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814B1 - 코일 부품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814B1
KR102004814B1 KR1020180047656A KR20180047656A KR102004814B1 KR 102004814 B1 KR102004814 B1 KR 102004814B1 KR 1020180047656 A KR1020180047656 A KR 1020180047656A KR 20180047656 A KR20180047656 A KR 20180047656A KR 102004814 B1 KR102004814 B1 KR 102004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nductive units
conductive
hole
inner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혜
강병수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7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814B1/ko
Priority to US16/178,003 priority patent/US11217381B2/en
Priority to CN201910090362.7A priority patent/CN11040067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2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22Cooling by heat conduction through solid or powdered fil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3Insulation between winding turns, between wind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7Encapsulating or impregn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01F2017/002Details of via holes for interconnecting th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73Printed inductances with a special conductive pattern, e.g. flat spi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2017/048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encapsulating core, e.g. made of resin and magnetic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관통홀과 이와 이격된 비아홀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일 방향으로 권취되는 복수의 전도성 유닛을 포함하는, 내부 코일, 및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내부 코일을 봉합하고 상기 관통홀을 충진하는 봉합재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코일과 연결되는 외부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코일 부품 {COIL COMPONENT}
본 개시는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파워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장치의 소형화 및 박막화가 가속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와 함께, 소형 박형 소자에 대한 시장 요구가 증가한다.
하기의 특허문헌 1 은 이러한 기술 트랜드에 적합하도록 비어홀을 가지는 기판, 상기 기판의 양면으로 배치되어 상기 기판의 비어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들을 포함하는 파워 인덕터를 제공함으로써, 균일하면서도 큰 종횡비를 가지는 코일을 포함한 인덕터를 제공하려고 노력한다.
또한, 파워 인덕터의 설계에서는 코일 내부의 코어 영역의 면적이 좁은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코일 내부의 코어 영역에 자속이 주로 집중되기 때문에 이러한 자속 집중 영역에 대한 구조적인 기술 개선을 통해 자속의 흐름을 최적화하는 것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10-1999-0066108 호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여러 과제 중 하나는 코어 중심의 자성 물질 충진 영역을 최대화함으로써 코일 부품의 용량(Ls) 및 Isat 특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에서는, 관통홀과 이와 이격된 비아홀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일 방향으로 권취되는 복수의 전도성 유닛을 포함하는, 내부 코일, 및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내부 코일을 봉합하고 상기 관통홀을 충진하는 봉합재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코일과 연결되는 외부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코일은 상기 지지 부재의 일면에 배치되는 상부 코일 및 상기 지지 부재의 타면에 배치되는 하부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코일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비아홀을 충진하는 비아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아부를 직접 감싸는 제1 전도성 유닛의 외측 경계면은 상기 바디의 외부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에서는,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의 각각은 번갈아가며 배치되며 서로 연결되는 곡선부 및 직선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에서는, 상기 비아부는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의 상기 곡선부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에서는, 상기 비아부는 상기 제1 전도성 유닛의 상기 돌출부를 향하여 매몰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에서는, 상기 관통홀의 경계로부터 상기 상부 코일이 이격된 최소 거리와 상기 관통홀의 경계로부터 상기 하부 코일이 이격된 최소 거리의 차이는 상기 내부 코일의 상기 전도성 유닛의 최소 선폭보다 작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에서는, 상기 제1 전도성 유닛을 감싸는 복수의 전도성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도성 유닛의 선폭이 좁아지는 넥(neck)영역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에서는, 상기 넥(neck)영역은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의 곡선부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에서는,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은 사로 인접하는 전도성 유닛을 절연하는 절연체와 접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에서는, 상기 절연체는 상기 내부 코일에 대응하는 형상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내부 코일이 충진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에서는, 상기 상부 코일의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은 n 개 포함되며, 상기 상부 코일은 n 턴으로 권취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에서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면 상에서,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 n개가 차지하는 전체 선폭은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 n-1개가 차지하는 전체 선폭과 서로 동일하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에서는, 상기 하부 코일의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은 m 개 포함되며, 상기 하부 코일은 m 턴으로 권취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에서는, 상기 지지 부재의 하면 상에서,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 m개가 차지하는 전체 선폭은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 m-1개가 차지하는 전체 선폭과 서로 동일하다.
