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334A - 싱크대의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싱크대의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334A
KR20100042334A KR1020080101431A KR20080101431A KR20100042334A KR 20100042334 A KR20100042334 A KR 20100042334A KR 1020080101431 A KR1020080101431 A KR 1020080101431A KR 20080101431 A KR20080101431 A KR 20080101431A KR 20100042334 A KR20100042334 A KR 20100042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wall
drain
sink
drainag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0101B1 (ko
Inventor
신현종
Original Assignee
신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종 filed Critical 신현종
Priority to KR1020080101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1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살균수단을 이용해 배수통 내부를 살균하도록 하여 악취발생방지 및 세균번식을 억제하도록 한 싱크대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배수구가 형성된 세척조와, 상기 배수구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되어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수통을 포함하는 싱크대의 배수구조에 있어서,상기 배수통은,상기 배수구의 하방으로 설치되며, 바닥에는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상기 배수구에 결합되어 몸체의 내부에 배치된 거름망;그리고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거름망을 살균시키는 살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싱크대의 배수구조를 제공한다.
싱크대,배수통,살균,UV램프,거름망,몸체,반사판,내벽,외벽

Description

싱크대의 배수구조{Drainage structure of kitchen sink}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름망을 살균처리하여 악취발생 및 세균번식을 억제하도록 한 싱크대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주방에서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주방도구로서, 물을 수용하거나 흘려보내면서 식기 또는 과일 채소 등을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물론, 이외에도 음식을 조리하는 공간으로도 제공된다.
이때, 싱크대의 종류는 부엌에 설치된 주방용 싱크대, 세탁용 싱크대, 세면대, 실험실용 싱크대, 암실용 싱크대 등이 있다.
이중, 야채 등의 찬거리와 과일 등을 세척하는 주방용 싱크대는 도시된 도 1과 같이 세척조(10)의 하단 일측으로 배수구(11)가 형성되고, 세척조(10)의 일측 상단부에는 물이 세척조(10)의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버플로우 배수구(12)가 형성되는 것이 보편화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싱크대의 배수통(20)은 싱크대의 배수구(11)에 설치되어 싱크대의 설겆이 물등의 오수를 집수하여 음식물쓰레기 등을 걸러내고, 배수통(20)에 연결된 배수관(30)을 통해 오수를 용이하게 하수관으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도 2를 참조로 설명하면, 종래의 싱크대 배수통(20)의 구성은 하단 일측에 배수공(21)이 형성되고, 일측 상단부에는 오버플로우 배수구(12)에 연결된 오버플로우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배수공(21)에는 외부의 하수관에 연결된 배수관(30)이 설치되어, 세척조(10)로부터 배수된 오수는 상기 배수관(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배수통(20)의 내부에는 거름망(23)이 설치되며, 이 거름망(23)은 세척조(10)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에 섞인 음식물 찌거기를 걸러내어 배수공(21) 및 배수관(30)이 음식물 찌거기로 인해 막히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 거름망(23)은 배수구(11)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거름망(23)의 내부에 쌓인 음식물 찌꺼기는 주기적으로 제거하여 싱크대가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잇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싱크대 배수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음식물 찌꺼기가 걸러진 거름망(23)으로부터 악취가 발생하며, 세균이 번식됨에 따라,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물론, 주기적으로 거름망(23)을 비우거나, 세척을 하더라도 근본적인 세균번식을 억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악취발생을 방지하기는 어려운게 사실이다.
