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335B1 - 수직 조인트 시스템과 그와 관련된 표면 커버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직 조인트 시스템과 그와 관련된 표면 커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335B1
KR101998335B1 KR1020137027591A KR20137027591A KR101998335B1 KR 101998335 B1 KR101998335 B1 KR 101998335B1 KR 1020137027591 A KR1020137027591 A KR 1020137027591A KR 20137027591 A KR20137027591 A KR 20137027591A KR 101998335 B1 KR101998335 B1 KR 101998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delete delete
substrate
panel
j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7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0596A (ko
Inventor
리차드 윌리엄 켈
Original Assignee
이노텍 인터내셔널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1900987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1900987A0/en
Application filed by 이노텍 인터내셔널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노텍 인터내셔널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50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an underlayer;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of previously fixed floor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3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 E04F2201/0146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with snap action of the edge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3Undercut connections, e.g. using undercut tongues or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1Tongues or grooves with slits or cuts for expansion or flexi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7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with connections using a special adhesiv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9Puzzle-type connections for interlocking male and female panel edge-parts
    • E04F2201/098Puzzle-type connections for interlocking male and female panel edge-parts wherein the interlocking male and female edge-parts have a dovetail, mushroom or simil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 Finishing Wall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기재(12)용 수직 조인트 시스템(10)은 기본면(14), (16)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에서 상대적 모션을 통하여 맞물리는 조인트(Jm)와 (Jf)로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들은 조인트들의 맞물림을 유지하면서 3도(시계바늘방향으로 또는 시계바늘 반대 방향으로)까지의 상대적회전을 허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인트(Jm)와 (Jf)는 또한 조인트의 가장 안쪽 또는 바깥쪽에서 두개의 잠금 평면(18, 20)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잠금 평면(18, 20)에 대한 맞물림은 횡방향으로 연장된 면(Cm1, Cm2, Cf1, Cf2)에 의하여 제공되게 된다. 면(Cf1)과 (Cf2)은 면(Cm1)과 (Cm2) 위에 드러워져 있다. 맞물림면의 각 쌍들중 적어도 하나의 면: (Cf1)과 (Cm1); 그리고, (Cf2)과 (Cm2)은 완만한 곡선을 갖는다. 조인트(Jm)와 (Jf)는 또한 잠금 평면(18, 20) 사이에서 세 번째 잠금 평면(74)을 제공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조인트들은 다른 조인트에 비한 한 조인트의 하향 회전과 그리고 하향 힘의 적용의 결합에 의해 분리된다. 이러한 특징들로 하여 조인트 시스템을 이용한 마루용 재료는 현재의 세계공업기준보다 더 심한 기복을 가진 표면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손상된 기재로부터 가장 가까운 벽사이에 놓인 나머지 마루재료까지 당길 필요가 없이 손상된 패널들만을 수직 들어올려 손상된 기재의 교체를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수직 조인트 시스템과 그와 관련된 표면 커버 시스템{VERTICAL JOINT SYSTEM AND ASSOCIATED SURFACE COVERING SYSTEM}
본 발명은 기재(substrate)를 나란히 한 개로 이어 맞추어 주는 기재용 수직 조인트 시스템(vertical joint system)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기재들의 례들에는 바닥, 벽 또는 천장 커버로 사용될 수 있는 목재 보드나 패널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조인트 시스템을 합체한 기재들을 이용한 표면 커버 시스템(surface covering system)에 관한 것이다.
"클릭" 유형의 바닥 씌우개는 다수의 기재를 포함하며, 여기에는 인접한 기재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조인트 시스템이 각각 제공된다. 이러한 조인트 시스템은 종종 기재의 두 반대 면을 따라 나있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를 포함한다. 조인트들은 한 기재의 첫 번째 조인트가 인접한 기재의 두 번째 조인트에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인트들은 상호 맞물림을 이루기 위해 은촉, 홈, 돌기부, 오목, 미늘로 이루어진 특정 구성에 의거한다.
바닥 깔기에 이용되는 조인트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수평(또는 "가로 놓는")조인트 시스템 또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인접한 기재들 사이의 조인트를 맞물림을 수행하기 위해 수평 조인트 시스템은 바닥 기재의 기본면(즉, 수평 평면)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을 이루는 평면에서의 모션을 요구한다. 반면에 수직 조인트 시스템은 기재의 기본면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에서의 모션 및/또는 힘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형태의 조인트 시스템에 관하여, 또 이 명세서에서 이용된 "수직"이라는 표현은 절대적인 수직이라기 보다 기재의 기본면과 수직을 이룬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기재가 수평면에 배치되는 경우에 이 문맥에서도 "수직"은 절대적인 수직이다. 그러나 당업자들은 기재가 다른 배치 구조를 가진 표면, 예를 들어 수직벽과 같은 수직면; 또는, 경사진 천장과 같은 경사면과 같은 표면에 놓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들에서 수직 조인트 시스템은 기재의 기본면과 직각을 이루는 평면에서의 모션 및/또는 힘을 이용하여 조작/맞물림되는 조인트 시스템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준"수직 조인트 시스템도 있는 바, 이 시스템의 제조업자들은 이것을 수직 시스템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데 이 시스템은 먼저 어느 한 조인트를 다른 조인트에 측면 삽입하는 방법으로 인접한 패널들의 조인트들을 맞물리게 한 다음 다른 패널과 상대적으로 한 패널을 회전시켜 각각의 기본면들이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한다.
배경 기술에 대한 상기 참조 자료들은 본 기술이 당업자들의 일반 상식의 한 부분이라는 것을 시인하는 것으로 되지 않는다. 상기 참조 자료들은 또한 이하 개시된 조인트 시스템의 적용 분을 제한하자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에서는 기재용 수직 조인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수직 조인트 시스템은 설치 특히 수리를 매우 쉽게 할 수 있게 하는 간편한 평면 커버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목적을 위해 손상된 패널로부터 가장 가까운 벽사이에 놓인 나머지 바닥재까지 당길 필요가 없이 손상된 패널들만 수직으로 들어올리면 수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들에서는 또한 맞물린 기재가 맞물림을 유지하면서 바로 또는 반대로(즉,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상호 회전 또는 추축 회전할 수 있는 기재용 수직 조인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측면에서는, 반대켠에 첫 번째와 두 번째 기본면을 갖는 기재용 수직 조인트 시스템을 제공하며, 조인트 시스템은 이하 내용들을 포함한다:
기재의 반대 면들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첫 번째와 두 번째의 비대칭 조인트,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가 기본면들과 수직을 이루는 맞물림 방향(engagement direction)으로 적용되는 힘을 이용하여 같은 조인트 시스템을 가진 두 기재를 서로 맞물릴 수 있게 구성됨;
어느 한 기재의 첫 번째 조인트가 두 번째 기재의 두 번째 조인트를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 옆으로 나란히 놓인 횡방향 연장된 (transversely extending) 두 개의 곡면이 제공되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 여기서, 첫 번째 조인트의 횡방향 연장된 두 개의 곡면은 두 번째 조인트의 횡방향으로 연장된 두 개의 곡면과 상관적으로 배치되어 각 각 조인트의 가장 안쪽과 가장 바깥쪽에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잠금면(locking plane)을 각각 형성하고, 각각의 잠금면들은 맞물림방향과 평행을 이루고 있고 여기서 각 잠금면과 연관된 횡방향 연장 곡면들은 잠금면의 맞은편 방향에서 서로를 향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맞물린 조인트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두 번째 조인트의 횡방향 연장 곡면은 첫 번째 조인트의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곡면위에 걸리게 되며, 여기서 각각의 잠금면과 연관된 적어도 한 개의 횡방향 연장 곡면은 곡선프로필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횡방향 연장 곡면은 두 개의 기재의 맞물림을 유지하면서 두 개의 맞물린 기재의 상대회전을 3°까지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횡방향 연장 곡면들은 다른 기재와 상관적으로 맞물린 한 기재가 두 기재의 맞물림을 유지하면서 기재가 놓이는 면을 향한 방향으로 7°내지 10°의 각도로 상대 회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의 비대칭 구조로 인하여 각 잠금면의 적어도 한쪽 면에 공간이 조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한 개의 잠금면과 연관된 적어도 한 개의 횡방향 연장 곡면은 연속 볼록 곡선(continuous convex curve)의 프로필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한 개의 잠금면에서 한 횡방향 연장 곡면은 연속 볼록 곡선 프로필을 갖고 다른 곡면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직선을 포함한 프로필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 개의 횡방향 연장 곡면은 연속 볼록 곡선 프로필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횡방향 연장 곡면은 서로 다른 연속 볼록 곡선 프로필들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조인트는 맞물림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와 기재의 각 측면을 따라 형성된 인접한 오목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횡방향 연장 곡면은 각 돌기부의 가장 바깥면 위에 그리고 각 오목부의 가장 안쪽면에 형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첫 번째 조인트의 돌기부는 좁은 목을 가진 구근모양의 프로필을 갖고 있으며, 여기서 첫 번째 조인트의 돌기부 위에 횡방향 연장 곡면의 일부는 목의 가장 바깥쪽면과 인접하고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두 번째 조인트의 오목부는 좁은 목을 가진 구근모양의 프로필을 갖고 있으며 두 번째 조인트의 횡방향 연장 곡면의 일부는 목의 가장 바깥쪽면과 인접하고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목의 또는 각각의 목을 가로 지르는 최단 길이의 선을 포함한 평면은 기본면에 비해 볼때 상대적으로 기울어져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목의 또는 각각의 목을 가로 지르는 최단 길이의 선을 포함한 평면은 기본면에 비해볼대 상대적으로 경사진 평면에 놓이게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목을 가로 지르는 최단 길이의 선들은 각기 서로 평행을 이룬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목사이의 최단 거리의 선들은 동일 직선상에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횡방향으로 연장된 곡면들은 각 굴곡 면의 부분을 이룬다.
일 실시형태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는, 그 조인트의 두 개의 횡방향으로 연장된 곡면들 사이에 위치한 세 번째 횡방향으로 연장된 곡면과 함께 구성되어 있고, 세 번째 횡방향 연장 곡면은첫 번째 잠금 평면과 두 번째 잠금 평면의 중간에 위치한 세 번째 잠금 평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배치되었으며, 여기서 세 번째 잠금면과 련관된 세 번째 횡방향 연장 곡면은 세 번째 잠금 평면의 마주한 편들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옆으로 연장되며 이때 두 번째 조인트의 세 번째 횡방향 연장된 곡면은 첫 번째 조인트의 세 번째 횡방향 연장된 곡면의 일직선상에 또는 그 위에 드리워지게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조인트는 세 번째 잠금 평면에서 서로 맞물려져 맞물린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에서 맞물린 조인트의 분리를 방지하며, 이때 세 번째 잠금 평면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잠금면과 평행으로 그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는 세 번째 횡방향 연장된 곡면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세 번째 횡방향 연장 곡면은 조인트가 맞물린 상태에서 세 번째 잠금면과 반대되는 방향들로 연장된다.
두 번째 측면에서는, 마주한 기본 첫 번째와 두 번째 면을 가진 기재용 수직 조인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조인트 시스템은 이하의 내용을 포함한다:
기재의 반대켠의 면들을 따라 연장되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비대칭 조인트,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는 두 기재가 같은 조인트 시스템으로, 기본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서로 맞물리도록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는 각기 두 개의 옆으로 배치된 굴곡 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들은 한 기재의 첫 번째 조인트를 두 번째 기재의 두 번째 조인트에 맞물리게 하고, 각각의 조인트의 가장 안쪽과 가장 바깥쪽에서 첫 번째 조인트의 두 굴곡 면과 두 번째 조인트의 두 굴곡 면이 맞물리게 하여 각각 첫 번째와 두 번째 잠금면을 형성하게 하며, 이것들은 독립적으로 맞물림방향과 평행되는 방향에서 맞물린 조인트들의 분리를 방지하고, 각 잠금면들은 맞물림방향과 평행되게 놓이며, 여기서 각 잠금면과 관련된 굴곡 면들은 그 잠금면의 양 측면에 배치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굴곡 면들은 두 기재의 맞물림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두 맞물린 기재의 상대적 회전을 3°까지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굴곡 면들은 두 맞물린 기재의 맞물림을 유지하면서 기재가 놓인 바닥면을 향한 방향에서 다른 기재와 상관적으로 맞물린 한 기재가 7°내지 10°사이의 각도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 조인트들은 세 번째 굴곡 면을 포함하며, 각각의 세 번째 굴곡 면들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잠금면 사이에 배치된 세 번째 잠금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호 맞물릴 수 있게 상관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의 비대칭구조로 인하여 각 잠금면의 최소 한쪽에서 틈이 형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 잠금면과 관련된 최소 한 개의 굴곡 면들은 연속적인 곡선의 프로필을 갖고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한 잠금면과 련관된 한 굴곡 면은 연속적인 곡선의 프로필을 갖고 있으며 그 잠금면의 다른 굴곡 면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직선을 포함한 굴곡 면을 갖고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 굴곡 면은 연속적인 곡선의 프로필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 굴곡 면은 기재의 각각의 면을 따라 맞물림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와 그와 인접한 오목부를 포함하며; 또한 첫 번째와 두 번째 잠금면과 련관된 굴곡 면은 각 돌기부의 가장 바깥면과 각 오목부의 가장 안쪽면에 구성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첫 번째 조인트의 돌기부는 좁은 목을 갖고 있는 구근모양의 프로필을 갖고 있으며, 여기서 첫 번째 조인트의 돌기부의 굴곡 면부분은 목의 가장 바깥쪽을 따라 형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두 번째 조인트의 오목부는 좁은 목을 갖고 있는 구근모양의 프로필을 갖고 있으며, 여기서 두 번째 조인트의 오목부의 굴곡 면부분은 목의 가장 바깥쪽을 따라 형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목의 또는 각 목의 최단 거리를 포함하는 평면은 기본면과 상대적으로 경사져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목의 또는 각 목의 최단 거리를 포함하는 평면은 기본면과 상대적으로 경사져 있는 평면에 놓이게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 목을 가로지르는 최단 거리의 각각의 선들은 서로 평행을 이루고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 목을 가로 지르는 최단 거리를 가진 선들은 동일 직선상에 놓인다.
