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859B1 -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859B1
KR101875859B1 KR1020170092577A KR20170092577A KR101875859B1 KR 101875859 B1 KR101875859 B1 KR 101875859B1 KR 1020170092577 A KR1020170092577 A KR 1020170092577A KR 20170092577 A KR20170092577 A KR 20170092577A KR 101875859 B1 KR101875859 B1 KR 101875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ase plate
pressing
portions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은아
송해식
이재옥
김기수
Original Assignee
부산항만공사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주)미래지반연구소
(주)미래기술
김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항만공사,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주)미래지반연구소, (주)미래기술, 김기수 filed Critical 부산항만공사
Priority to KR1020170092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약지반 상에 압입되는 드레인재의 양 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되, 상하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 쌍의 회동부들과; 상기 두 쌍의 회동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들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들의 각 상단 및 각 하단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가압부들; 및 상기 복수의 가압부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들의 각 상단 및 각 하단을 상기 드레인재에 대하여 간격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두 쌍의 회동부들이 상기 드레인재의 양 측에 동일한 가압력으로 밀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Drain board driving apparatus of crane for improving soft ground}
본 발명은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레인재와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압입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 드레인재가 편심 없이 수직 방향으로 원활히 압입되도록 한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악지반의 개량을 위해 사용되는 연직배수공법은 인위적으로 압밀을 촉진하기 위해 배수로를 형성해주는 것으로서, 연직배수재를 지중에 압입하여 지중에 함유되어 있는 간극수 등의 물을 배수 또는 배출시킴에 따라 지반의 침하를 조기에 완료시키고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연약지반 처리 공법 중의 하나이다.
여기서, 연직배수재는 플라스틱 코어재를 다공성 필터재로 감싸서 만든 드레인보드(Drain board)로서, 봉형 구조체이다.
이러한 연직배수재를 이용하는 연직배수 공법은 PBD(Plastic Board Drain) 공법 또는 PVD(Prefabricated Vertical Drain) 공법으로 일컬어지고 있으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연약지반 처리 공법을 통해 연약지반을 개량함으로써 도로, 철도, 공항, 항만, 산업단지 등과 같은 각종 구조물의 구축을 위한 기초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PBD 공법 또는 PVD 공법으로 일컬어지는 연직배수공법은, 하모니카 또는 벌집 등과 같은 모양의 플라스틱 코어재를 다공성 필터재로 감싸서 만든 드레인보드(연직배수재)를 지중의 소정 심도까지 타설하며, 이와 같이 타설되어 설치된 드레인보드를 통해 그 주변의 간극수를 지상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킴으로써, 연약한 지반층을 단단하게 개량할 수 있게 하는 연약지반 개량 공법이다.
이러한 연직배수공법은 장비가 간편하고, 시공속도가 비교적 빠르며, 드레인보드의 자재비가 비교적 저렴할 뿐만 아니라 케이싱 파이프의 지중 관입으로 인한 지반 교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토질의 함수비가 높은 연약한 지반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204639호에서는 PBD 공법을 수행하기 위한 드래인재 압입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압입롤러의 회전을 통해 드레인재와 마찰 접촉되게 하여 드레인재를 지중에 압입 처리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드레인재를 양 방향에서 압착하여 마찰력으로 압입시키는 한 쌍의 압입롤러들이 하나의 실린더에 의해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편심 등의 원인으로 원활한 압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양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압입롤러들이 하나의 실린더에 의해 간격이 조절되면서 드레인재를 양 방향에서 압착하여 마찰력에 의해 압입시키게 될 때, 어느 한쪽의 압입롤러에 비하여 다른 한쪽의 압입롤러의 압착력이 크거나 작게 되는 등 편심에 의해 드레인재가 수직 방향을 이룬 상태로 원활한 압입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선행특허의 경우, 드레인재의 수직 배치 및 지지를 위해 리더가 사용되는데, 리더는 드레인재의 길이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형태로 변형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드레인재 자체가 상당한 중량체이므로 수직 배치에 따라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이를 잡아주기 위한 와이어로프 및 권취드럼과 구동모터 등의 전도방지 구조물을 리더의 상부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리더 측에 중량을 더해주게 됨은 물론 드레인재의 지반 압입시 하중을 하부로 전달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드레인재와 압입롤러 간 접촉 면적이 적은 구성이므로 드레인재의 지반 압입을 위해 파이프 구조의 케이싱이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케이싱을 지반 압입 후 인발에 사용하기 위한 승강 와이어와 드럼 및 구동모터 등의 보조 압입수단들이 리더 측에 함께 설치되는데, 이러한 보조 압입수단들도 리더 측에 하중을 전달하거나 중량을 더하게 되는 요소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리더 측에 전도방지 구조물 및 보조 압입수단들을 모두 설치해야 하므로 그만큼 리더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고 강성이 매우 뛰어난 구조를 확보해야 하므로 장비의 비용이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연약지반에 압입되는 드레인재는 대략 70m 이상의 것이 사용되는데, 지반에 압입되는 드레인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골재를 지반에 설치하는 등 별도의 기초공사를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 및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20463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요구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압입하고자 하는 드레인재의 양 방향에 배치되되, 간격조절이 이루어짐에 따라 드레인재를 양쪽 방향에서 압착하여 회전에 따른 마찰력으로 지반에 압입시키는 한 쌍의 회동부들을 각각 개별 가압부들에 의해 간격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한 