특히, 무더운 날씨에는 악취발생 및 세균번식이 더욱 활발해짐에 따라 식중독균 등의 발생으로 건강상에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세척제(24)를 배치하였으나, 거름망(23)을 비우는 과정에서 살균세척제(24)에 음식물 찌꺼기가 간섭되어 거름망(23)이 완전히 비워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연결끈(24a) 등에 음식물 찌꺼기가 묻어 그 연결끈(24a)에서 세균번식 및 악취가 발생하는 2차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더욱이, 거름망(23)은 물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바, 상기한 살균세척제(24)로는 근본적인 살균 및 악취발생을 억제하지는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통에 UV램프를 설치하여 거름망을 포함하는 배수통 내부의 살균 및 악취발생을 억제하도록 한 싱크대의 배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배수구가 형성된 세척조와, 상기 배수구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되어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수통을 포함하는 싱크대의 배수구조에 있어서,상기 배수통은,상기 배수구의 하방으로 설치되며, 바닥에는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상기 배수구에 결합되어 몸체의 내부에 배치된 거름망;그리고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거름망을 살균시키는 살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싱크대의 배수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살균수단은 UV램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몸체는, 몸체의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벽과, 이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몸체의 외주면을 구성하는 외벽을 포함하며,상기 UV램프는 몸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설치되어 거름망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몸체의 내벽은 UV램프의 자외선이 투과되는 재질이며, 몸체의 외벽은 UV램프의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벽은 UV램프의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UV램프와 내벽 사이에는 UV램프의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조에는 배수구를 차폐하는 덮개가 더 설치되며,상기 덮개는 UV램프의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이되, 투명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자성을 갖는 자성체가 설치되며,이에 대응되는 배수구 주변에는 상기 자성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덮개의 개폐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의 배수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배수통 몸체의 내벽과 외벽사이에 UV램프를 설치하여 거름망을 살균시키도록 함으로써, 악취발생 및 세균번식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UV램프의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배수통 내부가 건조됨은 물론, 세균번식 및 악취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구에 대한 덮개의 개폐 여부에 따라, UV램프의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구의 덮개와 UV램프가 설치된 배수통 몸체의 외벽 등은 UV램프의 빛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고, 거름망에 대향된 몸체의 내벽은 UV램프의 자외선이 투과되는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배수통 몸체의 내부에서만 UV램프의 자외선이 조사가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성은 물론, UV램프의 자외선에 대한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살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의 배수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싱크대는 수도관(미도시)으로부터 물을 공급 받으면서 설겆이 또는 과일, 채소 등을 세척할 공간을 제공하며, 설겆이 또는 과일, 채소 등의 세척이 완료된 오수가 배수되는 배수구(11)가 형성된 세척조(10)와, 상기 배수구(11)의 하방으로 설 치되어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통(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수통(100)은 세척조(10)의 오수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관로를 제공함과 더불어, 오수에 섞인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배수통(100)은 몸체(110)와, 거름망(120)과, 살균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10)는 거름망(120)을 수용하며, 배수구(11)의 하방에 설치된다.
이때, 배수구(11)의 하방이라 함은, 세척조(10)의 하방으로서 싱크대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부위이다.
또한, 몸체(110)는, 통상 배수구(11)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바, 이에 대응되는 원통형임이 바람직하며 내벽(111)과 외벽(112)으로 이루어진다.
내벽(111)은 몸체(110)의 내주면을 구성하며, 거름망(120)에 대향된다.
이때, 내벽(111)의 재질은 자외선(UV)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질로는 폴리에틸렌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외벽(112)은 몸체(110)의 외주면을 구성하며, 상기 내벽(111)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내벽(111)과 외벽(112)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는, 후술하는 살균수단(130) 즉, UV램프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외벽의 재질은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내벽(111)은 자외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벽(112)은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이유는 다음과 같다.
내벽(111)은 오수가 통과되는 몸체(110)의 내부공간 및 거름망(120)에 대향되는 바, 자외선이 투과되도록 하여 거름망(120)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외벽(112)은 자외선이 배수통(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인체에 유해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자외선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외벽(112)의 재질은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도록 하되, 자외선을 반사시킬 수 있는 거울과 같은 반사경임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UV램프의 자외선이 외벽(112)을 통해 반사된 후, 거름망(120)을 향해 조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몸체(110)가 원형으로 형성된 바, 외벽(112)을 따라 자외선이 반사되면서 거름망(120)의 둘레에 골고루 조사되는 것이다.
만약, 외벽(112)이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재질이 아니라면, UV램프의 자외선은 거름망(120)을 향해 바로 조사되며, 이에 따라, 거름망(120)의 반대편에는 UV램프의 자외선이 미치지 못하게 되어 거름망(120)에 대한 살균효과가 극대화되지 못하게 된다.
한편, 몸체(110)의 바닥에는 배출공(113)이 형성되며, 몸체(110)의 측면에는 오버플로우공(114)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113)은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로서, 외부로 노출된 별도의 호스(H)에 연결된다.
