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463B1 - 싱크볼 구조 - Google Patents

싱크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463B1
KR101116463B1 KR1020100029724A KR20100029724A KR101116463B1 KR 101116463 B1 KR101116463 B1 KR 101116463B1 KR 1020100029724 A KR1020100029724 A KR 1020100029724A KR 20100029724 A KR20100029724 A KR 20100029724A KR 101116463 B1 KR101116463 B1 KR 101116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drain
wall
lamp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0423A (ko
Inventor
황형근
Original Assignee
황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형근 filed Critical 황형근
Priority to KR1020100029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463B1/ko
Publication of KR20110110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speci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removabl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볼에서 행주의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식기류 세척시 임시보관이 가능하고 배수구를 통한 악취발생을 억제시키는 싱크볼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싱크볼 구조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식기류를 세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세척조가 구비된 싱크볼 본체;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는 소정의 깊이 가지고 독립된 공간을 이루며 세척된 상기 식기류를 거치시키도록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와,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식기류의 잔류하는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식기 수납고; 및
상기 세척조의 어느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빨래판 본체와, 행주 세탁이 가능하도록 상기 빨래판 본체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요철부와, 상기 빨래판 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된 내측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빨래판 본체가 소정각도 회동될 때 회동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회동유지부재를 구비한 회동 빨래판;으로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싱크볼 구조는, 행주의 세척이 용이하고 식기의 잔류 물기 제거 및 낙하를 방지하며 배수통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세균발생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싱크볼 구조{STRUCTURE OF SINK BAWL}
본 발명은 싱크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볼에서 행주의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식기류 세척시 임시보관이 가능하고 배수구를 통한 악취발생을 억제시키는 싱크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볼은 주방에서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주방도구로서, 물을 수용하거나 흘려보내면서 식기류 또는 과일 채소 등을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물론, 이외에도 음식을 조리하는 공간으로도 제공된다.
이때, 싱크볼의 종류는 부엌에 설치된 주방용 싱크볼, 세탁용 싱크볼, 세면대, 실험실용 싱크볼, 암실용 싱크볼 등이 있다.
이중, 야채, 과일, 찬거리, 식기류 등을 세척하는 주방용 싱크볼 본체(1)는 도시된 도 1과 같이 세척조(10)의 하단 일측 바닥에 배수구(11)가 형성되고, 세척조(10)의 일측 상단부에는 물이 세척조(10)의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버플로우 배수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세척조(10)의 일측으로는 세척 후 각종 식자재 및 식기류의 물기 제거를 위해 임시로 놓여 지는 보조선반(13)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구(11)의 하단에는 배수관(30)과 연결되는 배수통(20)이 구비되는데, 상기 배수통(20)은 세척조(10)에서 발생하는 설겆이 물 등의 오수를 집수하면서 음식물쓰레기 등을 걸러내고 오수를 배수관(30)을 통해 하수관으로 방출시킨다.
도시된 도 2를 참조로 설명하면, 종래의 싱크볼 본체(1) 배수통(20)의 구성은 하단 일측에 배수공(21)이 형성되고, 일측 상단부에는 오버플로우 배수구(12)에 연결된 오버플로우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배수공(21)에는 외부의 하수관에 연결된 배수관(30)이 설치되어, 세척조(10)로부터 배수된 오수는 상기 배수관(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배수통(20)의 내부에는 거름망(23)이 설치되며, 이 거름망(23)은 세척조(10)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에 섞인 음식물 찌거기를 걸러내어 배수공(21) 및 배수관(30)이 음식물 찌거기로 인해 막히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 거름망(23)은 배수구(11)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거름망(23)의 내부에 쌓인 음식물 찌꺼기는 주기적으로 제거하여 싱크볼 본체(1)가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싱크볼 본체(1)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싱크볼 본체(1)에는 주방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행주를 빨래처럼 세탁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추고 있지 않다. 즉, 싱크볼 본체(1)는 식기류 세척 및 식자재의 세척 편리성과 함께 항상 청결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행주는 필수적인데, 행주를 세탁하기에는 세척조(10)의 깊이가 다소 깊어 비벼빨기가 불편하고 흐르는 물에 주물러 세척할 경우 비누칠이 여유 치 않아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둘째, 식기류의 세척시 잔류 세척수가 제거되도록 싱크볼 본체(1)의 보조선반(13)에 잠시 올려놓게 되는데 세척량이 많을 경우 식기류가 선반으로부터 낙하하여 파손되거나, 세척수가 보조선반에 잔류하게 되어 비위생적이지 문제가 있다.
