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293Y1 -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 - Google Patents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293Y1
KR200356293Y1 KR20-2004-0008119U KR20040008119U KR200356293Y1 KR 200356293 Y1 KR200356293 Y1 KR 200356293Y1 KR 20040008119 U KR20040008119 U KR 20040008119U KR 200356293 Y1 KR200356293 Y1 KR 200356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outer housing
closing plate
hous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하
Original Assignee
김영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하 filed Critical 김영하
Priority to KR20-2004-0008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2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외부하우징을 겹치게 조립하여 외부하우징의 회전량에 따라 내,외부하우징의 배수공들이 중첩되는 크기에 따라 배출구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하우징을 회전 및 복원시킬 때 하부의 개폐판이 자동으로 개폐되어 찌꺼기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양단부가 개구된 중공형상의 몸체에 복수 개의 배수공이 관통되는 내부하우징; 양단부가 개구된 중공형상의 몸체에 복수 개의 배수공이 관통되고, 그 내부에 상기 내부하우징을 수납하여 왕복회전하는 외부하우징; 판상의 몸체에 복수 개의 배수공이 관통되고, 상기 내,외부하우징 일단의 개구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출구를 형성하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의 외측에 설치되고, 내부하우징을 수납하는 외부하우징을 회전시킬 때 상기 개폐판을 회동시켜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외부하우징을 원위치로 회전시킬 때 개폐판을 복원시켜 개구부를 폐쇄토록 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A filter for the draining hole of a sink}
본 고안은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내는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외부하우징을 겹치게 조립하고 외부하우징의 회전량에 따라 내,외부하우징의 배수공들의 중첩되는 크기에 따라 배출구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하우징을 회전 및 복원시킬 때 하부의 개폐판이 자동으로 개폐되어 찌꺼기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씽크대의 개수통에는 세척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구가 형성되는데, 이 배수구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거르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종래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몸체 측면과 하부에 복수 개의 배수공이 관통된 단순한 형태로 구성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필터는 배수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배수공에 음식물 찌꺼기가 누적되어 막히거나 또는 콩나물과 같이 길게 형성된 찌꺼기들이 배수공에 걸리게 되면, 이들 찌꺼기가 잘 빠지지 않아 찌꺼기 처리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다시 말해, 필터에 여과된 음식물 찌꺼기를 버릴 때 배수공을 크게 확장시킬 수 있다면 배수공에 걸린 찌꺼기를 쉽게 처리할 수 있으나, 종래 필터는 배수공이 단순히 관통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공에 음식물 찌꺼기들이 누적되거나 또는 배수공보다 약간 큰 찌꺼기들이 배수공을 차단하게 되면 이들 찌꺼기가 잘빠지지 않게 된다.
이 때는, 필터를 역방향으로 위치시킨 다음 이 필터를 개수통을 향해 타격하는 방법으로 충격을 주어서 찌꺼기를 제거하거나 또는 배수공에 낀 찌꺼기를 사용자가 일일이 손으로 빼내는 방법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찌꺼기 처리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이와 같은 찌꺼기 처리방법은 충격에 의해 필터가 손상될 수 있고, 필터에 충격을 가할 때 더러운 찌꺼기들이 씽크대 주변으로 튀어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이들 튄 찌꺼기들을 다시 물로 세척해야 하므로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필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내,외부하우징을 중첩되게 조립하고 외부하우징의 회전에 의해 내,외부하우징의 배수공들이 형성하는 크기에 따라 배출구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음식물 찌꺼기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부하우징을 회전 및 복원시킬 때 하부의 개폐판이 자동으로 개폐되어 찌꺼기 처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필터는 양단부가 개구된 중공형상의 몸체에 복수 개의 배수공이 관통되는 내부하우징; 양단부가 개구된 중공형상의 몸체에 복수 개의 배수공이 관통되고, 그 내부에 상기 내부하우징을 수납하여 왕복회전하는 외부하우징; 판상의 몸체에 복수 개의 배수공이 관통되고, 상기 내,외부하우징 일단의 개구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출구를 형성하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의 외측에 설치되고, 내부하우징을 수납하는 외부하우징을 회전시킬 때 상기 개폐판을 회동시켜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외부하우징을 원위치로 회전시킬 때 개폐판을 복원시켜 개구부를 폐쇄토록 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은, 웜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판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그 양단부가 상기 내,외부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10); 상기 웜기어와 치합되는 웜이 형성되고, 그 일단부에 조립된 조작편이 상기 내,외부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폐판이 개폐될 때 치합된 웜과 웜기어에 의해 왕복회전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의 회전각도를 구속할 수 있도록 외부하우징 외측에 돌출되는 