또한, 오버플로우공(114)은 세척조의 물이 주방으로 범람하지 않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별도의 호스(H)에 의해 세척조(10)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배수구(12)에 연통된다.
이때, 오버플로우공(114)과 배출공(113)은 몸체(110)의 내벽(111)과 외벽(112)을 관통하며, 특히, 오버플로우공(114)은 후술하는 UV램프에 간섭되지 않는 부위에 형성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는 UV램프를 제어하는 전원부(200)가 설치된다.
상기 전원부(200)는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며, 인버터와 타이머 회로등의 전기부품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거름망(120)은 세척조의 배수구를 통한 오수에 섞인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내며, 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거름망(120)은 몸체(110)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바, 그에 대응되는 원통형임이 바람직하되, 외면에는 복수의 필터공(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거름망(120)의 바닥은 음식물 찌꺼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폐쇄되며, 거름망(120)의 상부는 개구된 개구부(122)를 포함한다.
즉, 거름망(120)의 개구부(122)는 세척조(10)의 배수구(11)에 대응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배수구(11)를 통과한 오수는 거름망(120)의 필터공(121)을 통해 몸체(110)의 내부 즉, 배출공(113)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고, 음식물 찌꺼기만 거름망(120)에 걸러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살균수단(130)은 배수통(100)의 내부를 살균하는 역할을 하며, 몸 체(110)의 내벽(111)과 외벽(1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된다.
이때, 살균수단(130)은 UV램프임이 바람직하다.
UV램프(130)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램프로서, 살균 및 항균 효과가 탁월하다.
상기 자외선은 파장이 짧아 투과력은 약하지만, 강력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화학반응을 촉진하고, 유기물을 산화시키며 미생물들을 살균할 수 있는 큰 특징이 있다.
덧붙여, 자외선의 살균원리는 자외선의 조사(照射)에 의해 세균과 곰팡이 등의 세포내 핵산이 변화하면서 신진대사에 장해가 오고, 증식능력을 잃어 사멸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UV램프(130)는 몸체(110)의 내벽(111)과 외벽(112) 사이의 공간에 복수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경제성, 유지보수 등을 감안할 때, 한 개 정도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즉, 살균시키고자 하는 거름망(120)의 부피가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몸체(110)의 일측에 한 개정도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110)의 내벽(111)은 자외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몸체(110)의 외벽(112)은 자외선이 투과되지 못하는 재질일 뿐만 아니라 빛이 반사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UV램프(13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의 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UV램프(130) 한 개만으로도 살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때, 몸체(110)의 내벽(111)과 UV램프(130) 사이에는 반사판(140)이 더 개 재됨이 바람직하다.
이 역시, UV램프(130)의 자외선을 거름망(120)에 대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조사하기 위함이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UV램프(130)의 자외선은 거름망(120)을 향해 직접 조사되는 것이 아니라, 반사판(140)에 의해 반사된 후, 외벽(112)을 따라 재차 반사되어 거름망(120)의 둘레 모두에 조사되는 것이다.
한편, 세척조(10)의 배수구(11)에는 덮개(300)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300)는 배수구(11)를 폐쇄하여 세척조(10)에 물을 저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배수통(100)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함이다.
이때, 덮개(300)의 재질은 투명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수통(100)의 몸체(110)에 설치된 UV램프(130)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덮개(300)의 재질은 인체에 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덮개(300)가 배수구를 개방하였을 때에는 UV램프(130)의 살균동작이 실행되지 않고, 덮개(300)가 배수구를 폐쇄하였을 때에만, UV램프(130)의 살균동작이 진행될 수 있도록 별도의 센서가 설치된다.
