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521B1 -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521B1
KR102000521B1 KR1020170027223A KR20170027223A KR102000521B1 KR 102000521 B1 KR102000521 B1 KR 102000521B1 KR 1020170027223 A KR1020170027223 A KR 1020170027223A KR 20170027223 A KR20170027223 A KR 20170027223A KR 102000521 B1 KR102000521 B1 KR 102000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present
composition
aerosil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0867A (ko
Inventor
박정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이치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이치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이치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70027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52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0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3Guanid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표면의 착색 억제 및 방지 효과가 탁월하고, 구강 내 존재하는 구강 세균들에 대한 항균성과 항-바이오필름(antibiofilm) 활성이 우수함은 물론이고, 치아 표면의 환경을 소수화하여 상술된 효과를 지속시킴과 동시에 세정의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Oral spray composition}
본 발명은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강은 인체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창구 역할을 하는 곳으로서 몸의 건강 상태가 즉각 반영된다. 특히 구강 질환의 원인인 구강 내 미생물은 혈액을 통해서 혈관에 침입하여 신체 다른 부분에 이르게 되고, 심장 질환, 뇌졸중, 당뇨,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 등과 같은 전신 질환의 원인이 된다.
치아는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으로 이루어진 무기질로서, 그 질환은 크게 충치와 치주질환을 들 수 있다. 이중, 충치는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치과질병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발생빈도가 높다. 대한치과의사 협회의 보고에 따르면, 아동의 90% 이상이 치아 우식(Dental caries)을 경험하며, 성인의 80% 이상이 잇몸질환을 갖고 있다고 한다. 이런 질환은 구강 내의 미생물이 음식물 및 타액과의 상호작용으로 유발된다.
이러한 충치 및 치주질환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미생물로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와 플레보텔라 인터메디 아(Prevotella intermedia)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미생물들은 음식물 내에 존재하는 자당(Sucrose)을 포도당(Glucose)과 과당(Fructose)으로 생성하는 미생물 대사과장을 일으켜, 포도당의 중합체인 불용성 글루칸(Glucan)을 치면에 형성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글루칸에 의해 구강 내 다른 미생물들과 치면에 부착하여 치면세균막, 즉 플라크 (Dental plaque)를 형성하게 된다. 형성된 플라크의 내부에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를 포함한 젖산균에 의해 축적된 젖산이 치아표면의 에나멜을 용해시켜 충치를 유발한다. 또한 그러한 각종균의 증식에 따른 산물들에 의해 치욕 이 용해되므로 치주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충치 및 치주질환을 억제하기 위한 유효성분으로는 소듐 바이카보네이트(NaHCO3), 트리클로산(Triclosan, C12H7Cl3O2), 폴리포스페이트(polyphosphate) 및 불화소다(NaF)등의 항균물질; 반코마이신(Vancomycin),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및 스피라마이신(Spiramycin) 등의 항생물질; 및 유기/무기 불소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은 충치 예방에 효과를 보이나, 구토, 설사, 항생물질 내성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보고에 따라 이의 사용이 제한 되고 있다. 더욱이, 상술된 유효성분의 일부는 구강 내의 미생물 중 유익한 세균까지 모두 해칠 뿐만 아니라, 과용할 경우 치아 변색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구강 질환을 효과적으로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는 구강 조성물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거듭한 결과, 소정의 조합을 만족하는 경우, 부작용을 야기하지 않으며, 구강 내의 미생물 중 유해균에 대한 높은 선택성은 물론 이의 억제 효과에 탁월함을 보이며, 항-바이오필름(antibiofilm) 활성에 현저성을 보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고, 구강 내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가 탁월한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에 장시간 잔류하여, 플라크(plague)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강 내의 미생물로부터 유발되는 유기산에 의한 산성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구강 내 환경을 소수화함으로써, 세정의 용이성을 부여한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클로르헥시딘, 실리카 및 키토산을 포함하는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조성물은 바이오필름 억제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구강 세균 억제용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강 세균은 충치, 치아 우식증, 치은염, 치주염, 구취 등과 같은 구강 질환을 야기하는 병원성 세균일 수 있으며, 특히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us sp .), 악티노바실러스 속(Actinobacillus sp .), 푸조박테리움 속(Fusobacterium sp.), 프리보텔라 속(Prevotella sp.), 포필로모나스 속(Porphylomonas sp .), 캔디다 속(Candida sp .) 등에서 선택되는 구강 세균에 탁월함을 보인다.
