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885B1 -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885B1
KR102004885B1 KR1020170177332A KR20170177332A KR102004885B1 KR 102004885 B1 KR102004885 B1 KR 102004885B1 KR 1020170177332 A KR1020170177332 A KR 1020170177332A KR 20170177332 A KR20170177332 A KR 20170177332A KR 102004885 B1 KR102004885 B1 KR 102004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ortion
pinion shaft
oil hole
carrier
shaf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603A (ko
Inventor
김홍석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7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8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69Bearings or seals
    • F16H57/0471B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는: 캐리어핀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홀부와; 윤활유가 지나는 캐리어 오일홀부가 형성되는 캐리어부와; 캐리어부에 결합되고, 제1삽입홀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캐리어핀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부와, 제2삽입홀부와 연통되고 캐리어 오일홀부로부터 전달받은 윤활유가 지나가며, 너비가 제2삽입홀부의 너비보다 넓은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를 구비하는 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가 형성되는 피니언샤프트와; 피니언샤프트의 외측면을 감싸고, 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로부터 윤활유를 전달받는 베어링롤러와; 베어링롤러의 외측면을 감싸고, 베어링롤러로부터 윤활유를 전달받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LUBRICATION APPARATUS OF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가이드가 없어도 윤활유를 베어링롤러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크 컨버터로부터 전달되는 윤활유는 별도의 장치인 오일가이드를 통해 피니언샤프트를 거쳐 베어링롤러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별도의 장치인 오일가이드를 캐리어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캐리어의 측면에 홈을 가공해야 하므로, 조립과정 및 시간이 증감될 뿐만 아니라, 부품비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5632호(발명의 명칭:클러치의 윤활유량이 증대된 자동변속기, 등록일:2016.09.0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오일가이드가 없어도 윤활유를 베어링롤러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는: 캐리어핀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홀부와, 윤활유가 지나는 캐리어 오일홀부가 형성되는 캐리어부; 상기 캐리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삽입홀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핀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부와, 상기 제2삽입홀부와 연통되고 상기 캐리어 오일홀부로부터 전달받은 윤활유가 지나가며, 너비가 상기 제2삽입홀부의 너비보다 넓은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를 구비하는 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가 형성되는 피니언샤프트; 상기 피니언샤프트의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로부터 윤활유를 전달받는 베어링롤러; 및 상기 베어링롤러의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베어링롤러로부터 윤활유를 전달받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는, 상기 캐리어 오일홀부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캐리어 오일홀부로부터 전달받은 윤활유가 지나가는 상기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 및 상기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 및 상기 제2삽입홀부와 연통되며, 상기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로부터 전달받은 윤활유가 지나가는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의 상기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의 외측에 근접한 일측은 상기 제2삽입홀부의 상기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의 외측에 근접한 일측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또한, 상기 캐리어핀부는 상기 제1삽입홀부 및 상기 제2삽입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의 일측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리어핀부는 상기 제1삽입홀부 및 상기 제2삽입홀부에 삽입되면, 상기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삽입홀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의 중심축보다 상기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의 외측에 더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삽입홀부는, 상기 제1삽입홀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너비가 외측으로 갈수록 넓어져 상기 캐리어핀부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제2삽입가이드홀부; 및 상기 제2삽입가이드홀부와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핀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와 연통되는 제2삽입홀부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며, 윤활유가 통과하는 통과홀부가 형성되는 선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는 오일가이드가 없어도 윤활유를 베어링롤러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어 부품이 감소되어 부품비가 절감되고, 조립과정 및 시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너비가 제2삽입홀부의 너비보다 넓은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를 통해 캐리어 오일홀부를 통과한 윤활유가 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로 원활하게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리어핀부가 제1삽입홀부 및 제2삽입홀부에 삽입되어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의 일측을 폐쇄함으로써, 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로 전달된 윤활유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너비가 외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제2삽입가이드홀부를 통해 캐리어핀부가 제2삽입홀부로 원활하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의 피니언샤프트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의 캐리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에서 윤활유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의 피니언샤프트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의 캐리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에서 윤활유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1)는 캐리어부(100), 피니언샤프트(200), 베어링롤러(300), 피니언기어(400) 및 선기어(500)를 포함한다.
캐리어부(100)는 제1삽입홀부(110)와 캐리어 오일홀부(120)를 포함한다. 제1삽입홀부(110)에는 캐리어핀부(10)가 삽입된다. 도 1과 같이, 제1삽입홀부(110)는 캐리어부(100) 상에 수직방향으로(도 1 기준) 형성되며, 캐리어핀부(10)가 삽입된다.
