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711B1 - 광모듈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광모듈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711B1
KR102005711B1 KR1020190043562A KR20190043562A KR102005711B1 KR 102005711 B1 KR102005711 B1 KR 102005711B1 KR 1020190043562 A KR1020190043562 A KR 1020190043562A KR 20190043562 A KR20190043562 A KR 20190043562A KR 102005711 B1 KR102005711 B1 KR 102005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optical module
result dat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영
Original Assignee
심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영 filed Critical 심재영
Priority to KR1020190043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40Transce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는, 검사대상 광 모듈과 연결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상기 광 모듈의 전류 및 전압 범위을 측정하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기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모듈 테스트 장치{DEVICE FOR TESTING OPTICAL MODULES}
본 발명은 광모듈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모듈에 연결되어 광모듈의 이상여부를 검사하는 광모듈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모듈은 광 신호를 매개로 어떠한 특정 정보를 고속으로 전달하기 위한 부품들로, 예를 들면 다양한 칩들이 광섬유와 연결되는 방식으로 모여 모듈화된 것이다. 이러한 광모듈의 일례로는 ROADM(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 XFP transceiver,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AWG 모듈, 스플리터 모듈 등이 알려져 있다.
최근 다양한 통신 장치 및 컴퓨팅 장치가 널리 보급되면서, 장치와 장치를 연결하거나, 장치에 인터넷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 컴퓨터, TV 등과 같은 전자 장치에는 광 모듈, 다시 말해 광 트랜시버(transceiver)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광 모듈이 제조 또는 사용 과정에서 고장나거나 오작동하는 경우, 광 모듈을 통해 통신망이 형성된 장치는 통신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된다.
하지만, 사용자는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가 원활하지 않은 경우 광 모듈의 문제보다는 단순히 장치의 문제인 것으로 착각하여 장치를 불필요하게 수리 요청하거나 교체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이 낭비되고 있다.
이에, 광 모듈의 정상작동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8772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6995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광 모듈의 전류 및 전압 범위를 테스트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로 알려주는 광모듈 테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형을 향상시켜 검사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 광모듈 테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검사대상 광 모듈을 광모듈 테스트 장치에 구비된 커넥터의 위치까지 승강시킬 수 있는 다기능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는, 검사대상 광 모듈과 연결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상기 광 모듈의 전류 및 전압 범위을 측정하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기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어기판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판부에는, 각각의 커넥터부에는 상기 결과 데이터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광원을 발광하는 발광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판부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결과 데이터가 상기 기준 데이터의 설정 구간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발광부가 제1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제1 제어신호를 상기 발광부로 전송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가 상기 기준 데이터의 설정 구간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발광부가 제2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제2 제어신호를 상기 발광부로 전송하되,
상기 제어기판부는, 상기 광 모듈의 특성 및 종류에 따라 상기 기준 데이터가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각각의 커넥터부로 테스트 전류를 인가하여 복수의 각각의 커넥터부에 연결된 광 모듈 각각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수집하고, 복수의 결과 데이터에 대한 평균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평균 데이터를 각각의 결과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평균 데이터의 설정 구간을 벗어난 결과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적어도 하나의 결과 데이터가 상기 평균 데이터의 설정 구간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검색된 결과 데이터를 제공한 커넥터부터와 매칭된 발광부로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커넥터부와 매칭된 발광부로 전송함과 동시에,
불량인 것으로 확인된 광 모듈의 결과 데이터로 인해 평균 데이터가 잘못 설정된 것을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평균 데이터를 벗어난 결과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균 데이터를 재산출하고, 재산출된 평균 데이터를 각각의 결과 데이터와 다시 비교하여, 모든 결과 데이터가 평균 데이터의 설정 구간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하며, 재산출되는 평균 데이터에 모든 결과 데이터가 포함될 때까지 상기 평균 데이터의 재산출 과정 및 상기 재산출된 평균 데이터의 설정 구간에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한 번의 검사 과정만으로도 다수 개의 광 모듈에 대한 테스트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테스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검사대상 광 모듈을 광모듈 테스트 장치의 커넥터부가 형성된 높이까지 안전하게 승강시킴으로써, 테스트 과정에서 광 모듈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테스트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의 내수성 및 내균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모듈 