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774B1 -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774B1
KR102003774B1 KR1020180013465A KR20180013465A KR102003774B1 KR 102003774 B1 KR102003774 B1 KR 102003774B1 KR 1020180013465 A KR1020180013465 A KR 1020180013465A KR 20180013465 A KR20180013465 A KR 20180013465A KR 102003774 B1 KR102003774 B1 KR 102003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vertical drainage
fixing member
perforated casing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옥
송해식
황은아
왕설련
Original Assignee
(주)미래지반연구소
(주)미래기술
이재옥
송해식
황은아
왕설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지반연구소, (주)미래기술, 이재옥, 송해식, 황은아, 왕설련 filed Critical (주)미래지반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013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천공장치의 리더에 고정되게 설치된 가이드 관의 상단 부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 상기 고정 브래킷과 종 방향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해서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이동이 가능한 가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관을 따라 천공 케이싱과 함께 연약 지반 상에 압입되는 연직배수재를 감아서 안내하기 위한 롤러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Apparatus for guide of PBD in dril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연약 지반 상에 연직배수재를 천공 케이싱과 함께 압입시킬 때, 천공장치의 리더 상단에 장착되어 연직배수재가 마모나 손상됨 없이 천공 케이싱과 함께 연약 지반 상에 안정적으로 압입되도록 하는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의 개량을 위해 사용되는 연직배수공법은 인위적으로 압밀을 촉진하기 위해 배수로를 형성해주는 것으로서, 연직배수재를 지중에 압입하여 지중에 함유되어 있는 간극수 등의 물을 배수 또는 배출시킴에 따라 지반의 침하를 조기에 완료시키고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연약지반 처리 공법 중의 하나이다.
여기서, 연직배수재는 플라스틱 코어재를 다공성 필터재로 감싸서 만든 드레인보드(Drain board)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연직배수재를 이용하는 연직배수공법은 PBD(Plastic Board Drain) 공법 또는 PVD(Prefabricated Vertical Drain) 공법으로 일컬어지고 있으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연약지반 처리 공법을 통해 연약지반을 개량함으로써 도로, 철도, 공항, 항만, 산업단지 등과 같은 각종 구조물의 구축을 위한 기초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PBD 공법 또는 PVD 공법으로 일컬어지는 연직배수공법은, 하모니카 또는 벌집 등과 같은 모양의 플라스틱 코어재를 다공성 필터재로 감싸서 만든 드레인보드(연직배수재)를 지중의 소정 심도까지 타설하며, 이와 같이 타설되어 설치된 드레인보드(연직배수재)를 통해 그 주변의 간극수를 지상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킴으로써, 연약한 지반층을 단단하게 개량할 수 있게 하는 연약지반 개량 공법이다.
이러한 연직배수공법은 장비가 간편하고, 시공속도가 비교적 빠르며, 드레인보드(연직배수재)의 자재비가 비교적 저렴할 뿐만 아니라 천공 케이싱의 지중 관입으로 인한 지반 교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토질의 함수비가 높은 연약한 지반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204639호에서는 PBD 공법을 수행하기 위한 드래인재 압입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선행특허의 경우, 드레인재의 수직 배치 및 지지를 위한 리더가 사용된다.
