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120B1 -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120B1
KR101999120B1 KR1020190065973A KR20190065973A KR101999120B1 KR 101999120 B1 KR101999120 B1 KR 101999120B1 KR 1020190065973 A KR1020190065973 A KR 1020190065973A KR 20190065973 A KR20190065973 A KR 20190065973A KR 101999120 B1 KR101999120 B1 KR 101999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ring body
coupled
rotating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효숙
Original Assignee
(주)현대인사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인사이트 filed Critical (주)현대인사이트
Priority to KR1020190065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는 변압기를 전신주의 둘레를 따라 원하는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어 변압기를 건물로부터 소정 간격 이상 이격시켜 한전 설비규정 중 이격 거리 규정을 지킬 수 있으며, 변압기의 승하강 시 충격흡수부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거나 저감하여 변압기, 전신주 주변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변압기 고장이나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Transformer Establishing Strcture of Electric Pole of Aerial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압기를 회전부에 의해 전신주의 둘레를 따라 원하는 위치까지 회전하고, 충격흡수부에 의해 회전부의 승하강 시 충격을 흡수하거나 저감하여 변압기의 고장이나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상변압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전력을 권선으로 인가하는 접속부재로 고압부싱과 변압된 저압의 전력을 다시 외부로 인출하는 저압부싱을 포함한다.
주상변압기는 주택 상가 등의 건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전주에 설비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주상변압기 상에 설치되어 있는 고압부싱이 주상변압기 외함 중 전주결합부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주택이 밀집된 지역에서는 상기 주상변압기가 건물과 인접되게 설치된 전주에 설치되며, 상기 주상변압기의 고압부싱이 설치되는 위치가 전주결합부에 가까운 위치인 경우, 고압선이 건물에 가까워져서 고압선을 건물로부터 소정 간격 이상 이격시켜야 하는 한전 설비규정 중 이격 거리 규정을 지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여러 가지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는바, 특히 상기 고압선이 전주에 가까운 거리에 구비되므로 전주상에서 고장 수리 작업 등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이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의 기후 이상으로 인하여 바람, 비, 지진 등의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변압기, 전신주 주변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변압기 고장이나 전기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703635호(등록일: 2007년 04월 09일), 발명의 명칭: "송배전용 전신주의 변압기 설치구조"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변압기를 회전부에 의해 전신주의 둘레를 따라 원하는 위치까지 회전하고, 충격흡수부에 의해 회전부의 승하강 시 충격을 흡수하거나 저감하여 변압기의 고장이나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는,
전신주(10)에 끼워지는 링 형태의 제1 상부링본체(111)와, 상기 제1 상부링본체(111)의 하부에 링 형태의 제1 하부링본체(112)를 결합하고, 상기 제1 상부링본체(111)와 상기 제1 하부링본체(112)의 사이에 제1 변압기 회전부재(113)를 형성하는 제1 회전부(110);
변압기(12)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변압기 거치대(180)의 상부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상부링본체(111)와 상기 제1 하부링본체(112)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변압기 거치대(180)와 상기 제1 회전부(110)를 연결시키는 제1 연결부(160);
제1 하부링본체(112)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원형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고, 제1 회전부(110)의 승하강 시 충격을 흡수하며, 탄성에 의해 복원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충격흡수부(120);
제1 충격흡수부(1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신주(10)에 끼워지는 링 형태의 제2 상부링본체(131)와, 상기 제2 상부링본체(131)의 하부에 링 형태의 제2 하부링본체(132)를 결합하고, 상기 제2 상부링본체(131)와 상기 제2 하부링본체(132)의 사이에 제2 변압기 회전부재(133)를 형성하는 제2 회전부(130); 및
상기 변압기 거치대(180)의 하부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상부링본체(131)와 상기 제2 하부링본체(132)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변압기 거치대(180)와 상기 제2 회전부(130)를 연결시키는 제2 연결부(17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2 변압기 회전부재(113, 133)는 중심부에 전신주(10)가 끼워지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고, 일정 두께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복수개의 기어가 구비된 제1, 2 회전기어(114, 134)와, 상기 제1, 2 회전기어(114, 134)에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는 제1, 2 구동기어(115, 135)를 형성하고, 상기 제1, 2 구동기어(115, 135)의 중심부에 수직 방향으로 제1, 2 회전축(115a, 135a)이 결합되며, 상기 제1, 2 회전축(115a, 135a)의 하부에 제1, 2 모터(116, 136)를 결합하고,
