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648A -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 - Google Patents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648A
KR20200089648A KR1020200084710A KR20200084710A KR20200089648A KR 20200089648 A KR20200089648 A KR 20200089648A KR 1020200084710 A KR1020200084710 A KR 1020200084710A KR 20200084710 A KR20200084710 A KR 20200084710A KR 20200089648 A KR20200089648 A KR 20200089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dome
skirt
blad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101B1 (ko
Inventor
남희철
이성하
전상집
Original Assignee
남희철
전상집
이성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희철, 전상집, 이성하 filed Critical 남희철
Publication of KR20200089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자루의 하부에 막힌 변기를 뚫는 하부캡을 형성하되, 하부캡의 상측 돔부는 쭈그려들지 않고 중간이하의 스커트부는 신축이 자유롭게 하며, 스커트부 외주면에는 변기 내면을 긁어내려 청소를 하는 상하부블레이드를 형성함으로써, 막힌 변기를 뚫는 과정에서 하부캡의 상측 돔부가 함몰되지 않고 하측의 유연한 스커트부가 변기의 내면과 접촉하는 형태로 구부려지면서 변기내면에 묻은 오물을 긁어내려서 변기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자루(10)의 하단부에 연질소재로써 캡형태로 형성되는 하부캡(20)이 설치된 변기청소구(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20)은 돔형상으로 형성되는 돔부(22)의 하부에 돔부(22) 보다 두께가 얇은 스커트부(23)가 형성되고, 상기 돔부(22)의 상측 중앙부에는 손잡이자루(10)의 삽입결합부(13)가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연결부(24)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커트부(23)의 하단부 외주연에는 끝부분이 뾰족하게 단면이 예각으로 형성되는 하부블레이드(28)가 나팔형태로 벌어지게 형성되고, 하부블레이드(28) 상측의 스커트부(23) 외주면에 상부블레이드(26)가 적어도 1열 이상으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The toilet bowl cleaning outlet capable of the blocked toilet bowl piercing}
본 발명은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자루의 하부에 막힌 변기를 뚫는 하부캡을 형성하되, 하부캡의 상측 돔부는 쭈그려들지 않고 중간이하의 스커트부는 신축이 자유롭게 하며, 스커트부 외주면에는 변기 내면을 긁어내려 청소를 하는 상하부블레이드를 형성함으로써, 막힌 변기를 뚫는 과정에서 하부캡의 상측 돔부가 함몰되지 않고 하측의 유연한 스커트부가 변기의 내면과 접촉하는 형태로 구부려지면서 변기내면에 묻은 오물을 긁어내려서 변기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변기청소구는, 손잡이자루의 하부에 무수히 많은 뻣뻣한 솔모로 이루어지는 솔부가 설치되어 변기본체의 내부면을 솔부로 문지르면서 청소를 하는데, 변기본체 내측의 보울 내면에 변 찌꺼기가 묻어있는 것을 솔부로 문지를 때 변 찌꺼기가 솔모 사이에 끼이게 되는 비위생적인 문제와, 변기본체의 보울 하측의 배수구 안쪽은 솔부로 세척하지 못하여 트랩과 이어지는 배수구 안쪽에 각종 찌꺼기가 남아 있게 되는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변기청소도구에 포함되는 변기압축기는 손잡이자루의 하부에 고무재로써 캡형태로 형성된 하부캡이 설치되어 변기의 배수구 및 트랩부가 막힌 경우에 하부캡을 배수구 입구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손잡이자루를 반복적으로 누르면, 하부캡 내부의 압력변화에 의해 변기의 막힌 부분을 뚫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변기청소도구는 솔부가 설치된 변기청소구와, 하부캡이 설치된 변기압축기를 각각 비치하여 필요에 따라 2개 중의 1개를 선택하여 사용해야 했고, 그렇게 2개의 변기청소도구(변기청소구, 변기압축기)를 구입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인 문제는 물론이고, 일반화장실의 좁은 공간에 더러워 보이는 2개의 변기청소도구를 두고 보아야 하는 불쾌감과, 공간을 더 차지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1개의 변기청소도구에 변기의 막힌 부분을 뚫는 변기압축기 기능과, 변기에 묻은 이물질이나 물때를 문질러서 청소하는 변기청소구의 기능을 1개의 변기청소구로써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첫 번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두 번째 기술적 과제는 하부캡을 상측 돔부는 쭈그려들지 않고 하측 스커부는 신축이 자유로운 연질소재(연질 수지)로 형성하며, 스커트부의 외주면에는 차량의 와이퍼나, 실리콘주걱과 같이 유연하게 구부려지는 상하부블레이드를 형성함으로써, 막힌 변기를 뚫거나 변기 내면을 청소하기 위하여 손잡이자루로 반복적으로 누를 때 하부캡의 돔형 상부가 함몰되지 않게 하고, 하측의 스커트부가 변기의 내면과 접촉하는 형상대로 구부려지면서 막힌 변기를 뚫고 변기의 내부면에 묻은 변 찌거기 등의 오물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두 번째 기술적 과제로한다.