테스트 장치가 실제 구현된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광모듈 테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광 모듈을 일괄적으로 테스트는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7의 다기능 승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상판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7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1)는 광 모듈이 정상제품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로, 광 모듈의 전류 및 전압의 범위를 검사하여 전류 또는 전압이 규격에 알맞은지를 검사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광 모듈이라 함은 유선 통신 및 광 통신을 위해 통신 케이블이 장치에 연결되는 접속 단자로, 예컨대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XFP(10 Gigabit Small Form Factor Pluggable), ROADM(Rapidly Oscillating Advanced Digital Mess) 등과 같은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부(10), 제어기판부(20) 및 발광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부(10)는 검사대상으로 설정된 광 모듈과 광모듈 테스트 장치(1)를 연결하는 부재로, 후술하는 제어기판부(20)에서 광 모듈로 테스트를 위한 신호 또는 전류가 커넥터부(10)를 통해 광 모듈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기판부(20)는 커넥터부(10)를 통해 연결된 광 모듈로 소정의 테스트 신호를 전송하거나 테스트 전류를 인가하여 광 모듈의 전류와 전압의 범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기판부(20)는 측정된 광 모듈의 전류 및 전압의 범위를 나타내는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기판부(20)는 생성된 결과 데이터를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결과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의 설정 구간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광 모듈이 비정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발광부(30)는 제어기판부(20)에 구비되는 발광 소자로, 예컨대 LED 소자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부(30)는 커넥터부(10)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배치되며, 제어기판부(2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점등될 수 있다. 이때, 제어기판부(20)는 상술한 테스트 과정에서 광 모듈에 대한 결과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의 설정 구간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제어신호를 발광부(30)로 전송하고, 결과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의 설정 구간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븐 제2 제어신호를 발광부(30)로 전송할 수 있다. 발광부(30)는 제1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제1 색상(예컨대 녹색)의 광원이 발광되도록 하고, 제2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제2 색상(예컨대 적색)의 광원이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발광부(30)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색상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광 모듈의 이상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판부(20)는 제어기판부(2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서 지지시키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광모듈 테스트 장치의 실제 모습이 도시된 일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판부(20)는 기판 본체(21), 및 기판본체(21)를 지지하는 네 개의 레그(22)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 본체(21)는 광 모듈의 테스트를 위한 모듈들이 배치된 기판이며, 네 개의 레그(22)는 기판 본체(21)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기판 본체(21)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본체(21)의 하부에 커넥터부(1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테스트를 위해 바닥면에 위치한 커넥터부(10)에 광 모듈과 연결된 연결 케이블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본체(21)는 레그(22)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 위치만큼 상승된 위치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커넥터부(10) 또한 지면으로부터 승강되어 사용자는 커넥터부(10)에 연결 케이블을 편리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1)는, 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하면서, 내부에 상술한 커넥터부(10) 및 제어기판부(20)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같은 구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1)는 제어기판부(20)의 둘레를 따라 커넥터부(10)가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의 개랴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광모듈 테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광 모듈을 동시에 검사하는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1a)는 복수의 커넥터부(11, 12, 13, 14), 제어기판부(20) 및 복수의 발광부(31, 32, 33, 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1a)를 구성하는 복수의 커넥터부(11, 12, 13, 14)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부(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1a)를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부(31, 32, 33, 34)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발광부(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1a)는 하나의 제어기판부(20)에 복수 개의 발광부(31, 32, 33, 34) 및 복수 개의 커넥터부(11, 12, 13, 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발광부(31, 32, 33, 34) 및 복수 개의 커넥터부(11, 12, 13, 14)는 일대일로 매칭되며, 예컨대 제1 발광부(31)는 제1 커넥터부(11)가 설치된 위치 근처에 배치되어 제1 커넥터부(11)에 연결된 광 모듈의 이상여부를 광원의 색상을 달리하여 알려줄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커넥터부 및 발광부가 네 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테스트 환경 및 사용 목적 등에 따라 그 개수는 조절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1a)를 구성하는 제어기판부(20)는 각각의 커넥터부(11, 12, 13, 14)에 연결된 복수의 광 모듈의 테스트를 한 번의 테스트 과정만으로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판부(20)는 먼저 각각의 커넥터부(11, 12, 13, 14)로 테스트 신호 또는 테스트 전류를 인가하여 복수의 광 모듈 각각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81).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체적은 과정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모든 광 모듈에 대한 결과 데이터가 수집되면, 제어기판부(20)는 복수의 결과 데이터에 대한 평균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82). 예컨대, 제어기판부(20)는 각각의
