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900B1 -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900B1
KR102003900B1 KR1020170029928A KR20170029928A KR102003900B1 KR 102003900 B1 KR102003900 B1 KR 102003900B1 KR 1020170029928 A KR1020170029928 A KR 1020170029928A KR 20170029928 A KR20170029928 A KR 20170029928A KR 102003900 B1 KR102003900 B1 KR 102003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od
calculated
daily
calor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4210A (ko
Inventor
박동국
하지훈
한기갑
이상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티인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티인프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티인프라
Priority to KR1020170029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900B1/ko
Publication of KR20180104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개인의 상태에 따라 하루 필요한 총 칼로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권장량을 고려하여 곡류군, 어육류군, 지방군, 채소군, 우유군 및 과일군으로 구성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복수의 식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식단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최종 식단으로 실제 개인의 식단을 관리함으로써, 환자의 식습관을 기준으로 종합 영양 관리가 가능하고, 식품군을 영양 배분에 따라 변화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 및 그 방법{Terminal of providing the menu based on food composition tab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의 상태에 따라 하루 필요한 총 칼로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권장량을 고려하여 곡류군, 어육류군, 지방군, 채소군, 우유군 및 과일군으로 구성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복수의 식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식단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최종 식단으로 실제 개인의 식단을 관리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의 향상 등으로 인한 급격한 식생활 변화, 불규칙한 식사, 높은 칼로리 음식의 섭취, 운동 부족 등에 의해 비만, 당뇨, 성인병, 암 등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비만, 당뇨, 성인병, 암 등의 질병을 가진 환자의 경우, 특히 암환자의 경우 여러 가지 식이 요법들을 적용하고 있지만, 환자의 상태에 따른 식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질병 유무, 질병 종류 등에 따라 하루에 필요한 총 칼로리가 서로 상이하지만 이에 대한 적절한 칼로리 섭취를 위한 식단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단순히 칼로리만으로 식단을 평가할 경우, 동일한 칼로리에 해당하는 음료수를 마시는 것과 균형 잡힌 식단으로 섭취한 것이 동일하게 잘 먹은 것으로 평가되어 실제 사용자의 건강 관리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64195호 [명칭: 식단 제공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의 상태에 따라 하루 필요한 총 칼로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권장량을 고려하여 곡류군, 어육류군, 지방군, 채소군, 우유군 및 과일군으로 구성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복수의 식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식단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최종 식단으로 실제 개인의 식단을 관리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든 영양 관리를 원재료 중심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복수의 원재료 중 어느 하나의 원재료를 선택함에 따라 식단을 관리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의 질환, 식습관, 음식 선호 식품 등에 따라 자동으로 식품군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른 식품군을 배열해주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방법은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해, 표시부에 표시되는 사전 정보 등록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개인 정보, 질병 정보, 알레르기 정보,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 및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수신된 개인 정보, 질병 정보 및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와 관련한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에 미리 설정된 값을 가감한 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상기 사용자의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수신된 질병 정보 및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를 근거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상기 식품교환표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해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각각 하나 이상의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어육류군, 지방군 및 채소군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식품군 후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복수의 식품군 후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식품군 후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가 선택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를 근거로 식단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식단 선택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식단 선택 화면에 포함된 아침, 간식 1, 점심, 간식 2, 저녁, 간식 3의 식단 항목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복수의 식품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식품군의 선택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식품군에 대응하는 복수의 음식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음식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식 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식단 항목 및 식품군 항목에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식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식단 항목에서 식품군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식단 항목 및 식품군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음식 정보 중에서 특정 음식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특정 음식 정보를 상기 선택된 식단 항목에 대응하는 음식 정보로 설정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에 포함된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해서 각각 설정된 개수만큼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을 식단 항목별로 각각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에 대해서 설정된 개수만큼의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한 설정이 완료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식단 항목별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식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부에 의해, 상기 생성된 식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음식 정보는, 상기 알레르기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알레르기 정보에 대응하여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음식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식 정보가 제외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식단 정보는, 상기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 상기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에 따른 총 칼로리, 상기 총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의 양, 상기 총 칼로리에 대한 단백질의 양, 상기 총 칼로리에 대한 지방의 양 및 복수의 식단 항목별로 설정되는 식품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사용자와 관련한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표준 체중과 활동량에 따라 미리 설정된 계수값을 곱하여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일반인일 때,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미리 설정된 제 1 계수인 55% ~ 70%를 곱한 값을 포함하는 제 1 범위를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하루 권장량으로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미리 설정된 제 2 계수인 7% ~ 25%를 곱한 값을 포함하는 제 2 범위를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으로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미리 설정된 제 3 계수인 15% ~ 25%를 곱한 값을 포함하는 제 3 범위를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으로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식품군 후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곡류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곡류군의 개수, 미리 설정된 우유군의 개수 및 미리 설정된 과일군의 개수가 적용된 제 1 임시 칼로리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서 상기 산출된 제 1 임시 칼로리를 감산하여 제 1 남은 칼로리 범위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제 1 남은 칼로리 범위를 근거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어육류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곡류군의 개수, 우유군의 개수, 과일군의 개수 및 어육류군의 개수가 적용된 제 2 임시 칼로리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제 2 임시 칼로리가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의 최솟값의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클 때, 상기 산출된 어육류군의 개수에 대응하는 어육류군의 조합을 유지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서 상기 산출된 제 2 임시 칼로리를 감산하여 제 2 남은 칼로리 범위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제 2 남은 칼로리 범위를 근거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지방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채소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산출되는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어육류군, 지방군 및 채소군의 복수의 조합 중에서 특정 조합에 따른 총 하루 필요 칼로리, 해당 조합에 따른 하루 필요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각각의 권장량이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에 각각 모두 포함될 때, 상기 특정 조합을 상기 복수의 식품군 후보에 포함시켜 상기 복수의 식품군 후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어육류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은, 적용된 곡류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서 사용한 단백질의 양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곡류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서 사용한 단백질의 양에 단백질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단백질 용량화 계수를 곱하여 상기 적용된 곡류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서 사용한 단백질에 대응하는 칼로리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에서 상기 산출된 곡류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서 사용한 단백질에 대응하는 칼로리를 감산하여,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 중에서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칼로리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칼로리를 상기 단백질 용량화 계수로 나누어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양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양을 미리 설정된 어육류군의 단백질 기준 계수로 나누어 어육류군에 대한 크기를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산출된 어육류군에 대한 크기에서 최솟값은 올림 처리하고, 최댓값은 내림 처리하여 상기 어육류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지방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은, 적용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및 어육류군에서 사용한 지방의 양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및 어육류군에서 사용한 지방의 양에 지방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지방 용량화 계수를 곱하여 상기 적용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및 어육류군에서 사용한 지방에 대응하는 칼로리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에서 상기 산출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및 어육류군에서 사용한 지방에 대응하는 칼로리를 감산하여,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 중에서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칼로리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칼로리를 상기 지방 용량화 계수로 나누어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양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양을 미리 설정된 지방군의 지방 기준 계수로 나누어 지방군에 대한 크기를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산출된 지방군에 대한 크기에서 최솟값은 올림 처리하고, 최댓값은 내림 처리하여 상기 지방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은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에 있어서, 식품군 추천을 위한 사전 정보 등록을 위한 사전 정보 등록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사전 정보 등록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개인 정보, 질병 정보, 알레르기 정보,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 및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 정보, 질병 정보 및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와 관련한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에 미리 설정된 값을 가감한 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상기 사용자의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로 산출하고, 상기 수신된 질병 정보 및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를 근거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상기 식품교환표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해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각각 하나 이상의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어육류군, 지방군 및 채소군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식품군 후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되는 복수의 식품군 후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가 선택될 때,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를 근거로 식단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식단 선택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식단 선택 화면에 포함된 아침, 간식 1, 점심, 간식 2, 저녁, 간식 3의 식단 항목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복수의 식품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식품군의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식품군에 대응하는 복수의 음식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음식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식 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식단 항목 및 식품군 항목에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식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식단 항목에서 식품군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식단 항목 및 식품군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음식 정보 중에서 특정 음식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특정 음식 정보를 상기 선택된 식단 항목에 대응하는 음식 정보로 설정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에 포함된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해서 각각 설정된 개수만큼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을 식단 항목별로 각각 설정하고,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에 대해서 설정된 개수만큼의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한 설정이 완료될 때 식단 항목별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식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식단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인의 상태에 따라 하루 필요한 총 칼로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권장량을 고려하여 곡류군, 어육류군, 지방군, 채소군, 우유군 및 과일군으로 구성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복수의 식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식단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최종 식단으로 실제 개인의 식단을 관리함으로써,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식습관을 제공하며 환자의 신체 리듬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영양 관리를 원재료 중심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복수의 원재료 중 어느 하나의 원재료를 선택함에 따라 식단을 관리함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영양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질환, 식습관, 음식 선호 식품 등에 따라 자동으로 식품군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른 식품군을 배열함으로써, 환자의 식습관을 기준으로 종합 영양 관리가 가능하고, 식품군을 영양 배분에 따라 변화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10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음성 출력부(140) 및 제어부(15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단말(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단말(1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단말(1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또는 식단 제공 단말)(1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서버/센터(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상기 서버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와 관련한 식단 정보,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서버는 상기 통신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와 관련한 식단 정보,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단 정보,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저장(또는 관리)한다.