세 번째 측면에서는, 마주한 기본 첫 번째와 두 번째 면을 갖는 기재용 수직 조인트 시스템이 제공되며, 조인트 시스템은 이하의 내용을 포함한다:
기재의 반대편 면들을 따라 연장되는 비대칭 수와 암 조인트, 수와 암 조인트는 기본면과 수직을 이루는 맞물림 방향으로 적용되는 힘에 의해 두 개의 기재가 서로 같은 조인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첫번재 기본면으로부터 두 번째 기본면을 향하여 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 돌기부를 포함하는 수 조인트와 수 돌기부의 안쪽에 형성된 수오목부; 두 번째 기본면으로부터 첫 번째 기본면을 향하여 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암돌기부를 포함한 암 조인트와 암돌기부의 안쪽에 형성된 암 오목부; 암 오목부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곳에 배치된 그것의 수 돌기부의 옆면에 형성된 첫 번째 수 잠금 면, 수 돌기부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된 그것의 암 오목부의 옆면에 형성된 두 번째 수 잠금 면과 수 돌기부와 수오목부에 공통적인 면으로 되는 세 번째 수 잠금 면을 가진 수 조인트; 수 돌기부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곳에 배치된 그것의 암 오목부의 옆면에 형성된 첫 번째 암 잠금 면, 암 오목부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곳에 배치된 그것의 수 돌기부의 옆면에 형성된 두 번째 암 잠금 면과 암돌기부와 암 오목부에 공통적인 면으로 되는 세 번째 암 잠금 면을 가진 암 조인트; 두 기재의 수와 암 조인트가 맞물린 경우, 첫 번째 수와 첫 번째 암 잠금 면은 맞물려 첫 번째 잠금면을 형성하고, 두 번째 수와 두 번째 암 잠금 면은 맞물려 두 번째 잠금면을 형성하고, 세 번째 수와 세 번째 암 잠금 면은 맞물려 세 번째 잠금면을 형성하며 이때 세 번째 잠금면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잠금면들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의 잠금면은 맞물린 방향과 평행되는 방향에서 맞물린 조인트들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잠금면들이 형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잠금면은 두 기재의 맞물림을 유지하면서 두 맞물린 기재의 상대회전을 3°까지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잠금면들은 두 기재의 맞물림을 유지하면서 기재가 놓이는 면을 향한 방향에서 7°~ 10°사이의 각도로 다른 기재와 상관적으로 맞물린 어느 한 기재가 상대 회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 실시형태에서는: 최소 한 개의 첫 번째 수 잠금 면과 첫 번째 암 잠금 면에 완만한 곡선을 가진 횡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제공되며; 최소한 한 개이상의 두 번째 수 잠금 면과 두 번째 암 잠금 면에 완만한 곡선을 가진 횡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다른 형태의 첫 번째 수 잠금 면과 첫 번째 암 잠금 면에는 최소 한 개의 평면을 포함한 횡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다른 형태의 두 번째 수 잠금 면과 두 번째 암 잠금 면에는 적어도 한 개의 평면을 포함한 횡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수와 암 잠금 면은 완만하게 굽은 횡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첫 번째 수 잠금 면, 첫 번째 암 잠금 면, 두 번째 수 잠금 면과 두 번째 암 잠금 면은 굴곡 면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굴곡 면들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잠금 평면 주위에 상호 맞물리게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한 개의 세 번째 수 잠금 면과 세 번째 암 잠금 면은 굴곡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네 번째 측면에서는, 반대편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기본면을 갖는 기재용 수직 조인트 시스템이 제공되며, 조인트 시스템은 이하의 내용을 포함한다:
기재의 반대편 측면들을 따라 연장되는 비대칭 수와 암 조인트, 수와 암 조인트는 기본면과 수직을 이루는 맞물림 방향으로 적용되는 힘에 의해 두 개의 기재가 서로를 같은 조인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맞물림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기재를 들어올려 맞물린 기재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인접해 있는 맞물린 기재들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여 첫 번째 기재의 반대쪽 측면들을 따라 첫 번째 기재로부터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면에 놓이도록 하고 그다음 맞물림방향으로 맞물린 기재의 두 번째 조인트에 힘을 적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들은 각각 두 개의 간격을 두고 옆으로 나란히 있는 횡방향 연장된 곡면 부분이 제공되어 한 기재의 첫 번째 조인트가 두 번째 기재의 두 번째 조인트에 맞물릴 수 있게 하며 첫 번째 조인트의 두 개의 횡방향 연장된 곡면은 두 번째 조인트의 두 개의 횡방향 연장된 곡면과 상관적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조인트의 가장 안쪽과 가장 바깥쪽에 각각 첫 번째와 두 번째 잠금면을 이루며, 각 잠금면은 맞물림방향과 평행되게 놓이며 또한 이때 각 잠금면과 관계된 횡방향 연장된 부분들은 잠금면의 맞은편들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옆으로 연장되며 이때 두 번째 조인트의 횡방향 연장된 부분은 첫 번째 조인트의 횡방향 연장된 부분위에 드리워지게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한 개의 잠금 평면과 관계된 적어도 한 개의 횡방향 연장된 곡면은 연속 곡선 프로필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들에는 각각 두 번째 기재의 두 번째 조인트에 첫 번째 기재의 첫 번째 조인트를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 옆으로 배치된 두 굴곡 면이 제공되며, 첫 번째 조인트의 두 굴곡 면은 두 번째 조인트의 두 굴곡 면과 각각의 조인트의 가장 안쪽에서 또 가장 바깥쪽에서 맞물려져 각각 첫 번째와 두 번째 잠금 평면을 이루며 각 개의 잠금 평면들은 독립적으로 맞물림 방향과 평행되는 방향으로 맞물린 조인트들의 분리를 방지하며 각 개 잠금 평면들은 맞물림 방향과 평행되게 놓이며, 여기서 각 잠금 평면들과 관계되는 굴곡 면들은 그 잠금 평면의 양쪽에 놓이게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첫 번째 조인트는 수 조인트이고 두 번째 조인트는 암 조인트이며, 수 조인트는 대체적으로 직각을 이루면서 두 번째 기본면으로부터 첫 번째 기본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 돌기부와 수 돌기부의 안 쪽으로 형성된 수 오목부를 포함하며; 암 조인트는 대체적으로 직각을 이루면서 두 번째 기본면으로부터 첫 번째 기본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 돌기부와 암 돌기부의 안 쪽으로 형성된 암 오목부를 포하하며; 수 조인트는 암 오목부에서 가장 떨어진 곳에 있는 수 돌기부옆에 형성된 첫 번째 수 잠금 면과, 수 돌기부에서 가장 떨어진 곳에 있는 암 오목부옆에 형성된 두 번째 수 잠금 면과, 수 돌기부와 수 오목부의 공동 면으로 되는 세 번째 수 잠금 면을 가지며; 암 조인트는 수 돌기부에서 가장 떨어진 곳에 있는 암 오목부옆에 형성된 첫 번째 암 잠금 면과, 암 오목부에서 가장 떨어진 곳에 있는 수 돌기부옆에 형성된 두 번째 암 잠금 면과, 암돌기부와 암 오목부의 공동 면으로 되는 세 번째 암 잠금 면을 가지며; 두 기재의 수와 암 조인트가 맞물린 경우, 첫 번째 수와 첫 번째 암 잠금 면은 맞물려 첫 번째 잠금 평면을 형성하고, 두 번째 수와 두 번째 암 잠금 면은 맞물려 두 번째 잠금 평면을 형성하고, 세 번째 수와 세 번째 암 잠금 면은 맞물려 세 번째 잠금 평면을 형성하며 이때 세 번째 잠금 평면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잠금 평면들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의 잠금 평면은 맞물린 방향과 평행되는 방향으로 맞물린 조인트들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잠금면들이 구성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들은 상호 맞물렸을 때 세 개의 잠금 평면을 형성하 도록 맞물리며, 각 잠금 평면들은 맞물림 방향과 평행되게 놓이며 맞물리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맞물린 조인트들의 분리를 방지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기재가 4면을 가진 직사각형 면이나 정사각형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첫 번째 조인트는 두 이웃 면으로 연장되며 두 번째 조인트는 나머지 두 면으로 연장된다.
다섯 번째 측면에서, 다수의 기재를 포함하는 표면 커버 체계를 제공하며, 여기서 각 개의 기재들에는 첫 번째로부터 네 번째와 열 번째 측면 중 임의의 측면에 따르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섯 번째 측면에서는, 반부동식 표면 커버 시스템(semi-floating surface covering system)이 제공되며, 이하의 내용을 포함한다:
각 기재들이 첫 번째로부터 네 번째와 열 번째 측면중 임의의 측면에 따르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을 갖는 다수의 기재;
일정한 양의 첫 번째 기본면에 부착된 재접착식 점착제; 및
재접착식 점착제(re-stickable adhesive)를 커버한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해제 띠(release strip).
한 실시형태에서, 재접착식 점착제의 일정한 양은 기재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또는 그 이상의 간격을 둔선들에 바른다.
일 실시형태에서 재접착식 점착제의 일정한 양은 간격을 두고 나란히 있는 적어도 한 개의 선에 연속적인 띠 모양으로 또는 구슬 모양으로 바른다.
일 실시형태에서 재접찹식 점착제는 상호 같은 간격을 두고 나란히 있고 기재의 세로 중심 선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선들에 바른다.
일 실시형태에서 재접착식 점착제는 첫 번째 기본면에 수직으로 되도록 측정하였을 때 1 내지 6㎜의 두께를 가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재접착식 풀은 2 내지 4㎜의 두께를 가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점착제의 양은 기재에 부착되고 해제 띠로 커버된 조인트 점착제의 양을 포함하는 바, 그것은 해제 띠가 벗겨진 상태에서 한 기재의 조인트 시스템이 또 다른 기재의 조인트 시스템에 연결되었을 경우 한 기재에 있는 조인트 점착제가 다른 기재의 조인트에 접착되게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기재는 다음의 재료들을 포함한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진다; 굳은 목재, 강화 목재, 합판 제품, 참대, 수지와 비닐
일곱 번째 측면에서는,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반부동식 표면 커버 기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섯 번째 측면에 따르는 표면 커버 시스템 제공 단계;
첫 번째 기본면에 재접착식 점착제의 일정한 양을 접착하는 단계; 및
점착제를 해제 띠로 커버하는 단계.
일 실시형태에서 점착제 접착 단계는 기재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간격 둔 선에 점착제를 바르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부착은 첫 번째 기본면 위에 간격을 둔 최소 한 개의 선에 점착제를 연속적인 띠 모양 또는 구슬모양으로 바르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점착제를 기본면과 수직 방향으로 측정하여 1 내지 6㎜의 균일한 두께로 바르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점착제를 2 내지 4㎜의 균일한 두께로 바르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재접착식 점착제의 일정한 양을 조인트의 적어도 한 부분에 접착시키고 해제 띠로 점착제를 커버하고, 재접착식 점착제가 첫 번째 기재 위의 한 위치에 바르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첫 번째 기재의 조인트의 점착제를 커버한 해제 띠가 해제되는 것과 함께 첫 번째와 두 번째의 기재의 수직 조인트 시스템이 맞물리는 경우 점착제는 두 번째 기재의 조인트에 접착된다.
여덟 번째 측면에서 다수의 기재를 포함하는 표면 커버 시스템이 제공되며, 각 기재는 다음의 내용을 갖는다.: 반대켠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기본면, 여기서 첫 번째 기본면은 시스템에 의해 커버되는 밑에 놓인 지지층을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 조인트 시스템, 수직 조인트 시스템은 이하 내용을 포함한다:
첫 번째와 두 번째 비대칭 조인트는 기재의 반대쪽 면들을 따라 연장되고,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들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기재들을 기본면과 수직을 이루는 맞물림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서로 맞물릴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맞물린 기재들이 이하의 방법으로 분리될 수 있게 구성된다: (a) 맞물림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첫 번째 기재를 들어 주어 잇닿아 있는 맞물린 기재들을 첫 번째 기재의 반대켠 면들을 따라 회전시킬 수 있게 하여 첫 번째 기재로부터 아래로 기울진 면에 놓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b) 계속하여 맞물린 기재의 두 번째 조인트를 향하여 맞물림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표면 커버 시스템은 첫 번째 기재에 분리할 수 있게 장착되는 적어도 한 개의 잭을 포함하며 잭은 밑에 놓인 지지층에 유지될 수 있도록 첫 번째 기재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축을 포함하며, 잭은 구멍을 통하여 축을 연장할 수 있도록 작용하며 그리하여 밑 지지층으로부터 첫 번째 기재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면 커버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에서 수직 조인트 시스템은 첫 번째로부터 네 번째와 열번째 측면 중 임의에 따른다.
일 실시형태에서 표면 커버 시스템은 첫 번째 기본면에 부착된 일정한 양의 재접착식 점착제; 그리고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재접착식 점착제를 커버하고 있는 해제 띠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표면 커버 시스템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 중 한 개 또는 양쪽에 부착된 재접착식 점착제의 일정한 양과 조인트에 부착된 재접착식 점착제위에 놓인 각각의 해제 띠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수직 조인트 시스템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 중 한 개 또는 양쪽에 부착된 재접착식 점착제의 일정한 양과 조인트에 부착된 재접착식 점착제 위에 놓인 각 각의 해제 띠들을 포함한다.
아홉 번째 측면에서, 표면 커버 시스템을 위한 기재가 제공되며, 기재는 첫 번째로부터 네번째 그리고 열번째 측면 중 임의에 따르는 수직 조인트 체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기재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 중 한 개 또는 양 쪽에 부착된 재접착식 점착제의 일정한 양과 조인트에 부착된 재접착식 점착제 위에 놓인 각각의 해제 띠들을 포함한다.
기재의 일 실시형태에서 부착된 재접착식 점착제가 제공된 각 조인트들에는 부착된 재접착식 점착제를 앉히기 위한 오목부가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기재는 첫 번째 기본면에 부착된 재접착식 점착제의 일정한 양; 그리고, 첫 번째 기본면의 재접착식 점착제를 커버하고 있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해제 띠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수직 조인트 시스템은 같은 조인트와 맞물려 질 때 첫 번째와 두 번째 잠금 평면을 형성하는 조인트의 표면에 제공되는 왁스의 층을 포함한다.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에서 한 기재의 각 오목부에는 조인트 시스템이 제공되며 같은 조인트 시스템을 가진 대응되는 두 번째 기재의 돌기부가 오목부에 들어가 맞물리기 좋게 탄성적으로 개방되게 구성되어 있다.
열번째 측면에서, 반대켠에 첫 번째와 두 번째 기본면을 가진 기재를 위한 수직 조인트 시스템이 제공되며, 조인트 시스템은 이하 내용을 포함한다:
기재의 반대 면들을 따라 연장되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비대칭 조인트,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는 두 기재를 같은 조인트 시스템으로 기본면과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서로 맞물리도록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두 기재의 맞물림을 유지하면서 두 맞물린 기재의 상대적 회전을 3°까지 가능하게 할 수 있게 구성된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
열번째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들에는 각각 두 개의 옆으로 배치된 일반 볼록 면들이 제공되며, 이 두 볼록 면들은 한 기재의 첫 번째 조인트가 두 번째 기재의 두 번째 조인트에 맞물릴 수 있게 하며, 두 번째 조인트의 두 개의 일반 볼록 면들과 상대적으로 배치된 첫 번째 조인트의 두 개의 일반 볼록 면들은 각 조인트의 가장 안쪽 측면과 가장 바깥쪽 측면에서 각각 첫 번째와 두 번째 잠금 평면을 조성하며, 각각의 잠금 평면은 맞물림 방향과 평행되는 방향으로 놓이며, 여기서 각각의 잠금 평면과 연관된 일반 볼록 면은 잠금 평면의 반대켠에서 서로를 향하여 가로 연장되며 두 번째 조인트의 일반 볼록 면은 첫 번째 조인트의 일반 볼록 면 위에 걸리워 분리를 방지하며, 그중 적어도 한 개의 각 잠금 평면과 연관되어 있는 일반 볼록 면은 굽은 프로필을 갖는다.
열 번째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각 조인트는 맞물린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와 기재의 각 측면들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인접한 오목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횡방향 연장된 곡면들은 각 돌기부의 가장 바깥 면과 각 오목부의 가장 안쪽 면에 형성된다.
열 번째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각 오목부는 같은 조인트 시스템을 이용한 한 기재의 돌기부가 오목부에 들어가 맞물리기 좋게 탄성적으로 개방되게 구성되어 있다.
열 번째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들은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잠금 평면의 중간에 세 번째 잠금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명의 내용에서 기재된 것과 같은 조인트 시스템의 범위에 들어갈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일지라도, 이하에서는 특정한 실시형태들을 오직 실시예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서술한다:
도 1a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합체한 패널의 단면도;
도 1b는 맞물린 상태에서의 수직 조인트 시스템을 합체한 두 패널의 부분을 보여 주는 횡단면도;
도 2는 해체된 상태에서의 수직 조인트 시스템을 합체한 두 패널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등각 투상도;
도 3a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을 합체한 맞물린 패널의 첫 번째 방향으로 서로 상관되게 회전할 수 있는 능력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을 합체한 맞물린 패널의 두 번째 방대 방향으로 서로 상관되게 회전할 수 있는 능력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밑바닥 표면의 내려앉은 곳과 움푹 들어간 곳 위에 놓인 기재가 측면으로 휘여진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도 4a에서 표시된 세부A의 확대도;
도 4c는 밑바닥 표면의 혹 또는 둔덕진 부분 위에 놓인 패널의 옆으로 휘여진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4d는 도 4b에서 표시된 세부B의 확대도;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밑바닥 표면의 혹이나 둔덕진 부분에 대한 조절 능력을 선행 기술의 조인트 시스템과 대비적으로 보여주는 개요도;
도 4f는 도 4e에서 표시된 세부C의 확대도;
도 4g는 선행 기술의 조인트 시스템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직 조인트 시스템사이의 밑바닥 표면의 내려앉은 곳과 움푹 들어간 곳에 대한 조절 능력을 대비 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
도 4h는 도 4h에서 표시된 세부D의 확대도;
도 5a는 맞물리기 위한 준비가 된 본 발명의 수직 조인트 시스템을 합체한 패널들을 상호 나란히 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b 내지 5e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합체한 패널의 맞물림을 도 5b의 초기 접촉 시점로부터 도 5e의 맞물림 완성 시점까지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f 내지 도 5k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실시형태의 자체 정렬 기능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l 내지 도 5u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해 가능해진 자체 정렬 기능의 효과를 선행 기술과의 대비 속에서 도시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실시형태에 따라 서로 연결된 기재들로 커버된 구역의 입면도로서, 제거해야 할 패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b는 도 6a의 A-A의 단면도;웃면
도 6c는 패널을 제거할 수 있게 잭이 장착 된 패널의 상부면 입면도;
도 6d 내지 도 6s는 도 6a에서 표시된 패널의 제거와 교체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a는 도 6c에서 보여준 잭의 측면 입면도;
도 7b는 도 6c에서 보여준 잭의 상부면 입면도;
도 8a는 맞물린 패널을 뽑아내기 위한 잭과 함께 사용되는 쐐기의 측면 입면 도;
도 8b는 도 8a에서 보여주는 쐐기의 입면도;
도 9a 내지 도 9f는 도 9a에서 보여주는 초기의 완전히 맞물린 상태로부터 도 9f에서 보여주는 완전히 분리된 상태까지의 맞물린 패널의 분리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a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2 실시형태를 합체한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0b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2실시형태를 합체한 두 패널의 맞물림을 도시한 도면;
도 11a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3 실시형태를 합체한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1b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3실시형태를 합체한 두 패널의 맞물림을 도시한 도면;
도 11c는 제3실시형태의 조인트 시스템을 합체한 맞물린 패널의 첫 번째 방향으로 서로 상관되게 회전할 수 있는 능력을 도시한 도면;
도 11d는 제3실시형태의 조인트 시스템을 합체한 맞물린 패널의 두 번째 방향으로 서로 상관되게 회전할 수 있는 능력을 도시한 도면;
도 12a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4실시형태를 합체한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2b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4실시형태를 합체한 두 패널의 맞물림을 도시한 도면;
도 13a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5실시형태를 합체한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3b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5실시형태를 합체한 두 패널의 맞물림을 도시한 도면;
도 14a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6실시형태를 합체한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4b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6실시형태를 합체한 두 패널의 맞물림을 도시한 도면;
도 15a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7실시형태를 합체한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5b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7실시형태를 합체한 두 패널의 맞물림을 도시한 도면;
도 16a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8실시형태를 합체한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6b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8실시형태를 합체한 두 패널의 맞물림을 도시한 도면;
도 17a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9실시형태를 합체한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7b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9실시형태를 합체한 두 패널의 맞물림을 도시한 도면;
도 17c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9실시형태를 합체한 서로 다른 두께의 패널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7d는 도 17c에서 보여주는 두 패널의 맞물림을 도시한 도면;
도 17e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9실시형태를 합체한 다양한 두께의 패널쌍들의 맞물림을 따로따로 보여주는 여러 개략도들을 도시한 도면;
도 18a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10실시형태를 합체한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8b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10실시형태를 합체한 두 패널의 맞물림을 도시한 도면;
도 19a는 조인트 시스템의 제11실시형태를 합체한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19b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11실시형태를 합체한 두 패널의 맞물림을 도시한 도면;
도 20a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12실시형태를 합체한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20b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12실시형태를 합체한 두 패널의 맞물림을 도시한 도면;
도 21a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13실시형태를 합체한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21b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13실시형태를 합체한 두 패널의 맞물림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15실시형태를 합체한 두 패널의 맞물림을 도시한 도면;
도 23a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14실시형태를 합체한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23b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14실시형태를 합체한 두 패널의 맞물림을 도시한 도면;
도 23c 내지 도 23i는 재접착식 점착제를 합체한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제14실시형태에서의 맞물림과 분리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4a는 좁고 긴 형태로 배치한 재접착식 점착제가 첨부된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임의의 실시형태를 합체한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24b는 도 24a에서 보여주는AA의 단면도;
도 24c는 밑에 있는 지지 표면에 접착되었을 경우 도24a와 24b의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25a는 구슬 형태로 배치한 재접착식 점착제가 첨부된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임의의 실시형태를 합체한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25b는 밑에 있는 지지 표면에 접착되었을 경우 도25a의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26a 내지 도 26e는 밑에 있는 지지면에 접착된 도 25a와 25b에서 보여주는 패널의 분리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7a와 도 27b는 맞물린 패널을 이용하여 바닥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a는 기재를 설치하기 위한 수직 조인트 시스템(10)(이하 "조인트 시스템(10)"이라고 칭함)의 제1실시형태를 보여준다. 횡단면도에서 보여주고 있는 기재는 이 실시형태에서 긴 정사각형 패널(12)의 형태를 갖는다. 기재 또는 패널(12)은 각각 반대켠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기본면(14)과 (16)을 갖고 있다. 기본면(14)과 (16)은 각각 평면 표면이며 상호 평행을 이루고 있다. 한 설치과정에서 면(14)은 패널(12)의 노출된 표면으로 되게 되며 면(16)은 콘크리트, 목재, 타일이나 비닐 바닥 또는 목재 바닥과 같은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바닥면 또는 구조를 마주 놓이게 된다. 조인트 시스템(10)은 첫 번째 조인트(Jm)와 비 대칭 두 번째 조인트(Jf)를 포함한다. 첫 번째 조인트(Jm)는 개념상 수 조인트로 간주될 수 있고 두 번째 조인트(Jf)는 개념상 암 조인트로 간주될 수 있다. 조인트들의 이 명칭을 이하에서 간단히 설명한다.
