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819B1 -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 Google Patents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819B1
KR101923819B1 KR1020170053733A KR20170053733A KR101923819B1 KR 101923819 B1 KR101923819 B1 KR 101923819B1 KR 1020170053733 A KR1020170053733 A KR 1020170053733A KR 20170053733 A KR20170053733 A KR 20170053733A KR 101923819 B1 KR101923819 B1 KR 101923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water
cleaning block
washing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953A (ko
Inventor
김용배
Original Assignee
김용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배 filed Critical 김용배
Priority to KR1020170053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81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텔, 음식점 등 대량으로 물을 사용하는 곳이나 가정과 같이 비교적 소량으로 물을 사용하는 곳의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설치되어 내부에 세정작용 및 탈취작용을 하는 세정블록을 수납하여 설거지 등의 세정작업을 할 때, 수납된 세정블록이 물에 녹으면서 싱크대 배수관에 고착된 유지방 등을 분해 및 살균하여 싱크대 배수관의 세정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시키고, 배수구를 통해 역류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하도록, 거치본체의 배수공을 통해 흘러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세정블럭 수납컵 및 물유입 조절컵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배수컵으로 형성하여 설거지 물의 유입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수납된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할 수 있는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Double drain cup for sinks with adjustable consumption of cleaning block }
본 발명은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호텔, 음식점 등 대량으로 물을 사용하는 곳이나 가정과 같이 비교적 소량으로 물을 사용하는 곳의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설치되어 내부에 세정작용 및 탈취작용을 하는 세정블록을 수납하여 설거지 등의 세정작업을 할 때, 수납된 세정블록이 물에 녹으면서 싱크대 배수관에 고착된 유지방 등을 분해 및 살균하여 싱크대 배수관의 세정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시키고, 배수구를 통해 역류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하도록, 거치본체의 배수공을 통해 흘러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세정블럭 수납컵 및 물유입 조절컵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배수컵으로 형성하여 설거지 물의 유입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수납된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할 수 있는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조리할 음식 재료를 씻거나 다듬고, 음식을 조리한 요리기구 또는 식기류를 세정하고, 음식 쓰레기를 처리하는 생활가구로서, 음식에 포함된 유지방을 비롯한 각종 오염물이 섞인 생활하수를 하수 처리시설로 배출하게 되므로, 싱크대 배수구 입구에는 뚜껑 기능을 수행하는 거치본체가 배치되고 배수구 하부로 배수관 내부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걸려내는 걸름망체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유지방을 비롯한 오염물이 포함된 생활하수는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결된 배수관 내에는 생활하수에 포함된 유지방과 같은 각종 오염물이 고착되게 되어 배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며 여기에 각종 세균이 번식하게 되어 악취가 배수관을 타고 역류하여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실내로 유출되게 된다.
따라서, 생활하수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을 분해하여 배수관에 고착되지 못하도록 싱크대 배수구의 입구에 설치되는 거치본체의 내부 또는 하부로 세정액 또는 세정블록 등의 세정물질을 수납하여, 설거지를 할 때 발생되는 설거지 물이 수납된 세정물질을 녹여 세정물질에 내포된 세정성분으로 유지방 등의 오염물을 분해 및 살균하여 배수관에 고착되지 못하게 하고 바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잔존하는 오염물에 의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싱크대 배수구의 입구에 설치되어 세정물질을 수납하는 싱크대용 배수캡에 관한 종래의 방안을 살펴보면, 먼저 액체 세정물질을 수납하도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6313호, 명칭으로 '방부 처리 기능이 있는 싱크대 뚜껑'이 제안된바, 상기 제안에 따르면 방부 용액을 싱크대 뚜껑에 설치되는 용액보관통에 수용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용액보관통을 눌러 수용된 방부 용액을 싱크대 배수구로 흐르게 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안은 설거지를 하면서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용액보관통의 상부를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용액보관통 내부에 수용된 방부 용액이 싱크대 배수구로 흐르도록 용액보관통의 구조를 복잡하게 구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설거지할 때 사용하는 물을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한계점이 있는 제안이었다.