상기 제1, 2 연결부(160, 17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제1, 2 수용 하우징(162, 172)과, 상기 제1, 2 수용 하우징(162, 172)의 수용 공간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스프링지지대(164, 174)와 제2 스프링지지대(165, 175)과, 상기 제1 스프링지지대(164, 174)와 상기 제2 스프링지지대(165, 175)의 사이를 연결하는 축(166, 176)과, 상기 축(166, 176)의 둘레를 감겨져 있는 제1, 2 스프링부재(167, 177)와, 제1 스프링지지대(164, 174)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스프링지지대(164, 174)를 수평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제1, 2 가압부재(163, 173)와, 일단 부분이 제1, 2 가압부재(163, 173)의 일면에 결합되어 제1, 2 수용 하우징(162, 172)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 부분이 상기 제1, 2 상부링본체(111, 131)와 상기 제1, 2 하부링본체(112, 132)의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하는 제1, 2 연결부재(161, 171)를 포함하며,
상기 변압기 거치대(180)는 제1, 2 모터(116, 136)의 구동에 따라 제1, 2 구동기어(115, 135)를 회전시켜 상기 제1, 2 연결부(160, 170)를 전신주(1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고, 상기 제1 충격흡수부(120)에 의해 상기 제1 회전부(110)의 승하강 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변압기를 전신주의 둘레를 따라 원하는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어 변압기를 건물로부터 소정 간격 이상 이격시켜 한전 설비규정 중 이격 거리 규정을 지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변압기의 승하강 시 충격흡수부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거나 저감하여 변압기, 전신주 주변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변압기 고장이나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회전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충격흡수부와 제2 충격흡수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충격 저감용 시트의 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주택이 밀집된 지역에서는 상기 주상변압기가 건물과 인접되게 설치된 전주에 설치되며, 고압선이 전주에 가까운 거리에 구비되므로 전주상에서 고장 수리 작업 등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이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의 기후 이상으로 인하여 바람, 비, 지진 등의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변압기, 전신주 주변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변압기 고장이나 전기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변압기를 회전부에 의해 전신주의 둘레를 따라 원하는 위치까지 회전하고, 충격흡수부에 의해 회전부의 승하강 시 충격을 흡수하거나 저감하여 변압기의 고장이나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회전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충격흡수부와 제2 충격흡수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100)는 원통 형상의 전신주(10)에 링 형태로 끼워지는 제1 회전부(110), 제1 충격흡수부(120), 제2 회전부(130) 및 제2 충격흡수부(140)를 포함한다.
제1 회전부(110)는 전신주(10)에 끼워지는 링 형태의 제1 상부링본체(111)와, 상기 제1 상부링본체(111)의 하부에 링 형태의 제1 하부링본체(112)를 결합하고, 상기 제1 상부링본체(111)와 상기 제1 하부링본체(112)의 사이에 제1 변압기 회전부재(113)를 형성한다.
제1 변압기 회전부재(113)는 중심부에 전신주(10)가 끼워지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고, 일정 두께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복수개의 기어가 구비된 제1 회전기어(114)와, 상기 제1 회전기어(114)에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는 제1 구동기어(115)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구동기어(115)의 중심부에 수직 방향으로 제1 회전축(115a)이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축(115a)의 하부에 제1 모터(116)를 결합한다.
제1 변압기 회전부재(113)는 상기 제1 회전축(115a)의 하부에 제1 모터(116)의 결합하는 구성 이외에 제1 회전축(115a)의 하부에 기어박스(미도시)를 결합하고, 기어박스의 일측에 제1 모터(116)의 결합하는 구성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연결부(160)는 변압기(12)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변압기 거치대(180)의 상부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상부링본체(111)와 상기 제1 하부링본체(112)의 사이에 결합되어 변압기 거치대(180)와 제1 회전부(110)를 연결시킨다.
제1 연결부(16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제1 수용 하우징(162)과, 상기 제1 수용 하우징(162)의 수용 공간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스프링지지대(164)와 제2 스프링지지대(165)과, 상기 제1 스프링지지대(164)와 제2 스프링지지대(165)의 사이를 연결하는 축(166)과, 축(166)의 둘레를 감겨져 있는 제1 스프링부재(167)를 포함하며, 제1 가압부재(163)와 제1 연결부재(161)를 포함한다.