기재를 사변형의 형태로 가정하여 볼 때 조인트(Jm)는 두 이웃변을 따라 연장되고 Jf는 나머지 두 이웃변을 따라 연장된다. 예컨대 기재가 도 1b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길쭉한 직사각형의 마루보드인 경우 조인트(Jm)는 한 세로변과 그와 인접한 가로변을 따라 연장되며, 한편 조인트(Jf)는 다른(즉 맞은편의) 세로변과 다른(즉 맞은편의) 가로변을 따라 연장된다.
도 1b는 꼭 같은 조인트 시스템을 갖는 두 번째 패널(12b)의 두 번째 조인트(Jf)와 맞물린 첫 번째 패널(12a)의 첫 번째 조인트(Jm)를 보여준다.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패널(12a)과 (12b)를 일반적으로 "패널(12)"로 부른다.
이하에서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들인 (Jm)과 (Jf)는 두 패널(12)(즉, 패널(12a), (12b))이 서로 기본면(14), (16)과 직각을 이루는 맞물림 방향D로 적용되는 압력이나 힘(F)(도 5를 참조할 것)을 이용하여 상호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패널(12)이 마루 패널인 경우 방향 D는 수직면에 놓이게 되며 특히 패널이 놓이는 표면을 향하여 아래로 향하게 된다. 이것은 기본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다른 조인트와 상관되는 한 조인트(또는 기재)의 모션에 의해 맞물리는 조인트(Jm)와 (Jf)의 경우와 같다.
조인트(Jm)는 수 돌기부(Pm)와 수 오목부(Rm)를 포함하며, 한편 조인트(Jf)는 암 돌기부(Pf)와 암 오목부(Rf)를 포함한다. 첫 번째 조인트(Jm)는 상부 표면(14)에 매달린 돌기부(Pm)를 갖는 것으로 하여 개념상 수 조인트로 부른다. 두 번째 조인트(Jf)는 돌기부(Pm)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오목부(Rf)를 갖는 것으로 하여 개념상 암 조인트로 부른다.
모든 돌기부들에 있어서 공통으로 되는 기능이나 특징을 서술하는 경우 이 명세서에서 돌기부는 일반적으로 단수인 경우 "돌기부(P)"로, 복수인 경우 "돌기부들(P)"로 서술되게 된다. 모든 오목부들에 있어서 공통으로 되는 기능이나 특징을 서술하는 경우 이 명세서에서 오목부는 일반적으로 단수인 경우"오목부(P)"로, 복수인 경우 "오목부들(P)"로 서술되게 된다. 모든 조인트들에 있어서 공통으로 되는 기능이나 특징을 서술하는 경우 이 명세서에서 조인트는 일반적으로 단수인 경우"조인트(J)"로, 복수인 경우 "조인트들(J)"로 서술되게 된다.
수 조인트(Jm)는 각각 ML1, ML2과 ML3(일반적으로는 "수 잠금 곡면(ML)"이라고 칭함)이라고 부르는 첫 번째, 두 번째와 세 번째 수 잠금 면을 갖고 있다. 각 개의 수 잠금 곡면(ML)은 기본면과 직각을 이루는 대체적인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암 조인트(Jf)는 각각 (FL1), (FL2), (FL3)(일반적으로는 "암 잠금 곡면(FL)"이라 칭함)이라고 부르는 첫 번째, 두 번째와 세 번째 암 잠금 면을 갖고 있다. 수와 암 잠금 곡면은 집합적 으로 그리고 전반적으로 잠금 곡면(L)이라고 부른다.
각각의 잠금 곡면(L)은 기본면과 직각을 이루는 대체적인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수와 암 잠금 곡면에 대한 설명에서 "기본면과 수직을 이루는 대체적인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라는 표현은 표면이 반대편의 기본면들 사이에서 대체적으로 연장되지만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한 방향으로 만 연장된다는 것, 즉 표면(14)의 방향에서 표면(16)의 방향으로 또는 그의 반대로 연장되며, 따라서 표면이 미늘이나 갈고리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서와 같이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체적인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데 주의를 돌려야 한다. 따라서 표면ML1의 각 지점이 서로 다른 수평면에 놓인다. 반대로, 갈고리 또는 미늘 유형의 구조가 제공되는 경우 상응하는 면은 다시 자기 한테로 돌아오게 되며 기본면(14)과 평행을 이루는 평면은 세 개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면에 영향을 줄 것이다.
수 잠금 면(ML2)은 두 번째 기본면(16)으로부터 시작되어 오목부(Rm)의 인접한 면을 따라 올라가 오목부(Rm)의 가장 깊은 부분 바로 전 지점까지 연장되며 돌기부(Pm)를 향하여 45°이상 회전한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수 표면(ML3)은 돌기부(Pm)와 (Rm) 사이에 있는 공동 또는 공통 면을 따라 연장되며 그 면 바로 전의 끝점들에 의해 표시되며 오목부(Rm)의 가장 깊은 곳, 또는 돌기부(Pm)의 가장 먼 곳에서 수직 방향으로 45°이상 회전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첫 번째와 두 번째 수, 암 잠금 곡면은 맞물린 조인트(Jm)와 (Jf)의 수직 분리를 방지하면서 잠금 평면에 각기 맞물린다. 또한,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잠금 면(L)은 또한 가로 바깥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는 굴곡 면을 포함하며 이 굴곡 면들은 볼록 면 또는 캠곡면, 또는 불룩 나온 배의 모양을 가질수 있다. 잠금 곡면(L), 굴곡 면과 가로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들 사이의 관계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조인트(Jm)와 (Jf)의 배치 형태를 가까이 들여다보면 각각의 조인트들에 두 개의 측면으로 떨어져 배치된 가로 바깥 방향으로 연장된 곡면 또는 배(bulge)를 볼 수 있다. 또한 가로 연장된 곡면 배는 그것들이 가로 질러 이동하면서 또 서로 연관속에서 움직이는 것으로 하여 또 때로는 종종 회전하거나 주축 회전 움직임으로 하여 "캠면"으로 간주되고 표현될 수 있다. 가로 연장되는 곡면은 첫 번째 조인트(Jm)에서 (Cm1)과 (Cm2)로 부르며, 조인트(Jf)에서는 (Cf1)과 (Cf2)로 부른다. 많은 실시형태들에서 횡방향 연장 곡면들은 완만하게 굽은 볼록 면이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을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처럼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횡방향 연장된 곡면들은 다른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횡방향 연장된 곡면은 보통 볼록 면으로 될 수 있는데 이때 곡면은 연장선의 전 길이에서 연속적으로 또는 완만하게 굽은것이 아니라 그 사이에 한 개의 또는 그 이상의 직선/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수 조인트(Jm)에서 가로 연장되는 곡면은 "곡면(Cmi)"으로(여기서 i=1, 2, 3임) 그리고 그와 같은 암 조인트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은 "곡면(Cfi)"(여기서 i=1, 2, 3임)으로 부른다.
곡면(Cm1)은 첫 번째 조인트(Jm)의 돌기부(Pm)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편 곡면(Cm2)은 조인트(Jm)의 오목부(Rm)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곡면(Cf2)은 조인트(Jf)의 돌기부(Pf)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편 곡면(Cf1)은 두 번째 조인트(Jf)의 오목부(Rf)에 배치되어 있다.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곡면(Cm2)과 (Cm1)은 일반 적으로 "곡면(Cm)"으로 부르고; 곡면(Cf1)과 (Cf2)은 일반적으로 "곡면(Cf)"으로 부르며; 집합적으로 곡면(Cm2, Cm1, Cf1, Cf2)은 주로"곡면(C)"로 부른다.
도 1b는 맞물린 상태에서의 조인트(J)를 보여준다. 명백하게, 조인트(J)가 맞물리게 되면 그것들의 각각의 횡방향 연장 곡면들은 서로 상관적으로 배치되어 각각 첫 번째와 두 번째 잠금 평면(18)과 (20)을 형성하며 이것은 맞물림 방향D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맞물린 조인트들의 분리를 방지한다.
각 잠금 평면(18), (20)은 맞물림 방향 D와 평행으로 놓인다. 각 잠금 평면과 연관된 횡방향 연장 곡면(Cm1, Cf1, Cm2, Cf2)은 첫 번째 또는 수 조인트(즉, (Cm1)과 (Cm2))의 횡방향 연장 곡면 위에 뻗어있는 두 번째 또는 암 조인트(즉, (Cf1)과 (Cf2))의 횡방향 연장 곡면과 함께 잠금 평면의 반대켠 방향들에서 서로를 향하여 측면으로 연장된다. 이것은 맞물린 조인트(Jm)와 (Jf)의 분리를 방지한다. 각 잠금 평면과 연관된 횡방향 연장 곡면 들 중 적어도 한개가 굽은 프로필을 갖는댜는 것도 유의해야 한다. 이 경우 잠금 평면(18)과 연관된 곡면(Cf1)과 잠금 평면(20)과 연관된 곡면(Cf2)과 (Cm2)은 양 쪽이 다 굽은 프로필을 갖는다.
조인트(Jm)와 (Jf)의 맞물림 과정에 곡면(Cm1)과 (Cm2)은 곡면(Cf1)과 (Cf2)을 통과하여 닫기게 된다. 이 작업은 힘(F)의 적용에 의하여 곡면(Cm)이 곡면(Cf)을 통과하는 것 만큼 돌기부(Pm)와 (Pf)의 탄성 압축과 오목부(Rm)와 (Rf)의 탄성 긴장 중 하나 또는 양 쪽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돌기부(Pm)와 (Pf)의 탄성 압축과 오목부(Rm)와 (Rf)의 탄성 긴장 중 하나 또는 양 쪽 다 있는가 하는 것은 패널(12)을 어떤 재료로 만드는가 하는데 달려있다. 예를 들어 참대 섬유와 같은 매우 딱딱하고 굳은 재료로 만든 패널의 경우 돌기부(P)의 압축은 매우 적지만 오목부(R)의 긴장이 있어 그것을 열거나 넓히도록 하여 맞물림을 가능하게 한다. 돌기부(P)의 오목부(R)로 들어갈 수 있는 능력은 조인트(Jm)와 (Jf)에 왁스와 같은 윤활제의 제공으로 하여 지원되게 된다. 윤활제의 제공 특히 왁스는 또한 조인트 소음을 기본적으로 제거하며 인접한 맞물린 조인트(J)의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고한다. 이 회전 모션은 이하 명세서에서 후에 기술되게 된다.
맞물린 조인트(Jm)와 (Jf) 사이에서의 수평 분리는 돌기부(P)를 각 오목부(R)에 앉히는 것을 통하여 방지된다. 조인트(Jm)와 (Jf)에는 또한 각각 평평한 접합 표면(24)과 (26)이 제공된다. 곡면(24)과 (26)은 반대편의 모서리들로부터 기본면(14)과 수직을 이루면서 연장된다. 면(Cm)과 (Cf)은 각각 곡면(24)과 (26) 사이의 측면 압축 힘을 형성하면서 그것들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연결된 패널(12a)과 (12b)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곡면(Cm)과 (Cf)은 조인트(Jm)와 (Jf)가 각각 맞물렸을 때 상호 협동하여 패널(12a)과 (12b)의 수직 및 수평 구속을 보장한다. 그러나 또한 곡면(Cm)과 (Cf)은 패널(12)들의 맞물림을 유지한 상태에서 패널(12a)과 (12b) 사이의 제한된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도 3a와 도 3b에서 서술된다.
도 3a는 패널(12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3°로 회전되는(시계 반대 방향으로 3°) 패널(12a)을 보여준다. 회전은 표면(26) 위의 표면(24)의 윗쪽 코너에서의 추축 회전을 통하여 용이하게 된다. 이것은 오목부(Rf) 안에서 돌기부(Pm)를 회전시키며 곡면 캠(Cm2)이 얹혀 돌거나 말아 올라가게 하지만 곡면(Cf)의 정점을 지나가지는 못한다. 돌기부(Pf)는 이제 곡면(Cm2)과 (Cm3) 사이에 효과 적으로 끼여 들어가게 된다. 이 구성에서 기재(12a)와 (12b) 사이의 수직 분리는 끼움 효과와 또한 곡면(Cf1) 밑에 남아있는 곡면(Cm1)에 의하여 억제된다. 수평 구속은 각 오목부(Rm)와 (Rf) 사이에 남아있는 돌기부(Pm)와 (Pf)에 의해 유지된다.
도 3b를 보면, 패널(12a)은 패널(12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3°(시계 방향으로 3°)만큼 회전되었다. 이것은 곡면(Cm2)이 굴러내려가고 곡면(Cm2)을 포함한 조인트(Jf)의 측면에 대해 추축이나 지레 받침점으로서의 역할을 한 것으로 하여 용이하게 되었다. 이것은 표면(24)과 (26)의 분리를 가져오며 상부 기본면들(14)에서 틈을 형성하게 한다. 그러나 패널(12a)과 (12b)은 여전히 수직으로 또 수평으로 맞물린 상태이다. 기재 사이의 수직 구속은 곡면(Cm2)과 (Cf2)의 맞물림; 그리고 곡면(Cm1)과 (Cm2)에 의하여 유지된다. 수평 구속은 그것들의 오목부(Rf)와 (Rm) 내에 유지되는 돌기부(Pm)와 (Pf)에 의해 보장된다.
패널(12a)과 패널(12b)의 상대적 회전은 특히 기복이 심한 콘크리트 바닥과 같은 고르지 못한 표면에 기재를 설치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이것은 "자체 설치"를 하려는 사용자에게 매우 중요하지만 전문 설치가에게도 대단한 이익을 가져다준다. 예를 들어 은촉이 홈 또는 오목부 안 쪽으로 측면으로 또는 경사진 각도로 삽입되는 선행 기술 조인트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는 "클릭"유형의 마루 커버를 설치하려고 하는 기복이 심한 고르지 못한 표면을 고려해 보기로 하자. 불균일성은 오목한 오목부의 형태를 띠거나 패널의 너비보다 몇배나 더 큰 너비를 갖는 표면의 일 부분에서 얕은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오목 부의 각도나 경사에 따라 설치"하려고 하는"패널의 은촉을 이미 놓여 있는 패널의 홈에 삽입하는 것이 매우 힘들거나 불가능할 수도 있다. 이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두 패널이 같은 평면에 놓이지 않고 오히려 오목부로 인해 서로 상호 각도를 이룬 것과 관련된다.
