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553A -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 - Google Patents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553A
KR20120111553A KR1020110030088A KR20110030088A KR20120111553A KR 20120111553 A KR20120111553 A KR 20120111553A KR 1020110030088 A KR1020110030088 A KR 1020110030088A KR 20110030088 A KR20110030088 A KR 20110030088A KR 20120111553 A KR20120111553 A KR 20120111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ieve
case member
drain pip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제
정민성
김나경
Original Assignee
이성제
김나경
정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제, 김나경, 정민성 filed Critical 이성제
Priority to KR1020110030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1553A/ko
Publication of KR2012011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수대, 세면대 등과 같이 오수가 배수되는 배수관 상에 설치되어 각종 이물질을 걸러냄으로써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탈수기능이 부가되어 있어 이물질 제거를 위해 거름망을 분리할 시에 이물질로부터 떨어지는 오수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는 배수관 상에 연결되어 배관을 통해 배수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배수관용 거름장치에 있어서,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 하부면에는 배수관이 직결되며 일측에는 손잡이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케이스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설치공간 내에 위치되되 상측이 개방되어 있어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배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 외측에 설치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거름망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거름망부재 내부에 걸러진 이물질을 탈수하는 탈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FILTER OF DRAIN WITH DEHYDRATION FUNCTION}
본 발명은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수대, 세면대 등과 같이 오수가 배수되는 배수관 상에 설치되어 각종 이물질을 걸러냄으로써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탈수기능이 부가되어 있어 이물질 제거를 위해 거름망을 분리할 시에 이물질로부터 떨어지는 오수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의 배수구조는 세면대의 하부에 체결되며, 레버의 작동에 의해서 상/하로 유동되어 오수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배수마개가 내장된 배수관과, 이 배수관의 하단에 연결되는 트랩관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세면대 배수관은 세면대로부터 배출되는 오수 및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배수관이 막히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였으며, 이럴 경우, 배수관을 분해하여 이물질을 직접적으로 제거하거나 화학용약품을 사용하여 이물질을 녹여 이물질을 간접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배수관을 분해하여 이물질을 직접 제거하는 방법은 공구를 이용하여 풀어낸 뒤 배수관 및 트랩관 내부의 이물질 등을 긁어 내가면서 일일이 제거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웠다. 또한, 화학약품을 이용하는 방법은 수질을 오염시킨다는 이유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최근에는 배수관 상에 거름망을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여 오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거름망을 빼낼 경우 이 거름망 내에 잔존해 있던 오수가 떨어져 바닥면을 오염시키고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계수대, 세면대 등과 같이 오수가 배수되는 배수관 상에 설치되어 각종 이물질을 걸러냄으로써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수기능이 부가되어 있어 이물질 제거를 위해 거름망을 분리할 시에 이물질로부터 떨어지는 오수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배수관 상에 연결되어 배관을 통해 배수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배수관용 거름장치에 있어서,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 하부면에는 배수관이 직결되며 일측에는 손잡이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케이스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설치공간 내에 위치되되 상측이 개방되어 있어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배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 외측에 설치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거름망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거름망부재 내부에 걸러진 이물질을 탈수하는 탈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손잡이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일측 외벽에 고정되어 상기 일측 외벽과 함께 상기 케이스부재 상에서 탈착 가능하게 분리되며, 하부에는 지지프레임이 상기 거름망부재의 직하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탈수수단은, 상기 거름망부재의 하부면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거름망부재를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고정 지지시키되, 외주연 상에는 제 1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부재와는 고정 연결되며 상기 지지프레임과는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부재와, 상기 손잡이 내에 누름 가능하게 위치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설치공간 