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393B1 -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393B1
KR101998393B1 KR1020190062125A KR20190062125A KR101998393B1 KR 101998393 B1 KR101998393 B1 KR 101998393B1 KR 1020190062125 A KR1020190062125 A KR 1020190062125A KR 20190062125 A KR20190062125 A KR 20190062125A KR 101998393 B1 KR101998393 B1 KR 101998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rame
holder
protrusion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일
조명수
국형민
이선홍
윤준식
지거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엠일렉트로옵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엠일렉트로옵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엠일렉트로옵틱
Priority to KR1020190062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3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0Substrate hol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supporting substrates in the reaction chamber
    • C23C16/4582Rigid and flat substrates, e.g. plates or discs
    • C23C16/4583Rigid and flat substrates, e.g. plates or discs the substrate being suppor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C23C16/4585Devices at or outside the perimeter of the substrate support, e.g. clamping rings, shrou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광학용 필름의 가공작업시 필름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임시 결합된 홀더를 안정적으로 제거하며 필름을 분리시키는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 {Film protective holder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광학용 필름의 가공작업시 필름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임시 결합된 홀더를 필름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제거하며 필름을 분리시키는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카메라, 휴대전화 등에 사용되는 렌즈와, 액정화면, LED와 같이 화상표시장치, 반도체 및 회로기판과 다양한 특성의 글라스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종류의 필름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필름은 통상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코팅, 증착 등의 가공이 이루어지며 원자재 형태의 필름은 제작 후 표면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양면에 보호테이프를 부착한 상태에서, 가공전 보호테이프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기본적으로 보호테이프는 표면 손상이나 이물질은 남기지 않도록 비교적 쉽게 박리 가능한 수준으로 점착이 이루어지게 되나, 기포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필름표면에 밀착됨에 따라 쉽게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수작업으로 제거시 표면 오염이나 얇은 구조의 필름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이의 제거를 위한 박리장치들이 제안되어 있다.
보호테이프가 제거된 필름은 필요에 따른 다양한 물질의 증착, 코팅 등 가공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가공중 균일한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견고한 고정이 요구된다. 즉 필름의 위치 유지뿐 아니라 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이 이루어져야 하나 매우 얇은 재질적인 특성상 고정이 쉽지 않아 미세한 외력에도 움직이거나 휘어짐 등이 발생하기 쉬워 불량 및 로스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필름의 테두리에 프레임 형태로 임시 결합되어 가공 및 적층 보관시 필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홀더가 검토되고 있으나 이의 결합을 비롯하여 가공 후 홀더를 분리시 필름이 손상될 우려가 클 뿐 아니라 수작업으로 홀더를 제거하는데 상당한 인력, 시간,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9000호 (2016.12.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용 필름의 가공작업시 필름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임시 결합된 홀더를 통해 가공 작업 후 필름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홀더를 제거하며 필름을 분리시킬 수 있는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필름의 하부 테두리 부분이 접촉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상측에 결합하며 필름의 상부 테두리 부분이 접촉하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필름의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결합된 홀더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홀더가 안착되는 안착부; 안착된 홀더의 마주보는 테두리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도록 동시 삽입되는 복수의 분해돌기부; 하부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부프레임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승강돌기부; 분리된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집어올려 