또한, 고르지 못한 표면에 길이가 약 1m 또는 그 이상인 마루 보드를 설치하는 경우 바나나 현상 또는 측면으로 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며, 이것은 설치자가 다음 마루 보드를 설치하기 위해 이미 설치한 마루 보드우에 무릎을 대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무릎을 댄 보드는 밑표면의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설치자의 중량 하에서 휘게 된다. 이 현상은 도 4a 내지 도 4d에서 보여준다. 도 4a와 도 4b는 고르지 못한 표면이 내리막 또는 우묵한 곳 일때 바깥쪽으로 패널(12x)이 옆으로 휘여드는 것을 보여준다. 도 4c와 4d는 불균일한 바닥에 혹이 있을 경우 패널(12x)이 측면 안쪽으로 휘는 현상을 보여준다. 이 휘는 현상이 서로 인접한 패널들이 세로로 틈이 없이 완전히 맞물리기 힘들게 한다는 것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이 상황에서, 전문 설치가도 마루를 깔기가 힘들 것이며 실질 적인 육체 적인 노력과 경험에 의거해야 할 것이다. 자체로 설치하려는 사용자는 보통 포기하고 마루가 서로"클릭"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소매자에게 돌려주거나 전문 설치가에게 돈을 주고 설치하게 된다.
도 4e 내지 도 4h에서는 선행 기술과의 대비 속에서 조인트 시스템(10)의 상대적 회전 능력의 효과를 직관 적으로 보여준다. 공업적으로 표준인 재래식 마루 시스템은 예를 들어 길이 1m에 3 내지 5㎜ 두께의 콘크리트 바닥과 같은 밑바닥 기재의 오목부나 혹에 적응될 수 있다. 이것을 초과하는 기복은 많은 선행 기술 시스템을 이용할 수 없게 하거나 적어도 그 설치를 매우 힘들게 한다. 설치된다고 해도 기복은 선행 기술의 조인트 시스템이 점차 수평으로 분리되고 따라서 틈이 지나치게 생기도록 한다. 특히 기복이 혹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인접한 패널들 사이의 완전한 수평 분리 및/또는 조인트가 갈라지거나 깨지는 현상들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기복이 오목의 형태를 갖는 경우 선행 기술의 조인트들은 조인트에 가해지는 지나친 당길 힘으로 인해 깨지거나 부서지기 쉽다.
도 4e 내지 도 4h(도식적으로만 그린 것이며 정확한 척도로 그린 것이 아님)에서 선행 기술 시스템에서 수용할 수 있는 3 내지 5㎜의 표면 기복은 어둡게 색칠한 구역(30)으로 표시되었다. 도 4e와 도 4f는 3 내지 5㎜의 둔덕이나 혹의 형태를 갖는 기복을 보여주며, 도 4g는 3 내지 5㎜ 내리막 또는 우묵한 형태를 갖는 기복을 보여준다. 도 4e와 도 4f에서는 +3° 회전을 보여주며, -3° 회전은 도 4g와 도 4h에서 보여준다. 이것은 조인트 시스템(10)의 실시형태를 합체한 기재들이 수평 분리나 이탈이 없이 성과적으로 마루에 놓일 수 있게 하며 이 경우 바닥은 예를 들어 거리가 1m 이상이고 52㎜까지 내려간 오목한 기복을 가질 수 있다. 수평 맞물림을 유지하면서 마루의 구조적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은 마루의 외관상 측면에서 유리하며 연관된 집에도 가치를 더해준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조인트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구현하여 세계 공업 기준으로 지정된 거리 1m에 대한 3 내지 5㎜의 기복 한도를 벗어나는 마루 시스템의 설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중요한 실용적이고 상업적인 장점으로 된다. 실용적인 장점은 자체로 설치하려는 사용자들과 전문 설치가들이 종래의 클릭 유형의 마루 설치에 적합하지 않던 바닥에 마루를 성과 적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업 적인 장점은 이 마루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이 시스템에 대하여 환불을 요구하는 기분이 상한 실패한 설치자들에 의해 판매점들에 반환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종래의 체계는 기층이 세계 공업 표준에서 규정한 좁은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만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설치자들은 대체로 기준에 대해 모르고 있으며 어쨋든 자기들의 바닥층이 그에 부합되는가 않되는가 하는데 대한 개념이 없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기재의 이탈 현상이 없이 세계 공업 기준의 범위 밖에서도 기재가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이것이 문제로 제기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로 돌아가서, 곡면(Cm)과 곡면(Cf)은 각각의 굴곡 면의 부분들을 형성하며 따라서 각각의 잠금 면(L)의 부분들을 형성한다.
특히, 곡면(Cm1)은 굴곡 면(Im1)(팬텀선으로 표시됨)의 일 부분을 구성하며 따라서 돌기부(Pm)의 첫 번째 수 잠금 면(ML1)(깨진 점선으로 표시됨)의 부분을 형성한다. 굴곡 면(lm1)은 경계 면(24)으로부터 D 방향으로 대체적으로 연장한다.
이와 같이, 곡면(Cm2)은 굴곡 면(Im2)(가상선으로 표시됨)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따라서 두 번째 수 잠금 면(ML2)(깨진 점선으로 표시됨)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곡면(ML2)은 오목부(Rm)의 곡면에 형성되었으며 오목부의 루트(32)로부터 대체적으로 D 방향으로 달려 있다.
곡면(Cf2)은 굴곡 면(If2)(가상선으로 표시된)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따라서 돌기부(Pf)의 가장 바깥 쪽에 형성되어 대체적으로 D 방향으로 평행되게 연장되는 두 번째 암 잠금 면(FL2)(깨진 점선으로 표시된)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곡면(Cf1)은 굴곡 면(If2)(가상선으로 표시됨)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따라서 첫 번째 암 잠금 면(FL1)(깨진 점선으로 표시됨)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곡면(FL1)은 대체적으로 D 방향과 평행되는 방향으로 오목부(Rf)의 루트(32)를 향하여 경계면(26)으로부터 매달려 있다.
도 1b를 보면, 곡면(Cm1, Im1, ML1)은 곡면(Cf1, If1, FL1)에 각각 맞물려져 있으며; 곡면(Cm2, Im2, ML2)은 조인트(Jm, Jf)가 맞물릴 때 곡면(Cf2, If2, FL2) 에 맞물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곡면들의 맞물림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잠금 평면들(18), (20)을 형성 또는 만들어낸다. 잠금 면(L)의 서로 다른 부분들, 굴곡(I)과 횡방향 연장되는 곡면(C)은 조인트(Jm)와 (Jf)의 맞물림과 분리의 여러 단계에서 구속 및 회전 곡면으로서의 작용을 한다.
인접한 맞물린 기재들 사이에서 회전 동작을 제공하기 위해 각 맞물린 또는 연관된 쌍에서의 적어도 한 개의 곡면(C)과 또한 굴곡 면(I)은 연속적인 또는 완만한 곡선의 프로필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곡면(Cm1)과 (Cf1) 그리고 대응하는 굴곡 면(Im1)과 (If1)을 고려해보자. 조인트(Jm)와 (JF)가 맞물렸을 때, 곡면(Cm1)과 (Cf1)은 첫 번째 잠금 평면(18)의 주위에 또는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고, 상응하는 (Im1)과 (If1)도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 곡면(Cf1)과 대응하는 굴곡 면(If1)은 연속적인 또는 완만한 곡선의 프로필을 갖는다. 그러나 곡면(Cm1)과 대응하는 굴곡 면(Im1)은 직선(36)을 포함하는 프로필을 갖는다. 직선은 상대적으로 짧으며 곡면(Cm1)과 굴곡 면(Im1) 위에 작은 산마루나 봉우리(38)를 형성한다. 산등성이(38)는 굴곡 면(If1)에 대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접촉 구역을 주게 되며 곡면들 사이의 마찰과 상대적 회전 모션 과정에서의 교착 가능성을 적게 한다.
반대로, 주위에 배치되어 잠금 평면(20)을 형성하는 곡면(Cm2)과 (Cf2); 그리고 대응되는 굴곡 면(Im2)과 (If2)은 각각 연속적인 곡선의 프로필을 갖는다. 그러나 이후에 서술되는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곡면(Cm2/Im2) 또는 (Cf2/If2)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직선을 포함하는 프로필을 갖게 된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수 잠금 면(ML1)과 (ML2), 또한 연관된 곡면(Cm1)과 (Cm2) 그리고 대응되는 굴곡 면(Im1)과 (Im2)은 말단(즉 가장 안쪽과 가장 바깥쪽)의 횡방향 연장된 첫 번째 (수) 조인트의 굴곡 면을 구성한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잠금 평면(FL1)과 (FL2), 그리고 또한 연관된 곡면(Cf1)과 (Cf2) 그리고 굴곡 면(If1)과 (If2)은 말단의 횡방향 연장된 두 번째(암) 조인트의 굴곡 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말단의 횡방향 연장된 굴곡 면들은 상호 맞물린 조인트(Jm)와 (Jf)에서 말단(즉 가장 안쪽과 바깥쪽)의 잠금 평면(18)과 (20)을 만들어내는 각각의 곡면쌍을 형성하게 된다. 이것은 도 1b에서 명백하게 알 수 있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서 곡면 쌍은: (Im1)과 (If1), 또는 (Cm1)과 (Cf1); 그리고, (Im2)과 (If2), 또는 (Cm2)과 (Cf2)이다. 전술한 조인트 시스템(10)의 실시형태를 합체한 패널들 사이에서의 상대적 회전은 각 곡면 쌍에서 각 곡면을 완만하게 또는 연속적으로 굽은 면으로 형성하는 것을 통하여 용이하게 된다.
곡면(Cm1)과 (Im1)은 돌기부(Pm)의 바깥 주변 곡면(40)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돌기부(Pm)는 일반적으로 뽈이나 구근 모양의 프로필을 가지며 기본면(14)에서 D 방향으로 매달린다. 굴곡 면(Im1) 다음의 바깥면(40)은 오목부(Rm)를 향하여 굽어든다. 표면(40)에는 기본면(14)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곳에 있는 오목부(42)가 제공된다. 도 1b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조인트(Jm)와 (Jf)가 맞물릴 때 오목부(42)는 오목부(Rf)의 표면(46)의 가장 아래 쪽의 구역을 향한 예비 공간(44)을 형성한다. 오목부(42)를 제외한 오목부(Rf1)의 밑바닥을 마주한 돌기부(Pm)의 말단은 둥근 또는 굽은 형태이다. 첫 번째 수 잠금 면(ML1)은 곡면(24)과 굴곡 면(Im1)의 배합을 포함한다.
오목부(42)와 대응하는 예비공간(44)은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는 접착제 및/또는 밀봉 화합물의 수용; 설치 과정에 오목부(Rf)에 떨어진 조각물을 위한 저장고로의 작용, 또는 두가지를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관련하여 오목부(42)는 오목부(Rf)의 표면(46)의 가장 낮은 부위를 마주 한다. 오목부(Rf)에 떨어지는 조각물들은 대부분 곡면(46) 위의 제일 낮은 지점에 모여지게 된다. 조인트(Jm)와 (Jf)는 수직 모션에 의해 맞물리는 것만큼 떨어지는 조각물들의 대부분은 뒤이어 생기게 되는 예비공간(44)에 갇히게 된다. 이러한 기능이 없다면, 오목부(Rf)를 예를들어 압축 공기로 불거나, 흡진기 또는 비자루를 이용하여 청소하여 조각물들을 제거하여야 할 필요가 생기게 될 것이며,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맞물림 공정에 장애물을 형성하게 된다. 오목부(42)/예비공간(44)은 또한 조인트(J)에서 팽창과 수축을 조절할 수 있다.
표면(40)은 오목부(42)를 지나 오목부(Rm) 주위로 굽어 들어가며 다음 굴곡 면(Im3)과 합쳐진다. 굴곡 면(Im3)은 돌기부(Pm)와 오목부(Rm) 사이의 "공유"된 곡면이며 곡면(Cm3)을 포함한다. 곡면(Cm3)은 표면(40)을 대체적으로 수평인 구조로부터 대체적으로 수직인 구조로 이행시킨다. 세 번째 수 잠금 면(ML3)은 굴곡 면(Im3)과 실질적으로 같은 공간으로 연장된다.
돌기부(Pm)에는 돌기부(Pm)의 다른 부분에 비해볼 때 줄어든 폭을 가진 목(48)이 형성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곡면(Cm1)은 목(48)의 가장 바깥 쪽 면과 인접하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접합 면(24)과 인접한 굴곡 면(Im1)의 부분은 목(48)의 가장 바깥 면을 형성한다. 또한, 굴곡 면(Im3)의 일 부분은 목(48)의 반대면을 형성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목(48)을 가로 지르는 최단 거리인 선(50)은 기본면(14)에 상대적으로 경사져 있다.
굴곡 면(Im3)은 오목부(Rm)의 루트(32)에 형성된 곡면(52)으로 이어진다. 곡면(52)은 돌아서 굽어져 굴곡 면(Im2)과 교차하면서 합쳐진다. 곡면(Im2)은 방향 D로 대체적으로 연장되어, 기본면(14), (16)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곡면(54)으로 이어지며, 뒤이어 기본면(16)으로 이어지는 비탈진 면(56)으로 내려간다. 두 번째 수 잠금 면은 굴곡 면(Im2) 위로부터 연장되며 경사진 면(56)을 따라 기본면(16)으로 연장된다.
패널(12)의 반대 측면에 있는 조인트(Jf)의 구성을 보면, 곡면(Cf1)과 대응하는 굴곡 면(If1)이 접합 면(26)으로부터 대체적으로 D 방향으로 연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첫 번째 암 잠금 면(FL1)은 곡면(26)과 (If1)의 결합을 포함한다. 굴곡 면(If1)은 오목부(Rf)의 루트(34)에 있는 곡면(46)으로 이어진다. 곡면(46)은 돌기부(Pm)의 수직 제동면을 형성한다. 더욱이 곡면(46)은 조인트(Jm)가 조인트(Jf)에 삽입된 경우 오목부(42)를 마주하게 되는 중심에 위치한 실질적으로 수평인 랜드(land)(58)를 포함한다. 랜드(58)는 기본면(14), (16)과 실질적으로 평행되게 놓인다. 돌기부(Pf)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곡면(46)은 다음 굴곡 면(If3)으로 이어져 같은 공간으로 연장되는 세 번째 암 잠금 면(FL3)에 통합되게 된다. 곡면(If3)과 (FL3)은 오목부(Rf)와 돌기부(Pf)의 공유 면이며 방향 D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대체적으로 연장된다.
굴곡 면(If3)은 돌기부(Pf)의 윗쪽의 아치형 곡면 부분(60)으로 이어지며 그 다음에는 곡면(Cf2)과 굴곡 면(If2)으로 이어진다. 굴곡 면(If2)은 기본면(14)과 (16)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62)으로 이어진다. 이 면은 그 다음에는 경사 면(64)으로 이어지며 그 다음에는 기본면(16)으로 이어진다. 두 번째 암 잠금 면은 면(If2), (62)과 (64)의 결합을 포함하고 있다.
오목부(Rf)는 돌기부(Pm)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오목부(Rf)는 목(66)과 함께 형성되어 있다. 이 목은 오목부(Rf)에 좁은 입구를 형성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목(66)을 가로 지르는 최단 거리 선(68)은 기본면(14)과16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사져 있다. 특히, 선(68)은 선(50)과 사실상 같은 각도로 경사져 있다.
돌기부(Pf)는 돌기부(Pm)와 같이 볼 모양 또는 구근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돌기부(Pm)와 비슷하게, 돌기부(Pf)는 좁은 폭을 가진 목(70)과 함께 형성되어 있다. 목(70)을 가로 지르는 최단 거리 선(72)은 기본면(14)과 (16)에 경사져 있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서 선(72)은 선(50), (68)과 다른 각도로 경사져 있다.
도 1b를 다시 참고하여, 공유된 잠금 및 굴곡 면(ML3), (FL3); 그리고 (Im3), (If3), 그리고 또한 그것들의 대응 면(Cm3)과 (Cf3)은 상호 상대적으로 위치되어 세 번째 잠금 면(74)을 이루며 이것은 맞물린 조인트(J)의 분리를 방지한다. 세 번째 잠금 면(74)은 가장 안쪽과 바깥 쪽 잠금 면들과 평행을 이루면서 그것들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조인트(Jm)와 (Jf)는 부분적으로 인체의 해부학적 조인트에 특히 고관절과 어깨 관절 부분에 기초하였다. 이 조인트(Jm)와 (Jf)는 수평 및 수직 힘을 제공하고 제한된 이탈이 되지 않을 정도까지의 상대적 회전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실제상 볼때 조인트(Jm)와 (Jf)는 볼과 소켓형 조인트로 간주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해부학 적 조인트들과의 비교는 조인트(Jm)와 (Jf) 사이의 재접착식 유연성, 탄력성 그리고 비경화성 또는 비응고성 접착제를 포함한 이하 서술된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더욱 강해진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들에서 접착제는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대적 모션을 가능하게 하는 힘줄과, 그리고 쿠션 효과를 제공하는 연골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또한 조인트들에 제공되는 왁스는 윤활을 제공하는 조인트에서 유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1b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것은 비대칭성으로 인하여 조인트(Jm)와 (Jf)는 상대적으로 구성되어 서로 맞물렸을 때 맞물린 조인트들 사이에 일부 공간 또는 틈이 조성되게 된다는 것이다. 공간(76)은 접촉 면(24)과 (26)의 바로 아래 쪽 그리고 면(Cf1)의 맞은 켠에 형성된다. 공간(76)은 또한 굴곡 면(Im1)과 (If1)의 각 웃 부분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공간(78)은 굴곡 면(Im1)과 (If1)의 아래 부분들 사이에 형성되었다. 대체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공간(80)은 공유된 굴곡 면(Im3)과 (If3) 사이에 형성되었고 대체적으로 수평인 공간(82)dms 오목부(Rm)의 루트(root)(32)와 돌기부(Pf)의 아치형 곡면 부분(60) 사이에 형성된다. 공간들은 조인트(Jm)와 (Jf)의 탈구 또는 골절이 없이 패널(12)의 열팽창과 수축을 가능하게 하며 동시에 패널(12)의 상대적 회전을 도와준다.