쪽 방향으로의 편심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결국 지반에 대한 드레인재의 수직 방향 압입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 개량용 크래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연약지반에 압입하고자 하는 드레인재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되, 드레인재가 수직 방향을 유지한 상태로 지지되어 압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리더의 상부에 드레인재 지지를 위한 별다른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결국 시공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리더의 하부 쪽에 배치되어 드레인재를 편심 없이 수직 방향으로 압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크레인의 크기를 줄여 경제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래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는, 연약지반 상에 압입되는 드레인재의 양 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되, 상하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 쌍의 회동부들과; 상기 두 쌍의 회동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들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들의 각 상단 및 각 하단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가압부들; 및 상기 복수의 가압부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들의 각 상단 및 각 하단을 상기 드레인재에 대하여 간격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두 쌍의 회동부들이 상기 드레인재의 양 측에 동일한 가압력으로 밀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드레인재를 사이에 두고 어느 한 쪽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드레인재를 사이에 두고 다른 한 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부들은,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연결되게 설치되는 제1 가압부 내지 제4 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압부 내지 제4 가압부는 각각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인접한 각 상단과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인접한 각 하단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가압부 내지 제4 가압부들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이고, 상기 제어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각각 제1 펌프 내지 제4 펌프로부터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받거나 또는 회수됨에 따라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 상단 및 각 하단을 개별적으로 위치 이동시키며, 상기 두 쌍의 회동부들 중, 한 쌍의 회동부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들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고, 다른 한 쌍의 회동부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두 쌍의 회동부 중, 적어도 한 쌍의 회동부에는, 상기 제어부의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회동부를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들이 장착되고, 상기 두 쌍의 회동부 모두에는, 상기 제어부의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두 쌍의 회동부를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들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 ?, 상기 두 쌍의 회동부 중, 적어도 한 쌍의 회동부에 상기 모터들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회동부와,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회동부는 벨트 또는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되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복수의 가압부들과, 상기 두 쌍의 회동부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부들의 각 일단들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드레인재의 수평 방향 압입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 및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래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에 의하면, 압입하고자 하는 드레인재의 양 방향에 배치되되, 간격조절이 이루어짐에 따라 드레인재를 양쪽 방향에서 압착하여 회전에 따른 마찰력으로 지반에 압입시키는 한 쌍의 회동부들이 각각 개별 가압부들에 의해 간격조절이 미세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한 쪽 방향으로의 편심이 예방되어 결국 지반에 대한 드레인재의 수직 방향 압입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래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에 의하면, 연약지반에 압입하고자 하는 드레인재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되, 드레인재가 수직 방향을 유지한 상태로 지지되어 압입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리더의 상부에 드레인재 지지를 위한 별다른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결국 시공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즉, 리더의 하부 쪽에 배치되어 드레인재를 편심 없이 수직 방향으로 압입시킬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크레인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됨은 물론 시공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드레인재 압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는 PBD 공법을 수행하기 위한 파이프 구조의 드레인재를 지중에 압입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여기서, 드레인재는 원형 파이프 또는 각형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직배수재인 드레인보드를 압입하는데 사용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 내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지반에 압입되어 연약지반 개량에 실제 사용되는 드레인보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드레인재 압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10)의 드레인재 압입장치는, 주행운전장비(20)와 리더(40) 및 압입장치(1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행운전장비(20)는 장치의 이동 주행과 전체적인 작동을 운전 및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주행운전장비(20)에는 리더(40)를 결합 및 이를 각도 조절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크랭크 암(30)이 설치될 수 있다.