안내브래킷;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씽크대 배수구용 필터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씽크대 배수구용 필터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씽크대 배수구용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하우징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내부하우징의 전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외부하우징의 전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판 및 개폐수단을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의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씽크대 배수구용 필터의 사용상태도로서, 외부하우징이 회전하기 전 상태의 저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씽크대 배수구용 필터의 사용상태도로서, 외부하우징이 회전한 상태의 저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개폐판이 로킹되기 전 상태의 정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개폐판이 로킹된 상태의 정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필터의 사용상태도로서, 개폐판이 개방되기 전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의 사용상태도로서, 개폐판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판이 개방되기 전 상태일 때 레버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판이 개방된 상태일 때 레버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고안의 필터가 사용상태일 때 배수공의 개도량을 보인 확대도
도 18은 본 고안의 외부하우징을 회전시켜 내,외부하우징의 배수공을 일치시킨 상태를 보인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필터 3 : 내부하우징
4 : 외부하우징 5 : 개폐판
6 : 개폐수단 10 : 샤프트
11 : 레버 12 : 안내브래킷
13 : 지지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씽크대 배수구용 필터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씽크대 배수구용 필터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씽크대 배수구용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하우징의 배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는 도 1과 같이 씽크대의 개수통(1)에 형성된 배수구(1a)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2)의 구성은 내부하우징(3), 상기 내부하우징(3)을 감싸 겹치게 조립하는 외부하우징(4), 상기 내,외부하우징(3)(4)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이들 내,외부하우징(3)(4)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판(5), 및 상기 개폐판(5)이 내,외부하우징(3)(4)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판(5)을 회전시키는 개폐수단(6)으로 구성된다.
상기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2)는 사용 중에 폐쇄된 개폐판(5)이 임의로 개방되지 못하게 개폐판(5)을 단속하는 로킹수단을 더 갖는다.
상기 내부하우징(3)은 양단부가 개구된 중공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에는 복수 개의 배수공(3a)이 관통되고, 하부 일측에는 후술할 샤프트(10)를 고정하는 고정공(3b) 및 상기 고정공(3b) 중앙 하부에는 레버(11)의 관통을 안내하는 안내공(3c)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하우징(3)의 배수공(3a)은 외부하우징(4)의 배수공(4a)과 중첩되어 이루어진 배출구(H)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되는 것이 좋으며, 여러 가지 형상으로 관통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5와 같이 원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내부하우징(3)은 개수통(1)의 배수구(1a)에 설치 및 제거할 때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손잡이(3d)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 테두리 근처에는 돌기(3e)가 누름 및 복원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하우징(4)과 겹치게 조립될 때 외부하우징(4)의 삽입공(4e)에 삽입되어 외부하우징(4)이 임의대로 회전하지 않도록 단속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3e)는 그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복원되는 통상적인 구조로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내부하우징(3)은 씽크대에 사용됨을 감안하여 쉽게 부식되지 않는 재질, 예컨대, 스테인레스, 합성수지,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가 좋다.
외부하우징(4)은 상기 내부하우징(3)을 수용하여 내,외부하우징(3)(4)이 겹치게 조립되도록 한다.
이러한 외부하우징(4)은 양단부가 개구된 중공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에는 도 6과 같이 내부하우징(3)의 배수공(3a)과 일치된 위치에 복수 개의 배수공(4a)이 관통된다.
이와 같이 외부하우징(4)의 배수공(4a)이 내부하우징(3)의 배수공(3a)과 일치되면, 이들 내,외부하우징(3)(4)을 겹치게 조립한 상태에서 외부하우징(4)을 회전시켜 도 17과 같이 배수공(3a)(4a)들의 중첩으로 구성된 배출구(H)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외부하우징(4)은 회전시킬 때 상기 내부하우징(3)을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몸체의 상단부 양측에 절개부(4b)가 관통되고,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내부하우징(3)의 고정공(3b) 및 안내공(3c)과 대응되게 안내홈(4c)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하우징(4)은 상단부 양측에 비닐 등을 걸어 음식물 쓰레기를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걸고리(4d)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4c)에는 개폐수단(6)의 샤프트(10) 및 레버(11)가 관통하게 되는데, 이들 샤프트(10) 및 레버(11)의 관통에도 불구하고 외부하우징(4)이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홈(4c)의 길이는 적어도 외부하우징(4)의 회전범위와 같은 길이를 가져야 한다.