셋째, 배수통(20)에 구비된 거름망(23)은 항상 물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의 세균 번식이 용이하여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무더운 하절기의 경우 악취발생 및 세균번식이 더욱 활발해짐에 따라 식중독균 등의 발생으로 건강에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주방에서 사용되는 행주의 세탁이 깨끗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식기류 세척시 식기의 낙하를 방지하고, 배수통에 UV램프를 설치하여 배수통 내부의 살균 및 악취발생을 억제시키는 싱크볼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수구가 형성되며, 식기류를 세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세척조가 구비된 싱크볼 본체;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는 소정의 깊이 가지고 독립된 공간을 이루며 세척된 상기 식기류를 거치시키도록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와,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식기류의 잔류하는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식기 수납고; 및 상기 세척조의 어느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빨래판 본체와, 행주 세탁이 가능하도록 상기 빨래판 본체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요철부와, 상기 빨래판 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된 내측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빨래판 본체가 소정각도 회동될 때 회동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회동유지부재를 구비한 회동 빨래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세척조의 상기 내측면에는 상기 빨래판 본체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되되,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빨래판 본체의 회동각도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동유지부재가 걸쳐지는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빨래판 본체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빨래판 본체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 쌍의 회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조의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회동축이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유지부재는 상기 빨래판 본체가 회동될 때 자중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걸림홈에 걸쳐지도록 하측이 상기 빨래판 본체의 내측홈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기 수납고의 상기 돌기부는 장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식기류에 잔류하는 물이 상기 배출공 측으로 유도되도록 양측이 바닥면을 향해 소정의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수구에는 상기 배수구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되어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수통이 구비되되, 상기 배수통은, 상기 배수구의 하방으로 설치되며, 바닥에는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배수구에 결합되어 몸체의 내부에 배치된 거름망; 및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거름망을 살균시키는 UV램프인 살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몸체의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벽과, 이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몸체의 외주면을 구성하는 외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UV램프는 몸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설치되어 거름망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몸체의 내벽은 UV램프의 자외선이 투과되는 재질이며, 몸체의 외벽은 UV램프의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벽은 UV램프의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UV램프와 내벽 사이에는 UV램프의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세척조에는 배수구를 차폐하는 덮개가 더 설치되며, 상기 덮개는 UV램프의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이되, 투명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자성을 갖는 자성체가 설치되며, 이에 대응되는 배수구 주변에는 상기 자성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덮개의 개폐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싱크볼 구조에 의하면,
첫째, 싱크볼 본체에 선택적으로 회동하는 회동 빨래판이 구비됨으로써 안정적인 자세로 손빨래가 이루어짐에 따라 행주의 세탁이 깨끗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둘째, 식기류의 세척시 잔류하는 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식기 수납고를 형성하여 많은 량의 식기 수납이 가능함과 동시에 식기의 낙하를 방지하고 잔류 세척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배수통 몸체의 내벽과 외벽사이에 UV램프를 설치하여 UV램프의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거름망의 살균과 동시에 배수통 내부를 건조시켜 악취발생 및 세균번식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구에 대한 덮개의 개폐 여부에 따라, UV램프의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싱크볼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싱크볼 본체의 배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볼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싱크볼 본체의 구성중 식기 수납고의 요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싱크볼 본체의 구성중 회동 빨래판을 "A"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회동 빨래판이 싱크볼 본체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볼 본체의 배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확대도.