본 발명은 상술된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레이 제형으로 손쉬운 도포가 가능하며, 구강 내에 도포되어 우수한 접착력으로 구강 내 환경을 소수화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구강 내 도포 후 침이나 수분에 의해 쉽게 제거되지 않을 뿐 아니라 구강 내 오랫동안 잔류되어 구강 세균에 대한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억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플라크 형성 및 입냄새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종합적인 구강 건강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의 외인성 착색에 의한 오염을 효과적으로 억제 및 방지함으로써, 사용 후 우수한 관능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유해균을 제외한 다른 균, 즉 구강 유익균에는 유효한 항균 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선택적인 항균 효과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에 대하여 이하 상술하나,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구강 내의 미생물"은 충치, 치아우식증, 치은염, 치주염, 구취 등과 같은 구강 질환의 원인이 되는 균을 의미하고, 이의 종류에는 바람직하게는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us sp .), 악티노바실러스 속(Actinobacillus sp .), 푸조박테리움 속(Fusobacterium sp .), 프리보텔라 속(Prevotella sp .), 포필로모나스 속(Porphylomonas sp .)에서 선택되는 세균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 은 통상적인 사용에 있어서, 특정 치료제의 전신 투여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삼켜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구강 활성의 목적으로 치아 표면 및/또는 구강 조직의 사실상 전부와 접촉하기 위한 스프레이 제형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프레이 제형으로 도포되어, 치아의 플라크를 제거하는 것 외에, 플라크의 형성과, 치아 우식, 치주염 및 치은염과 같은 구강 질병을 예방하고, 또한 구강 악취 또는 입냄새 및 착색을 제거 및 예방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바이오필름"은 구강 내 세균들이 치아의 표면에 부착하여 형성한 막을 의미하는 것으로 치면세균막(치아의 플라크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치면세균막은 부식성 산독성 물질(일예, 유기산)을 발생시키는 세균이 타액 및 점액질 물질과 함께 치아의 표면에 퇴적된 막으로써, 구강 질환의 직접적 원인이 되는 물질이며, 치아의 표면에서 유기산을 발생시켜 치아의 법랑질을 파괴하여 치석과 발치에 이르게 하고, 치주질환을 유발한다. 이러한 치면세균막은 구강 내 자정작용으로 제거할 수 없어 물리적, 화학적 외부 수단으로 제거해야 한다.
클로르헥시딘은 플라크 제거 및 항균효과에 상당한 효과를 가지나 일반적인 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들에 의해 불활성화되어 사용이 제한되며, 장기간 사용시 치아에 착색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이 보고된 바 있어, 실질적으로 구강 조성물로의 사용에는 큰 제약이 따랐다.
본 출원인은 이점에 착안하여,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함은 물론 구강 내 잔류력을 향상시켜 치아 우식, 치주염 및 치은염과 같은 구강 질병을 예방하고, 입냄새를 억제할 수 있는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에 대한 연구를 거듭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클로르헥시딘, 실리카 및 키토산을 포함한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구강 내의 미생물 중 유해균에 대한 높은 선택성은 물론 이의 억제 효과에 탁월함을 보인다. 특히, 구강 내 미생물로부터 유발되는 유기산에 의한 산성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충치를 포함한 구강 질병의 초기 발생기전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클로르헥시딘과 키토산의 강력한 상호작용으로 클로르헥시딘으로부터 야기되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구강 내 도포 후 우수한 접착력으로 부착되어 지속적으로 항균 활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치아에 장시간 잔류하여, 플라크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은 물론 치아의 표면에 형성되는 세균집락을 억제함으로써, 항-바이오필름(antibiofilm) 활성에 현저성을 보인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의 상기 실리카는 바람직하게 소수성의 특징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이의 비한정적인 일예로 습식 실리카(Precipitated silica), 건식 실리카(fumed silica)를 들 수 있다.
