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6339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6339A
KR20140036339A KR1020120101257A KR20120101257A KR20140036339A KR 20140036339 A KR20140036339 A KR 20140036339A KR 1020120101257 A KR1020120101257 A KR 1020120101257A KR 20120101257 A KR20120101257 A KR 20120101257A KR 20140036339 A KR20140036339 A KR 20140036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fastening protrusion
rotor core
fasten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근영
김영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6339A/ko
Publication of KR20140036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3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02K1/272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4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53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the rotor consisting of magnets or groups of magnets arranged with alternating polarity
    • H02K1/276Magnets embedded in the magnetic core, e.g. interior permanent magnets [IPM]
    • H02K1/2766Magnets embedded in the magnetic core, e.g. interior permanent magnets [IPM] having a flux concentration effect
    • H02K1/2773Magnets embedded in the magnetic core, e.g. interior permanent magnets [IPM] having a flux concentration effect consisting of tangentially magnetized radial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모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모터를 개시한다.
모터는, 스테이터와, 스테이터의 내측 또는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한다. 로터는,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로터코어와, 복수의 로터코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그네트와, 로터코어 및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몰딩부를 포함한다. 로터코어는 로터코어와 몰딩부 간의 체결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로터코어의 일 측면으로부터 로터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고 로터의 반경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전기에너지로부터 회전력을 얻는 기계로서, 스테이터와 로터를 구비한다. 로터는 스테이터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고, 자기장과 코일에 흐르는 전류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회전한다.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해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영구자석 모터는 표면 부착형 영구자석 모터(surface mounted permanent magnet motor), 매입형 영구자석 모터(interior type permanent magnet motor), 스포크형 영구자석 모터(spoke type permanent magnet motor)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스포크형 영구자석 모터는 구조적으로 자속 집중도가 높기 때문에 고 토크, 고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동일 출력에 대해 모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스포크형 영구자석 모터는 고 토크, 고 출력 특성이 요구되는 세탁기 구동모터나 전기자동차 구동모터, 소형발전기 구동모터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포크형 영구자석 모터의 로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 형태로 배치되는 영구자석들과, 각 영구자석들 사이에 배치되는 로터코어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로터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영구자석이 로터코어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모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모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모터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 또는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로터코어;와, 상기 복수의 로터코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그네트;와, 상기 로터코어 및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몰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코어는 상기 로터코어와 상기 몰딩부 간의 체결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로터코어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로터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로터의 반경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체결돌기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제1체결돌기와,상기 제1체결돌기에 비해 상기 로터의 중심으로부터 더 먼 곳에 배치되고 상기 몰딩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체결돌기와 함께 제1몰딩수용부를 형성하는 제2체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돌기가 상기 로터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제1체결돌기가 상기 로터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돌기가 상기 로터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제2체결돌기가 상기 로터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돌기는 상기 제2체결돌기에 비해 상기 로터의 중심으로부터 더 먼 곳에 배치되고 상기 제2체결돌기와 함께 제2몰딩수용부를 형성하는 제3체결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딩부는 상기 로터코어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브리지는 그 외측둘레면으로부터 상기 로터의 반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코어의 하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는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그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코어는 상기 몰딩부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터코어 및 마그네트가 몰딩부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로터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마그네트가 로터코어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와 모터의 스테이터와 로터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테이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테이터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로터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로터코어와 마그네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로터코어와 마그네트에 몰딩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로터코어의 제1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로터코어와 마그네트에 몰딩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로터코어의 제2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로터코어와 마그네트에 몰딩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터는 세탁기, 에어컨, 전기자동차, 경전철, 전기자전거, 소형발전기 등 동력원으로 모터를 사용하는 각종 기기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편의상 세탁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30)과, 드럼(30)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40)를 구비한다.
캐비닛(10)의 전면부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1)가 형성된다. 투입구(11)는 캐비닛(10)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12)에 의해 개폐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50)이 설치된다. 급수관(50)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고, 급수관(50)의 타측은 세제 공급장치(60)와 연결된다. 세제 공급장치(60)는 연결관(55)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5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 공급장치(60)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70)와 배수관(75)이 설치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31)이 형성되고,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32)가 설치된다.