배출하는 프레임배출유닛; 상부프레임 배출 후 하부프레임 상층에 놓인 필름을 흡착하여 배출하는 필름배출유닛;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은 사각형의 틀로서 하측 모서리 및 하측 모서리 사이로 돌출된 하부돌기와, 한쪽과 다른 쪽 측방으로 각각 돌출된 제1측부돌기와, 상측 모서리 사이에 형성된 제1홈부와, 필름의 하측 테두리가 놓이는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된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과 동일한 규격의 틀로서 상측 모서리 및 상측 모서리 사이로 돌출된 상부돌기와, 상기 제1측부돌기와 접촉하는 제2측부돌기와, 하측 모서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홈부와 접하는 제2홈부와, 필름의 상측 테두리가 접하는 제2접촉부 및 상기 볼록부를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제2홈부 사이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부프레임을 일부 감싸는 형태의 결합돌기를 구비하되, 상기 분해돌기부는 상기 제1홈부 및 제2홈부 사이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부를 촬영하며 홀더의 존재를 감지하는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부를 홀더가 공급되는 제1위치로부터 홀더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제2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 상기 프레임배출유닛을 상기 제2위치로부터 프레임 배출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 상기 필름배출유닛을 상기 제2위치로부터 필름 배출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3이동부; 상기 제1위치에서 안착부로 공급된 홀더를 상기 제2위치에서 상부프레임과 필름과 하부프레임 순으로 순차 배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해돌기부는,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중앙 측으로부터 홀더의 각변 외측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를 통해 움직이되 상단에 상기 제1홈부 및 제2홈부의 접촉부를 통해 삽입되어 이격시키는 분해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돌기부는, 상기 안착부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2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를 통해 상하로 움직이며 수평방향으로 형상되는 횡측구조체와, 하단이 상기 횡측구조체 양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하는 한 쌍의 종측구조체와, 하단이 상기 종측구조체에 힌지 결합하고 상단에 상부프레임을 밀어올리기 위한 승강돌기가 형성되되 위치 고정되는 기준축을 통해 회동하며 승강돌기의 높이가 조절되는 회동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 측에 상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승강핀과, 상기 승강핀 하측에 위치하여 승강핀을 상승시키는 제3실린더를 구비한 배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통해 광학용 필름의 다양한 가공작업시 필름의 테두리를 지지함으로 가공중 필름의 움직임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공 후 필름의 손상 없이 홀더의 제거가 이루어지며 가공된 보호필름 양면에 보호테이프 부착과 같은 후속공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홀더(1)는 기본적으로 원자재가 되는 초기 필름을 가공함에 있어 박리장치를 통해 필름 양면에 붙어 표면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테이프를 제거한 후 본격적인 필름(2)의 가공 전 필름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박리장치(3)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로서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특허 제10-1593567호(2016.02.03 등록)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결합되어 있던 홀더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홀더(1)의 결합은 별도의 장치나 수작업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에 따라 발명의 취지가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홀더(1)는 필름의 하부 테두리 부분이 접촉하는 하부프레임(11)과 상기 하부프레임(11) 상측에 결합하며 필름(2)의 상부 테두리 부분이 접촉하는 상부프레임(12)으로 이루어져 이의 결합으로 필름(2)의 테두리를 지지하게 된다.
즉 액자 틀 형상의 하부프레임(11) 및 상부프레임(12) 사이에서 필름(2)을 견고히 지지하는 구조체로 통상 광학필름이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필름(2)의 규격 및 형상에 대응하여 하부프레임(11) 및 상부프레임(12)이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사각형으로 된 모습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하부프레임(11)과 상부프레임(12)은 필름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 및 결합을 위한 일부 구조를 제외하고는 외형적으로 대칭을 이루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부프레임(11)에는 하측 모서리 및 하측 모서리 사이로 돌출된 하부돌기(111)가 형성되어 홀더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된 필름을 비롯하여 하부프레임(11)이 특정 구조물 등에 놓을 경우 상기 하부돌기(111)의 높이만큼 떨어지며 필름과의 접촉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하부프레임(11)의 한쪽과 다른 쪽 측방으로는 각각 제1측부돌기(112)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 안착된 하부프레임(11)을 기계적으로 들어올리는 등의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쪽의 양 모서리 측과 다른 쪽의 양모서리 측으로 각각 한 쌍의 제1측부돌기(112)가 형성하고 있다.