본 개시의 여러 효과 중 하나는 비아 부근의 코일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코어 중심의 자성 물질 충진 영역을 최대로 확보한 코일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 은 종래 코일 부품의 내부 코일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2 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3 은 도2 의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4 는 도2 의 하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5 는 도2 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를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설명하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1 은 종래 코일 부품 (100') 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종래 코일 부품에서는, 상부 코일 (11')과 하부 코일(12')을 서로 연결하는 비아(13')를 형성하기 할 때, 상부 및 하부 코일을 서로 비대칭하게 배열한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 코일의 비대칭으로 인하여 비아와 인접한 코어 중심 부근에서, 코어 중심에 충진된 자성물질의 내부 면적으로서, 코일 부품의 투자율에 기여하지 못하는 불용 면적 (X) 이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이로 인해, 코일 부품의 특성, 예를 들어, 인덕턴스(Ls) 및 Isat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발생한다.
본 개시에 따른 코일 부품은 종래 코일 부품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이다.
도2 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3 는 도2 의 코일 부품을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4 는 도2 의 코일 부품을 하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2 내지 도4 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 (100)은 바디 (1) 와 상기 바디의 외부면 상에 배치되는 외부전극 (2) 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 (1) 는 길이(L)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단면 및 제2 단면, 폭(W)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 두께(T)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바디 (1) 는 지지 부재 (11) 를 포함하는데, 상기 지지 부재는 내부 코일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내부 코일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지지 부재는 절연 특성을 가지는 박판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 폴리이미드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이들에 글래스 섬유, 또는 무기 필러와 같은 보강재를 함침한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지의 CCL 기판, ABF필름, FR-4, BT (Bismaleimide Triazine) 수지, PID 수지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 (11) 는 관통홀 (H) 과 비아홀 (v) 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홀은 실질적으로 지지 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비아홀은 상기 관통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 (H) 은 자성 물질로 구성되는 봉합재에 의해 충진되어, 코일 부품의 투자율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할 때, 상기 관통홀의 단면적을 증가시킬 경우, 투자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소형화된 코일 부품의 사이즈 내에서 상기 관통홀의 단면적을 증가시키기엔 한계가 존재한다.
한편, 상기 비아홀 (v) 은 상부 코일 및 하부 코일을 서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전도성 물질로 충진되어 후술하는 비아부 (133) 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 부재 (11) 의 관통홀은 봉합재 (12) 에 의해 충진된다. 상기 봉합재 (12) 는 지지 부재와 내부 코일을 봉합하여, 실질적으로 코일 부품의 외관을 결정한다. 상기 봉합재 (12) 는 자성 특성을 갖는데, 상기 봉합재는 자성 물질과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 물질은 자성 특성을 가지는 물질이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페라이트 또는 금속 자성 입자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자성 입자는 구체적으로 철(Fe), 크롬(Cr), 알루미늄(Al), 또는 니켈(Ni)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디 (1) 는 지지 부재 및 봉합재와 함께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봉합재에 의해 봉합되는 내부 코일 (13) 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코일 (13) 은 전체적으로 스파이럴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 코일 (13) 은 도1 을 통해 설명한 불용 면적 (x) 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내부 코일 (13) 은 상기 지지 부재의 일면에 배치되는 상부 코일(131) 및 타면에 배치되는 하부 코일 (132)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코일은 비아부 (133) 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데, 상기 상부 코일의 일단부와 상기 하부 코일의 일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비아부와 연결되지 않는 상기 상부 코일의 타단부는 바디의 제1 단면으로 노출하여 제1 외부전극 (21) 과 연결되며, 상기 비아부와 연결되지 않는 상기 하부 코일의 타단부는 바디의 제2 단면으로 노출되어 제2 외부전극 (22) 과 연결된다.