리더(40)는, 주행운전장비(20)가 갖는 크랭크 암(30)에 결합되어 일정 길이만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골조 프레임의 내부에 트러스바를 연결하여 하중에 견딜 수 있게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트러스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리더(40)는 지반의 상태나 드레인재(50)의 길이에 따라 전체적인 길이가 달라질 수 있으며, 기울기 센서가 장착되어 주행운전장비(20)의 탑승실로 감지 신호를 보내 수직 방향의 배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수직 방향의 배치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리더(40)에는 드레인재(50)가 정면에 위치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압입장치(100)는, 리더(40)의 정면 하부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리더(40)의 하부에서 드레인재(50)를 지지 및 압입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압입장치(100)는 드레인재(50)와의 접촉 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드레인재(50)를 지중에 압입 처리시 압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안정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는, 리더(40)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연약지반에 압입되는 일정 길이의 드레인재(50)를 양 방향에서 접촉되게 밀착시킨 상태로 압입시키되, 상하에 걸쳐 배치되는 적어도 두 쌍의 회동부(300,310)(320,3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드레인재(50)를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에 걸쳐 양 방향에 배치되고, 후술되는 가압부(200,210,230,240)들에 의해 드레인재(50)와 밀착되게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드레인재(50)를 연약지반 상으로 압입시키는 제1 회동부(300) 및 제2 회동부(310)와, 제3 회동부(320) 및 제4 회동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회동부(300) 및 제2 회동부(310)와 제3 회동부(320) 및 제4 회동부(330)로 이루어지는 두 쌍의 회동부(300,310)(320,330)는 드레인재(50)를 두고 양 방향에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112)들의 상하 영역에 대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112)는 드레인재(50)를 사이에 두고 양 방향에 배치되고, 후술되는 가압부(200,210,230,240)들에 의해 드레인재(50) 쪽을 향해 이동하거나 드레인재(50)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되는 것으로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2)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110,112)는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가압부(200,210,230,240)들이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재(50)를 기준으로 어느 한 쪽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에는 제1 가압부(200)가 연결되게 설치되고, 하단에는 제3 가압부(230)가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재(50)를 기준으로 다른 한 쪽에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2)의 상단에는 제3 가압부(230)가 연결되게 설치되고, 하단에는 제4 가압부(240)가 연결되게 설치됨으로써, 모두 4점에 각각 가압부(200,210,230,240)들이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압부(200) 내지 제4 가압부(240)는 각각 압입장치(100)의 프레임(102)에 그 일단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펌프(202,212,232,242)들에 의해 신장 또는 축소됨에 따라 각 베이스 플레이트(110,112)들의 각 상단 및 각 하단을 개별적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112)들이 드레인재(50)를 향해 이동되도록 하거나 반대로 이격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펌프(202,212,232,242)들은, 제1 가압부(200)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 또는 회수함에 따라 길이 신장 또는 축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펌프(202)와, 제2 가압부(210)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 또는 회수함에 따라 길이 신장 또는 축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 펌프(212)와, 제3 가압부(230)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 또는 회수함에 따라 길이 신장 또는 축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3 펌프(232) 및 제4 가압부(240)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 또는 회수함에 따라 길이 신장 또는 축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4 펌프(2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펌프(202) 내지 제4 펌프(242)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유압 또는 공압을 제1 가압부(200) 내지 제4 가압부(240)에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 및 하단과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2)의 상단 및 하단은 