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412B1 -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 - Google Patents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412B1
KR101677412B1 KR1020160035138A KR20160035138A KR101677412B1 KR 101677412 B1 KR101677412 B1 KR 101677412B1 KR 1020160035138 A KR1020160035138 A KR 1020160035138A KR 20160035138 A KR20160035138 A KR 20160035138A KR 101677412 B1 KR101677412 B1 KR 101677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cleaning block
drain
block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필
김용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수이앤에스
이희필
김용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수이앤에스, 이희필, 김용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수이앤에스
Priority to KR1020160035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에 녹으면서 싱크대 배수관에 고착된 유지방 등을 분해 및 살균하여 싱크대 배수구의 세정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시키고 배수구를 통해 역류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싱크대용 배수캡의 캡본체의 저면에 고정되어 세정블록을 수납하는 세정블록 수납컵의 일측에는 힌지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자석 또는 푸쉬버튼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게 하여, 세정블록 수납컵의 개폐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세정블록 수납컵에 수납되는 세정블록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싱크대용 배수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 A drainage cap for sink }
본 발명은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물에 녹으면서 싱크대 배수관에 고착된 유지방 등을 분해 및 살균하여 싱크대 배수구의 세정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시키고 배수구를 통해 역류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싱크대용 배수캡의 캡본체의 저면에 고정되어 세정블록을 수납하는 세정블록 수납컵의 일측에는 힌지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자석 또는 푸쉬버튼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게 하여, 세정블록 수납컵의 개폐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세정블록 수납컵에 수납되는 세정블록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싱크대용 배수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조리할 음식 재료를 씻거나 다듬고, 음식을 조리한 요리기구 또는 식기류를 세정하고, 음식 쓰레기를 처리하는 생활가구로서, 음식에 포함된 유지방을 비롯한 각종 오염물이 섞인 생활하수를 하수 처리시설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지방을 비롯한 오염물이 포함된 생활하수는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결된 배수관 내에는 생활하수에 포함된 유지방과 같은 각종 오염물이 고착되게 되어 배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며 여기에 각종 세균이 번식하게 되어 악취가 배수관을 타고 역류하여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실내로 유출되게 된다.
따라서, 생활하수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을 분해하여 배수관에 고착되지 못하도록 싱크대 배수구의 입구에 설치되는 배수캡에 세정액 또는 세정블록 등의 세정물질을 수납하여, 설거지를 할 때 사용하는 물이 배수캡에 수납된 세정물질을 녹여 세정물질에 내포된 세정성분으로 유지방 등의 오염물을 분해 및 살균하여 배수관에 고착되지 못하게 하고 바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잔존하는 오염물에 의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싱크대 배수구의 입구에 설치되어 세정물질을 수납하는 싱크대용 배수캡에 관한 종래의 방안을 살펴보면, 먼저 액체 세정물질을 수납하도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6313호, 명칭으로 '방부 처리 기능이 있는 싱크대 뚜껑'이 제안된바, 상기 제안에 따르면 방부 용액을 싱크대 뚜껑에 설치되는 용액보관통에 수용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용액보관통을 눌러 수용된 방부 용액을 싱크대 배수구로 흐르게 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안은 설거지를 하면서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용액보관통의 상부를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용액보관통 내부에 수용된 방부 용액이 싱크대 배수구로 흐르도록 용액보관통의 구조를 복잡하게 구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설거지할 때 사용하는 물을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한계점이 있는 제안이어서,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해 현재에는 액체 세정물질을 수용하는 싱크대용 배수캡의 사용은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고형(固形)의 세정물질 즉 세정블록을 수납하도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742호, 명칭으로 '싱크대 배수구 커버'가 제안된바, 상기 제안에 따르면, 세정블록을 수납하는 덮개부, 거치부, 배출부로 