드럼(30)과 모터(40)는 구동축(80)을 통해 연결된다. 구동축(80)은 모터(40)의 회전력을 드럼(30)에 전달한다. 구동축(80)의 일단은 드럼(30)에 연결되고, 구동축(80)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21)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터브(20)의 후벽(21)에는 구동축(8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82)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82)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벽(21)에 인서트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82)과 구동축(80) 사이에는 구동축(8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들(84)이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와 모터의 스테이터와 로터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테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테이터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코일을 제외하였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40)는 터브(20)의 외측에 결합되고, 드럼(30)에 동력을 제공하여 드럼(30)을 양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모터(40)는 터브(20)의 후벽(21)에 장착되는 스테이터(100)와, 스테이터(100)의 주위에 배치되어 스테이터(100)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는 로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테이터(100)는 금속 재질의 스테이터코어(110)와, 스테이터코어(110)의 양단(110a, 110b)을 덮는 제1인슐레이터(120a) 및 제2인슐레이터(120b)와, 제1인슐레이터(120a) 및 제2인슐레이터(120b) 사이에 삽입되는 절연필름(130)과, 제1인슐레이터(120a), 제2인슐레이터(120b) 및 절연필름(130)에 권선되는 코일(140)을 포함한다. 스테이터코어(110)는 프레스 가공된 철판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인슐레이터(120a) 및 제2인슐레이터(120b)와 절연필름(130)은 전기적인 절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코어(110)는 링(Ring) 형상의 코어몸체(112)와, 코어몸체(112)의 내주면으로부터 코어몸체(112)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코어몸체(112)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코어티스(114)를 포함한다.
제1인슐레이터(120a)는 코어몸체(1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1인슐레이터 몸체(122a)와, 코어티스(114)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제1인슐레이터 티스(124a)를 포함한다. 제1인슐레이터 몸체(122a)의 내측에는 스테이터코어(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스테이터코어(11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코어수용부(121a)가 마련된다. 복수의 제1인슐레이터 티스(124a)는 제1인슐레이터 몸체(122a)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제1인슐레이터 몸체(122a)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또한, 제1인슐레이터(120a)는 제2인슐레이터(120b)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리브(126)와, 스테이터(100)를 터브(20)의 후벽(21)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관통홀(128)을 포함한다. 연결리브(126)는 제1인슐레이터 몸체(122a)로부터 제2인슐레이터(120b)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제1인슐레이터 몸체(122a)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스테이터코어(110)와 제1인슐레이터(120a) 및 제2인슐레이터(120b)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인슐레이터(120b)와 연결된다. 제1관통홀(128)은 제1인슐레이터 몸체(122a) 및 연결리브(126)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1관통홀(128)에는 스테이터(100)와 터브(20) 간의 체결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슬리브(170)가 삽입될 수 있다.
연결리브(126)가 제1인슐레이터(120a)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스테이터코어(110)의 적층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스테이터코어(110)의 적층 높이가 높은 경우 연결리브(126)가 돌출되는 길이는 길어질 수 있고, 스테이터코어(110)의 적층 높이가 낮은 경우 연결리브(126)가 돌출되는 길이는 짧아질 수 있다. 연결리브(126)와 제1인슐레이터(120a)를 일체로 사출하는 경우, 스테이터코어(110)의 적층 높이 변화에 따라 연결리브(126)가 연장되는 길이가 변화하더라도 제1인슐레이터(120a)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은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공용화가 가능하다. 제1인슐레이터(120a)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연결리브(126)가 돌출되는 길이에 대응하여 연결리브(126)를 형성하는 사출금형의 일 부분만을 미리 깊게 깎아 놓고 지그(Jig) 등을 이용하여 채우면서 연결리브(126)가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2인슐레이터(120b)는 코어몸체(1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인슐레이터 몸체(122b)와, 코어티스(114)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제2인슐레이터 티스(124b)를 포함한다. 제2인슐레이터 몸체(122b)의 내측에는 스테이터코어(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스테이터코어(11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코어수용부(121b)가 마련된다. 복수의 제2인슐레이터 티스(124b)는 제2인슐레이터 몸체(122b)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제2인슐레이터 몸체(122b)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제2인슐레이터(120b)는 터브(20)와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리브(127)와, 제2인슐레이터 몸체(122b) 및 고정리브(127)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관통홀(129)과, 터브(20)의 후벽(21)과 대향하는 고정리브(127)의 일면으로부터 터브(20)의 후벽(21)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핀(123)을 포함한다. 고정리브(127)는 제2인슐레이터 몸체(122b)로부터 터브(20)의 후벽(21)을 향하여 돌출되고, 제2인슐레이터 몸체(122b)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스테이터(110)가 터브(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터브(20)의 후벽(21)과 접촉한다. 고정핀(123)은 터브(20)의 후벽(21)에 삽입되어 스테이터(100)를 터브(20)의 후벽(21)에 고정시키기 전에 스테이터(100)의 위치를 결정한다. 제2관통홀(129)은 제2인슐레이터 몸체(122b) 및 고정리브(127)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1관통홀(128)과 동심 상에 배치된다. 제2관통홀(129)에는 스테이터(100)와 터브(20) 간의 체결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슬리브(170)가 삽입될 수 있다.
