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161B1 -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 - Google Patents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161B1
KR102004161B1 KR1020180036557A KR20180036557A KR102004161B1 KR 102004161 B1 KR102004161 B1 KR 102004161B1 KR 1020180036557 A KR1020180036557 A KR 1020180036557A KR 20180036557 A KR20180036557 A KR 20180036557A KR 102004161 B1 KR102004161 B1 KR 102004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re
motor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근
Original Assignee
효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6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161B1/ko
Priority to CN201810530565.9A priority patent/CN110323877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용하던 모터의 수리 등으로 인해 리어커버를 모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킨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회성의 모터 하우징을 한번 이상 사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하우징을 통해 폐기로 인한 환경 문제 및 경제적 문제가 없고, 폐기된 모터 하우징의 물량 확보를 위해 모터 하우징을 새로 제작함으로 인한 경제적 문제 등이 줄어들며, 재사용을 위한 모터 케이스의 제조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할 뿐더러 다양한 모터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체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체결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며, 전력을 받아 회전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코어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에는 내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코어의 측면이 상기 홈부에 가이드 되며 슬라이딩 삽입 또는 분리되어져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향하는 측방향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지 않고 정위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EASILY COMBINABLE MOTOR STATOR}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터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를 감싸고 있는 모터 케이스를 코어 교체 등의 이유로 개방시켰을 경우 폐기하지 않고 조립후 재사용 가능한 모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로서, 각종 전자기기, 산업용 및 가정용 기기, 완구류, 자동차 등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분야에는 스타터 모터, 라디에이더 팬 모터, 윈도브러시 모터, 공조용 팬 모터, 연료 펌프용 모터, 윈도우 쉴드 모터, 도어록용 모터, 안테나 승강용 모터, 사이드미러용 모터, 시트의 각도 조절용 모터, ABS, TCS 등의 콘트롤용 모터 등 매우 많은 종류의 모터가 사용되고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모터의 케이스는 모터 즉, 모터 샤프트가 구비된 모터 조립체(이하, '코어'라고 함)의 외부를 감싸는 케이스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조립체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모터 케이스는 모터 하우징과 리어커버를 서로 조립하여 만드는데, 모터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어 모터를 구성하는 부품이 수용되며, 리어커버는 모터 하우징의 오픈된 부분을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모터 하우징과 리어커버에는 각각 플랜지부가 구비되되 각각의 플랜지부에는 체결을 위한 체결구멍들이 구비된다. 따라서, 종래의 모터 케이스는 모터 하우징의 플랜지부와 리어커버의 플랜지부를 서로 밀착시켜 배치하고 각각의 플랜지부를 볼트 체결하여 조립한다.
전술된 바와 같은 모터의 사용중 이상이 있으면 리어커버를 모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켜 내부에 탑재된 코어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며, 코어의 수리가 가능한 경우 수리후에 새로운 모터 케이스에 탑재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모터 케이스는 통상 금속재질로 구비되기 때문에 코어의 삽입과 분리로 인해 내벽에 눌림에 의한 뭉그러짐 등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코어의 삽입시 불량이 발생하거나 모터 구동시 소음 발생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을 가져 재사용하지 않고 폐기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는, 금속재이면서 드로잉 등의 작업을 통해 제조되기 때문에 비교적 고가인 부품중에 하나인 모터 케이스를 재사용하지 않고 일회성으로 사용함으로 인한 경제적 낭비의 큰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모터 케이스를 재사용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1.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6843호(2009.07.06)
2. 한국 등록특허 제10-1838886호(2018.03.13)
사용하던 모터의 수리 등으로 인해 리어커버를 모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킨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회성의 모터 하우징을 한번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하우징을 통해 폐기로 인한 환경 문제 및 경제적 문제가 없고, 폐기된 모터 하우징의 물량 확보를 위해 모터 하우징을 새로 제작함으로 인한 경제적 문제 등이 줄어드는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사용을 위한 모터 케이스의 제조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할 뿐더러 다양한 모터에 적용이 가능한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의한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체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체결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며, 전력을 받아 회전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코어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에는 내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코어의 측면이 상기 홈부에 가이드 되며 슬라이딩 삽입 또는 분리되어져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향하는 측방향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지 않고 정위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가 제공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코어는 외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며 다수로 구비되어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구비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홈부는 상기 커버가 체결되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는 높이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홈부는 상측의 일부가 하측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는, 사용하던 모터의 수리 등으로 인해 리어커버를 모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킨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회성의 모터 하우징을 한번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하우징을 통해 폐기로 인한 환경 문제 및 경제적 문제가 없고, 폐기된 모터 하우징의 물량 확보를 위해 모터 하우징을 새로 제작함으로 인한 경제적 문제 등이 줄어드는 장점을 갖는다.
