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429B1 -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429B1
KR101999429B1 KR1020167031424A KR20167031424A KR101999429B1 KR 101999429 B1 KR101999429 B1 KR 101999429B1 KR 1020167031424 A KR1020167031424 A KR 1020167031424A KR 20167031424 A KR20167031424 A KR 20167031424A KR 101999429 B1 KR101999429 B1 KR 101999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wireless
high frequency
scoring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8220A (ko
Inventor
카판 추
Original Assignee
카판 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410200242.5A external-priority patent/CN105879353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0191517.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4671861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0192421.9U external-priority patent/CN204582531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0192895.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4678974U/zh
Application filed by 카판 추 filed Critical 카판 추
Publication of KR20170008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fencing, e.g. means for indicating h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0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5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identification means that can be read by electron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y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에 있어서, 운동 장치(1), 파이팅 장치(2), 방어 장치(3), 무선 인식 제어 장치(4) 및 스코어링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하나의 파이팅 장치(1)의 제1 전도부(201)가 다른 하나의 파이팅 장치(1)에 대응되는 방어 장치(3)의 제2 전도부(301)에 접촉될 경우, 하나의 파이팅 장치(1)에 대응되는 무선 인식 제어 장치(4)는 ID 인식 코드를 지닌 고주파 펄스 신호를 송신하고, 다른 하나의 파이팅 장치(1)에 대응되는 무선 인식 제어 장치(4)는 상기 ID 인식 코드의 고주파 펄스 신호를 수신하며, 스코어링 처리 장치에 스코어링 신호를 송신하고, 스코어링 처리 장치로 스코어링 처리를 진행한다.

Description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ARMED FIGHTING INTERACTIVE SYSTEM BASED ON HIGH FREQUENCY WIRELESS SCORING}
본 발명은 헬스 운동 또는 오락 활동이 파이팅과 서로 결합되는 인터랙티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제의 신속한 발전 및 사람들의 생활 수준의 대폭 향상과 더불어, 사람들의 헬스케어 의식도 부단히 증강되었고, 여러가지 헬스 운동장도 날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 사람들은 타구, 수영, 런닝 등과 같은 여러 헬스 케어에 더욱 많이 참여하게 되는데, 펜싱, 승마 등과 같은 일부는 오락 성질을 지닌 운동으로서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다. 이러한 헬스 운동기계는 통상적으로 스코어링 장치를 지니고 있는 바, 양측의 스코어링 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펜싱의 스코어링은 상대방의 펜싱이 자기 편을 찌르는 신호를 수집해야 한다. 기존의 이러한 스코어링 장치는 중국특허공개번호 CN101791470A, CN103182177A, CN102671364A 등에서 이미 공개되었으나, 통상적으로 단지 두 사람의 상호 펜싱하는 과정 중의 스코어링만 실현할 수 있기에 구조가 여전히 비교적 복잡하고 가격이 비싼 문제가 존재하며, 단지 경기의 스코어링에만 적용되거나 또는 명중되지 않는 부위는 인식할 수 없으며, 명중 부위의 상응한 점수를 자동으로 누적시키는 것을 실현할 수 없는 페단이 존재함으로써,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의 광범위한 응용에 영향을 끼친다.
기존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을 제공하였고, 기계 신분 및 기계가 부딪힌 상이한 효과적인 부위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가 부딪힌 부위의 상응한 점수를 각각 자동으로 누적시킬 수 있으며, 다중 사용자의 상호 파이팅의 스코어링을 실현할 수도 있다. 파이팅 상호 작용 과정에 있어서, 파이팅 상호 작용 인원은 운동 장치를 타고 장소 내에서 서로 쫓고 쫓기며 서로 충돌할 수 있는데, 쫓고 쫓기며 충돌하는 과정 중 파이팅은 상호 작용하고 타격 유효 점수를 기록한다. 상기 운동은 운동 과정의 오락성을 향상시켜 파이팅 상호 작용 인원이 오락을 통해 운동의 효과를 누리게 하여 헬스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다.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은,
파이팅 상호 작용자를 탑재하여 미리 설치된 운동장에서 이동할 수 있는 운동 장치;
전기적 접촉을 실현할 수 있는 제1 전도부 및 전기적 연결을 실현할 수 있는 제1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도부와 제1 포트는 서로 연결되며, 상기 운동 장치에 라이딩된 파이팅 상호 작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제공되는 파이팅 장치;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접촉을 실현하기 위한 제2 전도부 및 전기적 연결을 실현하기 위한 제2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전도부와 제2 포트는 서로 연결되며, 상기 운동 장치에 라이딩된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지정 외부를 방어하기 위한 방어 장치; 및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스코어링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 장치에 라이딩된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몸에 배치되는 무선 인식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선 인식 제어 장치는, 전기적 연결을 실현하기 위한 제3 포트, 제4 포트 및 무선 신호 전송을 실현하기 위한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3 포트와 파이팅 장치의 제1 포트는 서로 연결되어, 무선 인식 제어 장치와 파이팅 장치의 제1 전도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4 포트는 방어 장치의 제2 포트와 서로 연결되어, 무선 인식 제어 장치와 방어 장치의 제2 전도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과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 사이는 무선 통신으로 서로 연결되며,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가 손에 잡은 파이팅 장치의 제1 전도부가 다른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방어 장치의 제2 전도부에 접촉될 경우, 상기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는 제1 전도부를 통해 ID 인식 코드를 지닌 고주파 펄스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는 제2 전도부를 통해 상기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ID 인식 코드의 고주파 펄스 신호를 수신하고, 대응되게 처리한 후, 상기 다른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는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을 통해 스코어링 처리 장치에 스코어링 신호를 송신하며, 스코어링 처리 장치로 대응되는 스코어링 처리를 진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무선 인식 제어 장치는 하나의 제1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제어 모듈, 하나의 고주파 펄스 접촉 송신 모듈, 하나의 경보 모듈, 적어도 두 개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여기서,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은 제1 MCU 제어 모듈과 서로 연결되고, 제1 MCU 제어 모듈의 고주파 펄스 신호 출력단은 상기 고주파 펄스 접촉 송신 모듈의 입력에 연결되며, 제1 MCU 제어 모듈의 고주파 펄스 신호 입력단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의 출력과 각각 서로 연결되고, 제1 MCU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 출력단은 경보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고주파 펄스 접촉 송신 모듈의 출력은 상기 제3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의 출력은 대응되는 제4 포트에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스코어링 처리 장치는 장소 주변에 설치되는 하나의 USB 무선 본체, 장소 주변에 설치되는 하나의 컴퓨터 본체 및 장소 주변에 설치되는 하나의 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은 USB 무선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USB 무선 본체는 하나의 제2 MCU 제어 모듈, 하나의 USB 데이터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하되, 여기서,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은 제2 MCU 제어 모듈과 서로 연결되고, 제2 MCU 제어 모듈은 USB 데이터 전송 모듈과 서로 연결되며, USB 무선 본체와 무선 인식 제어 장치 사이에서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과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을 통해 데이터 무선 전송을 실현하고, 상기 컴퓨터 본체는 ID 코딩 모듈, 신호 처리 모듈, 스코어링 모듈 및 표시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컴퓨터 본체와 USB 무선 본체 사이에서 USB 데이터 전송 모듈을 통해 데이터 유선 전송을 실현하고, 상기 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입력과 컴퓨터 본체의 출력은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경보 모듈은 LED 지시 모듈 및 음악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LED 지시 모듈과 음악 제어 모듈은 제1 MCU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 출력단과 각각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USB 무선 본체는 하나의 외장된 무선 리모컨 발사 모듈 및 하나의 무선 리모컨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리모컨 수신 모듈의 출력은 제2 MCU 제어 모듈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컴퓨터 본체의 ID 코딩 모듈은 USB 무선 본체를 통해 상이한 ID 인식 코드를 각각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에 각각 부여하고,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제1 전도부가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제2 전도부와 접촉될 경우, 상기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MCU 제어 모듈은 상기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고주파 펄스 접촉 송신 모듈을 통해 상기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ID 인식 코드를 구비하는 고주파 펄스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은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의 고주파 펄스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의 고주파 펄스 신호를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로 전환시켜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MCU 제어 모듈에 출력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MCU 제어 모듈은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 자체의 ID 인식 코드 및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제2 전도부 대응 위치를 마킹하는 특징 코드를 데이터 패킹(data packing)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와 USB 무선 본체 사이의 전송 프로토콜을 통해 USB 무선 본체에 송신하며, USB 무선 본체는 USB 데이터 전송 모듈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컴퓨터 본체에 전송하고, 컴퓨터 본체의 신호 처리 모듈은 데이터 패킷의 정보 데이터를 인식 판단하고 분석 처리하며,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와 기설정된 ID 인식 코드의 비교값이 동일할 경우, 무효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고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와 기설정된 ID 인식 코드의 비교값이 상이할 경우, 컴퓨터 본체의 신호 처리 모듈은 USB 무선 본체를 통해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MCU 제어 모듈이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경보 모듈에 신호를 출력하여 경보 모듈이 경보하도록 하며, 아울러, 컴퓨터 본체의 신호 처리 모듈은 컴퓨터 본체의 스코어링 모듈에 신호를 송신하고, 스코어링 모듈로 기설정된 모드에 따라 스코어링 처리를 진행하며, 스코어링 결과를 컴퓨터 본체의 표시 모듈에 출력하고, 컴퓨터 본체의 표시 모듈은 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동시켜 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파이팅 장치는 기계 본체 및 기계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계 본체는 내부로부터 외부로 각각 메인 골조체, 완충층 및 표피층을 구비하며, 상기 완충층은 상기 메인 골조체에 피복되고, 상기 표피층은 상기 완충층에 피복되며, 상기 기계 본체와 기계 핸들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표피층은 전도성 재료 또는 복합 전도성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표피층은 상기 제1 전도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기계 본체는 뚫림 방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뚫림 방지층은 상기 메인 골조체에 피복되며, 상기 완충층은 상기 뚫림 방지층에 피복되고, 상기 메인 골조체는 금속 탄성 재료 또는 비금속 탄성 구조 재료 또는 이 양자를 복합하여 제작하여 형성된 탄성 구조체이며, 상기 완충층은 복합 재료 또는 고무 또는 발포 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형성된 탄성체이고, 상기 뚫림 방지층은 뚫림 방지포 또는 복합 재료로 제작되어 형성된 외투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기계 핸들은 프레임 코어, 기계 본체 고정 부재, 그립 부재, 기계 핸들 손보호 부재 및 평형추로 구성되고, 상기 기계 본체 고정 부재는 기계 본체의 메인 골조체와 기계 핸들의 프레임 코어 사이에 연결되며, 그립 부재의 일단은 기계 본체 고정 부재와 서로 연결되고, 그립 부재의 타단은 평형추와 서로 연결되며, 기계 핸들의 손보호 부재는 호형을 나타내고 기계 본체 고정 부재와 평형추 사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표피층은 전도성 패브릭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도성 패브릭은 리드를 통해 기계 핸들에 연결되며, 상기 기계 핸들의 프레임 코어는 기계 본체의 메인 골조체와 일체로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그립 부재는 전도성 재료체이고, 상기 전도성 패브릭은 리드를 통해 