도 9는 도 8의 단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싱크볼 본체에 빨래판, 식기 수납고 및 배수통에 UV램프를 구비함으로써, 행주의 세척이 용이하고 식기의 잔류 물기 제거 및 낙하를 방지하며 배수통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세균발생을 억제시키는 싱크볼을 제공한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볼 구조는 배수구(420)가 형성되며, 배수구(420)가 형성되며, 식기류를 세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세척조(410)가 구비된 싱크볼 본체(400); 상기 세척조(410)의 일측에는 소정의 깊이 가지고 독립된 공간을 이루며 세척된 상기 식기류를 거치시키도록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510)와,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식기류의 잔류하는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배출구(520)이 형성된 식기 수납고(500); 및 상기 세척조(410)의 어느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빨래판 본체(610)와, 행주 세탁이 가능하도록 상기 빨래판 본체(610)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요철부(611)와, 상기 빨래판 본체(610)의 타측면에 형성된 내측홈(6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빨래판 본체(610)가 소정각도 회동될 때 회동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회동유지부재(615)를 구비한 회동 빨래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싱크볼 본체(4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내측으로는 식기류 및 각종 식자재 등을 세척하기 위한 사각형상을 갖는 2개의 세척조(4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척조(410)의 바닥면 중심에는 식기류 및 각종 식자재의 세척시 발생하는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420)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식기 수납고(5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세척된 상기 식기류의 물기 제거를 위해 거치되거나 식자재 등의 세척 후 잔류 물기가 제거되도록 임시 보관되는 곳으로서, 상기 세척조(410)의 일측에 소정의 깊이 가지고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식기 수납고(500)의 바닥면에는 세척된 상기 식기류가 소정의 경사로 거치되거나 또는 바닥면과 이격되게 거치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수납고의 개방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5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식기 수납고(500)의 바닥면에는 상기 식기류의 잔류 세척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배출구(5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520)은 후술하는 상기 배수구(420)에 구비되는 배수통(100)과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돌기부(510)는 식기류가 거치가능하도록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식기류에 잔류하는 물이 상기 배출구(520) 측으로 유도되어 싱크볼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양측이 바닥면을 향해 소정의 경사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식기 수납고(500)는 세척된 식기류의 잔류 물기가 제거되도록 함과 동시에 임시보관이 가능하여 식기의 낙하를 방지하고, 또한 식자재 세척 후의 잔류 물기 제거에도 사용 가능하다.
아울러, 식기 수납고(500)의 형상 및 상기 돌기부(510)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회동 빨래판(60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주방에서 사용되는 행주의 세탁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세척조(410)의 상기 수용부(430)에 수용되는 빨래판 본체(610)와, 요철부(611)와, 회동유지부재(6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빨래판 본체(610)는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세척조(410)의 어느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빨래판 본체(610)의 결합 위치는 상기 세척조(410)의 후방 즉 이용자와 가장 근접한 위치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빨래판 본체(610)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빨래판 본체(610)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한 쌍의 회동축(610a)이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상기 세척조(410)의 상기 수용부(430) 내측 양단에는 상기 회동축(610a)이 끼워지는 끼움공(430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빨래판 본체(610)는 상기 회동축(610a)이 상기 끼움공(430a)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수용부(430)에 안정적인 수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 요철부(611)는 행주 세탁이 가능하도록 상기 빨래판 본체(610)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세척조(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요철부(611)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유지부재(615)는 상기 빨래판 본체(610)의 타측면에 형성된 내측홈(613)에 고정핀 등과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빨래판 본체(610)가 이용자에 의해 소정각도 회동될 때 회동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 경우, 상기 회동유지부재(615)는 상기 빨래판 본체(610)가 회동될 때 자중에 의해 회동되면서 후술하는 걸림홈(433)에 걸쳐지도록 하측이 상기 빨래판 본체(610)의 내측홈(613)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세척조(410)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동 빨래판(600)을 수용하는 수용부(4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430)는 상기 회동 빨래판(600)이 사용하지 않을시 수용되도록 함으로서 세척조(410)에서 행해지는 세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상기 수용부(430)의 내측면에는 상기 빨래판 본체(610)의 회동각도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동유지부재(615)가 걸쳐지는 다수개의 걸림홈(43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림홈(433)의 형상은 상기 회동유지부재(615)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회동유지부재(615)의 걸쳐지는 면적이 넓을수록 상기 빨래판 본체(6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회동 빨래판(600)은 세척조(410)의 상부에서 세척조(410)의 하부로 향하는 소정각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행주 세탁의 편리성과, 세탁 도중 거품이나 세탁오물이 손쉽게 흘러내리도록 하여 세척조(410) 외부로 세탁오물이 넘치는 것이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동 빨래판(600)의 형상 및 회동방법은 상기 세척조(410)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회동 빨래판(600)의 회동과정을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용자가 행주를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도 6a 상태에서 상기 빨래판 본체(610)를 화살표 방향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빨래판 본체(610)의 회동에 의해 빨래판 본체(610)가 들려지게 되면서 빨래판 본체(610)의 타측면에 하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회동유지부재(615)가 하측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낙하하게 된다.