이때, 소수성의 특징을 갖는 실리카는 습식 실리카 및 건식 실리카 뿐 아니라 통상의 방법으로 소수성화 된 것일 수 있다. 일예로, 옥틸트라이메톡시실란, 옥틸트라이에톡시실란, 헥사메틸다이실라잔, 헥사데실트라이메톡시실란, 헥사데실트라이에톡시실란, 다이메틸폴리실록산, 노나플루오로헥실트라이메톡시실란, 트라이데카플루오로옥틸트라이메톡시실란, 및 트라이데카플루오로옥틸트라이에톡시실란이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다이실라잔, 옥틸트라이에톡시실란 및 다이메틸 폴리실록산 등에서 선택되는 유기 실란 화합물을 이용하여 실리카 표면이 소수성화된 실리카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짐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구강 내 도포되어 구강 내 환경을 소수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이나 수분에 의해 도포된 조성물이 쉽게 제거되지 않을 뿐 아니라 이의 잔류력을 높일 수 있다.
이의 효과에 있어,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리카는 중량 대비 0.1 내지 15 중량%의 탄소를 함유한 건식 실리카인 것일 수 있으며, 이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AEROSIL® R 8200, AEROSIL® R 9200, AEROSIL® R 711, AEROSIL® RY 50, AEROSIL® NY 50, AEROSIL® NY 50 L, AEROSIL® RY 200, AEROSIL® RY 200 S, AEROSIL® RX 50, AEROSIL® NAX 50, AEROSIL® RX 200, AEROSIL® RX 300, AEROSIL® R 504, AEROSIL® NX 90 S, AEROSIL® NX 90 G, AEROSIL® RY 300, AEROSIL® REA 90, AEROSIL® REA 200, AEROSIL® RY 51, AEROSIL® NA 50 Y, AEROSIL® RA 200 HS, AEROSIL® NA 50 H, AEROSIL® RA 200 H, AEROSIL® NA 130 K, AEROSIL® NA 200 Y, AEROSIL® NX 130, AEROSIL® RY 200 L, AEROSIL® R 709, AEROSIL® R 976 S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클로르헥시딘을 0.005 내지 5 중량%, 실리카를 0.01 내지 10 중량% 및 키토산을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의 잔부는 물 등을 포함하는 용매일 수 있으며, 이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물, 함수에탄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키틴, 젤라틴, 콜라겐, 케라틴, 세레신,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소 함유 수용성 고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클로르헥시딘과의 상호작용을 보다 강력하게 높여 클로르헥시딘의 부작용으로 알려진 치아 변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상기 질소 함유 수용성 고분자를 더 포함함에 따라 이의 효과를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치아 및 구강 내 잔류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질소 함유 수용성 고분자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바이오필름 억제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구강 질환의 원인이 되는 치면세균막의 생성 및 이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도 인체 및 환경 독성의 위험이 없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오 필름 형성의 초기 단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균의 구강 내 세균막 생성 및 치아 부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구강 스프페이용 조성물은 구강 세균 억제용일 수 있다.