세 번째, 기술적 과제는 하부블레이드의 저면에 수개의 바닥돌기를 하부블레이드의 하단부보다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청소를 마친 본 발명을 화장실 바닥에 세워둘 때, 하부블레이드의 하단부와 화장실 바닥과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물기가 고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손잡이자루의 하단부에 연질소재로써 캡형태로 형성되는 하부캡이 설치된 변기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은 돔형상으로 형성되는 돔부의 하부에 돔부 보다 두께가 얇은 스커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돔부의 상측 중앙부에는 손잡이자루의 삽입결합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연결부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커트부의 하단부 외주연에는 끝부분이 뾰족하게 단면이 예각으로 형성되는 하부블레이드가 나팔형태로 벌어지게 형성되고, 하부블레이드 상측의 스커트부 외주면에 상부블레이드가 적어도 1열 이상으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1개의 변기청소도구에 변기의 막힌 부분을 뚫는 변기압축기 기능과, 변기본체에 묻은 변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나 물때를 문질러서 청소하는 변기청소구의 기능을 1개의 변기청소구로써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하부캡의 상측 돔부는 쭈그려들지 않고 하측의 스커트부만 신축되게 하며, 스커트부의 외주면에는 상하부블레이드가 형성됨으로써, 막힌 변기를 뚫거나 변기 청소를 위하여 손잡이자루로 반복적으로 누를 때 하부캡의 돔형 상부가 함몰되지 않아서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게 되고, 유연한 스커트부가 변기의 내면과 접촉하는 형태대로 구부려져서 청소하는 면이 밋밋한 면은 물론이고 각진 모서리부분까지 문지르면서 청소가 가능하여 변기의 구석구석을 손상 없이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블레이드의 저면에 수개의 바닥돌기를 하부블레이드의 하단부보다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을 마친 본 발명을 화장실 바닥에 세워둘때, 하부블레이드의 하단부가 화장실 바닥과 틈새를 두어 물기가 고이지 않고 하부캡이 쉽게 건조하여 곰팡이의 서식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포함되는 하부캡이 수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변기청소구(10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질소재로써 캡형태로 형성되는 하부캡(20)과, 하부캡(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자루(10)를 포함하며, 하부캡(20)의 외경크기는 양변기(1)의 배수구(4)에 꽉 끼일 정도의 크기로 형성한다.
상기 하부캡(20)은 돔형상으로 형성되는 돔부(22)의 하부에 돔부(22) 보다 두께가 얇은 스커트부(23)가 형성되며, 상기 돔부(22)의 상측 중앙부에는 손잡이자루(10)의 삽입결합부(13)가 끼워지는 삽입연결부(24)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삽입연결부(24)의 외주면과 돔부(22)의 상부면 사이에는 수개의 보강리브(25)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삽입연결부(24)와 돔부(22) 및 보강리브(25)가 스커트부(23) 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손잡이자루(10)를 반복적으로 누를 때, 보강리브(25)가 아래로 함몰되지 않게 형성한다.