상기 저장부(12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단말(10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즉,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단말(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단말(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되고, 단말(100)에 설치되어, 제어부(150)에 의하여 상기 단말(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와 관련한 식단 정보, 식품군 추천을 위한 전용 앱(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와 관련한 식단 정보 등을 표시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140)는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14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40)는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40)는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와 관련한 식단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또는 음향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단말(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상기 저장부(120)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미리 설치된 앱(또는 전용 앱)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해당 앱 실행 결과 화면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앱 실행 결과 화면은 식품군 추천을 위한 식품군 추천 메뉴,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추천된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정보 메뉴 등의 복수의 메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메뉴 중에서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또는 임의의 사용자)에 맞는 맞춤형 식단을 추천(또는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식품군 추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식품군 추천을 위한 사전 정보 등록을 위한 사전 정보 등록 화면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에 따른 개인 정보, 질병 정보, 알레르기 정보,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 등을 수신(또는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개인 정보는 이름, 성별, 나이, 키, 체중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질병 정보는 갑상선암, 위암, 대장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췌장암, 자궁경부암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알레르기 정보는 유제품 알레르기, 땅콩 알레르기, 글루텐 알레르기, 해산물 알레르기, 육류 알레르기, 콩 알레르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는 임산부, 다이어트 중, 갱년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수신된(또는 확인된) 개인 정보, 질병 정보 및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와 관련한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또는 계산)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일반인의 경우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한다.
Figure 112017023496118-pat00001
여기서, 상기 표준 체중은 상기 개인 정보에 포함된 해당 사용자와 관련한 키의 제곱에 미리 설정된 체질량 지수값을 곱한 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체질량 지수값은 체질량 지수(BMI)의 정상 범위 값(예를 들어 18.5 ~ 22.9 kg/㎡) 중 어느 하나의 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활동량에 따른 계수값은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체 활동의 상태에 따라 25 ~ 40 범위 내에서 설정된(또는 선택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 정보에 포함된 해당 사용자와 관련한 키와 체중으로 산출되는 체질량 지수가 비만 상태(예를 들어 BMI 25 kg/㎡ 이상인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표준 체중 대신에 조정 체중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조정 체중은 (현재 체중 - 표준 체중) / 4 + 표준 체중으로 산출할 수 있다.
활동 정보 열량 산정
육체 활동이 거의 없는 사용자 표준체중 × 25 ~ 30 (kcal/일)
보통의 활동을 하는 사용자 표준체중 × 30 ~ 35 (kcal/일)
심한 육체 활동을 하는 사용자 표준체중 × 35 ~ 40 (kcal/일)
이와 같은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는 정상 상태의 일반인에 대한 경우이며, 제2형 성인 당뇨 환자의 경우, 상기 일반인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체질량 지수에 따른 저체중, 정상, 과체중 및 비만 여부는 다음의 [표 2]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체질량 지수 상태
< 18.5 kg/㎡ 저체중
18.5 ~ 22.9 kg/㎡ 정상
23.0 ~ 24.9 kg/㎡ 과체중
≥ 25.0 kg/㎡ 비만
또한, 제1형 청소년 당뇨 환자의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고려하여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하며, 다음의 [표 3]에 의해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열량 산정
생후 1년까지 1,000 kcal
2 ~ 10세까지 1,000 + 100kcal/년
남아 11~15세 2,000 + 200kcal/년
15세 이상 매우 활동적인 경우: 50 kcal/ 체중kg
보통 활동하는 경우: 40 kcal/체중kg
주로 앉아있는 경우: 30~35 kcal/체중kg
여아 11~15세 2,000 + 50~100 kcal/년
15세 이상 성인 일반인과 동일하게 계산
또한, 임신성 당뇨 환자의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다음의 [표 4]에 의해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임신 전 체중 열량 산정
저체중 현재체중 × 36~40 (kcal/일)
정상체중 현재체중 × 30 (kcal/일)
과체중 현재체중 × 24 (kcal/일)
심한 비만 현재체중 × 12 (kcal/일)
또한, 암 환자의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다음의 [표 5]에 의해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비만도 기준 적용대상 열량 산정
저체중 모 두(치료 O, X) 현재체중 × 30~35 (kcal/일)
정 상 모 두(치료 O, X) 현재체중 × 25~30 (kcal/일)
비 만 항암&방사선 치료시 현재체중 × 25~30 (kcal/일)
미치료시 현재체중 × 20~25 (kcal/일)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해리스-베네딕트(Harris-Benedict) 공식을 근거로 칼로리를 산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안정 시 소비 에너지(resting energy expenditure)를 반영하는 해리스-베네딕트 공식을 근거로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남자의 경우 기초 대사량은 66.4 * 13.7*체중(kg) + 5.0*키(cm) - 6.8*나이 로 산출한다.
또한, 여자의 경우 기초 대사량은 655 + 9.6*체중(kg) + 1.8*키(cm) - 4.7*나이 로 산출한다.
또한, 비만 환자의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과다하게 필요량이 계산되므로 표준 체중이나 조정 체중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정 체중은 표준 체중(kg) + [실제체중(kg) - 표준체중(kg)]*0.25로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기초 대사량(예를 들어 남자의 기초 대사량, 여자의 기초 대사량 등 포함)에 해당 사용자와 관련한 활동량 계수를 곱하여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활동량 계수는 거의 앉아서 일하는 경우 1.2이고, 적은 활동량인 경우 1.375이고, 평균적인 활동량인 경우 1.55이고, 많은 활동량인 경우 1.725이고, 아주 많은 활동량인 경우 1.9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활동량 계수에 사용되는 인자(예를 들어 거의 앉아서 일하는 경우, 적은 활동량, 평균적인 활동량, 많은 활동량, 아주 많은 활동량 등 포함)은 하루 동안 소비하는 평균적인 칼로리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에 미리 설정된 값을 가감(예를 들어 ±5%)한 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해당 사용자의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로 산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체질량 지수, 육체 활동 정보, 당뇨 여부, 암 환자 여부 등을 고려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적당한 하루 필요 칼로리(또는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수신된 질병 정보 및 상기 산출된(또는 계산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또는 하루 필요 칼로리)를 근거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또는 하루 필요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각각 산출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다음의 [표 6]에 의해 해당 사용자의 질병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각각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일반인은 체질량 지수가 정상 범위 내에 존재하며, 당뇨, 암, 질환(예를 들어 간질환, 신장질환 등 포함) 등에 해당하지 않는 사용자를 나타낸다.
구 분 일반인 제2형 당뇨 환자 제1형 당뇨 환자 암 환자
탄수화물 55% ~ 70% 55% ~ 60% 45% ~ 60% 55% ~ 70%
단백질 7% ~ 25% 15% ~ 20% 15% ~ 20% 7% ~ 25%
지 방 15% ~ 25% 20% ~ 25% 20% ~ 35% 15% ~ 25%
또한, 암 환자에 대한 단백질을 산정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해당 암 환자가 항암 및 방사선 치료를 수행 중인 경우에는 실제 체중(kg)*(1.1g~1.2g)으로 단백질을 산출하고, 위암 수술 후인 경우에는 실제 체중(kg)*(1.2g~1.4g)으로 단백질을 산출하고, 유방암 수술 후인 경우에는 실제 체중(kg)*(1.0g~1.1g)으로 단백질을 산출하고, 그 외 대부분의 암 환자의 경우에는 실제 체중(kg)*(1.1g~1.2g)으로 단백질을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도록 식품교환표에 포함된 곡류군, 어육류군, 지방군, 채소군, 우유군 및 과일군의 개수를 각각 산출한다. 이때, 상기 산출되는 곡류군의 개수, 상기 어육류군의 개수, 상기 지방군의 개수, 상기 채소군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복수의 곡류군, 복수의 어육류군, 복수의 지방군, 복수의 채소군, 상기 우유군의 개수 및 상기 과일군의 개수를 조합하여, 복수의 식품군 후보(또는 복수의 식품군 개수의 조합)를 생성(또는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의(또는 임의의) 식품군 후보는 하나 이상의 곡류군, 다른 하나 이상의 어육류군, 또 다른 하나 이상의 지방군, 또 다른 하나 이상의 채소군, 미리 설정된 개수의 우유군과 과일군으로 구성(또는 포함)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류군에는 밥, 빵, 국수, 고구마, 감자, 도토리묵, 옥수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육류군에는 쇠고기, 돼지고기 등의 육류, 닭고기, 오리고기 등의 가금류, 계란, 메추리알 등의 난류, 생선류, 콩, 두부, 연두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소군에는 시금치, 콩나물, 호박, 버섯 같은 채소류와 김, 미역,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군에는 참기름, 식용유, 들기름, 버터, 마요네즈 같은 기름류와 땅콩, 호두, 잣 등과 같은 견과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유군은 우유, 두유, 저지방우유, 요구르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일군은 사과, 배, 포도, 수박, 토마토, 감, 대추, 참외, 바나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소군의 개수는 상기 수신된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우유군 및 과일군의 개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상태(예를 들어 1개로 미리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유군의 경우, 섭취 여부에 따라 최소 0에서 최대 5개까지 선택(또는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일군의 경우, 최소 1개에서 최대 9개까지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도록 상기 식품교환표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해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어육류군, 지방군, 채소군 등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식품군 후보(또는 복수의 식품군 개수의 조합)를 생성(또는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식품교환표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해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는 곡류군, 우유군과 과일군, 어육류군, 지방군, 채소군 등의 순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식품교환표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해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는 설계자의 설계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곡류군의 개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곡류군의 개수는 특정 값 또는 특정 범위로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곡류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미리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1개)의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한 탄수화물의 열량을 함께 고려하여,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곡류군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곡류군의 개수, 우유군의 개수 및 과일군의 개수가 적용된 제 1 임시 칼로리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서 상기 산출된 제 1 임시 칼로리를 감산하여 제 1 남은 칼로리 범위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1 남은 칼로리 범위를 근거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어육류군의 개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어육류군의 개수는 특정 값 또는 특정 범위로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적용된 곡류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서 사용한 단백질의 양(또는 중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곡류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서 사용한 단백질의 양에 단백질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단백질 용량화 계수(예를 들어 4)를 곱하여 상기 적용된 곡류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서 사용한 단백질에 대응하는 칼로리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50)는 탄수화물 용량화 계수(예를 들어 4), 단백질 용량화 계수(예를 들어 4), 지방 용량화 계수(예를 들어 9) 등을 상기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에서 상기 산출된 곡류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서 사용한 단백질에 대응하는 칼로리를 감산하여,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 중에서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칼로리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산출된 값이 음수인 경우, 최솟값인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칼로리를 상기 단백질 용량화 계수(예를 들어 4)로 나누어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양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양을 다음의 [표 7]의 미리 설정된 어육류군의 단백질 기준 계수(예를 들어 8)로 나누어 어육류군에 대한 크기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어육류군에 대한 크기에서 최솟값은 올림 처리하고, 최댓값은 내림 처리하여 어육류군의 개수를 산출한다.
구 분 열 량(kcal) 탄수화물(g) 단백질(g) 지 방(g)
곡류군 100 23 2 -

