공
33 : 수직바 34 : 버튼
40 : 분리수단 41 : 몸체
411 : 내부공간 42 : 손잡이
43 : 결합구 44 : 회동구
441 : 삽입홀 45 : 버튼
46 : 착탈구 461 : 삽입단
462 : 결합단 463 : 연결구
47 : 핀

Claims (5)

  1.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공간(21)을 갖고, 상부에 유입구(22)를 가지며, 하부에 배출구(23)를 가지며, 외주면 상에 복수개의 타공(24)이 형성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배출구(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에 수용된 음식물 찌꺼기가 배출되도록 배출판(31)을 갖는 배출수단(30)과;
    상기 본체(20)의 유입구(2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20)를 싱크대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수단(40)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수단(40)은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공간(411)을 갖는 몸체(41)와;
    상기 몸체(41)의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42)와;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상기 몸체(41)의 내부공간(411)에 결합되는 결합구(43)와;
    상기 결합구(43)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삽입홀(441)이 형성되는 회동구(44)와;
    하부가 상기 회동구(44)의 일측 상부에 위치되고, 상부가 상기 결합구(43)와 몸체(41)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형성되는 버튼(45)과;
    양측이 상기 결합구(4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20)의 착탈홀(25)에 착탈되는 착탈구(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거름망.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구(46)는 양끝단이 상기 본체(20)의 착탈홀(25)에 삽입되는 삽입단(461)과;
    상기 삽입단(461)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구(43)에 핀(47) 결합되는 결합단(462)과;
    상기 회동구(44)의 삽입홀(441)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단(461)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구(4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거름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30)은 상기 본체(20)의 배출구(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판(31)과;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321)이 형성된 가이드(32)와;
    상기 가이드(32)의 중공(321)에 삽입되고, 하부가 상기 배출판(31)과 맞닿게 형성되는 수직바(33)와;
    하부가 상기 수직바(33)의 상부와 맞닿고, 상부가 상기 분리수단(40)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는 버튼(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거름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30)의 배출판(31)은 일측이 상기 본체(20)의 배출구(23)에 힌지핀(3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구(311)를 갖고, 타측에 절개홈(312)을 가지며, 상기 절개홈(312) 상에 상기 본체(20)의 배출구(23)의 바닥면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구(313)를 갖고, 상부와 하부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출공(31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거름망.
KR1020190000312A 2019-01-02 2019-01-02 싱크대용 거름망 KR102005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312A KR102005873B1 (ko) 2019-01-02 2019-01-02 싱크대용 거름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312A KR102005873B1 (ko) 2019-01-02 2019-01-02 싱크대용 거름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873B1 true KR102005873B1 (ko) 2019-07-31

Family

ID=67473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312A KR102005873B1 (ko) 2019-01-02 2019-01-02 싱크대용 거름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87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961U (ko) * 1997-02-15 1998-10-26 박삼순 주방용 씽크대 거름받이
KR19990004241U (ko) * 1998-10-29 1999-01-25 박덕목 씽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걸름구
KR101369625B1 (ko) 2012-05-25 2014-03-03 전용준 하부 배출도어를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20140002037U (ko) * 2012-09-28 2014-04-07 김현철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101677412B1 (ko) * 2016-03-24 2016-11-17 주식회사 청수이앤에스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
KR101707765B1 (ko) * 2016-01-20 2017-02-15 오용호 싱크대 거름망 커버
KR20180045779A (ko) * 2016-10-25 2018-05-04 김명재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961U (ko) * 1997-02-15 1998-10-26 박삼순 주방용 씽크대 거름받이
KR19990004241U (ko) * 1998-10-29 1999-01-25 박덕목 씽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걸름구
KR101369625B1 (ko) 2012-05-25 2014-03-03 전용준 하부 배출도어를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20140002037U (ko) * 2012-09-28 2014-04-07 김현철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101707765B1 (ko) * 2016-01-20 2017-02-15 오용호 싱크대 거름망 커버
KR101677412B1 (ko) * 2016-03-24 2016-11-17 주식회사 청수이앤에스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
KR20180045779A (ko) * 2016-10-25 2018-05-04 김명재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4365B1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use in vacuum cleaner
KR100512624B1 (ko) 싸이클론 집진유닛 및 집진유닛의 필터구조
GB2400053A (en) Filter cleaning device for a cyclonic vacuum cleaner
US20150074891A1 (en) Single-use sink strainer
KR102005873B1 (ko) 싱크대용 거름망
KR101558749B1 (ko) 씽크대 배수구 거름망
KR20090099941A (ko) 원터치 복귀형 거름망
KR101369625B1 (ko) 하부 배출도어를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101364262B1 (ko) 거름망
KR20160136159A (ko)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JP2000034760A (ja) 排水口の塵取り構造
KR101369553B1 (ko) 분할 개폐되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JP2008093277A (ja) 電気掃除機
KR20090025208A (ko) 배출구커버를 구비한 캔
AU2004202982B2 (en) Air Discharge Structure for a Vacuum Cleaner
KR100840890B1 (ko) 집진 용기
KR102061890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2121565B1 (ko) 싱크대용 걸름망
KR20200089648A (ko)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
JP2001346675A (ja) ジューサー
KR19990004241U (ko) 씽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걸름구
KR200391941Y1 (ko) 싱크대 배수구용 쓰레기 수거장치
JP2835707B2 (ja) トラップ
KR200356293Y1 (ko)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
KR200351204Y1 (ko)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