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재와 면접되게 위치되되 그 일면에 상기 제 1 기어와 치합되는 제 2 기어가 형성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수직부재의 누름여부에 따라 상기 수평부재가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상기 거름망부재를 회전시키는 누름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손잡이 내측으로 이동된 상기 누름부재를 재차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손잡이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를 상기 케이스부재 상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원터치 타입의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케이스부재의 일측에는 설치공간 내부의 거름망부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거름망부재의 상단부 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배수관을 향해 그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고깔부재가 연결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에 따르면 첫째, 계수대, 세면대 등과 같이 오수가 배수되는 배수관 상에 설치되어 각종 이물질을 걸러냄으로써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둘째, 탈수기능이 부가되어 있어 이물질 제거를 위해 거름망을 분리할 시에 이물질로부터 떨어지는 오수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의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의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4a 내지 도 4c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의 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1)는 배수관(400) 상에 연결되어 배관을 통해 배수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배수관용 거름장치에 있어서, 내부에는 설치공간(140)이 형성되고 상, 하부면에는 배수관이 직결되며 일측에는 손잡이(11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케이스부재(100)와, 상기 케이스부재(100)의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설치공간(140) 내에 위치되되 상측이 개방되어 있어 상기 케이스부재(100)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배수관(400)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부재(200)와, 상기 케이스부재(100)의 내, 외측에 설치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거름망부재(200)를 회전시켜 상기 거름망부재(200) 내부에 걸러진 이물질을 탈수하는 탈수수단(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스부재(100)는 내부에는 설치공간(140)이 형성되고 상, 하부면에는 배수관(400)이 직결되며 일측에는 손잡이(11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본원 발명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장착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케이스부재(100)의 상, 하부면은 배수관(400)으로부터 오수가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각각 배수관(400)과 연통되게 직결되는데 상부면의 경우 배수관(400)이 케이스부재(100) 내측으로 일부 인입된 상태로 캡부재(150)에 의해 고정되고, 하부면의 경우 전술한 상부면의 경우처럼 배수관(400)이 일부 인입될 수도 있고 케이스부재(100)의 외측과 맞닿은 상태에서 캡부재(150)에 의해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는 전술한 캡부재(150) 외에 다양한 패킹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적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케이스부재(100)에 설치되는 손잡이(110)는 케이스부재(100)의 일측 외벽에 고정되고 이 일측 외벽과 함께 케이스부재(100) 상에서 탈착 가능하게 분리되며 손잡이(110)의 하부에는 지지프레임(111)이 추후에 설명될 거름망부재(200)의 직하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 손잡이(110)는 거름망부재(200) 내에 걸러진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거름망부재(200)를 설치공간(140) 내에서 꺼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부재(100) 일측 외벽에 고정되되 그 하단부는 설치공간(140) 내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11)이 마련된다.
전술한 지지프레임(111)은 추후에 설명될 회전축부재(310)에 의해 거름망부재(200)와 연결되며, 이로 인해 손잡이(110)를 케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하면 지지프레임(111) 상에 연결되는 거름망부재(200)가 일시에 함께 분리된다.
또한 전술한 손잡이(110)의 상부 일측에는 원터치 타입의 스위치(120)가 구비되는데, 이 스위치(120)는 전술한 손잡이(110)를 케이스부재(100) 상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4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일단은 전술한 손잡이(110) 측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타단 역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전술한 케이스부재(100) 측에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즉, 스위치(120)의 일단을 눌러주면 스위치(120)의 타단이 올라가면서 케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되고 반대로 스위치(120)의 일단을 누르고 있던 압력을 제거하면 스위치(120)의 타단이 재차 케이스부재(1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전술한 케이스부재(100)의 일측에는 투시창(130)이 구비되는데, 이 투시창(130)은 설치공간(140) 내부의 거름망부재(20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사용자는 거름망부재(200)를 케이스부재(100)로부터 수시로 분리하지 않고도 거름망부재(200) 내부에 적체된 이물질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스위치(120)가 구비된 케이스부재(100)의 설치공간(140) 내에는 거름망부재(200)가 설치되는데, 이 