낙하하는 상기 회동유지부재(615)는 이용자의 선택된 각도에 따라 그 말단부가 상기 걸림홈(433)에 걸져지게 된다(도 6b 참조).
즉, 이용자가 상기 빨래판 본체(610)를 들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회동유지부재(615)가 자중에 의해 낙하하면서 상기 걸림홈(433)에 걸쳐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상기 빨래판 본체(610)의 각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세척조(410)의 바닥면에 구비된 배수구(420)에는 배수통(100)이 구비된다.
상기 배수통(100)은 세척조(410)의 오수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관로를 제공함과 더불어, 오수에 섞인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하, 첨부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배수통(100)은 몸체(110)와, 거름망(120)과, 살균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10)는 거름망(120)을 수용하며, 배수구(420)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수구(420)의 하방이라 함은, 상기 세척조(410)의 하방으로서 싱크볼 본체(4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부위이다.
이 경우, 상기 몸체(110)는 통상 배수구(420)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바, 이에 대응되는 원통형임이 바람직하며 내벽(111)과 외벽(1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벽(111)은 상기 몸체(110)의 내주면을 구성하며, 거름망(120)에 대향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벽(111)의 재질은 자외선(UV)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재질로는 폴리에틸렌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외벽(112)은 몸체(110)의 외주면을 구성하며, 상기 내벽(111)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내벽(111)과 상기 외벽(112)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의 공간은 후술하는 살균수단(130) 즉, UV램프(13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외벽(112)의 재질은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내벽(111)은 자외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벽(112)은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내벽(111)은 오수가 통과되는 몸체(110)의 내부공간 및 거름망(120)에 대향되는 바, 자외선이 투과되도록 하여 거름망(120)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상기 외벽(112)은 자외선이 배수통(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인체에 유해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자외선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외벽(112)의 재질은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도록 하되, 자외선을 반사시킬 수 있는 거울과 같은 반사경임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UV램프(130)의 자외선이 외벽(112)을 통해 반사된 후, 거름망(120)을 향해 조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몸체(110)가 원형으로 형성된 바, 외벽(112)을 따라 자외선이 반사되면서 상기 거름망(120)의 둘레에 골고루 조사되는 것이다.
만약, 상기 외벽(112)이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재질이 아니라면, 상기 UV램프(130)의 자외선은 상기 거름망(120)을 향해 바로 조사되며, 이에 따라 상기 거름망(120)의 반대편에는 상기 UV램프(130)의 자외선이 미치지 못하게 되어 거름망(120)에 대한 살균효과가 극대화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바닥에는 배출공(113)이 형성되며, 몸체(110)의 측면에는 오버플로우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공(113)은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로서, 외부로 노출된 별도의 호스(H)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오버플로우공(114)은 세척조(410)의 물이 주방으로 범람하지 않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별도의 호스(H)에 의해 세척조(410)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배수구(12)에 연통된다.
이때, 오버플로우공(114)과 배출공(113)은 몸체(110)의 내벽(111)과 외벽(112)을 관통하며, 특히, 오버플로우공(114)은 후술하는 UV램프(130)에 간섭되지 않는 부위에 형성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는 UV램프(130)를 제어하는 전원부(200)가 설치된다.
상기 전원부(200)는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며, 인버터와 타이머 회로등의 전기부품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거름망(120)은 세척조(410)의 배수구(420)를 통한 오수에 섞인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내며, 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거름망(120)은 몸체(110)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바, 그에 대응되는 원통형임이 바람직하되, 외면에는 복수의 필터공(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름망(120)의 바닥은 음식물 찌꺼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폐쇄되며, 거름망(120)의 상부는 개구된 개구부(122)를 포함한다.
즉, 상기 거름망(120)의 개구부(122)는 세척조(410)의 배수구(420)에 대응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배수구(420)를 통과한 오수는 거름망(120)의 필터공(121)을 통해 몸체(110)의 내부 즉, 배출공(113)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고, 음식물 찌꺼기만 거름망(120)에 걸러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살균수단은 배수통(100)의 내부를 살균하는 역할을 하며, 몸체(110)의 내벽(111)과 외벽(1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된다.
이때, 살균수단은 UV램프(130)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UV램프(130)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램프로서, 살균 및 항균 효과가 탁월하다.
상기 자외선은 파장이 짧아 투과력은 약하지만, 강력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화학반응을 촉진하고, 유기물을 산화시키며 미생물들을 살균할 수 있는 큰 특징이 있다.
