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852B1 -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드레인 시공장비 - Google Patents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드레인 시공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852B1
KR100532852B1 KR1020050080592A KR20050080592A KR100532852B1 KR 100532852 B1 KR100532852 B1 KR 100532852B1 KR 1020050080592 A KR1020050080592 A KR 1020050080592A KR 20050080592 A KR20050080592 A KR 20050080592A KR 100532852 B1 KR100532852 B1 KR 100532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leader
drain casing
casing
plastic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균영
김재선
최효재
Original Assignee
(주)수림건설
초석건설산업(주)
초석종합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림건설, 초석건설산업(주), 초석종합개발(주) filed Critical (주)수림건설
Priority to KR1020050080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8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3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installing wick drains or sand ba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폭트랙(11)을 장착하여 접지압을 향상시킨 무한궤도차량(10)과, 상기 무한궤도차량(10)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리더(20)와, 상기 리더(20)를 따라서 승하강되는 다축의 드레인 케이싱과,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중의 간극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보드(40)와, 상기 리더(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로프(50)를 조절하여 상기 드레인 케이싱을 지중으로 관입 및 인발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로프(5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03)를 형성하되, 일측에 돌출부(201)와 내삽부(202)가 형성된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의 후방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구(210)와, 상기 결합구(210)와 연결되는 드레인 케이싱(220)과, 상기 리더(20)의 전방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간격조절용 체결공(21)과 결합하되 내부에는 상기 드레인 케이싱(220)을 삽입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브라켓(240)과, 상기 몸체(200)의 후방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리더(20)와의 마찰 및 원활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230)와, 상기 몸체(200)의 돌출부(201) 및 내삽부(202)와 맞물려 좌우 이동되도록 돌출부(301)와 내삽부(302)를 형성하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로프(5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303)가 구비된 몸체(300)와, 상기 몸체(300)의 후방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구(310)와, 상기 결합구(310)와 연결되는 드레인 케이싱(320)과, 상기 리더(20)의 전방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간격조절용 체결공(21)과 결합하되 내부에는 상기 드레인 케이싱(320)을 삽입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브라켓(340)과, 상기 몸체(300)의 후방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리더(20)와의 마찰 및 원활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330)로 구성되는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의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 조절이 불가능하던 획일적인 구조를 탈피하여 연약지반의 특성 및 설계 시방에 따라서 2축 및 3축의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간극수의 배수효율을 증대시킴으로써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시공품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기존 사용중인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설치 및 적용이 가능하므로 장비의 제작비용의 절감 효과는 물론 사용상의 편리성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Plastic board drain apparatus with Multi-drain casing}
본 발명은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지반 개량공사시 플라스틱 보드를 지중으로 관입하기 위한 드레인 케이싱의 좌우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간극수의 배출효율을 증대시킴은 물론, 연약지반의 특성 및 설계 시방에 따라서 드레인 케이싱의 좌우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연약지반 개량공사의 시공효율 및 시공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Multi-drain casing Plastic Board Drain apparatus, 이하 "MPBD"라 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Plastic Board Drain: PBD)시공장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폭트랙(11)을 장착하는 무한궤도차량(10)과, 상기 무한궤도차량(10)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리더(20)와, 상기 리더(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드레인 케이싱(30)과, 상기 드레인 케이싱(30)의 내부에 삽입되는 플라스틱 보드(40)와, 상기 리더(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 케이싱(30)을 지중으로 관입 및 인발시키기 위한 구동수단(활차식, 와이어드럼식, 압입식, 진동식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 케이싱(30)을 지중으로 관입한 다음 플라스틱 보드(40)만 매설(埋設)하고 드레인 케이싱(30)을 다시 인발함으로써, 상기 플라스틱 보드(40)의 표면을 따라 지중의 간극수(間隙水)가 지상으로 배출되면서 연약지반을 개량하게 위한 것으로, 이는 1960년대 스웨덴에서 실용화된 이후로 현재 국내에서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대표적인 공법으로 널리 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상기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1)는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배수공(排水孔), 즉 드레인 케이싱(30)을 어떤 배열구조로 형성하느냐에 따라서 간극수의 배수효율에 큰 차이가 발생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배수공을 형성하게 되는 드레인 케이싱(30)의 구조차이로 인해 작업효율 및 시공품질이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간극수의 배수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적어도 2축이상의 드레인 케이싱을 형성하는 연약지반개량용 드레인재 다축 타설기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5-3865호로 선출원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약지반개량용 드레인재 타설기는 다축의 드레인 케이싱을 형성하여 간극수의 배출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이는 연약지반의 특성 및 설계 시방에 따라서 배수공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그 어떠한 수단 및 구성이 형성되어 있지 못하므로, 결국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의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가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