한편, 고형(固形)의 세정물질 즉 세정블록을 수납하도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742호, 명칭으로 '싱크대 배수구 커버'가 제안된바, 상기 제안에 따르면, 세정블록을 수납하는 덮개부, 거치부, 배출부로 이루어지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덮개부를 착탈가능하게 덮는 뚜껑부로 이루어지는 싱크대 배수구 커버를 싱크대 배수구의 입구에 설치하여 설거지할 때 사용하는 물을 활용하여 세정블록을 녹여 하부의 싱크대 배수관으로 흐르게 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안은 세정블록을 덮개부 중앙의 오목한 수납공간상에 수납하게 되어 어느 정도 높이의 물이 차 있어야 세정블록을 녹인 세정수가 덮개부의 수납공간을 넘치면서 유출로를 통해 하부 방향의 싱크대 배수관으로 흐르게 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 용해된 세정수는 유출로를 통해 그대로 배구관으로 흘러 내려가게 되고 수납공간이 협소하여 수납되는 세정블록은 작은 크기로 납작하게 만들어야 하여 세정블록의 교체가 수시로 이루어져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방안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7412호, 명칭으로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을 제안한바, 도 1의 도시와 같이, 싱크대 배수구에 거치되는 캡본체(1)의 저면으로 세정블록을 수납하는 세정블록 수납컵(2)을 형성하고 세정블록 수납컵(2)의 측면으로 다수의 세정액 배출공(2a)을 형성하여, 배수공(1a)을 통해 설거지 물이 유입되고 이 설거지 물에 의해 세정블록이 용해되면서 형성되는 세정액이 세정액 배출공(2a)을 통해 배수관으로 흘러나가게 하여, 설거지 물을 활용하여 캡본체(1)의 하부로 장착되어 다양한 크기의 세정블록을 수납하는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세정액 배출공(2a)을 통해 세정블록이 용해된 세정액이 흘러내리도록 하는 싱크대용 배수캡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싱크대용 배수캡을 실제 음식점이나 가정에 설치하여 사용하였을 때 예기치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는데, 즉 설거지 물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 및 비교적 고온의 설거지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정블록 수납컵 내부에 수납되는 세정블록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많이 용해되면서 용해된 세정액은 배수관을 통해 그대로 흘러 내려가게 되어 세정블록이 빨리 소모되면서 세정블록의 소모량이 예상외로 많아지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현실적으로 발생하였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6313호 (선행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742호 (선행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7412호
본 발명은 상기 선행문헌 2 및 3의 문제점 즉, 커버본체 내부 또는 세정블록 수납컵에 수납되는 세정블록이 설거지 물의 사용량 및 높은 수온에 의해 매우 빠른 속도로 용해되어 세정블록 소모량이 예상외로 많아지게 되어 빈번하게 세정블록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거치되는 거치본체 하부에 장착되고 세정블록을 수납하면서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이중 배수컵을 구비하는 싱크대용 배수컵에 있어서, 싱크대 배수구에 거치되는 거치본체와, 거치본체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고정되며 내부로는 세정블록을 수납하고 측면으로는 설거지 물이 유입되고 세정블록이 용해된 세정액이 유출되는 물통과공이 형성된 세정블록 수납컵과,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의 외부로 설치되면서 거치본체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고정되며 측면으로 설거지 물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물유입 조절공이 형성된 물유입 조절컵으로 이루어져, 상기 물유입 조절컵을 회전작동하여 물유입 조절컵 측면에 형성된 상기 물유입 조절공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 측면의 물통과공으로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에 수납된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할 수 있어, 세정블록의 사용기한을 사용자가 원하는 기한으로 자유롭게 자의적으로 연장할 수 있는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거치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거치환테와, 상기 거치환테에 인접하여 설거지의 물을 세정블록이 수납된 세정블록 수납컵 및 배수구로 배수시키는 다수의 배수공과, 상기 거치환테 및 배수공 사이에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면서 설거지 물을 상기 배수공을 통해 하부로 안내하는 경사배수유로와, 중앙에 형성되며 세정블록에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중앙유입공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본체에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하는 이중 배수컵이 조립되어 고정되는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에 있어서, 상기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은, 저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세정블록을 수납하는 세정블록 수납컵이 걸려 고정되는 걸림공간을 제공하는 다수의 걸림테가 형성된 거치본체와; 상기 거치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걸림테에 착탈가능하게 걸려 조립되고, 내부에 세정블록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설거지 물이 유입되고 세정블록이 녹은 세정액이 하부의 걸름망체 및 싱크대 배수관으로 흘러 유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물통과공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테의 걸림공간으로 삽입되어 걸림 조립되도록 하는 다수의 걸림편이 형성되고, 저면 외주연를 따라 상기 물통과공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의 