덧붙여, 자외선의 살균원리는 자외선의 조사(照射)에 의해 세균과 곰팡이 등의 세포내 핵산이 변화하면서 신진대사에 장해가 오고, 증식능력을 잃어 사멸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UV램프(130)는 몸체(110)의 내벽(111)과 외벽(112) 사이의 공간에 복수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경제성, 유지보수 등을 감안할 때, 한 개 정도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즉, 살균시키고자 하는 상기 거름망(120)의 부피가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몸체(110)의 일측에 한 개정도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110)의 내벽(111)은 자외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몸체(110)의 외벽(112)은 자외선이 투과되지 못하는 재질일 뿐만 아니라 빛이 반사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UV램프(13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의 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UV램프(130) 한 개만으로도 살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내벽(111)과 UV램프(130) 사이에는 반사판(140)이 더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이 역시, 상기 UV램프(130)의 자외선을 거름망(120)에 대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조사하기 위함이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UV램프(130)의 자외선은 거름망(120)을 향해 직접 조사되는 것이 아니라, 반사판(140)에 의해 반사된 후, 외벽(112)을 따라 재차 반사되어 거름망(120)의 둘레 모두에 조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세척조(410)의 배수구(420)에는 덮개(300)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300)는 배수구(420)를 폐쇄하여 세척조(410)에 물을 저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통(100)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덮개(300)의 재질은 투명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배수통(100)의 몸체(110)에 설치된 상기 UV램프(130)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덮개(300)의 재질은 인체에 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덮개(300)가 배수구(420)를 개방하였을 때에는 UV램프(130)의 살균동작이 실행되지 않고, 덮개(300)가 배수구(420)를 폐쇄하였을 때에만, UV램프(130)의 살균동작이 진행될 수 있도록 별도의 센서가 설치된다.
즉, 덮개(300)의 저면에는 자성을 갖는 자성체(310)가 설치되고, 이 자성체(310)에 대응되는 배수구 주변에는 상기 자성체(310)를 감지하는 센서(32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센서(320)가 자성체(310)를 감지하였을 때에는, 배수구(420)에 대한 폐쇄를 인식하여 UV램프(130)의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센서(320)가 자성체(310)를 감지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UV램프(130)의 살균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거나, 설령,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는 중이라 하더라도 그 살균작용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배수통에 대한 살균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수도관을 틀어 설겆이를 하거나 과일, 채소 등을 세척한 후, 오수는 배수구(420)를 통해 거름망(120)의 필터공(121) 그리고 몸체(110)의 배출공(113)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때, 오수와 함께 배수구(420)를 통과한 음식물 찌꺼기는 거름망(120)의 필터공(121)을 빠져 나가지 못해 거름망(120)의 내부에 걸러진다.
이후, 세척이 완료되면 거름망(120)에 걸러진 음식물 찌거기를 별도의 장소에 버리고 거름망(120)을 다시 배수구(420)에 설치시키고 덮개(300)를 이용해 배수구(420)를 폐쇄시킨다.
이때, 센서(320)는 덮개(300)의 자성체(310)를 감지하여 전원부(200)로 하여금 UV램프(13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UV램프(130)는 자외선을 방출하며, 이 자외선은 외벽(112) 및 반사판(140)에 조사된다.
이때, 자외선의 일부는 외벽(112)으로부터 반사되어 외벽(112)의 둘레를 따라 거름망(120)을 향해 조사되고, 자외선의 나머지 일부는 반사판(140)으로부터 반사된 후 외벽(112)으로부터 재차 반사되어 거름망(120)을 향해 조사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UV램프(130)의 자외선은 거름망(120)을 향해 직접 조사되는 것이 아니라, 외벽(112)의 둘레를 따라 반사된 후, 거름망(120)에 조사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외선은 거름망(120)의 둘레에 골고루 조사됨으로써, 살균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게다가, 거름망(120)의 상부는 덮개(300)가 차폐하고, 몸체(110)의 외벽(112)은 자외선이 투과되지 못함에 따라 자외선이 몸체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살균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후, 타이머 회로에 의해, 정해진 UV램프(130)의 작동시간이 지나면, UV램프(130)는 살균작용을 정지하고 빛을 발광하지 않게 된다.