도3 및 도4 를 참고하면, 상부 및 하부 코일 (131, 132) 은 일 방향으로 권취되는 복수의 전도성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코일 내 복수의 전도성 유닛은 n개 이며, 상기 상부 코일은 n 개의 전도성 유닛이 n 턴으로 권취된 형태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 코일 내 복수의 전도성 유닛은 m 개이며, 상기 하부 코일은 m 개의 전도성 유닛이 m 턴으로 권취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은 경계면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스파이럴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n 이나 m 은 당업자가 원하는 코일의 권취횟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도2 내지 도4 에 도시된 코일 부품에서는 n 과 m 의 합이 총 6.5 횟수만큼 권취된 것을 의미한다.
도3 을 참고하면, 비아부 (133) 를 직접 감싸는 전도성 유닛을 제1 전도성 유닛 (131n) 이라고 할 때, 상기 제1 전도성 유닛의 외측 경계면은 상기 바디의 외부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 (131na)를 포함한다. 여기서, 직접 감싼다는 것은 비아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절연체를 통해 절연되지만, 복수의 전도성 유닛 중 가장 가까이 권취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돌출부는 비아부 (133) 의 외측 경계면과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경계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아부가 내부 코일의 바깥쪽을 향하여 내부 코일 내부로 매몰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비아부를 감싸는 제1 전도성 유닛도 내부 코일의 바깥쪽, 즉, 바디의 외부면을 향하여 돌출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코일을 이루는 복수의 전도성 유닛 중 제2 전도성 유닛 (131n') 은 제1 전도성 유닛을 감싸는데, 상기 제2 전도성 유닛은 선폭이 좁아지는 넥(neck)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넥 영역으로 인해, 내부 코일의 최외측 전도성 유닛에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넥 영역은 제2 전도성 유닛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도성 유닛의 개수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한 위치로 조절할 수 있으며, 1개의 넥neck 영역만 있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전도성 유닛의 각각에 넥neck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의 각각은 직선부와 곡선부가 번갈아가며 배치되고, 상기 직선부와 상기 곡선부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전도성 유닛으로 구성한다.
상기 비아부는 상기 전도성 유닛의 직선부와 곡선부 중 곡선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전도성 유닛의 선폭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그 결과, Rdc 특성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비아부는 도3 에 도시된 비아부의 위치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도3 에 도시된 비아부로부터 +/- 1/4 턴만큼 이격된 위치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어도 충분하다 (여기서, +는 전도성 유닛의 권취 방향을 의미하며, - 는 전도성 유닛의 권취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함).
한편, 도4 는 하부 코일 (132) 을 도시하였다는 점에서, 도3 의 상부 코일 (131) 과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으로 중복되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므로, 하부 코일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5 는 도2 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인데, 도5 를 참고하면, 관통홀의 경계면으로부터 상부 코일이 이격된 최소 거리(L1)는 상기 관통홀의 경계로부터 하부 코일이 이격된 최소 거리 (L2) 간의 차이 (L3) 는 전도성 유닛 1 개의 최소 선폭보다 작다. 이 때, 종래 코일 부품에서는 비아 형성으로 인해 상부 및 하부 코일이 각각 지지 부재의 경계면으로부터 이격된 최소 거리 간의 차이가 내부 코일의 전도성 유닛의 선폭과 동일하거나 더 크지만, 본 개시의 코일 부품에서는 비아부를 내부 코일로 매몰시키는 구조를 통해 상기 차이를 실질적으로 제거한 것이다. 그 결과, 코어 중심의 봉합재 충진 영역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L1 과 상기 L2 가 서로 동일하여, 상부 코일의 최내측 측면과 하부 코일의 최내측 측면이 서로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부 코일의 복수의 전도성 유닛이 n 개 포함될 때, 지지 부재의 상면 상에서 복수의 전도성 유닛 n 개가 차지하는 전체 선폭은 복수의 전도성 유닛 n-1 개가 차지하는 전체 선폭과 서로 동일해지는 구간이 지지 부재 상면 상에 형성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하부 코일의 복수의 전도성 유닛이 m개 포함될 때, 지지 부재의 하면 상에서 복수의 전도성 유닛 m 개가 차지하는 전체 선폭은 복수의 전도성 유닛 m-1 개가 차지하는 전체 선폭과 서로 동일해지는 구간이 지지 부재 하면 상에 형성되는 것이다.