그립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그립 부재는 상기 제1 포트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그립 부재는 절연 재료체이고, 상기 기계 본체 고정 부재에 제1 신호 전송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도성 패브릭은 리드를 통해 상기 제1 신호 전송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신호 전송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포트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방어 장치는 갑옷을 포함하고, 상기 갑옷은 내층에 위치된 방어 패브릭과 외층에 위치된 전도성 재료로 구성되며, 전도성 재료는 인체가 착용했을 경우의 중상부 위치에 대응되게 커버되고, 상기 전도성 재료의 외층은 상기 제2 전도부를 구성하며, 갑옷에는 인체가 착용했을 경우의 팔뚝 말단 위치에 대응되게 파이팅 기계 전기 신호의 연결 장치가 더 설치되어 있어, 손으로 잡고 있는 파이팅 기계의 전기 신호를 액세스하는 것을 실현하도록 하며, 갑옷에는 신호 전송 연결 헤드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신호 전송 연결 헤드에는 적어도 두 가닥의 신호 전송 라인이 있으며, 한 가닥은 상기 파이팅 기계 전기 신호 연결 헤드와 서로 연결되고, 다른 한 가닥은 상기 제2 포트를 구성하고 갑옷의 전도성 재료와서로 연결되며, 갑옷에는 인렛 포트(inlet port) 및 에어 파이프(air pipe)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 파이프는 상기 인렛 포트와 서로 연통되며, 상기 에어 파이프에는 제1 분기구가 더 설치되어 있고, 갑옷에는 내외가 서로 통하는 제1 통기공이 더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방어 장치는 투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구는 표면에 전도층이 커버된 유리강 또는 금속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상기 표면에 전도층이 커버되거나 또는 금속 재료는 상기 제2 전도부를 구성하고, 상기 신호 전송 연결 헤드는 제3 가닥 신호 전송 라인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3 가닥 신호 전송 라인은 상기 제2 포트를 구성하고 투구의 전도층 또는 금속 재료와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투구에 있어서, 인체의 안면 위치에 대응되게 금속 방어망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갑옷에서, 인체가 착용했을 경우의 앞부분 위치에 대응되게 제1 트임이 설치되어 있고, 제1 트임에는 제1 지퍼가 설치되어 있어 제1 지퍼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제1 트임이 닫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방어 장치는 상기 인렛 포트와 서로 연결되는 가스 분출 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방어 장치는 투구와 갑옷 사이를 연결하는 고지트(gorget)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지트는 상, 중, 하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 하 부분은 천과 경질의 탄성 재료체를 복합하여 형성되고, 여기서, 천은 표층에 위치하며, 상기 중간 부분은 탄력천을 사용하고, 상기 탄력천은 상층천과 하층천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고지트의 하부에는 인체의 목 주위를 감싸는 다수의 제2 통기공이 더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고지트에는 세로방향을 따라 분할부가 설치되어 있어 고지트가 세로방향을 따라 분해되고, 상기 분할부에 제1 벨크로 또는 제1 버튼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벨크로 또는 제1 버튼을 통해 연결하여 고지트가 인체 목 주위의 형상에 대응되게 감쌀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지트와 투구는 제2 벨크로 또는 제2 버튼을 통해 연결되어 서로 고정되며, 상기 고지트와 갑옷은 제2 지퍼 또는 제3 버튼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운동 장치는 섀시(chassis), 주행 수단, 구동 수단, 운동 수단, 서포팅 프레임, 방향 전환 수단 및 동물 모형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 수단은 섀시에 설치되어 상기 섀시를 주행시키며, 상기 구동 수단은 섀시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 수단과 서로 연동되고, 상기 서포팅 프레임은 섀시에 설치되며, 상기 운동 수단은 서포팅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수단과 서로 연동되며, 운동 수단은 서포팅 프레임의 지지하 및 구동 수단의 구동하에 동물 운동 형태를 모방하는 동작을 진행하고 상기 동물 모형은 상기 운동 수단에 설치되어 운동 가능한 동물 형태를 형성하며, 상기 방향 전환 수단은 동물 모형의 앞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 수단과 서로 연동되어 주행 수단의 방향 전환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운동 장치는 동력 전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섀시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상기 주행 수단, 운동 수단과 각각 서로 연동되고,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단단 변속의 제1 동력 전달 수단 및 다단 변속의 제2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단단 변속의 제1 동력 전달 수단과 상기 주행 수단을 통해 서로 연동되고, 상기 구동 수단은 다단 변속의 제2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상기 운동 수단과 서로 연동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운동 수단은 스윙 가로 프레임 및 시뮬레이션 운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운동 수단은 두 가닥의 크랭크, 두 가닥의 피동 회전암, 한 가닥의 주축 및 한 가닥의 피동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축, 피동축은 상기 서포팅 프레임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회동 가능하며, 주축은 또 상기 구동 수단과 서로 연동되고, 상기 두 가닥의 크랭크의 각 일단은 상기 주축의 양단과 각각 서로 연결되며, 상기 두 가닥의 크랭크의 각 타단은 스윙 가로 프레임의 앞부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두 가닥의 피동 회전암은 피동축의 양단과 스윙 가로 프레임의 뒷부분 사이에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스윙 가로 프레임은 가로 프레임체, 말안장형 브라켓 및 페달 설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프레임체의 앞부분에 상기 크랭크와 서로 연결되는 크랭크 베어링캡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 프레임체의 뒷부분에는 상기 피동 회전암과 서로 연결되기 위한 피동축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말안장형 브라켓은 상기 가로 프레임체의 뒷부분에 고정되며, 상기 페달 설치 프레임은 상기 가로 프레임체 양측의 저부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동물 모형은 고정 프레임 및 동물 모형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바디 고정 프레임 및 두부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 고정 프레임은 상기 가로 프레임체에 고정되고, 상기 두부 고정 프레임은 상기 바디 고정 프레임의 전측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방향 전환 수단은 상기 두부 고정 프레임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방향 전환 수단은 방향 전환 손잡이, 상향 전환 체인 휠, 하향 전환 체인 휠, 상부 체인, 하부 체인 및 스틸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 손잡이는 상기 두부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향 전환 체인 휠은 방향 전환 손잡이에 설치되고, 상기 하향 전환 체인 휠은 상기 주행 수단에 설치되며, 상부 체인과 하부 체인은 상향 전환 체인 휠과 하향 전환 체인 휠에 각각 설치되고, 두 체인 사이는 스틸 와이어 로프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주행 수단은 앞바퀴 수단 및 뒷바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앞바퀴 수단은 두 개의 앞바퀴 및 앞바퀴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앞바퀴는 각각 앞바퀴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하향 전환 체인 휠은 앞바퀴 회전축의 상단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뒷바퀴 수단은 주동 뒷바퀴, 피동 뒷바퀴, 뒷바퀴 회동축, 지지 베어링캡, 체인 디스크, 브레이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동 뒷바퀴, 피동 뒷바퀴, 지지 베어링캡, 체인 디스크, 브레이크는 뒷바퀴 회동축에 각각 설치되며, 주동 뒷바퀴와 뒷바퀴 회동축은 파워 로크를 통해 설치되고, 주동 뒷바퀴와 뒷바퀴 회전축은 동시에 회동되며, 피동 뒷바퀴와 뒷바퀴 회동축은 롤링 베어링을 통해 설치되고, 뒷바퀴 수단은 지지 베어링캡과 섀시를 통해 섀시에 연결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운동 장치는 에너지 저장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 수단은 제1 스프링 수단 및 제2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며, 제1 스프링 수단은 스윙 가로 프레임과 섀시 사이에 설치되고, 제2 스프링 수단은 서포팅 프레임과 피동 회전암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운동 장치는 섀시의 저부에 설치되는 공동 접지 전도성 바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운동 장치는 온도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공기 펌프 및 에어 파이프를 포함하며, 공기 펌프는 서포팅 프레임에 설치되고, 에어 파이프는 공기 펌프로부터 인출되어 스윙 가로 프레임에 연신 고정된다.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의 스코어링 과정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방어 장치의 제2 전도부가 상기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파이팅 장치의 제1 전도부와 접촉했을 경우,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은 ID 인식 코드를 구비하는 고주파 펄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은 ID 인식 코드를 구비하는 고주파 펄스 전기 신호를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MCU 제어 모듈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MCU 제어 모듈은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을 통해, 수신된 ID 인식 코드, 자체의 ID 인식 코드 및 전도체 대응되는 위치를 마킹하기 위한 특징 코드를 데이터 패킹하여 USB 무선 본체의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에 송신하는 단계;
USB 무선 본체의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은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USB 무선 본체의 제2 MCU 제어 모듈에 전송하고, 제2 MCU 제어 모듈은 분석 처리된 후의 데이터를 USB 데이터 전송 모듈을 통해 컴퓨터 본체에 전송하는 단계;
컴퓨터 본체가 데이터의 효과성에 대해 판단하고, 데이터가 무효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단계A로 돌아가며, 데이터가 유효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계속하여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컴퓨터 본체는 미리 설치된 스코어링 모드 및 제2 전도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따라 점수를 누적 처리하고, 스코어링 결과를 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표시하며, 아울러, 컴퓨터 본체는 USB 데이터 전송 모듈을 통해 USB 무선 본체의 제2 MCU 제어 모듈에 제어 인스트럭션을 전송하는 단계;
USB 무선 본체의 제2 MCU 제어 모듈은 컴퓨터 본체에 의해 송신된 제어 인스트럭션을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을 통해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은 제어 인스트럭션을 제1 MCU 제어 모듈에 전송하고, 제1 MCU 제어 모듈이 분석 처리한 후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산생하며, 상기 제어 신호를 경보 모듈에 출력하고, 경보 모듈이 소리 및 조명 경보를 진행한 후 종료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을 사용하면, 선행기술과 비교해보면, 본 발명이 취득하는 유익한 효과는 하기와 같다.
(1) 운동 장치, 파이팅 장치, 방어 장치, 무선 인식 제어 장치 및 스코어링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을 구성하였기에,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가 손에 잡은 파이팅 장치의 제1 전도부가 다른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제2 전도부에 접촉될 경우, 상기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는 제1 전도부를 통해 ID 인식 코드를 지닌 고주파 펄스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는 제2 전도부를 통해 상기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ID 인식 코드의 고주파 펄스 신호를 수신하고, 대응되게 처리한 후, 상기 다른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는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을 통해 스코어링 처리 장치에 스코어링 신호를 송신하며, 스코어링 처리 장치로 대응되는 스코어링 처리를 진행한다. 상기 시스템은 기계 신분 및 기계가 부딪힌 상이한 효과적인 부위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가 부딪힌 부위의 상응한 점수를 각각 자동으로 누적시킬 수 있어, 기계를 잡은 상호 작용 인원이 오락에서 운동의 효과를 누리게 하여 헬스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중 인원 상호 작용 파이팅의 스코어링을 실현시킴으로써, 운동 과정의 오락성을 향상시켰다.
(2) 파이팅 장치의 전체 외표면에 한 층의 전도성 패브릭을 사용하여, 전체 기계 본체가 모두 전도할 수 있도록 하였기에, 전기 신호의 획득을 대폭 간편화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스코어링을 실현하였으며, 기계를 이용한 게임 과정의 오락성을 증가시켰다. 아울러 메인 골조체, 뚫림 방지층, 완충층 및 전도층을 사용하여 기계 본체를 구성하였기에, 기계 본체의 무게가 가벼워지고, 효과적으로 뚫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게임 오락 과정의 응용을 간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기계 본체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도 있다.
(3) 파이팅 장치의 메인 골조체를 탄성강 또는 유리 섬유로 설계하여 제작하였기에, 강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도 있다. 그러나 뚫림 방지층이 뚫림 방지포를 사용하였기에, 무게와 체적을 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설치가 간편하다. 완충층은 해면 또는 고무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되기에, 무게가 가벼운 특징이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골조체를 보호할 수도 있으며, 상대방을 접촉할 경우 완충 작용도 하여, 상대방에 손상을 입히지 않을 수 있다.
(4) 방어 장치가 투구와 갑옷을 사용하였기에, 투구와 갑옷 표면은 전도성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었고, 신호 전달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갑옷에는 인렛 포트 및 에어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고, 인렛 포트 외접 가스 분출 장치를 이용하여, 갑옷에 냉기, 상온 공기, 열공기를 불어, 제1 통기공을 통해 유출하여, 내부 공기 유통을 실현하였고, 인체에 착용한 땀 흡수층은 열방지 또는 보온 및 탈취 작용을 할 수 있다.