여기서, 드레인재는 연직배수재와 함께 지중에 압입되는 천공 케이싱을 일컫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리더는 드레인재의 길이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리더의 중앙 부위에는 드레인재가 수직 방향을 유지한 상태로 지중에 압입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관이 고정되게 설치되며, 이 가이드 관의 일 측에는 연직배수재를 공급하기 위한 배수재 공급관이 동일 축 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연직배수재는 가이드 관의 일 측에 설치된 배수재 공급관을 통해 천공 케이싱의 내부로 연결되는바, 천공 케이싱과 함께 천공장치의 압입장치에 의해 연약 지반 상에 압입이 이루어지고, 압입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천공 케이싱이 인출된 상태에서 연약 지반 상에 그대로 남아 주변의 간극수를 지상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킴으로써, 연약한 지반층을 단단하게 개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연직배수재가 천공 케이싱과 함께 지중에 압입될 때, 연직배수재가 천공 케이싱의 단부 측 모서리와, 가이드 관의 단부 측 모서리와 직접 접촉됨에 따라 마모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마모에 따른 손상이 심한 경우 절단이 발생되어 지중에 대한 압입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71945호(2016.06.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연약 지반 상에 연직배수재를 천공 케이싱과 함께 압입시킬 때, 연직배수재가 마모나 손상됨 없이 천공 케이싱과 함께 연약 지반 상에 안정적으로 압입되도록 하는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는, 천공장치의 리더에 고정되게 설치된 가이드 관의 상단 부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 상기 고정 브래킷과 종 방향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해서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이동이 가능한 가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관을 따라 천공 케이싱과 함께 연약 지반 상에 압입되는 연직배수재를 감아서 안내하기 위한 롤러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 브래킷과 종 방향으로 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상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 갈래로 분기되어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편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편들 사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변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가이드 홈과 동일 축 선상에 위치되되, 하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 갈래로 분기되어 돌출되게 형성되는 삽입 편들과, 상기 삽입 편들 사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 부재는, 상기 천공 케이싱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와 이격이 가능하되, 상기 천공 케이싱의 하강에 따라 상기 삽입 편들이 상기 고정 부재의 가이드 홈에 인입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가이드 편들이 상기 가변 부재의 가이드 홈에 인입되어 포개어질 때, 상호 밀착이 이루어져서 더 이상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관의 일측에는 상기 연직배수재를 공급하기 위한 배수재 공급관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재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연직배수재는 상기 가변 부재의 롤러부에 감합되어 상기 천공 케이싱과 함께 연약 지반 상에 압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가이드 관의 상단 측 개구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주변의 둘레에는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에 의하면, 천공장치에 의해 연약 지반 상에 연직배수재가 천공 케이싱과 함께 압입될 때, 연직배수재가 마모나 손상됨 없이 천공 케이싱과 함께 연약 지반 상에 안정적으로 압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마모에 의한 손상의 우려가 불식되며, 이에 따라 절단의 우려가 완전히 불식되어 시공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공장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 천공장치용 리더의 중앙 부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가이드 관을 통해 천공 케이싱 및 연직배수재가 압입되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에서 천공 케이싱 및 연직배수재가 압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를 통해 천공 케이싱 및 연직배수재가 압입되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도 7의 측면도.
도 10은 도 7에서 천공 케이싱 및 연직배수재가 압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
도 12는 도 10의 측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 기술에 따른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연직배수재를 지중에 압입하는 구성 및 방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공장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천공장치용 리더의 중앙 부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가이드 관을 통해 천공 케이싱 및 연직배수재가 압입되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서 천공 케이싱 및 연직배수재가 압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천공장치(10)는, 주행운전장비(20)와 연직배수재 및 천공 케이싱을 압입시키는 압입장치(50), 그리고 천공 케이싱을 지지하는 리더(100,200,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행운전장비(20)는 장치의 이동 주행과 전체적인 작동을 운전 및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주행운전장비(20)에는 리더(100,200,300))를 결합 및 이를 각도 조절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크랭크 암(30)이 설치되어 있다.