재사용을 위한 모터 케이스의 제조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할 뿐더러 다양한 모터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의 하우징.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의 커버.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재상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의 코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어의 평면도.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의 코어를 하우징에 탑재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개시의 설명에 앞서 EPS, 마그넷, 마그넷 슈, 케이스, 코뮤테이터, 샤프트, 코어, 베어링, 댐핑커플러, 커버, 댐퍼, 시트러버, 그로밋, 브러시, 브러시 스프링, 피그테일, 동선, 부시, 볼트 등 이 기술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과 효과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의 하우징,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의 커버,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재상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의 코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어의 평면도,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의 코어를 하우징에 탑재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는, 하우징(100), 커버(200), 코어(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체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0)은 금속재질로 구비되어 드로잉 등의 공정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지며, 하부측에는 하우징(100)이 설치되는 장소에 볼트 등을 통해 체결이 용이하도록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부측에는 후술된 커버(200)가 체결이 용이하도록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플랜지부가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커버(200)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하우징(100)의 상부에 체결된다.
커버(200)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대략 원판체 형상으로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커버(200)는 하우징(100)에 접촉되는 하부면에 하우징(100)의 내경에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의 띠 형태를 가진 삽입부(도면부호 미기재)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커버(200)가 하우징(100)의 상부를 폐쇄할 때 원형 띠 형태인 삽입부(도면부호 미기재)가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되되, 그 외주면이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되어 유동없이 커버(200)가 하우징(100)에 정합되게 된다.
전술된 바에 따른 커버(200)의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전술된 하우징(100)의 상부측 플랜지부에 대응하는 플랜지부가 일정간격 이격되며 다수로 구비되며, 이를 통해 커버(200)와 하우징(100)의 플랜지부가 맞닿게 위치되어져 볼트를 통해 체결됨으로써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커버(200)는 하우징(100)과 같이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00)을 포함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코어(300)는 하우징(100)과 커버(200)를 관통하여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며, 전력을 받아 회전되어 회전력을 발생한다.
여기서, 본 개시의 코어(300)의 중심축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전자가 구비되며, 이 회전자가 하우징(100)과 커버(200)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에 각각 관통하여 하우징(100)의 내부에 코어(30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며 회전자는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된 하우징(100)과 커버(200)와 코어(300)는 종래의 모터 구조에서 갖는 일반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과 효과가 대동소이 하다. 다만, 본 개시의 하우징(100)에는 홈부(110)가 형성되고 코어(300)에는 이 홈부(110)에 삽입되는 돌기부(310)가 형성되는 차이점을 가져 이 홈부(110)와 돌기부(310)에 의해 하우징(100)에 코어(300)를 삽입하거나 분리시키는 과정에 눌림에 의한 뭉그러짐이 발생하지 않아 하우징(100)의 재사용 가능한 차이점을 가지는데, 이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하우징(100)에는 내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홈부(110)가 형성되어 코어(300)의 측면이 홈부(110)에 가이드 되며 슬라이딩 삽입 또는 분리되어져 하우징(100)의 내주면을 향하는 측방향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지 않고 정위치 된다.
이러한, 본 개시의 홈부(110)는 커버(200)가 체결되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측으로부터 하우징(100) 내부의 바닥면의 하측을 향하는 높이방향으로 하우징(100) 내측면에 대략 일자형의 바(bar)형태로서 함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코어(300)는 측면인 외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며 다수로 구비되어 홈부(110)에 삽입되는 바 형태의 돌기부(310)가 구비된다.
전술된 바에 따르면, 홈부(110)에 돌기부(310)가 끼워진 후 홈부(110)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자연스럽게 진입 및 진출이 가능하고, 이때, 홈부(110)와 돌기부(310)가 일정한 높이와 깊이로서 하우징(100)과 코어(300)에 각각 형성되어 짐에 따라 코어(300)가 하우징(100)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시 하우징(100)의 내주면을 향하는 측방향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지 않게 된다.
