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779A - 개인 맞춤형 자동화 식단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맞춤형 자동화 식단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779A
KR20180073779A KR1020160176901A KR20160176901A KR20180073779A KR 20180073779 A KR20180073779 A KR 20180073779A KR 1020160176901 A KR1020160176901 A KR 1020160176901A KR 20160176901 A KR20160176901 A KR 20160176901A KR 20180073779 A KR20180073779 A KR 20180073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tandard daily
diet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민
강선아
김다솔
김병철
Original Assignee
박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민 filed Critical 박선민
Priority to KR1020160176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3779A/ko
Publication of KR20180073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7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involving significant data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의 성별, 나이, 체중, 신장, 대사성 질환 유무 및 유전적 특성에 따른 대사성 질환 위험군 정보, 알레르기 유무 및 알레르기 관련 특정 식자재에 대한 정보와 이용자가 선택한 식단의 접근성, 식사종류 등을 기초로 하여 추출된 개인 맞춤형 식단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는 전문서적을 참고하거나 전문가의 상담을 받기 위해 지불하여야 하는 과도한 시간과 비용의 소모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증진이나 질병개선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자동화 식단 제공방법{Automation Method for supplying customized menu}
본 발명은 개인 맞춤형 식단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자의 성별, 나이, 체중, 신장, 대사성 질환 유무 및 유전적 특성에 따른 대사성 질환 위험군 정보, 알레르기 유무 및 알레르기 관련 특정 식자재에 대한 정보와 이용자가 선택한 식단의 접근성, 식사종류 등을 기초로 하여 추출된 개인 맞춤형 식단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문화의 발달과 국제적인 교류의 증대로 인하여 급격한 식생활 변화, 불규칙한 식사 및 운동부족 등으로 비만, 각종 성인병 및 기타 만성 질환이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생활양식이나 환경의 변화에 맞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병원에서만 진행되는 건강관리가 아닌 일상생활에서 건강을 지키려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이에 가장 밀접한 식생활에도 매우 큰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식생활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빠르게 정착되는 것에 비해 그 정보는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건강 증진 및 질병 개선 등을 위하여 영양사, 임상영양사 및 의사 등의 관련 전문가에 의해서 제공되는 개인별 식단을 적용할 필요성이 계속 증가되고 있으나 이러한 전문가가 개인별 식단을 작성하여 주는 경우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받기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현재의 식단 추천 시스템이나 시중에 나와 있는 식단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은 대부분 개인의 몸 상태 혹은 질병여부를 떠나 다이어트나 건강 같은 목적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또한 여러 측면을 고려한 추천이 아닌 정해진 식단을 차례대로 출력함으로써 모든 사용자가 같은 식단을 제공받게 된다. 즉, 추천되는 식단이 정해져 있고, 사용자의 상황이 전혀 고려되고 있지 않아 개인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보건보지부령으로 2016년 6월에 병원이 아닌 회사에서도 특정 유전자 검사를 할 수 있도록 법령이 제정되었으며 그 중에서 특히 대사성 질환과 관련이 있는 유전자 검사 가능하게 되었음. 예를 들어 체질량지수 유전자 검사, 중성지방 농도 관련 유전자검사, 콜레스테롤 농도 관련 유전자검사, 혈당 관련 유전자검사, 혈압 관련 유전자검사 등이 가능하므로 이들 항목들에 관한 유전자를 검사하여 대사성 질환에 걸린 위험성을 예측하고 이것을 식단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 맞춤형 식단 제공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참고로,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521472호(추천 식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등이 있다.