제1 가압부재(163)는 제1 스프링지지대(164)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스프링지지대(164)를 수평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스프링지지대(164)는 중심부에 결합된 축(166)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1 연결부재(161)는 일단 부분이 제1 가압부재(163)의 일면에 결합되어 제1 수용 하우징(162)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 부분이 상기 제1 상부링본체(111)와 상기 제1 하부링본체(112)의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제1 연결부재(161)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구동기어(115), 제1 회전축(115a), 제1 모터(116)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연결부(160)는 변압기 거치대(180)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고, 제1 회전부(110)에 의해 전신주(10)의 주위를 360도 회전할 수 있다.
제1 충격흡수부(120)는 제1 하부링본체(112)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원형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고, 제1 회전부(110)의 승하강 시 충격을 흡수하며, 탄성에 의해 복원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충격흡수부(120)는 제1 하부링본체(112)의 하부에 제1 피스톤 결합부재(121)가 결합되고, 상기 제1 피스톤 결합부재(121)의 상하 이동 시 압축과 복원을 담당하는 제1 실린더부재(123)를 포함한다.
제1 충격흡수부(120)는 제1 피스톤 결합부재(121)의 하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막대 형상의 제1 피스톤부재(125)를 결합하고, 제1 피스톤부재(125)의 하단 일부분이 상기 제1 실린더부재(123)의 개방부(123a)를 통과하여 내부로 삽입된다.
제1 실린더부재(123)는 제1 피스톤부재(125)의 하강 시 삽입되도록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수용 공간에 제1 내부탄성부재(124)가 결합되어 있으며, 수용 공간에 충격흡수물질(126)이 충진되어 있다. 여기서, 충격흡수물질(126)은 내부에 마이크로 볼이 포함된 유동체의 젤이 채워져 있다. 마이크로 볼은 구형으로 수지, 유리, 세라믹 등의 물질 또는 고무,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중합체 물질이다.
젤은 유동체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젤의 내부의 복수의 마이크로 볼이 상호 충돌하여 1차 충격 흡수과정에서 흡수되지 않은 충격을 분산시킴으로써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한다.
제1 실린더부재(123)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하부면이 폐쇄된 제1 원통형 거치대(122)의 내부에 제1 실린더부재(123)의 하부 부분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1 외측탄성부재(127)는 상기 제1 원통형 거치대(122)의 상부면에서 제1 실린더부재(123)의 둘레를 감싸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제1 원통형 거치대(122)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제1 피스톤 결합부재(121)의 하부면까지 연장된다.
제1 내측탄성부재(128)는 제1 피스톤부재(125)의 둘레를 감싸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상기 제1 실린더부재(123)의 상부면까지 연장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 내측탄성부재(128)는 상기 제1 외측탄성부재(127)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일정 두께의 충격 저감용 시트(150)의 상부면에는 각각의 제1 충격흡수부(120)의 제1 원통형 거치대(122)가 결합되어 있다.
제2 회전부(130)는 제1 충격흡수부(1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신주(10)에 끼워지는 링 형태의 제2 상부링본체(131)와, 상기 제2 상부링본체(131)의 하부에 링 형태의 제2 하부링본체(132)를 결합하고, 상기 제2 상부링본체(131)와 상기 제2 하부링본체(132)의 사이에 제2 변압기 회전부재(133)를 형성한다.
제2 변압기 회전부재(133)는 중심부에 전신주(10)가 끼워지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고, 일정 두께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복수개의 기어가 구비된 제2 회전기어(134)와, 상기 제2 회전기어(134)에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는 제2 구동기어(135)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구동기어(135)의 중심부에 수직 방향으로 제2 회전축(135a)이 결합되며, 상기 제2 회전축(135a)의 하부에 제2 모터(136)를 결합한다.
제2 변압기 회전부재(133)는 상기 제2 회전축(135a)의 하부에 제2 모터(136)의 결합하는 구성 이외에 제2 회전축(135a)의 하부에 기어박스(미도시)를 결합하고, 기어박스의 일측에 제2 모터(136)의 결합하는 구성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연결부(170)는 변압기(12)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변압기 거치대(180)의 하부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상부링본체(131)와 상기 제2 하부링본체(132)의 사이에 결합되어 변압기 거치대(180)와 제2 회전부(130)를 연결시킨다.
제2 연결부(17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제2 수용 하우징(172)과, 상기 제2 수용 하우징(172)의 수용 공간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제 스프링지지대(174)와 제2 스프링지지대(175)과, 상기 제1 스프링지지대(174)와 제2 스프링지지대(175)의 사이를 연결하는 축(176)과, 축(176)의 둘레를 감겨져 있는 제2 스프링부재(177)를 포함하며, 제2 가압부재(173)와 제2 연결부재(171)를 포함한다.