제어기판부(20)는 산출된 평균 데이터를 각각의 결과 데이터와 비교하여, 평균 데이터의 설정 구간을 벗어난 결과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83). 제어기판부(20)는 모든 데이터가 평균 데이터에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후술하는 84, 85 단계를 생략한 채 테스트를 종료할 수 있다. 이는, 테스트 결과 모든 광 모듈이 정상적으로 작동됨을 의미하며, 제어기판부(20)는 모든 발광부(31, 32, 33, 34)로 상술한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제어기판부(20)는 적어도 하나의 결과 데이터가 평균 데이터의 설정 구간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검색된 결과 데이터를 제공한 광 모듈이 불량임을 나타내는 제2 제어신호를 커넥터부와 매칭된 발광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커넥터부(13)에 연결된 제3 광 모듈에 대한 결과 데이터가 평균 데이터를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기판부(20)는 제3 발광부(33)로 제2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기판부(20)는 평균 데이터를 벗어난 결과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균 데이터를 재산출할 수 있다(84). 이는, 불량인 것으로 확인된 광 모듈의 결과 데이터로 인해 평균 데이터가 잘못 설정된 것을 보정하기 위함이다.
이후, 제어기판부(20)는 재산출된 평균 데이터를 각각의 결과 데이터와 다시 비교하여, 모든 결과 데이터가 평균 데이터의 설정 구간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85). 제어기판부(20)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재산출되는 평균 데이터에 모든 결과 데이터가 포함될 때까지 상술한 84 및 85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1)와는 상이하게,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는다. 대신, 광모듈 테스트 장치(1a)는 복수 개의 측정값(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데이터(평균 데이터)을 동적으로 생성함으로써, 검사대상 광모듈의 종류에 관계없이 항상 신뢰성 있는 테스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는 검사대상 광 모듈을 승강시키는 다기능 승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1b)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 테스트 장치(1b)는, 커넥터부(10), 제어기판부(20), 발광부(30) 및 다기능 승강 장치(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100) 및 지지대(22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기능 승강 장치(50)는, 광 모듈과 연결된 연결 케이블을 커넥터부(10)가 형성된 높이까지 승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부(10)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광모듈 테스트 장치(1c)는, 광 모듈과 연결된 연결 케이블을 자동으로 커넥터부(10)에 형성된 높이까지 승강시킴으로써, 광모듈 테스트 장치(1c)와 광 모듈을 편리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기능 승강 장치(50)의 상판이 파손되어 연결 케이블이 낙하하는 경우에도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연결 케이블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다기능 승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기능 승강 장치(50)는, 상판(310), 하판(320) 및 승강부(400)를 포함한다.
상판(310)은, 상측면에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하판(3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승강부(400)의 구동에 따라 하판(32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거나 하판(320) 방향으로 하강된다.
즉, 상판(310)은, 그 높이가 고정되는 하판(320)과는 달리, 작업자의 작업 필요성에 대응하여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선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하판(320)은,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상측에 상판(310)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310)과의 사이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기존의 승하강 기능을 구비한 선반의 경우에는, 승하강 구동장치가 하판의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상판의 상측에만 물건을 안착시킬 수 있었던 것에 반하여, 반 발명에서는 상판(310)의 상측뿐만 아니라, 하판(320)의 상측에도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적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승강부(400)는, 상판(310)의 일측과 하판(320)의 일측 사이와 상판(310)의 다른 일측과 하판(320)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상판(310) 및 하판(320) 중 하나의 판이 파손되는 등으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로 하는 경우 해당 판만을 분리한 후 새로운 판을 체결함으로써 지속적인 장비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승강부(400)는, 기존의 일체형 구동장치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착탈식의 모듈형 구동장치로서, 장비의 유지/보수 측면에서 보다 경제적인 장비의 운용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승강 장치(50)는, 승강부(400)의 전단 및 후단의 상측에 각각 탄성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500)는, 탑승된 작업자의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상판(310)이 파손되어 낙하하거나, 상판(31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 후술하는 구동 프레임(430)이 파손되어 상판(310)이 낙하하는 경우, 상판(310)이 바로 하판(320)에 충돌하여 이에 따른 충격으로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판(310)을 지지함으로써 작업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낙상으로 인하여 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승강부(400)는, 상판 체결부(410), 구동부(420), 구동 프레임(430) 및 하판 체결부(440)를 포함한다.