크기를 나타내는 다수의 유입면적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세정블록 수납컵과;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의 외부로 설치되되 상기 거치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걸림테에 착탈가능하게 걸려 조립되고, 내부에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물통과공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의 물유입 조절공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테의 걸림공간으로 삽입되어 걸림 조립되도록 하는 다수의 걸림편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회전손잡이가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고, 저면 외주연에 인접하여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의 표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창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 배수캡;으로 이루어지는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환테의 저면에 형성되어 걸림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걸림테는 좌우 방향으로 막히지 않도록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거치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거치환테와, 상기 거치환테에 인접하여 설거지의 물을 세정블록이 수납된 세정블록 수납컵 및 배수구로 배수시키는 다수의 배수공과, 상기 거치환테 및 배수공 사이에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면서 설거지 물을 상기 배수공을 통해 하부로 안내하는 경사배수유로와, 중앙에 형성되며 세정블록에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중앙유입공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본체에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하는 이중 배수컵이 조립되어 고정되는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에 있어서, 상기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은, 거치본체의 하부로 걸름망체 내부로 수납되며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개폐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컵 및 하부컵은 각각 내부에 세정블록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설거지 물이 유입되고 세정블록이 녹은 세정액이 걸름망체 및 싱크대 배수관으로 흘러 유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물통과공이 형성되고, 상부컵 및 하부컵은 각각의 외주연에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컵 하부 외주연에 돌기가 형성된 돌출편이 형성되고 하부컵 상부 외주연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로 삽입공이 형성된 돌출편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부컵 및 하부컵이 상호 끼움고정되며 개폐가능하고, 상부컵의 외부 상면 외주연 및 하부컵의 외부 저면 외주연을 따라 상기 물통과공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의 크기를 나타내는 다수의 유입면적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세정블록 수납컵과;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의 상부컵 및 하부컵 각각의 외부로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의 상부컵 및 하부컵 각각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물통과공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의 물유입 조절공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회전손잡이가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고, 저면 외주연에 인접하여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의 표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창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으로 이루어지는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은, 세정블록을 수납하는 세정블록 수납컵 및 세정블록 수납컵의 외부로 세정블록 수납컵의 물통과공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물유입 조절컵을 이중으로 설치하면서 상호 조립 고정할 수 있어, 설거지를 하며 사용하는 물로 세정블록을 녹여 형성되는 세정액이 하부의 싱크대 배수구를 통해 배수관으로 바로 흐르게 하여 오염물을 분해 및 살균하여 제거하고 배수관에 오염물이 잔존하지 못하도록 하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물유입 조절컵을 회전작동하여 물유입 조절컵 측면에 형성된 물유입 조절공의 위치를 조절하여 세정블록 수납컵 측면의 물통과공으로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에 수납되어 설거지 물로 용해되어 소모되는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할 수 있어 세정블록의 사용기한을 사용자가 원하는 기한으로 자유롭게 연장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을 구성하는 캡본체의 평면도 및 세정블록 수납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의 확인창을 통해 유입면적 표시부의 표시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이 걸름망체에 수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본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 내지 5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A)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거치되도록 거치환테(11), 배수공(12), 경사배수유로(13), 중앙유입공(14)이 형성된 거치본체(1)의 하부로 거치본체(1)의 저면에 걸려 조립고정된다.