본 발명자는 개인 맞춤형 식단 제공방법에 대한 개발을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이용자의 성별, 나이, 체중, 신장, 대사성질환 유무 및 유전적 검사에 따른 대사성질환에 대한 위험군 정보, 알레르기 유무 및 알레르기 관련 특정 식자재에 대한 정보와 이용자가 선택한 식단의 접근성, 식사종류 등을 기초로 하여 추출된 개인 맞춤형 식단 제공방법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 맞춤형 식단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통신하며 실시간으로 복수개의 개인맞춤형 식단 및 식단의 세부사항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된 컴퓨터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서버 및 상기 컴퓨터 서버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출력 수단과 상기 컴퓨터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만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 서버에서 전달받은 복수개의 식단 및 식단의 세부사항을 출력하는 이용자용 단말기에 의해 실시간으로 개인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며, 본 발명은 (1) 이용자의 성별, 나이, 체중, 신장, 대사성질환 유무 및 유전자 검사에 따른 대사성 질환 위험군 정보, 알레르기 유무 및 알레르기 관련 특정 식자재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2) 식단의 접근성을 선택하는 단계; (3) 식사종류, 주식, 국, 주반찬, 부반찬, 김치, 유제품 및 과일을 선택하는 단계; (4) 상기 (1) 내지 (3)단계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의 식단정보를 검색하여 복수개의 개인 맞춤형 식단을 추출하는 단계; (5) 상기 (4)단계에 의해 추출된 복수개의 식단을 제공하는 단계; (6) 상기 (5)단계에 의해 추출된 복수개의 식단 중에서 식단을 선택하는 단계; (7) 상기 (6)단계에 의해 선택된 식단이 이용자의 표준 일일 열량, 표준 일일 섭취 GI(glycemic index)계수 및 표준 일일 섭취 영양소에 부합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8) 상기 (7)단계에 의해 확인된 식단의 세부사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식사종류, 주식, 국, 주반찬, 부반찬, 김치, 유제품 및 과일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 식자재의 열량, GI계수 및 영양소 정보가 저장되고, 성별, 나이, 체중 및 신장별로 표준 체중의 통계, 표준 일일 섭취 열량, 표준 일일섭취 GI계수 및 표준 일일 섭취 영양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단의 접근성은 이용자에 의해 설정된 가격범위를 고려하여 고가, 중가, 저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1)단계 다음에 고가, 중가, 저가의 식단 가격범위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7)단계에서 이용자가 선택한 식단이 이용자의 표준 일일 열량, 표준 일일 섭취 GI계수 및 표준 일일 섭취 영양소에 부합하지 않으면, (2)단계 또는 (3)단계부터 다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식단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용자의 성별, 나이, 체중, 신장 정보뿐만 아니라 대사성 질환 유무 및 유전적 특성에 따른 대사성 질환 위험군 정보, 알레르기 유무 및 알레르기 관련 특정 식자재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개인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므로, 대사성 질환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당뇨병 환자 또는 당뇨 위험자인 경우 당뇨 위험식품을 배제한 식단의 제공이 가능하고, 알레르기 유발식품이나 개인의 기피 식품을 제외하고 식단을 구성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단계에서 대사성 질환 유무 및 유전적 특성에 따른 대사성 질환 위험군 정보는 이용자가 이에 대한 정보를 이미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 입력할 수 있고, 그러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가족의 병력을 입력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한편, 이용자의 대사성 질환 유무 및 유전적 특성은 머리카락이나 점액을 이용하여 체질량지수, 중성지방 농도, 콜레스테롤 농도, 혈당, 혈압 관련 유전자 검사를 하여 유전자 다형성을 (SNP) 검사하고, 이 정보를 토대로 한국인용 유전체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취약한 대사성 질환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전자 분석을 통해 얻어진 정보를 개인 맞춤형 식단 작성에 활용함으로써, 개인 맞춤형으로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단을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단계 다음에 식단의 접근성을 선택하기 위한 식단의 가격범위를 선택할 수 있고, 일예로 고가, 중가, 저가로 나누어 식단의 가격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2)단계에서 식단의 접근성은 식단의 가격범위에 의해 설정된 고가, 중가, 저가 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다른 예로 식단의 접근성을 1 내지 5단계로 나누어 더 세분화된 가격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3)단계에서 식사종류는 한식, 일품(덮밥, 볶음밥, 국밥, 탕 등), 면식, 빵식, 기타(간단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식, 중식, 양식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주식은 밥류가 흰밥, 잡곡밥, 콩밥, 볶음밥, 등을 포함하여 105가지 중에서, 국수 및 면류는 자장면, 수제비, 라면 등 66가지 중에서, 죽류는 단호박죽, 소고기죽, 닭죽 등 17가지 중에서, 빵류는 프랜치 토스트, 계란 샌드위치 등 56가지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선택된 