스테이터(100)가 장착되는 터브(20)의 후벽(21)에는 고정핀(123)이 삽입, 수용되는 제1수용홀(161)과, 고정부재(150)가 삽입, 수용되는 제2수용홀(162)이 마련된다.
제1수용홀(161)은 고정핀(142)을 수용하여 스테이터(100)가 터브(20)의 후벽(21)에 고정되기 전에 스테이터(1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제2수용홀(162)은 슬리브(170)를 관통한 고정부재(150)를 수용하여 스테이터(100)가 터브(20)의 후벽(2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로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로터코어와 마그네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로터코어와 마그네트에 몰딩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200)는 방사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로터코어(220)와, 각각의 로터코어(22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그네트(240)와, 복수의 로터코어(220) 및 복수의 마그네트(240)를 지지하는 몰딩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로터코어(220)는 마그네트(240)를 지지하며, 마그네트(240)에 형성된 자속의 경로(자로)(magnetic path)를 형성한다. 복수의 로터코어(220)는 로터(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각각의 로터코어(220) 사이에 마그네트(24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로터코어(220)는 로터(200)의 중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내측 단부(220b)와, 스테이터코어(114)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스테이터코어(114)와 공극을 형성하는 외측 단부(220a)를 포함하며, 로터코어(220)의 원주방향으로의 폭은 그 내측 단부(220b)에서 외측 단부(220a)로 갈수록 증가한다. 로터코어(220)는 규소 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되는 판재를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로터코어(220)는 로터코어(220)와 몰딩부(260) 간의 체결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돌기들(230)을 포함한다.
복수의 체결돌기들(230)은 마그네트(240)와 접하는 로터코어(220)의 양 측면으로부터 로터(200)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고, 로터(200)의 반경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체결돌기(231)와 제2체결돌기(232)를 포함한다.
제1체결돌기(231)는 마그네트(240)의 상단부와 접하여 마그네트(240)를 로터(200)의 중심방향으로 지지한다. 제2체결돌기(232)는 제1체결돌기(231)에 비해 로터(200)의 중심으로부터 더 먼 로터코어(220)의 측면에 이격 배치되고 몰딩부(26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체결돌기(231)와 함께 제1몰딩수용부(291)를 형성한다. 제2체결돌기(232)가 로터(200)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제1체결돌기(231)가 로터(200)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보다 더 길거나 짧을 수 있다. 제1몰딩수용부(291)는 몰딩부(260)를 사출하는 과정에서 몰딩부(260)를 수용하여, 로터코어(220)와 몰딩부(26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로터코어(220)는 각각의 분할된 로터코어(220)를 지지하는 몰딩부(260)와 결합되는 관통홀(222) 및 결합홈(224)을 포함한다.