리더(100,200,300)는, 주행운전장비(20)가 갖는 크랭크 암(30)에 결합되어 일정 길이만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서, 프레임에 트러스바를 연결하여 하중에 견딜 수 있게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트러스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리더(100,200,300)는 지반의 상태나 천공 케이싱의 길이에 따라 전체적인 길이가 달라지며, 기울기 센서가 장착되어 주행운전장비(20)의 탑승실로 감지 신호를 보내 수직 방향의 배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수직 방향의 배치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리더(100,200,300)의 하부 영역, 즉 천공 케이싱을 압입하기 위한 연약 지반 상에는 천공 케이싱을 지지 및 압입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압입장치(5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압입장치(50)를 작동시키게 되면, 천공 케이싱은 리더(100,200,300)의 중앙 영역에 고정되게 설치된 가이드 관(70)의 안내에 의해 연약 지반 상에 수직 방향으로 압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때 천공 케이싱은 그 내부를 통과하는 연직배수재와 함께 압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관(70)의 일 측면에는 배수재 공급관(72)이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 관(70)의 내부에는 압입장치(50)에 의해 연약 지반 상에 압입이 이루어지는 천공 케이싱(80)이 위치한 상태에서, 배수재 공급관(72)을 통해 공급되는 연직배수재(90)는 천공 케이싱(80)의 상단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압입장치(50)에 의해 천공 케이싱(80)이 연약 지반 상에 압입이 이루어지게 될 때, 연직배수재(90)는 천공 케이싱(80)과 함께 연약 지반 상에 압입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배수재 공급관(72)을 통해서는 연직배수재(90)가 계속해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 배수재 공급관(72)으로부터 공급되는 연직배수재(90)는 천공 케이싱(80)의 상단 부위 개구를 통해 그 내부 공간으로 인입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연직배수재(90)의 일부는 천공 케이싱(80)의 상단 개구 주변의 일측 모서리와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마모(C1)에 따른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이의 경우 손상에 의한 절단이 발생될 우려가 있게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압입장치(50)에 의하여 천공 케이싱(80)이 연직배수재(90)와 함께 연약 지반 상에 압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 압입되는 연직배수재(90)의 길이만큼 배수재 공급관(72)을 통해 계속해서 연직배수재(90)가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때 배수재 공급관(72)으로부터 공급되는 연직배수재(90)는 가이드 관(70)의 개구부 주변의 일측 모서리와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역시 마모(C2)에 따른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심할 경우 손상에 의한 절단이 발생되어 연직배수재(90)가 연약 지반 상에 압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도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직배수재를 마모에 따른 손상의 우려 없이 천공 케이싱과 함께 연약 지반 상에 안정적으로 압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를 통해 천공 케이싱 및 연직배수재가 압입되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도 7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7에서 천공 케이싱 및 연직배수재가 압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800)는, 천공장치의 리더에 고정되게 설치된 가이드 관(700)의 상단 부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810)과, 이 고정 브래킷(810)과 종 방향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 부재(820)와, 이 고정 부재(820)에 대해서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이동이 가능한 가변 부재(8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브래킷(810)은 가이드 관(700)의 상단 개구와 연통되는 개구부(812)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812)의 주변 둘레에 일정 너비로 형성되되,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공(816)이 형성된 플렌지 형상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브래킷(810)은 그 하면과 가이드 관(700)의 상단 측 외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814)들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뒷받침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가이드 관(700)이 사각통 형상인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는바, 고정 브래킷(810) 또한 사각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 형상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인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 부재(820)는 고정 브래킷(810)과 밀착되되, 고정 브래킷(810)의 결합공(816)과 종 방향으로 대응되는 복수의 결합 홀(826)이 형성된 플랜지부(824)와, 이 플랜지부(824)의 상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 갈래로 분기되어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편(828)들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820)의 