하부프레임(11)의 상측 모서리 및 상측 모서리 사이에는 중앙, 즉 필름(2)이 위치하게 될 내측을 향해 경사를 갖도록 함몰된 형태의 제1홈부(113)가 형성되며,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필름(2)의 하측 테두리가 놓이는 제1접촉부(114) 및 상기 제1접촉부(114)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된 볼록부(115)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접촉부(114)는 실질적으로 필름(2)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이의 외측에 볼록부(115)를 형성함으로 제1접촉부(114)에 위치한 필름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2)은 상기 하부프레임(11) 상측에 결합되는 동일, 유사한 규격의 틀로서 상측 모서리 및 상측 모서리 사이로 돌출된 상부돌기(121)가 상기 하부돌기(11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뒤집힌 상태에서 필름(2) 가공시 바닥면과 필름(2)과의 이격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11)과 결합시 상기 제1측부돌기(112)와 접촉하는 위치에 제2측부돌기(122)가 형성되고, 하측 모서리 및 하측 모서리 사이에는 상기 제1홈부(113)와 접하는 제2홈부(123)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홈부(113)와 제2홈부(123)는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지만 홀더(1)가 결합된 상태의 필름(2)의 가공 후 필름의 손상 없이 홀더(1)의 원활한 분리 및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제1접촉부(114)에 대응하여 필름(2)의 상측 테두리가 접촉되는 제2접촉부(124) 및 상기 볼록부(115)를 수용하는 오목부(125)가 형성되어, 하부프레임(11)과의 사이에 위치한 필름의 움직임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제2홈부(123) 사이마다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부프레임(11)을 일부 감싸는 형태의 결합돌기(126)가 형성되어 의도치 않게 홀더(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변에 2개의 결합돌기(126)가 형성되어 4개의 변에서 동시 체결력을 발생시키며 견고하게 결합되어 홀더(1)를 형성하며, 각 결합돌기(126)의 양 측면에는 하부프레임의 외측면을 덮으며 결합위치를 유도하는 가이드돌기(127)가 형성되어 결합을 돕는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하부프레임(11) 하측면 및 상부프레임(12)의 상측면에는 각각 필름(2) 측을 향해 경사부(T)가 형성되어 코팅이나 증착과 같은 가공이 이루어질 때 박막상의 소재가 필름(2) 표면에 정위치하며 밀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분해 대상인 필름(2)이 결합된 상태의 홀더(1)가 안착되는 안착부(3)가 구비되며 이러한 안착부(3) 상에서 홀더가 분리되며 상부프레임(12), 필름(2), 하부프레임(11)) 순으로 배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부(3)는 홀더(1)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이를 수용하는 형태로 상측 중앙에 홀더의 하부프레임(11)이 안착되어 흔들림 없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홀더(1)가 결합된 상태로 가공공정을 마친 필름이 홀더(1)에 결합된 상태로 별도의 공급수단 내지는 수작업으로 안착부(3)로 공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홀더(1)의 분해 및 상부프레임(12)의 분리를 위한 분해돌기부(33)와 승강돌기부(34)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분해돌기부(33)는 안착된 홀더의 마주보는 테두리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부프레임(11)과 상부프레임(12)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도록 동시 삽입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 홀더(1)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분해돌기부(33)가 4개 구비되어 홀더(1)의 변마다 위치하며 하부프레임(11)과 상부프레임(12)을 분리시킨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3)의 하부에 중앙 측으로부터 홀더의 각 변 외측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1실린더(331)를 설치하고, 상기 제1실린더(331)를 통해 움직이되 상단에 상기 제1홈부(113) 및 제2홈부(123)의 접촉부로 삽입되어 이격시키는 분해돌기(332)를 구비하게 된다.
즉 제1실린더(331)를 상기 안착부(3) 하측에 홀더의 각 변에 대응하여 4개를 설치하되, 안착부(3)에 놓인 홀더의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 사이를 벌어지도록 하는 분해돌기(332)가 각각의 제1실린더(331)마다 설치되어 홀더(1)의 각 변 부분을 동시에 분리시키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의 각 변의 중앙에는 하부프레임(11)의 제1홈부(113) 및 상부프레임(12)의 제2홈부(123)가 접하며 내측으로 경사를 갖는 홈이 형성되므로, 이에 쐐기형상의 분해돌기(332)를 각 변에서 동시에 밀어넣음으로 하부프레임(11)과 상부프레임(12)이 벌어지며 분리된다.