이루어지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덮개부를 착탈가능하게 덮는 뚜껑부로 이루어지는 싱크대 배수구 커버를 싱크대 배수구의 입구에 설치하여 설거지할 때 사용하는 물을 활용하여 세정블록을 녹여 하부의 싱크대 배수관으로 흐르게 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안은 세정블록을 덮개부 중앙의 오목한 수납공간상에 수납하게 되어 어느 정도 높이의 물이 차 있어야 세정블록을 녹인 세정수가 덮개부의 수납공간을 넘치면서 유출로를 통해 하부 방향의 싱크대 배수관으로 흐르게 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설거지 물을 싱크대 배수관으로 배출시키는 배수공이 작아 통상적으로 고무장갑을 낀 채로는 사용자의 손을 배수공에 넣을 수 없어, 싱크대 배수구 커버를 배수구 입구로부터 이탈시켜 배수구 커버를 건조시키거나 세정블록을 교체하기 위해서 고무장갑을 벗고 맨손으로 배수구 커버를 이탈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커버본체에 세정블록을 수납하게 되어 커버본체의 구조가 복잡하며, 설거지를 할 때 사용되는 물과 세정블록이 녹아 생성되는 세정액이 싱크대 상부로 올라오지 않으면서 함께 원활하게 하부의 배수관으로 흐르도록 배출부의 형성구조를 정교하게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6313호 (선행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742호
본 발명은, 고형의 세정블록을 수납하는 상기 선행문헌 2의 싱크대용 배수캡의 불편함 및 문제점을 해결하여 설거지의 물과 세정액이 싱크대 상부 내부로 올라오지 않으면서 함께 하부의 배수구로 신속히 배출되고, 세정블록을 수납하는 세정블록 수납컵을 싱크대용 배수캡의 캡본체에 고정되게 하여 세정블록의 교환이 신속하고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설치되며 세정블록 수납컵이 결합되는 싱크대용 배수캡에 있어서, 세정블록을 수납하는 세정블록 수납컵의 일측에 힌지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자석 또는 푸쉬버튼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게 하여 세정블록 수납컵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여, 세정블록 수납컵에 수납되는 세정블록의 교환이 신속하고 용이하도록 하며, 또한 싱크대용 배수캡의 캡본체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수공에 고무장갑을 낀 사용자의 손가락이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확장공부를 형성하여 설거지를 하면서도 사용자가 장갑을 낀 상태로 손쉽게 싱크대용 배수캡을 배수구로부터 이탈시켜 세정블록의 용이한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며, 세정블록에 의한 세정효율을 높이기 위해 세정블록을 녹게 하는 설거지 물이 유입되는 수(水)유입공이 형성되는 부분을 중앙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하여 세정블록을 더욱 원활하고 용이하게 녹게 되도록 하는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거치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거치환테와, 상기 거치환테에 인접하여 설거지의 물을 배수구로 배출시키고 고무장갑을 낀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어 집을 수 있는 다수의 배수공과, 상기 거치환테 및 배수공 사이에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면서 설거지 물을 상기 배수공을 통해 하부로 안내하는 경사배수유로와, 중앙에 형성되며 세정블록에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수(水)유입공과, 저면으로 세정블록 수납컵을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힌지회동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세정블록 수납컵에 설치된 자석이 결합되도록 하는 금속판이 형성된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의 힌지회동부에 힌지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힌지고정부가 외주연 일측에 형성되고, 외주연 타측에 상기 금속판에 자석결합되는 자석이 삽입되어 고정배치된 결합편이 형성되며, 내부로 세정블록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세정블록을 녹인 세정액이 하부의 싱크대 배수구로 바로 흐르도록 하는 다수의 세정액 배출공이 형성된 세정블록 수납컵;으로 이루어지는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치환테와 접하는 부분의 상기 배수공의 중간에는 확장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의 확장공부에 대응하게 상기 경사배수유로 상에는 경사오목면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水)유입공이 형성되는 부분은 설거지 물의 집수효율을 높여 세정블록을 더욱 원활하고 용이하게 녹게 되도록 중앙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은, 세정블록을 수납하는 세정블록 수납컵의 일측이 캡본체의 저면에 힌지고정되고 타측이 자석에 의해 자석고정되어 있어, 세정블록 수납컵을 캡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일측이 고정되면서 용이하게 개방 및 폐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세정블록을 세정블록 수납컵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동시에 세정블록 수납컵에 잔존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외부 배출이 매우 용이하며, 캡본체의 하부에 고정되어 개폐가능한 세정블록 수납컵을 배치하여 설거지하면서 사용하는 물로 세정블록을 녹여 오염물을 분해 세정하는 세정액이 하부의 싱크대 배수구를 통해 배수관으로 바로 흐르게 하여 오염물을 분해 및 살균하여 제거하고 배수관에 오염물이 잔존하지 못하도록 하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하고, 싱크대용 배수캡의 캡본체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수공에 고무장갑을 낀 사용자의 손가락이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확장공부를 형성하여 설거지를 하면서도 사용자가 장갑을 낀 상태로 손쉽게 싱크대용 배수캡을 배수구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며, 