중앙 부위에는 가이드 관(700)의 개구 및 고정 브래킷(810)의 개구부(812)와 연통되는 개구 홀(822)이 형성되고, 복수의 가이드 편(828)들 사이에는 가이드 홈(829)들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가변 부재(830)는 고정 부재(820)의 가이드 홈(829)과 동일 축 선상에 위치되고, 하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 갈래로 분기되어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는 삽입 편(832)들과, 이 삽입 편(832)들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되 가이드 관(700)의 일측 면에 설치된 배수재 공급관(720)으로부터 공급되는 연직배수재를 감는 롤러부(83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롤러부(836)는 양 측의 지지 편(834)들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변 부재(830)의 롤러부(836) 일 측에는 연직배수재가 통과되기 위한 통과 홀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통과 홀은 연직배수재만 통과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천공 케이싱은 통과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천공 케이싱의 상단부에는 가변 부재(830)가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천공 케이싱의 하강에 따라 가변 부재(830)도 연동하여 동시에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을 다시 한 번 참조하면 가변 부재(830)의 삽입 편(832)들 사이에도 가이드 홈(도면부호 미부여)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800)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 관(700)의 상단 부위에는 고정 브래킷(810)이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고, 이 고정 브래킷(810)에 대해서 고정 부재(820)가 종 방향으로 결합되어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 브래킷(810)과 고정 부재(820)는 각각의 결합공(816) 및 결합 홀(826)들을 통해 볼트 등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상호 고정된 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고정 브래킷(810)의 개구부(812)와 고정 부재(820)의 개구 홀(822)은 동일 축 상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가이드 관(700)의 개구를 통한 천공 케이싱의 인입은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천공 케이싱은 가이드 관(700)의 개구를 통해 인입되고, 그 상단 일부는 상기 개구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천공 케이싱의 상단에 가변 부재(830)를 안착시키게 되면, 고정 부재(820)와 가변 부재(83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배수재 공급관(720)을 통해 공급되는 연직배수재는 가변 부재(830)의 롤러부(836)에 감합되도록 한 후, 그 끝단을 천공 케이싱의 내부로 인입시키면, 연직배수재는 종래에서와 같이 천공 케이싱의 모서리 및/또는 가이드 관(700)의 모서리와 직접 접촉됨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압입장치를 이용하여 천공 케이싱을 연약 지반 상에 압입시키게 되면, 천공 케이싱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직배수재와 함께 하강하게 되는바, 가변 부재(830) 또한 천공 케이싱과 연동하여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가변 부재(830)가 하강하게 되면 가변 부재(830)의 삽입 편(832)들은 고정 부재(820)의 가이드 홈(829)으로 인입되고, 이와 동시에 고정 부재(820)의 가이드 편(828)들은 가변 부재(830)의 가이드 홈(도면부호 미부여)으로 인입되는바, 가변 부재(830)는 고정 부재(820)와 포개어 지면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가변 부재(830)가 하강하여 고정 부재(820)와 포개짐이 이루어지게 되면, 가변 부재(830)는 더 이상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고, 천공 케이싱만 가이드 관(700)의 내부 공간을 따라 계속해서 하강되면서 연약 지반 상에 압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연직배수재는 배수재 공급관(720)을 통해 계속 공급되면서 천공 케이싱과 함께 연약 지반 상에 압입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배수재 공급관(720)을 통해 공급되는 연직배수재는 가변 부재(830)의 롤러부(836)의 구동에 의해 안정적으로 하강되면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연약 지반 상에 압입되는 천공 케이싱의 하강에 따라 배수재 공급관(720)을 통해 공급되는 연직배수재는 가변 부재(830)의 롤러부(836)에 의해 유연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마모에 의한 손상의 우려가 불식되며, 결국 절단의 우려가 완전히 불식되어 시공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700 : 가이드 관 710 : 천공 케이싱
720 : 배수재 공급관 800 : 가이드 장치
810 : 고정 브래킷 812 : 개구부
814 : 리브 816 : 결합공
820 : 고정 부재 822 : 개구 홀
824 : 플랜지부 826 : 결합 홀
828 : 가이드 편 829 : 가이드 홈
830 : 가변 부재 832 : 삽입 편
834 : 지지 편 836 : 롤러부
900 : 연직배수재

Claims (6)