상기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A)은, 저면에 걸림공간(15a)을 제공하는 다수의 걸림테(15)가 형성된 거치본체(1)의 저면으로 상기 걸림공간(15a)을 통해 상기 걸림테(15)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본체(1)에 착탈가능하게 걸려 조립되고, 내부에 세정블록(d)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1)이 형성되고, 측면에 설거지 물이 유입되고 세정블록이 녹은 세정액이 하부의 싱크대 배수관으로 흘러 유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물통과공(22)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테(15)의 걸림공간(15a)으로 삽입되어 걸림 조립되도록 하는 다수의 걸림편(23)이 형성되고, 저면 외주연를 따라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의 크기를 나타내는 다수의 유입면적 표시부(24)가 형성되어 있는 세정블록 수납컵(2)과;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외부로 설치되되 상기 거치본체(1)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걸림테(15)에 착탈가능하게 걸려 조립되고, 내부에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을 수납하는 수납공간(34)이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의 물유입 조절공(31)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테(15)의 걸림공간(15a)으로 삽입되어 걸림 조립되도록 하는 다수의 걸림편(32)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회전손잡이(33)가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고, 저면 외주연에 인접하여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의 표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창(35)이 형성되어 있는 물유입 조절컵(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본체(1)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거치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거치환테(11)와, 상기 거치환테(11)에 인접하여 설거지의 물을 세정블록이 수납된 세정블록 수납컵(2) 및 배수구로 배수시키는 다수의 배수공(12)과, 상기 거치환테(11) 및 배수공(12) 사이에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면서 설거지 물을 상기 배수공(12)을 통해 하부로 안내하는 경사배수유로(13)와, 중앙에 형성되며 세정블록에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중앙유입공(14)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기술구성은 본 출원인이 출원등록한 상술한 선행문헌 3의 싱크대용 배수캡의 캡본체의 기술구성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거치본체(1)의 저면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캡(A)을 걸림 고정으로 상호 조립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배수공(12)에 인접하여 원호(圓弧) 형상의 다수의 걸림테(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테(15)는 좌우로 막히지 않게 연통된 걸림공간(15a)을 제공하게 되므로 후술하는 세정블록 수납컵(2) 및 물유입 조절컵(3)의 외주연에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편(23,32)이 상기 걸림공간(15a)을 통해 상기 걸림테(15)에 걸리면서 세정블록 수납컵(2) 및 물유입 조절컵(3)이 거치본체(1)에 상호 조립고정되도록 하게 한다. 또 상기 걸림테(15)의 걸림공간(15a)은 좌우로 연통되므로 사용자가 상호 세정블록 수납컵(2) 및 물유입 조절컵(3)을 좌우 방향 어디서나 걸림공간(15a)으로 삽입하여 걸림테(15)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걸려 고정하게 하는 편의성을 제고하게 된다.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은, 저면에 걸림공간(15a)을 제공하는 다수의 걸림테(15)가 형성된 거치본체(1)의 저면으로 상기 걸림공간(15a)을 통해 상기 걸림테(15)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본체(1)에 착탈가능하게 걸려 조립되도록 상부 외주연에 다수의 걸림편(23)이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내부로 세정블록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1)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으로 설거지 물이 유입되고 세정블록이 녹은 세정액이 하부의 싱크대 배수관으로 흘러 유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물통과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 외주연를 따라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물통과공(22)의 유입면적의 크기를 나타내는 다수의 유입면적 표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는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상기 물통과공(22)이 개방되어 설거지 물이 유입되는 유입면적의 크기을 숫자를 통해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통과공(22)이 모두 개방되어 설거지 물이 최대로 유입될 수 있는 유입면적으로 개방되면 '3'으로 표시하여 '최대 면적'을 의미하고, 최대 유입면적의 2/3의 유입면적으로 개방되면 '2'로 표시하여 '중간 면적'을 의미하고, 최대 유입면적의 1/3의 유입면적으로 개방되면 '1'로 표시하여 '최소 면적'을 의미하여, 사용자는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설거지 물에 의해 용해되면서 소모되는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설거지 물의 수온에 따라 다소 차이는 발생할 수 있으나 같은 온도의 설거지 물이 유입되는 것을 가정한다면,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의 숫자를 '1'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물통과공(22)의 개방면적을 설정하면 숫자 '3'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물통과공(22)의 개방면적을 설정한 경우에 대비하여 개략적으로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1/3 정도로 절감시킬 수 있어 세정블록의 사용기한은 3배로 늘릴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는 숫자 '1, 2, 3'에 의해 상기 물통과공(22)의 유입면적을 3분(三分)하고 있으나, 이러한 유입면적 등분은 2분(二分) 내지 5분(五分) 등으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물통과공(22)의 절개면적과 설거지의 양, 설거지 물의 사용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등분을 선택하여 적용함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물통과공(22)의 유입면적의 조절은 후술하는 물유입 조절컵(3)의 회전손잡이(35)의 회전작동에 의해 물유입 조절공(31)에 의해 수행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물유입 조절컵(3)의 회전손잡이(35)의 기술구성에 대한 설명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물유입 조절컵(3)은,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의 외부로 설치되어 세정블록 수납컵(2)의 물통과공(22)의 개방면적 즉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을 조절하는 기술구성으로서, 상기 거치본체(1)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걸림테(15)의 걸림공간(15a)으로 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걸려 조립되도록 상부 외주연에 외부방향으로 돌출되게 다수의 걸림편(32)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을 수납하는 수납공간(34)이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의 물유입 조절공(31)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회전손잡이(33)가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고, 저면 외주연에 인접하여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의 표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창(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편(32)은,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걸림편(23)과 동일하게, 상기 거치본체(1)의 걸림공간(15a)으로 삽입되어 걸림테(15)에 걸려 조립 고정되게 하여, 상기 물유입 조절컵(3) 내부의 수납공간(34)으로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을 수납하게 하면서 상기 거치본체(1)의 저면 하부로 배치되게 한다.