주식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개인 맞춤형 식단정보에 따라 제시할 수 있는 국, 주반찬, 부반찬, 김치, 유제품 및 과일의 종류를 각각 선택 또는 일부를 선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국은 된장국, 쑥국 등 155가지 중에서, 탕은 국에 비해 고기나 생선 등의 주재료가 많은 경우를 탕으로 포함하여 40가지 중에서, 찌개는 국물이 적은 것으로 된장찌개, 김치찌개 등으로 88가지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주반찬은 육류, 어류, 두류, 난류 등을 포함하는 반찬으로 병어구이, 오징어 볶음, 두부부침 등으로 25가지 중에서, 부반찬은 야채위주의 반찬으로 조리방법을 다르게 한 314가지 중에서, 김치는 배추김치, 물김치, 깍두기, 갓김치, 오이소박이 등 10가지 이상 중에서, 유제품은 우유, 요구르트 등 20가지 중에서, 과일은 사과, 포도 등 30 가지 중에서 각각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복수 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4)단계 및 (5)단계에서 (1) 내지 (3)단계에서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식사종류, 주식, 국, 주반찬, 부반찬, 김치, 유제품 및 과일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 식자재의 열량, GI계수 및 영양소 정보가 저장되고, 성별, 나이, 체중 및 신장별로 표준 체중의 통계, 표준 일일 섭취 열량, 표준 일일섭취 GI계수 및 표준 일일 섭취 영양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식단정보를 조건검색하여 이용자에게 개인 맞춤형 식단을 복수개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7)단계에서 상기 (6)단계에 의해 이용자가 선택한 식단이 이용자의 표준 일일 열량, 표준 일일 섭취 GI계수 및 표준 일일 섭취 영양소에 부합되는지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이용자가 선택한 식단의 열량, GI계수 및 영양소가 (1) 내지 (3)단계에서 입력한 정보를 토대로 계산된 표준 일일 열량, 표준 일일 섭취 GI계수 및 표준 일일 섭취 영양소에 부합되는지 확인하고, 부합되는 경우 (8)단계에 의해 식단의 세부사항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2)단계 또는 (3)단계부터 다시 정보를 입력하여 개인 맞춤형 식단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이용자가 입력한 성별, 나이, 체중, 신장 정보를 토대로 BMI(body mass index) 및 DRI(dietary reference intake)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값들을 고려하여 개인 맞춤형 식단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상기 BMI 값을 토대로 산출된 1일 필요열량을 3끼로 나누어 1끼 필요열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표준 일일 섭취 열량 중 아침, 점심, 저녁의 열량비율을 동일하게 하지 않고, 이용자가 원하는 열량비율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일일 필요열량의 비율을 하루 3끼(아침, 점심, 저녁)를 기준으로 1:1:1 또는 1:2:1 등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과일의 선택은 과일의 종류에 따라 계절별로 “먹음” 또는 “먹지 않음”을 미리 설정하여, 복수개의 맞춤형 식단 제공시 계절에 따라 “먹음”으로 선태된 과일 중에서만 과일이 제공되게 하여 제철과일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식단 제공방법은 식사종류, 주식, 국, 주반찬, 부반찬, 김치, 유제품 및 과일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 식자재의 열량, GI계수 및 영양소 정보가 저장되고, 성별, 나이, 체중 및 신장별로 표준 체중의 통계, 표준 일일 섭취 열량, 표준 일일섭취 GI계수 및 표준 일일 섭취 영양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통신하며, 이용자가 입력한 정보 및 선택사항을 고려하여 조건검색을 통해 복수개의 식단 및 식단의 세부사항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된 컴퓨터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서버 및 상기 컴퓨터 서버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출력 수단을 통해 제공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컴퓨터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컴퓨터 서버와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 서버에서 전달받은 복수개의 식단 및 식단의 세부사항을 출력하는 이용자용 단말기를 통해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1) 내지 (3)단계에서 각종 정보입력 및 선택사항 입력시 코드번호를 부여하여 코드번호 선택을 통해 정보 및 선택사항을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각종 정보입력 및 선택사항에 대한 코드화는 하기 표 1과 같이 분류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주식의 종류, 원료, 온도, 조리형태, 알러지 유무, 계절에 따른 메뉴선택 여부, 접근성, 색, 맛, 당뇨위험 등에 대한 정보입력 및 선택사항에 대한 코드화는 하기 표 2와 같이 분류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종류 - 0: 밥,1: 콩, 잡곡밥, 2: 비빔밥, 3: 볶음밥, 덮밥, 국물 없는 면, 4: 국밥(말아먹음), 국 포함 탕 및 분식 면, 5: 양식 면, 6: 빵, 7: 죽
원료 1:쌀, 잡곡, 2: 밀가루
온도 -온 : 1, 냉 : 2
조리형태 -0: 취사, 1: 비빔, 2: 볶음, 덮밥, 3: 끓이기, 4: 굽기, 5: 튀기기
알러지 1: 유, 0: 무
계절 봄여름가을겨울 순으로 표기 예시) 4계절 먹음 : 2222, 봄 가을 먹음 : 2121
접근성 - 접근성이 높음 : 3, 접근성이 중간 : 2, 접근성이 낮음 : 1
- 0: 흰색, 1: 붉은색, 2: 검은색, 3: 노란색, 4: 녹색, 5: 기타
- 0: 일반, 1: 쓴맛, 2: 신맛, 3: 단맛, 4: 짠맛, 5: 매운맛
당류에 따른 당뇨위험 당뇨에 좋음 : 1, 당뇨 무관 : 2, 당뇨에 나쁨 : 3.