조인트(Jm)와 (Jf)의 맞물림과 분리는 이제 이하 도 5a 내지 도 9f를 참조로 하여 세부 적으로 서술되게 된다.
도 5a는 이미 설치된 첫 번째 패널(12a)과 설치 공정에 있는 두 번째 패널(12b)을 나타낸다. 패널(12a)과 (12b)은 밑바닥 수평 면(90) 위에 있다. 패널(12a)에는 패널(12b)의 조인트(Jm)와 연결 준비가 되어 있는 개방된 조인트(Jf)가 있다. 패널(12b)은 패널(12a)에 이웃하여 설치되며 조인트(Jm)는 조인트(Jf)에 정착한다. 조인트(Jf)가 제공되어 있는 패널(12b)의 모서리는 표면(90)위에 단순히 놓여 있기 때문에 패널(12a)과 패널(12b) 사이에는 약 1°- 3°의 작은 각이 생기게 된다.
도 5b로부터 볼 수 있는 것처럼 이 위치에서 곡면(Cm1)과 Cm3은 곡면(Cf1)과 (Cf3) 위에 각각 놓여 있게 되며, 한편 (Cm2)과 (Cf2)는 수직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 배치 상태에서 곡면(Cf1)과 (Cf3)의 윗부분은 돌기부(Pm)이 오목부(Rm)로 들어가는 것을 금지하는 것으로 하여 캄 제동 장치로 간주될 수 있다.
면(Jm)과 (Jf)의 맞물림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하향 압력 또는 힘(F)가 기본면(14)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적용되며 밑 바닥 면(90)을 향한다. 이 압력 또는 힘은 돌기부(Pm)에 압축을 오목부(Rf)에 긴장을 가하여 패널(12)이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는가 하는데 따라 돌기부(Pm)의 압축과 오목부(Rf)의 개방 또는 확장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가지 다 발생시켜 곡면(Cm1)과 (Cm3)이 곡면(Cf1)과 (Cf3)을 지나 미끄러지게 한다. 또한 조인트(Jm)와 조인트(Jf) 위에 왁스를 제공하여 이 미끄짐을 도와준다. 결과 돌출부(Pm)가 목(66)을 통하여 오목부(Rf)에 미끄러져 들어가게 한다. 오목부(Rm)와 (Rf)의 개방은 도 5c에서 선T에 의해 나타나는 조인트들에 응력을 산생시킨다. 이 응력은 각 오목부(Rf)와 (Rm)의 루트의 량쪽 끝에 만곡 주위에 있다. 이 응력은 돌기부(Pm)와 (Pf)가 오목부(Rf)와 (Rm)의 목을 통과하면서 방출되어 스프링(spring) 작용을 제공하며 오목부가 돌기부 위에 닫기고 돌기부가 오목부 안에 들어가도록 한다. 따라서 오목부는 탄성 적으로 열리고 뒤이어 자체로 닫긴다. 이 작용은 명세서에서 후에 서술되는 조인트 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일어난다.
이 실시형태들에서 조인트는 상호 지나치는 곡면(Cm)과 (Cf)이 각각 약간 차이나는 시간에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서 곡면(Cm1)은 곡면(Cf1)을 곡면(Cm3)이 곡면(Cf3)을 통과하는 것 보다 약간 앞서 통과한다. 곡면(Cm1, Cm3)이 곡면(Cf1, Cf3)을 통과하면 중심 덮기 또는 물기(over centre or snap) 작용에 의해 돌기부(Pm)의 나머지 면이 오목부(Rf)로 들어가게 된다. 이것은 굴곡 면의 상대적 배치로 인한 것이며 곡면(Cm1, Cm3)이 곡면(Cf1, Cf3)을 통과한 다음 돌기부(Pm)에서의 압축 방출로 인한 것이다.
이 작용이 일어나는 것과 동시에, 유사한 작용이 돌기부(Pf)와 오목부(Rm)와 관하여 일어난다. 곡면(Cm2)은 곡면(Cf2)을 곡면(Cm3)이 곡면(Cf3)을 통과한 후 인차 통과한다. 이것은 도 5c에서 보여준다. 오목부(Rm)이 하향 압력 또는 힘(F)의 작용에 의하여 돌기부(Pf) 위로 밀리우면, 돌기부(Pf)는 곡면(Cf3)과 (Cf2) 사이로 압축된다. 이 곡면들이 곡면(Cm3)과 (Cm2)을 통과한 다음 오목부(Rf)는 중심 덮기 또는 물기(over centre or snap) 작용에 의해 돌기부(Pf) 위에 끌리게 된다.
조인트(J)들이 수직 방향(즉 기본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에서 압력 또는 힘의 적용에 의해 맞물릴 때 조인트(J)들 사이의 상대적 모션이 오직 수직 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측면으로의 전위와 결합된 수직 모션이 있다. 도 5b 내지 도 5e와 조인트(Jm)를 참조해 보면, 이 측면으로의 모션은 이 조인트의 모션이다. 조인트(Jm)는 왼쪽이며 (24)와 (26)의 수평 갭 또는 분리(G)에서의 닫기에 의해 강조되었다. 수평 갭(G)은 도 5b의 최대 갭(G1)으로부터 점차 적으로 보다 작은 갭들인 (G2)과 (G3)으로 줄어들게 되며, 최종적으로 도 5e에서 제로 갭(G4)으로 되며 이 경우 조인트(Jm)와 (Jf)가 완전히 맞물리게 되면 면(24)과 (26)은 정면 접촉되게 된다. 조인트(Jm)와 (Jf) 중 어느 조인트가 측면으로 이동하는가 하는 것은 어느 조인트가 측면 모션을 통해 속박을 적게 받게 되는가에 달려있다. 정말로 양쪽 다 서로를 향하여 동일한 또는 서로 다른 각도로 옆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 측면 모션은 맞물린 조인트 시스템의 수직 안정성을 나타낸다.
도 5d에서는 맞물리기 직전의 조인트(Jm)와 (Jf)를 보여준다. 여기에서 돌기부(Pm)와 오목부(Rf)의 밑바닥에 작은 갭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패널(12a)의 기본면(14)에 상대적으로 약간 들려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5e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돌기부(Pm)이 오목부에 있는 정지 면(58)에 부딪치게 되면 패널(12b)의 상대적인 하향 모션은 정지되고 조인트는 완전히 맞물린다. 이 구성 상태에서 예비 공간46은 오목부(42)와 정지 면(58) 사이에 형성되게 된다. 이 구성 상태에서 수 조인트(Jm)의 곡면(Cm1, Cm2, Cm3)은 암 조인트의 대응하는 곡면(Cf1, Cf2, Cf3)을 밑에 놓게 된다.
상기 서술한 조인트(Jm)와 (Jf)를 분리하지 않고 정의과 반대 방향으로 모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성능은 기복이 있는 표면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조인트(Jm)와 (Jf)는 인접한 패널들이 쉽게 자체 정렬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기능은 설치를 본질 적으로 쉽게 만들어 아주 평범한 집일재간이 있는 사람이 조인트 시스템(10)의 실시형태들을 구현하여 패널들을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한다.
10의 자체 정렬 기능은 조인트(Jf)와 (Jm)의 형태와 구성으로 인하여 생긴 것이며, 도 5b, 그리고 도 5f 내지 도 5k를 참조로 설명된다.
도 5f는 패널(12a)과 연속 맞물리기 위해 자리에 대충 놓여 있으며 패널을 맞물리기 위한 임의의 하향 힘 또는 압력을 가하기 직전 상태의 패널(12b)을 보여준다. 패널(12a)과 (12b)는 서로 상대적으로 기울어져 있다. 한쪽 끝(85)에서 돌기부(Pm)는 오목부(Rf) 위에 앉게 된다. 도 5b와 도 5j에서는 패널(12b)의 조인트(Jm)가 패널(12a)의 오목부(Rf) 위에 놓여있는 것을이에 대응하는 횡단면도로 보여준다. 반대쪽 말단(87)에서 조인트들은 옆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이 사이에서 조인트(Jm)와 (Jf) 사이의 분리 각도는 선에 따라 다르다. 그러므로 위치(AA)에서 조인트(Jm)와 (Jf)는 맞닿아 있지만, 돌기부(Pm)가 돌기부(Pf)에 부분적으로 걸려있고, 부분적으로는 오목부(Rf)에 놓이게 되며, 패널들은 도 5i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간격(X1)으로 떨어져 있다. 한편 패널들을 따라 있는 다른 위치(BB)에서는 돌기부(Pm)가 직접 적으로 돌기부(Pf) 윗쪽에 또는 위에 놓여 있으며 패널들은 도 5h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보다 큰 간격(X2)으로 떨어져 있게 된다.
이제 하향 압력 또는 힘(F)은 위치(85)와 (BB) 사이의 위치에 가해져 조인트와 패널들의 맞물림을 시작한다. 이 힘은 세로로 접촉하고 있는 패널들 즉 기본적으로 위치(85)와 (BB) 사이에서 이전되게 된다. 이 세로 길이의 거의 모든 지점에서 돌기부(Pf)는 돌기부(Pf)의 정점의 왼쪽에 있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부(Rf) 위에 드리워져 있다. 또한 곡면(Cm3)과 (Cf3)의 만곡으로 인하여 돌기부(Pf)는 오목부(Rf)로 들어가려는 자연적 경향이 있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힘F는 조인트(Jm)와 (Jf)의 접촉면에 이전될 때 먼저 측면(횡방향으로)요소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산되어 조인트(Jf)를 오목부로 들어가도록 하며 따라서 패널(12b)을 패널(12a)에 맞물리게 한다. 따라서 말단(87)에서의 패널들의 간격이 없어진다. 도 5k에서 보여주는바와 같이 힘의 적용 위치가 패널(12b)을 따라 말단(87)을 향하여 나아가는 것으로 하여, 이 간격을 없애는 효과는 말단(87)에서 돌기부(Pm)이 오목부(Rf) 위에 앉게 될 때까지 계속된다. 따라서 패널은 하향 맞물림 힘의 적용에 의해 자체 정렬하게 된다. 자연적으로 만일 힘(F)이 충분하다면 자체 정렬 외에도, 조인트(Jm)와 (Jf)는 도 5k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완전히 맞물리게 될 것이다. 자체 정렬 효과는 조인트(Jm)와 (Jf)의 맞물림과 함께 결합되어 스냅 자물쇠 가방과 유사한 지퍼와 같은 효과(zipper like effect)를 가져온다.
마루들은 온도와 습도의 다양성으로 하여 주로 동적 긴장과 압축 하중을 받게 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것들은 또한 가구나 기타 가정용품의 정적 하중도 받게 된다. 긴장 하중이 조인트의 하중 지지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돌기부(Pm)와 (Pf) 중 한개가 또는 둘다 금이 가거나 깨질 수 있다. 이것들은 몇가지 영향을 주게 된다. 이것은 긴장을 가까이에 있는 마루에 방출시키게 한다. 또한 이것은 금이 간 패널을 따라 수평 분리를 가져오게 되며 눈에 보이는 갭이 생기게 한다. 또한 주위 환경과 정황에 따라 한 인접한 패널들의 수직 분리가 생길수 있으며 높이 차이를 가져오게 된다.
이 긴장이 방출되게 되면 분리된 패널을 다시 연결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패널을 연결하는 것이 매우 힘들거나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아직도 긴장 상태에 있는 금이 간 반대 쪽의 패널들이 당겨져 상호 떨어져 나가게 되기 때문이다. 마루를 다시 원상태로 복구하려면 두 쪽을 같이 끌어 당겨야 한다. 만일 원래 패널이 있던 자리에 새 패널을 고체해 넣기만 한다면 그 틈은 계속 남아있게 된다. 집주인에게 남은 유일한 선택은 보기 흉한 메움제를 이용하여 분리에 의해 생긴 갭을 메우는 것이다. 이것은 집의 가치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조인트 시스템(10)의 자체 정렬 기능은 또한 이하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손상된 패널을 교체한 후 마루의 자체 긴장 재조절을 용이하게 한다.
긴장의 해제, 뒤이은 패널의 이동과 자체 긴장 재조절은 도 5l 내지 도 5u 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도 5l은 다수의 패널로 구성된 마루를 보여준다. 두 개의 패널(12a)과 (12b)을 들어내고 교체한다. 상기 단락들에서 서술된 것과 같이 긴장이 패널(12a) 사이에 있다고 가정하자. 갭(31)을 남겨두면서 두개의 패널(12a)과 (12b)을 들어내면 갭(31)의 구역에 있는 마루에 긴장이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갭에 인접한 패널들(12)은 도 5m에서의 화살표시(33)들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서로 반대로 움직이게 될 것이다. 이 현상은 갭(31)을 더욱 확대되게 한다. 이 확대는 도 5n에서 보여주고 있으며, 도 5o에서는 확대하여 보여주고 있으며, 패널(12a)과 (12b)가 제거되기 전에 그 사이에 존재하였던 추가적인 세로 띠(35)로 접촉선을 따라 나타난다. 이 확대는 갭(31) 내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이제는 긴장을 수용하는 패널이 더 적어진 것으로 하여 띠(35)의 연장 선을 따라 남아있는 인접한 패널들 사이에 분리가 있거나 적어도 긴장 증가가 있게 된다. 도 5p와 대응되는 확대도 5q에서는 재래식 내려놓는 또는 수평 잠금 시스템을 갖는 패널들로 패널을 교체한 결과를 보여준다. 새 패널(12a1)과 (12b1)은 갭(31)으로 삽입되고 양쪽 측면에서 인접한 패널들과 맞물리게 된다. 그러나 갭(31)의 확대로 인하여, 새로 설치된 패널(12a1)과 (12b1)은 서로 충분히 맞물릴 수 없게 된다. 확대는 0.5 내지 2㎜의 범위에 있게 되지만 마루 위에서 이것은 눈에 쉽게 보이게 된다.
통상적으로, 은촉과 홈식 잠금 시스템의 경우에는, 톱으로 은촉을 만들며 따라서 패널(12a1)과 (12b1) 사이에는 기계적 맞물림이 없게 된다. 패널(12a1)과 (12b1) 사이의 띠(35)를 메우기 위해 메움제가 이용될 것이다. 중요한 것은 메움제는 긴장을 패널(12a1)과 (12b1)을 가로 질러 이전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볼 때 마루 내의 긴장 상태를 복구할 수 없게 된다. 이제 긴장은 메움제와 띠(35)의 반대쪽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시간이 지나면 이것은 메움제에 금이 가는 현상을 초래하고 도 5r과 대응되는 확대도 5s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패널(12a1)과 (12b1) 사이에 새로운 갭37이 생겨나게 한다.
도 5t와 확대도 5u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는 조인트 시스템을 합체한 패널이나 기재를 이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5l 내지 도 5s에서 모든 패널들12에는 조인트 시스템(10)이 제공된 것을 가정한 것이다. 패널(12a)과 (12b)가 제거되어도 띠(35)의 형성에 의해 생긴 갭(31)의 확대가 여전히 있게 된다. 새 패널(12a1)이 설치되고, 패널(12c)과 (12d)에 맞물리게 된다. 이제 패널(12b1)이 삽입되어 그것의 암 조인트(Jf)는 패널(12a1)의 수 조인트(Jm) 아래에 놓이며, 패널(12b1)의 수 조인트(Jm)는 인접한 패널(12e), (12f)의 상부면에 놓이게 된다.
패널(12b1)의 조인트(Jf) 위에 놓이는 패널(12a1)의 수 조인트에 하향 압력을 가한다. 이것은 이 조인트들과 그에 대응되는 조인트들이 맞물리게 한다. 이것은 패널(12e)과 (12f)로부터 패널(12b1)을 약간 떨어지게 하는 모션을 산생시킨다. 그러나 이 모션은 도 5h에서 보여주는 간격X2이상의 분리를 가져오지 않는다. 이제 패널(12b1)의 수 조인트(Jm)에 하향 압력을 가하게 되면, 패널(12b1)과 (12e)과 (12f)은 서로를 향하여 당겨진다. 더욱이 패널(12a1)과 (12b1) 사이의 접점(39)의 양 쪽에 있는 패널들은 도 5t와 도 5u에서 화살표33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서로를 향하여 안 쪽으로 당겨진다. 또한 패널(12b1); 그리고, (12e)와 (12f)의 조인트(Jm)와 (Jf)는 맞물려지고 마루 전체가 따라서 재긴장 조절되며 구조적 일체성이 다시 회복된다.