아울러, 연약지반의 특성 및 설계 시방에 따라서 변경되는 배수공의 간격과 대응되도록 별도의 장비를 제작하여야 하므로, 결국 제작비용의 증가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될 뿐만 아니라, 특히 배수공의 간격 변화에 따른 신속한 적용이 불가능하므로 시공기간의 증가 및 시공품질이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중의 간극수를 배수하기 위한 다축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약지반의 특성 또는 설계 시방에 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의 주요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100)는 광폭트랙(11)을 장착하여 접지압을 향상시킨 무한궤도차량(10)과, 상기 무한궤도차량(10)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리더(20)와, 상기 리더(20)를 따라서 승하강되는 다축의 드레인 케이싱과,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중의 간극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보드(40)와, 상기 리더(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로프(50)를 조절하여 상기 드레인 케이싱을 지중으로 관입 및 인발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로프(5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03)를 형성하되, 일측에 돌출부(201)와 내삽부(202)가 형성된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의 후방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구(210)와, 상기 결합구(210)와 연결되는 드레인 케이싱(220)과, 상기 리더(20)의 전방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간격조절용 체결공(21)과 결합하되 내부에는 상기 드레인 케이싱(220)을 삽입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브라켓(240)과, 상기 몸체(200)의 후방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리더(20)와의 마찰 및 원활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230)와,
상기 몸체(200)의 돌출부(201) 및 내삽부(202)와 맞물려 좌우 이동되도록 돌출부(301)와 내삽부(302)를 형성하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로프(5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303)가 구비된 몸체(300)와, 상기 몸체(300)의 후방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구(310)와, 상기 결합구(310)와 연결되는 드레인 케이싱(320)과, 상기 리더(20)의 전방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간격조절용 체결공(21)과 결합하되 내부에는 상기 드레인 케이싱(320)을 삽입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브라켓(340)과, 상기 몸체(300)의 후방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리더(20)와의 마찰 및 원활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33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200,300)는 연약지반의 특성 및 설계 시방의 변경에 따라서 배수공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돌출부(201,301)와 내삽부(202,302)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드레인 케이싱(220,320)의 관입 및 인발과정에서 견고한 결합 및 이탈을 방지하며 동시에 승하강 할 수 있음은 물론, 좌우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될 수 있으므로 배수공의 간격변화에 따라서 적절한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돌출부(201,301)와 내삽부(202,302)를 맞물리도록 형성할 경우에는 배수공의 간격변화를 감안할 경우 좌우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맞물리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210,310)는 상기 드레인 케이싱(220,320)과 상기 몸체(200,300)의 사이를 연결하여 원활한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230,330)는 상기 몸체(200,300)의 승하강 과정에서 상기 리더(20)와의 마찰 및 작동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때 상기 가이드 롤러(230,330)의 내부에는 원활한 회전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지의 베어링이 형성됨이 당연할 것이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240,340)은 상기 드레인 케이싱(220,320)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함은 물론 배수공의 간격변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즉 연약지반의 특성 및 설계 시방이 변경될 경우 상기 가이드 브라켓(240,340)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 브라켓(240,3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드레인 케이싱(220,320) 및 몸체(200,300)가 동시에 이동되므로 배수공의 간격 변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리더(20)의 전방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브라켓(240,34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간격조절용 체결공(21)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간격조절용 체결공(21)은 배수공의 간격에 따라서 드레인 케이싱(220,32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상기 간격조절용 체결공(21)들의 간격은 100㎜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브라켓(240,340)을 상기 리더(20)의 전방에 형성된 간격조절용 체결공(21)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드레인 케이싱(220,320)의 간격, 즉 배수공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시공효율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240,340)의 전방에는 상기 돌출부(210,310)와의 마찰 및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절개부(241,34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의 다른 실시예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100)는 광폭트랙(11)을 장착하여 접지압을 향상시킨 무한궤도차량(10)과, 상기 무한궤도차량(10)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리더(20)와, 상기 리더(20)를 따라서 승하강되는 다축의 드레인 케이싱과,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중의 간극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보드(40)와, 상기 리더(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로프(50)를 조절하여 상기 드레인 케이싱을 지중으로 관입 및 인발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로프(5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03)를 형성하되, 양측에 돌출부(201)와 내삽부(202)가 형성된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의 후방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구(210)와, 상기 결합구(210)와 연결되는 드레인 케이싱(220)과, 상기 리더(20)의 전방에 결합하되 내부에는 상기 드레인 케이싱(220)을 삽입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브라켓(240)과, 상기 몸체(200)의 후방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리더(20)와의 마찰 및 원활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230)와,