제2 가압부재(173)는 제1 스프링지지대(174)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스프링지지대(174)를 수평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스프링지지대(174)는 중심부에 결합된 축(176)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2 연결부재(171)는 일단 부분이 제2 가압부재(173)의 일면에 결합되어 제2 수용 하우징(172)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 부분이 상기 제2 상부링본체(131)와 상기 제2 하부링본체(132)의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제2 연결부재(171)의 내부에는 상기 제2 구동기어(135), 제2 회전축(135a), 제2 모터(136)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연결부(170)는 변압기 거치대(18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제2 회전부(130)에 의해 전신주(10)의 주위를 360도 회전할 수 있다.
제2 충격흡수부(140)는 제2 하부링본체(132)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원형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고, 제2 회전부(130)의 승하강 시 충격을 흡수하며, 탄성에 의해 복원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충격흡수부(140)는 제2 하부링본체(132)의 하부에 제2 피스톤 결합부재(141)가 결합되고, 상기 제2 피스톤 결합부재(141)의 상하 이동 시 압축과 복원을 담당하는 제2 실린더부재(143)를 포함한다.
제2 충격흡수부(140)는 제2 피스톤 결합부재(141)의 하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막대 형상의 제2 피스톤부재(145)를 결합하고, 제2 피스톤부재(145)의 하단 일부분이 상기 제2 실린더부재(143)의 개방부(143a)를 통과하여 내부로 삽입된다.
제2 실린더부재(143)는 제2 피스톤부재(145)의 하강 시 삽입되도록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수용 공간에 제2 내부탄성부재(144)가 결합되어 있으며, 수용 공간에 충격흡수물질(146)이 충진되어 있다. 여기서, 충격흡수물질(146)은 내부에 마이크로 볼이 포함된 유동체의 젤이 채워져 있다.
제2 실린더부재(143)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하부면이 폐쇄된 제2 원통형 거치대(142)의 내부에 제2 실린더부재(143)의 하부 부분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2 외측탄성부재(147)는 상기 제2 원통형 거치대(142)의 상부면에서 제2 실린더부재(143)의 둘레를 감싸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제2 원통형 거치대(142)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제2 피스톤 결합부재(141)의 하부면까지 연장된다.
제2 내측탄성부재(148)는 제2 피스톤부재(145)의 둘레를 감싸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상기 제2 실린더부재(143)의 상부면까지 연장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2 내측탄성부재(148)는 상기 제2 외측탄성부재(147)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일정 두께의 충격 저감용 시트(150)의 상부면에는 각각의 제2 충격흡수부(140)의 제2 원통형 거치대(142)가 결합되어 있다.
링 형태의 고정부(148)는 일정 두께로 형성되어 상부면에 제2 원통형 거치대(142)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충격 저감용 시트의 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충격 저감용 시트(150)는 고정부(148)의 상부면, 제2 상부링본체(131)의 상부면, 변압기 거치대(180)의 내부에 설치되어 변압기(12)의 충격을 저감시키거나 제1 회전부(110)와 제2 회전부(130)의 충격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충격 저감용 시트(150)는 고분자 탄성 쿠션층(151), 고무 발포제 조성물층(152), 연질 폴리우레탄층(153) 및 보강층(154)을 포함한다.
고분자 탄성 쿠션층(151)은 발포된 스폰지 타입의 폴리우레탄, 아크릴 레진, 폴리프로필렌, EPDM(Ethylene Prophlene Diene Monomer), EVA(Ethylene vinyl acetate)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고무 발포제 조성물층(152)은 고분자 탄성 쿠션층(151)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천연고무나 합성 고무 혹은 이의 혼합 또는 부틸고무나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체(EPDM) 단독 혹은 이들 각각의 혼합물 및 카본 블랙, 탈크, 탄산 칼슘, 클레이 중 1종 이상을 포함한다.
고무 발포제 조성물층(152)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 특히 부틸고무(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삼원 공중 합체(EPDM)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사용하고 여기에 카본 블랙, 탈크, 탄산 칼슘, 클레이를 단독 혹은 1종 이상 병용한 고무 컴파운드를 압축성형공정과 발포 공정을 거치게 하므로서 뛰어난 진동/충격 흡수성을 갖는 고무 발포체 조성물을 얻는다.
연질 폴리우레탄층(153)은 고무 발포제 조성물층(152)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쉽게 복원되는 것으로 주원료로 폴리올, 촉매, 난연재 및 기타첨가재 등이 혼합되어 있는 원액인 레진프리믹스(Resin Premix) 및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이며,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연질 폴리우레탄계 바닥재는 상기와 같은 연질 폴리우레탄에 SAN 폴리머를 혼합하여 완성된다.