제어부(5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개별적으로 간격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제어부(5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제1 펌프(202) 내지 제4 펌프(242)로 하여금 유압 또는 공압을 제1 가압부(200) 내지 제4 가압부(240)에 각각 개별적으로 공급 또는 회수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 및 하단과,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2)의 상단 및 하단을 드레인재(50) 쪽을 향해 개별적으로 이동시키거나 드레인재(50)로부터 개별적으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2)의 하부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회동부(300) 및 제2 회동부(310)와, 상부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3 회동부(320) 및 제4 회동부(330)는 제1 가압부(200) 내지 제4 가압부(240)에 의해 정밀하게 드레인재(50)의 양 측에 접촉되게 밀착되거나 이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압입장치는, 하나의 실린더에 의해 양쪽에 배치되는 회동부들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짐에 따라 어느 한쪽의 회동부에 대한 가압력이 다른 한쪽의 회동부에 대한 가압력과 차이를 갖게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드레인재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편심되어 드레인재가 수직 방향으로 압입되지 않고 경사지게 압입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입장치(100)는, 드레인재(50)의 양 측에 대하여 상하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두 쌍의 회동부(300,310)(320,330)들 중, 제1 회동부(300) 및 제3 회동부(320)가 위치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단 부위 또는 상단 부위에 대한 가압력과, 제2 회동부(310) 및 제4 회동부(330)가 위치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2)의 하단 부위 또는 상단 부위에 대한 가압력에 차이가 있을 경우, 제1 가압부(200) 내지 제4 가압부(240)를 제어부(500)가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편심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정한 후 압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바, 종래의 압입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두 쌍의 회동부(300,310)(320,330) 즉,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제1 회동부(300) 및 제2 회동부(310)는 제어부(5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회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302) 및 제2 모터(312)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두 쌍의 회동부(300,310)(320,330) 즉, 상부 영역에 위치하는 제3 회동부(320) 및 제4 회동부(330)는 별도의 모터들이 장착되지 않고, 서로 동일한 베이스 플레이트(110,112)들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1 회동부(300) 및 제2 회동부(310)와 각각 벨트 또는 체인(304,314) 등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되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하 영역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회동부(300)와 제3 회동부(320)는 벨트 또는 체인(304)에 의해 연결되고,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2)의 상하 영역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회동부(310)과 제4 회동부(330) 또한 벨트 또는 체인(31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터(302)가 장착된 제1 회동부(300)와, 제2 모터(312)가 장착된 제2 회동부(310)는 주동 회동부가 되고, 제1 회동부(300) 및 제2 회동부(310)와 각각 벨트 또는 체인(314)로 연결됨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는 제3 회동부(320) 및 제4 회동부(330)는 종동 회동부가 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2)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제1 회동부(300) 및 제2 회동부(310)가 주동 회동부를 이루고,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제3 회동부(320) 및 제4 회동부(330)는 종동 회동부를 이루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위치 관계는 달라질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500)는 제1 모터(302) 및 제2 모터(312)에 입력 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제1 회동부(300) 및 제2 회동부(31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회동부(300) 및 제2 회동부(310)가 드레인재(50)의 양 측에 접촉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드레인재(50)를 연약지반에 대하여 압입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3 회동부(320) 및 제4 회동부(330)는 제1 회동부(300) 및 제2 회동부(310)와 연동하여 드레인재(50)의 양 측에 접촉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드레인재(50)는 상하에 걸쳐 두 쌍의 회동부(300,310)(320,330)들에 의해 연약지반으로 압입될 수 있게 된다.