거름망부재(200)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매쉬망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오수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거름망부재(200)는 케이스부재(100)의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설치공간(140) 내에 위치되되 상측 배 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받아낼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거름망부재(200)의 상단부 측 가장자리에는 케이스부재(100)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배수관(400)을 향해 그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고깔부재(210)가 연결 구비되는 것으로 하는데, 이는 첫째,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수가 케이스부재(100) 내로 유입되면서 거름망부재(200)가 아닌 그 바깥쪽의 설치공간(140) 내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둘째, 거름망부재(200)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적체됨으로 인해 오수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에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수가 역류되어 거름망부재(200)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거름망부재(200)의 눈은 머리카락과 같은 미세한 이물질도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구성을 위해 금속 재질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케이스부재(100)의 내, 외측에는 탈수수단(300)이 설치되는데, 이 탈수수단(300)은 작동 여부에 따라 거름망부재(200)를 회전시켜 거름망부재(200) 내부에 걸러진 이물질을 탈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탈수수단(300)은, 거름망부재(200)의 하부면과 지지프레임(111)의 상부면 사이에 개재되어 거름망부재(200)를 지지프레임(111) 상에 고정 지지시키되, 외주연 상에는 제 1 기어(311)가 형성되고 거름망부재(200)와는 고정 연결되며 지지프레임(111)과는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부재(310)와, 손잡이(110) 내에 누름 가능하게 위치되는 수직부재(321)와, 수직부재(321)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설치공간(140) 내로 연장 형성되어 회전축부재(310)와 면접되게 위치되되 그 일면에 제 1 기어(311)와 치합되는 제 2 기어(323)가 형성되는 수평부재(322)로 이루어져 있어 수직부재(321)의 누름여부에 따라 수평부재(322)가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거름망부재(200)를 회전시키는 누름부재(320)와, 수직부재(321)와 손잡이(11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손잡이(110) 내측으로 이동된 상기 누름부재(320)를 재차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스프링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회전축부재(310)는 거름망부재(200)를 지지프레임(111) 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거름망부재(200)의 하부면 중심점과 지지프레임(111) 사이 지점에 그 양단이 연결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거름망부재(200)와는 고정 연결되고 지지프레임(111)과는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전술한 누름부재(320)는 수직부재(321)의 누름 여부에 따라 거름망부재(200)를 회전시켜 이물질을 탈수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케이스부재(100)와 손잡이(110) 사이에 위치되는 수직부재(321)를 손잡이(110) 측으로 당겨주면 수평부재(322)가 손잡이(110) 측으로 수평이동되면서 제 2 기어(323)와 치합되는 제 1 기어(31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 1 기어(311)와 고정 연결되어 있는 거름망부재(2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탈수하는 원리이다.
또한 전술한 탕성스프링부재는 손잡이(110) 측으로 당겨진 수직부재(321)를 케이스부재(100) 측으로 탄성적으로 원위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때 수평부재(322)도 마찬자기로 손잡이(110)의 반대측, 즉 설치공간(140) 내로 수평이동되면서 제 2 기어(323)와 치합되는 제 1 기어(31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 1 기어(311)와 고정 연결되어 있는 거름망부재(2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탈수하는 원리이다.
이때 회전축부재(310)의 하부는 지지프레임(111)과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거름망부재(200)가 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라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거름망부재(200)가 누름부재(320)의 누름과 놓음에 따라 양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누름부재(320)를 누를 시에만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계수대 또는 세면대의 물이 잘 내려가지 않거나 거름망부재(200) 내부에 이물질이 많이 적체되어 있는 것을 투시창(130)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면 거름망부재(200)를 케이스본체(100)로부터 분리시기키기 위해 손잡이(110)를 파지하는데, 이때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 중 일부를 수직부재(321) 측에 걸어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수직부재(321)에 걸려져 있던 손가락으로 수직부재(321)를 손잡이(110) 측으로 당겨주면 수평부재(322)가 손잡이(110) 측으로 수평이동되면서 제 2 기어(323)와 치합되는 제 1 기어(31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제 1 기어(311)와 고정 연결되어 있는 거름망부재(2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탈수를 진행한다.
또한 손잡이(110) 측으로 당겨진 수직부재(321)를 놓아주면 탄성스프링부재(330)에 의해서 수직부재(321)가 원위치 되는데, 이때 수평부재(322)도 마찬자기로 손잡이(110)의 반대측, 즉 설치공간(140) 내로 수평이동되면서 제 2 기어(323)와 치합되는 제 1 기어(31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 1 기어(311)와 고정 연결되어 있는 거름망부재(2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탈수를 진행한다.