보강층(154)은 연질 폴리우레탄폼층(153)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유리섬유, 현무암섬유, 아라미드섬유, 탄소섬유 및 스틸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변압기 거치대(18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변압기(12)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장치이고, 바닥면에 거치대(181)가 결합되고, 거치대(181)의 위에 충격 저감용 시트(150)가 결합된다.
변압기 거치대(180)는 2개로 분리되는 몸체롤 이루어져 변압기(12)의 분리 또는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측과 타측에 각각 분리부재(182, 183)를 결합하여 분리부재(182, 183)를 풀면, 변압기 거치대(180)의 몸체가 2개로 분리될 수 있다.
변압기 거치대(180)는 일측면에 상부 부분에 제1 수용 하우징(162)을 결합하고, 하부 부분에 제2 수용 하우징(172)을 결합한다.
변압기 거치대(180)는 상부면 일측에 제1 고리형 볼트부재(184)를 결합하고, 제1 상부링본체(111)의 상부면 일측에 제2 고리형 볼트부재(186)를 결합하며, 상기 제1 고리형 볼트부재(184)와 상기 제2 고리형 볼트부재(186)의 사이를 체결부재(185)로 연결한다.
변압기 거치대(180)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 신호를 제1, 2 모터(116, 136)로 전송하여 제1, 2 모터(116, 136)의 구동에 따라 제1, 2 구동기어(115, 135)를 회전시켜 상기 제1, 2 연결부(160, 170)를 전신주(10)의 둘레를 따라 원하는 위치까지 회전하고, 상기 제1 충격흡수부(120)와 상기 제2 충격흡수부(140)에 의해 상기 제1 회전부(110)와 상기 제2 회전부(130)의 승하강 시 충격을 흡수하거나 저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전신부 12: 변압기
100: 변압기 설치구조 110: 제1 회전부
113: 제1 변압기 회전부재 120: 제1 충격흡수부
130: 제2 회전부 133: 제2 변압기 회전부재
140: 제2 충격흡수부 150: 충격 저감용 시트
160: 제1 연결부 170: 제2 연결부
180: 변압기 거치대

Claims (1)

  1. 전신주(10)에 끼워지는 링 형태의 제1 상부링본체(111)와, 상기 제1 상부링본체(111)의 하부에 링 형태의 제1 하부링본체(112)를 결합하고, 상기 제1 상부링본체(111)와 상기 제1 하부링본체(112)의 사이에 제1 변압기 회전부재(113)를 형성하는 제1 회전부(110);
    변압기(12)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변압기 거치대(180)의 상부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상부링본체(111)와 상기 제1 하부링본체(112)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변압기 거치대(180)와 상기 제1 회전부(110)를 연결시키는 제1 연결부(160);
    제1 하부링본체(112)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원형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고, 제1 회전부(110)의 승하강 시 충격을 흡수하며, 탄성에 의해 복원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충격흡수부(120);
    제1 충격흡수부(1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신주(10)에 끼워지는 링 형태의 제2 상부링본체(131)와, 상기 제2 상부링본체(131)의 하부에 링 형태의 제2 하부링본체(132)를 결합하고, 상기 제2 상부링본체(131)와 상기 제2 하부링본체(132)의 사이에 제2 변압기 회전부재(133)를 형성하는 제2 회전부(130); 및
    상기 변압기 거치대(180)의 하부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상부링본체(131)와 상기 제2 하부링본체(132)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변압기 거치대(180)와 상기 제2 회전부(130)를 연결시키는 제2 연결부(17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2 변압기 회전부재(113, 133)는 중심부에 전신주(10)가 끼워지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고, 일정 두께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복수개의 기어가 구비된 제1, 2 회전기어(114, 134)와, 상기 제1, 2 회전기어(114, 134)에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는 제1, 2 구동기어(115, 135)를 형성하고, 상기 제1, 2 구동기어(115, 135)의 중심부에 수직 방향으로 제1, 2 회전축(115a, 135a)이 결합되며, 상기 제1, 2 회전축(115a, 135a)의 하부에 제1, 2 모터(116, 136)를 결합하고,