관통홀(222)은 몰딩부(260)를 사출하는 과정에서 몰딩부(260)가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로터코어(220)의 몸체를 관통한다. 관통홀(222)의 직경은 1.5mm 이상 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홀(222)의 직경이 지나치게 작을 경우, 로터코어(220)가 몰딩부(26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며, 관통홀(222)의 직경이 지나치게 클 경우, 로터코어(220)로 집중된 자속이 로터코어(220)의 외측 단부(220a)를 통해 자속의 경로를 형성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관통홀(222)은 로터(200)의 반경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관통홀(222)의 수가 지나치게 많은 경우, 관통홀(222)의 직경이 지나치게 클 경우와 마찬가지로 로터코어(220)로 집중된 자속이 로터코어(220)의 외측 단부(220a)를 통해 자속의 경로를 형성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그 수는 3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홈(224)은 로터코어(220)의 내측 단부(220b)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며, 그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224a)를 포함한다. 결합홈(224)은 몰딩부(260)를 사출하는 과정에서 몰딩부(260)를 수용하여, 로터코어(220)와 몰딩부(26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로터코어(22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그네트(240)는 로터(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위치되도록 로터(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마그네트(240)는 반영구적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의 자기적 성질을 유지할 수 있는 페라이트 자석이거나 네오디움(Neodymium)이나 사마륨(samarium)과 같은 희토류를 포함하는 자석일 수 있다.
마그네트(240)에 형성된 자속은 로터(200)의 원주??향을 따라 배열된다. 서로 이웃한 두 개의 마그네트(240)는 동일한 극성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자기회로에 의하면 마그네트(240)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집중되어 모터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몰딩부(260)는 구동축(80)이 결합되는 축공(262)와, 로터(20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열방출구(264)를 포함한다.
또한 몰딩부(260)는 복수의 로터코어(220) 및 복수의 마그네트(240)를 지지하는 링형상의 브리지(266)와, 몰딩부(260)와 복수의 로터코어(220) 및 복수의 마그네트(240)를 결합시키는 제1결합리브 내지 제3결합리브(263, 265, 2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결합리브(263)는 브리지(266)의 외측둘레면으로부터 로터(20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1결합리브(263)는 결합홈(224)에 수용, 결합되어 로터코어(200)와 브리지(266)를 서로 결합시키며, 로터(200)의 원주방향으로 그 폭이 확장되는 단턱 형상으로 마련되어 로터(20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로터코어(220)가 브리지(26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제2결합리브(265)는 서로 이웃한 로터코어(220)의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일 측면과, 서로 이웃한 로터코어(220) 사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240)의 일단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229) 및 제1몰딩수용부(291)에 수용되어 로터코어(220)와 몰딩부(260) 간의 체결강도를 보강하고 마그네트(24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3결합리브(268)는 로터코어(220)에 마련된 관통홀(222)에 수용, 결합되어 제1결합리브(263)와 함께 로터코어(220)가 브리지(26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결합리브 내지 제3결합리브(263, 265, 268)는, 인서트 사출방식을 통해 몰딩부(260)를 복수의 로터코어(220) 및 복수의 마그네트(240)에 일체로 사출하는 과정에서, 각각 결합홈(224), 로터코어(220)와 마그네트(24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229), 관통홀(22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로터코어 및 마그네트의 변형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기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로터코어의 제1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로터코어와 마그네트에 몰딩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로터코어의 제2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로터코어와 마그네트에 몰딩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코어(220)는 제2체결돌기(232)에 비해 로터(200)의 중심으로부터 더 먼 로터코어(220)의 측면에 이격 배치되는 제3체결돌기(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체결돌기(233)가 로터(200)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제2체결돌기(232)가 로터(200)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보다 더 길다. 즉, 제1체결돌기(231), 제2체결돌기(232), 제3체결돌기(233)는 로터(20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로터(200)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제1체결돌기(231), 제2체결돌기(232), 제3체결돌기(233) 순으로 점점 커진다.