어육류군
저지방 50 - 8 2
중지방 75 - 8 5
고지방 100 - 8 8
채소군 20 3 2 -
지방군 45 - - 5
우유군 일반우유 125 10 6 7
저지방우유 80 10 6 2
과일군 50 10 - -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어육류군 저지방과 어육류군 중지방의 경우, 사용자가 선호하는(또는 좋아하는) 메뉴를 기반으로 우선 선호도를 선택하여 배치(또는 개수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곡류군의 개수, 우유군의 개수, 과일군의 개수 및 어육류군의 개수가 적용된 제 2 임시 칼로리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2 임시 칼로리가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의 최솟값의 미리 설정된 기준값(예를 들어 75%)보다 이하인 경우, 상기 산출된 어육류군의 개수에 대응하는 어육류군의 조합을 삭제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2 임시 칼로리가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의 최솟값의 미리 설정된 기준값(예를 들어 75%)보다 큰 해당 어육류군의 개수에 대응하는 어육류군의 조합만을 사용(또는 관리/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서 상기 산출된 제 2 임시 칼로리를 감산하여 제 2 남은 칼로리 범위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2 남은 칼로리 범위를 근거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지방군의 개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지방군의 개수는 특정 값 또는 특정 범위로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적용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및 어육류군에서 사용한 지방의 양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및 어육류군에서 사용한 지방의 양에 지방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지방 용량화 계수(예를 들어 9)를 곱하여 상기 적용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및 어육류군에서 사용한 지방에 대응하는 칼로리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에서 상기 산출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및 어육류군에서 사용한 지방에 대응하는 칼로리를 감산하여,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 중에서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칼로리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산출되는 값이 음수인 경우, 최솟값인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칼로리를 상기 지방 용량화 계수(예를 들어 9)로 나누어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양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양을 상기 [표 7]의 미리 설정된 지방군의 지방 기준 계수(예를 들어 5)로 나누어 지방군에 대한 크기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지방군에 대한 크기에서 최솟값은 올림 처리하고, 최댓값은 내림 처리하여 지방군의 개수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수신된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채소군의 개수를 산출(또는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어육류군의 개수, 상기 지방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채소군의 개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산출되는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어육류군, 지방군 및 채소군의 조합 중에서 해당 조합에 따른 총 하루 필요 칼로리, 해당 조합에 따른 하루 필요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각각의 권장량 등이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권장량,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권장량,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권장량 등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해당 산출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어육류군, 지방군 및 채소군의 조합을 삭제한다(또는 버린다).
또한, 상기 산출되는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어육류군, 지방군 및 채소군의 조합 중에서 해당 조합에 따른 총 하루 필요 칼로리, 해당 조합에 따른 하루 필요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각각의 권장량 등이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권장량,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권장량,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권장량 등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해당 조합을 식품군 후보(또는 식품군 개수의 조합)로 생성(또는 산출/선정)한다.
또한, 상기 산출되는 복수의 조합 중에서 상기 조건들(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권장량,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권장량,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권장량 등 포함)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또는 복수의) 조합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또는 복수의) 식품군 후보(또는 복수의 식품군 개수의 조합)를 생성(또는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생성된(또는 산출된) 복수의 식품군 후보(또는 복수의 식품군 개수의 조합)를 상기 표시부(130) 및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복수의 식품군 후보(또는 복수의 식품군 개수의 조합)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를 근거로 식단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식단 선택 화면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식단 선택 화면은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에 포함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어육류군, 채소군 및 지방군의 개수에 대응하는 각각의 식품군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단 선택 화면에 포함된 간식 항목에는 우유군 및 과일군 중 어느 하나의 식품군만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식단 선택 화면에 포함된 아침, 간식 1, 점심, 간식 2, 저녁, 간식 3의 식단 항목에서,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터치/입력)에 따라 복수의 식품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식품군의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식품군에 대응하는 복수의 음식 정보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수신된 알레르기 정보,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사용자와 관련한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음식 정보,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대응하는 음식 정보 등이 제외된 상태의 상기 복수의 음식 정보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복수의 음식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식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식단 항목 및 식품군 항목(또는 상기 선택된 식단-식품군이 교차하는 영역)에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식 정보를 설정(또는 배치/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식단 항목 및 식품군 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식단 항목 및 식품군 항목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음식 정보 중에서 특정 음식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식품을 상기 선택된 식단 항목 및 식품군 항목에 대응하는 음식 정보로 설정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에 포함된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해서 각각 설정된 개수만큼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을 특정 식단 항목(예를 들어 아침 항목, 간식1 항목, 점심 항목, 간식2 항목, 저녁 항목, 간식3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각각 설정한다.
또한,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에 대해서 설정된 개수만큼의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한 설정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식단 항목별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식단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식단 정보는 상기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 해당 식품군 후보에 따른 총 칼로리(또는 하루 필요 칼로리/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 총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의 양, 총 칼로리에 대한 단백질의 양, 총 칼로리에 대한 지방의 양, 복수의 식단 항목별로 설정되는 식품군 정보(또는 해당 식품군에 대응하는 요리 정보/음식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생성된 식단 정보를 상기 표시부(13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생성된 식단 정보,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통신부(110)에 의해 서버(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하루 필요한 총 칼로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총 칼로리에 따라 영양소별 권장 배분을 고려하여 매 끼니별 식품군을 산출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말(100)에서 수행하는 기능들 중 일부는 상기 서버에 의해서 수행되고, 해당 수행 결과(예를 들어 식단 정보)를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100)에 제공하고, 상기 단말(100)에서는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수행 결과(예를 들어 식단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개인의 상태에 따라 하루 필요한 총 칼로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권장량을 고려하여 곡류군, 어육류군, 지방군, 채소군, 우유군 및 과일군으로 구성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복수의 식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식단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최종 식단으로 실제 개인의 식단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모든 영양 관리를 원재료 중심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복수의 원재료 중 어느 하나의 원재료를 선택함에 따라 식단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환자의 질환, 식습관, 음식 선호 식품 등에 따라 자동으로 식품군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른 식품군을 배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방법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100)에 설치된 전용 앱(또는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중에서 식품군 추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식품군 추천을 위한 사전 정보 등록을 위한 사전 정보 등록 화면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메뉴는 식품군 추천을 위한 식품군 추천 메뉴,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추천된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정보 메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에 따른 개인 정보, 질병 정보, 알레르기 정보,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 등을 수신(또는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개인 정보는 이름, 성별, 나이, 키, 체중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질병 정보는 갑상선암, 위암, 대장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췌장암, 자궁경부암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알레르기 정보는 유제품 알레르기, 땅콩 알레르기, 글루텐 알레르기, 해산물 알레르기, 육류 알레르기, 콩 알레르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는 임산부, 다이어트 중, 갱년기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식품군 추천 앱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중에서 식품군 추천 메뉴(또는 식품군 추천 항목)(310)가 선택될 때, 상기 제어부(150)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품군을 추천받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들을 입력받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사전 정보 등록 화면(400)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 1 개인 정보(예를 들어 홍길동, 남자, 30세, 180cm, 70kg 등 포함), 제 1 질병 정보(예를 들어 해당 사항 없음), 제 1 알레르기 정보(예를 들어 해당 사항 없음), 제 1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예를 들어 보통의 활동), 제 1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예를 들어 끼니별 3찬, 하루 9찬) 등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도 4에 도시된 완료 항목(410)이 선택될 때, 상기 제어부(150)는 개인 정보 항목, 질병 정보 항목, 알레르기 정보 항목,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 항목,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 항목 등에서 각각 선택된(또는 입력된) 값을 상기 제 1 개인 정보, 상기 제 1 질병 정보, 상기 제 1 알레르기 정보, 상기 제 1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 상기 제 1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로 저장(또는 확인/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식품군 추천 앱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중에서 식품군 추천 메뉴(또는 식품군 추천 항목)(310)가 선택될 때, 상기 제어부(150)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품군을 추천받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들을 입력받기 위한 상기 도 4에 도시된 사전 정보 등록 화면(400)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 2 개인 정보(예를 들어 영희, 여자, 30세, 160cm, 45kg 등 포함), 제 2 질병 정보(예를 들어 위암 등 포함), 제 2 알레르기 정보(예를 들어 해당 사항 없음), 제 2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예를 들어 보통의 활동), 제 2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예를 들어 끼니별 2찬, 하루 6찬) 등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도 4에 도시된 완료 항목(410)이 선택될 때, 상기 제어부(150)는 개인 정보 항목, 질병 정보 항목, 알레르기 정보 항목,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 항목,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 항목 등에서 각각 선택된(또는 입력된) 값을 상기 제 2 개인 정보, 상기 제 2 질병 정보, 상기 제 2 알레르기 정보, 상기 제 2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 상기 제 2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로 저장(또는 확인/수신)할 수 있다(S210).
이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수신된(또는 확인된) 개인 정보, 질병 정보 및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와 관련한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또는 계산)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일반인의 경우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한다.
이와 같은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는 정상 상태의 일반인에 대한 경우이며, 제2형 성인 당뇨 환자의 경우, 상기 일반인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체질량 지수에 따른 저체중, 정상, 과체중 및 비만 여부는 상기 [표 2]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형 청소년 당뇨 환자의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고려하여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하며, 상기 [표 3]에 의해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임신성 당뇨 환자의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표 4]에 의해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암 환자의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표 5]에 의해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에 미리 설정된 값을 가감(예를 들어 ±5%)한 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해당 사용자의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로 산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체질량 지수, 육체 활동 정보, 당뇨 여부, 암 환자 여부 등을 고려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알맞은 하루 필요 칼로리(또는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개인 정보 및 제 1 질병 정보를 근거로 일반인인 홍길동에 대한 제 1 체질량 지수(예를 들어 70/(1.8*1.8)=21.06)를 산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1 체질량 지수(예를 들어 21.06)가 상기 [표 2]에 따라 정상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홍길동에 대한 제 1 표준 체중(예를 들어 1.8*1.8*20=64.8kg)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체질량 지수값(20)은 정상 범위의 체질량 지수(18.5 ~ 22.9) 중에서 미리 설정된 값(또는 미리 선택된 값)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에 따른 계수(예를 들어 보통의 활동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계수인 30.86) 및 상기 산출된 제 1 표준 체중을 근거로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예를 들어 64.8kg * 30.86 = 약 2,000kcal)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예를 들어 2,000kcal)에 미리 설정된 값인 5%를 가감한 범위를 상기 홍길동의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예를 들어 1,900kcal ~ 2,100kcal)로 산출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2 개인 정보 및 제 2 질병 정보를 근거로 위암 환자인 영희에 대한 제 2 체질량 지수(예를 들어 45/(1.6*1.6)=17.57)를 산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50)는 저체중이며 위암 환자인 영희의 신체 상태 정보에 따른 계수(예를 들어 저체중 및 위암 환자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계수인 33) 및 상기 제 2 개인 정보에 포함된 체중(예를 들어 45kg)을 근거로 제 2 하루 필요 칼로리(예를 들어 45kg * 33 = 1,485kcal)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2 하루 필요 칼로리(예를 들어 1,485kcal)에 미리 설정된 값인 5%를 가감한 범위를 상기 영희의 제 2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예를 들어 1,410kcal ~ 1,559kcal)로 산출한다(S220).