상판 체결부(410)는,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411),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제1 상부 지지부(411)에 힌지부(41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412)를 포함한다.
도 8은 도 7의 상판 체결부(410)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판 체결부(410)는, 하측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기 위한 회동 연결부(413)을 형성한다.
구동부(420)는,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부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및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하판 체결부(44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구동 프레임(430)은,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 및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구동부(420)의 구동에 의해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즉,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상측 방향으로 승강하게 되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하판 체결부(440)는,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구동부(4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441)를 구비한다(도 9 참조).
일 실시예에서, 하판 체결부(4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20)의 하측에 서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일체의 바디를 형성하고 전단 및 후단의 하측에 각각 바퀴(441)를 구비하는 일체형 바디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7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구동부(420)는, 안착부(421), 제1 직선 운동부(422) 및 제2 직선 운동부(423)를 포함한다.
안착부(421)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421a, 421b)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된 후 하판 체결부(440)에 의하여 하판(320)에 체결된다.
즉, 안착부(421)는, 하판 체결부(440)의 회동에 따라 하판(320)과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착탈식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착부(421)는, 전단 및 후단의 상측면에 평평한 형태의 안착면(421c, 421d)을 각각 형성하여 탄성 지지부(500)가 안착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안착부(421)의 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a)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2a)(도15 참조)의 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다만,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유압 실린더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구조로 안착부(421)의 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b)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3a)의 후단에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직선 운동부(422) 또는 제2 직선 운동부(423)는, 구동홈(421a, 421b)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424a), 및 지지 플레이트(424a)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424)가 피스톤(422a)의 전단(즉, 제1 직선 운동부(422)의 경우) 또는 후단(즉, 제2 직선 운동부(423)의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의 사이의 공간(424d)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이 삽입된 뒤 고정 핀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회동 연결부(424)는, 지지 플레이트(424a)가 바로 피스톤(422a)에 체결되는 대신에, 회동 연결부(424)의 불량에 따른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 플레이트(424a)의 후단에 피스톤(422a)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는 전후 방향의 체결홈을 형성하는 체결부(424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한 실린더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피스톤(422a)을 실린더로부터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킴에 따른 전후 방향 왕복 직선 운동을 이용하여 제1 교차 프레임(431)을 구동홈(421a)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도 12 참조).
여기서,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형 구조로서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도 6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500)는, 받침 프레임(540),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 및 지지 기둥(530)을 포함한다.
받침 프레임(540)은, 하측에 설치된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부 프레임(310)이 낙하할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프레임(310)를 지지한다.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안착된 받침 프레임(540)을 지지하며, 하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지지 기둥(530)에서 지지된다.
즉,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받침 프레임(540)을 안착시키게 되고, 받침 프레임(54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상하 방향(즉, 제2 프레임(521b))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단순히 상하 방향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존의 탄성체의 한계를 극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 프레임(520)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플레이트(510)를 지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조절하여 플레이트(510)에 의한 받침 프레임(540)의 지지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상부는 받침 플레이트(5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제1 프레임(521a)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은,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 또는 일측면에서 탄성력에 의한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지지 기둥(5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지지 기둥(53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521a)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슬라이딩 이동 시 탄성력(즉, 십자 탄성부(533) 또는 수직 탄성부(535))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킨다.