(5) 갑옷에서 인체가 착용했을 경우의 앞부분 위치에 대응되게 제1 지퍼를 사용하였기에, 스스로 착용이 간편할 수 있으며, 고지트와 갑옷 사이에 제2 지퍼를 사용하여 연결하여, 칼라 탈착 교환을 실현하였고, 차후의 탈착 세척을 간편하게 하였다. 고지트 상, 하 두 부분의 표면은 천으로 제조되고, 내부층은 일정한 경도의 탄성 재료를 사용하였으며, 중간 부부은 탄력천으로 제조되어, 착용자가 두부 활동 시 더욱 편안하도록 한다. 외부 둘레는 벨크로 접착 또는 버튼 접합을 사용하여, 착용자는 자신의 상황에 따라 자체적으로 고지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고지트의 제2 통기공은 통기, 방열의 작용을 일으킨다. 고지트는 제2 지퍼를 통해 갑옷과 연결되고, 벨크로 또는 버튼을 통해 투구와 연결되며, 전면적으로 목, 인후을 방어하는 작용을 한다.
(6) 섀시, 주행 수단, 구동 수단, 운동 수단, 서포팅 프레임, 방향 전환 수단 및 동물 모형을 사용하여 운동 장치를 구성하였기에, 운동 수단 시뮬레이션 동물이 주행 중 상, 하 기복의 운동 형태를 통해, 사용자는 라이딩 머신에 라이딩하면 진짜 동물을 타고 앉은 느낌을 체험하게 되고, 아울러 주행 수단과 방향 전환 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고, 섀시 가장 자리에 충돌 방지 타이어가 설치되어, 기행자는 임의로 라이딩 머신을 조종하여 앞으로 나아가고, 후퇴하며 방향을 바꾸도록 하고, 기타 기행자와 서로 쫓고 쫓기며 충돌할 수 있으며, 헬스 오락의 동시에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감정 교류의 효과를 달성시켜 사용자에게 새로운 사용 체험감을 선사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원리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USB 무선 본체의 원리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컴퓨터 본체의 원리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스코어링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파이팅 장치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파이팅 장치의 구조 단면도이다.
도8은 도7 중의 A부분 확대 모식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파이팅 장치의 검 본체의 횡단면의 구조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파이팅 장치의 다른 한가지 구조 단면도이다.
도11은 도10 중의 B부분 확대 모식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방어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 모식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방어 장치의 갑옷 구조 모식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방어 장치의 투구 구조 모식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방어 장치의 고지트 구조 모식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방어 장치의 고지트(하나의 각도를 회동함) 구조 모식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운동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 모식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운동 장치의 동력 전달 관계 모식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운동 장치의 운동 수단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운동 장치의 스윙 가로 프레임 부분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운동 장치의 서포팅 프레임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운동 장치의 섀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운동 장치의 뒷바퀴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운동 장치의 앞바퀴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운동 장치의 방향 전환 수단의 구조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 및 실시예를 결부하여 상세하게 본 발명이 서술한 기술적 해결수단을 설명한다.
실시예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은,
파이팅 상호 작용자를 탑재하여 미리 설치된 운동장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운동 장치(1);
전기적 접촉을 실현할 수 있는 제1 전도부(201) 및 전기적 연결을 실현할 수 있는 제1 포트(20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도부(201)와 제1 포트(202)는 서로 연결되며, 상기 운동 장치에 라이딩된 파이팅 상호 작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제공되는 파이팅 장치(2);
두 개의, 전기적 접촉을 실현하기 위한 제2 전도부(301) 및 두 개의, 전기적 연결을 실현하기 위한 제2 포트(302)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전도부(301)와 제2 포트(302)는 서로 연결되며, 상기 운동 장치에 라이딩된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지정 외부를 방어하기 위한 방어 장치(3);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몸에 배치되고, 전기적 연결을 실현하기 위한 제3 포트(401), 제4 포트(402) 및 무선 신호 전송을 실현하기 위한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403)을 포함하는 무선 식별 제어 장치(4)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3 포트(401)와 파이팅 장치의 제1 포트(202)는 서로 연결되어, 무선 인식 제어 장치(4)와 파이팅 장치(2)의 제1 전도부(201)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4 포트(402)와 방어 장치의 제2 포트(302)는 서로 연결되어, 무선 인식 제어 장치(4)와 방어 장치(3)의 제2 전도부(301)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무선 식별 제어 장치(4); 및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50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403)과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501) 사이에서 무선 통신으로 서로 연결되는 스코어링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가 손에 잡은 파이팅 장치의 제1 전도부(201)가 다른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제2 전도부(301)에 접촉될 경우, 상기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4)는 제1 전도부(201)를 통해 ID 인식 코드를 지닌 고주파 펄스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4)는 제2 전도부(301)를 통해 상기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4)의 ID 인식 코드의 고주파 펄스 신호를 수신하고, 대응되게 처리한 후, 상기 다른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4)는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을 통해 스코어링 처리 장치에 스코어링 신호를 송신하고, 스코어링 처리 장치로 대응되는 스코어링 처리를 진행하며,
스코어링 처리 장치는 장소 주변에 설치되는 하나의 USB 무선 본체(5), 장소 주변에 설치되는 하나의 컴퓨터 본체(6) 및 장소 주변에 설치되는 하나의 LED 디스플레이 스크린(7)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501)은 USB 무선 본체(5)에 설치되고, USB 무선 본체(5)와 무선 인식 제어 장치(4) 사이에서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403) 및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501)을 통해 데이터 무선 전송을 실현한다. 상기 컴퓨터 본체와 USB 무선 본체 사이에서 유선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LED 디스플레이 스크린(7)의 입력은 컴퓨터 본체(6)의 출력과 서로 연결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인식 제어 장치(4)는 하나의 제1 MCU 제어 모듈(404), 하나의 고주파 펄스 접촉 송신 모듈(405), 하나의 경보 모듈, 적어도 두 개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40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403)은 제1 MCU 제어 모듈(404)과 서로 연결되고, 제1 MCU 제어 모듈(404)의 고주파 펄스 신호 출력단은 상기 고주파 펄스 접촉 송신 모듈(405)의 입력과 연결되고, 제1 MCU 제어 모듈(404)의 고주파 펄스 신호 입력단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406)의 출력과 각각 서로 연결되며, 제1 MCU 제어 모듈(404)의 제어 신호 출력단은 경보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고주파 펄스 접촉 송신 모듈(405)의 출력은 상기 제3 포트(401)와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406)의 입력은 대응되는 제4 포트(402)에 각각 연결된다.
본 실시예는 펜싱 오락 운동에 사용될 경우, 기계는 검이고, 펜싱 운동원 몸에는 투구와 갑옷이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전도부(201)는 검에 설치되고, 대응되는 기계를 지닌 운동 인원 몸의 상이한 부위에 설치된 제2 전도부(301)는 두 곳에 있는 바, 한 곳의 제2 전도부(301)는 투구에 설치되고, 다른 한 곳의 제2 전도부(301)는 갑옷에 설치되며, 물론, 갑옷은 흉부, 배부, 견부 등과 같이 상이한 위치에 따라, 다시 제2 전도부로 분류하여 설치할 수도 있으며, 각각 펜싱 인원 두부가 찔리는 정황과 몸에서 각각 찔리는 정황을 산출하여, 스코어가 더욱 세분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406)은 대응되게 다수만 필요하고, 제4 포트(402)도 대응되게 다수가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인식 제어 장치(4)는 두 개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406)을 포함하고, 하나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406)은 투구의 제2 전도부(301)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펜싱 인원의 두부가 찔리는 정보를 수신하며, 다른 하나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406)은 갑옷의 제2 전도부(301)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펜싱 인원의 몸이 찔리는 정보를 수신하며,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의 수량은 제2 전도부와 일부 서로 대응되고, 제2 전도부가 두 개 부분으로 나뉠 경우, 두 개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이 수요되고, 제2 전도부가 네 부분(머리에 한부분, 몸에 세부분, 즉 흉부, 배부 및 견부)으로 나뉠 경우, 네 개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이 수요된다. 동일하게, 제4 포트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보 모듈은 LED 지시 모듈(408) 및 음악 제어 모듈(407)을 포함하고, 물론, 기타의 경보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 지시 모듈(408) 및 음악 제어 모듈(407)은 제1 MCU 제어 모듈(404)의 제어 신호 출력단과 각각 서로 연결된다.
도3,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SB 무선 본체(5)는 하나의 제2 MCU 제어 모듈(502), 하나의 USB 데이터 전송 모듈(503)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501)은 제2 MCU 제어 모듈(502)과 서로 연결되고, 제2 MCU 제어 모듈(502)은 USB 데이터 전송 모듈(503)과 서로 연결된다. USB 무선 본체(5)와 무선 인식 제어 장치(4) 사이에서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403) 및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501)을 통해 데이터 무선 전송을 실현한다. 상기 컴퓨터 본체(6)는 ID 코딩 모듈(601), 신호 처리 모듈(602), 스코어링 모듈(603) 및 표시 모듈(604)을 구비한다. 상기 컴퓨터 본체(6)와 USB 무선 본체(5) 사이에서 USB 데이터 전송 모듈(503)을 통해 데이터 유선 전송을 실현한다.
상기 USB 무선 본체(5)는 하나의 외장된 무선 리모컨 발사 모듈(504) 및 하나의 무선 리모컨 수신 모듈(505)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리모컨 수신 모듈(505)의 출력은 제2 MCU 제어 모듈(502)에 연결된다.
상기 컴퓨터 본체(6)의 ID 코딩 모듈(601)은 USB 무선 본체(5)를 통해 상이한 ID 인식 코드를 각각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4)에 각각 부여한다.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4)에 연결되는 제1 전도부(201)가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4)에 연결되는 제2 전도부(301)에 접촉될 경우, 상기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MCU 제어 모듈(404)은 상기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고주파 펄스 접촉 송신 모듈(405)을 통해 상기 무선 인식 제어 장치(4)의 ID 인식 코드를 고주파 펄스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4)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406)은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의 고주파 펄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의 고주파 펄스 신호를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로 전환시켜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MCU 제어 모듈(404)에 출력한다.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MCU 제어 모듈(404)은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 자체의 ID 인식 코드 및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제2 전도부(301) 대응 위치를 마킹하기 위한 특징 코드를 데이터 패킹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4)와 USB 무선 본체(5) 사이의 전송 프로토콜을 통해 USB 무선 본체(5)에 송신한다. USB 무선 본체(5)는 USB 데이터 전송 모듈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컴퓨터 본체(6)에 전송하고, 컴퓨터 본체(6)의 신호 처리 모듈(602)은 데이터 패킷의 정보 데이터를 인식 판단하고 분석 처리한다.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와 기설정된 ID 인식 코드의 비교값이 동일할 경우, 무효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고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와 기설정된 ID 인식 코드의 비교값이 상이할 경우, 컴퓨터 본체(6)의 신호 처리 모듈(602)은 USB 무선 본체(5)를 통해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4)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4)의 제1 MCU 제어 모듈(404)은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경보 모듈에 신호를 출력하여, 경보 모듈이 경보하도록 하며, 아울러, 컴퓨터 본체의 신호 처리 모듈(602)은 컴퓨터 본체의 스코어링 모듈(603)에 신호를 출력하고, 스코어링 모듈(603)로 기설정된 모드에 따라 스코어 처리하며, 스코어링 결과를 컴퓨터 본체의 표시 모듈(604)에 출력하고, 컴퓨터 본체의 표시 모듈(604)은 LED 디스플레이 스크린(7)를 구동시켜 표시한다.