즉, 제1 가압부(200) 내지 제4 가압부(240)에 의해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112)들이 드레인재(50)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부 영역에 배치된 한 쌍의 회동부(300,310)들이 드레인재(50)의 양 측과 접촉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한 쌍의 회동부(300,310)들과 대향되는 부위에 배치된 다른 한 쌍의 회동부(320,330))들 또한 드레인재(50)의 양 측과 접촉되어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바, 드레인재(50)는 수직 방향을 유지한 상태에서 지지되는 접촉 면적이 커지게 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편심 없이 연약 지반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압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3 회동부(320) 및 제4 회동부(330)가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112)들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112)들의 각 상단과 연결되는 제1 가압부(200) 및 제2 가압부(210)를 제어부(500)가 개별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제3 회동부(320) 및 제4 회동부(330)가 드레인재(50)의 양 측에 대한 밀착력이 조절될 수 있게 되는바, 역시 드레인재(50)의 편심을 예방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제1 회동부(300) 및 제2 회동부(310)가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112)들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한 쌍의 베이스플레이트(110,112)들의 각 하단과 연결되는 제3 가압부(230) 및 제4 가압부(240)를 제어부가 개별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제1 회동부(300) 및 제2 회동부(310)가 드레인재(50)의 양 측에 대한 밀착력이 조절될 수 있게 되는바, 역시 드레인재(50)의 편심을 예방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참고로, 제1 가압부(200) 내지 제4 가압부(240)는 실린더가 제공될 수 있고, 제1 펌프(202) 내지 제4 펌프(242)는 실린더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유압 또는 공압 펌프일 수 있다.
또한, 도 3을 다시 한 번 참조하면, 프레임(102)의 하측 부위에는 연약지반 상에 수직 방향으로 압입되는 드레인재(5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104)와 가이드 홀(10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드레인재(50)는 수직 방향으로 압입될 때 접촉 면적이 더욱 늘어나게 되어 지지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바, 편심 없이 수직 방향으로의 압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는, 상하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두 쌍의 회동부(300,310)(320,330)와,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112) 및 복수의 가압부(200,210,230,240)들이 프레임(102)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되는바, 이러한 프레임(102)을 리더(40)의 하부 영역 일부에 간단히 설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그 조립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는, 앞선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와 비교할 때, 리더에 설치되는 위치 관계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는, 리더(40)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연약지반에 압입되는 일정 길이의 드레인재(50)를 양 방향에서 접촉되게 밀착시킨 상태로 압입시키되, 상하에 걸쳐 배치되는 적어도 두 쌍의 회동부(300,310)(320a,330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드레인재(50)를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에 양 방향에 배치되고, 후술되는 가압부(200,210,230,240)들에 의해 드레인재(50)와 밀착되게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드레인재(50)를 연약지반 상으로 압입시키는 제1 회동부(300) 및 제2 회동부(310)와, 제3 회동부(320a) 및 제4 회동부(33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회동부(300) 및 제2 회동부(310)와 제3 회동부(320a) 및 제4 회동부(330a)로 이루어지는 두 쌍의 회동부(300,310)(320a,330a)는 드레인재(50)를 두고 양 방향에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112)들의 상하 영역에 대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112)는 드레인재(50)를 사이에 두고 양 방향에 배치되고, 후술되는 가압부(200,210,230,240)들에 의해 드레인재(50) 쪽을 향해 이동하거나 드레인재(50)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되는 것으로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2)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110,112)는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가압부(200,210,230,240)들이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재(50)를 기준으로 어느 한 쪽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에는 제1 가압부(200)가 연결되게 설치되고, 하단에는 제3 가압부(230)가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재(50)를 기준으로 다른 한 쪽에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2)의 상단에는 제3 가압부(230)가 연결되게 설치되고, 하단에는 제4 가압부(240)가 연결되게 설치됨으로써, 모두 4점에 각각 가압부(200,210,230,240)들이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압부(200) 