상기 제1실린더(331)는 공압 또는 전동방식의 실린더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개가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홀더의 규격에 따라서는 2개 또는 4개 이상 구비되어 홀더의 각 변이나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4 변에 설치된 제1홈부(113) 및 제2홈부(123)에 동시적으로 분해돌기(332)가 삽입되어 하부프레임(11)과 상부프레임(12)을 벌리되 순간적으로 결합돌기(126)의 체결력을 넘어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분해돌기부(33)를 통한 상부프레임(12)의 분리와 함께 상부프레임(12)을 상측으로 밀어올려 줌으로 분해를 비롯하여 이후 상부프레임(12)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한 상기 승강돌기부(34)는 상기 분해돌기부(33)를 통해 하부프레임(11)으로부터 분리되는 상부프레임(12)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구성으로, 제2실린더(341)와, 횡측구조체(342) 및 종측구조체(343)와, 회동바(344)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2실린더(341) 또한 공압 또는 전동방식의 실린더로서 상기 안착부(3) 하부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때 홀더의 각 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1실린더(331)와는 달리 제2실린더(341)는 중앙에 1개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횡측구조체(342)는 수평방향으로 안착부(3) 하부를 관통하며 양단부에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2실린더(341)를 통해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분해돌기부(33)와 같이 상기 승강돌기부(34) 또한 4개의 변에서 동시에 상부프레임(12)을 올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횡측구조체(342)의 단부는 각 변에 대응하여 4군데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형상을 갖게된다.
상기 종측구조체(343)는 하단이 상기 횡측구조체(342) 양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하며 상단은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최소 한 쌍,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더의 각 변에서 상부프레임을 들어올리므로 두 쌍, 즉 4개가 구비되어 안착부(3) 하측에서 외부로 돌출된 횡측구조체(342)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횡측구조체(342)와 함께 승하강 한다.
상기 회동바(344)는 하단이 상기 종측구조체(343)에 힌지 결합하고 상단에 상부프레임을 밀어올리기 위한 승강돌기(345)가 형성되되 중간 부분에는 위치 고정된 기준축(346)이 연결되어 이 기준축(346)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승강돌기(345)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제2실린더(341)의 승하강 운동이 상기 횡측구조체(342) 및 종측구조체(343)를 통해 회동바(344)의 단부로 전달되며 상기 기준축(346)을 중심으로 승강돌기(345)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제2실린더(341)의 동작으로 4개의 승강돌기(345)가 동시에 상승하며 분리된 상부프레임(12)을 균등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
분리된 상부프레임(12)은 프레임배출유닛(36)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배출유닛(36)은 상기 안착부(3)에서 분리가 이루어진 상부프레임(12) 및 하부프레임(11)을 집어올려 외측으로 옮겨 배출하게 되며, 구체적으로 단부에 상부프레임(12) 및 하부프레임(11)을 집어올리는 집게 등이 형성된 암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며 배출하는 로봇 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집게는 상부프레임(12) 및 하부프레임(11)의 형상에 대응하여 2방향 또는 4방향에서 상부프레임(12) 및 하부프레임(11)의 하부나 제2측부돌기(122) 및 제1측부돌기(112) 등의 구조물을 집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3)에서 분리된 상부프레임(12) 및 하부프레임(11) 높이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배출유닛(36)의 단부에 집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실린더를 구비함으로 상부프레임(12) 및 하부프레임(11) 높이가 조금 다르더라도 원활히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배출유닛(36)의 집게 및 이동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동방식 및 공압방식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부프레임(12) 배출 후 하부프레임(11) 상층에 놓인 필름(2)은 필름배출유닛(37)을 통해 흡착, 이송 후 배출되며, 필름이 배출된 이후에 상기 프레임배출유닛(36)을 통해 안착부에 남은 하부프레임(11)을 집어올려 배출한다.
상기 필름배출유닛(37)은 상기 프레임배출유닛(36)을 통해 상부프레임이 제거된 상태로 하부프레임 상측에 남은 필름(2)을 들어올려 외측으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필름(2)이 매우 얇아 집게 등의 수단을 통해 들어올리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이 과정에서 표면손상이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필름배출유닛(37)은 진공척 방식을 사용하여 필름(2)을 들어올리도록 구성된다.