이때, 이용자는 투명한 덮개(300)를 통해 UV램프(130)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UV램프(130)를 이용한 싱크볼의 배수통(100)에 대한 살균작용이 완료된다.
한편, 사용자의 부주의로 덮개(300)를 열어 배수구(420)를 개방하더라도, 센서(320)가 자성체(310)를 감지하지 못함에 따라 UV램프(130)는 자외선 조사를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은 센서의 감지 작용으로 인해, 설령 사용자가 덮개(300)를 개방하더라도, UV램프(130)의 자외선은 외부로 노출될 염려가 없게 되어 사용자의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싱크볼(1) 구조는, 행주의 세척이 용이하고 식기의 잔류 물기 제거 및 낙하를 방지하며 배수통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세균발생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개조나 변형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식기 수납고(500)의 형상, 돌기부(510)의 형상, 회동 빨래판(600)의 형상 및 회동방법, 회동 빨래판(600)의 결합위치, 요철부(611)의 형상, 걸림홈(433)의 형상, 배수통(100)의 형상 및 구조, 몸체(110) 내.외벽(111,112)의 재질, 반사판(140)의 종류, 덮게(300)의 재질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고,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짐은 말할 나위가 없다.
1, 400 : 싱크볼 본체 10, 410 : 세척조
11, 420 : 배수구 13 : 보조선반
100 : 배수통 110 : 몸체
111 : 내벽 112 : 외벽
113 : 배출공 114 : 오버플로우공
120 : 거름망 121 : 필터공
122 : 개구부 130 : UV램프
140 : 반사판 200 : 전원부
300 : 덮개 310 : 자성체
320 : 센서 430 : 수용부
430a : 끼움공 433 : 걸림홈
500 : 식기 수납고 510 : 돌기부
520 : 배출구 600 : 회동 빨래판
610 : 빨래판 본체 610a : 회동축
611 : 요철부 613 : 내측홈
615 : 회동유지부재 H : 호스

Claims (11)

  1. 배수구(420)가 형성되며, 식기류를 세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세척조(410)가 구비된 싱크볼 본체(400);
    상기 세척조(410)의 일측에는 소정의 깊이 가지고 독립된 공간을 이루며 세척된 상기 식기류를 거치시키도록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510)와,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식기류의 잔류하는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배출구(520)이 형성된 식기 수납고(500); 및
    상기 세척조(410)의 어느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빨래판 본체(610)와, 행주 세탁이 가능하도록 상기 빨래판 본체(610)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요철부(611)와, 상기 빨래판 본체(610)의 타측면에 형성된 내측홈(6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빨래판 본체(610)가 소정각도 회동될 때 회동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회동유지부재(615)를 구비한 회동 빨래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410)의 상기 내측면에는 상기 빨래판 본체(610)를 수용하는 수용부(430)가 구비되되,
    상기 수용부(430)의 내측면에는 상기 빨래판 본체(610)의 회동각도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동유지부재(615)가 걸쳐지는 다수개의 걸림홈(4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빨래판 본체(610)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빨래판 본체(610)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 쌍의 회동축(610a)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조(410)의 상기 수용부(430)에는 상기 회동축(610a)이 끼워지는 끼움공(43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지부재(615)는 상기 빨래판 본체(610)가 회동될 때 자중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수용부(430)의 상기 걸림홈(433)에 걸쳐지도록 하측이 상기 빨래판 본체(610)의 내측홈(613)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수납고(500)의 상기 돌기부(510)는 장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식기류에 잔류하는 물이 상기 배출구(520) 측으로 유도되도록 양측이 바닥면을 향해 소정의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420)에는 상기 배수구(420)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되어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수통(100)이 구비되되,
    상기 배수통(100)은,
    상기 배수구(420)의 하방으로 설치되며, 바닥에는 배출구(113)이 형성된 몸체(110);
    상기 배수구(420)에 결합되어 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된 거름망(120); 및
    상기 몸체(110)에 설치되며, 거름망(120)을 살균시키는 UV램프(130)인 살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110)는,
    몸체(110)의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벽(111)과, 이 내벽(111)으로부터 이격되어 몸체(110)의 외주면을 구성하는 외벽(1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UV램프(130)는 몸체(110)의 내벽(111)과 외벽(112) 사이에 설치되어 거름망(120)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내벽(111)은 UV램프(130)의 자외선이 투과되는 재질이며, 몸체(110)의 외벽(112)은 UV램프(130)의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외벽(112)은 UV램프(130)의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V램프(130)와 내벽(111) 사이에는 UV램프(130)의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반사판(14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구조.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410)에는 배수구(420)를 차폐하는 덮개(300)가 더 설치되며,
    상기 덮개(300)는 UV램프(130)의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이되, 투명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00)의 저면에는 자성을 갖는 자성체가 설치되며,
    이에 대응되는 배수구(420) 주변에는 상기 자성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덮개(300)의 개폐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구조.