상기에서는 마루가 긴장 속에 있는 상태를 서술하였다. 그러나 이와 동등하게 마루가 압축속에 있을 때선행기술의 시스템들에서는 갭(31)이 닫겨지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선행 기술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닫겨진 갭에 맞추기 위해 패널을 깍아 너비를 줄여야 한다. 따라서 새로 설치된 패널과 원래 있던 패널들 사이에는 완전한 기계적 맞물림이 있을수 없게 된다. 구조 적 일체성을 잃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기본 적으로 도 5l 내지 도 5u를 참조로 하여 상기 서술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게 되지만 "거꾸로" 작동하여 닫긴 갭을 밀어 열리게 하도록 하며 모든 인접한 패널(12)을 기계 적으로 맞물려 구조적 일체성을 완전히 복구하도록 한다. 또한 이것은 곡면(Cf1)의 옆으로 연장된 약 2㎜의 범위 내의 갭에도 효과 적일 것이다.
상기의 자체 정렬과 "지퍼"효과는 패널이 가로로 굽어들었거나 휘였을 때에도 적용된다. 조인트 시스템의 실시형태들은 정렬되고 안으로 당겨져야 할 굽어든 패널의 굽었거나 휘여든 부분을 평평하게 만드는 효과를 가져오는데, 이때 그 패널이 맞물리게 되는 패널은 평평하고 그 자체가 휘거나 굽어들지 않은 상태여야 한다.
조인트(Jm)와 (Jf)를 맞물릴 때 하향 압력은 몸무게가 70킬로 그램이거나 그 이상인 설치자의 조인트(Jm)를 가로지르는 가벼운 호핑 또는 한 다리 점프 또는 약간 발을 구르는 모션을 통하여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인접한 패널(12)의 연결을 선행 기술의 시스템에서와 같이 항상 무릎을 끓었다 섰다 할 필요가 없이 진행할 수 있다. 조인트(Jm)를 조인트(Jf)에 맞물리는 작업은 또한 고무 망치(M)로 가볍게 두두려 진행할 수도 있다. 설치의 단순화는 요구되는 기술과 힘의 준위를 줄여 자체로 설치하는 사용자의 범위를 넓히도록 할 뿐 아니라 물리 적 스트레스와 노력을 최소로 줄여 전문가를 포함한 모든 설치자들에게 큰 이익을 가져다 준다. 고용주나 설치 회사의 경우 로동자들의 부상과 병휴가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로동자들은 보다 오랜 시간 일할 수 있고 소득이 증가되며 보험료와 고용주에 대한 배상 청구가 줄어들수 있게 된다.
상업적인 건물과 같은 큰 구역에서 조인트 시스템(10)을 이용한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 조인트(Jm), (Jf)를 맞물리기 위한 힘 또는 압력을 개량된 다짐기(compactor)를 이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다짐기의 형태는 포장재를 깔기 전에 모래를 다지는데 이용하는 다짐기와 비슷한 형태로 될 것이며 그러나 부드롭고 미끈한 긁히지 않게 하는 기초 안감을 갖게 될 것이다. 안감에는 고무, 발포고무, 펠트, 또는 판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손상된 패널의 제거 과정은 이제 도 6a 내지 도 9f를 특별히 참조로 하여 설명되게 된다.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백해지겠지만, 손상된 패널의 제거 공정은 조인트 시스템(10)의 구성에 의해 연결된 패널들 사이에서 가능해진 상대적 회전에 의거하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s에서는 손상된 패널의 제거와 교체에서의 다양한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보여준다. 제거와 교체는 도 7a와 도 7b에서 보여주는 잭(92)과 도 8a와 도 8b에서 보여주는 쐐기 도구94의 결합을 포함하는 추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쉽게 진행된게 된다.
잭(92)은 제거할 패널에 적용되는 간단한 손 나사 잭이다. 나사 잭(92)에는 긴모양 나사축(96)이 제공되며 한쪽 끝에 횡선 핸들(handle)(98)이 제공된다. 생크(shank)(96)의 나사는 조임 판(102)에 형성된 나사식 보스(boss)(100) 안에 맞물려 있다. 조임 판(102)은 4각형모양이며 보스(100)는 판(102)의 중심에 위치되어 있다. 보스(100)는 판(102)의 통과 구멍 위에 놓이며 이것을 통과하여 축(96)이 연장될 수 있다. 판(102) 주위에 배치된 것은 각각 조임 나사106을 수용하기 위한 4개의 통과 구멍(104)이다.
쐐기 도구(94)는 핸들(110)의 한 끝에 연결된 쐐기 블록(108)을 포함한다. 쐐기 블록(108)은 이용 과정에 패널(12)이 설치된 면을 지지하게 되는 기초 면(112)과, 그리고 제거되는 패널과 인접한 패널(12)의 기본면(16)의 밑에 놓이며 그와 접촉하는 반대 면(114)으로 이루어져 있다. 면(114)은 상대적으로 경사진 부분(116)을 포함하며 평행 랜드(118)를 포함하고 있다. 경사진 부분(116)은 쐐기 블록(108)의 앞 모서리(120)로부터 핸들(110)을 향해 연장된다. 면(116)은 면(112)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사져 있으며, 한편 랜드(118)는 면(112)과 평행으로 놓여 있으며 면(116)과 인접해 있다. 핸들(110)은 구부러져 있어 핸들(110)의 쐐기 블록(108)과 연결된 자유 말단(122)이 선단부(distal end)(124)와 평행으로 놓이지만 옆으로 떨어져 있도록 한다.
도 6a는 인접한 패널들(12b)과 각 측면을 따라 연결된 손상된 패널(12b)을 포함하는 마루의 구역을 보여준다. 손상된 패널(12b)의 교체 방법을 보여주기 위해 패널(12b)의 세로 면의 반대 면들을 따라 맞물리는 두개의 연결된 패널(12a)과 (12c) 중 하나만을 참조로 할 것이다. 3개의 나란히 맞물린 패널(12a), (12b)과 (12c)은 모두 조인트 시스템(10)의 실시형태가 제공되며 도 6b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표면(90)을 커버한다. 중심 패널(12b)은 긁히거나, 베이거나 물손상(126)으로 인하여 손상된 기본면(14)을 갖고 있다. 알아두어야 할 것은 패널(12a)이나 (12c) 중 하나가 벽과 바로 인접해있지 않는 이상 다른 패널들(12)이 각 패널(12a), (12c)과 상호 맞물려져 있게 된다는 것이다.
손상된 패널(12b)을 교체하기 위하여, 드릴(130)(도 6d 참조)이 이용되며, 드릴은 추출 공정에서 이용되는 각각의 잭(128)을 위한 패널(12b)을 통과하는 구멍(128)을 뚫는다. 구멍(128)은 생크(96)를 통과시키기 충분한 직경을 이루고 있다. 제거되는 패널(12b)의 길이에 따라 잭(92)의 요구 수량이 결정된다. 따라서 일부 경우들에는, 추출 과정이 잭(92)을 한개 사용하여 실행될 수도 있고 다른 경우에는 두 개 또는 그 이상 요구할 수도 있다. 이번 특정한 경우에는 도 6c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잭(92)이 사용되었으나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추출 공정에서는 하나의 잭(92)의 사용을 보기로 한다.
구멍(128)을 뚫은 다음, 도 6e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조임판(102)은 패널(12b)에 설치되며 보스(100)는 구멍(128) 위에 놓이게 된다. 판(102)은 대응하는 구멍을 통과하는 네 개의 자체 태핑(self tapping) 나사(106)에 의하여 패널에 고정된다. 이것은 도 6f에서 보여준다. 나사는 DIY 배터리로 동작하는 나사 드라이버나 수동 나사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6g와 도 6h에서 보여주는 제거 공정의 다음 단계에는 나사 보스(100)와 생크(96) 맞물리기 공정과 축(96)을 핸들(98)을 이용하여 채워 패널(12b)을 표면(90) 위로 들어 올리는 공정을 포함한다. 인차 이 동작이 패널(12b)의 조인트(Jm)와 (Jf)가 인접한 패널(12a)과 (12c)의 조인트들과의 맞물림을 유지하면서 상대적으로 회전할 것을 요구한다는 것을 즉시 알 수 있다. 이 회전은 상대적 음회전이며 인차 설명되게 된다. 그러나 동시에 패널(12b)의 반대쪽 패널(12a)과 (12c)의 어느 한쪽에 맞물린 패널들 사이에는 부의 회전도 있게 된다.
잭(92)은 손상된 패널(12b)을 손상된 패널(12b)과 인접한 맞물린 패널(12a)과 (12c) 사이에 부의 회전을 할 수 있는 간격 만큼 수직으로 위쪽으로 들어올리도록 작동된다. 부의 회전은 약 7°내지 10°사이이다. 이것은 특히 도 6h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는데 도면에서는 패널(12a)과 (12b)의 기본면(14) 사이의 각 θ1; 그리고 패널(12b)과 (12c) 사이의 기본면(14) 사이의 각 θ2를 보여준다. 패널(12d)을 들어올리기 전에, 이해되어야 할 것은 각 θ1과 θ2가 표면(90)이 평면이라고 볼 때 180°로 될 것이라는 것이다. 맞물린 패널들12 사이의 부의 각(negative angle)의 형성은 θ1이 180°를 초과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각 θ1과 θ2가 분리 공정에서 180°를 어느 만큼 초과하는가 하는 양은 이 공정에서 패널들의 부의 회전과 일치하다. 예를 들어, 만일 각 θ1이 187°라고 한다면 패널(12a)과 (12b)의 상대적인 부의 회전은 7°이다.
당업자들은 인접한 패널의 홈이나 오목부에 앉는 옆면의 돌출부(예를 들어, 은촉)을 갖는 선행 기술의 그 어느 시스템에서도 수직 들어올리기는 은촉을 꺾어 버리거나 홈이 있는 패널을 깨지 않는 한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 작업을 만일 선행 기술의 시스템에서 시도한다면 원래 손상되지 않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없었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재들을 손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인트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구현한 패널들의 수직으로 들어올려 교체될 수 있는 성능은 본 조인트 시스템의 직접적인 결과이며 필연적인 결과이다. 이것은 레이업 분리 공정을 요구하는 선행 기술과 완전히 반대되는 레이다운(lay-down) 패널 분리 공정을 제공한다. 조인트 시스템과 수직 들어올리기를 이용하여 인접한 패널에 손상을 주지 않고 분리될 수 있는 성능의 결과로, 한 벽으로부터 손상된 구역까지의 전체 마루를 벗기지 않고도/또는 전문 설치가를 고용하지 않고도 세계적으로 최고의 실행 방법으로 마루의 일체성을 완전히 회복하면서 마루의 수리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잭(92)은 패널(12a), (12c)과 패널(12a), (12c)과 인접한 패널들을 기계적으로 들어 올리면서 자체 유지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일부 선행 기술에서는 유리공들이 유리 판을 유지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과 같은 흡입 컵을 이용하여 제거해야 할 패널을 꽉 잡는다. 설치자는 그 다음 자신의 힘을 써서 패널을 들어올려야 한다. 이것은 상당히 힘들며 만약 패널이 표면(90)에 들어 붙은 경우에는 불가능하게 된다. 기계적 이점을 제공하는 잭(92)은 이러한 상황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잭은 패널(12)들을 자체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설치자는 두 손을 모두 수리 공정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패널(12b) 가까이에 바로 붙어있지 않고 떨어져 걸어다닐 수 있다.
잭(92)은 패널(12b)과 인접한 패널(12a)과 (12c) 사이에서의 부의 회전 각도의 범위가 7°내지 10°로 되는 지점까지 패널(12b)을 수직으로 위로 들어올리도록 작동한다. 도 6h와 도 9d에서 이 지점을 보여준다. 이 지점에서는 패널(12a)과 (12b) 사이의 조인트(Jm)와 (Jf)의 부분적 이동이 일어난다. 이 부분 이동은 곡면(Cm1)이 곡면(Cf1)으로 굴러올라가 곡면(38)이 곡면(Cf1)의 정점을 찰깍 소리를 내며 통과하여 일어나게 되며, 이때 "찰깍"소리가 들리게 된다. 이 이동에도 불구하고 패널은 곡면(Cm2)과 (Cm3) 사이에 돌기부(Pf)가 끼움으로 하여 여전히 맞물림 상태에 있게 된다.
잭(92)에는 눈금이 제공되어 설치자에게 부의 회전이 언제 약 7°내지 10°되는지를 알려준다. 눈금은 예를 들어 생크(96)의 색칠을 한 띠로 될 수도 있는데 생크가 상기 부의 회전을 형성하여 충분하게 패널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아래로 나사 조임하여 안으로 들어갔을 때 보스(100) 위에서 볼 수 있게 된다. 서로 다른 두께의 패널들을 위해 생크에는 여러개의 띠가 제공될 수도 있다.
패널(12b)을 분리하기 위해 설치자는 패널(12a)과 (12c) 중 패널(12b)에 맞물린 암 조인트(Jf)를 가진 것을 먼저 분리해야 한다. 이 실례에서는 그것이 패널(12a)이다. 패널(12) 위에서 작업할 때 설치자는 그것이 패널(12a)이라는 것을 일체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이것은 패널(12a)과 (12c)을 둘 다 가볍게 두드려 보거나; 또는, 가볍게 손으로 압력을 가하여 조인트의 이동을 감촉하여 쉽게 알 수 있다. 조인트의 배치 방향으로 인하여 이 두드림은 거의 두드릴 때 패널(12a)이 완전히 분리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도 6i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패널(12a)의 길이 선상의 다른 부분에서 패널(12a)에 하향 힘 또는 압력을 적용하면 패널(12a)과 (12b)에서 조인트(Jm)와 (Jf)가 완전히 분리되게 된다.
도 6f에서 보여주는 패널이 완전히 맞물려져 같은 평면 위에 놓이는 위치로부터 도 6h에서 보여주는 분리되는 지점까지 에서 패널(12a)과 (12b)의 조인트(Jm)와 (Jf)의 각 면들 사이의 상호 작용은 도 9a 내지 도 9e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게 된다.
도 9a는 잭(92)이 작용하기 전 패널(12a)과 (12b)를 보여준다. 이것은 도 6a, 도 6b와 도 6d 내지 도 6g에서 보여준 패널들의 상대적 병렬과 일치하다. 잭(92)이 점차 패널(12b)을 표면(90)으로부터 들어 올리기 위해 작동하면서 조인트(Jm)와 (Jf) 사이의 점차적인 회전이 있게 된다. 도 9b에서는 약 -2°의 상대적 회전 상태에 있는 패널(12b)의 조인트(Jm)와 패널(12a)의 조인트(Jf)를 보여준다. 여기서 접합면(24)과 (26)은 곡면(Cm1)과 분리되기 시작하며 특히 둔덕(38)이 곡면(Cf1) 위로 올라가기 시작한다. 동시에 돌기부(Pm)의 면(40)은 오목부(Rf)의 면(46)으로부터 올라가기 시작한다. 또한 이제는 굴곡 면의 윗부분들과 (Im3)과 (If3) 사이의 분리가 약간 증가되었다. 마지막으로, 곡면(Cm2)은 곡면(Cf2) 위에 올라가게 되었다.
도 9c에서는 패널(9b)의 계속되는 올라가는 현상을 보여주며, 여기서 패널(12a)과 (12b)의 상대적 부의 회전은 약 5°이다. 여기서 접합면(24)과 (26)의 분리는 보다 현저해졌으며 곡면(Cm1)과 특히 둔덕(38)은 곡면(Cf1) 위로 더 높이 올라갔지만 아직 곡면(Cf1)에서 완전히 이탈한 것은 아니다. 면(40)과 (46) 사이에는 간격이 더욱 증가되었고 곡면(Cm2)은 이제 확고하게 굴곡 면(If2)의 가장 오목한 부분에 앉게 되었다. 이것은 다음의 내용에 의해 생기는 압력/힘을 증가시킨다; 돌기부(Pf)의 목에 있는 곡면(Cm2); 그리고 곡면(Cf1)에 있는 곡면(Cm2).
잭(92)을 계속 동작시키면 도 9d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패널(12a)과 (12b) 사이의 각도가 약 -7°로 증가된다. 이 지점에서, 곡면(Cm1)과 둔덕(38)은 이제 곡면(Cf1)을 지나 오목부(Rf)의 목(66)의 바깥쪽에 놓이게 된다."찰깍"하는 소리가 이것을 설치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그러나 곡면(Cm3)은 곡면(Cf3)에 의해 맞물려진 상태이고 그 아래에 있다. 곡면(Cm2)은 곡면(Cf2) 아래에 놓인다. 특히, 돌기부(Pf)는 이제 곡면(Cm3)과 Cm2에 의해 반대 쪽으로부터 압축되거나 끼이게 된다. 따라서 이 -7°배치에서, 조인트(Jm)와 (Jf)는 아직 부분적으로 맞물리였으며 그 어떤 외부의 힘이 없이 패널(12a)과 (12b)의 수직 및 수평 잠금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조인트(Jm)와 (Jf)의 -7°까지의 회전에서 곡면(Cm2)은 돌기부(Pm)를 오목부(Rf)로부터 들어올리는 지레대로 작용하게 된다.
패널(12a) 위에 하향 압력 또는 힘을 적용하면 이하의 내용 중 하나 또는 모두의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돌기부(Pf)를 압축하는 것; 또는, 곡면(Cm3)과 (Cm2)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Rm)의 목을 개방하는 것, 그리하여 돌기부(Pf)가 오목부(Rm)을 벗어날수 있게 한다. 조인트에서 왁스는 마찰을 줄이며 이제는 조인트들의 분리를 돕는다. 이제 패널(12a)은 도 9f와 도 6i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자유롭게 표면(90)에 다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패널(12a)과 (12b)는 완전히 분리되었다.