당류 : 1.2이상 :3점, 당류 0<x<1.2: 당뇨무관 2점, 0 =당뇨에 좋은 것:1점
유지 : 2이상 :3점, 당류 1<=x<2: 당뇨무관 2점, 1이하 : 당뇨에 좋은 것:1점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의 성별, 나이, 체중, 신장, 대사성 질환 유무 및 유전적 특성에 따른 대사성 질환 위험군 정보, 알레르기 유무 및 알레르기 관련 특정 식자재에 대한 정보와 이용자가 선택한 식단의 접근성, 식사종류 등을 기초로 하여 추출된 개인 맞춤형 식단 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는 전문서적을 참고하거나 전문가의 상담을 받기 위해 지불하여야 하는 과도한 시간과 비용의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식단 제공방법은 이용자의 성별, 나이, 체중 등의 정보와 표준 체중 통계자료를 토대로 한 개인별 식단을 제공하므로, 건강증진이나 질병개선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식단 제공방법은 이용자의 알레르기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므로, 지속적인 실행으로 건강증진이나 질병개선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구현예 중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서버, 이용자용 단말기에 의해 실시간으로 개인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한식단을 제공하는 예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일품식단을 제공하는 예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면식단을 제공하는 예이다.
도 5는 본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면식단을 제공하는 다른 예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한식단(국밥)을 제공하는 다른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빵식단을 제공하는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일품식단을 제공하는 다른 예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면식단을 제공하는 또 다른 예이다.
도 10는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한식단(보쌈정식)을 제공하는 또 다른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일품식단을 제공하는 또 다른 예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고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식사종류(5가지), 주식(238가지), 국(287가지), 주반찬(324가지), 부반찬(314가지), 김치(8가지), 유제품(18가지) 및 과일(43가지)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 식자재의 열량, GI계수 및 영양소 정보가 저장되고, 성별, 나이, 체중 및 신장별로 표준 체중의 통계, 표준 일일 섭취 열량, 표준 일일섭취 GI(glycemic index)계수 및 표준 일일 섭취 영양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통신하며, 이용자가 입력한 정보 및 선택사항을 고려하여 조건검색을 통해 복수개의 식단 및 식단의 세부사항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된 컴퓨터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서버 및 상기 컴퓨터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컴퓨터 서버와 접속되고, 상기 컴퓨터 서버에서 전달받은 복수개의 식단 및 식단의 세부사항을 출력하는 이용자용 단발기를 통해서 개인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에 따라 개인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는 과정을 시간순서에 따라 플로우차트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서버 및 이용자용 단말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11에서 나타내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는 이용자가 입력하여야 하는 각종 정보 및 선택사항에 대한 코드번호를 부여하여 코드번호 선택을 통하여 이용자 정보 및 선택사항을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고, 구체적인 코드번호는 상기 표 1 및 하기 표 3 내지 표 4과 같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도 2, 6 및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한식단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칼로리 계산은 이용자가 입력하는 성별, 나이, 체중, 신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계산되며, 이용자는 추가정보로써 대사성 질환 유무 및 유전적 특성에 따른 대사성 질환 위험군 정보, 알레르기 유무 및 알레르기 관련 특정 식자재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의 한식(6첩 반상)은 식사의 종류는 코드번호 1을 선택하여 한식을 선택한 경우로써, 주식의 종류는 코드번호 0(곡물류), 1(야채류), 2(해산물), 3(샐러드), 4(쌈채소) 중 0 또는 1을 선택하였다. 그 다음 주반찬, 부반찬 및 김치에 부여된 코드번호에 원하는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한식(5첩 반상)은 주식의 종류는 코드번호 4를 선택하고 국을 선택하지 않은 것이고, 도 10의 보쌈정식(6첩 반상)은 주식의 종류는 코드번호 0을 선택한 것이다.
