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913B1 -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913B1
KR102000913B1 KR1020170147989A KR20170147989A KR102000913B1 KR 102000913 B1 KR102000913 B1 KR 102000913B1 KR 1020170147989 A KR1020170147989 A KR 1020170147989A KR 20170147989 A KR20170147989 A KR 20170147989A KR 102000913 B1 KR102000913 B1 KR 102000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vehicle
room
handle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356A (ko
Inventor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147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91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건이나 공구 등을 수납하기 위한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면에 형성되는 홈 내에 돌출 손잡이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품질향상 및 원가절감뿐만 아니라 러기지 룸 내에 수납되는 화물이 돌출 손잡이의 간섭을 받지 않는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tray for luggage room of vehicle}
본 발명은 물건이나 공구 등을 수납하기 위한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면에 형성되는 홈 내에 돌출 손잡이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품질향상 및 원가절감뿐만 아니라 러기지 룸 내에 수납되는 화물이 돌출 손잡이의 간섭을 받지 않는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 RV 차량(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6647호)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어 시트(1) 후방 공간이 비교적 스페이스가 큰 러기지 룸(2)으로서 설정되어 있고, 리어 시트(1)의 시트 백(1a)을 앞당김으로써, 러기지 룸(2)의 공간을 또한 확대시켜 벌키의 화물을 유효하게 수용할 수 있는 구성이 되어 있다.
그리고 러기지 룸(2) 내에는 스페어타이어(3)를 플로어 패널(4)의 오목부(4 a) 내에 수용하게 되어 있고, 이 스페어타이어(3)의 상면을 덮어 러기지 룸(2) 내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러기지 플로어 박스(5)가 설정되어 있다.
러기지 플로어 박스(5)는 PP 수지, ABS 수지 등의 합성수지 사출 성형체로 구성되며, 내부에 공구류를 수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커버(6)에서 상면 개구를 덮고 시트 백(1a)을 앞당겼을 때, 시트 백(1a)의 배면과 커버(6)가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루어, 러기지 룸(2) 내로의 화물류의 반입, 반출을 용이하게 수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러기지 플로어 박스(5) 자체의 중량 및 러기지 플로어 박스(5) 내에 중량의 커지는 공구류 등을 수용하는 관계로 스페어타이어(3)에 부하가 가해지기 때문에, 스페어타이어(3)의 손상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로어 패널(4)의 좌우 측에 브라켓(7)이 설치되어 있고, 러기지 플로어 박스(5)의 좌우 측의 플랜지(5a)를 브라켓(7)에 걸리게 함으로써, 스페어타이어(3)에 부하를 주지 않고 러기지 플로어 박스(5)를 러기지 룸(2) 내에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커버(6)에는 손잡이가 없는 관계로 개폐하는데 사용자의 불편함이 컸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6)에 손잡이용 스트랩(18)을 융착 또는 리벳 등으로 고정해서 사용했다.
따라서 스트랩(18)을 끼우기 위한 관통공 형성 및 끼우는 조립, 별물인 스트랩(18)의 사용, 융착 공정 등 부품수, 융착 공정 등으로 원가상승 및 조립에 따른 품질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한 종래의 러기지 플로어 박스의 덮개가 일본특허공보 제5354998호에 공지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는 아래로 움푹 들어간 함몰홈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손잡이의 역할을 한다고 하지만, 구덩이 타입의 함몰홈은 잡기가 힘들어서 손가락을 거는 별도의 손잡이를 설치하는 게 좋다고 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6647호 일본특허공보 제535499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커버 위에 물건이 놓여도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도 일체로 커버와 형성시켜 원가절감 및 품질향상에 기여한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는, 트레이 박스와, 상기 트레이 박스를 개폐하는 트레이 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커버는 일체 사출 성형되되, 트레이 커버체; 상기 트레이 커버체에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 상기 함몰홈 내에 배치되게 위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돌기 손잡이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평면상에 배치되는 경사형 돌기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함몰홈과 상기 경사형 돌기 손잡이는 좌우 양측에 배치되되, 상기 경사형 돌기 손잡이에는 네트의 훅이 걸리는 걸림홀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트레이 커버체의 함몰홈 내에 배치되게 위로 돌출된 돌기 손잡이가 일체로 사출 성형됨으로써, 돌기 손잡이가 함몰홈 내에 있기 때문에 트레이 커버체 위에 물건을 놓아도 간섭되지 않고 다수의 트레이 커버를 포개어 보관하거나 운송할 때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기 손잡이가 별물이 아니라 일체로 사출되어 부품수의 감소와 더불어 조립이나 융착 공정 등도 삭제되어 원가절감을 달성하고 동일한 품질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 손잡이가 경사형 돌기 손잡이로 구현됨으로써, 수직보다는 그립감이 좋아 잡고 열기가 편리하다.