    상기 제1, 2 연결부(160, 17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제1, 2 수용 하우징(162, 172)과, 상기 제1, 2 수용 하우징(162, 172)의 수용 공간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스프링지지대(164, 174)와 제2 스프링지지대(165, 175)과, 상기 제1 스프링지지대(164, 174)와 상기 제2 스프링지지대(165, 175)의 사이를 연결하는 축(166, 176)과, 상기 축(166, 176)의 둘레를 감겨져 있는 제1, 2 스프링부재(167, 177)와, 제1 스프링지지대(164, 174)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스프링지지대(164, 174)를 수평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제1, 2 가압부재(163, 173)와, 일단 부분이 제1, 2 가압부재(163, 173)의 일면에 결합되어 제1, 2 수용 하우징(162, 172)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 부분이 상기 제1, 2 상부링본체(111, 131)와 상기 제1, 2 하부링본체(112, 132)의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하는 제1, 2 연결부재(161, 171)를 포함하며,
    상기 변압기 거치대(180)는 제1, 2 모터(116, 136)의 구동에 따라 제1, 2 구동기어(115, 135)를 회전시켜 상기 제1, 2 연결부(160, 170)를 전신주(1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고, 상기 제1 충격흡수부(120)에 의해 상기 제1 회전부(110)의 승하강 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
KR1020190065973A 2019-06-04 2019-06-04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 KR101999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973A KR101999120B1 (ko) 2019-06-04 2019-06-04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973A KR101999120B1 (ko) 2019-06-04 2019-06-04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120B1 true KR101999120B1 (ko) 2019-07-11

Family

ID=6725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973A KR101999120B1 (ko) 2019-06-04 2019-06-04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1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423B1 (ko) * 2020-09-22 2021-01-28 김민주 배전 전신주 변압기 고정장치
KR102210570B1 (ko) * 2020-09-22 2021-02-03 (주) 이림 배전 전신주 변압기 설치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635B1 (ko) 2006-12-28 2007-04-09 (주)반석기술단 송배전용 전신주의 변압기 설치구조
KR100722195B1 (ko) * 2006-11-28 2007-05-29 이현화 전신주의 주상변압기 고정구조
KR100891379B1 (ko) * 2008-10-01 2009-04-02 미래컨설턴트(주) 전신주에 설치되는 배전용 변압기의 지지구조
KR100915420B1 (ko) * 2009-05-13 2009-09-03 주식회사 동북아기술 가공전선 전주의 주상 변압기 설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195B1 (ko) * 2006-11-28 2007-05-29 이현화 전신주의 주상변압기 고정구조
KR100703635B1 (ko) 2006-12-28 2007-04-09 (주)반석기술단 송배전용 전신주의 변압기 설치구조
KR100891379B1 (ko) * 2008-10-01 2009-04-02 미래컨설턴트(주) 전신주에 설치되는 배전용 변압기의 지지구조
KR100915420B1 (ko) * 2009-05-13 2009-09-03 주식회사 동북아기술 가공전선 전주의 주상 변압기 설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423B1 (ko) * 2020-09-22 2021-01-28 김민주 배전 전신주 변압기 고정장치
KR102210570B1 (ko) * 2020-09-22 2021-02-03 (주) 이림 배전 전신주 변압기 설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120B1 (ko)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설치구조
KR101969871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전기설비용 케이스
CN210224756U (zh) 一种箱式变电站用底座
CN211183011U (zh) 一种抗撞击型动力柜
CN218675365U (zh) 一种熔接机熔接防护装置
CN209964223U (zh) 一种通信基站抗震防护装置
KR102401791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CN213462564U (zh) 一种特种设备电子预警装置
CN215221381U (zh) 一种具有抗震机构的低压开关柜
CN210733910U (zh) 一种儿童安全座椅侧边防护缓冲装置
CN214674133U (zh) 一种电气安装盒
CN215934600U (zh) 一种防水电机
CN212889944U (zh) 电动车充电桩防护装置
CN113630662B (zh) 一种物联网基站固定装置
CN213545717U (zh) 一种六自由度电动动感平台
CN219571559U (zh) 一种终端盒的防护装置
CN220152233U (zh) 一种固定装置
CN219062317U (zh) 止转减震结构
CN217563128U (zh) 一种抗震型箱式变电站
CN210591862U (zh) 一种用于轨道交通屏蔽门的绝缘保护结构
CN220539074U (zh) 一种隔热铝板
CN219697050U (zh) 一种具有防护屏障的变电站
CN216291798U (zh) 一种半钢子午胎内衬层生产联动线电气控制柜
CN213088598U (zh) 一种用于汽车的橡胶减震器
CN220430113U (zh) 一种新能源汽车电池更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