상기 물유입 조절공(31)은, 도 5의 (a) 및 (b)의 도시와 같이, 상기 물유입 조절컵(3)의 측면에 형성하여 상기 물유입 조절공(31)이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물통과공(22)과 개방된 부분이 완전히 겹치게 되면 설거지 물은 최대의 양으로 세정블록 수납컵(2)으로 유입되어, 최대량으로 유입된 설거지 물에 의해 세정블록이 빨리 대량으로 용해하여 소모되도록 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물유입 조절공(31)과 물통과공(22)이 2/3 정도로 개방 부분이 겹치게 되면 설거지 물의 유입량 역시 2/3 정도로 유입될 것이며 상기 물유입 조절공(31)과 물통과공(22)이 1/3 정도로 개방 부분이 겹치게 되면 설거지 물의 유입량 역시 1/3 정도의 양으로 유입되어 그만큼 세정블록이 용해되어 소모되는 소모량이 적어질 것이므로, 사용자는 설거지 상황에 적합하도록 설거지 물의 유입량을 조절하면서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자유롭게 자의적으로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세정블록 수납컵(2)으로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상기 물유입 조절공(31)의 조절은 상기 물유입 조절컵(3)의 저면 중앙에 저면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회전손잡이(33)의 회전작동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 회전손잡이(33)를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하여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회전하면 물유입 조절컵(3) 역시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물유입 조절컵(3)의 측면에 형성된 물유입 조절공(31)이 물통과공(22)과 함께 겹쳐지며 생기는 개방 면적을 최대면적, 중간면적, 최소면적 등으로 가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세정블록이 수납된 세정블록 수납컵(2)의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조절공(31)이 물통과공(22)과 함께 겹쳐지며 생기는 개방 면적 즉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을 최대면적, 중간면적, 최소면적 등으로 가변하여 조절되었음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물유입 조절컵(3)의 저면 외주연에 인접하여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의 표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창(3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확인창(35)을 통해 표시되는 숫자를 신속 용이하게 확인하여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의 가변 상태를 확인하여 식별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 및 물유입 조절컵(3) 측면에 형성된 물통과공(22) 및 물유입 조절공(31)이 서로 겹쳐져 생긴 개방 면적이 어느 상태인지 눈대중으로 적당히 식별하여 판단할 필요없이 상기 확인창(35)에 나타나는 숫자, 예를 들어 '1, 2, 3'만 보고 개방 면적의 가변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A)의 조립 및 작동은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것으로서, 우선 세정블록을 세정블록 수납컵(2)의 내부로 수납하고 세정블록 수납컵(2)의 외연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걸림편(23)을 거치본체(1) 저면의 걸림공간(15a)을 통해 삽입하여 걸림테(15)에 걸려 조립 고정되게 하고, 이 상태에서 다시 세정블록 수납컵(2)을 수납하도록 물유입 조절컵(3)의 외연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걸림편(32)을 거치본체(1) 저면의 걸림공간(15a)을 통해 삽입하여 걸림테(15)에 걸려 조립 고정되게 하면 조립과정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설거지의 양, 설거지 물의 사용량을 감안하여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하기 위해, 물유입 조절컵(3)의 저면에 형성된 회전손잡이(33)를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회전작동하면서 역시 물유입 조절컵(3)의 저면에 형성된 확인창(35)을 통해 표시되는 유입면적 표시부(24)의 숫자를 확인하여 물통과공(22)의 개방 면적을 선택하게 되면 소망하는 세정블록 소모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세정블록의 교체주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은, 도 6 내지 8의 도시와 같이, 거치본체의 저면에 조립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거치본체가 거치되는 싱크대 배수구에 구비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내는 걸름망체의 내부로 수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A')은, 거치본체(1)의 하부로 걸름망체(f) 내부로 수납되며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개폐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컵(2'a) 및 하부컵(2'b)으로 이루어지는 세정블록 수납컵(2')과;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 각각을 내부로 수납하는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은, 내부에 세정블록(d)을 수납하는 것으로서, 일체로 형성된 상부컵(2'a) 및 하부컵(2'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 내부의 수납공간(21')으로 세정블록을 수납하게 된다.