내지 제4 가압부(240)는 각각 압입장치(100)의 프레임(102)에 그 일단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펌프(202,212,232,242)들에 의해 신장 또는 축소됨에 따라 각 베이스 플레이트(110,112)들의 각 상단 및 각 하단을 개별적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112)들이 드레인재(50)를 향해 이동되도록 하거나 반대로 이격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펌프(202,212,232,242)들은, 제1 가압부(200)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 또는 회수함에 따라 길이 신장 또는 축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펌프(202)와, 제2 가압부(210)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 또는 회수함에 따라 길이 신장 또는 축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 펌프(212)와, 제3 가압부(230)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 또는 회수함에 따라 길이 신장 또는 축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3 펌프(232) 및 제4 가압부(240)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 또는 회수함에 따라 길이 신장 또는 축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4 펌프(2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펌프(202) 내지 제4 펌프(242)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유압 또는 공압을 제1 가압부(200) 내지 제4 가압부(240)에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 및 하단과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2)의 상단 및 하단은 제어부(5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개별적으로 간격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제어부(5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제1 펌프(202) 내지 제4 펌프(242)로 하여금 유압 또는 공압을 제1 가압부(200) 내지 제4 가압부(240)에 각각 개별적으로 공급 또는 회수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 및 하단과,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2)의 상단 및 하단을 드레인재(50) 쪽을 향해 개별적으로 이동시키거나 드레인재(50)로부터 개별적으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2)의 하부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회동부(300) 및 제2 회동부(310)와, 상부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3 회동부(320a) 및 제4 회동부(330a)는 제1 가압부(200) 내지 제4 가압부(240)에 의해 정밀하게 드레인재(50)의 양 측에 접촉되게 밀착되거나 이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압입장치는, 하나의 실린더에 의해 양쪽에 배치되는 회동부들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짐에 따라 어느 한쪽의 회동부에 대한 가압력이 다른 한쪽의 회동부에 대한 가압력과 차이를 갖게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드레인재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편심되어 드레인재가 수직 방향으로 압입되지 않고 경사지게 압입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압입장치(100)는, 드레인재(50)의 양 측에 대하여 상하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두 쌍의 회동부(300,310)(320a,330a)들 중, 제1 회동부(300) 및 제3 회동부(320a)가 위치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단 부위 또는 상단 부위에 대한 가압력과, 제2 회동부(310) 및 제4 회동부(330a)가 위치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2)의 하단 부위 또는 상단 부위에 대한 가압력에 차이가 있을 경우, 제1 가압부(200) 내지 제4 가압부(240)를 제어부(500)가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편심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정한 후 압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바, 종래의 압입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두 쌍의 회동부(300,310)(320a,330a) 중, 하부 영역에 위치하는 제1 회동부(300) 및 제2 회동부(310)는 제어부(5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회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302) 및 제2 모터(312)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두 쌍의 회동부(300,310)(320,330) 중, 상부 영역에 위치하는 제3 회동부(320a) 및 제4 회동부(330a)는 역시 제어부(5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회동력을 제공하는 제3 모터(322) 및 제4 모터(332)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터(302)가 장착된 제1 회동부(300)와, 제2 모터(312)가 장착된 제2 회동부(310), 그리고 제3 모터(322)가 장착된 제3 회동부(320a)와 제4 모터(332)가 장착된 제4 회동부(330a)는 모두 주동 회동부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제1 모터(302) 내지 제4 모터(332)에 입력 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제1 회동부(300) 내지 제4 회동부(330a)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회동부(300) 내지 제4 회동부(330a)가 드레인재(50)의 양 측에 접촉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드레인재(50)를 연약지반에 대하여 압입할 수 있게 된다.