이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수신된 질병 정보 및 상기 산출된(또는 계산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또는 하루 필요 칼로리)를 근거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또는 하루 필요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각각 산출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표 6]에 의해 해당 사용자의 질병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각각 산출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수신된 제 1 질병 정보(예를 들어 해당 사항 없음) 및 상기 산출된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예를 들어 1,900kcal ~ 2,100kcal)를 근거로 상기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각각 산출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하루 권장량(예를 들어 1,900kcal ~ 2,100kcal * 55% ~ 70% = 1,045kcal ~ 1,470kcal), 상기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예를 들어 1,900kcal ~ 2,100kcal * 7% ~ 25% = 133kcal ~ 525kcal), 상기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예를 들어 1,900kcal ~ 2,100kcal * 15% ~ 25% = 285kcal ~ 525kcal)를 각각 산출한다.
다른 일 예로, 수신된 제 3 질병 정보(예를 들어 제 1 형 당뇨) 및 산출된 제 3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예를 들어 1,900kcal ~ 2,100kcal)를 근거로 상기 제 3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각각 산출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형 당뇨 환자에 대해서 상기 제 3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하루 권장량(예를 들어 1,900kcal ~ 2,100kcal * 55% ~ 60% = 1,045kcal ~ 1,260kcal), 상기 제 3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예를 들어 1,900kcal ~ 2,100kcal * 15% ~ 20% = 285kcal ~ 420kcal), 상기 제 3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예를 들어 1,900kcal ~ 2,100kcal * 20% ~ 25% = 380kcal ~ 525kcal)를 각각 산출한다(S230).
이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도록 식품교환표에 포함된 곡류군, 어육류군, 지방군, 채소군, 우유군 및 과일군의 개수를 각각 산출한다. 이때, 상기 산출되는 곡류군의 개수, 상기 어육류군의 개수, 상기 지방군의 개수, 상기 채소군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복수의 곡류군, 복수의 어육류군, 복수의 지방군, 복수의 채소군, 상기 우유군의 개수 및 상기 과일군의 개수를 조합하여, 복수의 식품군 후보(또는 복수의 식품군 개수의 조합)를 생성(또는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의(또는 임의의) 식품군 후보는 하나 이상의 곡류군, 다른 하나 이상의 어육류군, 또 다른 하나 이상의 지방군, 또 다른 하나 이상의 채소군, 미리 설정된 개수의 우유군과 과일군으로 구성(또는 포함)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류군에는 밥, 빵, 국수, 고구마, 감자, 도토리묵, 옥수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육류군에는 쇠고기, 돼지고기 등의 육류, 닭고기, 오리고기 등의 가금류, 계란, 메추리알 등의 난류, 생선류, 콩, 두부, 연두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소군에는 시금치, 콩나물, 호박, 버섯 같은 채소류와 김, 미역,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군에는 참기름, 식용유, 들기름, 버터, 마요네즈 같은 기름류와 땅콩, 호두, 잣 등과 같은 견과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유군은 우유, 두유, 저지방우유, 요구르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일군은 사과, 배, 포도, 수박, 토마토, 감, 대추, 참외, 바나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소군의 개수는 상기 수신된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우유군 및 과일군의 개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상태(예를 들어 1개로 미리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도록 상기 식품교환표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해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어육류군, 지방군, 채소군 등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식품군 후보(또는 복수의 식품군 개수의 조합)를 생성(또는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식품교환표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해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는 곡류군, 우유군과 과일군, 어육류군, 지방군, 채소군 등의 순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식품교환표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해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는 설계자의 설계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곡류군의 개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곡류군의 개수는 특정 값 또는 특정 범위로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곡류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미리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1개)의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한 탄수화물의 열량을 함께 고려하여,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곡류군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곡류군의 개수, 우유군의 개수 및 과일군의 개수가 적용된 제 1 임시 칼로리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서 상기 산출된 제 1 임시 칼로리를 감산하여 제 1 남은 칼로리 범위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1 남은 칼로리 범위를 근거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어육류군의 개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어육류군의 개수는 특정 값 또는 특정 범위로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적용된 곡류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서 사용한 단백질의 양(또는 중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곡류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서 사용한 단백질의 양에 단백질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단백질 용량화 계수(예를 들어 4)를 곱하여 상기 적용된 곡류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서 사용한 단백질에 대응하는 칼로리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에서 상기 산출된 곡류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서 사용한 단백질에 대응하는 칼로리를 감산하여,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 중에서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칼로리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산출된 값이 음수인 경우, 최솟값인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칼로리를 상기 단백질 용량화 계수(예를 들어 4)로 나누어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양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양을 상기 [표 7]의 미리 설정된 어육류군의 단백질 기준 계수(예를 들어 8)로 나누어 어육류군에 대한 크기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어육류군에 대한 크기에서 최솟값은 올림 처리하고, 최댓값은 내림 처리하여 어육류군의 개수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곡류군의 개수, 우유군의 개수, 과일군의 개수 및 어육류군의 개수가 적용된 제 2 임시 칼로리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2 임시 칼로리가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의 최솟값의 미리 설정된 기준값(예를 들어 75%)보다 이하인 경우, 상기 산출된 어육류군의 개수에 대응하는 어육류군의 조합을 삭제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2 임시 칼로리가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의 최솟값의 미리 설정된 기준값(예를 들어 75%)보다 큰 해당 어육류군의 개수에 대응하는 어육류군의 조합만을 사용(또는 관리/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서 상기 산출된 제 2 임시 칼로리를 감산하여 제 2 남은 칼로리 범위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2 남은 칼로리 범위를 근거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지방군의 개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지방군의 개수는 특정 값 또는 특정 범위로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적용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및 어육류군에서 사용한 지방의 양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및 어육류군에서 사용한 지방의 양에 지방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지방 용량화 계수(예를 들어 9)를 곱하여 상기 적용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및 어육류군에서 사용한 지방에 대응하는 칼로리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에서 상기 산출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및 어육류군에서 사용한 지방에 대응하는 칼로리를 감산하여,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 중에서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칼로리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산출되는 값이 음수인 경우, 최솟값인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칼로리를 상기 지방 용량화 계수(예를 들어 9)로 나누어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양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양을 상기 [표 7]의 미리 설정된 지방군의 지방 기준 계수(예를 들어 5)로 나누어 지방군에 대한 크기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지방군에 대한 크기에서 최솟값은 올림 처리하고, 최댓값은 내림 처리하여 지방군의 개수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수신된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채소군의 개수를 산출(또는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어육류군의 개수, 상기 지방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채소군의 개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하루 권장량(예를 들어 1,045kcal ~ 1,470kcal)을 만족하도록 상기 식품교환표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해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곡류군의 개수를 먼저 산출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하루 권장량(예를 들어 1,045kcal ~ 1,470kcal) 및 상기 [표 7]에서의 곡류군에 대한 열량(예를 들어 100kcal)을 근거로 상기 곡류군의 개수인 11개 ~ 14개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하루 권장량(예를 들어 1,045kcal ~ 1,470kcal)을 상기 표 7]에서의 곡류군에 대한 열량(예를 들어 100kcal)으로 나누어 10.45 ~ 14.7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값(10.45 ~ 14.7)에서 최솟값은 올림 처리하고 최댓값은 내리 처리하여 상기 곡류군의 개수(예를 들어 11개 ~ 14개)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미리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1개)의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한 탄수화물의 열량을 함께 고려하여,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곡류군의 개수(예를 들어 11개 ~ 14개)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곡류군의 개수(예를 들어 11개), 우유군의 개수(예를 들어 1개) 및 과일군의 개수(예를 들어 1개)가 적용된 제 101 임시 칼로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곡류군의 개수(예를 들어 12개), 우유군의 개수(예를 들어 1개) 및 과일군의 개수(예를 들어 1개)가 적용된 제 102 임시 칼로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곡류군의 개수(예를 들어 13개), 우유군의 개수(예를 들어 1개) 및 과일군의 개수(예를 들어 1개)가 적용된 제 103 임시 칼로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곡류군의 개수(예를 들어 14개), 우유군의 개수(예를 들어 1개) 및 과일군의 개수(예를 들어 1개)가 적용된 제 104 임시 칼로리를 산출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다음의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산출된 곡류군의 개수(예를 들어 11개 ~ 14개), 1개의 우유군 및 1개의 과일군에 따른 제 101 임시 칼로리 내지 제 104 임시 칼로리를 각각 산출한다.
구 분 칼로리 (kcal) 탄수화물 (g) 단백질 (g) 지 방 (g)
곡류군 (11개) 11*100 11*23 11*2 -
우유군 (1개) 1*125 1*10 1*6 1*7
과일군 (1개) 1*50 1*12 - -
합 계 1,275 275 28 7
곡류군 (12개) 12*100 12*23 12*2 -
우유군 (1개) 1*125 1*10 1*6 1*7
과일군 (1개) 1*50 1*12 - -
합 계 1,375 298 30 7
곡류군 (13개) 13*100 13*23 13*2 -
우유군 (1개) 1*125 1*10 1*6 1*7
과일군 (1개) 1*50 1*12 - -
합 계 1,475 321 32 7
곡류군 (14개) 14*100 14*23 14*2 -
우유군 (1개) 1*125 1*10 1*6 1*7
과일군 (1개) 1*50 1*12 - -
합 계 1,575 344 34 7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예를 들어 1,900kcal ~ 2,100kcal)에서 상기 산출된 제 101 임시 칼로리 내지 제 104 임시 칼로리(예를 들어 1,275kcal, 1,375kcal, 1,475kcal 및 1,575kcal)를 각각 감산하여 제 101 남은 칼로리 범위 내지 제 104 남은 칼로리 범위(예를 들어 625kcal ~ 825kcal, 525kcal ~ 725kcal, 425kcal ~ 625kcal 및 325kcal ~ 525kcal)를 각각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101 남은 칼로리 범위 내지 제 104 남은 칼로리 범위를 근거로 상기 산출된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예를 들어 133kcal ~ 525kcal)을 만족하는 어육류군의 개수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어육류군은 어육저지방(또는 어육류군 저지방), 어육중지방(또는 어육류군 중지방) 및 어육고지방(또는 어육류군 고지방)에 따라서 재조합(또는 선택)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01 남은 칼로리 범위(예를 들어 625kcal ~ 825kcal)와 관련하여 적용된 11개의 곡류군과 1개의 우유군과 1개의 과일군에서 사용된 제 1 단백질 양(예를 들어 28g)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11개의 곡류군과 1개의 우유군과 1개의 과일군에서 사용된 제 1 단백질 양(예를 들어 28g)에 미리 설정된 단백질 용량화 계수(예를 들어 4)를 곱하여 상기 적용된 11개의 곡류군과 1개의 우유군과 1개의 과일군에서 사용한 단백질에 대응하는 칼로리(예를 들어 28 * 4 = 112kcal)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예를 들어 133kcal ~ 525kcal)에서 상기 산출된 11개의 곡류군과 1개의 우유군과 1개의 과일군에서 사용한 단백질에 대응하는 칼로리(예를 들어 112kcal)를 감산하여, 상기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에서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칼로리(예를 들어 21kcal ~ 413kcal)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칼로리(예를 들어 21kcal ~ 413kcal)를 상기 단백질 용량화 계수(예를 들어 4)로 나누어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양(예를 들어 5.25g ~ 103.25g)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양(예를 들어 5.25g ~ 103.25g)을 상기 [표 7]의 미리 설정된 어육류군의 단백질 기준 계수(예를 들어 8)로 나누어 어육류군에 대한 크기(예를 들어 0.65 ~ 12.9)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어육류군에 대한 크기에서 최솟값은 올림 처리하고, 최댓값은 내림 처리하여 어육류군의 개수(예를 들어 1개 ~ 12개)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02 남은 칼로리 범위 내지 제 104 남은 칼로리 범위에 대해서도 어육류군의 개수를 산출하기 위한 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어육류군의 개수(예를 들어 상기 제 102 남은 칼로리 범위에 대응하여 1개 ~ 12개, 상기 제 103 남은 칼로리 범위에 대응하여 1개 ~ 12개 및 상기 제 104 남은 칼로리 범위에 대응하여 0개 ~ 12개)를 각각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곡류군의 개수(예를 들어 11개 ~ 14개), 우유군의 개수(예를 들어 1개) 및 과일군의 개수(예를 들어 1개)에 상기 산출된 어육류군의 개수(예를 들어 0개 ~ 12개)가 각각 적용된 복수의 다른 임시 칼로리를 각각 산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0)는 다음의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산출된 곡류군의 개수(예를 들어 11개), 우유군의 개수(예를 들어 1개), 과일군의 개수(예를 들어 1개) 및 어육류군의 개수(예를 들어 1개, 2개, 3개 등 포함)에 따른 제 201 임시 칼로리 내지 제 209 임시 칼로리를 각각 산출한다.
구 분 칼로리 (kcal) 탄수화물 (g) 단백질 (g) 지 방 (g)
곡류군 (11개) 11*100 11*23 11*2 -
우유군 (1개) 1*125 1*10 1*6 1*7
과일군 (1개) 1*50 1*12 - -
어육류군 (저지방 1개) 1*50
(합계: 1325)