즉 하측에 공기를 흡입하는 통공이 형성된 진공척을 구비한 필름배출유닛(37)을 상기 안착부(3)의 상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하부프레임(11) 상부의 필름(2)을 흡착하여 외측에 내려놓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필름(2)의 각 모서리부분을 흡착할 수 있도록 4개의 통공을 구비한 진공척을 사용하여 필름이 휘어지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때 상부프레임, 필름, 하부프레임의 순차적인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안착부(3)를 내측을 촬영하며 홀더의 존재를 감지하는 감지부(31)와 더불어, 안착부(3)와, 프레임배출유닛(36)과 필름배출유닛(37)을 각각 움직이는 제1이동부(32)와, 제2이동부(361)와 제3이동부(371) 및 이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38)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실린더(331) 및 제2실린더(341)의 동작을 비롯하여 프레임배출유닛(36) 및 필름배출유닛(37)의 일련의 동작은 전동 및 공압 방식의 제어를 통해 일괄진행되며, 이를 위해 프로그램된 순서에 따라 제1실린더(331) 및 제2실린더(341)와 프레임배출유닛(36), 필름배출유닛(37) 및 후술되는 일련의 구성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부(38)가 구성된다.
이때 상부프레임(12) 및 하부프레임(11)과 필름(2)이 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후속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 오동작을 비롯하여 손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안착부(3)에 상부프레임(12) 및 하부프레임(11)의 존재 확인 후 상부프레임의 공급 및 결합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31)는 작업 중 상기 안착부(3)를 상시 확인하며 상부프레임(12) 및 하부프레임(11) 존재를 파악하되, 한쪽에 마련된 발광소자(311) 및 다른 쪽에 마련된 수광소자(312)를 한 쌍으로 하여 이를 구현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2개의 발광소자(311) 및 2개의 수광소자(312)를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쌍으로 설치하여 안착부(3) 내부의 홀더 안착 상태를 판별하며, 이를 상기 제어부(38)와 연동하여 안착부(3)의 상부프레임(12) 및 하부프레임(11)의 배출 확인된 경우에만 후속 배출작업 또는 이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홀더(1)의 공급을 비롯하여 프레임배출유닛(36) 및 필름배출유닛(37)의 움직임 범위가 겹쳐 이들의 상호 간섭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3)와 프레임배출유닛(36) 및 필름배출유닛(37)을 설정 범위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제1이동부(32)는 상기 안착부(3)를 홀더가 공급되는 제1위치로부터 홀더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제2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세팅이 이루어지며, 왕복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레일 및 레일 상 이동을 위한 롤러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이동구조를 적용하여 제2이동부(361)는 상기 프레임배출유닛(36)을 상기 제2위치로부터 프레임 배출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시키며, 제3이동부(371)는 상기 필름배출유닛(37)을 상기 제2위치로부터 필름 배출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세팅이 이루어져 각 경로 사이를 왕복하며 안착부(3)에 홀더의 공급, 상부프레임(12), 필름(2), 하부프레임(11)을 각각 배출함 있어 안착부(3)와 프레임배출유닛(36) 및 필름배출유닛(37)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38)는 프로그래밍된 절차에 따라 상기 제1위치에서 안착부(3)로 공급된 홀더를 상기 제2위치에서 상부프레임(12)과 필름(2)과 하부프레임(11) 순으로 순차 배출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상기 분해돌기부(33) 및 승강돌기부(34)를 통해 분해된 상부프레임(12)이 분리되고 진공흡착 방식을 통해 필름(2)이 배출된 후 안착부(3)에 남은 하부프레임(11)의 배출시 상기 프레임배출유닛(36)을 통해 원활히 하부프레임(11)을 배출할 수 있도록 이를 설정된 높이로 승강시켜 하부프레임(11)을 용이하게 들어올리도록 하는 배출부(35)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배출부(35)는 전동 또는 공압식 제3실린더(351)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부(3)의 테두리 측에 상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승강핀(352)을 설치 후, 상기 제3실린더(351)가 승강핀(352) 하측에 위치하여 승강핀(352)을 상승시키도록 구성하여 상기 안착부(3) 상부로부터 하부프레임(11)을 띄어 상기 프레임배출유닛(36)이 이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홀더 11: 하부프레임