상기 돔부(22)와 스커트부(23)의 경계부는 두꺼운 돔부(22)와 얇은 스커트부(23)와의 경계부분이 손잡이자루(10)를 하측으로 누를 때 접히지 않게 하는 경사연결부(22a)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부(23)의 하단부 외주연에는 끝부분이 뾰족하게 단면이 예각으로 형성되는 하부블레이드(28)가 나팔형태로 벌어지게 형성되고, 하부블레이드(28) 상측의 스커트부(23) 외주면에 상부블레이드(26)가 적어도 1열 이상으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부블레이드(26)는 다수개로 분리되게 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블레이드(26)의 여러 곳에 간격부(27)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하부캡(20)을 변기 내면에 대고 누를 때, 상기 간격부(27)에 의해 스커트부(23)가 도 3에서와 같이 납작하게 수축이 잘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블레이드(28)의 저면에는 수개의 바닥돌기(29)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되, 바닥돌기(29)의 저면단부가 하부블레이드(28)의 하단부보다 소정의 높이만큼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변기청소구(100)를 화장실 바닥면(9)에 수직방향으로 세워둘 때,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블레이드(28)의 하단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된 바닥돌기(29)에 의해 하부블레이드(28)의 하단부와 바닥면(9) 사이에 소정의 틈새(c)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손잡이자루(10)는 자루본체(11)의 하부에 하부캡 (20)의 삽입연결부(24)에 끼워지는 삽입결합부(13)를 형성하되, 하부캡(20) 내측의 공기가 삽입연결부(24)를 통하여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삽입연결부(24) 상하부를 아래로 강하게 누르도록 자루본체(11)와 삽입결합부(13)의 경계부에 삽입연결부(24)의 상부를 덮는 형태의 상측플랜지부(12)가 형성되고, 삽입결합부(13)는 하방이 개방된 관형으로 형성되며, 관형으로 형성되는 삽입결합부(13)의 양측에 탄성걸림턱(1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걸림턱(14)은 상면이 삽입연결부(24)의 저면에 걸리도록 평평하게 형성되고, 하측 외부면은 삽입결합부(13)를 삽입연결부(24)로 삽입이 자유롭게 하향 경사진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이 탄성걸림턱(14)의 상부와 양측부가 삽입결합부(13)의 살부와 "
Figure pat00001
" 형으로 분리되게 절개되는 절개틈새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자루(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외에도 상측플랜지부(12) 하측의 삽입결합부(13) 외주연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나사식으로 체결하거나, 또는 삽입결합부(13)를 삽입연결부(24)의 내주면과 접착하여 결합하거나, 삽입연결부(24)와 삽입연결부(24)에 삽입된 삽입결합부(13)를 핀이나 나사를 수평 결합하여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다음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 내지 사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이 내지 사실시예의 공통점은 손잡이자루(10)와 돔부(22)를 경질합성수지로써 일체로 성형하고, 돔부(22)의 하부에 연질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고무재와 같은 연질소재로 형성되는 스커트부(23)를 결합 설치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의한 변기청소구(100)는, 손잡이자루(10)의 하단부에 캡형태로 형성되는 하부캡(20)이 설치된 변기청소구(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20)은 상측의 돔부(22)와, 돔부(22)의 하측에 상측이 결합 설치되는 관형 스커트부(23)로 분리 형성되며, 상기 돔부(22)는 경질 합성수지재로서 하방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면서 돔부(22)의 상측이 손잡이자루(10)의 하단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돔부(22)의 하단부 전둘레에는 상측 돔부의 살두께보다 얇아 휘어질 수 있게 하는 하부결합부(2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하부결합부(21)의 상측 살두께(T1) 보다 하측 살두께 (T2)를 얇게 형성하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며, 상기 하부결합부(21)의 외주면에 관형으로 형성되는 스커트부(23)의 상측 내주면이 결합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결합부(21)의 외주면에 스커트부(23)의 상부를 결합하는 방식은, 하부결합부(21)의 외주면에 스커트부(23)의 내주면을 접착에 의해 결합하거나, 또는 1차로 손잡이자루와 돔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의 하부결합부(21)의 외주면에 스커트부(23)를 이중으로 사출성형하여 결합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실시예에 포함되는 스커트부(2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스커트부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돔부(22)와 손잡이자루(10)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부분의 외주연에 수개의 보강리브(25)가 형성되는 구조도 동일함을 밝힌다.