본 발명의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은, 고주파 펄스 신호를 사용하여 스코어링을 실현하고, 무선 인식 제어 장치(4) 중의 고주파 펄스 접촉 송신 모듈(405)의 작용은, 제1 MCU 제어 모듈(404)에 저장된 ID 인식 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ID 인식 코드를 고주파 펄스 전기 신호로 전환시키며, 파이팅 장치(2)의 제1 전도부(201)가 방어 장치(3)의 제2 전도부(301)에 접촉될 경우, 상기 고주파 펄스 전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다. 무선 인식 제어 장치(4) 중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406)의 작용은, 연결된 방어 장치(3)의 제2 전도부(301)가 파이팅 장치(2)의 제1 전도부(201)와 서로 접촉될 경우, 파이팅 장치의 제1 전도부(201)에 연결된 고주파 펄스 접촉 송신 모듈(405)에 의해 송신된 고주파 펄스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고주파 펄스 전기 신호를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로 복원시키며, 제1 MCU 제어 모듈(404)에 전송하는 것이다. 무선 인식 제어 장치(4) 중의 음악 제어 모듈(407)의 작용은, 제1 MCU 제어 모듈(404)에 의해 출력된 제어 인스트럭션을 수신하고, 음성 IC를 구동시켜 소리를 재생시키며, 음성은 DAC를 거쳐 출력된 후 다시 전용 오디오 앰프를 거쳐 확대되고, 스피커가 소리를 내도록 하는 것이다. 무선 인식 제어 장치 중의 LED 지시 모듈(408)의 작용은, 제1 MCU 제어 모듈(404)에 의해 출력된 제어 인스트럭션을 수신하고, LED 작업을 구동시키며, 두 가지 모드로 설정하되, 한 가지는 효과적으로 타격한 후, LED가 3S초 동안 빠른 속도로 반짝이고, 다른 한 가지는 전지 전압이 최저 작업 전압까지 하강된 후 LED램프가 느리게 반짝이며, 지시 전기량이 부족하면 충전해야 된다. 무선 인식 제어 장치(4) 중의 제1 MCU 제어 모듈(404)의 작용은, ID 인식 코드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것을 책임지는 것으로서, 고주파 펄스 신호를 발사하고, 음악 재생을 제어하며, LED 지시를 제어하고,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403)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무선 인식 제어 장치 중의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403)의 작용은, 제1 MCU 제어 모듈(404)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무선 방식을 통해 USB 무선 본체(5)에 송신하고, 또한 USB 무선 본체(5)는 무선 방식으로 송신된 데이터를 제1 MCU 제어 모듈(404)에 전송하며, 실패 재전송 기능 및 자동 응답 기능을 구비하고, 전송 모드는 반 양방향(full duplex) 양방향(bi-directional) 전송이며, 전송 속도는 2M/S인 것이다. USB 무선 본체의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501)의 작용은,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403)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디코딩 처리를 거친 후 제2 MCU 제어 모듈(502)에 전송하고, 제2 MCU 제어 모듈(502)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해석 처리를 거친 후 무선 인식 제어 장치(4)에 송신하는 것이다. USB 무선 본체의 제2 MCU 제어 모듈(502)의 작용은,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501)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해석 예처리를 거치며, 처리한 후의 데이터를 컴퓨터 본체(6)에 다시 전달하고, 아울러, 컴퓨터 본체(6)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해석 처리하며, 처리 결과를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501)에 전송하고, 아울러, 실시간으로 무선 리모컨 수신 모듈(505)의 데이터를 판독하며, 처리가 완료된 버튼 정보를 컴퓨터 본체(6)에 전달하는 것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의 스코어링 과정에 있어서,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방어 장치(3)의 제2 전도부(301)가 상기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파이팅 장치(2)의 제1 전도부(201)와 접촉했을 경우,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406)은 ID 인식 코드를 구비하는 고주파 펄스 전기 신호를 수신한다.
B.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406)은 ID 인식 코드를 구비하는 고주파 펄스 전기 신호를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MCU 제어 모듈(404)에 송신한다.
C.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MCU 제어 모듈(404)은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403)을 통해, 수신된 ID 인식 코드, 자체의 ID 인식 코드 및 전도체 대응 위치를 마킹하기 위한 특징 코드를 데이터 패킹하여 USB 무선 본체(5)의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501)에 송신한다.
D. USB 무선 본체의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501)은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USB 무선 본체의 제2 MCU 제어 모듈(502)에 전송하고, 제2 MCU 제어 모듈(502)은 분석 처리된 후의 데이터를USB 데이터 전송 모듈(503)을 통해 컴퓨터 본체(6)에 전송한다.
E. 컴퓨터 본체(6)가 데이터의 효과성에 대해 판단하고, 데이터가 무효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단계A로 돌아가며, 데이터가 유효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계속하여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F. 컴퓨터 본체(6)는 미리 설치된 스코어링 모드 및 제2 전도부(301)의 대응되는 위치에 따라 점수를 누적 처리하고, 스코어링 결과를 LED 디스플레이 스크린(7)를 통해 표시하며, 아울러, 컴퓨터 본체(6)는 USB 데이터 전송 모듈(503)을 통해 USB 무선 본체(5)의 제2 MCU 제어 모듈(502)에 제어 인스트럭션을 전송한다.
G. USB 무선 본체(5)의 제2 MCU 제어 모듈(502)은 컴퓨터 본체(6)에 의해 송신된 제어 인스트럭션을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501)을 통해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4)의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403)에 무선으로 송신한다.
H.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403)은 제어 인스트럭션을 제1 MCU 제어 모듈(404) 에 전송하고, 제1 MCU 제어 모듈(404)이 분석 처리한 후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산생하며, 상기 제어 신호를 경보 모듈에 출력하고, 경보 모듈이 소리 및 조명 경보를 진행한 후 종료된다.
본 발명의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은, 더블 대결을 실현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A, B 더블 대결에서, A, B두 사람은 모두 각자 대응되는 운동 장치(1)에 타고 있고, A, B두 사람 손에는 모두 검과 같은 파이팅 장치(2)를 잡고 있으며, A, B두 사람 몸에는 모두 투구와 갑옷과 같은 방어 장치(3)가 있고, A, B두 사람 몸에는 각자 무선 인식 제어 장치(4)가 착용되어 있으며, A가 지닌 파이팅 장치(2)의 제1 전도부(201)가 임의의 하나의 제2 전도부(301)에 접촉될 경우, 모두 A의 ID 인식 코드의 고주파 펄스 신호를 송신하고, 이때 두 가지 상황이 나타나는데, 한 가지는 A검이 B를 적중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두부를 적중하는 것이며, 다른 한 가지는 A검이 자신을 잘못 적중한 것으로서, 역시 예를 들면 두부를 적중하는 것이고, A검이 B를 적중할 경우, B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4)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406)은 A의 ID 인식 코드를 지닌 고주파 펄스 신호를 수신하고, B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4)는 처리한 후 USB 무선 본체(5)를 통해 컴퓨터 본체(6)에 전송하며, 컴퓨터 본체(6)의 신호 처리 모듈(602)은 A의 ID 인식 코드와 기설정된 ID 인식 코드를 비교하고, 이때 B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4)가 신호를 송신하기에, 기설정된 ID 인식 코드가 바로 B의 ID 인식 코드이고, 양자는 상이하면, 스코어링할 수 있다. A검이 사진을 잘못 적중할 경우, A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4)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406)은 마찬가지로 A의 ID 인식 코드를 지닌 고주파 펄스 신호를 수신하고, A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4)는 처리 후 USB 무선 본체(5)를 통해 컴퓨터 본체(6)에 전송하며, 컴퓨터 본체(6)의 신호 처리 모듈(602)은 A의 ID 인식 코드와 기설정된 ID 인식 코드를 비교하고, 이때 A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4)가 신호를 전송하기에, 기설정된 ID 인식 코드가 바로 A의 ID 인식 코드이고, 양자는 동일하면, 무효 신호이므로, 스코어링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은, 다중 인원 대결을 실현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A, B, C, D 4인 대결이고, 스코어링 신호의 전송 과정은 상기 더블 대결의 경우와 동일하며, 컴퓨터 본체(6)가 판단 시의 방식도 동일하고, 기타 사람이 적중하기만 하면, 전부 유효 신호로 하고, 자신이 적중되면, 무효 신호로 하며, 스코어링 모드에서, 각각 적중된 사람의 이름 하에 기록해야 한다.
본 발명의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은, 팀 대결을 실현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두 팀으로 나뉘고, 제1 팀은 A, B, C이고, 제2 팀은 D, E, F이며, 이때, 무효 신호인 것으로 판정되는 것은 자신을 잘못 적중하는 것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같은 팀을 적중하는 것도 포함하며, 상대방 팀원이 적중되어야만 유효 신호이고, 기설정된 ID 인식 코드는 자신의 ID 인식 코드 및 같은 팀의 ID 인식 코드만 포함한다. 다수의 팀 다중 인원에 있어서 그 방식은 동일하다.
도6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은, 상기 파이팅 장치(2)는 검이고, 상기 파이팅 장치(2)는 검 본체(21) 및 검 손잡이(22)를 포함한다. 상기 검 본체(21)는 내부로부터 외부로 각각 메인 골조체(211), 뚫림 방지층(212), 완충층(213) 및 표피층(214)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피층(214)은 전도성 패브릭으로 구성되고, 표피층은 기타 전도성 재료 또는 복합 전도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전기 신호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표피층(214)은 상기 제1 전도부를 구성한다. 상기 뚫림 방지층(212)은 상기 메인 골조체(211)에 피복되고, 상기 완충층(213)은 상기 뚫림 방지층(212)에 피복되며, 상기 표피층(214)은 상기 완충층(213)에 피복된다. 상기 검 본체(21)와 검 손잡이(22)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표피층(214)은 리드(2141)를 통해 검 손잡이(22)에 연결된다. 물로, 뚫림 방지층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검 손잡이(22)는 프레임 코어(221), 검 본체 고정 부재(222), 그립 부재(223), 검 손잡이 손보호 부재(224) 및 평형추(225)로 구성되고, 상기 검 본체 고정 부재(222)는 검 본체의 메인 골조체(211)와 검 손잡이의 프레임 코어(221) 사이에 연결되며, 그립 부재(223)의 일단은 검 본체 고정 부재(222)와 서로 연결되고, 그립 부재의 타단은 평형추(225)와 서로 연결된다. 검 손잡이 손보호 부재(224)는 호형 형태를 구비하고 검 본체 고정 부재(222)와 평형추(225)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검 손잡이의 프레임 코어(221)는 검 본체의 메인 골조체(211)와 일체로 서로 연결된다. 즉, 프레임 코어(221)는 검 본체 고정 부재(222)를 관통한 후 검 본체의 메인 골조체(211)와 일체 구조로 연결되는 바, 다시 말하자면, 검 손잡이의 프레임 코어(221)와 검 본체의 메인 골조체(211)는 동일한 가닥의 구조체이다.
상기 그립 부재(223)는 전도성 재료체이고, 상기 표피층(214)는 리드(2141)를 통해 그립 부재(223)에 연결되며, 상기 그립 부재(223)는 상기 제1 포트를 구성한다.
상기 메인 골조체(211)는 탄성강으로 제작된 탄성 구조체이고, 이렇게, 일정한 정도의 킹크(kink)를 실현할 수 있다. 물론, 메인 골조체는 기타 금속 탄성 재료 또는 비금속 탄성 구조 재료 또는 이 양자를 복합하여 제작하여 형성된 탄성 구조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유리 섬유 또는 탄성 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형성된 탄성 구조체일 수도 있다.
상기 뚫림 방지층(212)은 뚫림 방지포 또는 복합 재료로 제작된 외투이다.
상기 완충층(213)은 복합 재료 또는 고무 또는 발포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탄성체이다.
상기 메인 골조체(211)의 횡단면은 원형이다.
상기 검 본체(21)의 횡단면은 바벨형(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음)이다.