KR1020100029724A 2010-04-01 2010-04-01 싱크볼 구조 KR101116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724A KR101116463B1 (ko) 2010-04-01 2010-04-01 싱크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724A KR101116463B1 (ko) 2010-04-01 2010-04-01 싱크볼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423A KR20110110423A (ko) 2011-10-07
KR101116463B1 true KR101116463B1 (ko) 2012-02-29

Family

ID=4539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724A KR101116463B1 (ko) 2010-04-01 2010-04-01 싱크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4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006B1 (ko) * 2013-03-05 2014-12-10 주식회사 넵스 음식물 슬러지의 처리효율을 높인 주방용 싱크볼의 배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1295A (zh) * 2016-09-20 2017-01-25 芜湖市晨曦新型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水槽装配案板
CN109403434A (zh) * 2018-12-25 2019-03-01 苏州弗乐卡电器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食品净化水槽
CN110593364A (zh) * 2019-10-25 2019-12-20 佛山市顺德区悍高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食品净化设备
CN115419145A (zh) * 2022-09-05 2022-12-02 山东鲁润塑业股份有限公司 一种高分子复合材料阳台洗衣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070A (ja) * 1994-06-29 1996-01-16 Toshiko Fujisaki 水はね防止板付流し台
KR200296104Y1 (ko) * 2002-08-12 2002-11-22 유슬기 씽크대에 탈부착 가능한 행주 세탁용 소형 빨래판
KR200329292Y1 (ko) * 2003-07-07 2003-10-08 (주)거산정밀 싱크대용 수절판
KR20100042334A (ko) * 2008-10-16 2010-04-26 신현종 싱크대의 배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070A (ja) * 1994-06-29 1996-01-16 Toshiko Fujisaki 水はね防止板付流し台
KR200296104Y1 (ko) * 2002-08-12 2002-11-22 유슬기 씽크대에 탈부착 가능한 행주 세탁용 소형 빨래판
KR200329292Y1 (ko) * 2003-07-07 2003-10-08 (주)거산정밀 싱크대용 수절판
KR20100042334A (ko) * 2008-10-16 2010-04-26 신현종 싱크대의 배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006B1 (ko) * 2013-03-05 2014-12-10 주식회사 넵스 음식물 슬러지의 처리효율을 높인 주방용 싱크볼의 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423A (ko) 201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463B1 (ko) 싱크볼 구조
KR100970101B1 (ko) 싱크대의 배수구조
KR20110096607A (ko)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
KR20150106115A (ko) 도마 위생성이 향상된 싱크대
KR101364127B1 (ko) 싱크대용 배수구 거름망
KR100875726B1 (ko) 위생적으로 인출 가능한 수저통
JP4429954B2 (ja) 食器洗浄機
KR101835481B1 (ko)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배수구 마개
KR20070053050A (ko) 자외선 살균 식기세척방법
KR20090114213A (ko) 걸레 세탁기
KR20170001854A (ko)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배수구 마개
KR200270666Y1 (ko) 도마 보관장치
KR200446830Y1 (ko) 싱크대 살균기
KR101923819B1 (ko)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CN210169992U (zh) 一种集成清洗消毒机
KR20120006391U (ko) 자외선 살균 장치가 구비된 싱크볼
CN218894156U (zh) 一种厨房陶瓷水槽
JP4489613B2 (ja) 食器洗浄機
KR101689975B1 (ko) 싱크대 거름망 소독장치
KR20020009259A (ko) 건조 기능을 구비한 저장용기
KR200354583Y1 (ko) 조리도구 수납케이스
KR200224473Y1 (ko) 건조 기능을 구비한 저장용기
KR20070053049A (ko) 자외선 살균 식기세척기
KR200374420Y1 (ko) 식기 세척장치를 구비하는 복합 주방가구
KR200333379Y1 (ko) 세척 및 살균, 건조가 가능한 핸드 크리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