상기 이용자가 입력한 정보 및 선택사항을 고려하여 조건검색을 통해 복수개의 식단 및 식단의 세부사항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된 컴퓨터프로그램에 의해서 계절에 따른 온도 확인, 조리형태, 색상 및 맛의 중첩여부를 확인 한 후 이용자가 입력한 식단 정보를 기초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식자재의 열량, GI계수, 영양소 정보, 성별, 나이, 체중 및 신장별로 표준 체중의 통계, 표준 일일 섭취 열량, 표준 일일섭취 GI계수 및 표준 일일 섭취 영양소 정보를 조건검색하여 복수개의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게 되고, 복수개로 제공된 개인 맞춤형 식단 중 이용자가 1개의 식단을 선택하게 되면 개인 맞춤형 식단의 상세내역을 제공한다.
계절에 따른 온도 확인은 음식의 온도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대부분에 음식은 더운 형태로 섭취하게 되지만 냉국, 냉면 등과 같이 차게 먹는 음식의 이를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계절을 고려하여 겨울철 메뉴로 냉국을 포함시키는 것은 일반적인 메뉴의 선택이 아니므로 이를 자동으로 고려하여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조리형태는 반찬의 조리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조림, 튀금, 볶음 등의 조리형태에 따라 어느 하나의 반찬이 선택되면 그 이외의 반찬은 동일한 조리형태도 조리된 반찬이 중복적으로 선택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고려하여 배제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반찬을 선택하였는데 선택된 반찬 모두의 형태가 조림으로 나오는 것은 잘못된 것이므로 생선조림을 선택한 경우 야채는 콩나물 무침으로 선택하여 다시 조림형태의 반찬이 포함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이는 색상과 맛의 중첩여부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특히, 색상의 경우 동일한 색으로만 이루어진 식단보다 다양한 색으로 이루어진 식단이 식욕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빨간색의 경우 매운맛이 대부분이어서 매운 음식만으로 이루어진 식단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 5 및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면식단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면식(열무김치국수)은 식사의 종류는 코드번호 3을 선택하여 면식을 선택한 경우로써, 주식의 종류는 코드번호 0(곡물류), 1(야채류), 2(해산물), 3(샐러드), 4(쌈채소) 중 3 또는 4를 선택하였고, 도 5의 짬뽕, 칼국수, 수제비는 식사의 종류로 코드번호 3을 선택하고, 주식으로 4(쌈채소)를 선택하였다. 도3 또는 도 4에서 주식 선택 후 주반찬, 부반찬 및 김치에 부여된 코드번호에 원하는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면식의 경우 국을 선택하지 않는다. 기타 칼로리 계산은 이용자가 입력하는 성별, 나이, 체중, 신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계산되며, 이용자는 추가정보로써 대사성 질환 유무 및 유전적 특성에 따른 대사성 질환 위험군 정보, 알레르기 유무 및 알레르기 관련 특정 식자재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과 상기 이용자가 입력한 정보 및 선택사항을 고려하여 조건검색을 통해 복수개의 식단 및 식단의 세부사항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된 컴퓨터프로그램에 의해서 계절에 따른 온도 확인, 조리형태, 색상 및 맛의 중첩여부를 확인 한 후 이용자가 입력한 식단 정보를 기초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식자재의 열량, GI계수, 영양소 정보, 성별, 나이, 체중 및 신장별로 표준 체중의 통계, 표준 일일 섭취 열량, 표준 일일섭취 GI계수 및 표준 일일 섭취 영양소 정보를 조건검색하여 복수개의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는 것은 한식의 경우와 동일하다.