상기 구강 세균은 스트렙토코커스 속, 악티노바실러스 속, 푸조박테리움 속, 프리보텔라 속, 포필로모나스 속 및 캔디다 속 등에서 선택되는 것으로 구강 유익균에는 유효한 항균 작용을 나타내지 않고, 상술된 구강 세균, 즉 구강 유해균에 대한 선택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강 세균의 구체적인 일에로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트렙토코커스 상귀니스(Streptococcus sanguinis), 스트텝토코커스 소브리너스(Streptococcus sobrinus), 스트렙토코커스 라티(Streptococcus ratti), 스트렙토코커스 크리세티(Streptococcus criceti), 스트렙토코커스 안지노수스(Streptococcus anginosus), 스트렙토코커스 고도니(Streptococcus gordonii), 악티노바실러스 악티노마이셈템코미탄스(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푸조박테리움 뉴클레아툼 (Fusobacterium nucleatum), 프리보텔라 인터미디어(Prevotella intermedia),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lomonas gingivalis)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푸조박테리움 뉴클레아툼(Fusobacterium   nulcleatum) 및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등에 탁월한 항균 활성을 보여 본 발명에서 우선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불활성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성분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습윤제, 감미제, 착향제, 색소 및 보존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의 사용량 역시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습윤제는 조성물 내의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기 위한 성분으로, 이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액, 비결성 소르비톨액,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등 다가 알코올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감미제는 제품 사용시 맛을 좋게 하는 성분으로, 이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자일리톨, 사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감초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pH 조정제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구연산, 및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착향제는 제품 사용시 향을 상쾌하게 하기 위한 성분으로, 이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페퍼민트, 레몬, 티트리, 오렌지 등의 에센셜 오일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존제는 조성물의 보존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성분으로, 이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를 제공한다.
이는 스프레이 제형으로 손쉬운 도포가 가능하며, 구강 내에 도포되어 우수한 접착력으로 구강 내 환경을 소수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구강 내 도포 후 침이나 수분에 의해 쉽게 제거되지 않을 뿐 아니라 구강 내 오랫동안 잔류되어 구강 세균에 대한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억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클로르헥시딘에 의한 치아의 외인성 착색 또는 변색 등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향상된 잔류력으로 구강 유해균에 대한 높은 항균 활성을 억제할 수 있어, 극미량의 클로르헥시딘의 사용으로도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클로르헥시딘의 사용에 따른 부작용의 우려를 원천에 방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는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충치, 치아 우식증, 치은염, 치주염, 구취 등과 같은 구강 질환의 초기 발생기전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종합적인 구강 건강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은 첨가물의 단위는 중량%일 수 있다.
(평가방법)
1. 항균 효과 확인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항균 활성은 구취발생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푸조박테리움 뉴클레아툼(Fusobacterium   nulcleatum)과 구강점막감염증 원인균인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를 대상으로 측정되었다.
배양한 각각의 균주를 응고된 평판 배지 위에 약 50㎕를 가하여 평판배지에 분주하고 스프레더(spreader)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말 하였다. 상기 조성물 1 중량비를 기준으로 20 내지 5120 중량비로 희석한 실험액 2 ㎖와 혈액 한천 배지(혈액 한천 베이스 + 최종 농도 5 %의 양 혈액) 18 ㎖를 9 cm 페트리 디쉬(petri dish)에 부었다. 그 후 시험균을 접종하고, 혐기성 챔버를 이용하여 37 ℃에서 96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시험균이 자라지 않는 최대희석비율을 MID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Bactron I. anaerobic chamber를 사용).
2. 플라크 제거능 확인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플라크 제거능은 하기 치아 모사 실험으로 측정되었다.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균을 Brain Heart infusion 배지에서 24 시간 동안 35 ℃에서 배양하였다. 치아 모사물질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를 70% 에탄올에 30분간 담구고, 멸균한 후 멸균 이온수로 3회 세정하였다. 세정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를 한 개씩 24-웰 플레이트에 넣었다. 각 웰에 1% 뮤신(mucin)을 함유한 멸균 이온수를 1 ㎖ 씩 넣고 35 ℃에서 30 분간 보관하여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를 뮤신으로 코팅하였다.