세정블록을 녹게 하는 설거지 물이 유입되는 수(水)유입공이 형성되는 부분을 중앙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하여 세정블록을 더욱 원활하고 용이하게 녹게 되도록 설거지 물의 집수효율을 높일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 수납컵이 분리된 캡본체의 저면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 수납컵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 수납컵이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의 세정블록 수납컵의 잠금과 해제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의 캡본체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 수납컵의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설명되는 실시예는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고 등가관계의 균등물로 치환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각 실시예의 설명에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최초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자세한 설명을 개시하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를 생략하거나 간략히 기재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A)은,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 배수구의 입구에 거치되어 설치되는 캡본체(1)와, 상기 캡본체(1)의 저면으로 힌지고정되면서 자석결합으로 개폐되며 내부로 세정블록(d)을 수납하는 세정블록 수납컵(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본체(1)는,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거치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거치환테(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환테(11)에 인접하여 설거지의 물을 싱크대 배수구로 배출시키고 고무장갑을 낀 사용자가 장갑을 벗지 않고도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A)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는 확장공부(12a)가 중간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12)과, 상기 거치환테(11) 및 배수공(12) 사이에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면서 설거지 물을 하부로 안내하고 상기 배수공(12)의 확장공부(12a)에 대응하는 경사오목면(13a)이 형성되어 장갑 낀 사용자의 손가락을 집어넣어 더욱 용이하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A)을 집을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경사배수유로(13)와, 세정블록(d)에 물이 유입되도록 중앙에 형성된 다수의 수(水)유입공(14)과, 저면 일측으로 세정블록(d)을 수납하는 세정블록 수납컵(2)이 힌지회동하도록 하는 힌지회동부(15)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세정블록 수납컵(2)에 설치된 자석(22a)이 결합하도록 하는 금속판(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치환테(1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A)이 싱크대 배수구의 입구에 거치될 수 있도록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공(12)은, 상기 거치환테(11)에 인접하여 상하 연통되게 형성되어 설거지의 물을 싱크대 배수구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배수공(12)의 중간부에는 사용자가 고무장갑을 벗지 않고 낀 채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집어넣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A)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하는 확장공부(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는 3개의 배수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공(12)의 형성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의해 가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경사배수유로(13)는, 상기 거치환테(11) 및 배수공(12) 사이에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면서 설거지 물을 상기 배수공(12)을 통해 하부의 싱크대 배수구로 안내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배수공(12)의 확장공부(12a)에 대응하는 위치에 경사오목면(13a)이 형성되어 고무장갑을 낀 사용자가 손가락을 집어넣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A)을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사배수유로(13)는 상기 배수공(12)의 형성 개수와 동일하게 3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유입공(14)은, 설거지를 할 때 사용하는 물이 세정블록 수납컵(2)에 수납된 세정블록(d)에 유입되도록 중앙에 상하 연통되게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2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형성 개수는 필요에 의해 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유입공(14)이 형성되는 부분은 설거지 물이 세정블록(d)을 더욱 원활하고 용이하게 녹게 되도록 중앙을 향해 오목하게 오목부(14a)가 형성되어 있어, 설거지 물이 효율적으로 모여 집수효율을 높이면서 하부의 세정블록 수납컵(2)의 수납공간(23)으로 낙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세정블록(d)을 더욱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녹게 하여 세정효율을 높이게 된다.