한편, 도 9와 같이 볶음면, 볶음우동 등을 주식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도 3, 8 및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일품식단을 제공하는 과정은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일품(카레라이스)은 식사의 종류는 코드번호 2를 선택하여 일품을 선택한 경우로써, 주식의 종류는 코드번호 0(곡물류), 1(야채류), 2(해산물), 3(샐러드), 4(쌈채소) 중 3을 선택하였다. 그 다음 주반찬, 부반찬 및 김치에 부여된 코드번호에 원하는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8은 주식이 카레라이스 또는 김치볶음밥, 도 11은 주식이 비빔밥을 선택한 것 이외에 도 3의 경우와 같다. 기타 칼로리 계산은 이용자가 입력하는 성별, 나이, 체중, 신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계산되며, 이용자는 추가정보로써 대사성 질환 유무 및 유전적 특성에 따른 대사성 질환 위험군 정보, 알레르기 유무 및 알레르기 관련 특정 식자재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과 상기 이용자가 입력한 정보 및 선택사항을 고려하여 조건검색을 통해 복수개의 식단 및 식단의 세부사항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된 컴퓨터프로그램에 의해서 계절에 따른 온도 확인, 조리형태, 색상 및 맛의 중첩여부를 확인 한 후 이용자가 입력한 식단 정보를 기초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식자재의 열량, GI계수, 영양소 정보, 성별, 나이, 체중 및 신장별로 표준 체중의 통계, 표준 일일 섭취 열량, 표준 일일섭취 GI계수 및 표준 일일 섭취 영양소 정보를 조건검색하여 복수개의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는 것은 한식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빵식단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빵식은 식사의 종류는 코드번호 4을 선택하여 빵식을 선택한 경우로써, 주반찬 및 부반찬의 선택이 없고 우유를 필수적으로 선택한 것이다. 기타 칼로리 계산은 이용자가 입력하는 성별, 나이, 체중, 신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계산되며, 이용자는 추가정보로써 대사성 질환 유무 및 유전적 특성에 따른 대사성 질환 위험군 정보, 알레르기 유무 및 알레르기 관련 특정 식자재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과 상기 이용자가 입력한 정보 및 선택사항을 고려하여 조건검색을 통해 복수개의 식단 및 식단의 세부사항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된 컴퓨터프로그램에 의해서 계절에 따른 온도 확인, 조리형태, 색상 및 맛의 중첩여부를 확인 한 후 이용자가 입력한 식단 정보를 기초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식자재의 열량, GI계수, 영양소 정보, 성별, 나이, 체중 및 신장별로 표준 체중의 통계, 표준 일일 섭취 열량, 표준 일일섭취 GI계수 및 표준 일일 섭취 영양소 정보를 조건검색하여 복수개의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는 것은 한식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1) 이용자의 성별, 나이, 체중, 신장, 대사성 질환 유무 및 유전적 특성에 따른 대사성 질환 위험군 정보, 알레르기 유무 및 알레르기 관련 특정 식자재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2) 식단의 접근성을 선택하는 단계;
    (3) 식사종류, 주식, 국, 주반찬, 부반찬, 김치, 유제품 및 과일을 선택하는 단계;
    (4) 상기 (1) 내지 (3)단계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의 식단정보를 검색하여 복수개의 개인 맞춤형 식단을 추출하는 단계;
    (5) 상기 (4)단계에 의해 추출된 복수개의 식단을 제공하는 단계;
    (6) 상기 (5)단계에 의해 추출된 복수개의 식단 중에서 식단을 선택하는 단계;
    (7) 상기 (6)단계에 의해 선택된 식단이 이용자의 표준 일일 열량, 표준 일일 섭취 GI계수 및 표준 일일 섭취 영양소에 부합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8) 상기 (7)단계에 의해 확인된 식단의 세부사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식사종류, 주식, 국, 주반찬, 부반찬, 김치, 유제품 및 과일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 식자재의 열량, GI계수 및 영양소 정보가 저장되고, 성별, 나이, 체중 및 신장별로 표준 체중의 통계, 표준 일일 섭취 열량, 표준 일일섭취 GI계수 및 표준 일일 섭취 영양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단의 접근성은 이용자에 의해 설정된 가격범위를 고려하여 고가, 중가, 저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1)단계 다음에 고가, 중가, 저가의 식단 가격범위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7)단계에서 이용자가 선택한 식단이 이용자의 표준 일일 열량, 표준 일일 섭취 GI계수(glycemic index) 및 표준 일일 섭취 영양소에 부합하지 않으면, (2)단계 또는 (3)단계부터 다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식단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 이후에 BMI(body mass index) 및 DRI(dietary reference intake)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식단 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 이후에 BMI(body mass index)를 고려하여 1끼 필요열량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식단 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 이후에 표준 일일 섭취 열량 중 아침, 점심, 저녁의 열량 비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식단 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과일선택은 계절별로 “먹음” 또는 “먹지 않음”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식단 제공방법.