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은 각각의 외주연에 연결부(2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연결부(27')에 의해 상부컵(2'a) 및 하부컵(2'b)은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 상부컵(2'a) 하부 외주연에 돌기(25'a)가 형성된 돌출편(25')이 형성되고 하부컵(2'b) 상부 외주연에는 상기 돌기(25'a)에 대응하는 위치로 삽입공(26'b)이 형성된 돌출편(26')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25'a)가 상기 삽입공(26'b)에 삽입되어 상부컵(2'a) 및 하부컵(2'b)이 상호 끼움고정되면서 개폐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와 반대로 상기 돌기(25'a)가 형성된 돌출편(25')이 하부컵(2'b)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6'b)이 형성된 돌출편(26')이 상부컵(2'a)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은 각각 내부에 세정블록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1')이 형성되고, 측면에 설거지 물이 유입되고 세정블록이 녹은 세정액이 걸름망체(f) 및 싱크대 배수관으로 흘러 유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물통과공(22')이 형성되고, 상부컵(2'a)의 외부 상면 외주연 및 하부컵(2'b)의 외부 저면 외주연을 따라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의 크기를 나타내는 다수의 유입면적 표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공간(21'), 다수의 물통과공(22'), 다수의 유입면적 표시부(24')는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상이하지만, 그 기능은 일실시예와 완전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을 구성하는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 각각의 외부로는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 각각을 내부로 수납하는 수납공간(34')이 형성된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이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 각각은, 측면에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의 물유입 조절공(31')이 형성되고, 상부면 중앙에는 회전손잡이(33')가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부면 외주연에 인접하여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의 표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창(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은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상부면상에 반원형보다 더 돌출된 돌출부(28')가 형성되고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에 수납되는 물유입 조절컵(3')의 회전손잡이(33')의 내측면에 형성된 조립홈(37')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8')가 조립홈(37')에 삽입조립되는 방식으로 조립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이 세정블록 수납컵(2')상을 회전하는 다른 방식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다수의 물유입 조절공(31') 역시 내부로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3')의 상부컵(2'a) 및 하부컵(2'b) 측면에 형성된 물통과공(22')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물유입 조절공(31)과 완전 동일하고, 상기 회전손잡이(33')의 구성 및 기능 역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손잡이(33)의 구성 및 기능과 완전 동일하고, 상기 물유입 조절공(31')의 조절에 의해 상기 물통과공(22')의 개방 면적을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의 숫자로 확인하는 상기 확인창(35')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확인창(35)과 완전 동일한 것이어서, 상기 물유입 조절공(31'), 회전손잡이(33'), 확인창(35')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A')의 조립 및 작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것으로서, 우선 세정블록을 세정블록 수납컵(2')의 하부컵(2'b) 내부로 수납하고 상부컵(2'a)를 하부컵(2'b) 상으로 덮으면서 상부컵(2'a)의 돌기(25'a)가 형성된 돌출편(25')을 하부컵(2'b)의 삽입공(26'b)이 형성된 돌출편(26')을 맞닿게 하여 상기 돌기(25'a)가 상기 삽입공(26'b)에 강제끼움으로 조립고정되게 하여 상부컵(2'a) 및 하부컵(2'b)을 상호 폐쇄하여 세정블록을 세정블록 수납컵(2') 내부로 수납하고, 이 상태에서 세정블록 수납컵(2')을 수납하도록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을 상부컵(2'a) 및 하부컵(2'b) 각각의 외부로 설치되게 하면서 상기 상하부 조절컵(3')을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압축하여 하부 조절컵(3')의 조립홈(37')이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돌출부(28')가 삽입되면서 조립되는 방식으로 상호 조립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부 조절컵(3')의 조립홈(37')이 세정블록 수납컵(2')의 돌출부(28')에 스냅조립되면서 세정블록 수납컵(2')과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이 상호 조립 고정되게 하면 이들의 상호 조립과정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설거지의 양, 설거지 물의 사용량을 감안하여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하기 위해, 물유입 조절컵(3')의 저면에 형성된 회전손잡이(33')를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회전작동하면서 역시 물유입 조절컵(3')의 저면에 형성된 확인창(35')을 통해 표시되는 유입면적 표시부(24')의 숫자를 확인하여 세정블록 수납컵(2')의 상부컵(2'a) 및 하부컵(2'b) 각각에 형성된 물통과공(22')의 개방 면적을 선택하게 되면 소망하는 세정블록 소모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세정블록의 교체주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은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역류되는 악취를 제거하고 배수구 및 배수관의 오염물을 분해 및 살균하여 제거하는 세정물질을 수납하여 싱크대 배수구의 입구에 거치되는 싱크대용 배수컵을 생산하는 싱크대용 배수컵 제조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큰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A, A' :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1 : 거치본체 11 : 거치환테