본 발명은 검 본체의 전체 외표면에 한 층의 전도성 패브릭을 설치하여, 전체 검 본체가 모두 전기를 전도할 수 있도록 하고, 전기 신호의 획득을 대폭 간편화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스코어링을 실현하였으며, 펜싱 게임 과정의 오락성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은 메인 골조체(211), 뚫림 방지층(212), 완충층(213) 및 전도성 패브릭(214)으로 검 본체를 구성하여, 검 본체(21)의 무게가 가벼워지고, 효과적으로 뚫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게임 오락 과정의 응용을 간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검 본체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인 골조체(211)는 탄성강 또는 유리 섬유를 사용하여 제작되어, 강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도 있으며, 일정한 정도의 킹크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뚫림 방지층(212)은 뚫림 방지포를 사용하여, 무게와 체적을 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설치가 간편하다. 본 발명의 완충층(213)은 해면 또는 고무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되어, 무게가 가벼운 특징이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골조체를 보호할 수도 있으며, 상대방을 접촉할 경우 완충 작용도 하여, 상대방에 손상을 입히지 않을 수 있다.
도10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은, 검 구조를 사용한 파이팅 장치(2)는 다른 한가지 구조일 수도 있는 바, 즉, 상기 그립 부재(223)는 절연 재료체이고, 상기 검 본체 고정 부재(222)에는 제1 신호 전송 인터페이스(22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도성 패브릭(214)은 리드(2141)를 통해 제1 신호 전송 인터페이스(2221)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신호 전송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포트를 구성한다.
도12 내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은, 상기 방어 장치(3)는 투구와 갑옷을 사용하고, 방어 장치(3)는 갑옷(31)을 포함한다. 상기 갑옷(31)은 내층에 위치된 방어 패브릭(311) 및 외층에 위치된 전도성 패브릭(312)으로 구성되고, 전도성 패브릭(312)은 인체가 착용했을 경우의 중상부 위치에 대응되게 커버되며, 상기 전도성 패브릭(312)은 상기 제2 전도부를 구성한다. 갑옷(31)에는 인체가 착용했을 경우의 앞부분 위치에 대응되게 제1 트임이 설치되어 있고, 제1 트임에는 제1 지퍼(313)(즉 앞부분 지퍼)가 설치되어 있어 제1 지퍼(313)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제1 트임이 닫히게 된다. 제1 지퍼(313)를 잡아당기면 사용자의 착용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갑옷에는 인체가 착용했을 경우의 팔뚝 말단 위치에 대응되게 파이팅 기계 전기 신호 연결 헤드(314)가 더 설치되어 있어, 손으로 잡고 있는 파이팅 기계의 전기 신호를 액세스하는 것을 실현하도록 하며, 본 실시예의 이러한 방어 투구와 갑옷은 펜싱 운동을 위한 방어 장치이고, 파이팅 기계 전기 신호 연결 헤드(314)는 손으로 잡고 있는 복합 전도 검의 전기 신호를 액세스시킨다. 갑옷(31)에는 신호 전송 연결 헤드(315)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신호 전송 연결 헤드(315)는 적어도 두 가닥의 신호 전송 라인이 있으며, 여기서 한 가닥은 파이팅 기계 전기 신호 연결 헤드 즉 전도 검 전기 신호 연결 헤드(314)와 서로 연결되고, 다른 한 가닥은 상기 제2 포트와 갑옷의 전도성 패브릭(312)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갑옷(31)에는, 인체가 착용했을 경우의 허리 이하의 위치에 대응되게 인렛 포트(316)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갑옷에는, 인체가 착용했을 경우의 허리 위치의 내측에 대응되게 허리 둘레를 따라 에어 파이프(316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파이프(3161)는 상기 인렛 포트(316)와 서로 연통되고, 상기 에어 파이프(3161)에는 상측을 향한 다수의 분기구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갑옷에는, 인체가 착용했을 경우의 흉부 위치에 대응되게 다수의 내외부가 서로 통하는 제1 통기공(3162)이 더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어 장치(3)는 투구(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구(32)는 유리강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된 셸 형상의 베이스(321) 및 베이스 표면에 도포된 전도층(322)을 포함한다. 상기 갑옷(31) 중의 신호 전송 연결 헤드(315)는 제3 가닥 신호 전송 라인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가닥 신호 전송 라인과 투구의 전도층(322)은 서로 연결된다. 갑옷(31)의 상부에는 투구 연결 헤드(3151)가 설치되어 있고, 제3 가닥 신호 전송 라인은 투구 연결 헤드(3151)와 투구의 전도층(322)을 서로 연결시킨다. 상기 투구도 금속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제3 가닥 신호 전송 라인은 상기 제2 포트와 투구의 금속 재료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어 장치(3)는 상기 인렛 포트(316)와 서로 연결되는 가스 분출 장치(351)를 더 포함한다.
상기 투구(32)에는, 인체의 안면 위치에 대응되게 금속 방어망(323)이 더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어 장치(3)는 투구(32)와 갑옷(31)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고지트(33)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지트(33)는 상, 중, 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분(331), 하부분(333)은 평직 패브릭 및 경질의 탄성 재료체를 사용하여 복합되어 형성되었고, 여기서, 평직 패브릭은 표층에 위치한다. 상기 중간 부분(332)은 탄력천을 사용한다. 상기 탄력천(332)은 상 평직 패브릭과 하 평직 패브릭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고지트의 하부분(333)에는 다수의 인체의 목 주위를 감싸는 제2 통기공(3331)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지트(33)에는 세로방향을 따라 분할부가 설치되어 있어, 고지트가 세로방향을 따라 분해되며, 상기 분할부에는 제1 벨크로(341)가 설치되고, 제1 벨크로(341)를 통해 연결되어 고지트(33)가 대응되게 인체 목 주위를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제1 벨크로는 버튼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고지트(33)와 투구(2)는 제2 벨크로(342)를 통해 연결되어 서로 고정된다. 제2 벨크로도 버튼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고지트(33)와 갑옷(31)은 제2 지퍼(343)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갑옷(31) 표면은 전도성 패브릭(312)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신호 전달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갑옷(31)에는 인체가 착용했을 경우의 허리 이하 위치에 대응되게 인렛 포트(316)가 더 설치되어 있고, 인체가 착용했을 경우의 허리 위치의 내측에 대응되게 허리 주위를 따라 에어 파이프(3161)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파이프(3161)는 상기 인렛 포트(316)와 서로 연통하고, 상기 에어 파이프(3161)에는 상측을 향한 다수의 분기구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갑옷(31)에는, 인체가 착용했을 경우의 흉부 위치에 대응되게 다수의 내외 서로 통한 제1 통기공(3162)이 더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인렛 포트(316)를 이용하여 가스 분출 장치와 외접하고, 허리를 따라 상부로 냉풍 또는 열풍을 불 수 있으며, 제1 통기공(3162)을 통해 유출되고, 내부 공기 유통을 실현하였으며, 인체에 착용된 땀 흡수층(방어 투구와 갑옷 내에 입음)은 열방지, 탈취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신호를 전달하고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어 투구와 갑옷으로서, 갑옷(31)에서 인체가 착용했을 경우의 앞부분 위치에 대응되게 제1 지퍼(313) 를 사용하였고, 스스로 착용이 간편할 수 있으며, 고지트와 갑옷 사이에 제2 지퍼(343)를 사용하여 연결하여, 고지트(칼라에 해당됨)는 탈착 교환할 수 있으며, 차후의 탈착 세척을 간편하게 하였다. 고지트 상, 하 두 부분의 표면은 천으로 제조되고, 내부층은 일정한 경도의 탄성 재료를 사용하였으며(킹크를 실현할 수 있음), 중간 부부은 탄력천으로 제조되어, 게이머가 머리를 끄덕이고, 돌릴 때 더욱 편하게 된다. 외부 둘레는 벨크로(341) 접합을 사용하고, 게이머는 자신의 상황에 따라 자체적으로 고지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고지트의 제2 통기공(3331)은 통기, 방열의 작용을 일으킨다. 고지트(33)는 제2 지퍼(343)를 통해 갑옷(31)과 연결되고, 벨크로(342)는 투구(32)와 연결되며, 전면적으로 목, 인후을 방어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신호를 전달하고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어 투구와 갑옷, 그 투구는 안전모의 원리를 응용하고, 유리강 재료는 베이스로 제조되고, 내부에 안감, 턱 끈 등 안전 부재가 설치되며, 외부에 전도성 페인트 또는 전기 도금을 도포하고, 금속 방어망(323)을 추가 설치하여, 신호 전달, 두부 방어의 작용을 일으킨다. 벨크로(342)를 통해 고지트(33)와의 연결을 실현한다.
도17 내지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은, 상기 운동 장치(1)는 전동 라이더를 사용하고, 전동 라이더(1)는 섀시(11), 주행 수단(12), 구동 수단(13), 운동 수단(14), 서포팅 프레임(15), 방향 전환 수단(17) 및 동물 모형(16)을 포함한다. 상기 주행 수단(12)은 섀시(11)에 설치되어 상기 섀시(11)가 주행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 수단(13)은 섀시(11)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 수단(12)과 서로 연동된다. 상기 서포팅 프레임(15)은 섀시(11)에 설치되고, 상기 운동 수단(14)은 서포팅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수단(13)과 서로 연동되고, 운동 수단(14)은 서포팅 프레임(15)의 지지하 및 구동 수단(13)의 구동하에 시뮬레이션 동물 형태를 모방하는 동작을 진행한다. 상기 동물 모형(16)은 상기 운동 수단(14)에 설치되어 운동할 수 있는 동물 형태를 형성한다. 상기 방향 전환 수단(17)은 동물 모형(16)의 앞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 수단(12)과 서로 연동되어 주행 수단(12)의 방향 전환을 제어한다.
상기 라이딩 오락 헬스기는 동력 전달 수단(18)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 수단(18)은 상기 섀시(11)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수단(13)은 상기 동력 전달 수단(18)을 통해 상기 주행 수단(12), 운동 수단(14)과 각각 서로 연동된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 수단(18)은 단단 변속의 제1 동력 전달 수단(181) 및 다단 변속의 제2 동력 전달 수단(182)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수단(13)은 상기 단단 변속의 제1 동력 전달 수단(181)을 통해 상기 주행 수단(12)과 서로 연동되고, 상기 제1 동력 전달 수단(181)은 제1 주동 휠(181a) 및 제1 피동 휠(181b)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수단(13)의 출력은 제1 주동 휠(181a)과 서로 연결되고, 제1 주동 휠(181a)은 체인을 통해 동력을 제1 피동 휠(181b)에 전달하며, 제1 피동 휠(181b)은 섀시(11)의 뒷바퀴와 서로 연결되어, 라이딩 머신이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한다. 상기 제2 동력 전달 수단(182)은 제2 주동 휠(182a), 제2 피동 휠(182b), 감속기(182c) 및 동력 전달 벨트 휠(182d)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수단(13)의 출력은 제2 주동 휠(182a)과 서로 연결되고, 제2 주동 휠(182a)은 체인을 통해 제2 피동 휠(182b)에 전도되며, 감속기(182c)의 입력과 서로 연결되고, 감속기(182c)의 출력은 동력 전달 벨트 휠(182d)을 통해 전도 출력되며, 운동 수단(14)의 주축과 서로 연결되어, 상기 주축이 회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운동 수단(14)은 스윙 가로 프레임(141) 및 시뮬레이션 운동 수단(142)을 포함한다. 상기 시뮬레이션 운동 수단(142)은 두 가닥의 크랭크(142a), 두 가닥의 피동 회전암(142b), 한 가닥의 주축(142c) 및 한 가닥의 피동축(142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팅 프레임(15)의 앞부분에는 주축 베어링(151)이 설치되어 있고, 주축(142c)은 상기 주축 베어링에 설치되며, 서포팅 프레임(15)의 뒷부분에는 피동축 베어링(152)이 설치되고, 피동축(142d)은 상기 피동축 베어링(152)에 설치된다. 주축(142c)은 상기 구동 수단(13)과 서로 연동된다. 상기 두 가닥의 크랭크(142a)의 각 일단은 상기 주축(142c)의 양단과 각각 서로 연결되고, 상기 두 가닥의 크랭크(142a)의 각 타단은 스윙 가로 프레임(141)의 앞부분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두 가닥의 피동 회전암(142b)은 피동축(142d)의 양단과 스윙 가로 프레임(141)의 뒷부분 사이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크랭크(142a)는 주축(142c)의 구동하에 회동되어, 상기 스윙 가로 프레임(141)의 앞부분이 상기 주축(142c)을 감싸고 회동하도록 하며, 상기 피동 회전암(142b)은 상기 스윙 가로 프레임(141)의 대동하에 전 후 스윙 운동을 한다.