(합계: 275)
1*8
(합계: 36)
1*2
(합계: 9)
어육류군 (중지방 1개) 1*75
(합계: 1350)

(합계: 275)
1*8
(합계: 36)
1*5
(합계: 12)
어육류군 (저지방 1개, 중지방 1개) 1*50 + 1*75
(합계: 1400)

(합계: 275)
1*8 + 1*8
(합계: 44)
1*2 + 1*5
(합계: 14)
어육류군 (저지방 2개) 2*50
(합계: 1375)

(합계: 275)
2*8
(합계: 44)
2*2
(합계: 11)
어육류군 (중지방 2개) 2*75
(합계: 1425)

(합계: 275)
2*8
(합계: 44)
2*5
(합계: 17)
어육류군 (저지방 1개, 중지방 2개) 1*50 + 2*75
(합계: 1475)

(합계: 275)
1*8 + 2*8
(합계: 52)
1*2 + 2*5
(합계: 19)
어육류군 (저지방 2개, 중지방 1개) 2*50 + 1*75
(합계: 1450)

(합계: 275)
2*8 + 1*8
(합계: 52)
2*2 + 1*5
(합계: 16)
어육류군 (저지방 3개) 3*50
(합계: 1425)

(합계: 275)
3*8
(합계: 52)
3*5
(합계: 22)
어육류군 (중지방 3개) 3*75
(합계: 1500)