즉, 드레인재(50)는 상하에 걸쳐 두 쌍의 회동부(300,310)(320a,330a)들에 의해 연약지반으로 압입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1 가압부(200) 내지 제4 가압부(240)에 의해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112)들이 드레인재(50)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부 영역에 배치된 한 쌍의 회동부(300,310)들이 드레인재(50)의 양 측과 접촉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한 쌍의 회동부(300,310)들과 대향되는 부위에 배치된 다른 한 쌍의 회동부(320a,330a)들 또한 드레인재(50)의 양 측과 접촉되어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바, 드레인재(50)는 수직 방향을 유지한 상태에서 지지되는 접촉 면적이 커지게 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편심 없이 연약 지반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압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3 회동부(320a) 및 제4 회동부(330a)가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112)들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112)들의 각 상단과 연결되는 제1 가압부(200) 및 제2 가압부(210)를 제어부(500)가 개별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제3 회동부(320) 및 제4 회동부(330)가 드레인재(50)의 양 측에 대한 밀착력이 조절될 수 있게 되는바, 역시 드레인재(50)의 편심을 예방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제1 회동부(300) 및 제2 회동부(310)가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112)들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한 쌍의 베이스플레이트(110,112)들의 각 하단과 연결되는 제3 가압부(230) 및 제4 가압부(240)를 제어부가 개별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제1 회동부(300) 및 제2 회동부(310)가 드레인재(50)의 양 측에 대한 밀착력이 조절될 수 있게 되는바, 역시 드레인재(50)의 편심을 예방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참고로, 제1 가압부(200) 내지 제4 가압부(240)는 실린더가 제공될 수 있고, 제1 펌프(202) 내지 제4 펌프(242)는 실린더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유압 또는 공압 펌프일 수 있다.
또한, 도 6을 다시 한 번 참조하면, 프레임(102)의 하측 부위에는 연약지반 상에 수직 방향으로 압입되는 드레인재(5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104)와 가이드 홀(10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드레인재(50)는 수직 방향으로 압입될 때 접촉 면적이 더욱 늘어나게 되어 지지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바, 편심 없이 수직 방향으로의 압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또한, 상하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두 쌍의 회동부(300,310)(320a,330a)와,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10,112) 및 복수의 가압부(200,210,230,240)들이 프레임(102)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되는바, 이러한 프레임(102)을 리더(40)의 하부 영역 일부에 간단히 설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그 조립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40 : 리더 50 : 드레인재
100 : 압입장치 102 : 프레임
104 : 가이드 롤러 106 : 가이드 홀
110 : 제1 베이스 플레이트 112 : 제2 베이스 플레이트
200 : 제1 가압부 202 : 제1 펌프
210 : 제2 가압부 212 : 제2 펌프
230 : 제3 가압부 232 : 제3 펌프
240 : 제4 가압부 242 : 제4 펌프
300 : 제1 회동부 302 : 제1 모터
310 : 제2 회동부 312 : 제2 모터
320,320a : 제3 회동부 322 : 제3 모터
330,330a : 제4 회동부 332 : 제4 모터
500 : 제어부

Claims (8)

  1. 연약지반 상에 압입되는 드레인재의 양 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되, 상하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 쌍의 회동부들과; 상기 두 쌍의 회동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들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들의 각 상단 및 각 하단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가압부들; 및 상기 복수의 가압부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들의 각 상단 및 각 하단을 상기 드레인재에 대하여 간격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두 쌍의 회동부들이 상기 드레인재의 양 측에 동일한 가압력으로 밀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드레인재를 사이에 두고 어느 한 쪽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드레인재를 사이에 두고 다른 한 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부들은,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연결되게 설치되는 제1 가압부 내지 제4 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압부 내지 제4 가압부는 각각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인접한 각 상단과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인접한 각 하단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가압부 내지 제4 가압부들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이고,
    상기 제어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각각 제1 펌프 내지 제4 펌프로부터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받거나 또는 회수됨에 따라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 상단 및 각 하단을 개별적으로 위치 이동시키며,