또한, 상기 스윙 가로 프레임(141)은 가로 프레임체(141a), 말안장형 브라켓(141b) 및 페달 설치 프레임(141c)을 포함한다. 상기 가로 프레임체(141a)의 앞부분에는 상기 크랭크(142a)와 서로 연결되는 주축(142c)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로 프레임체(141a)의 뒷부분에는 상기 피동 회전암(142b)과 서로 연결되는 피동축(42d)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말안장형 브라켓(141b)은 상기 가로 프레임체(141a)의 뒷부분에 고정된다. 상기 페달 설치 프레임(141c)은 상기 가로 프레임체(141a)의 저부에 고정된다. 상기 페달 설치 프레임(141c)은 가로 프레임체의 양측에 나뉘어 설치되고, 좌 페달판과 우 페달판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좌 페달판에는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디스크 브레이크이며, 브레이크는 뒷바퀴 회동축(121c)에 설치되며, 브레이크 발판은 좌 페달판에 설치된다. 브레이크 발판을 밟으면, 브레이크(121f) 작용을 통해 제동 효과를 달성시킨다. 상기 우 페달판에는 액셀러레이터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액셀러레이터 장치는 제어기와 연결되며, 제어기를 통해 구동 수단(13)의 출력 파워를 조절함으로써, 전체 기기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실현한다.
또한, 상기 동물 모형(16)은 고정 프레임 및 동물 모형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은 바디 고정 프레임 및 두부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 고정 프레임은 상기 가로 프레임체(141a)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두부 고정 프레임은 상기 바디 고정 프레임의 전측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방향 전환 수단(17)은 상기 두부 고정 프레임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방향 전환 수단(17)은 방향 전환 손잡이(171), 상향 전환 체인 휠(172), 하향 전환 체인 휠(173), 상부 체인(174), 하부 체인(175) 및 스틸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 손잡이(171)는 상기 두부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향 전환 체인 휠(172)은 방향 전환 손잡이(171)에 설치되고, 상기 하향 전환 체인 휠(173)은 상기 주행 수단(12)에 설치되며, 상부 체인과 하부 체인은 상향 전환, 하부 체인 휠에 각각 설치되고, 두 개 체인 사이는 스틸 와이어 로프로 교차 연결된다. 방향 전환 손잡이(171)에는 기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기어 장치는 두 개의 기어가 있으며, 각각 전진 기어, 후퇴 기어이다. 기어 장치는 제어기와 연결되고, 제어기를 통해 모터의 정방향 회전, 반대 방향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전체 기기의 전진, 후퇴의 운동 상태를 달성시킨다.
또한, 상기 주행 수단(12)은 앞바퀴 수단(122) 및 뒷바퀴 수단(121)을 포함하고, 상기 앞바퀴 수단(122)은 두 개의 앞바퀴(122a) 및 앞바퀴 회전축(122b)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앞바퀴(122a)는 앞바퀴 회전축(122b)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하향 전환 체인 휠(173)은 앞바퀴 회전축의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앞바퀴 수단(122)은 섀시(11)의 앞바퀴 고정 브라켓(11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뒷바퀴 수단(121)은 주동 뒷바퀴(121a), 피동 뒷바퀴(121b), 뒷바퀴 회동축(121c), 지지 베어링캡(121d), 체인 디스크(121e), 브레이크(121f)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동 뒷바퀴(121a), 피동 뒷바퀴(121b), 지지 베어링캡(121d), 체인 디스크(121e), 브레이크(121f)는 뒷바퀴 회동축(121c)에 각각 설치된다. 주동 뒷바퀴(121a)와 뒷바퀴 회동축(121c)는 파워 로크를 통해 설치되고, 주동 뒷바퀴(121a)와 뒷바퀴 회동축(121c)은 동시에 회동한다. 피동 뒷바퀴(121b)와 뒷바퀴 회동축(121c)은 롤링 베어링을 통해 설치된다. 뒷바퀴 수단(121)은 지지 베어링캡(121d)을 통해 섀시(11)와 연결되어 섀시(11)에 설치된다. 주동 뒷바퀴(121a) 및 피동 뒷바퀴(121b)는 상기 섀시(11)의 뒷바퀴 고정 베이스(111)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운동 장치(1)는 에너지 저장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 수단은 제1 스프링 수단(191) 및 제2 스프링 수단(192)을 포함하며, 제1 스프링 수단(191)은 스윙 가로 프레임(141)과 섀시(11) 사이에 설치된다. 제2 스프링 수단(192)은 서포팅 프레임(15)과 피동 회전암(142b)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스프링 수단(191) 및 제2 스프링 수단(192)은 스프링을 이용하여 어네지를 축적하고 방출하고, 운동 수단(14)이 하향 스윙될 경우 에너지를 축적하고, 상향 스윙될 경우 에너지를 방출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효과를 달성시킨다.
또한, 상기 운동 장치(1)는 공동 접지 전도성 바퀴(193)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동 접지 전도성 바퀴(193)는 섀시(11)의 저부에 설치된다. 전기 전도휠(193)은 베어링캡을 통해 섀시의 저부에 설치되고, 전체 기기가 운동할 경우 전기 전도휠은 뒷바퀴를 따라 전기 전도 바닥에서 롤링하여 신뢰적인 스트레이트 연결을 형성하여, 기타 라이딩 머신과 통일적인 공동 참조 전위 포인트를 구축하는 것을 실현한다.
또한, 상기 운동 장치(1)는 온도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공기 펌프(194) 및 에어 파이프(195)를 포함하며, 공기 펌프는 서포팅 프레임에 설치되고, 에어 파이프는 공기 펌프로부터 인출 연신되어 말안장형 브라켓에 고정된다. 공기 펌프가 온도를 조절하여 상응한 기류를 발생시키고, 에어 파이프에 의해 인출되어 기행자가 원하는 온도 조절의 목적에 달성한다.
또한, 상기 섀시(11)의 외부 가장자리에는 충돌방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특정된 형상의 타이어와 내부 타이어로 이루어진다. 충돌 현상이 발생할 경우, 타이어는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환충의 효과를 달성한다.
본 발명의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은, 전동의 라이딩 오락 헬스 기계를 사용하여 운동 장치로 하고, 상기 운동 장치는 직류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고, 축전지팩 및 제어기로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고 제어한다. 모터가 동력을 출력하는 것은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한편으로 뒷바퀴 수단에 전달하고, 다른 한편으로 시뮬레이션 운동 수단에 전달한다. 동물 모형에 총 스위치를 설치하고, 스위치 라이딩 머신을 가동하여 작동 가능한 상태에 처한다. 탑승자는 안장에 앉고, 임의의 손으로 방향 전환 손잡이를 잡으며, 양 발을 페달판에 놓는다. 양측 페달판에서, 우측 페달판에는 액셀러레이터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액셀러레이터를 밟으면 신호는 제어기에 전달되고, 제어기는 모터가 회동하도록 제어하며, 모터는 변속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뒷바퀴가 축 회동하도록 하고, 뒷바퀴 축 회동은 주동 뒷바퀴가 회동함으로써 전체 기기가 전 후 운동하도록 한다. 아울러 모터 구동은 다단 변속 동력 전달 수단을 거쳐 시뮬레이션 운동 수단의 운동을 구동하고, 시뮬레이션 운동 수단은 동물 모형 및 스윙 거치대를 운동하도록 하며, 안장이 시뮬레이션 기마 중심 궤적의 운동을 하도록 한다. 액셀러레이터 장치를 제어하여 전체 기기 운동을 가동하는 것을 실현하고 전체 기기 운동 속도의 크기를 제어한다. 좌측의 페달판에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브레이크를 밟으면 신호는 제어기에 전달되며, 제어기는 모터가 정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아울러 브레이크는 뒷바퀴 축 회동을 저지시키고 주동 뒷바퀴 회동을 저지시켜 전제 기기 운동 상태의 제동을 실현한다. 라이딩 중, 기행자는 방향 전환 손잡이를 제어할 수 있고, 방향 전환 손잡이는 방향 전환 장치에 연동되어 라이딩 머신이 임의의 방향을 향하여 운동하도록 제어한다. 방향을 전환시킬 경우, 주동 뒷바퀴와 피동 뒷바퀴는 상이한 보조로 회동하여 차 바퀴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감소한다. 방향 전환 손잡이에는 기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바, 모두 전진, 후퇴 두 개의 기어가 있다. 기어를 전진 기어까지 조절하면, 라이딩 머신은 전진 운동 상태이다. 기어를 후퇴 기어까지 조절하면, 라이딩 머신은 후퇴의 운동 상태이다. 섀시의 가장자리에는 충돌 방지 타이어로 제조된 충돌 방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라이딩 중 충돌 현상이 발생할 경우, 타이어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에너지를 흡수하여 환충 효과를 달성시켜, 기행자가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보호한다. 라이딩 과정에 있어서, 온도 조절 장치는 기행자에게 상이한 온도의 기류를 제공하여 기행자 주변의 온도가 편안한 목적을 달성시킨다. 라이딩 머신 운동 과정에 있어서, 기행자는 라이딩 머신의 운동을 조절 제어하고, 임의로 라이딩 머신을 전진, 후퇴 및 방향 회전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기타 라이딩 머신과 ?고 쫓기며 상후 충돌하여 헬스 오락의 효과를 달성시킨다.
상기 내용에 따르면, 이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및 명세서 내용에 의한 동등한 변화와 수식은 반드시 본 발명의 특허가 포괄한 범위 내에 속하여야 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운동 장치, 파이팅 장치, 방어 장치, 무선 인식 제어 장치 및 스코어링 처리 장치로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무선 인식 제어 장치는 제1 MCU 제어 모듈, 고주파 펄스 접촉 송신 모듈, 경보 모듈,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 및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을 사용하여 구성하고, 스코어링 처리 장치는 장소 주변에 설치되는 USB 무선 본체, 장소 주변에 설치되는 컴퓨터 본체 및 장소 주변에 설치되는 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사용하여 구성하며, USB 무선 본체는 제2 MCU 제어 모듈, USB 데이터 전송 모듈 및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을 사용하여 구성하고, 파이팅 장치는 기계 본체 및 기계 핸들을 사용하여 구성하며, 기계 본체는 메인 골조체, 완충층 및 표피층을 사용하여 구성하고, 여기서 표피층은 전기를 전도할 수 있고, 방어 장치은 갑옷 구조를 사용하되, 갑옷, 투구 및 고지트를 포함하며, 운동 장치은 섀시, 주행 수단, 구동 수단, 운동 수단, 서포팅 프레임, 방향 전환 수단 및 동물 모형을 사용하여 구성되고, 산업상에서 실현하기에 편리하며, 또한, 운동 장치, 파이팅 장치, 방어 장치, 무선 인식 제어 장치 및 스코어링 처리 장치 등 각각의 부재는 공업상에서도 가공이 편리하다.