상기 힌지회동부(15)는, 캡본체(1)의 저면 일측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면서 중앙에 힌지핀(15b)이 삽입되는 삽입공(15aa)이 형성된 한 쌍의 돌출편(15a)과 상기 돌출편(15a)에 삽입되는 힌지핀(15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회동부(15)에는 후술하는 세정블록 수납컵(2)의 힌지고정부(21)가 힌지결합하여 고정된다. 상기 돌출편(15a) 및 힌지핀(15b)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힌지회동부(15)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금속판(16)은, 상기 캡본체(1)의 저면으로 상기 힌지회동부(15)에 대향하는 타측에 삽입되어 고정배치되며, 세정블록 수납컵(2)의 결합편(22)에 삽입되어 배치된 자석(22a)이 상기 금속판(16)에 자석결합하면서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이 상기 캡본체(1)의 저면 타측에서 자석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금속판(16)이 상기 캡본체(1)의 저면 타측으로 삽입 배치되도록, 상기 캡본체(1)의 저면에는 상기 금속판(16)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요홈(도면에는 미도시함)이 삭설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금속판(16)의 형성 위치 및 개수는 자석(22a)이 고정배치된 세정블록 수납컵(2)의 결합편(22)의 형성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세정블록(d)을 수납하게 되는 컵 형상의 구성으로서, 상기 캡본체(1)의 힌지회동부(15)에 힌지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힌지고정부(21)가 외주연 일측에 형성되고, 외주연 타측에 상기 금속판(16)에 자석결합되는 자석(22a)이 삽입되어 고정배치된 결합편(22)이 형성되며, 내부에 세정블록(d)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3)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세정블록(d)을 녹인 세정액이 하부의 싱크대 배수구로 바로 흐르도록 하는 다수의 세정액 배출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고정부(21)는, 세정블록 수납컵(2)의 외주연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캡본체(1)의 힌지회동부(15)에 힌지회동 가능하게 힌지고정된다. 상기 힌지고정부(21)는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세정블록 수납컵(2)의 외주연에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힌지회동부(15)의 한 쌍의 돌출편(15a)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힌지핀(15b)이 삽입되어 세정블록 수납컵(2)이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중앙에 중공(2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회동부(15) 및 힌지고정부(21)의 힌지고정 및 힌지회동에 의해,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이 캡본체(1)로부터 자석결합 해제되어도 분리되지 않고 일측으로 힌지고정되게 되어 세정블록 수납컵(2)이 캡본체(1)에 고정된 채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편(22)은,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외주연 타측에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캡본체(1)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금속판(16)에 자석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석(22a)이 상부로 삽입되어 고정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자석(22a)과 금속판(16)이 자석결합함으로써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이 상기 캡본체(1)의 저면 타측으로 자석결합하여 고정되거나 자석결합 해제하여 개방되게 된다. 상기 자석(22a)이 상기 결합편(22)의 상면으로 삽입 고정배치되도록, 상기 결합편(22)의 상면에는 상기 자석(22a)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요홈(도면에는 미도시함)이 삭설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는 상기 결합편(22)은 상기 힌지고정부(21)의 정반대의 대향 위치에 1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그 형성 개수는 필요에 따라 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결합편(22) 및 금속판(16)은 상호 자석결합으로 고정되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A)의 캡본체(1) 및 세정블록 수납컵(2)의 자석결합은 외부의 작은 힘에 의해서 자석결합이 해제될 수 있으므로, 상기 결합편(22)의 자석결합 또는 자석결합 해제에 의해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이 캡본체(1)에 고정되어 폐쇄되거나 또는 캡본체(1)에서 힌지회동하여 개방되게 하여, 세정블록(d)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환하거나 세정블록 수납컵(2)에 잔존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납공간(23)은, 고형의 세정블록(d)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세정액 배출공(24)은, 상기 수유입공(14)을 통해 유입된 설거지의 물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23)에 수납된 세정블록(d)이 녹아 형성되는 액상의 세정액이 바로 하부의 싱크대 배수구로 흘러 배수관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으로부터 세정액을 배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측면을 따라 상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A)은 상부의 캡본체(1)와 하부의 세정블록 수납컵(2)이 일측에서 힌지고정되고 타측에서 자석결합하는 구조를 구비하여, 캡본체(1) 및 세정블록 수납컵(2)이 상호 분리되지 않고 결합고정된 상태에서 매우 손쉽게 자석결합 및 자석결합 해제가 가능하여 세정블록 수납컵(2)의 고정 및 개방이 매우 용이하며, 이에 따라 세정블록 수납컵(2)에 수납되는 세정블록(d)의 교환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시에 세정블록 수납컵(2)에 잔존하게 되는 음식물 쓰레기 역시 매우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A')은,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 배수구의 입구에 거치되어 설치되는 캡본체(1')와, 세정블록(d)을 수납하면서 상기 캡본체(1')의 저면 일측으로 힌지고정되고 타측으로 푸쉬버튼(17)의 작동에 의해 고정 및 개방되는 세정블록 수납컵(2')으로 이루어지며,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A)와 상이한 구성으로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 수납컵(2)은 자석(22a)에 의해 캡본체(1)에 자석결합 또는 자석결합 해제되며 상호 고정 또는 개방됨에 비해서, 제2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 수납컵(2')은 캡본체(1')의 저면에 형성된 푸쉬버튼부(17)의 작동에 의해 푸쉬버튼부(17)의 록킹부재(17a)가 세정블록 수납컵(2')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홈(25)에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인출되어 결합 해제되어 세정블록 수납컵(2')이 캡본체(1')에 상호 고정 또는 개방된다는 점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제1실시예가 상이한 구성이며, 그 외의 구성 및 기능은 모두 동일하다.