즉, 이실시예에 포함되는 스커트부(23)는 스커트부(23)의 하단부 외주연에 하부블레이드(28)가 나팔형태로 벌어지게 형성되고, 하부블레이드(28) 상측의 스커트부(23) 외주면에 상부블레이드(26)가 적어도 1열 이상으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부블레이드(26)는 다수개로 분리되게 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블레이드(26)들의 사이에 간격부(27)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하부캡(20)을 변기 내면에 대고 누를 때, 상기 간격부(27)에 의해 스커트부(23)가 도 3에서와 같이 납작하게 수축이 잘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블레이드(28)의 저면에는 수개의 바닥돌기(29)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되, 바닥돌기(29)의 저면단부가 하부블레이드(28)의 하단부보다 소정의 높이만큼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다음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써, 삼실시예는 이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다른 점은 삼실시예에서는 하부결합부(21)에 수개의 통공(30)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하부결합부(21)의 외주연에 스커트부(23)를 이중사출 성형에 의해 감싸지게 성형과정에서 스커트부(23)를 형성하는 소재가 응고되어 형성되는 리벳부(31)가 통공(30)에 들어가 결합되는 것이다.
삼실시예의 경우에 이중사출을 하지 않고, 손잡이자루가 일체로 형성된 돔부부(22) 하방의 하부결합부(21)의 외주연에 스커트부(23)를 끼우고 통공(30)이 형성된 부분을 리벳으로 결합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다음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사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써, 사실시예는 이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다른 점은 하부결합부(21)에 하부가 개방되는 다수개의 절개부(32)를 형성하여 하부결합부(21)가 잘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삼,사실시예 모두 경질 소재로 형성되는 돔부(22)의 하측 외주연에 상부측 돔부의 살두께 보다 얇은 하부결합부(21)를 형성하여 하부결합부(21)가 휘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렇게 휘어질 수 있게 형성되는 하부결합부(21)의 외주면에 연질소재로 형성되는 관형 스커트부(23)를 접착이나, 또는 이중사출에 의해 결합 설치하는 것에 공통적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위에서 이,삼,사실시예 모두 돔부(22)의 하측 외주연에 상부측 돔부의 살두께 보다 얇게 하부결합부(21)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스커트부(23)의 상부가 결합되는 하부결합부(21)를 상부측 돔부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하면서 그 외주면에 스커트부(23)의 상부를 결합하여도 무방한데, 그 이유는 스커트부(23)가 연질소재로 형성되어 스커트부(23)가 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연질소재로 성형되는 하부캡(20)과, 경질소재로 형성되는 손잡이자루(10)로 분리 형성되어 있다.
이때, 손잡이자루(10)의 하측 삽입결합부(13) 양측에 하측이 하향 경사지고 상측이 평평한 탄성걸림턱(14)이 "
Figure pat00002
" 형 절개틈새부(15) 내측에 형성되어 탄성걸림턱(14)은 자체탄성을 지니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삽입결합부(13)의 하단부를 하부캡(20)의 상부측 삽입연결부(24)에 삽입시키면, 손잡이자루(10)를 밀어 넣는 힘에 의해 삽입결합부(13)의 하단부가 삽입연결부(24)의 내부로 삽입되다가 탄성걸림턱(14)의 하측 하향 경사면이 삽입연결부(24)의 내벽에 걸리게 되나, 손잡이자루(10)를 밀어 넣는 힘에 의해 탄성걸림턱(14)이 내측 방향으로 휘면서 삽입이 이루어지고, 탄성걸림턱(14)이 삽입연결부(24)의 내부를 모두 통과하면, 내측으로 휘었던 탄성걸림턱(14)이 자체탄력에 의해 외측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탄성걸림턱(14)의 상측 평면부가 도 2와 같이 삽입연결부(24)의 하단부에 걸리게 된다.