개폐판(5)은 상기 외부하우징(4)을 회전 및 복원시킬 때 내,외부하우징(3)(4)의 하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개폐판(5)은 판상의 몸체에 복수 개의 배수공(5a)이 천공되는데, 내,외부하우징(3)(4)의 하부에 위치되어 사용 중에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비교적 크고 긴 형태의 음식물 찌꺼기가 끼워지지 않도록 배수공(5a)의 크기는 내,외부하우징(3)(4)의 배수공(3a)(4a)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개폐판(5)의 배수공(5a)에는 작은 찌꺼기들이 끼게 되고, 처리하기 까다로운 큰 찌꺼기들은 내,외부하우징(3)(4)에 형성된 배수공(3a)(4a)에 끼게 되므로, 이 때 외부하우징(4)을 회전시켜 내,외부하우징(3)(4)의 배수공(3a)(4a)들의 중첩으로 구성된 배출구(H)를 크게 확대시키면 큰 찌꺼기를 간단히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판(5)은 사용 중에 임의로 개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여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개폐판(5)의 개방을 방지하는 로킹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개폐판(5)의 로킹수단은 상기 외부하우징(4)의 개구부 일측에 절개된 안내홈(7); 상기 안내홈(7)과 대응되게 상기 내부하우징(3)의 개구부 일측에 걸림턱(8a)을 갖도록 절개된 로킹홈(8); 및 상기 안내홈(7) 및 로킹홈(8)과 대응되게 개폐판(5) 테두리 부분에 돌출되어, 외부하우징(4)을 회전시켜 상기 개폐판(5)이 개구부를 폐쇄할 때 로킹홈(8)의 걸림턱(8a)에 걸려 개폐판(5)의 개방을 방지하는 걸림돌기(9);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로킹수단은 외부하우징(4)을 회전시키게 되면 개폐수단(6)에 의해 개폐판(5)이 내,외부하우징(3)(4) 하부를 폐쇄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걸림돌기(9)가 로킹홈(8)의 걸림턱(8a)에 걸리게 되므로 개폐판(5)이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개폐수단(6)은 외부하우징(4)을 회전 및 복원시킬 때 개폐판(5)을 회전시켜 내,외부하우징(3)(4)의 하부를 개폐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폐수단(6)은 도 3,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웜기어(10a)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판(5)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그 양단부가 상기 내부하우징(3)의 고정공(3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10); 상기 웜기어(10a)와 치합되는 웜(11a)이 형성되고, 그 일단부에 형성된 조작편(11b)이 상기 외부하우징(4)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폐판(5)이 개폐될 때 치합된 웜(11a)과 웜기어(10a)에 의해 왕복회전하는 레버(11); 및 상기 레버(11)의 회전각도를 구속할 수 있도록 외부하우징(4) 외측에 돌출되는 안내브래킷(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10)는 개폐판(5)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되는데, 그 양단부에는 상기 내부하우징(3)의 고정공(3b)에 삽입되어 빠지지 않도록 스톱퍼(10b)가 체결된다. 상기 스톱퍼(10b)는 내부하우징(3) 외부방향에서 샤프트(10) 단부에 체결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샤프트(10)는 개폐판(5)의 중앙에서 벗어난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 샤프트(10)가 개폐판(5)의 저면에 편심되게 설치되면, 개폐판(5)의 걸림돌기(9)가 로킹홈(8)의 걸림턱(8a)에서 벗어나 내,외부하우징(3)(4)을 개방할 때 개폐판(5)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개방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버(11)는 내부하우징(3)의 안내공(3c)에 회전가능하게 끼움 조립되고, 그 일단부에 형성된 웜(11a)이 샤프트(10)의 웜기어(10a)와 치합되며, 타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된 조작편(11b)이 외부하우징(4)의 안내홈(4c)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레버(11)는 그의 웜(11a)이 샤프트(10)의 웜기어(10a)와 치합되어 외부하우징(4)을 회전 및 복원시킬 때 조작편(11b)이 상기 안내브래킷(12)에 의해 좌우로 회전하면서 샤프트(10)를 회전시켜 개폐판(5)이 내,외부하우징(3)(4) 하부를 개폐토록 한다.