12 : 배수공 13 : 경사배수유로
14 : 중앙유입공 15 : 걸림테
15a : 걸림공간
2, 2' : 세정블록 수납컵 21, 21' : 수납공간
22, 22' : 물통과공 23 : 걸림편
24, 24' : 유입면적 표시부 25' : 돌출편
25'a : 돌기 26' : 돌출편
26'b : 삽입공 27' : 연결부
2'a : 상부컵 2'b : 하부컵
3, 3' : 물유입 조절컵 31. 31' : 물유입 조절공
32 : 걸림편 33, 33' : 회전손잡이
34, 34' : 수납공간 35, 35' : 확인창
d : 세정블록 f : 걸름망체

Claims (5)

  1. 싱크대의 배수구에 거치되도록 거치환테(11), 배수공(12), 경사배수유로(13), 중앙유입공(14)이 형성된 거치본체(1)의 하부로 거치본체(1)의 저면에 걸려 조립고정되며, 내부에 세정블록을 수납하고 수납된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할 수 있는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에 있어서,
    상기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A)은,
    저면에 걸림공간(15a)을 제공하는 다수의 걸림테(15)가 형성돈 거치본체(1)의 저면으로 상기 걸림공간(15a)을 통해 상기 걸림테(15)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본체(1)에 착탈가능하게 걸려 조립되고, 내부에 세정블록(d)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1)이 형성되고, 측면에 설거지 물이 유입되고 세정블록이 녹은 세정액이 하부의 싱크대 배수관으로 흘러 유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물통과공(22)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테(15)의 걸림공간(15a)으로 삽입되어 걸림 조립되도록 하는 다수의 걸림편(23)이 형성되어 있는 세정블록 수납컵(2)과;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외부로 설치되되 저면에 걸림공간(15a)을 제공하는 다수의 걸림테(15)가 형성된 거치본체(1)의 저면으로 상기 걸림공간(15a)을 통해 상기 걸림테(15)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본체(1)에 착탈가능하게 걸려 조립되고, 내부에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을 수납하는 수납공간(34)이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의 물유입 조절공(31)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테(15)의 걸림공간(15a)으로 삽입되어 걸림 조립되도록 하는 다수의 걸림편(32)이 형성되어 있는 물유입 조절컵(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본체(1)의 저면으로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걸림편(23)과 상기 물유입 조절컵(3)의 걸림편(32)이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걸림공간(15a)을 제공하는 다수의 걸림테(15)는 좌우 방향으로 막히지 않도록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걸림편(23)과 상기 물유입 조절컵(3)의 걸림편(32)은 상기 걸림테(15)의 좌우방향으로 삽입되어 걸려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저면에는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의 크기를 나타내는 다수의 유입면적 표시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물유입 조절컵(3)의 저면 중앙에는 회전손잡이(33)가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기 물유입 조절컵(3)의 저면 외주연에 인접하여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의 표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창(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4. 싱크대의 배수구에 거치되도록 거치환테(11), 배수공(12), 경사배수유로(13), 중앙유입공(14)이 형성된 거치본체(1)의 하부로 구비되는 걸름망체(f)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세정블록을 수납하고 수납된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할 수 있는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에 있어서,
    상기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A')은,