이때, 삽입결합부(13) 상측의 상측플랜지부(12)는 삽입연결부(24)의 상면 전체를 덮게 되고, 탄성걸림턱(14)의 평면부는 삽입연결부(24)의 하측 저면에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손잡이자루(10)가 하부캡(20)의 삽입연결부(24)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측플랜지부(12) 하부가 삽입연결부(24)를 꽉 막아서 하부캡(20) 내부공간의 공기가 삽입연결부(24)를 통하여 상부로 누설되게 않게 결합된다.
이렇게 하부캡(20)의 상부에 손잡이자루(10)를 결합한 뒤에는 변기에 묻은 이물질이나 물때 등의 오물을 상부블레이드(26)와 하부블레이드(28)로 문지르면서 청소할 수 있는데, 이는 주방에서 사용하는 실리콘주걱으로 주방용기의 내부면에 담긴 음식물을 깔끔하게 긁어내는 것과 같이 변기에 묻은 오물을 깔끔하게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양변기(1)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변이 낙하되고 물이 담기는 보울(3)의 넓은 곡면과, 사용자가 않게 되는 시트(8)가 안착되는 시트걸림부(6)의 내측 하부와 보울(3)의 상측이 연결되는 내측모서리부(7)까지 하부캡(20)으로 문지를 수 있게 된다.
도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캡(20)이 상부측 돔부(22)는 두껍고 그 하측의 스커트부(23)는 얇게 연질합성수지나 고무재 등의 연질소재로 형성되면서 하방이 개방되어서 하부캡(20)을 보울(3)의 내부면에 대고 옆으로 누르면, 하부캡(20)이 접촉된 위치와 누르는 힘의 세기에 따라 스커트부(23)가 납작하게 수축되고 휘게 된다.
스커트부(23)가 접히듯 수축될 때,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상부블레이드(26)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스커트부(2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서 간격부(27)가 형성되는 부분은 상부블레이드(26)가 일체로 연결 형성된 부분보다 약한 외력에 휘기 때문에 간격부(27)가 형성된 부분이 잘 휘게 되고, 스커트부(23) 상측의 돔부(22)는 스커트부(23) 보다 두꺼워서 잘 휘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이 스커트부(23)를 표면이 단단한 변기본체(2)에 대고 누를 때, 스커트부(23)가 유연하여 잘 휘게 됨에 따라 보울(3)의 넓은 면이나, 시트걸림부(6) 하측의 내측모서리부(7)를 그들 형상대로 휘는 스커트부(23)로 문지르게 되는데, 스커트부(23)의 외부에는 하부블레이드(28)와 수개의 상부블레이드(26)가 주방에서 사용하는 실리콘주걱으로 주방용기의 내부면에 담긴 음식물을 깔끔하게 긁어내는 것과 같이 변기에 묻은 오물을 깔끔하게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변기청소구(10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변기(1)의 배수구(4)나 그 안쪽의 트랩부(5)가 막힌 경우에 종래의 일반적인 변기압축기로 변기의 막힌 부분을 뚫는 것과 같이 변기의 막힌 부분을 뚫을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변기의 막힌 부분을 본 발명에 의한 변기청소구(100)로 뚫고자 하는 경우에는, 변기청소구(100)의 하부측 하부캡(20)을 배수구(4)로 삽입시키는데 하부캡(20)의 외경이 양변기(1)의 배수구(4)에 꽉 끼일 크기로 형성되어 하부캡(20)을 배수구(4)로 삽입시켰을 때, 배수구(4) 내측의 공기가 하부캡(20)의 상측으로 새지 않게 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자루(10)를 손으로 잡고 배수구(4)를 쑤시듯이 펌핑동작을 반복하면, 하부캡(20) 내측 공간부와 그 공간과 연통되는 배수구(4) 안쪽에서 압력이 작용하여 배수구(4)와 그 안쪽의 트랩부(5)가 막힌 것을 뚫게 된다.