상기 캡본체(1')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거치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거치환테(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환테(11)에 인접하여 설거지의 물을 싱크대 배수구로 배출시키고 고무장갑을 낀 사용자가 장갑을 벗지 않고도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A')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는 확장공부(12a)가 중간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12)과, 상기 거치환테(11) 및 배수공(12) 사이에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면서 설거지 물을 하부로 안내하고 상기 배수공(12)의 확장공부(12a)에 대응하는 경사오목면(13a)이 형성되어 장갑 낀 사용자의 손가락을 집어넣어 더욱 용이하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A')을 집을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경사배수유로(13)와, 세정블록(d)에 물이 유입되도록 중앙에 형성된 다수의 수(水)유입공(14)과, 저면 일측으로 세정블록(d)을 수납하는 세정블록 수납컵(2')이 힌지회동하도록 하는 힌지회동부(15)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세정블록 수납컵(2')에 형성된 결합홈(25)에 삽입 또는 인출되며 결합하도록 하는 푸쉬버튼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치환테(11), 배수공(12), 경사배수유로(13), 수유입공(14), 힌지회동부(15)는 본 발명의 상기의 제1실시예와 그 구성 및 기능이 완전히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푸쉬버튼부(17)는, 상기 캡본체(1')의 저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상기 힌지회동부(15)에 대향하는 타측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손으로 눌러 작동하는 푸쉬버튼(17b)과 푸쉬버튼(17b)의 누름작동에 의해 외부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내부 방향으로 후퇴하는 록킹부재(17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푸쉬버튼(17b)의 누름작동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17a)가 전진하게 되면 후술하는 세정블록 수납컵(2')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홈(25)에 상기 록킹부재(17a)가 삽입되어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은 상기 캡본체(1')에 고정되고,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푸쉬버튼(17b)을 다시 한번 누르는 누름작동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17a)는 후퇴하며 원위치하면서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결합홈(25)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은 상기 캡본체(1')로부터 고정 해제되어 개방된다.
상기 푸쉬버튼(17b)의 1회 누름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17a)가 전진하고 다시 1회 더 누름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17a)가 후퇴하게 되는 상기 푸쉬버튼부(17)는 잠금장치의 기술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통상적인 구성이므로 상기 푸쉬버튼부(17)의 작동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은, 내부에 세정블록(d)을 수납하게 되는 컵 형상의 구성으로서, 상기 캡본체(1')의 힌지회동부(15)에 힌지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힌지고정부(21)가 외주연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푸쉬버튼부(17)의 록킹부재(17a)가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결합홈(25)이 형성되며, 내부에 세정블록(d)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3)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세정블록(d)을 녹인 세정액이 하부의 싱크대 배수구로 바로 흐르도록 하는 다수의 세정액 배출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고정부(21), 수납공간(23), 세정액 배출공(24)은 본 발명의 상기의 제1실시예와 그 구성 및 기능이 완전히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홈(25)은,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푸쉬버튼부(17)의 록킹부재(17a)가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과 캡본체(1')가 상호 고정되거나 고정 해제된다. 