즉, 덮개(300)의 저면에는 자성을 갖는 자성체(310)가 설치되고, 이 자성체(310)에 대응되는 배수구 주변에는 상기 자성체(310)를 감지하는 센서(320)가 설 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센서(320)가 자성체(310)를 감지하였을 때에는, 배수구에 대한 폐쇄를 인식하여 UV램프(130)의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센서(320)가 자성체(310)를 감지하지 않았을 때에는 UV램프(130)의 살균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거나, 설령,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는 중이라 하더라도 그 살균작용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싱크대의 배수구조를 통해 배수통에 대한 살균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수도관을 틀어 설겆이를 하거나 과일, 채소 등을 세척한 후, 오수는 배수구(11)를 통해 거름망(120)의 필터공(121) 그리고 몸체(110)의 배출공(113)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때, 오수와 함께 배수구(11)를 통과한 음식물 찌꺼기는 거름망(120)의 필터공(121)을 빠져 나가지 못해 거름망(120)의 내부에 걸러진다.
이후, 설겆이 또는 과일, 채소의 세척이 완료되면, 거름망(120)에 걸러진 음식물 찌거기를 별도의 장소에 버리고 거름망(120)을 다시 배수구(11)에 설치시킨다.
이후, 덮개(300)를 이용해 배수구(11)를 폐쇄시킨다.
이때, 센서(320)는 덮개(300)의 자성체(310)를 감지하여 전원부(200)로 하여금 UV램프(13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UV램프(130)는 자외선을 방출하며, 이 자외선은 외벽(112) 및 반 사판(140)에 조사된다.
이때, 자외선의 일부는 외벽(112)으로부터 반사되어 외벽(112)의 둘레를 따라 거름망(120)을 향해 조사되고, 자외선의 나머지 일부는 반사판(140)으로부터 반사된 후 외벽(112)으로부터 재차 반사되어 거름망(120)을 향해 조사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UV램프(130)의 자외선은 거름망(120)을 향해 직접 조사되는 것이 아니라, 외벽(112)의 둘레를 따라 반사된 후, 거름망(120)에 조사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외선은 거름망(120)의 둘레에 골고루 조사됨으로써, 살균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게다가, 거름망(120)의 상부는 덮개(300)가 차폐하고, 몸체(110)의 외벽(112)은 자외선이 투과되지 못함에 따라 자외선이 몸체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살균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후, 타이머 회로에 의해, 정해진 UV램프(130)의 작동시간이 지나면, UV램프(130)는 살균작용을 정지하고 빛을 발광하지 않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투명한 덮개(300)를 통해 UV램프(130)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UV램프(130)를 이용한 싱크대의 배수통(100)에 대한 살균작용이 완료된다.
한편, 사용자의 부주의로 덮개(300)를 열어 배수구(11)를 개방하더라도, 센서(320)가 자성체(310)를 감지하지 못함에 따라 UV램프(130)는 자외선 조사를 멈추 게 된다.
이와 같은 센서의 감지 작용으로 인해, 설령 사용자가 덮개(300)를 개방하더라도, UV램프(130)의 자외선은 외부로 노출될 염려가 없게 되어 사용자의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짐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싱크대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싱크대 배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거름망에 살균세척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의 배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의 배수구조의 배수통을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세척조 11 : 배수구
100 : 배수통 110 : 몸체
111 : 내벽 112 : 외벽
113 : 배출공 114 : 오버플로우공
120 : 거름망 121 : 필터공
122 : 개구부 H : 호스
130 : UV램프 140 : 반사판
200 : 전원부 300 : 덮개
310 : 자성체 320 : 센서

Claims (8)

  1. 배수구가 형성된 세척조와, 상기 배수구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되어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수통을 포함하는 싱크대의 배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은,
    상기 배수구의 하방으로 설치되며, 바닥에는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배수구에 결합되어 몸체의 내부에 배치된 거름망;그리고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거름망을 살균시키는 살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싱크대의 배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은 UV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몸체의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벽과, 이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몸체의 외주면을 구성하는 외벽을 포함하며,
    상기 UV램프는 몸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설치되어 거름망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벽은 UV램프의 자외선이 투과되는 재질이며, 몸체의 외벽은 UV램프의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구조.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벽은 UV램프의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UV램프와 내벽 사이에는 UV램프의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구조.
  7.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에는 배수구를 차폐하는 덮개가 더 설치되며,
    상기 덮개는 UV램프의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이되, 투명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자성을 갖는 자성체가 설치되며,
    이에 대응되는 배수구 주변에는 상기 자성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 되어 덮개의 개폐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구조.