각각의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지지 프레임(520)는, 서로 대칭 구조로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일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일 지지 프레임(520)에 관하여 기술한 내용은 다른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다른 지지 프레임(5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500)는, 상하 대칭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는 바, 도 11의 경우에는 지지 기둥(530)의 상부에만 각각의 구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및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과 관련된 구성은 지지 기둥(530)의 하부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500)는, 탑승된 작업자의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상판(310)이 파손되어 낙하하거나, 상판(31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 구동 프레임(430)이 파손되어 상판(310)이 낙하하는 경우, 상판(310)이 바로 하판(320)에 충돌하여 이에 따른 충격으로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판(310)을 지지함으로써 작업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낙상하여 다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지지 기둥(530)은, 기둥 바디(531), 십자홈(532), 십자 탄성부(533), 네 개의 수직홈(534)(도 13 참조) 및 네 개의 수직 탄성부(535) (도 17 참조)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53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십자홈(532)이 형성되며, 각 측면에 수직홈(534)이 형성된다.
십자홈(532)은, 기둥 바디(531)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십자 탄성부(533)가 삽입 설치된다.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홈(5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521a)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수직홈(534)은, 기둥 바디(531)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수직 탄성부(535)가 삽입 설치된다.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홈(534)에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프레임(521b)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도 16은 도 14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 케이스부(5331),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 및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포함한다.
십자 케이스부(5331)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가 설치된다.
이때, 십자 케이스부(5331)의 각 가지의 길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십자 케이스부(5331)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부 연결 링크부(5335)가 배치되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부 지지부(533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십자 케이스부(5331)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고, 각 4면의 외측에 상부 탄성부(5333)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부 탄성부(5333)를 지지하게 된다.
상부 탄성부(5333)는, 상부 지지부(5332)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상부 탄성 지지부(533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탄성 지지부(533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상부 탄성 지지부(5334)는, 십자 케이스부(5331)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탄성부(5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 연결 링크부(533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지지한다.
상부 연결 링크부(5335)는,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십자 케이스부(5331)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부 탄성 지지부(5334)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플레이트(5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십자홈(532)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십자홈(532)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7은 도 15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 케이스부(5341),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측면 탄성 지지부(5344) 및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포함한다.
수직 케이스부(5341)는, 내부 공간이 빈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및 측면 탄성 지지부(5344)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측면 지지부(534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수직 케이스부(5341)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측에 측면 탄성부(5343)가 배치되어 측면 탄성부(5343)를 지지한다.
측면 탄성부(5343)는, 측면 지지부(534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측면 탄성 지지부(534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 탄성 지지부(534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측면 탄성 지지부(5344)는, 수직 케이스부(5341)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측면 탄성부(53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측면 연결 링크부(534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지지한다.
측면 연결 링크부(5345)는, 수직홈(534)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수직 케이스부(5341)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측면 탄성 지지부(5344)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수직홈(534)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홈(534)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크레인 차량은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균열이 발생된 곳에 충전하여 보수하기 위한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이라 함은, 차량(100)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 모두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존재하던 건축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모두 향상된 조성물 중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을 발견하여, 예의 노력한 끝에 본 발명과 같이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 모두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는 CAS 번호(CAS number)가 30445-28-4인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합물을 탐색하던 중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내수성 및 내균열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10 내지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방수성 및 내수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바인더는 바람직하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이며, CAS 번호는 24937-78-8 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는 CAS 번호 111-76-2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진(rosin)은 송진을 증류하여 얻는 천연 수지를 의미하며,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로진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로진이라도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텍사놀(TEXANOL)은 CAS 번호 25265-77-4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은 CAS 번호 57-55-6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구성으로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시키는 경우 특히 내수성의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EVA 바인더 0.01 내지 10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로진 0.01 내지 5 중량부, 텍사놀 0.01 내지 5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0.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수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 그리고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방수성 및 내수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15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6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17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은 상기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이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성물이 뛰어난 방수성 및 내수성 효과를 갖는다면, 본 조성물은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틸셀로솔브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은 CAS 번호가 107-21-1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는 CAS 번호가 1317-65-3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는 CAS 번호가 13463-67-7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0.01 내지 5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칼슘 카보네이트 20 내지 50 중량부, 티타늄디옥사이드 0.01 내지 5 중량부 및 물 0.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내균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탐색하던 중 천연 추출물에서 그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균열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 그리고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내균열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flax)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아마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씨는 납작하고 긴 타원 모양이며 노란빛을 띤 갈색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지만, 예시적으로 스크래퍼(scraper)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 추출물은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예를 들어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종래 아마씨의 용도로서 다양한 용도가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포함시켜 내균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확인한 바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으며,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을 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기본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항균제, 방부제, 동결 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1) 건축 구조물의 표면의 열화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S2) 상기 열화부가 제거된 상기 건축 구조물의 표면 상부에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구조물의 균열 보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준비
하기 실시예 및 평가예를 위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사용된 주요 원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아크릴바인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 CAS NO 30445-28-4
2) EVA 바인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CAS NO 24937-78-8
3)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 CAS NO 111-76-2
4) 텍사놀(TEXANOL): CAS NO 25265-77-4
5)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CAS NO 57-55-6
6)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CAS NO 107-21-1
7)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CAS NO 1317-65-3
8)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CAS NO 13463-67-7
9)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124-68-5
10)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27646-80-6
11) 아마씨 점액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수득하였다.