상기 몸체(200)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201) 및 내삽부(202)와 맞물려 좌우 이동되도록 돌출부(301)와 내삽부(302)가 형성된 몸체(300)와, 상기 몸체(300)의 후방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구(310)와, 상기 결합구(310)와 연결되는 드레인 케이싱(320)과, 상기 리더(20)의 전방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간격조절용 체결공(21)과 결합하되 내부에는 상기 드레인 케이싱(320)을 삽입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브라켓(340)과, 상기 몸체(300)의 후방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리더(20)와의 마찰 및 원활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330)와,
상기 몸체(200)의 타측에 형성된 돌출부(201) 및 내삽부(202)와 맞물려 좌우 이동되도록 돌출부(401)와 내삽부(402)가 형성된 몸체(400)와, 상기 몸체(400)의 후방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구(410)와, 상기 결합구(410)와 연결되는 드레인 케이싱(420)과, 상기 리더(20)의 전방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간격조절용 체결공(21)과 결합하되 내부에는 상기 드레인 케이싱(420)을 삽입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브라켓(440)과, 상기 몸체(400)의 후방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리더(20)와의 마찰 및 원활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43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200,300,400)는 연약지반의 특성 및 설계 시방에 따라서 배수공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돌출부(201,301,401)와 내삽부(202,302,402)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드레인 케이싱(220,320,420)의 관입 및 인발과정에서 견고한 결합 및 이탈을 방지하며 동시에 승하강 할 수 있음은 물론, 좌우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될 수 있으므로 배수공의 간격변화에 따라서 적절한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돌출부(201,301,401)와 내삽부(202,302,402)를 맞물리도록 형성할 경우에는 배수공의 간격변화를 감안할 경우 좌우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맞물리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210,310,410)는 상기 드레인 케이싱(220,320,420)과 상기 몸체(200,300,400)의 사이를 연결하여 원활한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230,330,430)는 상기 몸체(200,300,400)의 승하강 과정에서 상기 리더(20)와의 마찰 및 작동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때 상기 가이드 롤러(230,330,430)의 내부에는 원활한 회전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지의 베어링이 형성됨이 당연할 것이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240,340,440)은 상기 드레인 케이싱(220,320,420)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함은 물론 배수공의 간격변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즉 연약지반의 특성 및 설계 시방이 변경될 경우 상기 가이드 브라켓(340,440)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 브라켓(340,4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드레인 케이싱(320,420) 및 몸체(300,400)가 동시에 이동되므로 배수공의 간격 변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리더(20)의 전방에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340,44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간격조절용 체결공(2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간격조절용 체결공(21)은 배수공의 간격에 따라서 드레인 케이싱(320,42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상기 간격조절용 체결공(21)의 간격은 100㎜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케이싱(220)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드레인 케이싱(320,420)의 간격은 1200㎜이며, 양측에 형성된 드레인 케이싱(320,420)의 거리는 2400㎜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240,340,440)을 상기 리더(20)의 전방에 형성된 간격조절용 체결공(21)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드레인 케이싱(220,320,420)의 간격, 즉 배수공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시공효율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240,340,440)의 전방에는 상기 결합부(210,310,410)와의 마찰 및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절개부(241,341,44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의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 조절이 불가능하던 획일적인 구조를 탈피하여 연약지반의 특성 및 설계 시방에 따라서 2축 및 3축의 드레인 케이싱(배수공)의 간격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간극수의 배수효율을 증대시킴으로써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시공품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기존 사용중인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설치 및 적용이 가능하므로 장비의 제작비용의 절감 효과는 물론 사용상의 편리성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종래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의 주요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 - 본 발명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의 주요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 - 본 발명을 리더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5 - 본 발명을 이용하여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 조절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용상태 정면도.