위와 같이 손잡이자루(10)를 잡고 하부캡(20)을 배수구(4)에 삽입하고 펌핑동작을 할 때,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루본체(11)를 아래로 누르는 힘에 의해 상측플랜지부(12)가 삽입연결부(24)를 내리 눌러 하부캡(20)이 하측으로 눌리게 되고, 상측으로 당길 때는 삽입결합부(13)의 양측 하부에 외향 돌출된 탄성걸림턱(14)의 상측 평면부가 삽입연결부(24)의 하단부에 걸려서 손잡이자루(10)를 상측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손잡이자루(10)를 비롯한 하부캡(20)이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상기 하부캡(20)이 상하로 하강과 상승을 반복할 때, 하부캡(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부블레이드(26)와 하부블레이드(28)가 그들이 접촉하는 배수구(4)의 내주면을 긁어주면서 그 배수구(4)의 내주면에 묻은 이물질을 청소하게 된다.
이렇게 변기청소구(1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하부캡(20)을 아래로 누를 때, 돔부(22)와 삽입연결부(24), 그리고, 보강리브(25)와 삽입연결부(24)의 외주면 사이에 일체로 연결 형성된 보강리브(25)가 두껍게 형성되어 연질의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보강리브(25)부터 그 상측의 삽입연결부(24)와, 그 외측의 보강리브(25)가 접히거나 수축하지 않고, 돔부(22) 하측의 스커트부(23)만 휘거나 수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두꺼운 돔부(22)와 얇은 스커트부(23)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부분이 경사연결부(22a)로 연결 형성되어서 손잡이자루(10)를 아래로 누를 때, 돔부(22)와 스커트부(23)의 연결부분이 접히지 않으며, 손잡이자루(10)를 아래로 누를 때, 돔부(22)는 휘거나 수축되지 않고 그 하방의 스커트부(23)가 수축 및 휘면서 필요한 바대로 보울(3)과 배수구(4)의 내부면을 긁으면서 청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변기청소구(100)를 사용을 마친 뒤에 변기청소구(100)를 화장실의 바닥면(9)에 거꾸로 세워 두면, 하부캡(20)의 하단 하부블레이드(28)에 하향 돌출된 수개의 바닥돌기(29)에 의해 하부블레이드(28)의 하단부와 화장실의 바닥면(9) 사이에는 바닥돌기(29)가 돌출된 높이만큼 틈새(c)가 형성되어 하부캡(20)이 놓여진 바닥면(9)과 하부캡(20)의 내부 공간이 서로 통기되어 하부캡(20)이 놓인 부분에 물기가 남아있지 않고 하부캡(20)의 내부면이 건조하여 곰팡이 발생을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삼,사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써, 이들은 손잡이자루(10)와 그 하방의 돔부(22)가 경질소재에 의해 일체로 사출 형성되고, 돔부의 하부에 상측 돔부보다 살두께가 얇은 하부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하부결합부(21)에 연질소재로 형성되는 관형 스커트부(23)가 결합되어서 손잡이자루(10)를 잡고 하측의 스커트부(23)를 변기에 대고 누를 때, 상측의 단단한 돔부(22)가 찌그러지지 않고 연질 소재로 된 스커트부(23)만 휘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자루(10)를 잡고 하측의 스커트부(23)를 변기에 대고 문지르면 스커트부(23)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하부블레이드(26,28)에 의해 변기에 묻은 오물이 청소되는 것과, 하부블레이드(28) 하측의 바닥돌기(29)에 의해 이,삼,사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을 바닥에 세워 놓을 때 바닥면과 하부블레이드(28)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은 동일하다.