12) 아마씨 점액 추출물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약 0.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1 중량부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06 중량부의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5 중량부의 아마씨 점액 및 아마씨 점액 추출물의 혼합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건축 토목 구조물의 열화부를 제거한 다음, 이 표면상부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각각 도장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균열 보수막의 접착강도, 내균열 안정성 및 미끄럼저항성 및 균열 보수제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을 KS규격, KSL 1593상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방수성의 경우 균열 보수막 형성 후 내부로 수분이 흡수되는 정도를 5점 척도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제품 X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B사의 건축 구조물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제품을 나타내며, 이를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과 비교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19038212099-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제품 X와 비교하여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 안정성 및 미끄럼 저항성에 있어서도 문제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실시예 1, 2는 방수성 및 내수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3, 4는 내균열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1a, 1c: 광모듈 테스트 장치
10: 커넥터부
20: 제어기판부
30: 발광부

Claims (2)

  1. 검사대상 광 모듈과 연결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상기 광 모듈의 전류 및 전압 범위을 측정하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기판부를 포함하는, 광모듈 테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어기판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판부에는, 각각의 커넥터부에는 상기 결과 데이터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광원을 발광하는 발광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판부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결과 데이터가 상기 기준 데이터의 설정 구간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발광부가 제1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제1 제어신호를 상기 발광부로 전송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가 상기 기준 데이터의 설정 구간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발광부가 제2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제2 제어신호를 상기 발광부로 전송하되,
    상기 제어기판부는, 상기 광 모듈의 특성 및 종류에 따라 상기 기준 데이터가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각각의 커넥터부로 테스트 전류를 인가하여 복수의 각각의 커넥터부에 연결된 광 모듈 각각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수집하고, 복수의 결과 데이터에 대한 평균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평균 데이터를 각각의 결과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평균 데이터의 설정 구간을 벗어난 결과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적어도 하나의 결과 데이터가 상기 평균 데이터의 설정 구간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검색된 결과 데이터를 제공한 커넥터부터와 매칭된 발광부로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커넥터부와 매칭된 발광부로 전송함과 동시에,
    불량인 것으로 확인된 광 모듈의 결과 데이터로 인해 평균 데이터가 잘못 설정된 것을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평균 데이터를 벗어난 결과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균 데이터를 재산출하고, 재산출된 평균 데이터를 각각의 결과 데이터와 다시 비교하여, 모든 결과 데이터가 평균 데이터의 설정 구간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하며, 재산출되는 평균 데이터에 모든 결과 데이터가 포함될 때까지 상기 평균 데이터의 재산출 과정 및 상기 재산출된 평균 데이터의 설정 구간에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상기 제어기판부는 광 모듈의 테스트를 위한 모듈이 배치되는 기판 본체와, 상기 기판 본체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 본체를 지지하는 네 개의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광모듈 테스트 장치는, 상기 광 모듈과 연결된 케이블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상기 기판 본체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커넥터부가 형성된 높이까지 승강시키는 다기능 승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는, 상판, 하판 및 승강부 포함하되, 상기 상판은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하판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거나 하판 방향으로 하강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 중 어느 하나의 판이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판만 분리한 후 새로운 판을 체결하여 지속적인 장비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되,