특히 돌기 손잡이에 걸림홀을 둠으로써, 물건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네트를 칠 때 네트의 아래쪽 좌우 훅이 걸리는 걸림홀의 기능을 해서 별도의 걸림고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종래 RV 차량의 러기지 플로어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종래 러기지 플로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 다른 차량 러기지 룸용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스트랩 부분의 단면도.
도 5는 통상 러기지 룸에 네트가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러기지 룸용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7-7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러기지 룸용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7-7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1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박스(15)와, 트레이 박스(15)의 상면 개구를 개폐하는 트레이 커버(160)를 포함한다.
트레이 박스(15)는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갖고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좌우측의 플랜지(5a)가 브라켓(7)에 설치된다.
트레이 커버(160)는 일반적으로 2개의 보드 사이에 공기를 주입하여 성형하는 에어 블로우 공법으로 제작한다.
트레이 커버(160)는 트레이 박스(15)의 상면을 개폐하는 트레이 커버체(161)와, 트레이 커버체(161)에 형성되는 함몰홈(163)과, 함몰홈(163) 내에 배치되게 위로 돌출한 돌기 손잡이(165)를 포함한다.
트레이 커버체(161)는 상판(161a)과, 상판(161a)의 전후에서 아래로 절곡 형성되는 전후 플랜지(161b)(161c)를 포함한다.
전후 플랜지(161b)(161c)는 트레이 박스(15)의 전후 상단(15b)(15c)의 외측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트레이 커버(160)가 트레이 박스(15)에 끼워진 채 닫히기 때문에, 손잡이를 잡고 당겨야 한다.
이를 위해, 트레이 커버체(161)가 에어 블로우 성형 될 때 일체로 함몰부(163)와 돌기 손잡이(165)가 형성시킨다.
돌기 손잡이(165)가 함몰홈(163) 내부에 배치시킨 것은, 트레이 커버체(161) 위에 물건을 등을 놓을 때 간섭되지 않게 하고, 다수의 트레이 커버(160)를 포개어 보관하거나 운송할 때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돌기 손잡이(165)가 도 7과 같이 수평과 수직 사이의 평면 사이에 경사 시킨 경사형 돌기 손잡이(165)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형 돌기 손잡이(165)는 수직형 돌기 손잡이보다 잡는 그립감이 우수하여 잡고 들어올리기 쉽니다.
한편, 경사형 돌기 손잡이(165)에는 걸림홀(16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홀(167)은 러기지 룸에 설치되는 네트(N)의 훅이 걸리는 고리의 역할도 겸할 수 있다.