상기된 바를 통해 본 개시의 코어(300)가 하우징(100)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에 눌림에 의한 뭉그러짐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되고, 하우징(100)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홈부(110)는 도 1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일부가 하측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 즉, 상관하협의 대략 "Y"자 형상의 도입부(도면부호 미기재)를 가지며 하우징(100)에 구비되는데, 이를 통해 코어(300)의 돌기부(310)가 하우징(100)의 홈부(110)에 진입시 발생되는 찍힘이나 눌림 등이 없이 하우징(1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며 진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홈부(110)의 상측의 폭이 넓은 도입부를 가지는 경우 앞서 언급된 커버(200)의 삽입부에도 이 도입부의 상관하협 형상에 대응하는 끼움돌기(210)가 둘레를 따라 다수로 구비된다.
이를 통해, 커버(200)가 하우징(100)에 체결될 시 끼움돌기(210)가 홈부(110)에 끼워지게 되어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며, 이때 끼움돌기(210)의 단부가 홈부(110)에 끼워진 코어(300)의 돌기부(310) 상측 단부를 지지하게 되어 코어(300)의 길이방향에 대한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개시의 하우징(100)의 홈부(110)는 코어(300)의 돌기부(310) 수의 곱절로 형성된다.
즉, 본 개시의 돌기부(3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300)에 4개가 형성된 경우 그의 곱절인 8개의 홈부(110)가 하우징(100)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개시가 돌기부(310)에 비해 홈부(110)가 곱절로 형성되는 이유는, 코어(300)가 하우징(100)에 탑재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310)가 삽입되는 홈부(110)의 최초 위치인 1번(도면에 붉은색으로 표시된 1에 해당)에 각각 삽입되고, 이후에 코어(300)의 분리시 최초로 삽입된 위치의 4곳이 아닌 다른 위치의 4곳인 2번(붉은색 2에 해당)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코어(300)의 돌기부(310)가 최초로 삽입된 위치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눌림에 의한 뭉그러짐 등의 문제로 인한 코어(300)의 재삽입 불가시 하우징(100)의 폐기없이 새로운 위치의 홈부(110)에 돌기부(310)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100)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돌기부(310)를 삽입시킨 홈부(110)의 사이에 위치된 사용되지 않은 홈부(110)에 돌기부(310)를 삽입시킴으로써 돌기부(310)가 홈부(110)에 최초로 삽입되었을 때의 끼임성을 줌과 동시에 삽입에 따른 눌림에 의한 뭉그러짐 등의 문제가 해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본 개시의 돌기부(310)와 홈부(110)가 4개와 8개로 각각 형성되어 홈부(110)가 돌기부(310)의 2개 곱절로 형성된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돌기부(310)가 3개가 구비되는 경우 2배 및 3배 곱절인 6개 및 9개의 홈부(110)가 구비되는 식의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는, 사용하던 모터의 수리 등으로 인해 리어커버를 모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킨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회성의 모터 하우징을 한번 이상 사용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하우징을 통해 폐기로 인한 환경 문제 및 경제적 문제가 없고, 폐기된 모터 하우징의 물량 확보를 위해 모터 하우징을 새로 제작함으로 인한 경제적 문제 등이 줄어들며, 재사용을 위한 모터 케이스의 제조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할 뿐더러 다양한 모터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하우징 110 : 홈부
200 : 커버 210 : 끼움돌기
300 : 코어 310 : 돌기부

Claims (4)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체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체결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며, 전력을 받아 회전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내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코어의 측면이 상기 홈부에 가이드 되며 슬라이딩 삽입 또는 분리되어져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향하는 측방향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지 않고 정위치 되되,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이 접촉되는 하부면에 상기 하우징의 내경에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의 띠 형태를 가진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끼움돌기가 다수 구비되며,
    상기 코어는 외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며 다수로 구비되어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커버가 체결되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는 높이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코어의 돌기부가 상기 하우징의 홈부에 진입시 발생되는 찍힘이나 눌림없이 진입이 가능하도록 상측의 일부가 하측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 상관하협의 "Y"자 형상의 도입부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재사용이 가능하되, 상기 코어의 상기 돌기부 수의 곱절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져 상기 코어의 분리시 최초로 삽입된 위치에서 눌림에 의한 뭉그러짐 등의 문제로 인한 상기 코어의 재삽입 불가시 최초 위치가 아닌 새로운 위치의 상기 홈부에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36557A 2018-03-29 2018-03-29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 KR102004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557A KR102004161B1 (ko) 2018-03-29 2018-03-29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