배양시킨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의 배양액을 접종하여 35℃, 72시간 배양하여 바이오필름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각각 PBS버퍼에 20% 희석한 후 1 ㎖를 취하여,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에 3분간 처리한 후 멸균 이온수로 3회 세정하였다. 그 다음 0.1%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을 처리하여 염색하고 완전히 건조시킨 후, 70% 에탄올에 넣어 염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염료 희석액의 농도를 광학밀도 OD(Optical Density, 590nm)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3. 치면세균막 지수 및 치면세균막 형성 억제율 확인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치면세균막 지수 (Plaque Index) 를 측정하였다.
먼저, 잔류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실험 대상자(27명)의 치아를 동일한 방법으로 세마 작업(초음파치석제거기 사용)을 실시하여 초기 상태 조건을 일정하게 맞춘 후 대조군(글리세린 10wt% 함유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2주간 사용하게 한 후 Baseline 지수를 측정하였다.
이후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 각각을 12주간 사용하게 한 후 실험 대상자의 치면세균막 지수의 변화를 4주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하기 표 4에 4주 후의 결과를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치면세균막 지수의 측정은 Turesky Modification of the Quingley-Hein Index에 따라 하기의 기준으로 측정한 후 하기 식 1로 치면세균막 형성 억제율(%)을 산출하였다.  
0점: 치면세균막이 부착 없음,
1점: 치은면에 점상으로 치면세균막이 있음,
2점: 치은면에 환상으로 치면세균막이 있음,
3점: 치아표면의 1/3 미만에 1 mm이상에 치면세균막이 있음,
4점: 치아표면의 1/3 내지 2/3미만에 치면세균막이 있음,
5점: 치아표면의 2/3이상에 치면세균막이 있음
[식 1]
치면세균막 형성 억제율(%) = {(Baseline 지수 - 조성물 사용 후 치면세균막 지수)÷ Baseline 지수}×100
(실시예 1 내지 4)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을 상온(20 ℃)에서 20분 동안 임펠라 믹서(2000 rpm)로 혼합 및 용해시킨 후 직경이 0.2㎛인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평가방법을 통해, 항균 효과, 플라크 제거능, 치면세균막 지수 및 치면세균막 형성 억제율을 확인하여 하기 표 2 내지 4에 도시하였다.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을 상온(20 ℃)에서 20분 동안 임펠라 믹서(2000 rpm)로 혼합 및 용해시킨 후 직경이 0.2㎛인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평가방법을 통해, 항균 효과, 플라크 제거능, 치면세균막 지수 및 치면세균막 형성 억제율을 확인하여 하기 표 2 내지 4에 도시하였다.
Figure 112017021222281-pat00001
Figure 112017021222281-pat00002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구취발생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푸조박테리움 뉴클레아툼(Fusobacterium   nulcleatum)과 구강점막감염증 원인균인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높은 항균 활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클로르헥시딘과 키토산의 강한 상호작용으로 클로르헥시딘의 활성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은 물론 소수성의 실리카에 의해 상술된 원인균들의 접근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에 따른 효과로 예상된다.