한편, 상기 레버(11)는 안내브래킷(12)에 의해 좌우로 회전할 때 흔들리지 않도록 도 7, 도 8, 도 9와 같이 내부하우징(3)에 고정된 지지대(13)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레버(11)를 지지하는 지지대(13)는 도 8과 같이 하부에 상기 레버(11)를 수용하는 수용공(13a)이 형성되는데, 이 수용공(13a)이 내부하우징(3)의 안내공(3c)과 외부하우징(4)의 안내홈(4c)과 일치되어 레버(11)를 그 내부에 수용하게 된다.
상기 안내브래킷(12)은 상기 외부하우징(4)의 안내홈(4c) 근처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상기 레버(11)의 조작편(11b)을 수용하여, 개폐판(5)의 개폐를 위해 외부하우징(4)을 회전 및 복원시킬 때 수용된 레버(11)의 조작편(11b)을 도 15 내지 도 16과 같이 강제로 좌우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레버(11)가 좌우로 회전하게 되면 레버(11)의 웜(11a)에 치합된웜기어(10a)에 의해 샤프트(10)가 왕복회전하게 되고, 상기 샤프트(10)가 고정된 개폐판(5)을 왕복회전하면서 내,외부하우징(3)(4)을 개폐하게 되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안내브래킷(12)은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형태로 구성되고, 그 내부 사이에 상기 레버(11)의 조작편(11b)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2a)을 갖는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씽크대 배수구용 필터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필터(2)는 겹치게 조립된 내,외부하우징(3)(4)에는 복수 개의 배수공(3a)(4a)이 동일한 크기와 간격으로 천공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하우징(4)을 회전시켜 배수공(3a)(4a)들의 중첩으로 이루어진 배출구(H)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부하우징(4)을 회전시켜 내,외부하우징(3)(4)의 배수공(3a)(4a)들이 중첩되면 이 중첩된 부분이 배출구(H)가 된다. 도 17의 경우 파선으로 구성된 부분이 내부하우징(3) 배수공(3a)이고 실선으로 구성된 부분이 외부하우징(4)의 배수공(4a)이기 때문에 이들의 중첩부분이 배출구(H)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외부하우징(4)을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내,외부하우징(3)(4)의 배수공(3a)(4a) 위치를 조절하여 배출구(H)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여과할 수 있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를 여과시킨 다음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경우에는 손잡이(3d)를 이용하여 필터(2)를 개수통(1)의 배수구에서 들어올린 다음 제거한다.
이와 같이 들어올려진 필터(2)에서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할 경우에는 절개부(4b)를 이용하여 한 손으로 내부하우징(3)을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외부하우징(4)을 회전시킨다.
이 때 회전하는 외부하우징(4)에 의해 레버(11)를 수용하고 있는 안내브래킷(12)이 회전하면서 레버(11)를 강제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 레버(11)의 웜(11a)과 치합된 웜기어(10a)가 회전하게 되므로 샤프트(10)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개폐판(5)은 상기 샤프트(10)를 축으로 회전하므로 내,외부하우징(3)(4)에서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를 하우징의 하부를 통해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판(5)이 개방되면, 내,외부하우징(3)(4)의 전체 배수공(3a)(4a)은 도 18과 같이 완전히 일치되므로 배출구(H)가 확대되어 하우징의 측면 배출구(H)에 끼어 잔존하는 비교적 큰 음식물 쓰레기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시 음식물 쓰레기를 여과시키기 위해 외부하우징(4)을 반대로 회전시켜 복원시키게 되면, 안내브래킷(12)이 레버(11)를 원위치로 회전시킴에 따라웜(11a)과 웜기어(10a)의 치합에 의해 샤프트(10)가 반대로 회전하여 개폐판(5)이 내,외부하우징(3)(4)의 하부를 다시 폐쇄하게 되고, 이 때 내,외부하우징(3)(4)의 배수공(3a)(4a)들로 이루어진 배출구(H)는 다시 도 17과 같이 소량 개방되어 사용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는 외부하우징을 왕복회전시키게 되면 개폐판이 자동으로 왕복회전하면서 하우징의 하부를 개폐함과 동시에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배수공을 확대하게 되므로 배수공에 끼인 음식물 쓰레기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6)

  1. 양단부가 개구된 중공형상의 몸체에 복수 개의 배수공이 관통되는 내부하우징;
    양단부가 개구된 중공형상의 몸체에 복수 개의 배수공이 관통되고, 그 내부에 상기 내부하우징을 수납하여 왕복회전하는 외부하우징;
    판상의 몸체에 복수 개의 배수공이 관통되고, 상기 내,외부하우징 일단의 개구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출구를 형성하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의 외측에 설치되고, 내부하우징을 수납하는 외부하우징을 회전시킬 때 상기 개폐판을 회동시켜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외부하우징을 원위치로 회전시킬 때 개폐판을 복원시켜 개구부를 폐쇄토록 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하우징의 배수공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 타원형상으로 구성되고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외부하우징의 회전정도에 따라 배수공의 개도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는,