(합계: 275)
3*8
(합계: 52)
3*5
(합계: 22)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의 최솟값(예를 들어 1,900kcal)의 미리 설정된 기준값(예를 들어 75%)에 해당하는 값인 1,425kcal보다 이하인 제 201 임시 칼로리(예를 들어 저지방 어육류군 1개가 적용된 1,325kcal), 제 202 임시 칼로리(예를 들어 중지방 어육류군 1개가 적용된 1,350kcal), 제 203 임시 칼로리(예를 들어 저지방 어육류군 1개와 중지방 어육류군 1개가 적용된 1,400kcal), 제 204 임시 칼로리(예를 들어 저지방 어육류군 2개가 적용된 1,375kcal), 제 205 임시 칼로리(예를 들어 중지방 어육류군 2개가 적용된 1,425kcal) 및 제 208 임시 칼로리(예를 들어 저지방 어육류군 3개가 적용된 1,425kcal)의 조합을 삭제하고, 상기 값인 1,425kcal보다 큰 제 206 임시 칼로리(예를 들어 저지방 어육류군 1개와 중지방 어육류군 2개가 적용된 1,475kcal)와 제 207 임시 칼로리(예를 들어 저지방 어육류군 2개와 중지방 어육류군 1개가 적용된 1,450kcal)와 제 209 임시 칼로리(예를 들어 중지방 어육류군 3개가 적용된 1,500kcal)의 조합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제 201 임시 칼로리 내지 제 209 임시 칼로리에는 11개의 곡류군, 1개의 우유군 및 1개의 과일군에 대응하는 칼로리와 해당 어육류군의 개수에 대응하는 칼로리가 적용(또는 포함)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예를 들어 1,900kcal ~ 2,100kcal)에서 상기 산출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및 어육류군의 조합에 따른 복수의 다른 임시 칼로리를 감산하여 복수의 다른 남은 칼로리 범위를 각각 산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예를 들어 1,900kcal ~ 2,100kcal)에서 상기 산출된 제 206 임시 칼로리(예를 들어 저지방 어육류군 1개와 중지방 어육류군 2개가 적용된 1,475kcal)와 제 207 임시 칼로리(예를 들어 저지방 어육류군 2개와 중지방 어육류군 1개가 적용된 1,450kcal)와 제 209 임시 칼로리(예를 들어 중지방 어육류군 3개가 적용된 1,500kcal)를 각각 감산하여 제 206 남은 칼로리 범위(예를 들어 425kcal ~ 625kcal), 제 207 남은 칼로리 범위(예를 들어 450kcal ~ 650kcal) 및 제 209 남은 칼로리 범위(예를 들어 400kcal ~ 600kcal)를 각각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 201 임시 칼로리 내지 제 209 임시 칼로리에는 11개의 곡류군, 1개의 우유군 및 1개의 과일군에 대응하는 칼로리와 해당 어육류군의 개수에 대응하는 칼로리가 적용(또는 포함)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206 남은 칼로리 범위, 제 207 남은 칼로리 범위 및 제 209 남은 칼로리 범위를 근거로 상기 산출된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예를 들어 285kcal ~ 525kcal)을 만족하는 지방군의 개수를 산출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206 남은 칼로리 범위와 관련하여 적용된 11개의 곡류군과 1개의 우유군과 1개의 과일군과 저지방 어육류군 1개와 중지방 어육류군 2개에서 사용된 제 1 지방 양(예를 들어 1*2 + 2*5 = 19g)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 1 지방 양(예를 들어 19g)을 미리 설정된 지방 용량화 계수(예를 들어 9)를 곱하여 상기 적용된 11개의 곡류군과 1개의 우유군과 1개의 과일군과 저지방 어육류군 1개와 중지방 어육류군 2개에서 사용한 지방에 대응하는 칼로리(예를 들어 19 * 9 = 171kcal)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예를 들어 285kcal ~ 525kcal)에서 상기 산출된 11개의 곡류군과 1개의 우유군과 1개의 과일군과 저지방 어육류군 1개와 중지방 어육류군 2개에서 사용한 지방에 대응하는 칼로리(예를 들어 171kcal)를 감산하여, 상기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에서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칼로리(예를 들어 114kcal ~ 354kcal)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칼로리(예를 들어 114kcal ~ 354kcal)를 상기 지방 용량화 계수(예를 들어 9)로 나누어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양(예를 들어 12.67g ~ 39.33g)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양(예를 들어 12.67g ~ 39.33g)을 상기 [표 7]의 미리 설정된 어육류군의 지방 기준 계수(예를 들어 저지방 2, 중지방 5, 고지방 8 등 포함)로 나누어 지방군에 대한 크기(예를 들어 2.53 ~ 7.86)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어육류군에 저지방, 중지방 및 고지방 중 2개 이상의 지방 종류가 혼합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혼합 상태의 지방 종류 중에서 어육류군의 지방 기준 계수가 높은 계수(또는 낮은 계수)를 적용(또는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지방군에 대한 크기에서 최솟값은 올림 처리하고, 최댓값은 내림 처리하여 지방군의 개수(예를 들어 3개 ~ 7개)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0)는 다음의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11개의 곡류군과 1개의 우유군과 1개의 과일군과 1개의 저지방 어육류군과 1개의 중지방 어육류군과 3개 내지 7개의 지방군이 적용된 식품군 조합을 생성(또는 산출)한다.
구 분 칼로리 (kcal) 탄수화물 (g) 단백질 (g) 지 방 (g)
곡류군 (11개) 11*100 11*23 11*2 -
우유군 (1개) 1*125 1*10 1*6 1*7
과일군 (1개) 1*50 1*12 - -
어육류군 (저지방 1개, 중지방 2개) 1*50 + 2*75 - 1*8 + 2*8 1*2 + 2*5
지방군 (3개) 3*45
(합계: 1610)

(합계: 275)

(합계: 52)
3*5
(합계: 34)
지방군 (4개) 4*45
(합계: 1655)

(합계: 275)

(합계: 52)
4*5
(합계: 39)
지방군 (5개) 5*45
(합계: 1700)

(합계: 275)

(합계: 52)
5*5
(합계: 44)
지방군 (6개) 6*45
(합계: 1745)

(합계: 275)

(합계: 52)
6*5
(합계: 49)
지방군 (7개) 7*45
(합계: 1790)

(합계: 275)

(합계: 52)
7*5
(합계: 54)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207 남은 칼로리 범위 및 상기 제 209 남은 칼로리 범위에 대해서도 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지방군의 개수(예를 들어 상기 제 207 남은 칼로리 범위에 대응하여 4개 ~ 8개 및 상기 제 209 남은 칼로리 범위에 대응하여 2개 ~ 7개)를 각각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곡류군의 개수(예를 들어 11개 ~ 14개) 및 어육류군의 개수(예를 들어 0개 ~ 12개)에 대해서 지방군의 개수를 산출하기 위한 이와 같은 과정들을 반복 수행하여, 각 곡류군의 개수 및 어육류군의 개수에 따른 지방군의 개수를 각각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수신된 제 1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예를 들어 끼니별 3찬, 하루 9찬)를 근거로 상기 채소군의 개수(예를 들어 9개)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0)는 다음의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1개의 곡류군과 1개의 우유군과 1개의 과일군과 1개의 저지방 어육류군과 1개의 중지방 어육류군과 3개 내지 7개의 지방군과 9개의 채소군이 적용된 식품군 조합을 산출한다.
구 분 칼로리 (kcal) 탄수화물 (kcal) 단백질 (kcal) 지 방 (kcal)
곡류군 (11개) 11*100 11*23*4 11*2*4 -
우유군 (1개) 1*125 1*10*4 1*6*4 1*7*9
과일군 (1개) 1*50 1*12*4 - -
어육류군 (저지방 1개, 중지방 2개) 1*50 + 2*75 - (1*8 + 2*8)*4 (1*2+2*5)*9
채소군 (9개) 9*20 9*3*4 9*2*4 -
지방군 (3개) 3*45
(합계: 1790)

(합계: 1208)

(합계: 280)
3*5*9
(합계: 306)
지방군 (4개) 4*45
(합계: 1835)

(합계: 1208)

(합계: 280)
4*5*9
(합계: 351)
지방군 (5개) 5*45
(합계: 1880)

(합계: 1208)

(합계: 280)
5*5*9
(합계: 396)
지방군 (6개) 6*45
(합계: 1925)

(합계: 1208)

(합계: 280)
6*5*9
(합계: 441)
지방군 (7개) 7*45
(합계: 1970)

(합계: 1208)