상기 결합홈(25)은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내부 및 외부가 연통하도록 천공되어 있어, 상기 결합홈(25)을 통해 삽입된 상기 록킹부재(17a)가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타측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홈(25)을 통해 상기 록킹부재(17a)가 삽입되면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은 캡본체(1')에 고정되어 폐쇄되고, 상기 록킹부재(17a)가 상기 결합홈(25)에서 인출되면 세정블록 수납컵(2')의 타측은 캡본체(1')에서 분리되고 일측은 힌지회동하게 되어 세정블록 수납컵(2')은 그 일측으로 캡본체(1')에 힌지고정된 상태에서 개방되게 되므로, 개방된 세정블록 수납컵(2')으로부터 세정블록(d)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또한 세정블록 수납컵(2')에 잔존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A')은 상부의 캡본체(1')와 하부의 세정블록 수납컵(2')이 일측에서 힌지고정되고 타측에서 푸쉬버튼부(17)의 록킹부재(17a)가 결합홈(25)에 삽입 또는 인출되어 상호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는 구조를 구비하여, 캡본체(1') 및 세정블록 수납컵(2')이 상호 분리되지 않고 결합고정된 상태에서 푸쉬버튼부(17)의 누름 작동에 의해 매우 손쉽게 결합 및 결합 해제가 가능하여 세정블록 수납컵(2')의 고정 및 개방이 매우 용이하며, 이에 따라 세정블록 수납컵(2')에 수납되는 세정블록(d)의 교환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시에 세정블록 수납컵(2')에 잔존하게 되는 음식물 쓰레기 역시 매우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A")은,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 배수구의 입구에 거치되어 설치되는 캡본체(1")와, 상기 캡본체(1")의 저면으로 힌지고정되면서 자석결합으로만 고정되게 개폐되며 내부로 세정블록(d)을 수납하는 세정블록 수납컵(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본체(1")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거치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거치환테(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환테(11)에 인접하여 설거지의 물을 싱크대 배수구로 배출시키고 고무장갑을 낀 사용자가 장갑을 벗지 않고도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A")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는 확장공부(12a)가 중간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12)과, 상기 거치환테(11) 및 배수공(12) 사이에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면서 설거지 물을 하부로 안내하고 상기 배수공(12)의 확장공부(12a)에 대응하는 경사오목면(13a)이 형성되어 장갑 낀 사용자의 손가락을 집어넣어 더욱 용이하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A")을 집을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경사배수유로(13)와, 세정블록(d)에 물이 유입되도록 중앙에 형성된 다수의 수(水)유입공(14)과, 저면으로 세정블록(d)을 수납하는 세정블록 수납컵(2")의 결합편(22)에 형성된 자석(22a)이 자석결합되도록 하는 금속환테(18)가 삽입되어 고정배치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치환테(11), 배수공(12), 경사배수유로(13), 수유입공(14)은 본 발명의 상기의 제1실시예와 그 구성 및 기능이 완전히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금속환테(18)는, 상기 캡본체(1")의 저면으로 삽입되어 고정배치되며, 세정블록 수납컵(2")의 결합편(22)에 삽입되어 배치된 자석(22a)이 상기 금속환테(18)에 자석결합하면서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이 상기 캡본체(1")에 자석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금속환테(18)가 상기 캡본체(1")의 저면으로 삽입 배치되도록, 상기 캡본체(1")의 저면에는 상기 금속환테(18)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요홈(도면에는 미도시함)이 삭설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은, 상기 캡본체(1")의 저면으로 착탈가능하게 자석결합되며 내부에 세정블록(d)을 수납하게 되는 컵 형상의 구성으로서, 내부에 세정블록(d)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3)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세정블록(d)을 녹인 세정액이 하부의 싱크대 배수구로 바로 흐르도록 하는 다수의 세정액 배출공(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금속환테(18)에 자석결합하도록 자석(22a)이 삽입되어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결합편(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공간(23), 세정액 배출공(24)은 본 발명의 상기의 제1실시예와 그 구성 및 기능이 완전히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편(22)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편(22)과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을 상기 캡본체(1")의 저면에 삽입되어 배치된 상기 금속환테(18)에 자석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석(22a)이 상부로 삽입되어 배치되어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석(22a)과 금속환테(18)가 자석결합함으로써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이 상기 캡본체(1")에 자석결합하여 고정되게 된다. 