제2삽입홀부(210)는 제2삽입가이드홀부(211)와 제2삽입홀부본체(212)를 포함한다. 제2삽입가이드홀부(211)는 제1삽입홀부(110)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너비가 외측으로 갈수록 넓어져 캐리어핀부(10)의 삽입을 가이드한다. 이로 인해, 캐리어핀부(10)가 제2삽입홀부(210)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2삽입홀부본체(212)는 제2삽입가이드홀부(211)와 연결되고, 캐리어핀부(10)가 삽입되며,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2)와 연통된다.
캐리어 오일홀부(120)를 따라 윤활유가 지나간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캐리어 오일홀부(120)는 제1삽입홀부(110)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선기어(500)의 통과홀부(510)를 통과한 윤활유가 캐리어 오일홀부(120)를 지나 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0)로 전달된다.
피니언샤프트(200)는 캐리어부(100)에 결합된다. 피니언샤프트(200)는 제2삽입홀부(210)와 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0)를 포함한다. 제2삽입홀부(210)는 제1삽입홀부(110)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캐리어핀부(10)가 삽입된다. 즉, 캐리어핀부(10)는 제1삽입홀부(110)와 제2삽입홀부(210)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피니언샤프트(200)를 캐리어부(100)에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0)는 제2삽입홀부(210)와 연통되며, 캐리어 오일홀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윤활유가 지나간다. 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0)는 너비(b)가 제2삽입홀부(210)의 너비(a)보다 넓은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1)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캐리어 오일홀부(120)를 통과한 윤활유는 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0)로 원활하게 전달된다.
베어링롤러(300)는 피니언샤프트(200)의 외측면을 감싸고, 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0)로부터 윤활유를 전달받는다. 피니언기어(400)는 베어링롤러(300)의 외측면을 감싸고, 베어링롤러(300)로부터 윤활유를 전달받는다.
선기어(500)는 피니언기어(400)와 맞물리며, 윤활유가 통과하는 통과홀부(51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토크컨버터(미도시)로부터 전달된 윤활유는 선기어(500)와 에뉼러스기어(700)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600)을 지나 통과홀부(510)를 통과한다. 통과홀부(510)를 통과한 윤활유는 캐리어 오일홀부(120)로 전달되고, 캐리어 오일홀부(120)로 전달된 윤활유는 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0)를 따라 베어링롤러(300)로 전달된다.
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0)는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1)와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2)를 포함한다.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1)는 캐리어 오일홀부(120)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캐리어 오일홀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윤활유가 지나간다. 또한,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1)는 너비(b)가 제2삽입홀부(210)의 너비(a)보다 넓다. 제2삽입홀부(210)의 중심축(O)은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1)의 중심축(O')보다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2)의 외측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1)로 전달된 윤활유는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2)를 따라 좌측으로(도 4 기준) 이동되어 베어링롤러(300)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2)는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1) 및 제2삽입홀부(210)와 연통되며,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1)로부터 전달받은 윤활유가 지나간다. 도 4와 도 5와 같이,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2)로 전달된 윤활유는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2)를 따라 이동되어 베어링롤러(300)로 전달된다.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1)의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2)의 외측에 근접한 일측은 제2삽입홀부(210)의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2)의 외측에 근접한 일측과 동일선 상에 위치한다. 캐리어핀부(10)는 제1삽입홀부(110) 및 제2삽입홀부(210)에 삽입되어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2)의 일측을 폐쇄한다. 캐리어핀부(10)는 제1삽입홀부(110) 및 제2삽입홀부(210)에 삽입되어 외부와 연결된 개방구(222a)를 폐쇄함으로써,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1)로 전달된 윤활유가 우측으로(도 4 기준) 이동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1)로 전달된 윤활유는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2)를 따라 좌측으로(도 4 기준) 이동되어 베어링롤러(300)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캐리어핀부(10)는 제1삽입홀부(110) 및 제2삽입홀부(210)에 삽입되면,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2)를 관통하여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1)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캐리어핀부(10)는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2)의 일측 즉, 외부와 연결된 개방구(222a)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이로써,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1)로 전달된 윤활유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1)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토크컨버터(미도시)로부터 전달된 윤활유는 선기어(500)와 에뉼러스기어(700)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600)을 지나 선기어(500)의 통과홀부(510)를 통과한다.