이때, 이,삼,사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에서 스커트부(23)이 결합되는 돔부 하측의 하부결합부(21)가 상측 돔부보다 살두께가 얇게 형성되어서 스커트부(23)를 변기에 대고 문지르거나 누를 때, 위의 하부결합부(21)가 조금이지만 함께 휘게 되어 스커트부(23)가 휘거나 접히는데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결합부(21)의 살두께가 상측보다 하측이 더 얇음에 따라 스커트부(23)가 조금이라도 잘 휘게 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사실시예의 경우는 하부결합부(21)에 하방이 개방되는 수개의 절개부(32)가 형성되어서 하부결합부(21)가 더 잘 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삼실시예의 경우는 하부결합부(21)의 외주면에 스커트부(23)를 결합 설치할 때, 하부결합부(21)의 외주면에 연질 소재로 형성되는 스커트부(23)를 이중 사출하는 과정에서 액상의 연질소재가 하부결합부(21)에 형성된 통공(30)으로 들어간 뒤에 응고하면 통공(30)에 리벳부(31)가 결합되어 결합력이 증대되게 되는 것이다.
1 : 양변기 2 : 변기본체 3 : 보울
4 : 배수구 5 : 트랩부 6 : 시트걸림부
7 : 내측모서리부 8 : 시트 9 : 바닥면
10 : 손잡이자루 11 : 자루본체 12 : 상측플랜지부
13 : 삽입결합부 14 : 탄성걸림턱 15 : 절개틈새부
20 : 하부캡 21 : 하부결합부 22 : 돔부
22a : 경사연결부 23 : 스커트부 24 : 삽입연결부
25 : 보강리브 26 : 상부블레이드 27 : 간격부
28 : 하부블레이드 29 : 바닥돌기 30 : 통공
31 : 리벳부 100 : 변기청소구 c : 틈새

Claims (10)

  1. 손잡이자루(10)의 하단부에 연질소재로써 캡형태로 형성되는 하부캡(20)이 설치된 변기청소구(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20)은 돔형상으로 형성되는 돔부(22)의 하부에 돔부(22) 보다 두께가 얇은 스커트부(23)가 형성되고, 상기 돔부(22)의 상측 중앙부에는 손잡이자루(10)의 삽입결합부(13)가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연결부(24)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커트부(23)의 하단부 외주연에는 끝부분이 뾰족하게 단면이 예각으로 형성되는 하부블레이드(28)가 나팔형태로 벌어지게 형성되고, 하부블레이드(28) 상측의 스커트부(23) 외주면에 상부블레이드(26)가 적어도 1열 이상으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
  2. 손잡이자루(10)의 하단부에 캡형태로 형성되는 하부캡(20)이 설치된 변기청소구(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20)은 상측의 돔부(22)와, 돔부(22)의 하측에 상측이 결합 설치되는 관형 스커트부(23)로 분리 형성되며, 상기 돔부(22)는 경질 합성수지재로서 하방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면서 돔부(22)의 상측이 손잡이자루(10)의 하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커트부(23)는 연질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써 형성되며, 스커트부(23)의 하단부 외주연에 하부블레이드(28)가 나팔형태로 벌어지게 형성되고, 하부 블레이드(28) 상측의 스커트부(23) 외주면에 상부블레이드(26)가 적어도 1열 이상으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레이드(26)는 다수개로 분리되게 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블레이드(26)들 사이에는 간격부(27)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하부블레이드(28)의 저면에는 수개의 바닥돌기(29)가 하부블레이드(28)의 하단부보다 소정의 높이만큼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연결부(24)의 외주면과 돔부(22)의 상부면 사이에는 수개의 보강리브(25)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돔부(22)와 스커트부(23)의 경계부는 경사연결부(22a)로 연결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자루(10)는 자루본체(11)의 하부에 하부캡(20)의 삽입연결부(24)에 끼워지는 삽입결합부(13)를 형성하되, 자루본체(11)와 삽입결합부(13)의 경계부에 삽입연결부(24)의 상부를 덮는 형태의 상측플랜지부(12)가 형성되고, 삽입결합부(13)는 하방이 개방된 관형으로 형성되며, 관형으로 형성되는 삽입결합부(13)의 양측에 탄성걸림턱(14)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걸림턱(14)은 상면이 삽입연결부(24)의 저면에 걸리도록 평평하게 형성되고, 하측 외부면은 삽입결합부(13)를 삽입연결부(24)로 삽입이 자유롭게 하향 경사진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이 탄성걸림턱(14)의 상부와 양측부가 삽입결합부(13)의 살부와 "
    Figure pat00003