    상기 두 쌍의 회동부들 중, 한 쌍의 회동부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들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고,
    다른 한 쌍의 회동부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두 쌍의 회동부 중, 적어도 한 쌍의 회동부에는,
    상기 제어부의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회동부를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들이 장착되고,
    상기 두 쌍의 회동부 모두에는,
    상기 제어부의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두 쌍의 회동부를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들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쌍의 회동부 중, 적어도 한 쌍의 회동부에 상기 모터들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회동부와,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회동부는 벨트 또는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되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부들과, 상기 두 쌍의 회동부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부들의 각 일단들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드레인재의 수평 방향 압입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 및 가이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KR1020170092577A 2017-07-21 2017-07-21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KR101875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577A KR101875859B1 (ko) 2017-07-21 2017-07-21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577A KR101875859B1 (ko) 2017-07-21 2017-07-21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859B1 true KR101875859B1 (ko) 2018-07-06

Family

ID=6292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577A KR101875859B1 (ko) 2017-07-21 2017-07-21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85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5147U (ko) * 1987-11-04 1989-05-22
JP2002081050A (ja) * 2000-09-06 2002-03-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ドレン材打設装置
KR20030036186A (ko) * 2000-05-23 2003-05-09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건설 기계
JP2005048480A (ja) * 2003-07-29 2005-02-24 Kajima Corp ドレン材打設機械
JP2011174291A (ja) * 2010-02-24 2011-09-08 Drain Kiso Kogyo Kk ドレーン材の打設装置
JP2014070469A (ja) * 2012-10-01 2014-04-21 Yokoyama Kiso Koji:Kk ケーシングガイド装置およびケーシング打設方法
KR20160144282A (ko) * 2015-06-08 2016-12-16 배진화 마찰륜 및 활차를 구비한 배수재 설치장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5147U (ko) * 1987-11-04 1989-05-22
KR20030036186A (ko) * 2000-05-23 2003-05-09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건설 기계
JP2002081050A (ja) * 2000-09-06 2002-03-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ドレン材打設装置
JP2005048480A (ja) * 2003-07-29 2005-02-24 Kajima Corp ドレン材打設機械
JP2011174291A (ja) * 2010-02-24 2011-09-08 Drain Kiso Kogyo Kk ドレーン材の打設装置
JP2014070469A (ja) * 2012-10-01 2014-04-21 Yokoyama Kiso Koji:Kk ケーシングガイド装置およびケーシング打設方法
KR20160144282A (ko) * 2015-06-08 2016-12-16 배진화 마찰륜 및 활차를 구비한 배수재 설치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5960B (zh) 用于在造纸机或纸板机中变换织物的方法和装置
KR101875859B1 (ko)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KR101871415B1 (ko)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CN100500548C (zh) 配备工作平台的车辆
KR101871418B1 (ko)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KR101871417B1 (ko)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KR101871416B1 (ko)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KR101853031B1 (ko)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KR101897786B1 (ko) 이송장치
KR102284035B1 (ko) Pbd 공법용 드레인재 압입장치
KR101897785B1 (ko) 이송장치
KR101846531B1 (ko) 배관보수용 튜브의 함침장치
CN202228020U (zh) 注入头装置
CN109667609A (zh) 混凝土预制板铺设运输车
KR200432062Y1 (ko)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KR101762890B1 (ko)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CN211310236U (zh) 土工膜下膜机
KR100632439B1 (ko) 전방향 이동식 셀터장치
KR100532852B1 (ko) 드레인 케이싱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드레인 시공장비
KR20180033649A (ko) 천공효율을 향상시킨 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09704597U (zh) 混凝土预制板铺设运输车
KR101007634B1 (ko) 시트 부착 장치
CN106743729A (zh) 一种蜂蜜桶倾倒装置
KR100877422B1 (ko) 연약지반 개량용 시공장비의 드레인재 공급 제어기
KR101897784B1 (ko)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