또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더 포함하는 경우, 치아 및/또는 구강 내 향상된 접착력으로 보다 향상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7021222281-pat00003
표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에 대한 우수한 결합력으로 비교예 대비 현저하게 낮은 OD값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에 소수성의 실리카를 사용하는 경우, 플라크 제거능에 탁월함을 보이며, 소수성의 성질이 커질수록(예컨대, 탄소함량이 높을 수록) 효과의 현저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의 경우, 클로르헥시딘에 의한 치아 착색을 발생시킴(비교예 1)은 물론이고, 구강 내 잔류하는 시간이 적어 플라크 형성 억제력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대비 현저하게 낮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7021222281-pat00004
상기 표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비교예 대비 현저하게 향상된 치면세균막 형성 억제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비교예 2 대비 최대 14배수 이상(vs 실시예 3)의 치면세균막 형성 억제율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의 경우는 치면세균막 형성 억제 효과가 미미하거나 효과를 보이지 않음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클로르헥시딘이 치면에 효과적으로 잔류 할 수 없거나 구강 내 환경이 소수화되지 않아 가글링 등에 의해 클로르헥시딘이 쉽게 제거됨에 따른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클로르헥시딘, 소수성의 건식 실리카 및 키토산을 포함하고,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푸조박테리움 뉴클레아툼(Fusobacterium nucleatum) 및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서 선택되는 구강 세균 억제를 위한,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의 건식 실리카는 중량 대비 0.1 내지 15 중량%의 탄소를 함유한 것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키틴, 젤라틴, 콜라겐, 케라틴, 세레신,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소 함유 수용성 고분자를 더 포함하는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에 의해 형성되는 바이오 필름 형성 억제용인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027223A 2017-03-02 2017-03-02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 KR102000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223A KR102000521B1 (ko) 2017-03-02 2017-03-02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223A KR102000521B1 (ko) 2017-03-02 2017-03-02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867A KR20180100867A (ko) 2018-09-12
KR102000521B1 true KR102000521B1 (ko) 2019-07-17

Family

ID=63593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223A KR102000521B1 (ko) 2017-03-02 2017-03-02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5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133A (ko) 2021-06-02 2022-12-09 최이교 구강 스프레이용 천연 살균 스프레이액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0855A2 (en) * 2009-01-21 2010-08-1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 to reduce or eliminate dental sensitiv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0855A2 (en) * 2009-01-21 2010-08-1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 to reduce or eliminate dental sensitiv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133A (ko) 2021-06-02 2022-12-09 최이교 구강 스프레이용 천연 살균 스프레이액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867A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8600B2 (en) Biofilm disruptive compositions
AU2019236658B2 (en) Oral care compositions
KR20140131631A (ko) 위암을 일으키는 헬리코 박터균 제거와 심장병에 영향을 미치는 고도니균제거를 위한 매스틱유와 몰약이 함유된 구강청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795434B1 (ko) 매스틱을 함유한 치약조성물
Demir et al. Antimicrobial effect of natural kinds of toothpaste on oral pathogenic bacteria
KR102000521B1 (ko)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
KR101820192B1 (ko) 치주병 원인균의 치면 부착 억제제, 구강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제 및 구강용 조성물
US20210169766A1 (en) Use of dianhydrohexitol in oral and dental care to reduce the development of bacterial strains
US2008029905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oral hygiene, the treatment of the periodontal illnesses and the halitosis
US20040265247A1 (en) Mouth rinse composition
KR20170051006A (ko) 이소프로필메틸페놀과 구강조직수렴제를 함유하는 구강 조성물
RU2810599C2 (ru) Применение диангидрогексита в уходе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и зубами для снижения развития бактериальных штаммов
KR20160061852A (ko) 금속이온 봉쇄제와 이소프로필메틸페놀을 함유하는 구강 조성물
JP3022047B2 (ja) 口腔用組成物
JPH0665036A (ja) 口腔用組成物
KR20220008722A (ko) 카라기난을 포함하는 구강 청결용 조성물
CA3050693A1 (en) Oral care composition and use and method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plaque formation, bad breath, gingivitis, periodontal diseases and/or dental caries
KR101810140B1 (ko)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
KR102360720B1 (ko) 프라그 기질 용해제
CN115836978A (zh) 一种牙齿矫治器用的凝胶型清洁剂及其制备和应用
KR20180081271A (ko) 알킬 글루코사이드를 함유하는 프라그 제거용 구강 조성물
JP2001163744A (ja) 抗菌性口腔用組成物および食品
KR20020001915A (ko) 하이드록시타이로졸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JPH05331032A (ja) 口腔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