    " 형으로 분리되게 절개되는 절개틈새부(15)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23)의 상부가 결합 설치되는 돔부(22)의 하측 전둘레에는 상부측 돔부의 살두께 보다 두께가 얇은 하부결합부(21)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결합부(21)의 상측 살두께(T1) 보다 하측 살두께(T2)를 얇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결합부(21)에 수개의 통공(30)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하부결합부(21)의 외주연에 스커트부(23)의 이중사출 성형에 의해 감싸지게 성형과정에서 스커트부(23)에 형성되는 리벳부(31)가 통공(30)에 들어가 결합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결합부(21)에 하방이 개방되는 다수개의 절개부(32)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
  10. 제 2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돔부(22)와 손잡이자루(10)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부분의 외주연에 수개의 보강리브(25)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
KR1020200084710A 2020-06-03 2020-07-07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 KR1023341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351 2020-06-03
KR1020200068351A KR20200073179A (ko) 2020-06-03 2020-06-03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648A true KR20200089648A (ko) 2020-07-27
KR102334101B1 KR102334101B1 (ko) 2021-12-02

Family

ID=711381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351A KR20200073179A (ko) 2020-06-03 2020-06-03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
KR1020200084710A KR102334101B1 (ko) 2020-06-03 2020-07-07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351A KR20200073179A (ko) 2020-06-03 2020-06-03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0731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892B1 (ko) * 2020-10-08 2022-04-11 여상혁 공기압축이 용이한 변기 청소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634U (ja) * 1993-09-14 1995-04-04 ▲よし▼雄 三原 便器清掃用ブラシ
KR20000019650U (ko) * 1999-04-13 2000-11-25 이상배 양변기용 관통장치
KR102094759B1 (ko) * 2019-01-25 2020-03-31 창신리빙(주) 양변기용 압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634U (ja) * 1993-09-14 1995-04-04 ▲よし▼雄 三原 便器清掃用ブラシ
KR20000019650U (ko) * 1999-04-13 2000-11-25 이상배 양변기용 관통장치
KR102094759B1 (ko) * 2019-01-25 2020-03-31 창신리빙(주) 양변기용 압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892B1 (ko) * 2020-10-08 2022-04-11 여상혁 공기압축이 용이한 변기 청소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179A (ko) 2020-06-23
KR102334101B1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6020B2 (en) Whisk wiper
KR20200089648A (ko) 막힌 변기 뚫기가 가능한 변기청소구
US20150074891A1 (en) Single-use sink strainer
US7771135B2 (en) Scrubber and cleaning fluid dispenser assembly
KR100441441B1 (ko) 분진포집형 각질제거기
US20110094021A1 (en) Single-use sink strainer
US10086411B1 (en) Whisk wiper
US10638895B2 (en) Toilet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cleaning a toilet
US20220112703A1 (en) Drain Cleaning Device
JP2001186929A (ja) ブラシ状洗浄用具
KR101524927B1 (ko) 청소용 솔
JP4357664B2 (ja) 合体清掃具
US5577289A (en) Scrubber mat device with dual abrasive surface for sink divider wall
US20060288471A1 (en) Drain plunger with a see through plunger element
JP2010047993A (ja) ヘアキャッチャー及びそれを備えた洗面化粧台
JP6887819B2 (ja) 排水口用ストレーナー装置
KR20210007779A (ko) 청소 도구
US2540768A (en) Sponge mop and holder therefor
US20230165410A1 (en) Hair Collection Device
KR102187014B1 (ko)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청소용 브러쉬
KR200262305Y1 (ko) 씽크대 찌꺼기 거름망
KR102005873B1 (ko) 싱크대용 거름망
KR102246694B1 (ko) 청소 도구
KR200490816Y1 (ko) 청소 도구
US20220265100A1 (en) Toilet scrub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