    거치본체(1)의 하부로 걸름망체(f) 내부로 수납되며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개폐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컵(2'a) 및 하부컵(2'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 각각은 내부에 세정블록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1')이 형성되고, 측면에 설거지 물이 유입되고 세정블록이 녹은 세정액이 걸름망체(f) 및 싱크대 배수관으로 흘러 유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물통과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은 각각의 외주연에 형성된 연결부(27')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컵(2'a) 하부 외주연에 돌기(25'a)가 형성된 돌출편(25')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컵(2'b) 상부 외주연에는 상기 돌기(25'a)에 대응하는 위치로 삽입공(26'b)이 형성된 돌출편(26')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25'a)가 상기 삽입공(26'b)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이 상호 끼움고정되며 개폐가능하고, 상기 상부컵(2'a)의 외부 상면 외주연 및 하부컵(2'b)의 외부 저면 외주연을 따라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의 크기를 나타내는 다수의 유입면적 표시부(24')가 형성되어 있는 세정블록 수납컵(2')과;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상부컵(2'a) 및 하부컵(2'b) 각각의 외부로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 각각을 수납하는 수납공간(34')이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의 물유입 조절공(31')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회전손잡이(33')가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고, 저면 외주연에 인접하여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의 표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창(35')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은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상부면상에 반원형보다 더 돌출된 돌출부(28')가 형성되고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에 수납되는 물유입 조절컵(3')의 회전손잡이(33')의 내측면에 형성된 조립홈(37')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8')가 조립홈(37')에 삽입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KR1020170053733A 2017-04-26 2017-04-26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KR101923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733A KR101923819B1 (ko) 2017-04-26 2017-04-26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733A KR101923819B1 (ko) 2017-04-26 2017-04-26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953A KR20180119953A (ko) 2018-11-05
KR101923819B1 true KR101923819B1 (ko) 2018-11-29

Family

ID=64328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733A KR101923819B1 (ko) 2017-04-26 2017-04-26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8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4863A (ja) * 2004-07-30 2006-02-09 Toyotomi Co Ltd 送風ファンの吹出し部に設置する芳香装置
KR101677412B1 (ko) * 2016-03-24 2016-11-17 주식회사 청수이앤에스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
KR200483266Y1 (ko) * 2015-08-19 2017-04-20 이영호 싱크대 배수구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4863A (ja) * 2004-07-30 2006-02-09 Toyotomi Co Ltd 送風ファンの吹出し部に設置する芳香装置
KR200483266Y1 (ko) * 2015-08-19 2017-04-20 이영호 싱크대 배수구커버
KR101677412B1 (ko) * 2016-03-24 2016-11-17 주식회사 청수이앤에스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953A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9872B2 (en) System and device for water filtration and purification
JP6418534B2 (ja) 収容空洞を備えた自由回転するパルセータ
WO2008044831A1 (en) Automated rice cooking system
KR200483266Y1 (ko) 싱크대 배수구커버
WO2004113232A2 (en) System and containers for water filtration and item sanitization
KR200476742Y1 (ko) 싱크대 배수구커버
KR101923819B1 (ko)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KR200402095Y1 (ko) 수저통과 이를 포함하는 수저 세정장치
KR101154512B1 (ko)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
KR20160002642U (ko) 살균기 수저통
KR101390271B1 (ko) 드럼 세미기
KR101116463B1 (ko) 싱크볼 구조
US20120067749A1 (en) Container
KR101677412B1 (ko)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
KR200473545Y1 (ko)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JP2019170333A (ja) 食品洗浄装置
KR101640596B1 (ko) 살균 소독제가 설치된 싱크볼용 배수커버
CN209172017U (zh) 一种自动清洗消毒饮水机
JP4861936B2 (ja) アダプター
JPH09296492A (ja) 排水口用ごみ取り具
JPH03284393A (ja) 活水器用濾過体
KR102187887B1 (ko) 음식물 가열 포트
CA2530456C (en) System and containers for water filtration and item sanitization
JP2019176821A (ja) 食品洗浄装置
CN218355663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