도 6 - 본 발명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의 다른 실시예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 - 본 발명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의 다른 실시예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 -본 발명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9 -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10 -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래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
10: 무한궤도차량 11: 광폭트랙
20: 리더(leader) 21: 간격조절용 체결공
30: 드레인 케이싱
40: 플라스틱 보드(Plastic board) 50: 와이어로프
100: 본 발명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이하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라 한다)
200: 몸체
201: 돌출부 202: 내삽부
203: 연결부
210: 결합부 220: 드레인 케이싱
230: 가이드 롤러 240: 가이드 브라켓
241: 절개부
300: 몸체
301: 돌출부 302: 내삽부
303: 연결부
310: 결합부 320: 드레인 케이싱
330: 가이드 롤러 340: 가이드 브라켓
341: 절개부
400: 몸체
401: 돌출부 402: 내삽부
410: 결합부 420: 드레인 케이싱
430: 가이드 롤러 440: 가이드 브라켓
441: 절개부

Claims (2)

  1. 광폭트랙(11)을 장착하여 접지압을 향상시킨 무한궤도차량(10)과, 상기 무한궤도차량(10)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리더(20)와, 상기 리더(20)를 따라서 승하강되는 다축의 드레인 케이싱과,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중의 간극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보드(40)와, 상기 리더(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로프(50)를 조절하여 상기 드레인 케이싱을 지중으로 관입 및 인발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로프(5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03)를 형성하되, 일측에 돌출부(201)와 내삽부(202)가 형성된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의 후방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구(210)와, 상기 결합구(210)와 연결되는 드레인 케이싱(220)과, 상기 리더(20)의 전방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간격조절용 체결공(21)과 결합하되 내부에는 상기 드레인 케이싱(220)을 삽입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브라켓(240)과, 상기 몸체(200)의 후방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리더(20)와의 마찰 및 원활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230)와,
    상기 몸체(200)의 돌출부(201) 및 내삽부(202)와 맞물려 좌우 이동되도록 돌출부(301)와 내삽부(302)를 형성하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로프(5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303)가 구비된 몸체(300)와, 상기 몸체(300)의 후방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구(310)와, 상기 결합구(310)와 연결되는 드레인 케이싱(320)과, 상기 리더(20)의 전방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간격조절용 체결공(21)과 결합하되 내부에는 상기 드레인 케이싱(320)을 삽입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브라켓(340)과, 상기 몸체(300)의 후방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리더(20)와의 마찰 및 원활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33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
  2. 광폭트랙(11)을 장착하여 접지압을 향상시킨 무한궤도차량(10)과, 상기 무한궤도차량(10)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리더(20)와, 상기 리더(20)를 따라서 승하강되는 다축의 드레인 케이싱과,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중의 간극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보드(40)와, 상기 리더(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 케이싱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로프(50)를 조절하여 상기 드레인 케이싱을 지중으로 관입 및 인발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로프(5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03)를 형성하되, 양측에 돌출부(201)와 내삽부(202)가 형성된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의 후방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구(210)와, 상기 결합구(210)와 연결되는 드레인 케이싱(220)과, 상기 리더(20)의 전방에 결합하되 내부에는 상기 드레인 케이싱(220)을 삽입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브라켓(240)과, 상기 몸체(200)의 후방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리더(20)와의 마찰 및 원활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230)와,