다수 회에 걸져 양방향으로 거름망부재(200)를 반복 회전시켜 탈수를 진행한 다음에는 손잡이(110) 상부에 구비되는 스위치(120)의 일단을 하측으로 눌러 지지프레임(111)을 포함한 손잡이(110), 케이스부재(100)의 일측 외벽, 회전축부재(310) 및 거름망부재(200)가 함께 케이스부재(100)로 부터 분리된다. 그런 다음, 거름망부재(200) 내부에 적체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다시 설치공간(140) 내로 분리된 부분을 원위치시켜 결합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 100 : 케이스부재
110 : 손잡이 111 : 지지프레임
120 : 스위치 130 : 투시창
140 : 설치공간 150 : 캡부재
200 : 거름망부재 210 : 고깔부재
300 : 탈수수단 310 : 회전축부재
311 : 제 1 기어 320 : 누름부재
321 : 수직부재 322 : 수평부재
323 : 제 2 기어 330 : 탄성스프링부재
400 : 배수관

Claims (6)

  1. 배수관 상에 연결되어 배관을 통해 배수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배수관용 거름장치에 있어서,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 하부면에는 배수관이 직결되며 일측에는 손잡이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케이스부재;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설치공간 내에 위치되되 상측이 개방되어 있어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배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부재; 및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 외측에 설치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거름망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거름망부재 내부에 걸러진 이물질을 탈수하는 탈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일측 외벽에 고정되어 상기 일측 외벽과 함께 상기 케이스부재 상에서 탈착 가능하게 분리되며, 하부에는 지지프레임이 상기 거름망부재의 직하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탈수수단은,
    상기 거름망부재의 하부면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거름망부재를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고정 지지시키되, 외주연 상에는 제 1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부재와는 고정 연결되며 상기 지지프레임과는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부재;
    상기 손잡이 내에 누름 가능하게 위치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설치공간 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재와 면접되게 위치되되 그 일면에 상기 제 1 기어와 치합되는 제 2 기어가 형성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수직부재의 누름여부에 따라 상기 수평부재가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상기 거름망부재를 회전시키는 누름부재;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손잡이 내측으로 이동된 상기 누름부재를 재차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를 상기 케이스부재 상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원터치 타입의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의 일측에는 설치공간 내부의 거름망부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부재의 상단부 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배수관을 향해 그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고깔부재가 연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
KR1020110030088A 2011-04-01 2011-04-01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 KR20120111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088A KR20120111553A (ko) 2011-04-01 2011-04-01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088A KR20120111553A (ko) 2011-04-01 2011-04-01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553A true KR20120111553A (ko) 2012-10-10

Family

ID=47282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088A KR20120111553A (ko) 2011-04-01 2011-04-01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155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9644A (zh) * 2015-10-31 2016-01-13 成都美饰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报警功能的抑菌防堵厨房水槽
CN105297847A (zh) * 2015-10-31 2016-02-03 成都美饰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抑菌功能的防堵厨房水槽
CN106988391A (zh) * 2017-05-09 2017-07-28 章水红 一种用于厨房环保型水池的废料收集装置
KR20220055031A (ko) * 2020-10-26 2022-05-03 김현동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세면기용 배수트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9644A (zh) * 2015-10-31 2016-01-13 成都美饰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报警功能的抑菌防堵厨房水槽
CN105297847A (zh) * 2015-10-31 2016-02-03 成都美饰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抑菌功能的防堵厨房水槽
CN106988391A (zh) * 2017-05-09 2017-07-28 章水红 一种用于厨房环保型水池的废料收集装置
CN106988391B (zh) * 2017-05-09 2019-05-17 章水红 一种用于厨房环保型水池的废料收集装置
KR20220055031A (ko) * 2020-10-26 2022-05-03 김현동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세면기용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1621B2 (en) Drain strainer and filter
US20190368184A1 (en) Drain filter apparatus to capture hair and debris
KR20120111553A (ko)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
KR101470259B1 (ko)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100654576B1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KR200426500Y1 (ko)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
JP5293130B2 (ja) 排水栓装置
KR102264471B1 (ko) 욕실 바닥 배수구용 거름망
KR20140052597A (ko) 부표와 여과망이 구비된 빗물처리장치
JP2008274708A (ja) 流下雨水の濾過装置
KR20080016983A (ko) 싱크대 걸름 장치
CN207401211U (zh) 一种废水循环处理设备
KR102121565B1 (ko) 싱크대용 걸름망
KR101194025B1 (ko) 배수구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60094616A (ko) 세면대용 거름망설치 배수관
KR20010088510A (ko) 배수용 오물제거장치
KR101265027B1 (ko) 주방 싱크대용 여과기
KR101938773B1 (ko) 거름 장치
JP3118235U (ja) 排水用ストレーナ
KR20180136165A (ko) 세면대 탈부착 거름망 배수마개
KR200400063Y1 (ko) 세면기용 배수밸브
KR100742213B1 (ko) 세척조의 배수장치
KR200192994Y1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용여과구
JP3091473U (ja) シンクの排水口のヌメリの除去具
KR200198681Y1 (ko) 1회용 배수구 거름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