Claims (29)

  1.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파이팅 상호 작용자를 탑재하여 미리 설치된 운동장에서 이동할 수 있는 운동 장치;
    전기적 접촉을 실현할 수 있는 제1 전도부 및 전기적 연결을 실현할 수 있는 제1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도부와 제1 포트는 서로 연결되며, 상기 운동 장치에 라이딩된 파이팅 상호 작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제공되는 파이팅 장치;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접촉을 실현하기 위한 제2 전도부 및 전기적 연결을 실현하기 위한 제2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전도부와 제2 포트는 서로 연결되며, 상기 운동 장치에 라이딩된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지정 외부를 방어하기 위한 방어 장치; 및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스코어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동 장치에 라이딩된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몸에 배치되는 무선 인식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선 인식 제어 장치는, 전기적 연결을 실현하기 위한 제3 포트, 제4 포트 및 무선 신호 전송을 실현하기 위한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3 포트와 파이팅 장치의 제1 포트는 서로 연결되어, 무선 인식 제어 장치와 파이팅 장치의 제1 전도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4 포트는 방어 장치의 제2 포트와 서로 연결되어, 무선 인식 제어 장치와 방어 장치의 제2 전도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과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 사이는 무선 통신으로 서로 연결되며,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가 손에 잡은 파이팅 장치의 제1 전도부가 다른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방어 장치의 제2 전도부에 접촉될 경우, 상기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는 제1 전도부를 통해 ID 인식 코드를 지닌 고주파 펄스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는 제2 전도부를 통해 상기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ID 인식 코드의 고주파 펄스 신호를 수신하고, 대응되게 처리한 후, 상기 다른 하나의 파이팅 상호 작용자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는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을 통해 스코어링 처리 장치에 스코어링 신호를 송신하며, 스코어링 처리 장치로 대응되는 스코어링 처리를 진행하고,
    상기 스코어링 처리 장치는 장소 주변에 설치되는 하나의 USB 무선 본체, 장소 주변에 설치되는 하나의 컴퓨터 본체 및 장소 주변에 설치되는 하나의 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은 USB 무선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USB 무선 본체는 하나의 제2 MCU 제어 모듈, 하나의 USB 데이터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하되,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은 제2 MCU 제어 모듈과 서로 연결되고, 제2 MCU 제어 모듈은 USB 데이터 전송 모듈과 서로 연결되며, USB 무선 본체와 무선 인식 제어 장치 사이에서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과 제2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을 통해 데이터 무선 전송을 실현하고, 상기 컴퓨터 본체는 ID 코딩 모듈, 신호 처리 모듈, 스코어링 모듈 및 표시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컴퓨터 본체와 USB 무선 본체 사이에서 USB 데이터 전송 모듈을 통해 데이터 유선 전송을 실현하고, 상기 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입력과 컴퓨터 본체의 출력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시스템은 2명의 사용자에서 사용 가능하거나, 또는 다중 사용자를 가진 그룹 사이의 상호 파이팅에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식 제어 장치는 하나의 제1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제어 모듈, 하나의 고주파 펄스 접촉 송신 모듈, 하나의 경보 모듈, 적어도 두 개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제1 고주파 무선 전송 모듈은 제1 MCU 제어 모듈과 서로 연결되고, 제1 MCU 제어 모듈의 고주파 펄스 신호 출력단은 상기 고주파 펄스 접촉 송신 모듈의 입력에 연결되며, 제1 MCU 제어 모듈의 고주파 펄스 신호 입력단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의 출력과 각각 서로 연결되고, 제1 MCU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 출력단은 경보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고주파 펄스 접촉 송신 모듈의 출력은 상기 제3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의 출력은 대응되는 제4 포트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모듈은 LED 지시 모듈 및 음악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LED 지시 모듈과 음악 제어 모듈은 제1 MCU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 출력단과 각각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무선 본체는 하나의 외장된 무선 리모컨 발사 모듈 및 하나의 무선 리모컨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리모컨 수신 모듈의 출력은 제2 MCU 제어 모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본체의 ID 코딩 모듈은 USB 무선 본체를 통해 상이한 ID 인식 코드를 각각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에 각각 부여하고,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제1 전도부가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제2 전도부와 접촉될 경우, 상기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MCU 제어 모듈은 상기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고주파 펄스 접촉 송신 모듈을 통해 상기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ID 인식 코드를 구비하는 고주파 펄스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은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의 고주파 펄스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의 고주파 펄스 신호를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로 전환시켜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MCU 제어 모듈에 출력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MCU 제어 모듈은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 자체의 ID 인식 코드, 및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제2 전도부 대응 위치를 마킹하는 특징 코드를 데이터 패킹(data packing)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와 USB 무선 본체 사이의 전송 프로토콜을 통해 USB 무선 본체에 송신하며, USB 무선 본체는 USB 데이터 전송 모듈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컴퓨터 본체에 전송하고, 컴퓨터 본체의 신호 처리 모듈은 데이터 패킷의 정보 데이터를 인식 판단하고 분석 처리하며,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와 기설정된 ID 인식 코드의 비교값이 동일할 경우, 무효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고,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와 기설정된 ID 인식 코드의 비교값이 상이할 경우, 컴퓨터 본체의 신호 처리 모듈은 USB 무선 본체를 통해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MCU 제어 모듈이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경보 모듈에 신호를 출력하여 경보 모듈이 경보하도록 하며, 아울러, 컴퓨터 본체의 신호 처리 모듈은 컴퓨터 본체의 스코어링 모듈에 신호를 출력하고, 스코어링 모듈로 기설정된 모드에 따라 스코어링 처리를 진행하며, 스코어링 결과를 컴퓨터 본체의 표시 모듈에 출력하고, 컴퓨터 본체의 표시 모듈은 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팅 장치는 기계 본체 및 기계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계 본체는 내부로부터 외부로 각각 메인 골조체, 완충층 및 표피층을 구비하며, 상기 완충층은 상기 메인 골조체에 피복되고, 상기 표피층은 상기 완충층에 피복되며, 상기 기계 본체와 기계 핸들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표피층은 전도성 재료 또는 복합 전도성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표피층은 상기 제1 전도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기계 본체는 뚫림 방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뚫림 방지층은 상기 메인 골조체에 피복되며, 상기 완충층은 상기 뚫림 방지층에 피복되고, 상기 메인 골조체는 금속 탄성 재료 또는 비금속 탄성 구조 재료 또는 이 양자를 복합적으로 제작하여 형성된 탄성 구조체이며, 상기 완충층은 복합 재료 또는 고무 또는 발포 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형성된 탄성체이고, 상기 뚫림 방지층은 뚫림 방지포 또는 복합 재료로 제작되어 형성된 외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핸들은 프레임 코어, 기계 본체 고정 부재, 그립 부재, 기계 핸들 손보호 부재 및 평형추로 구성되고, 상기 기계 본체 고정 부재는 기계 본체의 메인 골조체와 기계 핸들의 프레임 코어 사이에 연결되며, 그립 부재의 일단은 기계 본체 고정 부재와 서로 연결되고, 그립 부재의 타단은 평형추와 서로 연결되며, 기계 핸들의 손보호 부재는 호형을 나타내고 기계 본체 고정 부재와 평형추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피층은 전도성 패브릭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도성 패브릭은 리드를 통해 기계 핸들에 연결되며, 상기 기계 핸들의 프레임 코어는 기계 본체의 메인 골조체와 일체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는 전도성 재료체이고, 상기 표피층은 리드를 통해 그립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그립 부재는 상기 제1 포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는 절연 재료체이고, 상기 기계 본체 고정 부재에는 제1 신호 전송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도성 패브릭은 리드를 통해 상기 제1 신호 전송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신호 전송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포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어 장치는 갑옷을 포함하고, 상기 갑옷은 내층에 위치된 방어 패브릭과 외층에 위치된 전도성 재료로 구성되며, 전도성 재료는 인체가 착용했을 경우의 중상부 위치에 대응되게 커버되고, 상기 전도성 재료의 외층은 상기 제2 전도부를 구성하며, 갑옷에는 인체가 착용했을 경우의 팔뚝 말단 위치에 대응되게 파이팅 기계 전기 신호의 연결 장치가 더 설치되어 있어, 손으로 잡고 있는 파이팅 기계의 전기 신호를 액세스하는 것을 실현하도록 하며, 갑옷에는 신호 전송 연결 헤드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신호 전송 연결 헤드에는 적어도 두 가닥의 신호 전송 라인이 있으며, 한 가닥은 상기 파이팅 기계 전기 신호 연결 헤드와 서로 연결되고, 다른 한 가닥은 상기 제2 포트를 구성하고 갑옷의 전도성 재료와 서로 연결되며, 갑옷에는 인렛 포트(inlet port) 및 에어 파이프(air pipe)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 파이프는 상기 인렛 포트와 서로 연통되며, 상기 에어 파이프에는 제1 분기구가 더 설치되어 있고, 갑옷에는 내외가 서로 통하는 제1 통기공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방어 장치는 투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구는 표면에 전도층이 커버된 유리강 또는 금속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상기 표면에 전도층이 커버되거나 또는 금속 재료는 상기 제2 전도부를 구성하고, 상기 신호 전송 연결 헤드는 제3 가닥 신호 전송 라인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3 가닥 신호 전송 라인은 상기 제2 포트를 구성하고 투구의 전도층 또는 금속 재료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구에 있어서, 인체의 안면 위치에 대응되게 금속 방어망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갑옷에서, 인체가 착용했을 경우의 앞부분 위치에 대응되게 제1 트임이 설치되어 있고, 제1 트임에는 제1 지퍼가 설치되어 있어 제1 지퍼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제1 트임이 닫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방어 장치는 투구와 갑옷 사이를 연결하는 고지트(gorget)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지트는 상, 중, 하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 하 부분은 천과 경질의 탄성 재료체를 복합하여 형성되고, 천은 표층에 위치하며, 상기 중간 부분은 탄력천을 사용하고, 상기 탄력천은 상층천과 하층천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고지트의 하부에는 인체의 목 주위를 감싸는 다수의 제2 통기공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트에는 세로방향을 따라 분할부가 설치되어 있어 고지트가 세로방향을 따라 분해되고, 상기 분할부에는 제1 벨크로 또는 제1 버튼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벨크로 또는 제1 버튼을 통해 연결하여 고지트가 인체 목 주위의 형상에 대응되게 감쌀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지트와 투구는 제2 벨크로 또는 제2 버튼을 통해 연결되어 서로 고정되며, 상기 고지트와 갑옷은 제2 지퍼 또는 제3 버튼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장치는 섀시(chassis), 주행 수단, 구동 수단, 운동 수단, 서포팅 프레임, 방향 전환 수단 및 동물 모형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 수단은 섀시에 설치되어 상기 섀시를 주행시키며, 상기 구동 수단은 섀시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 수단과 서로 연동되고, 상기 서포팅 프레임은 섀시에 설치되며, 상기 운동 수단은 서포팅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수단과 서로 연동되며, 운동 수단은 서포팅 프레임의 지지하 및 구동 수단의 구동하에 동물 운동 형태를 모방하는 동작을 진행하고, 상기 동물 모형은 상기 운동 수단에 설치되어 운동 가능한 동물 형태를 형성하며, 상기 방향 전환 수단은 동물 모형의 앞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 수단과 서로 연동되어 주행 수단의 방향 전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운동 장치는 동력 전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섀시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상기 주행 수단, 운동 수단과 각각 서로 