상기 자석(22a)이 상기 결합편(22)의 상면으로 삽입 배치되도록, 상기 결합편(22)의 상면에는 상기 자석(22a)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요홈(도면에는 미도시함)이 삭설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는 상기 결합편(22)의 형성 개수는 3개가 120도의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형성 개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A")은 상부의 캡본체(1")와 하부의 세정블록 수납컵(2")이 캡본체(1")의 저면에서 자석결합에 의해 간단히 상호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는 구조를 구비하여, 캡본체(1") 및 세정블록 수납컵(2")이 매우 손쉽게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가 가능하여 세정블록 수납컵(2")의 고정 및 개방이 매우 용이하며, 이에 따라 세정블록 수납컵(2")에 수납되는 세정블록(d)의 교환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시에 세정블록 수납컵(2")에 잔존하게 되는 음식물 쓰레기 역시 매우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은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역류되는 악취를 제거하고 배수구 및 배수관의 오염물을 분해 및 살균하여 제거하는 세정물질을 수납하여 싱크대 배수구의 입구에 거치되는 싱크대용 배수캡을 생산하는 싱크대용 배수캡 제조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큰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A, A', A" :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
1, 1', 1" : 캡본체 11 : 거치환테
12 : 배수공 12a : 확장공부
13 : 경사배수유로 13a : 경사오목면
14 : 수유입공 15 : 힌지회동부
15a : 돌출편 15b : 힌지핀
16 : 금속판 17 : 푸쉬버튼부
17a : 록킹부재 17b : 푸쉬버튼
18 : 금속환테
2, 2', 2" : 세정블록 수납컵 21 : 힌지고정부
21a : 중공 22 : 결합편
22a : 자석 23 : 수납공간
24 : 세정액 배출공 25 : 결합홈
d : 세정블록

Claims (9)

  1.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거치되며 세정블록 수납컵에 수납되는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결합고정되는 싱크대용 배수캡에 있어서,
    상기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A)은,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거치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거치환테(11)와, 상기 거치환테(11)에 인접하여 설거지의 물을 배수구로 배출시키고 고무장갑을 낀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다수의 배수공(12)과, 상기 거치환테(11) 및 배수공(12) 사이에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면서 설거지 물을 상기 배수공(12)을 통해 하부로 안내하는 경사배수유로(13)와, 중앙에 형성되며 세정블록(d)에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수(水)유입공(14)과, 저면 일측에 세정블록 수납컵(2)을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힌지회동부(15)가 형성되고, 저면 타측에 세정블록 수납컵(2)에 설치된 자석(22a)이 결합되도록 하는 금속판(16)이 형성된 캡본체(1)와;
    상기 캡본체(1)의 힌지회동부(15)에 힌지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힌지고정부(21)가 외주연 일측에 형성되고, 외주연 타측에 상기 금속판(16)에 자석결합되는 자석(22a)이 삽입되어 고정배치된 결합편(22)이 형성되며, 내부로 세정블록(d)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3)이 형성되고, 측면에 세정블록(d)을 녹인 세정액이 하부의 싱크대 배수구로 바로 흐르도록 하는 다수의 세정액 배출공(24)이 형성된 세정블록 수납컵(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본체(1)의 상기 거치환테(11)와 접하는 부분의 상기 배수공(12)의 중간에는 고무장갑을 벗지 않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가는 확장공부(12a)가 상기 거치환테(11)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12)의 확장공부(12a)에 대응하게 상기 경사배수유로(13) 상에는 경사오목면(13a)이 상기 거치환테(11)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유입공(14)이 형성되는 부분은 설거지 물이 세정블록(d)을 더욱 원활하고 용이하게 녹게 하도록 중앙을 향해 오목하게 오목부(1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
  2. 삭제
  3. 삭제
  4.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거치되며 세정블록 수납컵에 수납되는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결합고정되는 싱크대용 배수캡에 있어서,
    상기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A')은,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거치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거치환테(11)와, 상기 거치환테(11)에 인접하여 설거지의 물을 배수구로 배출시키고 고무장갑을 낀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다수의 배수공(12)과, 상기 거치환테(11) 및 배수공(12) 사이에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면서 설거지 물을 상기 배수공(12)을 통해 하부로 안내하는 경사배수유로(13)와, 중앙으로 세정블록(d)에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수(水)유입공(14)과, 저면 일측에 세정블록 수납컵(2')을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힌지회동부(15)가 형성되고, 저면 타측에 세정블록 수납컵(2')에 형성된 결합홈(25)에 삽입 및 인출되게 결합되면서 지지하는 푸쉬버튼부(17)가 형성된 캡본체(1')와;