도5 를 참고하면, 내부 코일은 절연체 (14) 와 접한다. 상기 절연체는 서로 인접하는 전도성 유닛을 절연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절연체는 실질적으로 상기 내부 코일에 대응하는 형상의 개구부를 포함한 것이며, 상기 개구부가 내부 코일로 충진된 상태이다. 상기 절연체 (14) 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절연물질에 CO2 레이져를 이용하여 내부 코일의 패턴으로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개구부 내로 도금 공정을 통해 도금 물질을 충진하여 내부 코일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물질과 내부 코일의 상면을 덮는 별도의 절연 시트를 부착하거나, 상기 절연 물질을 레이져를 이용해 전체 제거한 후, CVD 공정을 활용하여 별도의 절연체를 다시 코팅할 수 있다. 이처럼, 절연 물질을 패터닝하는 방식을 활용하는 경우, 개구부의 폭을 제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개구부 내로 충진되는 내부 코일의 전도성 유닛의 선폭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도1 과는 상이한 코일 구조를 가지는 코일 부품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
하기의 표1 은 도2 내지 도5 에 도시된 코일 부품 (실시예1) 과 도1 에 도시된 코일 부품 (비교예 1) 간의 특성을 대비한 것이다. 실시예 1 과 비교예 1 의 코일 부품은 1608 0.65T 기종에 적용이 가능하다.
Sample 설계 코일 Turn 전기적 특성
1Mhz Rdc
[mOhm]
DC Bias
[A]
Ls
[μH]
Q Rs
[Ohm]
실시예 1 6.5Turn 0.50 28.5 0.110 53.5 I 3.8
N 4.1
비교예 1 6.5Turn 0.47 26.9 0.109 49.2 I 3.4
N3.2
상기 표1 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의 경우, 동일한 코일 턴수를 포함하는 비교예 1 에 비하여 Ls 및 Q 특성이 대략 10% 만큼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의 경우 내부 코일의 코어 중심의 자성체 충진 공간이 증가됨으로써, 용량 증가의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보인다.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일 예"라는 표현은 서로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각 서로 다른 고유한 특징을 강조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시된 일 예들은 다른 일례의 특징과 결합되어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한 일예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일예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일례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일예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때,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100: 코일 부품
1: 바디
11: 지지 부재
12: 봉합재
13: 내부 코일
21, 22: 제1 및 제2 외부전극

Claims (13)

  1. 관통홀과 이와 이격된 비아홀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일 방향으로 권취되는 복수의 전도성 유닛을 포함하는, 내부 코일, 및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내부 코일을 봉합하고 상기 관통홀을 충진하는 봉합재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코일과 연결되는 외부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코일은 상기 지지 부재의 일면에 배치되는 상부 코일 및 상기 지지 부재의 타면에 배치되는 하부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코일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비아홀을 충진하는 비아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아부를 직접 감싸는 제1 전도성 유닛의 외측 경계면은 상기 바디의 외부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의 각각은 번갈아가며 배치되며 서로 연결되는 곡선부 및 직선부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부는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의 상기 곡선부에 배치되는, 코일 부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부는 상기 제1 전도성 유닛의 상기 돌출부를 향하여 매몰된, 코일 부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경계로부터 상기 상부 코일이 이격된 최소 거리와 상기 관통홀의 경계로부터 상기 하부 코일이 이격된 최소 거리의 차이는 상기 내부 코일의 상기 전도성 유닛의 최소 선폭보다 작은, 코일 부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유닛을 감싸는 복수의 전도성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도성 유닛의 선폭이 좁아지는 넥(neck)영역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넥(neck)영역은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의 곡선부에 배치되는, 코일 부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은 서로 인접하는 전도성 유닛을 절연하는 절연체와 접하는, 코일 부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내부 코일에 대응하는 형상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내부 코일이 충진된, 코일 부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일의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은 n 개 포함되며, 상기 상부 코일은 n 턴으로 권취되는, 코일부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상면 상에서,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 n개가 차지하는 전체 선폭은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 n-1개가 차지하는 전체 선폭과 서로 동일한, 코일 부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코일의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은 m 개 포함되며, 상기 하부 코일은 m 턴으로 권취되는, 코일부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하면 상에서,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 m개가 차지하는 전체 선폭은 상기 복수의 전도성 유닛 m-1개가 차지하는 전체 선폭과 서로 동일한, 코일 부품.