KR1020080101431A 2008-10-16 2008-10-16 싱크대의 배수구조 KR100970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431A KR100970101B1 (ko) 2008-10-16 2008-10-16 싱크대의 배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431A KR100970101B1 (ko) 2008-10-16 2008-10-16 싱크대의 배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334A true KR20100042334A (ko) 2010-04-26
KR100970101B1 KR100970101B1 (ko) 2010-07-16

Family

ID=4221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431A KR100970101B1 (ko) 2008-10-16 2008-10-16 싱크대의 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1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463B1 (ko) * 2010-04-01 2012-02-29 황형근 싱크볼 구조
WO2016208906A1 (ko) * 2015-06-26 2016-12-2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장치
KR20220096253A (ko) * 2020-12-30 2022-07-07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싱크대 배수구용 자외선 엘이디 살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134B1 (ko) 2018-11-01 2020-04-09 한병량 싱크대 배수구 살균장치
US11788265B2 (en) 2019-08-12 2023-10-17 Sterilumen, Inc. Interchangeable drain disinfecting device with UV source irradiation optimization
KR102210506B1 (ko) * 2020-06-05 2021-02-03 주식회사 크리셈 자가발전시스템과 uv led가 구비된 위생적인 변기 배수구 시스템
KR102158865B1 (ko) * 2020-06-05 2020-09-23 주식회사 크리셈 자가발전시스템과 uv led가 구비된 위생적인 싱크대 배수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652Y1 (ko) * 1996-11-18 1999-06-15 박우진 싱크대용 탈수기의 안전장치
US5945465A (en) * 1998-05-15 1999-08-31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polymerizing contact lenses having UV absorbing properties
KR20050116426A (ko) * 2004-06-07 2005-12-12 전운용 싱크대용 배수장치
KR100732941B1 (ko) 2005-12-19 2007-06-29 이승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117123A (ko) * 2006-06-07 2007-12-12 황명화 싱크용 살균 탈취 건조 음식 쓰레기통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463B1 (ko) * 2010-04-01 2012-02-29 황형근 싱크볼 구조
WO2016208906A1 (ko) * 2015-06-26 2016-12-2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장치
US10525153B2 (en) 2015-06-26 2020-01-07 Seoul Viosys Co., Ltd. Sterilizing apparatus
US11027033B2 (en) 2015-06-26 2021-06-08 Seoul Viosys Co., Ltd. Sterilizing apparatus
US11938239B2 (en) 2015-06-26 2024-03-26 Seoul Viosys Co., Ltd. Sterilizing apparatus
KR20220096253A (ko) * 2020-12-30 2022-07-07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싱크대 배수구용 자외선 엘이디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0101B1 (ko) 201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101B1 (ko) 싱크대의 배수구조
KR101724597B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1364127B1 (ko) 싱크대용 배수구 거름망
KR20160081680A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1116463B1 (ko) 싱크볼 구조
KR101835481B1 (ko)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배수구 마개
US6499495B2 (en) Waste treatment system for suction canisters
KR10095881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20070053050A (ko) 자외선 살균 식기세척방법
CN211071066U (zh) 一种医疗卫生用消毒装置
KR20090060872A (ko) 살균 기능을 갖는 씽크대 배수 장치
KR20170001854A (ko)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배수구 마개
JP2006280518A (ja) 食器洗浄機
KR101791451B1 (ko) 위생용 싱크대 거름망 건조기
JP3111668U (ja) ごみ箱
KR200446830Y1 (ko) 싱크대 살균기
KR102109301B1 (ko) 휴지통과 냄새가 없는 순환수세 이동식 화장실
KR101684613B1 (ko) 씽크대의 자외선 살균을 위한 배수구 커버
KR200444802Y1 (ko) 개폐밸브를 갖는 싱크대소독장치
KR20110019912A (ko) 생활배수의 처리방법 및 생활배수 처리장치
CN216222155U (zh) 一种手术室护理中废物收集护理装置
KR20150099357A (ko) 살균 소독제가 설치된 싱크볼용 배수커버
CN215442184U (zh) 不锈钢手术室感应洗手池
KR20080034217A (ko) 광촉매와 자외선 등을 이용한 바이러스 및 세균을 제거하는환경친화용 소독기
KR101425406B1 (ko) 배수구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