    상기 캡본체(1')의 힌지회동부(15)에 힌지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힌지고정부(21)가 외주연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푸쉬버튼부(17)의 록킹부재(17a)가 삽입 및 인출되게 결합되는 결합홈(25)이 형성되며, 내부로 세정블록(d)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3)이 형성되고, 측면에 세정블록(d)을 녹인 세정액이 하부의 싱크대 배수구로 바로 흐르도록 하는 다수의 세정액 배출공(24)이 형성된 세정블록 수납컵(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본체(1')의 상기 거치환테(11)와 접하는 부분의 상기 배수공(12)의 중간에는 고무장갑을 벗지 않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가는 확장공부(12a)가 상기 거치환테(11)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12)의 확장공부(12a)에 대응하게 상기 경사배수유로(13) 상에는 경사오목면(13a)이 상기 거치환테(11)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유입공(14)이 형성되는 부분은 설거지 물이 세정블록(d)을 더욱 원활하고 용이하게 녹게 하도록 중앙을 향해 오목하게 오목부(1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035138A 2016-03-24 2016-03-24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 KR101677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138A KR101677412B1 (ko) 2016-03-24 2016-03-24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138A KR101677412B1 (ko) 2016-03-24 2016-03-24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412B1 true KR101677412B1 (ko) 2016-11-17

Family

ID=5754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138A KR101677412B1 (ko) 2016-03-24 2016-03-24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4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819B1 (ko) * 2017-04-26 2018-11-29 김용배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KR102005873B1 (ko) * 2019-01-02 2019-07-31 (주)라이프엔티 싱크대용 거름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0876A (ja) * 2001-02-14 2002-08-28 Uni Charm Corp 洗浄剤用容器、及び洗浄剤入り洗浄具
JP2007126895A (ja) * 2005-11-04 2007-05-24 San Techno:Kk シンクの排水口用蓋
KR20100136313A (ko) 2009-06-18 2010-12-28 최경민 방부 처리 기능이 있는 싱크대 뚜껑
KR200476742Y1 (ko) 2013-11-19 2015-04-07 이영호 싱크대 배수구커버
KR20150099357A (ko) * 2014-02-21 2015-08-31 주식회사 천일 살균 소독제가 설치된 싱크볼용 배수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0876A (ja) * 2001-02-14 2002-08-28 Uni Charm Corp 洗浄剤用容器、及び洗浄剤入り洗浄具
JP2007126895A (ja) * 2005-11-04 2007-05-24 San Techno:Kk シンクの排水口用蓋
KR20100136313A (ko) 2009-06-18 2010-12-28 최경민 방부 처리 기능이 있는 싱크대 뚜껑
KR200476742Y1 (ko) 2013-11-19 2015-04-07 이영호 싱크대 배수구커버
KR20150099357A (ko) * 2014-02-21 2015-08-31 주식회사 천일 살균 소독제가 설치된 싱크볼용 배수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819B1 (ko) * 2017-04-26 2018-11-29 김용배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KR102005873B1 (ko) * 2019-01-02 2019-07-31 (주)라이프엔티 싱크대용 거름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019B1 (ko) 식기세척기
KR101677412B1 (ko)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
CN106390152A (zh) 一种具有清洗和消毒功能的设备
KR20150106115A (ko) 도마 위생성이 향상된 싱크대
KR101469006B1 (ko) 음식물 슬러지의 처리효율을 높인 주방용 싱크볼의 배수장치
KR200402095Y1 (ko) 수저통과 이를 포함하는 수저 세정장치
KR200483266Y1 (ko) 싱크대 배수구커버
KR20140069795A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101116463B1 (ko) 싱크볼 구조
KR20160003449U (ko) 조리도구 보관함
CN211187113U (zh) 餐具清洗装置
CN210300911U (zh) 一种厨房用多功能洗碗台
CN209172017U (zh) 一种自动清洗消毒饮水机
KR20200002150U (ko) 생리컵 보관 및 세척기
KR20110124609A (ko) 싱크대 거치용 음식물쓰레기통
KR101923819B1 (ko)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CN205568888U (zh) 医院用组合式拖布清洗脱水消毒器
CN209826306U (zh) 茶吧机
CN214857555U (zh) 一种传染科护理用废弃物收集装置
CN209847123U (zh) 一种清洗装置
CN217186452U (zh) 用于消毒供应中心护理的污染物回收箱
CN211834277U (zh) 一种餐具清洗装置
CN208770015U (zh) 一种骨科手术器械清洗装置
KR20090015642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CN210392318U (zh) 一种餐饮用厨房收残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