KR1020180047656A 2018-04-25 2018-04-25 코일 부품 KR102004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656A KR102004814B1 (ko) 2018-04-25 2018-04-25 코일 부품
US16/178,003 US11217381B2 (en) 2018-04-25 2018-11-01 Coil component
CN201910090362.7A CN110400672B (zh) 2018-04-25 2019-01-30 线圈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656A KR102004814B1 (ko) 2018-04-25 2018-04-25 코일 부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814B1 true KR102004814B1 (ko) 2019-10-01

Family

ID=6820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656A KR102004814B1 (ko) 2018-04-25 2018-04-25 코일 부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17381B2 (ko)
KR (1) KR102004814B1 (ko)
CN (1) CN1104006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689B1 (ko) * 2014-10-14 2018-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KR102178528B1 (ko) * 2019-06-21 2020-11-1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부품
KR102335426B1 (ko) * 2020-01-07 2021-12-06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KR20220029210A (ko) * 2020-09-01 2022-03-08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108A (ko) 1998-01-21 1999-08-16 구자홍 박막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3464A (ko) * 2014-09-18 2016-03-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JP2016082016A (ja) * 2014-10-15 2016-05-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KR20160081054A (ko) * 2014-12-30 2016-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3657A (ko) * 2015-04-16 2016-10-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8869B2 (ja) 2001-03-16 2004-01-19 Tdk株式会社 平面コイルおよび平面トランス
JP5929401B2 (ja) * 2012-03-26 2016-06-08 Tdk株式会社 平面コイル素子
KR101792269B1 (ko) * 2012-04-05 2017-11-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부품 및 전자부품 제조방법
US20130300529A1 (en) 2012-04-24 2013-11-14 Cyntec Co., Ltd. Coil structure and electromagnetic component using the same
KR102004791B1 (ko) 2014-05-21 2019-07-29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실장기판
KR101832559B1 (ko) * 2015-05-29 2018-02-26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부품
KR102380835B1 (ko) 2016-01-22 2022-03-31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KR102609135B1 (ko) 2016-02-19 2023-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그 제조방법
CN107492436B (zh) 2016-06-11 2019-11-22 宁波微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感应线圈结构和无线电能传输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108A (ko) 1998-01-21 1999-08-16 구자홍 박막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3464A (ko) * 2014-09-18 2016-03-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JP2016082016A (ja) * 2014-10-15 2016-05-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KR20160081054A (ko) * 2014-12-30 2016-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3657A (ko) * 2015-04-16 2016-10-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00672B (zh) 2021-03-16
US20190333684A1 (en) 2019-10-31
US11217381B2 (en) 2022-01-04
CN110400672A (zh)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814B1 (ko) 코일 부품
US10847312B2 (en) Coil component
US11043329B2 (en) Coil component
CN109509610B (zh) 线圈电子组件
US20200234861A1 (en) Inductor
JP4873522B2 (ja) 積層インダクタ
JP6614296B2 (ja) インダクタ
JP5339398B2 (ja) 積層インダクタ
US10586642B2 (en) Inductor for increasing inductance
JP2022137293A (ja) インダクタ
KR102609136B1 (ko) 코일 전자부품
KR102064041B1 (ko) 코일 부품
KR101790020B1 (ko) 코일 부품
KR20190101102A (ko) 인덕터
KR102414825B1 (ko) 인덕터
US20230022189A1 (en) Coil component
US20210193369A1 (en) Coil component
KR102306711B1 (ko) 인덕터
JP7192815B2 (ja) インダクタ部品
US20230063586A1 (en) Coil component
US20230063602A1 (en) Coil component
US20220310312A1 (en) Multi-layer coil component
US20230072929A1 (en) Coil component
US20240136109A1 (en) Coil component
JP2023058800A (ja) コイル部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