CN201810530565.9A CN110323877A (zh) 2018-03-29 2018-05-29 可重复使用的电机定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557A KR102004161B1 (ko) 2018-03-29 2018-03-29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161B1 true KR102004161B1 (ko) 2019-07-26

Family

ID=67469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557A KR102004161B1 (ko) 2018-03-29 2018-03-29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4161B1 (ko)
CN (1) CN1103238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0154A1 (ko) * 2020-09-21 2022-03-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843U (ko) 2009-06-10 2009-07-06 효성전기주식회사 모터용 케이스
KR20120007927A (ko) * 2010-07-15 2012-0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Eps모터의 스테이터 결합구조
KR20130067039A (ko) * 2011-12-13 2013-06-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얼터네이터
KR20160040788A (ko) * 2014-10-06 2016-04-15 자화전자(주) Bldc 모터 및 bldc 모터의 스테이터 하우징 고정방법
KR101787710B1 (ko) * 2016-04-29 2017-10-18 주식회사 고아정공 브러쉬리스 직류 모터
KR101838886B1 (ko) 2015-12-10 2018-03-19 효성전기주식회사 누유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유로 형성 및 실링을 구비한 abs 모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7750A (ja) * 1994-07-22 1996-0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テータの保持構造
CN202178625U (zh) * 2011-08-04 2012-03-28 中山大洋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塑壳电机
CN102545409B (zh) * 2012-02-03 2014-06-25 杭州共进科技有限公司 改进结构伺服电机
JP6317579B2 (ja) * 2013-03-28 2018-04-2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におけるカバー構造
CN104638847B (zh) * 2014-12-31 2017-02-22 杭州米格电机有限公司 电机转子磁钢套安装装置及安装方法
FR3043633B1 (fr) * 2015-11-18 2019-05-24 Compagnie Plastic Omnium Systeme d'assemblage de deux pieces avec organe de guidage et element de verrouillage integr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843U (ko) 2009-06-10 2009-07-06 효성전기주식회사 모터용 케이스
KR20120007927A (ko) * 2010-07-15 2012-0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Eps모터의 스테이터 결합구조
KR20130067039A (ko) * 2011-12-13 2013-06-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얼터네이터
KR20160040788A (ko) * 2014-10-06 2016-04-15 자화전자(주) Bldc 모터 및 bldc 모터의 스테이터 하우징 고정방법
KR101838886B1 (ko) 2015-12-10 2018-03-19 효성전기주식회사 누유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유로 형성 및 실링을 구비한 abs 모터 케이스
KR101787710B1 (ko) * 2016-04-29 2017-10-18 주식회사 고아정공 브러쉬리스 직류 모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0154A1 (ko) * 2020-09-21 2022-03-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23877A (zh)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6663B2 (en) Heat circulation pump
US9541090B2 (en) Heat circulation pump
US10047751B2 (en) Heating circulating pump
US6477869B2 (en) Drive apparatus for a washing machine
KR101900456B1 (ko) 모터와 이를 가지는 세탁기
US20230002950A1 (en) Reinforcing cap for a tub rear wall of an appliance
US4357552A (en) Motor assembly
KR102004161B1 (ko) 재사용이 가능한 모터 케이스
KR0144716B1 (ko) 회전 전기 기계용 계자장치
US3548229A (en) Longitudinally split housing for rotary electric motor stator
JP3668676B2 (ja) 磁石保持体及びそれを備えた永久磁石式回転電機並びに永久磁石の取り付け方法
KR101920477B1 (ko) 블로워모터
KR101655112B1 (ko) 브러쉬리스 dc 모터
KR20140036339A (ko) 모터
CN107191390B (zh) 爬地扇及其装配方法
RU2589717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е конструкции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для бытового электроприбора
KR101908574B1 (ko) 블로워모터의 브러시 구조
KR101169790B1 (ko) 방수구조 워터펌프 모터
CN217388421U (zh) 马达
CN215378612U (zh) 电机端盖
KR101908559B1 (ko) 블로워모터의 냉각구조
KR102625015B1 (ko) 모터
CN211239525U (zh) 电机结构及使用该电机结构的食物处理机
CN219287218U (zh) 电机和电器设备
KR101908550B1 (ko) 블로워모터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