111: 하부돌기 112: 제1측부돌기
113: 제1홈부 114: 제1접촉부
115: 볼록부 12: 상부프레임
121: 상부돌기 122: 제2측부돌기
123: 제2홈부 124: 제2접촉부
125: 오목부 126: 결합돌기
127: 가이드돌기 T: 경사부
2: 필름 3: 안착부
31: 감지부 311: 발광소자
312: 수광소자 32: 제1이동부
33: 분해돌기부 331: 제1실린더
332: 분해돌기 34: 승강돌기부
341: 제2실린더 342: 횡측구조체
343: 종측구조체 344: 회동바
345: 승강돌기 346: 기준축
35: 배출부 351: 제3실린더
352: 승강핀 36: 프레임배출유닛
361: 제2이동부 37: 필름배출유닛
371: 제3이동부 38: 제어부

Claims (7)

  1. 필름(2)의 하부 테두리 부분이 접촉하는 하부프레임(11)과 상기 하부프레임(11) 상측에 결합하며 필름(2)의 상부 테두리 부분이 접촉하는 상부프레임(12)으로 이루어져 필름(2)의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결합된 홀더(1)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홀더(1)가 안착되는 안착부(3);
    안착된 홀더의 마주보는 테두리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부프레임(11)과 상부프레임(12)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도록 동시 삽입되는 복수의 분해돌기부(33);
    하부프레임(11)으로부터 분리된 상부프레임(12)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승강돌기부(34);
    분리된 상부프레임(12) 및 하부프레임(11)을 순차적으로 집어올려 배출하는 프레임배출유닛(36);
    상부프레임(12) 배출 후 하부프레임(11) 상층에 놓인 필름(2)을 흡착하여 배출하는 필름배출유닛(37);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1)은 사각형의 틀로서 하측 모서리 및 하측 모서리 사이로 돌출된 하부돌기(111)와, 한쪽과 다른 쪽 측방으로 각각 돌출된 제1측부돌기(112)와, 상측 모서리 사이에 형성된 제1홈부(113)와, 필름(2)의 하측 테두리가 놓이는 제1접촉부(114) 및 상기 제1접촉부(114)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된 볼록부(115)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프레임(12)은 상기 하부프레임(11)과 동일한 규격의 틀로서 상측 모서리 및 상측 모서리 사이로 돌출된 상부돌기(121)와, 상기 제1측부돌기(112)와 접촉하는 제2측부돌기(122)와, 하측 모서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홈부(113)와 접하는 제2홈부(123)와, 필름(2)의 상측 테두리가 접하는 제2접촉부(124) 및 상기 볼록부(115)를 수용하는 오목부(125)와, 상기 제2홈부(123) 사이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부프레임(11)를 일부 감싸는 형태의 결합돌기(126)를 구비하되,
    상기 분해돌기부(33)는 상기 제1홈부(113) 및 제2홈부(123)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3)를 촬영하며 홀더의 존재를 감지하는 감지부(3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3)를 홀더(1)가 공급되는 제1위치로부터 홀더(1)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제2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32);
    상기 프레임배출유닛(36)을 상기 제2위치로부터 프레임 배출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361);
    상기 필름배출유닛(37)을 상기 제2위치로부터 필름 배출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3이동부(371);
    상기 제1위치에서 안착부(3)로 공급된 홀더를 상기 제2위치에서 상부프레임(12)과 필름(2)과 하부프레임(11) 순으로 순차 배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8);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돌기부(33)는,
    상기 안착부(3)의 하부에 중앙 측으로부터 홀더의 각변 외측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1실린더(331)와, 상기 제1실린더(331)를 통해 움직이되 상단에 상기 제1홈부(113) 및 제2홈부(123)의 접촉부를 통해 삽입되어 이격시키는 분해돌기(3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돌기부(34)는,
    상기 안착부(3)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2실린더(341)와, 상기 제2실린더(341)를 통해 상하로 움직이며 수평방향으로 형상되는 횡측구조체(342)와, 하단이 상기 횡측구조체(342) 양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하는 한 쌍의 종측구조체(343)와, 하단이 상기 종측구조체(343)에 힌지 결합하고 상단에 상부프레임(12)을 밀어올리기 위한 승강돌기(345)가 형성되되 위치 고정되는 기준축(346)을 통해 회동하며 승강돌기(345)의 높이가 조절되는 회동바(34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3)의 테두리 측에 상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승강핀(352)과, 상기 승강핀(352) 하측에 위치하여 승강핀(352)을 상승시키는 제3실린더(351)를 구비한 배출부(3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