통과홀부(510)를 통과한 윤활유는 캐리어 오일홀부(120)로 전달된다. 캐리어 오일홀부(120)로 전달된 윤활유는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1)를 지나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222)로 전달된다. 이때, 윤활유는 제1삽입홀부(110) 및 제2삽입홀부(210)에 삽입되어 외부와 연결된 개방구(222a)를 폐쇄하는 캐리어핀부(10)에 의해 우측으로(도 4, 도 5 기준)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좌측으로(도 4 , 도 5 기준) 이동되어 베어링롤러(30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1)는 오일가이드(미도시)가 없어도 윤활유를 베어링롤러(300)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어 부품이 감소되어 부품비가 절감되고, 조립과정 및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10 : 캐리어핀부
100 : 캐리어부 110 : 제1삽입홀부
120 : 캐리어 오일홀부 200 : 피니언샤프트
210 : 제2삽입홀부 211 : 제2삽입가이드홀부
212 : 제2삽입홀부본체 220 : 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
221 :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 222 :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
300 : 베어링롤러 400 : 피니언기어
500 : 선기어 510 : 통과홀부
600 : 베어링 700 : 에뉼러스기어

Claims (8)

  1. 캐리어핀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홀부와, 윤활유가 지나는 캐리어 오일홀부가 형성되는 캐리어부;
    상기 캐리어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삽입홀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핀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부와, 상기 제2삽입홀부와 연통되고 상기 캐리어 오일홀부로부터 전달받은 윤활유가 지나가며, 너비가 상기 제2삽입홀부의 너비보다 넓은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를 구비하는 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가 형성되는 피니언샤프트;
    상기 피니언샤프트의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로부터 윤활유를 전달받는 베어링롤러; 및
    상기 베어링롤러의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베어링롤러로부터 윤활유를 전달받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는,
    상기 캐리어 오일홀부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캐리어 오일홀부로부터 전달받은 윤활유가 지나가는 상기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 및
    상기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 및 상기 제2삽입홀부와 연통되며, 상기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로부터 전달받은 윤활유가 지나가는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의 상기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의 외측에 근접한 일측은 상기 제2삽입홀부의 상기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의 외측에 근접한 일측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는 너비가 일정하되, 상기 캐리어 오일홀부보다 크고,
    상기 제2삽입홀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의 중심축보다 상기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의 외측에 더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핀부는 상기 제1삽입홀부 및 상기 제2삽입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의 일측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핀부는 상기 제1삽입홀부 및 상기 제2삽입홀부에 삽입되면, 상기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홀부는,
    상기 제1삽입홀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너비가 외측으로 갈수록 넓어져 상기 캐리어핀부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제2삽입가이드홀부; 및
    상기 제2삽입가이드홀부와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핀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2피니언샤프트 오일홀부와 연통되는 제2삽입홀부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며, 윤활유가 통과하는 통과홀부가 형성되는 선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KR1020170177332A 2017-12-21 2017-12-21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KR102004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332A KR102004885B1 (ko) 2017-12-21 2017-12-21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332A KR102004885B1 (ko) 2017-12-21 2017-12-21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603A KR20190075603A (ko) 2019-07-01
KR102004885B1 true KR102004885B1 (ko) 2019-07-29

Family

ID=67255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332A KR102004885B1 (ko) 2017-12-21 2017-12-21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8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7484A (ja) * 1999-05-25 2000-12-05 Daihatsu Motor Co Ltd 遊星歯車装置の潤滑構造
JP2005249052A (ja) * 2004-03-03 2005-09-15 Toyota Motor Corp 遊星歯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369A (ja) * 1994-06-24 1996-01-16 Nippon Seiko Kk 遊星歯車用回転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7484A (ja) * 1999-05-25 2000-12-05 Daihatsu Motor Co Ltd 遊星歯車装置の潤滑構造
JP2005249052A (ja) * 2004-03-03 2005-09-15 Toyota Motor Corp 遊星歯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603A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7863B2 (en) Lubrication structure for driving force transmission device
US20130316866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US20090123318A1 (en) Fluid transfer insert
US20160040762A1 (en) Guide pin assembly
KR20160085723A (ko) 유성기어장치
KR101916184B1 (ko)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KR101855721B1 (ko)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US10697533B2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2004885B1 (ko)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JP5048291B2 (ja) 自動変速機用潤滑油路システム
KR101755195B1 (ko)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US8100229B2 (en) Oil flow passage arrangement of automatic transmission
KR101619102B1 (ko) 자동변속기의 샤프트 조립장치
DE102016204519B4 (de) Nasslaufendes Zugmittelgetriebe
US20190285164A1 (en) Oil supply structure of transmission
KR102256811B1 (ko)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CN104006133A (zh) 一种滚珠丝杠副
KR101610015B1 (ko) 유성기어장치
KR101231882B1 (ko) 자동변속기용 윤활장치
JP6097729B2 (ja) 変速機の潤滑構造
KR102128275B1 (ko) 자동 변속기용 클러치의 윤활 장치
KR100428113B1 (ko)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KR101763104B1 (ko) 클러치 윤활장치
KR100811713B1 (ko) 자동변속기 오일 가이드 및 스러스트 와셔 어셈블리
KR20160149333A (ko) 동력 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