(합계: 280)
7*5*9
(합계: 486)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이와 같이 산출되는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어육류군, 지방군 및 채소군의 조합 중에서 상기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예를 들어 1,900kcal ~ 2,100kcal), 상기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하루 권장량(예를 들어 1,045kcal ~ 1,470kcal), 상기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예를 들어 133kcal ~ 525kcal), 상기 제 1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예를 들어 285kcal ~ 525kcal)을 모두 만족하는 제 1 식품군 후보(예를 들어 11개의 곡류군, 1개의 우유군, 1개의 과일군, 1개의 저지방 어육류군, 2개의 중지방 어육류군, 9개의 채소군 및 6개의 지방군), 제 2 식품군 후보(예를 들어 11개의 곡류군, 1개의 우유군, 1개의 과일군, 1개의 저지방 어육류군, 2개의 중지방 어육류군, 9개의 채소군 및 7개의 지방군)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식품군 후보(또는 복수의 식품군 개수의 조합)를 생성(또는 산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산출되는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어육류군, 지방군 및 채소군의 복수의 조합 중에서 특정 조합에 따른 총 하루 필요 칼로리, 해당 조합에 따른 하루 필요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각각의 권장량 등이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권장량,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권장량,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권장량 등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해당 산출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어육류군, 지방군 및 채소군의 특정 조합을 삭제한다(또는 버린다).
또한, 상기 산출되는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어육류군, 지방군 및 채소군의 복수의 조합 중에서 특정 조합에 따른 총 하루 필요 칼로리, 해당 조합에 따른 하루 필요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각각의 권장량 등이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권장량,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권장량,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권장량 등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해당 특정 조합을 식품군 후보(또는 식품군 개수의 조합)로 생성(또는 산출/선정)한다.
또한, 상기 산출되는 복수의 조합 중에서 상기 조건들(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권장량,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권장량,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권장량 등 포함)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또는 복수의) 조합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또는 복수의) 식품군 후보(또는 복수의 식품군 개수의 조합)를 생성(또는 산출)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는 우선 순위에 따라 특정 값 또는 특정 범위를 갖는 곡류군, 어육류군, 지방군, 채소군, 우유군 및 과일군을 조합하여, 복수의 식품군 후보(또는 복수의 식품군 개수의 조합)를 생성(또는 산출)한다(S240).
이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생성된(또는 산출된) 복수의 식품군 후보(또는 복수의 식품군 개수의 조합)를 상기 표시부(130) 및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복수의 식품군 후보(예를 들어 상기 제 1 식품군 후보, 제 2 식품군 후보 등 포함)(500)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S250).
이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복수의 식품군 후보(또는 복수의 식품군 개수의 조합)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를 근거로 식단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식단 선택 화면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식단 선택 화면은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에 포함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어육류군, 채소군 및 지방군의 개수에 대응하는 각각의 식품군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단 선택 화면에 포함된 간식 항목에는 우유군 및 과일군 중 어느 하나의 식품군만 선택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도 5의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복수의 식품군 후보(예를 들어 상기 제 1 식품군 후보, 제 2 식품군 후보 등 포함)(500) 중에서 상기 제 1 식품군 후보(510)가 선택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제 1 식품군 후보(510)에 대응하는 제 1 식단 선택 화면(600)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S260).
이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식단 선택 화면에 포함된 아침, 간식 1, 점심, 간식 2, 저녁, 간식 3의 식단 항목에서,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터치/입력)에 따라 복수의 식품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식품군의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식품군에 대응하는 복수의 음식 정보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수신된 알레르기 정보,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사용자와 관련한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음식 정보,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대응하는 음식 정보 등이 제외된 상태의 상기 복수의 음식 정보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 6에 도시된 제 1 식단 선택 화면(600) 중에서 아침 식단 항목과 곡류군 항목이 교차하는 아침 식단-곡류군 항목이 선택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는 팝업 형태로 상기 곡류군에 대응하는(또는 상기 곡류군에 포함된) 복수의 음식 정보(예를 들어 잡곡밥, 현미밥, 흰쌀밥, 빵, 국수, 고구마, 감자, 도토리묵, 옥수수 등 포함)(700)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S270).
이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복수의 음식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식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식단 항목 및 식품군 항목(또는 상기 선택된 식단-식품군이 교차하는 영역)에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식 정보를 설정(또는 배치/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식단 항목 및 식품군 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식단 항목 및 식품군 항목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음식 정보 중에서 특정 음식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식품을 상기 선택된 식단 항목 및 식품군 항목에 대응하는 음식 정보로 설정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에 포함된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해서 각각 설정된 개수만큼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을 특정 식단 항목(예를 들어 아침 항목, 간식1 항목, 점심 항목, 간식2 항목, 저녁 항목, 간식3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각각 설정한다.
또한,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에 대해서 설정된 개수만큼의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한 설정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식단 항목별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식단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식단 정보는 상기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 해당 식품군 후보에 따른 총 칼로리(또는 하루 필요 칼로리/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 총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의 양, 총 칼로리에 대한 단백질의 양, 총 칼로리에 대한 지방의 양, 복수의 식단 항목별로 설정되는 식품군 정보(또는 해당 식품군에 대응하는 요리 정보/음식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생성된 식단 정보를 상기 표시부(13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생성된 식단 정보,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통신부(110)에 의해 서버(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식단 정보,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단 정보,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저장(또는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복수의 식단 항목별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도 6에 도시된 제 1 식품군 후보에 포함된 11개의 곡류군, 1개의 우유군, 1개의 과일군, 1개의 저지방 어육류군, 2개의 중지방 어육류군, 9개의 채소군 및 6개의 지방군에 대한 설정이 완료될 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식품군 후보에 대한 설정 정보를 근거로 제 1 식단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생성된 제 1 식단 정보(800)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식단 정보(800)는 상기 제 1 식품군 후보, 상기 제 1 식품군 후보에 따른 총 칼로리(예를 들어 1,925kcal), 상기 총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의 양(예를 들어 302g), 상기 총 칼로리에 대한 단백질의 양(예를 들어 52g), 상기 총 칼로리에 대한 지방의 양(예를 들어 49g), 복수의 식단 항목별로 설정되는 식품군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식단 항목별로 설정되는 식품군 정보는 아침 항목에 대해서 잡곡밥 2/3 공기, 미역국, 버섯볶음, 시금치나물, 기름 5g 등을 포함하고, 간식 1 항목에 대해서 저지방 우유 200ml 등을 포함하고, 점심 항목에 대해서 잡곡밥 1 공기, 옥수수 1개, 고등어 조림, 콩나물국, 호박나물, 상추쌈, 기름 15g 등을 포함하고, 간식2 항목에 대해서 사과 1/3개 등을 포함하고, 저녁 항목에 대해서 잡곡밥 1공기, 감자 1개, 두부지짐, 닭양념구이, 아욱국, 오이볶음, 배추김치, 기름 10g 등을 포함한다(S28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개인의 상태에 따라 하루 필요한 총 칼로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권장량을 고려하여 곡류군, 어육류군, 지방군, 채소군, 우유군 및 과일군으로 구성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복수의 식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식단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최종 식단으로 실제 개인의 식단을 관리하여,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식습관을 제공하며 환자의 신체 리듬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모든 영양 관리를 원재료 중심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복수의 원재료 중 어느 하나의 원재료를 선택함에 따라 식단을 관리하여, 누구나 손쉽게 영양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환자의 질환, 식습관, 음식 선호 식품 등에 따라 자동으로 식품군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른 식품군을 배열하여, 환자의 식습관을 기준으로 종합 영양 관리가 가능하고, 식품군을 영양 배분에 따라 변화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개인의 상태에 따라 하루 필요한 총 칼로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권장량을 고려하여 곡류군, 어육류군, 지방군, 채소군, 우유군 및 과일군으로 구성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복수의 식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식단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최종 식단으로 실제 개인의 식단을 관리함으로써, 환자의 식습관을 기준으로 종합 영양 관리가 가능하고, 식품군을 영양 배분에 따라 변화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식단 관리 분야, 환자 관련 분야, 단말 분야, 서버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0: 식단 제공 단말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표시부
140: 음성 출력부 150: 제어부

Claims (11)