즉, 러기지 룸에는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도로사정이 양호하여짐에 따라 자동차 특히 승용차 또는 레크리에이션 자동차(RV)를 이용하여 장거리 여행을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고, 장거리 여행시에는 화물의 수송량도 많아지고 있음으로 화물의 수송 중 요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와 같이 러기지 룸에 화물 고정용 네트(N)를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네트(N)를 설치하기 위해 상하 좌우 4군데의 훅이 걸리는 고리가 좌우측 러기지 사이드와 플로어에 고리(R) 4개가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걸림홀(167)은 고리(R) 4개 중 적어도 2개의 설치를 삭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홀(167)이 형성된 경사형 돌기 손잡이(165)가 함몰홈(163) 내에 일체로 성형 배치됨으로써, 부품수 및 공정수 감소로 인한 원가절감, 동일 품질 유지, 트레이 커버(160) 위에 놓인 물건의 비간섭, 트레이 커버(160)의 보관이나 운송할 때 다수의 적층이 가능해서 점유 공간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경사형 돌기 손잡이(165)로서 잡는 그립감이 매우 우수하고, 네트(N)의 고리(R)가 걸리는 걸림홀(167)이 기능도 겸하게 되어, 단일의 경사형 돌기 손잡이(165)가 함몰홈(163)과 걸림홀(167) 간의 유기적 결합을 통한 상승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15 : 트레이 박스 100 : 트레이
160 : 트레이 커버 161 : 트레이 커버체
163 : 함몰홈 165 : 경사형 돌기 손잡이
167 : 걸림홀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트레이 박스(15)와, 상기 트레이 박스(15)의 상면 개구를 개폐하는 트레이 커버(160)를 포함하는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100)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커버(160)는 상기 트레이 박스(15)의 상면을 개폐하는 트레이 커버체(161)와, 상기 트레이 커버체(161)에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163)과, 상기 함몰홈(163) 내에 배치되게 위로 돌출한 돌기 손잡이(165)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되,
    상기 돌기 손잡이(165)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평면상에 배치되는 경사형 돌기 손잡이(165)로 이루어지고,
    상기 함몰홈(163)과 상기 경사형 돌기 손잡이(165)는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경사형 돌기 손잡이(165)에는 러기지 룸에 설치되는 네트(N)의 훅이 걸리는 걸림홀(167)이 형성되는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
KR1020170147989A 2017-11-08 2017-11-08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 KR102000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989A KR102000913B1 (ko) 2017-11-08 2017-11-08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989A KR102000913B1 (ko) 2017-11-08 2017-11-08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356A KR20190052356A (ko) 2019-05-16
KR102000913B1 true KR102000913B1 (ko) 2019-07-17

Family

ID=6667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989A KR102000913B1 (ko) 2017-11-08 2017-11-08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9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4998B2 (ja) * 2008-08-31 2013-11-27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成形体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647A (ja) 1996-07-04 1998-01-20 Kasai Kogyo Co Ltd Rv車のラゲージフロア構造
KR101759395B1 (ko) * 2015-10-12 2017-07-19 최효진 차량의 스페어타이어룸과 연동되는 다용도 수납박스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4998B2 (ja) * 2008-08-31 2013-11-27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成形体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356A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7224B2 (en) Integrated vehicle storage arrangement
CN108202770B (zh) 后栏板储物格间
US7651146B2 (en) Vehicle cargo sidewall structure
US6196605B1 (en) Portable storage apparatus for motor vehicle
US7290820B1 (en) Vehicle cargo retention system
US7794004B2 (en) Multi-compartment cargo system
US8672387B1 (en) Utility vehicle
US5667115A (en) Vehicle interior storage container
US5797642A (en) Luggage compartment construction
US10926708B2 (en) Second row under-seat storage accessory
US7192073B2 (en) Underfloor storage structure for vehicle
US10434955B2 (en)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of vehicle
JP4739428B2 (ja) シート型収納装置
US5720507A (en) Bed liner with side wall load restraining and support structure
JP2000108792A (ja) 車両後部構造
KR101286469B1 (ko) 차량용 트랜스버스 트림
KR200472702Y1 (ko) 자동차 트렁크용 수납박스
KR102000913B1 (ko) 차량의 러기지 룸용 트레이
KR200431629Y1 (ko)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조립체
US20070194071A1 (en) Configurable vehicle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use
JP2005067551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2506240B1 (ko) 차량용 루프박스
JP2000177491A (ja) 自動車用トノカバー
JP4239777B2 (ja) 車両の後部構造
CN217892675U (zh) 用于车辆的货物区域的货物分隔件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