KR1020190062125A 2019-05-27 2019-05-27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 KR101998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125A KR101998393B1 (ko) 2019-05-27 2019-05-27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125A KR101998393B1 (ko) 2019-05-27 2019-05-27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393B1 true KR101998393B1 (ko) 2019-07-09

Family

ID=67261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125A KR101998393B1 (ko) 2019-05-27 2019-05-27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3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4347A (zh) * 2020-06-29 2020-09-11 东莞市爱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点胶固化设备
KR102292186B1 (ko) * 2020-03-10 2021-08-23 주식회사 포엠일렉트로옵틱 자동 보호테이프 박리 및 홀더 결합 장치
CN117427809A (zh) * 2023-12-06 2024-01-23 江苏籽硕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元件加工喷涂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000A (ko) 2015-06-17 2016-12-27 주식회사 옵티레이 진공 라미네이터 및 진공 라미네이팅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000A (ko) 2015-06-17 2016-12-27 주식회사 옵티레이 진공 라미네이터 및 진공 라미네이팅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186B1 (ko) * 2020-03-10 2021-08-23 주식회사 포엠일렉트로옵틱 자동 보호테이프 박리 및 홀더 결합 장치
CN111644347A (zh) * 2020-06-29 2020-09-11 东莞市爱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点胶固化设备
CN117427809A (zh) * 2023-12-06 2024-01-23 江苏籽硕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元件加工喷涂设备
CN117427809B (zh) * 2023-12-06 2024-03-01 江苏籽硕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元件加工喷涂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393B1 (ko)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
KR101139371B1 (ko) 기판 클램핑 장치, 이송장치 및 그 검사장치
US5823736A (en) Substrat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substrate from the substrate processing device
WO2022121168A1 (zh) 一种撕膜及保压一体式组装流水线
KR101433516B1 (ko) 기판과 기판 반송용 트레이 반송장치 및 반송방법
KR101843695B1 (ko) 자동화된 보호필름 박리장치
US20130255889A1 (en) Method For Detaching A Semiconductor Chip From A Foil
CN113667959A (zh) 一种自动上镀膜夹具设备
KR20180069676A (ko) 기판 절단 장치
KR102401361B1 (ko) 다이 본딩 장치
KR102000079B1 (ko) 다이 본딩 장치
CN211180457U (zh) 一种对位压合装置
KR101305911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23660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13312B1 (ko)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안착시스템
KR101564688B1 (ko) 필터 검사방법 및 필터 검사장치
KR102401362B1 (ko) 다이 본딩 장치
JP2020155628A (ja) トレイ搬送装置およびパネル搬送システム
KR101719168B1 (ko) 디테칭피커모듈을 포함하는 웨이퍼링 프레임방식용 픽앤플레이스 시스템
KR102292186B1 (ko) 자동 보호테이프 박리 및 홀더 결합 장치
TW202226445A (zh) 膠帶貼片機
KR20190014262A (ko) 유연기판 벤딩장치
JP3853059B2 (ja) ガラス板の保持搬送方法
KR101436899B1 (ko) 글라스 정렬공급장치
KR102600430B1 (ko) 기판 홀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