  1.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해, 표시부에 표시되는 사전 정보 등록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개인 정보, 질병 정보, 알레르기 정보,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 및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수신된 개인 정보, 질병 정보 및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와 관련한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에 미리 설정된 값을 가감한 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상기 사용자의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수신된 질병 정보 및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를 근거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상기 식품교환표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해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각각 하나 이상의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어육류군, 지방군 및 채소군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식품군 후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식품군 후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곡류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곡류군의 개수, 미리 설정된 우유군의 개수 및 미리 설정된 과일군의 개수가 적용된 제 1 임시 칼로리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서 상기 산출된 제 1 임시 칼로리를 감산하여 제 1 남은 칼로리 범위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제 1 남은 칼로리 범위를 근거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어육류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곡류군의 개수, 우유군의 개수, 과일군의 개수 및 어육류군의 개수가 적용된 제 2 임시 칼로리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제 2 임시 칼로리가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의 최솟값의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클 때, 상기 산출된 어육류군의 개수에 대응하는 어육류군의 조합을 유지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서 상기 산출된 제 2 임시 칼로리를 감산하여 제 2 남은 칼로리 범위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제 2 남은 칼로리 범위를 근거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지방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채소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산출되는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어육류군, 지방군 및 채소군의 복수의 조합 중에서 특정 조합에 따른 총 하루 필요 칼로리, 해당 조합에 따른 하루 필요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각각의 권장량이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에 각각 모두 포함될 때, 상기 특정 조합을 상기 복수의 식품군 후보에 포함시켜 상기 복수의 식품군 후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복수의 식품군 후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식품군 후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가 선택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를 근거로 식단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식단 선택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식단 선택 화면에 포함된 아침, 간식 1, 점심, 간식 2, 저녁, 간식 3의 식단 항목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복수의 식품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식품군의 선택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식품군에 대응하는 복수의 음식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음식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식 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식단 항목 및 식품군 항목에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식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식단 항목에서 식품군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식단 항목 및 식품군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음식 정보 중에서 특정 음식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특정 음식 정보를 상기 선택된 식단 항목에 대응하는 음식 정보로 설정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에 포함된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해서 각각 설정된 개수만큼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을 식단 항목별로 각각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에 대해서 설정된 개수만큼의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한 설정이 완료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식단 항목별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식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부에 의해, 상기 생성된 식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식 정보는,
    상기 알레르기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알레르기 정보에 대응하여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음식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식 정보가 제외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단 정보는,
    상기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 상기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에 따른 총 칼로리, 상기 총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의 양, 상기 총 칼로리에 대한 단백질의 양, 상기 총 칼로리에 대한 지방의 양 및 복수의 식단 항목별로 설정되는 식품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관련한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표준 체중과 활동량에 따라 미리 설정된 계수값을 곱하여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일반인일 때,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미리 설정된 제 1 계수인 55% ~ 70%를 곱한 값을 포함하는 제 1 범위를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하루 권장량으로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미리 설정된 제 2 계수인 7% ~ 25%를 곱한 값을 포함하는 제 2 범위를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으로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미리 설정된 제 3 계수인 15% ~ 25%를 곱한 값을 포함하는 제 3 범위를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으로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어육류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은,
    적용된 곡류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서 사용한 단백질의 양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곡류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서 사용한 단백질의 양에 단백질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단백질 용량화 계수를 곱하여 상기 적용된 곡류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서 사용한 단백질에 대응하는 칼로리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에서 상기 산출된 곡류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서 사용한 단백질에 대응하는 칼로리를 감산하여,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 중에서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칼로리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칼로리를 상기 단백질 용량화 계수로 나누어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양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단백질의 양을 미리 설정된 어육류군의 단백질 기준 계수로 나누어 어육류군에 대한 크기를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산출된 어육류군에 대한 크기에서 최솟값은 올림 처리하고, 최댓값은 내림 처리하여 상기 어육류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지방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은,
    적용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및 어육류군에서 사용한 지방의 양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및 어육류군에서 사용한 지방의 양에 지방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지방 용량화 계수를 곱하여 상기 적용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및 어육류군에서 사용한 지방에 대응하는 칼로리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에서 상기 산출된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및 어육류군에서 사용한 지방에 대응하는 칼로리를 감산하여, 상기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 중에서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칼로리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칼로리를 상기 지방 용량화 계수로 나누어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양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사용 가능한 남은 지방의 양을 미리 설정된 지방군의 지방 기준 계수로 나누어 지방군에 대한 크기를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산출된 지방군에 대한 크기에서 최솟값은 올림 처리하고, 최댓값은 내림 처리하여 상기 지방군의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방법.
  10.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에 있어서,
    식품군 추천을 위한 사전 정보 등록을 위한 사전 정보 등록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사전 정보 등록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개인 정보, 질병 정보, 알레르기 정보,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 및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 정보, 질병 정보 및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와 관련한 하루 필요 칼로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에 미리 설정된 값을 가감한 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상기 사용자의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로 산출하고, 상기 수신된 질병 정보 및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를 근거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상기 식품교환표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해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각각 하나 이상의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어육류군, 지방군 및 채소군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식품군 후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곡류군의 개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곡류군의 개수, 미리 설정된 우유군의 개수 및 미리 설정된 과일군의 개수가 적용된 제 1 임시 칼로리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서 상기 산출된 제 1 임시 칼로리를 감산하여 제 1 남은 칼로리 범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 1 남은 칼로리 범위를 근거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단백질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어육류군의 개수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곡류군의 개수, 우유군의 개수, 과일군의 개수 및 어육류군의 개수가 적용된 제 2 임시 칼로리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제 2 임시 칼로리가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의 최솟값의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클 때, 상기 산출된 어육류군의 개수에 대응하는 어육류군의 조합을 유지하고,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서 상기 산출된 제 2 임시 칼로리를 감산하여 제 2 남은 칼로리 범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제 2 남은 칼로리 범위를 근거로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지방의 하루 권장량을 만족하는 지방군의 개수를 산출하고, 상기 수신된 끼니별 반찬 개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채소군의 개수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되는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어육류군, 지방군 및 채소군의 복수의 조합 중에서 특정 조합에 따른 총 하루 필요 칼로리, 해당 조합에 따른 하루 필요 칼로리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각각의 권장량이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 상기 산출된 하루 필요 칼로리 범위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하루 권장량에 각각 모두 포함될 때, 상기 특정 조합을 상기 복수의 식품군 후보에 포함시켜 상기 복수의 식품군 후보를 생성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되는 복수의 식품군 후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가 선택될 때,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를 근거로 식단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식단 선택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식단 선택 화면에 포함된 아침, 간식 1, 점심, 간식 2, 저녁, 간식 3의 식단 항목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복수의 식품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식품군의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식품군에 대응하는 복수의 음식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음식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식 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식단 항목 및 식품군 항목에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식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식단 항목에서 식품군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식단 항목 및 식품군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음식 정보 중에서 특정 음식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특정 음식 정보를 상기 선택된 식단 항목에 대응하는 음식 정보로 설정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에 포함된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해서 각각 설정된 개수만큼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을 식단 항목별로 각각 설정하고,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품군 후보에 대해서 설정된 개수만큼의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한 설정이 완료될 때 식단 항목별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및 과일군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식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식단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
KR1020170029928A 2017-03-09 2017-03-09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 및 그 방법 KR102003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928A KR102003900B1 (ko) 2017-03-09 2017-03-09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928A KR102003900B1 (ko) 2017-03-09 2017-03-09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210A KR20180104210A (ko) 2018-09-20
KR102003900B1 true KR102003900B1 (ko) 2019-07-26

Family

ID=6371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928A KR102003900B1 (ko) 2017-03-09 2017-03-09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9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493B1 (ko) 2018-10-31 2021-10-08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식단케어 서비스 방법
KR102161774B1 (ko) * 2019-02-11 2020-10-05 (주)샐리쿡 영양소 조합비율을 통한 맞춤형 식단 조절 시스템을 이용한 맞춤형 식단 조절 방법
KR102119846B1 (ko) * 2019-05-28 2020-06-05 정수봉 체중 조절용 식이 패키지 제품
KR20210109912A (ko) 2020-02-28 2021-09-07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아청소년을 위한 개인 맞춤 식단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인 맞춤 식단 제공 방법
CN111445981A (zh) * 2020-03-28 2020-07-24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癌症患者营养管理系统
KR102307836B1 (ko) * 2020-09-10 2021-10-01 주식회사 샐리쿡 암과 경도치매 대상 맞춤형 식단 계획장치
KR102551541B1 (ko) * 2020-11-05 2023-07-05 (유)토리앤쿡 음식 메뉴휠 생성장치
KR102474393B1 (ko) * 2022-07-06 2022-12-06 주식회사 헤링스 암환자를 위한 식단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008B1 (ko) * 2002-01-04 2007-08-13 윤경식 어육류 지방 함유량을 고려한 식단 자동생성/제공방법과그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50006704A (ko) * 2003-07-10 2005-01-17 (주) 아이리얼케어 식이요법을 지원하는 원격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64195B1 (ko) 2008-02-20 2010-06-21 조영남 식단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30102239A (ko) * 2012-03-07 2013-09-17 신양철 건강 식단정보 제공시스템
KR102157598B1 (ko) * 2014-04-29 2020-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210A (ko)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900B1 (ko) 식품교환표 기반의 식단 제공 단말 및 그 방법
Wang et al. Dietary guidelines for Chinese residents (2016): comments and comparisons
KR102221784B1 (ko) 개인 맞춤형 자동화 식단 제공방법
US2018003333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weight control by utilizing visual tracking of living factor(s)
CN110504019A (zh) 用户个性化饮食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arlson et al. The low-cost, moderate-cost, and liberal food plans, 2007
Cook et al. The diet of inmates: an analysis of a 28-day cycle menu used in a large county jail in the state of Georgia
US20210265036A1 (en) Recipe generation based on neural network
CN105225182A (zh) 一种饮食推荐方法及其装置
CN108053871A (zh) 智能化营养食谱搭配系统
CN107978357A (zh) 家庭营养食谱自动分析系统
US20210110910A1 (en) Nutrition methods
CN109243579A (zh) 熟食营养数据的处理方法、系统、存储介质及终端
CN105894101A (zh) 基于网络的互动预订餐系统
CN110459295A (zh) 一种健康饮食管理方法
CN106446523A (zh) 食物推荐方法及装置
CN110223759A (zh) 一种膳食管理系统及方法
CN101414326A (zh) 营养膳食管理系统及其全自动实现方法
KR20200054361A (ko) 개인별 맞춤형 밥짓기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57432A1 (en) Lactation-period recipe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system, apparatus and medium
KR101692299B1 (ko) 추천 저녁메뉴 제공방법 및 장치
Yu et al. Dairy foods are an important source of calcium and vitamin D among Canadian-born and Asian-born Chinese in Edmonton, Alberta
KR20180073779A (ko) 개인 맞춤형 자동화 식단 제공방법
JP2018010399A (ja) 食品情報提供システム、食品情報提供方法、及び食品情報提供プログラム
CN111863192A (zh) 用于推荐食谱的方法及装置、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