    상기 몸체(200)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201) 및 내삽부(202)와 맞물려 좌우 이동되도록 돌출부(301)와 내삽부(302)가 형성된 몸체(300)와, 상기 몸체(300)의 후방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구(310)와, 상기 결합구(310)와 연결되는 드레인 케이싱(320)과, 상기 리더(20)의 전방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간격조절용 체결공(21)과 결합하되 내부에는 상기 드레인 케이싱(320)을 삽입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브라켓(340)과, 상기 몸체(300)의 후방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리더(20)와의 마찰 및 원활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330)와,
    상기 몸체(200)의 타측에 형성된 돌출부(201) 및 내삽부(202)와 맞물려 좌우 이동되도록 돌출부(401)와 내삽부(402)가 형성된 몸체(400)와, 상기 몸체(400)의 후방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구(410)와, 상기 결합구(410)와 연결되는 드레인 케이싱(420)과, 상기 리더(20)의 전방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간격조절용 체결공(21)과 결합하되 내부에는 상기 드레인 케이싱(420)을 삽입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브라켓(440)과, 상기 몸체(400)의 후방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리더(20)와의 마찰 및 원활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43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
KR1020050080592A 2005-08-31 2005-08-31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드레인 시공장비 KR100532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592A KR100532852B1 (ko) 2005-08-31 2005-08-31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드레인 시공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592A KR100532852B1 (ko) 2005-08-31 2005-08-31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드레인 시공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2852B1 true KR100532852B1 (ko) 2005-12-01

Family

ID=3730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592A KR100532852B1 (ko) 2005-08-31 2005-08-31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드레인 시공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28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90B1 (ko) 2007-01-31 2007-08-22 (주)효광건설 앵커플레이트가 필요없는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
KR100766482B1 (ko) * 2006-03-30 2007-10-12 현대건설주식회사 연약지반 강화용 시공장치
KR100921570B1 (ko) * 2007-07-12 2009-10-12 박권용 연약지반 개량용 드레인재 시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482B1 (ko) * 2006-03-30 2007-10-12 현대건설주식회사 연약지반 강화용 시공장치
KR100751590B1 (ko) 2007-01-31 2007-08-22 (주)효광건설 앵커플레이트가 필요없는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
KR100921570B1 (ko) * 2007-07-12 2009-10-12 박권용 연약지반 개량용 드레인재 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2852B1 (ko)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드레인 시공장비
JP2007284895A (ja) 地下鉄道構築方法
CN106346616A (zh) 硬岩承台绳锯切割设备
KR100532853B1 (ko) 시공성이 우수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시공장비
KR20210053522A (ko) 파일절단유닛을 갖는 해저 관입 파일 제거방법 및 제거장치
KR20050109276A (ko) 수중지반용 심층교반장비의 승하강로드 서포트축의가이드장치
DE10059982C1 (de) Trägerkörper für eine Duschtasse
CN219430734U (zh) 一种能够自动移位与自动切割的钢轨式插板机
KR102298783B1 (ko) 왕겨 투입부 및 암거관 매설부가 일체로 승강 가능한 트랙터 부착형 암거배수관 매설기
KR102003774B1 (ko) 천공장치의 연직배수재 가이드 장치
KR102145369B1 (ko) 트랙터 부착형 암거배수관 매설기
KR100417217B1 (ko) 복수공 이상의 페이퍼 드레인보드 시공방법 및 타입장치
DE320286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schlitzgrabens"
CN213204388U (zh) 一种新型铁路线间沟排水支护结构
CN109457704A (zh) 一种插板机
KR200488849Y1 (ko) 천공장치용 리더
CN210970621U (zh) 一种天窗后框
JP2709433B2 (ja) 地盤への帯状シート材の水平埋設方法
KR102281932B1 (ko) 신축 케이싱에 의한 연직배수재 압입장치
CN106869111B (zh) 地下钢筋连续墙连接构造
JP4278584B2 (ja) プール床の昇降装置
CN219343313U (zh) 一种静音效果好的井盖
KR200238958Y1 (ko) 벽체 말뚝
KR20150145324A (ko) 고도 제한에 적합한 드레인재 타설장치
KR200488848Y1 (ko) 천공장치용 리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