  1. 천공장치의 리더에 고정되게 설치된 가이드 관의 상단 부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 상기 고정 브래킷과 종 방향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해서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이동이 가능한 가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관을 따라 천공 케이싱과 함께 연약 지반 상에 압입되는 연직배수재를 감아서 안내하기 위한 롤러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 브래킷과 종 방향으로 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상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 갈래로 분기되어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편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편들 사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변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가이드 홈과 동일 축 선상에 위치되되, 하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 갈래로 분기되어 돌출되게 형성되는 삽입 편들과,
    상기 삽입 편들 사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 부재는,
    상기 천공 케이싱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와 이격이 가능하되,
    상기 천공 케이싱의 하강에 따라 상기 삽입 편들이 상기 고정 부재의 가이드 홈에 인입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가이드 편들이 상기 가변 부재의 가이드 홈에 인입되어 포개어질 때, 상호 밀착이 이루어져서 더 이상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관의 일측에는 상기 연직배수재를 공급하기 위한 배수재 공급관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재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연직배수재는 상기 가변 부재의 롤러부에 감합되어 상기 천공 케이싱과 함께 연약 지반 상에 압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가이드 관의 상단 측 개구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주변의 둘레에는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13465A 2018-02-02 2018-02-02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 KR102003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465A KR102003774B1 (ko) 2018-02-02 2018-02-02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465A KR102003774B1 (ko) 2018-02-02 2018-02-02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774B1 true KR102003774B1 (ko) 2019-07-26

Family

ID=6746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465A KR102003774B1 (ko) 2018-02-02 2018-02-02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7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565B1 (ko) * 1994-03-15 1997-03-06 대한산자공업 주식회사 수직 배수재 압입장치
JPH1068122A (ja) * 1996-08-28 1998-03-10 Kinjiyou Gomme Kk ペーパドレン打設機のロッド継手構造
KR101438521B1 (ko) * 2013-11-29 2014-10-30 신양기초 주식회사 대심도 pbd 시공장비 및 대심도 pbd 시공방법
KR20160071945A (ko)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코캄 이차전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565B1 (ko) * 1994-03-15 1997-03-06 대한산자공업 주식회사 수직 배수재 압입장치
JPH1068122A (ja) * 1996-08-28 1998-03-10 Kinjiyou Gomme Kk ペーパドレン打設機のロッド継手構造
KR101438521B1 (ko) * 2013-11-29 2014-10-30 신양기초 주식회사 대심도 pbd 시공장비 및 대심도 pbd 시공방법
KR20160071945A (ko)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코캄 이차전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774B1 (ko)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
US87273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fiber optic cable
DE351910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teufen von vertikalen schaechten
KR100532852B1 (ko)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드레인 시공장비
CN110387875B (zh) 套铣接头装置及其施工方法
JP4785413B2 (ja) 地盤改良用ドレーン材の打設及び切断装置、方法及び地盤改良工法
KR20140009782A (ko) 접이식 매립용 박스
KR200488849Y1 (ko) 천공장치용 리더
KR20180033649A (ko) 천공효율을 향상시킨 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97788B1 (ko) 해상용 리더 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비디 시공방법
KR102066104B1 (ko) 수평/수직 필터매트의 무굴착 지하 설치장치
CN106121271A (zh) 一种基于旋喷桩基础上的接桩结构
KR100967228B1 (ko) 드레인보드 타입장치의 앙카플레이트자동세팅장치
KR101875859B1 (ko)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KR101060590B1 (ko)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 타설장치
KR200488848Y1 (ko) 천공장치용 리더
KR101871415B1 (ko)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KR102522014B1 (ko) 해상용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JP5021049B2 (ja) 底盤用の反力装置および底盤の構築方法
JPWO2014013577A1 (ja) シートパイプ用シート及びその成形装置
JP2709433B2 (ja) 地盤への帯状シート材の水平埋設方法
KR101762890B1 (ko)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JPH0334557B2 (ko)
JPH0351418A (ja) ドレーンパイプの埋設装置
KR20000000021A (ko) 드레인재시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