제3체결돌기(233)는 제2체결돌기(232)와 함께 제2몰딩수용부(292)를 형성한다. 제2몰딩수용부(292)는 제1몰딩수용부(291)와 함께 몰딩부(260)를 사출하는 과정에서 몰딩부(260)를 수용하여, 로터코어(220)와 몰딩부(26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제2결합리브(265)는 서로 이웃한 로터코어(220)의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일 측면과, 서로 이웃한 로터코어(220) 사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240)의 일단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229)과 제1몰딩수용부(291) 및 제2몰딩수용부(292)에 수용되어 로터코어(220)와 몰딩부(260) 간의 체결강도를 보강하고 마그네트(24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로터코어(22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돌기들(230)의 개수는 3개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체결돌기들(230)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로터코어(220)와 몰딩부(26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돌기(231), 제2체결돌기(232), 제3체결돌기(233)는 로터(20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로터(200)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제1체결돌기(231), 제2체결돌기(232), 제3체결돌기(233) 순으로 점점 작아진다. 이 경우, 마그네트(240)이 상단부를 직접 지지하는 제1체결돌기(231)의 길이가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어지므로 로터(200)의 중심방향으로 마그네트(240)가 좀 더 견고하게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세탁기 20 : 터브
40 : 모터 100 : 스테이터
110 : 스테이터코어 120a : 제1인슐레이터
120b : 제2인슐레이터 130 : 절연필름
140 : 코일 200 : 로터
220 : 로터코어 230 : 체결돌기
240 : 마그네트 260 : 몰딩부

Claims (8)

  1.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 또는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로터코어;와,
    상기 복수의 로터코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그네트;와,
    상기 로터코어 및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몰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코어는 상기 로터코어와 상기 몰딩부 간의 체결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로터코어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로터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로터의 반경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결돌기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제1체결돌기와,
    상기 제1체결돌기에 비해 상기 로터의 중심으로부터 더 먼 곳에 배치되고 상기 몰딩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체결돌기와 함께 제1몰딩수용부를 형성하는 제2체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돌기가 상기 로터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제1체결돌기가 상기 로터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돌기가 상기 로터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제2체결돌기가 상기 로터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결돌기는 상기 제2체결돌기에 비해 상기 로터의 중심으로부터 더 먼 곳에 배치되고 상기 제2체결돌기와 함께 제2몰딩수용부를 형성하는 제3체결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는 상기 로터코어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브리지는 그 외측둘레면으로부터 상기 로터의 반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코어의 하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는 결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그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코어는 상기 몰딩부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KR1020120101257A 2012-09-12 2012-09-12 모터 KR20140036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257A KR20140036339A (ko) 2012-09-12 2012-09-12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257A KR20140036339A (ko) 2012-09-12 2012-09-12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339A true KR20140036339A (ko) 2014-03-25

Family

ID=50645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257A KR20140036339A (ko) 2012-09-12 2012-09-12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633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9453A (ko) * 2013-07-16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15207A (ko) * 2016-06-07 2018-02-12 뉴모텍(주) 스포크 타입 로터
CN109155554A (zh) * 2016-06-07 2019-01-04 纽摩泰科有限公司 辐条式转子
KR20190023244A (ko) * 2017-08-28 2019-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9453A (ko) * 2013-07-16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15207A (ko) * 2016-06-07 2018-02-12 뉴모텍(주) 스포크 타입 로터
CN109155554A (zh) * 2016-06-07 2019-01-04 纽摩泰科有限公司 辐条式转子
KR20190023244A (ko) * 2017-08-28 2019-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8712B2 (en) Motor and rotor thereof
US9531220B2 (en) Mo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9419482B2 (en) Motor and rotor thereof
EP2568579B1 (en) Mo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2073005B1 (ko) 모터
US20130057103A1 (en) Mo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150063217A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130027417A (ko) 모터와 이를 가지는 세탁기
KR20140049201A (ko) 모터와 이를 가지는 세탁기
KR20140036339A (ko) 모터
US20190131839A1 (en) Spoke type rotor
KR101955263B1 (ko) 모터와 이를 가지는 세탁기
KR20140037306A (ko) 모터와 이를 가지는 세탁기
KR20140036340A (ko) 모터
KR20130090165A (ko) 모터
KR102351726B1 (ko) 스포크 타입 로터
KR20140043259A (ko)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KR20210112945A (ko)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20150090791A (ko) 모터 및 이를 갖는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