그러나 패널(12b)의 제거는 또한 패널(12c)의 조인트(Jm)으로부터의 패널(12b)의 조인트(Jf)의 분리를 요구한다. 이 공정은 도 6j로부터 도 6l에서 보여주고 있다.
패널(12a)과 (12b)가 분리된 후 인차, 패널(12b)은 잭(92)에 의해 면(90) 위로 들리워 진다. 교체 공정을 계속 진행하기 위하여 축(96)을 조임판의 보스(100)로부터 풀면 패널(12b)은 다시 면(90)으로 내려가게 된다. 설치자는 다음 쐐기 장치94를 패널(12a)과 (12b)의 분리된 조인트들 사이에 삽입하기 위해 패널(12b)의 조인트(Jm)를 잡아 들어올리고 쐐기 장치를 면(114)의 평면 부분(118)이 패널(12c)의 기본면(16)과 닿는 지점까지 조인트(Jm)와 (Jf) 안으로 밀어 넣는다. 이것은 도 6j에서 보여준다. 이제 패널(12b)의 패널(12c)로부터의 분리는 우선 패널(12b)을 약 -7°내지 -10°의 각도로 회전시켜 패널(12c)의 곡면(Cm1)을 패널(12b)의 조인트(Jf)의 곡면(Cf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쐐기 장치(94)는 설치자가 이 회전을 실현시키는 것을 도와줄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도 6j에서 보여준다. 더욱이 쐐기 블록(108)이 아래 패널(12c) 밑에 조인트(Jm)의 약간 안쪽에 있을 경우, 그리고 패널(12b)이 시계 반대 항향으로 핸들(110)을 향해 회전되었을 때, 패널(12b)은 핸들(110)과 인접하기 전에 또는 그때 7°내지 10°로 회전 또는 추축 회전을 하게 된다. 이 지점에 도달하였다는 것은 보통 곡면(Cm1)이 곡면(Cf1)의 밑으로부터 위로 통과하면서 내는 "찰깍"하는 소리를 듣고 알 수 있다. 조인트(Jm)와 (Jf)의 이 병렬은 도 9d에서 보여준 것과 같다.
뒤이어 하향 압력 또는 힘이 적용되면 예를 들어 도 6k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은 고무 망치로 두드리면 도 6l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패널(12b)과 (12c)의 조인트(Jf)와 (Jm)은 각각 완전한 분리되게 된다. 제 손상된 패널(12b)은 인접한 패널(12a)과 (12b)로부터 모두 완전히 분리되었으며 제거될 수 있다.
손상된 패널(12b)을 새 패널(12b1)과 교체하기 위해 설치자는 이제 쐐기 장치94를 뽑고, 패널(12c)의 가장자리를 손으로 들어 새 패널(12b1)을 들려진 패널(12c) 밑에 미끄러져 들어가게 하여 조인트(Jm)가 조인트(Jf)의 위에 놓이게 한다. 패널(12b1)의 반대면은 패널(12a) 위에 놓여져 있다. 이 순차적 과정은 도 6m 내지 도 6p에서 보여준다.
설치자는 이제 패널(12c)을 패널(12b1) 위에 내리게 된다. 이렇게 되면 패널(12c)의 수 조인트(Jm)가 패널(12bi)의 암 조인트(Jf)의 목(48)위에 놓이게 되며; 패널(12b1)의 조인트(Jm)는 이미 놓여있던 패널(12c)의 조인트(Jf)의 목(48) 위에 놓이게 된다.
패널(12b1)을 완전히 맞물리기 위하여 패널(12c)과 (12b1)의 수 조인트(Jm)에 하향힘 또는 압력이 가해진다. 이것은 다음 순서 즉, 패널(12c) 다음에 패널(12b1) 또는 패널(12b1) 다음에 패널(12c) 중 어느 하나로 될 수 있다. 도 6c는 패널(12c)의 조인트(Jm)가 먼저 패널(12b1)의 조인트(Jf)와 맞물린 경우의 구성 상태를 보여준다. 도 6r은 지금 패널(12b1)의 조인트(Jm)가 패널(12a)의 조인트(Jf)와 맞물려져, 도 6s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마루를 원상태로 회복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만일 패널들이 원래 일렬로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있었다면 도 5f 내지 도 5k를 참조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조인트 시스템의 자체 정렬 기능이 이 공정에서 작동하게 된다.
전체 바닥을 벗기지 않고 그 대신 손상된 패널(12)만을 쉽게 제거하고 교체할 수 있는 기능은 커다란 실용적, 상업적 및 환경적 이익을 가져다 준다. 이점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패널들은 제한된 기술을 가진 재간이 어느 정도 있는 사람에 의해 매우 초보적인 눅은 장비를 가지고 쉽게 교체될 수 있다. 이것은 전문설치가들을 고용해야 할 필요성을 피하게 한다.
수리는 패널이나 그의 부분들을 끌로 파거나 깍아낼 필요가 없는 것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깨끗하게 진행되게 된다.
손상된 패널들만 교체하면 되므로 대체로 어렵고 불편한 가구 이동을 진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소매자의 견지에서 볼때 첫 번째 이점은 손상의 경우에 예비 패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특정 면적을 씌우는데 필요한 양보다 조금 더 많은 양의 패널을 구입하도록 구매자에게 권유할 수 있다는데 있다. 예를 들어, 소매자는 즉 1 내지 3평방 미터의 추가 패널을 더 구입하여 얻게 되는 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새 집을 건설할 때 건설자가 수리에 이용할 목적으로 바닥이나 지붕 타일 또는 페인트를 추가적으로 남겨놓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손상된 마루의 수리에서 중요한 문제로 나서는 것은 설치후 몇년이 지난 다음 그와 똑같은 패널을 구입하는 것이다. 만일 똑같은 패널을 구입할 수 없다면 적은 수량(예를 들어 2 내지 3개)의 패널만 손상되었을 경우에도 전체 마루층을 교체해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집의 1층의 3개의 침실, 복도, 부엌과 가족실을 모두 연속적인 마루를 형성하는 같은 외형의 목재 바닥 패널로 커버한 경우를 들 수 있다. 전체적인 집가구의 선택과 장식은 주로 마루와 어울리게 선택한다. 꼭같은 교체패널을 구입할 수 없는 경우 전체층의 마루를 교체해야 할 수 있다. 실지 이와 같은 현상은 2010년 3월 퍼스,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어에서 예년에 없는 대규모 마루선풍 때 일어났다. 이 현상을 유발하는 보다 통상적인 원인은 물 분배기가 달린 냉장고로부터 시간을 초과하여 물을 흘리는 현상에 있다. 수중에 교체할 적은 양의 교체 패널의 예비만 있으면 전체적인 규모에서의 마루 교체를 피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눅고 풍부한 원천을 가진 재료를 이용하여 패널을 만들고 버블 젯 프린터(bubble jet printer)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이국적인 나뭇결을 윗부분의 기본면(12)에 새기는 목재 바닥 시장이 새롭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패턴들은 매우 복잡하며 잉크 펜으로 흠집을 수정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볼때에도 마루를 초기에 구입하면서 적은 양의 추가적인 패널을 같이 구입하면 잠재적으로 수천 달러를 절약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눅고 풍부한 재료를 이용하고 보다 이국적이고 비싼 목재 모양을 본 따 기본면이 착색되어 있는 목재 마루에서도 같은 상황이 적용되게 된다.
상기 서술된 마루 전체 교체의 상업적인 후과는 과소가되어서는 안된다. 주로 이 비용은 보험회사들이 부담하게 된다. 이것은 자연적으로 보험료의 증가와 주주들의 배당금의 감소에 노크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타이밍문제가 있는데 보험회사들은 손해 사정을 정확히 할 수 없어 수정하는데 몇달이 걸릴 수도 있다.
이제는 환경 측면을 보기로 한다. 전형적인 나무 마루 패널은 폴리우레탄 또는 다른 밀봉재로 코팅되어 있다. 또한 접착제나 풀이 붙어 있을 수도 있다. 이것은 종종 유해가스의 발생으로 인하여 손상된 보드들의 소각이 금지되게 한다. 따라서 보드들은 쓰레기 매립지로 가야 한다.
도 1 내지 도 9f에서 보여주는 조인트10은 많은 실시형태들 중 하나의 대표적인 형태이다.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들중 몇개 만을 선택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하는데서 같은 참조 시스템이 이용되어 조인트10은 그대로 쓰이게 되지만 조인트의 각 특정 실시형태들은 알파벳 접미사 예를 들어 "a, b, c,..."을 첨부하여 구분되게 된다.
도 10a와 도 10b는 기재에 구현된 조인트 시스템(10)의 제2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조인트 시스템(10a)은 반대쪽들에 있는 수 조인트(Jm)와 암 조인트(Jf)를 포함한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조인트 시스템(10a)가 도 1과 도 2에서 보여주는 조인트 시스템(10)과 같은 일반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수 조인트(Jm)는 수 잠금면(ML1, ML2, ML3); 굴곡면(Im1, Im2, Im3); 또한 곡면(Cm1, Cm2, Cm3)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암 조인트(Jf)에는 암 잠금면(FL1, FL2, FL3); 굴곡면(If1, If2, If3)과 곡면(Cf1, Cf2, Cf3)이 제공되게 된다. 잠금면의 상대적 위치, 조인트 시스템(10a)의 굴곡면과 면들은 일반적으로 조인트 시스템(10)의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면들의 특정한 모양과 깊이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특히 조인트(10a)의 곡면(Cm1)에는 조인트 시스템(10)의 산마루(38)가 제공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굽은 형태이다. 또한 맞물리게 되는 굴곡면(Im1)과 (If1)은 보다 얕은것으로 하여 잠금 평면(18) 주위의 공간(76, 78)은 조인트 시스템(10)의 것보다 작다. 이것은 도 10b와 도 1b를 대비적으로 놓고 보면 알 수 있다. 또한 굴곡면(Im3)과 (If2)의 깊이는 조인트 시스템(10)에서와 같은 공간(80)을 위한 공간이 없을 정도로 줄어들게 된다. 또한 조인트 시스템(10a)에서 굴곡면(Im2)과 (If2)은 조인트 시스템(10)의 대응되는 면보다 얕은 것으로 하여 인접한 패널(12)의 조인트(Jm)와 (Jf)가 맞물릴 때 곡면(Cf2)과 (Cm2) 사이에 겹침이 보다 적어지게 된다.
조인트 시스템(10a)은 조인트 시스템과 동일한 상황에서 동일한 재료를 가지고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굴곡면(I)의 깊이가 약간 얕은 것으로 하여 조인트 시스템(10a)은 참대와 같은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굳은 기재들에 적합하며, 여기서 대응되는 오목부(Rm)와 (Rf)의 목을 통과할 때 돌기부(Pm)와 (Pf2)의 압축성은 한정되게 된다.
도 11a로부터 도 11d에서는 기재의 반대쪽들에 제공된 조인트 시스템(10b)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조인트 시스템(10b)과 (10)의 본질적인 차이점은 다음의 내용에 있다: (a) 인접한 굴곡면(Im3)과 (If3)의 구성; 그리고, (b) 돌기부(Pm)로부터 오목한 오목부(42)의 제거와 오목부(Rf)의 곡면(58)에 유사한 오목부(42)f의 형성.
통상적으로, 굴곡면(Im3)과 (If3)은 전 연장 길이에서 완만하게 또는 연속적으로 굽어들지 않고 "각을 이루고"있다. 특히 곡면(Cm3)(굴곡면(Im3)의 부분)에는 조인트 시스템(10)의 돌기부(Pm)에 그려진 산마루(38)와 유사한 좁은 산마루(140)가 제공된다.또한 굴곡면(Im3)에는 오목부(R)의 루트 52를 향해 연장되는 "V"형 기어 톱니(gear tooth)(142)가 제공된다. 암 조인트(Jf)에서 곡면(Cf3)은 뾰족해져 좁은 산마루(144)를 형성한다. 도 11b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기어 톱니(142)의 정점(145)은 조인트(Jm)와 (Jf)가 맞물릴 때 산마루(144) 밑에서 곡면(Cf3)과 마주하게 된다.
굴곡면(Im3)과 (If3)의 구성에서의 변화와, 특히 기어(142)의 제공 그리고 곡면(Cf3)과 (Cm3)의 구성에서의 변화의 목적과 효과는 기복이 있는 표면에서의 설치를 쉽게 하기 위해 맞물림을 유지한 상태에서 맞물린 패널들 사이의 상대적 회전을 5°내지 10°까지의 또는 그 이상으로 보다 크게 허용하는데 있다. 회전의 각도를 증가할 수 있는 가능성은 패널(12a)에 상응하게 맞물린 패널(12b)의 수 조인트의 정의 방향 또는 웃방향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기어 톱니(142)의 정점(145)이 산마루(144)를 통과한 후 오목부(Rf)에서 돌기부(Pf)의 면을 마주한 곡면(Cm3)에 의하여 촉진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돌기부(Pf)는 곡면(Cm3)과 (Cm2) 사이에 끼이게 되며 따라서 수평 및 수직 맞물림을 유지하게 된다. 조인트 시스템(10b)은 패널이 인접한 수평 패널에 상대적으로 경사져 올라가도록 다시 말하여 올라간 교차점이나 바닥 트림 조각을 가능하게 한다.
도 12a와 도 12b는 기재(12)에서 구현된 조인트 시스템(10c)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조인트 시스템(10c)과 (10)은 가로 세로 비율과 관련하여 사실상 서로 차이난다. 조인트 시스템(10c)은 조인트 시스템(10)보다 작은 두께의 기재들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재(12)의 두께와 깊이가 보다 적은 것으로 하여 조인트 시스템(10c)의 수와 암 조인트(Jm)와 (Jf)는 보다 얕지만 더 넓다. 이것이 조인트 시스템(10c)과 (10)의 돌기부(Pm)와 오목부(Rf)를 비교할때 제일 두드러지는 점이다. 조인트(10c)에서 돌기부(Pm)는 보다 넓으며 보다 평평한 바닥면(42)이 제공되었으며 오목부(Rf)도 마찬가지이다. 돌기부(Pm)의 확장은 곡면(Cm3)의 프로필을 뾰족하게 한 결과이다. 그러나, 조인트 시스템(10)의 동작 방식과 효과는 조인트 시스템(10)과 같다. 특히 수직 잠금 평면(18, 20)과 (74)가 그대로 남아 있으며 각 기재(12)들은 상호 상대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3도까지 회전할 수 있다.
도 13a와 도 13b는 기재에 적용된 조인트 시스템(10d)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조인트 시스템(10d)와 (10)의 본질적인 차이점은 깊이와 중간 굴곡면(Im3)과 (If3)의 상대적 배치; 그리고 돌기부(P)와 오목부(R)의 폭에 있다. 조인트 시스템(10d)에서, 굴곡면(Im3)과 (If3)은 보다 얕으며 수평을 향하여 즉 기본면(14)과 (16)을 포함하는 평면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결과적으로, 수와 암 조인트(Jm)와 (Jf)가 맞물리였을 때 오직 안쪽과 바깥쪽 잠금 평면(18)과 (20)만이 생겨나게 된다; 상기 조인트 시스템의 실시형태들에서 생겼던 세 번째 잠금 평면(74)은 없어진 상태이다. 조인트 시스템(10d)에서, 굴곡면(Im3)에는 굴곡면(If3)의 어느 한 지점의 수직으로 아래에 그리고 측면으로 안쪽에 있는 지점이 없다. 또한 조인트 시스템(10d)에서 돌기부(P)와 오목부(R)는 보다 넓다. 이것은 돌기부(Pm)와 (Pf)를 통과하는 전단면(S1, S2)에서 수평 전단강도(shear strength)를 보다 크게 한다. 이것은 평면(S1, S2)의 평면에서의 전단에 취약한 보다 작은 두께(예를 들어, 7㎜ 내지 3㎜)를 가진 패널들에 유리하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조인트 시스템(10d)는 조인트 시스템(10c)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수직 시스템이며 인접한 기재들(12)은 상호 상대적으로 3도까지의 각도로 분리됨이 없이 회전할 수 있다.
도 14a와 도 14b에서는 기재(12)에 적용된 조인트 시스템(10e)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조인트 시스템(10e)은 조인트 시스템(10)과 같은 기본 개념을 구현하고 있으며 특히 극단(또는 가장 안쪽과 바깥쪽)잠금, 굴곡면과 횡방향 연장 하는 곡면을 갖고 있어 각각의 잠금 평면(18)과 (20)을 형성하며 맞물린 기재(12)의 수와 암 조인트(Jm)와 (Jf) 사이에서 상대적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실시형태들에서와 같이 조인트 시스템(10e)은 조인트들이 기본면(14)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 또는 압력에 의해 맞물리는 수직 시스템이다. 그러나 조인트 시스템(10)과 조인트 시스템(10e)를 대비해 보면 수와 암 조인트(Jf)와 Jr에 있는 돌기부(P)와 오목부(R)의 특정한 구성에서의 많은 차이점을 명백히 알 수 있게 된다.