KR1020160176901A 2016-12-22 2016-12-22 개인 맞춤형 자동화 식단 제공방법 KR20180073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901A KR20180073779A (ko) 2016-12-22 2016-12-22 개인 맞춤형 자동화 식단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901A KR20180073779A (ko) 2016-12-22 2016-12-22 개인 맞춤형 자동화 식단 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991A Division KR102221784B1 (ko) 2019-01-18 2019-01-18 개인 맞춤형 자동화 식단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779A true KR20180073779A (ko) 2018-07-03

Family

ID=6291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901A KR20180073779A (ko) 2016-12-22 2016-12-22 개인 맞춤형 자동화 식단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37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594A (ko) * 2018-08-01 2020-02-11 한상빈 과일추천서버 및 방법
KR20210088385A (ko) * 2020-01-03 2021-07-14 (주)진짜맛있는과일 Ai 큐레이션 기반의 과일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N113408998A (zh) * 2021-02-05 2021-09-17 浙江安防职业技术学院 一种工程造价咨询服务实施方法及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594A (ko) * 2018-08-01 2020-02-11 한상빈 과일추천서버 및 방법
KR20210088385A (ko) * 2020-01-03 2021-07-14 (주)진짜맛있는과일 Ai 큐레이션 기반의 과일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N113408998A (zh) * 2021-02-05 2021-09-17 浙江安防职业技术学院 一种工程造价咨询服务实施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1784B1 (ko) 개인 맞춤형 자동화 식단 제공방법
Carlson et al. Thrifty food plan, 2006
Volpe et al. Assessing the healthfulness of consumers' grocery purchases
Mellin-Olsen et al. Changes in food habits among Pakistani immigrant women in Oslo, Norway
Kulkarni Food, culture, and diabetes in the United States
CA30926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od analysis,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and health management
CN110504019A (zh) 用户个性化饮食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arlson et al. The low-cost, moderate-cost, and liberal food plans, 2007
US20120290327A1 (en) Medical health information system for health assessment, weight management and meal planning
KR20110084871A (ko) 건강 유익도에 기초하여 영양 개선을 달성 및 보조하는 시스템
Ueta et al. A recip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automatic nutrition information extraction
KR102161774B1 (ko) 영양소 조합비율을 통한 맞춤형 식단 조절 시스템을 이용한 맞춤형 식단 조절 방법
US20220230730A1 (en) Recipe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comput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2820378B (zh) 一种基于饮食行为的营养配餐推荐方法和系统
KR20180073779A (ko) 개인 맞춤형 자동화 식단 제공방법
Hoteit et al. Development of a Lebanese food exchange system based on frequently consumed Eastern Mediterranean traditional dishes and Arabic sweets
JP2007133525A (ja) 食事指導支援システム
CN109509539A (zh) 一种饮食习惯健康风险评估方法
JP3185839U (ja) 糖尿病治療困難者支援システム及び肥満症治療困難者支援システム
de Camargo et al. A qualitative framework for the assessment of culinary recipes’ healthiness
Breslow et al. Trends in food intake: the 1987 and 1992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s
CN113744840A (zh) 基于集中供餐环境实现个性化即时营养评价及指导的系统及其方法
KR20040012394A (ko) 인터넷을 통한 식생활 개선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Hsieh et al. Social Media Mining for an Analysis of Nutrition and Dietary Health in Taiwan
Oghotomo Impact of westernisation and industrialisation on traditional African and Mediterranean diet pattern and heal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