연동되고,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단단 변속의 제1 동력 전달 수단 및 다단 변속의 제2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단단 변속의 제1 동력 전달 수단과 상기 주행 수단을 통해 서로 연동되고, 상기 구동 수단은 다단 변속의 제2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상기 운동 수단과 서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수단은 스윙 가로 프레임 및 시뮬레이션 운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운동 수단은 두 가닥의 크랭크, 두 가닥의 피동 회전암, 한 가닥의 주축 및 한 가닥의 피동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축, 피동축은 상기 서포팅 프레임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회동 가능하며, 주축은 또 상기 구동 수단과 서로 연동되고, 상기 두 가닥의 크랭크의 각 일단은 상기 주축의 양단과 각각 서로 연결되며, 상기 두 가닥의 크랭크의 각 타단은 스윙 가로 프레임의 앞부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두 가닥의 피동 회전암은 피동축의 양단과 스윙 가로 프레임의 뒷부분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가로 프레임은 가로 프레임체, 말안장형 브라켓 및 페달 설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프레임체의 앞부분에는 상기 크랭크와 서로 연결되는 크랭크 베어링캡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 프레임체의 뒷부분에는 상기 피동 회전암과 서로 연결되는 피동축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말안장형 브라켓은 상기 가로 프레임체의 뒷부분에 고정되며, 상기 페달 설치 프레임은 상기 가로 프레임체 양측의 저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 모형은 고정 프레임 및 동물 모형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바디 고정 프레임 및 두부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 고정 프레임은 상기 가로 프레임체에 고정되고, 상기 두부 고정 프레임은 상기 바디 고정 프레임의 전측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방향 전환 수단은 상기 두부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수단은 방향 전환 손잡이, 상향 전환 체인 휠, 하향 전환 체인 휠, 상부 체인, 하부 체인 및 스틸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 손잡이는 상기 두부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향 전환 체인 휠은 방향 전환 손잡이에 설치되고, 상기 하향 전환 체인 휠은 상기 주행 수단에 설치되며, 상부 체인과 하부 체인은 상향 전환 체인 휠과 하향 전환 체인 휠에 각각 설치되고, 두 체인 사이는 스틸 와이어 로프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수단은 앞바퀴 수단 및 뒷바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앞바퀴 수단은 두 개의 앞바퀴 및 앞바퀴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앞바퀴는 각각 앞바퀴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하향 전환 체인 휠은 앞바퀴 회전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 수단은 주동 뒷바퀴, 피동 뒷바퀴, 뒷바퀴 회동축, 지지 베어링캡, 체인 디스크, 브레이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동 뒷바퀴, 피동 뒷바퀴, 지지 베어링캡, 체인 디스크, 브레이크는 뒷바퀴 회동축에 각각 설치되며, 주동 뒷바퀴와 뒷바퀴 회동축은 파워 로크를 통해 설치되고, 주동 뒷바퀴와 뒷바퀴 회전축은 동시에 회동되며, 피동 뒷바퀴와 뒷바퀴 회동축은 롤링 베어링을 통해 설치되고, 뒷바퀴 수단은 지지 베어링캡과 섀시를 통해 섀시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26. 제20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운동 장치는 에너지 저장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 수단은 제1 스프링 수단 및 제2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며, 제1 스프링 수단은 스윙 가로 프레임과 섀시 사이에 설치되고, 제2 스프링 수단은 서포팅 프레임과 피동 회전암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27. 제18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운동 장치는 섀시의 저부에 설치되는 공동 접지 전도성 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28. 제20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운동 장치는 온도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공기 펌프 및 에어 파이프를 포함하며, 공기 펌프는 서포팅 프레임에 설치되고, 에어 파이프는 공기 펌프로부터 인출되어 스윙 가로 프레임에 연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2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본체의 ID 코딩 모듈은 USB 무선 본체를 통해 상이한 ID 인식 코드를 각각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에 각각 부여하고,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제1 전도부가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제2 전도부와 접촉될 경우, 상기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MCU 제어 모듈은 상기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고주파 펄스 접촉 송신 모듈을 통해 상기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ID 인식 코드를 구비하는 고주파 펄스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고주파 펄스 접촉 수신 모듈은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의 고주파 펄스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의 고주파 펄스 신호를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로 전환시켜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MCU 제어 모듈에 출력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MCU 제어 모듈은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 자체의 ID 인식 코드, 및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제2 전도부 대응 위치를 마킹하는 특징 코드를 데이터 패킹(data packing)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와 USB 무선 본체 사이의 전송 프로토콜을 통해 USB 무선 본체에 송신하며, USB 무선 본체는 USB 데이터 전송 모듈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컴퓨터 본체에 전송하고, 컴퓨터 본체의 신호 처리 모듈은 데이터 패킷의 정보 데이터를 인식 판단하고 분석 처리하며,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와 기설정된 ID 인식 코드의 비교값이 동일할 경우, 무효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고, 대응되는 ID 인식 코드와 기설정된 ID 인식 코드의 비교값이 상이할 경우, 컴퓨터 본체의 신호 처리 모듈은 USB 무선 본체를 통해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제1 MCU 제어 모듈이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인식 제어 장치의 경보 모듈에 신호를 출력하여 경보 모듈이 경보하도록 하며, 아울러, 컴퓨터 본체의 신호 처리 모듈은 컴퓨터 본체의 스코어링 모듈에 신호를 출력하고, 스코어링 모듈로 기설정된 모드에 따라 스코어링 처리를 진행하며, 스코어링 결과를 컴퓨터 본체의 표시 모듈에 출력하고, 컴퓨터 본체의 표시 모듈은 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KR1020167031424A 2014-05-13 2015-04-29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KR101999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200242.5A CN105879353B (zh) 2014-05-13 2014-05-13 一种持械互击娱乐运动的高频无线记分系统及其方法
CN201410200242.5 2014-05-13
CN201520191517.3U CN204671861U (zh) 2015-04-01 2015-04-01 一种用于健身运动/娱乐活动方面的器械
CN201520191517.3 2015-04-01
CN201520192421.9 2015-04-01
CN201520192421.9U CN204582531U (zh) 2015-04-01 2015-04-01 一种电动的骑行娱乐健身机
CN201520192895.3U CN204678974U (zh) 2015-04-01 2015-04-01 一种能够传递信号及调节温度的防护盔甲
CN201520192895.3 2015-04-01
PCT/CN2015/077757 WO2015172656A1 (zh) 2014-05-13 2015-04-29 一种基于高频无线记分的持械搏击互动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220A KR20170008220A (ko) 2017-01-23
KR101999429B1 true KR101999429B1 (ko) 2019-07-11

Family

ID=54479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424A KR101999429B1 (ko) 2014-05-13 2015-04-29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179269B2 (ko)
EP (1) EP3144037B1 (ko)
JP (1) JP6528291B2 (ko)
KR (1) KR101999429B1 (ko)
AU (1) AU2015258616B2 (ko)
BR (1) BR112016028269A2 (ko)
CA (1) CA2948925C (ko)
MX (1) MX363977B (ko)
PH (1) PH12016502265A1 (ko)
RU (1) RU2677606C2 (ko)
SG (1) SG11201609524SA (ko)
WO (1) WO20151726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203B1 (ko) 2019-09-06 2021-06-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보형 디바이스
CN115364459A (zh) * 2021-08-10 2022-11-22 武汉康亿顺体育有限公司 一种基于击剑运动的冷兵器无线传输信息数据发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0022A1 (en) 2004-11-05 2006-05-11 Linsay Paul S Wireless scoring system for sport fencing
CN101648067B (zh) 2009-06-01 2011-04-13 朱嘉斌 以机电仿真动物为载体的持械搏击并无线记分的互动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1470A (ja) * 1989-03-15 1990-09-26 Meitec Corp ライディングシミュレータにおける人工馬体のリンク機構
JPH0611771U (ja) * 1992-07-21 1994-02-15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打撃判定器
FR2806314B1 (fr) * 2000-03-17 2002-06-14 Masters Internat Comp Dispositif de detection et de signalisation de touches en escrime
JP4067480B2 (ja) * 2002-11-08 2008-03-26 有限会社よし企画 対戦型競技の支援設備
IL162337A0 (en) * 2004-06-03 2005-11-20 David Mansour Cooling system for body armour
US7891231B2 (en) * 2008-03-21 2011-02-22 Song Jin Y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registering the location and intensity of impacts in sports
CN201316517Y (zh) * 2008-12-16 2009-09-30 朱嘉斌 一种多人的器械互击娱乐运动的无线记分装置
US8348770B2 (en) * 2010-07-07 2013-01-08 Jeffrey Shawn Hart Scoring machine
US20120028721A1 (en) * 2010-07-29 2012-02-02 Johnson Wayne E Method for Tactile Signaling of Touches in the Sport of Fencing
RU113479U1 (ru) * 2011-08-15 2012-02-20 Василь Линардович Урманчеев Система регистрации рубящих и колющих ударов при фехтовании на имитаторах холодного оружия
CN203017725U (zh) * 2012-11-06 2013-06-26 安徽寰智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动作识别技术的搏击操训练辅助系统
US9358443B2 (en) * 2013-11-22 2016-06-07 Morehouse Use Creative, Llc Contact sensing device and system
US20150148139A1 (en) * 2013-11-22 2015-05-28 Morehouse USA Creative, LLC Fencing weapon including indicator integrated in guar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0022A1 (en) 2004-11-05 2006-05-11 Linsay Paul S Wireless scoring system for sport fencing
CN101648067B (zh) 2009-06-01 2011-04-13 朱嘉斌 以机电仿真动物为载体的持械搏击并无线记分的互动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6502265A1 (en) 2017-02-06
EP3144037A1 (en) 2017-03-22
RU2016144415A (ru) 2018-06-19
US20170080314A1 (en) 2017-03-23
MX363977B (es) 2019-04-10
EP3144037B1 (en) 2020-11-11
US10179269B2 (en) 2019-01-15
SG11201609524SA (en) 2016-12-29
JP2017523886A (ja) 2017-08-24
RU2016144415A3 (ko) 2018-12-03
CA2948925A1 (en) 2015-11-19
MX2016014828A (es) 2017-03-10
CA2948925C (en) 2019-09-03
RU2677606C2 (ru) 2019-01-17
JP6528291B2 (ja) 2019-06-12
BR112016028269A2 (pt) 2019-10-08
AU2015258616B2 (en) 2019-05-16
WO2015172656A1 (zh) 2015-11-19
KR20170008220A (ko) 2017-01-23
AU2015258616A1 (en) 2016-12-08
EP3144037A4 (en) 201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07545A (zh) 乘坐式娱乐设施中的乘坐设备及其使用的安全装置以及乘坐设备的输入装置
CN101648067B (zh) 以机电仿真动物为载体的持械搏击并无线记分的互动系统
KR101999429B1 (ko) 고주파 무선 스코어링에 기반하는 암드 파이팅 인터랙티브 시스템
CN201832408U (zh) 一种电子游戏力觉反馈装置
CN105903195A (zh) 双向互动式智能vr骑马设备
CN107952215A (zh) 一种基于vr设备的健身单车及使用方法
CN205460938U (zh) 站立式三自由度vr模拟游戏机
KR101398939B1 (ko) 헬스 게임 바이크
CN114470711B (zh) 一种拳击对打训练用装置
CN205598627U (zh) 一种全方位体感式碰碰车
CN106648115A (zh) 一种基于ar虚拟控制的小车体感对战装置及控制方法
CN107469325A (zh) 一种基于vr设备的健身单车
CN104994919A (zh) 一种用于激光枪战游戏中的异形附着物及系统
CN104548503B (zh) 一种用于操纵人体运动的游戏控制装置
CN203169906U (zh) 五感运动康复训练台
CN207429699U (zh) 一种环球飞车装置
CN206228928U (zh) 一种碰碰车
CN213903956U (zh) 一种多功能ar眼镜
CN211635199U (zh) 适用于vr飞行的健身器
CN113041608B (zh) 一种基于气垫的体感效果强的vr交互椅
CN205699404U (zh) 一种闯关型游乐装置
CN201115779Y (zh) 模拟人体动作的游戏系统及系统中使用的空气流量传感器
CN2520188Y (zh) 旋转自行车
CN115311930A (zh) 防疫教育设备
JP3109483U (ja) 運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