    상기 승강부는, 상판 체결부, 구동부, 구동 프레임 및 하판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 체결부는,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프레임은,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 및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교차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교차 프레임과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은, 중심부가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부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및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하판 체결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부 전단 및 후단에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및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상기 하판 체결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하판 체결부는,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구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가 설치되되,
    상기 구동부는 안착부, 제1 직선 운동부 및 제2 직선 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제1 구동홈 및 제2 구동홈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된 후 상기 하판 체결부에 의하여 상기 하판에 체결되고,
    상기 제1 직선 운동부는, 상기 안착부의 전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구동홈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의 전단에 상기 제1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직선 운동부는, 상기 제1 직선 운동부와 대칭구조로 상기 안착부의 후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2 구동홈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의 후단에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 직선 운동부 및 상기 제2 직선 운동부 각각은, 상기 제1 구동홈 및 상기 제2 구동홈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가 피스톤의 전단 또는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 연결부는, 불량에 따른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후단에 피스톤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는 전후 방향의 체결홈을 형성하는 체결부를 더 구비하는, 광모듈 테스트 장치.
  2. 삭제
KR1020190043562A 2019-04-15 2019-04-15 광모듈 테스트 장치 KR102005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562A KR102005711B1 (ko) 2019-04-15 2019-04-15 광모듈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562A KR102005711B1 (ko) 2019-04-15 2019-04-15 광모듈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711B1 true KR102005711B1 (ko) 2019-07-31

Family

ID=67473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562A KR102005711B1 (ko) 2019-04-15 2019-04-15 광모듈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7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135U (ko) * 1989-07-24 1991-03-14
JPH0645700A (ja) * 1992-07-21 1994-02-18 Fujitsu Ltd レーザダイオードの試験方法
KR100687723B1 (ko) 2004-12-17 2007-0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트랜시버의 동작 테스트 장치
KR101769959B1 (ko) 2016-04-28 2017-08-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섬유 커넥터 표면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135U (ko) * 1989-07-24 1991-03-14
JPH0645700A (ja) * 1992-07-21 1994-02-18 Fujitsu Ltd レーザダイオードの試験方法
KR100687723B1 (ko) 2004-12-17 2007-0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트랜시버의 동작 테스트 장치
KR101769959B1 (ko) 2016-04-28 2017-08-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섬유 커넥터 표면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162B1 (ko) 절곡장치
CN106430026B (zh) 电力检修工作平台及其系统
KR102005711B1 (ko) 광모듈 테스트 장치
CN104483106A (zh) 一种倒装led芯片在线检测装置
CN109502440A (zh) 一种电梯光幕检测装置
US20030173949A1 (en) Apparatus for recognizing working height of device transfer system in semiconductor device test handler and method thereof
CN105321860A (zh) 全自动进出料设备及其控制方法
CN102280394A (zh) Led及晶圆检查装置、以及利用上述装置的检查方法
KR102015989B1 (ko) 절곡장치
CN101034181A (zh) 波分复用系统残余色散补偿的调节方法和装置
CN107907544A (zh) 白玻璃检测装置
KR102023967B1 (ko)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
US20120208929A1 (en) Resin composition
KR102011142B1 (ko) 다기능 조명 검사 장치
CN105722919A (zh) 选择性挡光光学物理材料以及包含此类选择性挡光光学物理材料的光学装置
CN102410861A (zh) 一种液位显示装置、应用其的容器及工程机械
KR102005732B1 (ko) 승강기 검사장치
KR102021297B1 (ko) 천장프레임 시스템
KR102014496B1 (ko) 필름형 칩용 핸들러
KR102044174B1 (ko) 필름형 칩용 핸들러 및 그 운영방법
CN204286928U (zh) 复合绝缘子拉力测试机
CN106338383A (zh) 一种光学检测平台及光学检测方法
KR101999217B1 (ko) 프레스 장치
CN114068793B (zh) 绿色环保led灯珠自动封装及检测设备
CN205826267U (zh) 一种灯具测试老化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