    상기 내부하우징의 개구부 일측에 절개된 안내홈;
    상기 안내홈과 대응되게 상기 외부하우징의 개구부 일측에 걸림턱을 갖도록 절개된 로킹홈; 및
    상기 안내홈 및 로킹홈과 대응되는 개폐판 테두리 부분에 돌출되어, 외부하우징을 회전시켜 상기 개폐판이 개구부를 폐쇄할 때 로킹홈의 걸림턱에 걸려 개폐판의 개방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로킹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은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회전시킬 때 상기 내부하우징을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몸체에 절개부가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웜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판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그 양단부가 상기 내,외부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10);
    상기 웜기어와 치합되는 웜이 형성되고, 그 일단부에 형성된 조작편이 외부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폐판이 개폐될 때 치합된 웜과 웜기어에 의해왕복회전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의 회전각도를 구속할 수 있도록 외부하우징 외측에 돌출되는 안내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왕복 회전할 때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갖는 지지대가 상기 내부하우징 내측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구용 필터.
KR20-2004-0008119U 2004-03-24 2004-03-24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 KR200356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119U KR200356293Y1 (ko) 2004-03-24 2004-03-24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119U KR200356293Y1 (ko) 2004-03-24 2004-03-24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293Y1 true KR200356293Y1 (ko) 2004-07-15

Family

ID=4943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119U KR200356293Y1 (ko) 2004-03-24 2004-03-24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29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291B1 (ko) 2006-05-22 2007-10-18 박황경 씽크대용 폐 음식물 처리장치
KR101496366B1 (ko) * 2013-04-01 2015-03-02 김혜온 거름통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0559721A (zh) * 2019-10-29 2019-12-13 河南心连心化学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煤气化黑水过滤器及过滤方法
KR102528579B1 (ko) * 2022-04-19 2023-05-04 임정석 파쇄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291B1 (ko) 2006-05-22 2007-10-18 박황경 씽크대용 폐 음식물 처리장치
KR101496366B1 (ko) * 2013-04-01 2015-03-02 김혜온 거름통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0559721A (zh) * 2019-10-29 2019-12-13 河南心连心化学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煤气化黑水过滤器及过滤方法
CN110559721B (zh) * 2019-10-29 2023-09-22 河南心连心化学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煤气化黑水过滤器及过滤方法
KR102528579B1 (ko) * 2022-04-19 2023-05-04 임정석 파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1738B (zh) A valve drive device, a liquid container for a liquid handling device, and a liquid handling device
KR200356293Y1 (ko) 씽크대의 배수구용 필터
US20200245587A1 (en) Litter scooping receptacle
KR200410765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7765B1 (ko) 싱크대 거름망 커버
JP2014226176A (ja) 洗濯機用ろ過装置及びこれを取り付けた洗濯機
KR200368152Y1 (ko) 씽크대용 걸름통장치
KR101733338B1 (ko) 쌀 세척기
JP4699296B2 (ja) 浴槽
JP4381100B2 (ja) 厨芥処理具
KR20080016983A (ko) 싱크대 걸름 장치
KR200391941Y1 (ko) 싱크대 배수구용 쓰레기 수거장치
KR102005873B1 (ko) 싱크대용 거름망
JP3229332U (ja) 生ごみ水切り器
KR20041076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0127632Y1 (ko) 정수기의 취수장치
JPH059962A (ja) 舟型流し装置
KR200211314Y1 (ko) 도로용 측구 뚜껑의 잠금장치
KR20070053082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24008615A (ja) 濾過装置
US20210189707A1 (en) Garbage disposal with door and switch assembly
KR20160005611A (ko) 음식물 찌꺼기 제거장치
KR200192994Y1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용여과구
KR200222003Y1 (ko) 추출 도구
KR200395029Y1 (ko) 어패류 보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