시스템(10e)에서, 수 조인트(Jm)로부터 시작하여, 기본면(14)과 측면(24) 사이에 경사진 면(146)이 있다. 또한 측면(24)과 굴곡면(Im1) 사이에서 조인트 시스템(10e)은 직각 리베이트(rebate)(148)을 포함한다. 돌기부(Pm)는 조인트 시스템(10)에서 보다 더 대칭적이며 기본면(14), (16)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된 중신 슬롯(slot)(150)이 제공되게 된다. 또한 돌기부(Pm)의 표면(40)은 아치형이기 보다는 평면에 가깝다. 슬롯(150)은 돌기부(Pm)에 일정한 탄성도를 제공한다. 이 탄성은 돌기부(Pm)와 오목부(Rf)의 맞물림에 영향을 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목부(Rf) 안에서 돌기부(Pm)의 회전을 도와주기 위한 것이다.
돌기부(Pf)는 시스템(10)에서 대응되는 돌기부(Pf)에 비해 보다 둥근 형태이다. 슬롯(152)은 또한 돌기부(Pf)에 탄성을 제공하여 소켓(Rm) 사이에서 그것의 회전을 도와준게 된다. 오목부의 루트(34)에 있는 면(58)은 평탄하며 기본면(14), (16)과 평행을 이루며 면(40)과도 평행을 이룬다. 4각형 축턱(shoulder)(154)은 암 조인트(Jf)의 굴곡면(If1)과 측면(26)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축턱154는 도 14b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조인트(Jf)와 (Jm)가 맞물릴 때 리베이트(148)와 맞물린다. 조인트 시스템(10)의 구성에서의 또 다른 점은 굴곡면(Im2)과 경사면(156) 사이에 경사면(156)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도 14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인트 시스템(10e)은 조인트 시스템(10)에서와 같이 3개의 수직 잠금면(18, 20, 74)을 가지고 있다. 공간(158)은 수 조인트(Jm)가 암 조인트(Jf)와 맞물릴 때 면(40)과 (58) 사이에 조성된다. 이 공간은 도 1b에서 보여준 잔여물을 수집하기 위한 틈(44)과 같은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5a와 도 15b에서는 기재(12)에 구현된 조인트 시스템(10f)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 방식을 보여준다. 조인트 시스템(10)에서, 수와 암 조인트(Jm)와 (Jf)는 시스템(10)에서 보다 더 얕고 4각형이다. 수 조인트(Jm)는 굴곡면(If1)과 그에 대응되는 가장 바깥쪽에 있는 곡면(Cm1) 그리고 굴곡면(Im2)과 그에 대응되는 가장 안쪽의 곡면(Cm2)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간면(Cm3)이 있지만 중간 굴곡면(Im3)은 없다. 암 조인트(Jf)는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조인트의 가장 안쪽면과 바깥쪽면에 각각 있는 곡면(Cf1)과 곡면(Cf2); 그리고, 굴곡면(If2). 그러나, 조인트 시스템(10f)는 중간 굴곡면(If3)을 포함하지 않으며 동시에 암 조인트의 가장 바깥면에 있는 굴곡면(If2)도 포함하지 않는다.
조인트 시스템(10f)에서 돌기부(P)와 오목부(R)는 조인트 시스템(10)에서 보다 낮고 폭이 넓다. 이것은 조인트 시스템(10d)에서 개선된 전단 강도를 제공한다. 조인트 시스템(10f)를 구현한 기재(12)가 상호 맞물렸을 때 두 잠금 평면(18)과 (20)은 곡면(Cf1)과 (Cm1); 그리고 (Cf2)과 (Cm2)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돌기부(Pm)와 (Pf)에서 각각 평면(25)과 (27)의 제공에 의해 "준"중간 잠금 평면이 형성된다. 면(25)과 (27)은 기본면(14)과 수직을 이룬다. 조인트(Jm)와 (Jf)가 맞물리면 면(25)과 (27)이 인접하게 된다. 이것은 수직 평면에서 조인트(Jm)와 (Jf) 사이에서 상대적 모션에 대해 마찰 잠금을 제공한다. 이것은 조인트 시스템(10f)에서의 잠금 평면(74)과 비슷하지만 그 보다 낮은 수준의 효과를 제공한다. 연결된 기재들(12) 사이의 수직 구속은 돌기부(Pm)의 면(40)과 오목부(Rf)의 면(58)의 인접에 의해 형성된다.
조인트 시스템(10f)와 (10) 사이의 구성에서의 다른 차이점은 조인트(10f)에 면(50)과 (62)을 각각 기본면(16)으로 인도하는 경사면(56)과 (64)이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조인트 시스템(10f)에서는 면(54)과 (66)이 각각 곡면(Cm2)과 (Cf2)에서 기본면(16)으로 곧장 연장된다.
도 16a와 도 16b에서는 비닐이나 다른 상대적으로 부드럽고/유연한 재료들과 같은 수지로 만든 패널에 적합한 조인트 시스템(10g)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조인트 시스템(10g)에서는 다양한 굴곡면 또는 횡방향 연장 하는 곡면들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평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각 극단 잠금 평면(18, 20)에서는, 적어도 한개의 아치형 횡방향 연장된 곡면이 남아 있어 회전 모션을 도와주어 맞물린 패널(12) 사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조인트 시스템(10f)에서 돌기부(Pm)는 첫 번째 잠금면(ML1)을 포함하며, 인접면(24)과 인접한 굴곡면(Im1)을 갖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굴곡면(Im1)은 면(24)에 매달린 평탄하고 안으로 경사진 곡면(160), 면(24)과 평행되게 연장하는 추가적인 평면(162)을 포함하며 면(160)과 인접해 있다. 다음 굴곡면(Im1)은 아치형 또는 완만하게 굽은 곡면(Cm1)과 결합된다. 곡면(Cm1)은 기본기본면(14)과 (16)에 평행되는 평면에 놓인 돌기부(Pm)의 평탄한 바닥면(40)으로 이어진다. 면(40)은 중간에 있으면서 완만하게 굽은 곡면(Cm3)과 인접해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형태들의 오목한 오목부(42)는 기본면(14)과 수직으로 놓이는 슬롯(163)으로 교체되었다. 슬롯(163)은 돌기부(Pm)에 오목부(Rm) 안에서의 압축 능력을 향상시켜 오목부(Rm) 안에 있는 상태에서의 회전을 도와준다.
곡면(Cm3)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은 경사진 평면(164)이며, 이것은 오목부(Rm)의 평면(52)으로 이어진다.
면52는 기본면(14)과 평행으로 놓인다. 평면(164)과 곡면(Cm3)은 함께 중간 굴곡면(Im3)과 세 번째 잠금면(ML3)을 형성한다. 여기에는 면(164)과 면(Cm3)이 사귀는 곳에 뾰족한 모서리가 제공된다. 수 조인트(Jm)의 가장 안쪽면(ML2)은 각진 굴곡면(Im2)과 평면(56)을 포함한다. 굴곡면(Im2)에는 인접한 평면(166)과 (168)이 포함되며 이것들은 상호 경사를 이루어 오목부(Rm)에 대체적으로 오목하지만 각진 또는 뾰족한 모서리를 형성한다. 굴곡면(Im2)는 또한 기본면(14), (16)과 수직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또 다른 평면(170)을 포함한다. 이 면은 그 다음 경사면(56)과 연결되어 기본면(16)으로 이어진다.
암 조인트(Jf)는 기본면(14)과 수직을 이루며 연장되는 인접면(26)과 인접한 굴곡면(11)을 포함하는 첫 번째 잠금면(FL1)을 갖는다. 굴곡면(If1)은 오목부(Rf)를 향하여 경사를 이루는 평면(172), 표면(26)과 평행을 이루는 평면(174)과 오목부(Rf)의 루트에 있는 면(58)으로 이어지는 완만한 곡선을 가진 오목한 면(176)을 포함한다. 면(172), (174)과 면(176)의 윗부분은 함께 대체적으로 볼록한 모양을 이루고 횡방향 연장 되는 캠(Cf1)을 형성한다. 오목부(Rf)의 루트(34)에 있는 면(58)은 평면을 이루며 기본면(14)과 평행을 이룬다. 그다음, 암 조인트(Jf)는 굴곡면(Im3)의 거꾸로 된 형태로 볼 수 있는 중간면(If3)을 포함한다. 이렇게 굴곡면(If3)은 기본면(14)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진 평면(180), 그리고 인접한 완만하게 굽은 곡면(Cf3)을 포함한다. 곡면(Cf3)은 기본면(14)과 평행인 평면(60)과 연결된다. 시스템(10f)의 가장 바깥쪽의 암 조인트(Jf)는 평면(62)으로 이어지고 그 다음 안쪽으로 경사진 면(64)으로 다음 기본면(16)으로 이어지는 완만하게 굽은 곡면(Cf2)을 갖는 암 잠금면(FL2)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Jm)와 (Jf)는 기본면(14), (16)과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적용에 의하여 맞물리게 된다. 도 16d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조인트 시스템(10f)에서는 곡면(Cf1)과 (Cm1); (Cm1)과 (Cm2); 그리고 (Cm3)과 (Cf3)의 상대적 병렬의 결과인 3개의 잠금면(18, 20, 74)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맞물린 조인트에서, 곡면(Cm1)과 (Cm3)은 오목부(Rf)의 각진 모서리에 있게 되며 한편 완만하게 굽은 곡면(Cf2)과 (Cf3)은 오목부(Rm)에 형성된 각진 모서리에 있게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알아야 할 것은 잠금 평면의 가장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아치형 또는 완만하게 굽은 곡면(C)이 남아 있다는 것이다. 특히, 잠금 평면(18)에서, 아치형 곡면(Cf2)은 수 조인트(Jm)의 면에서 롤 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Jm)와 (Jf)의 비대칭구성으로 하여 틈 또는 공간이 맞물린 면 사이에 조성되어 조인트들 사이의 상대적 회전을 도와주고 확장을 허용한다.
도 17a와 도 17b는 조인트 시스템(10f)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와 매우 유사한 조인트 시스템(10h)을 보여준다. 특히, 시스템(10h)는 시스템(10g)과 대체적으로 같은 모양과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본질적인 차이점은 슬롯(163)이 생략되고 경사진 면(56)과 (64)의 길이가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이 줄어든 길이는 기재(12g)의 것보다 적은 기재(12h)의 두께로 인한 것이다. 예를 들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조인트 시스템(10g)을 구현한 기재(12g)는 5.2㎜ 범위의 두께를 갖고 있으며, 한편 조인트 시스템(10h)을 갖고 있는 기재(12h)는 3.5㎜ 범위 내의 두께를 갖고 있다.
다른 모든 측면에서, 조인트 시스템(10h)은 조인트 시스템(10g)과 같은 구성과 기능을 갖고 있다.
도 17c 내지 도 17e에서는 공구 한 세트만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두께의 패널과 시스템을 제작하는 것과 관련한 조인트 시스템의 실시형태의 기능을 보여준다. 도 17a와 도 17b는 공칭 두께가 예를 들어 3㎜인 패널(12)에 형성된 조인트 시스템(10h)을 보여준다. 도 17c와 도 17d에서 공칭두께 3㎜는 가장 안쪽의 수평선(14a, 16a)에 표시되어 있다. 이 선들은 패널(12)의 기본 면(14)과 (16)을 나타낸다. 다음의 인접한 한 쌍의 선(14b, 16b)은 두께가 3.5㎜로 만들어진 패널(12)의 기본면을 나타낸다. 바깥 방향으로 계속 이어지는 쌍을 지은 선들(14c와 16c); (14d와 16)d; (14e와 16e); 그리고 (14f와 16f)은 두께가 4㎜, 5㎜, 6㎜, 7㎜로 만들어진 패널(12)의 기본기본면(14)과 (16)을 나타낸다. 도 17e는 이와 같은 서로 다른 두께로 만들어진 패널(12)의 투시도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겠지만 절삭공구 한 세트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두께의 패널에 조인트 시스템을 제조할 수 있는 기능은 선행기술에 비한 이점으로 된다. 또 하나의 다른 기능은 패널(12)의 두께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조인트(Jm, Jf)와 잠금면들은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패널들 사이의 맞물림 강도는 패널들의 두께의 다양성에 따라 달라지지 않게 된다.
도 18a와 도 18b는 조인트 시스템(10i)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조인트 시스템(10i)은 상기 서술된 조인트 시스템들의 다양한 기능들을 결합한 혼합물로 볼 수 있다. 수와 암 조인트(Jf)와 (Jm)는 모두 완만하거나 연속적인 곡면을 갖는 볼 또는 구근모양의 돌기부(P), 그리고 오목부(R)를 포함한다. 수와 암 조인트(Jf)와 (Jm)의 각 면들(C)은 도 18b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호 맞물렸을 때 세개의 잠금면들(18, 20, 74)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와 암 조인트들은 조인트 시스템(10e)에서와 같이 기본면(14)과 평행으로 놓이는 보충적인 계단식 평면(148)과 (154)을 포함한다. 조인트 시스템(10i)은 조인트 시스템(10e)의 변형으로 볼 수 있지만 이하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각 돌기부(P)와 오목부(R)의 확대; 면(24)과 (26)의 기본면(14)과 수직으로부터 약간 경사지기; 면(Cf1)의 윗쪽 끝과 면(154) 사이의 굴곡면(If1)의 부분의 평평해지기; 그리고 (Cm2)로부터 곧장 기본면(16)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56)의 늘이기 가 포함된다. 도 18b와 도 14b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또한 이제 평면(40)과 (52) 사이에 공간(82)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인트 시스템(10i)은 조인트들 사이의 맞물림과 분리와 롤링 동작의 측면에서 상기 서술된 조인트 시스템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도 19a와 도 19b는 조인트 시스템(10j)의 보다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나타낸다. 돌기부(Pm)와 (Pf)에는 각각 조인트 시스템(10e)의 것과 비슷한 슬롯(163)과 (152)이 제공된다. 조인트 시스템(10j)에서 면(Cm1, Cm2, Cm3, Cf1, Cf3)은 모두 완만하게 구부러져 있다. 그러나 암 조인트(Jf)에서 면(Cf2)은 각져 있으며 두개의 인접한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19b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조인트(Jm)와 (Jf)가 맞물릴 때 잠금면(ML1)과 (FL1); (ML2)과 (FL2); 그리고 (ML3)과 (FL3)은 3개의 잠금 평면(18, 20)과 (74)을 만들어지게 한다. 가장 바깥쪽의 각 잠금 평면(18, 20)에서, 각각의 맞물린 두 면 중 어느 한 면은 연속적인 곡선을 이룬다. 특히 잠금 평면(18)과 (20)에서 곡면(Cm1)과 (Cm2)은 연속적인 곡선을 이룬다. 이것은 상기 실시형태들과의 관련속에서 서술한 것과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조인트들의 정의와 부의 상대적회전으로 회전하는 능력과 손상된 기재를 분리하여 움직여 교체하도록 하는 능력을 유지하여 준다. 조인트 시스템(10j)는 또한 부속 시스템(10e)과 같은 면(146)과 (154)을 포함하지만 이 경우 이 면들은 기본면(14)에 상대적으로 안쪽예각을 이루며 경사져 있다. 또한 돌기부(Pm)와 (Rf)는 상대적으로 구성되어 면(40)과 (58) 사이에 상대적으로 큰 틈이나 공간(190)을 형성한다. 슬롯(152, 163)은 돌기부(Pm)와 (Pf)의 압축을 가능하게 하는 내부 서스펜션 시스템을 제공하여 회전 모션에서 도움을 주도록 한다.
도 20a와 도 20b에서는 조인트 시스템(10k)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돌기부(Pm)는 연속적인 곡면(Cm1, Cm2, Cm3)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 조인트쪽에서 돌기부(Pf)는 각진 곡면(Cf2)과 (Cf3)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면(Cf1)은 인접한 평면(191), (192), 그리고 (193)을 포함한다. 면(Cf3)은 인접한 평면(194, 195)과 (196)을 포함한다. 면(191)과 (194)은 각각이 기본면(14)과 평행되는 돌기부(Pf)의 면(60)으로 이어진다. 면(192)과 (195)은 모두 기본면(14)과 수직을 이루며 연장되고 한편 면(193)과 (196)은 서로를 향하여 경사져있으며 면(193)은 반대로 경사진 면(162)으로 이어지고 그 다음 안쪽으로 깎아졌지만 면(193)과 본질적으로 평행을 이룬 경사면(64)으로 이어진다. 면(64)은 기본면(16)으로 이어진다. 오목부(Rf)의 경로(34)는 기본면(14)에 평행되게 놓이는 평면(46)으로 형성되었다. 면(198)은 안쪽으로 경사진 면(199)으로 이어지며 그 면은 다음 평면(200)과 인접을 이루게 된다. 면(200)은 기본면(14)과 수직으로 놓이며 면(154)과 합쳐진다. 도 20b에서 명백하게 보여주는 바와 같이 면(196)과 (197); 그리고 면(198)과 (199)의 결합은 면(Cm1)과 (Cm3)을 앉히기 위해 각각 오목한 오목부를 이룬다.
수 조인트(Jm)를 들여다 보면, 오목부(Rm)에서 면(52)의 반대쪽 끝이 인접한 바깥쪽으로 경사진 면(201)과 (202)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면(201)은 다음 평면(203)으로 이어지고, 그 면은 면(Cm2)으로 이어진다. 반대쪽 끝에서 면(202)은 평면(204)과 인접을 이루고 있으며, 그 면은 다시 면(Cm3)으로 이어진다. 면(203)과 (204)은 기본면(14)에 수직으로 놓여있다. 면(201, 203)과 면(Cm2)의 부분은 결합하여 면(Cf2)을 위한 오목한 오목부를 이룬다. 이와 유사하게, 면(203), (204)와 면(Cm3)의 부분은 면(Cf3)을 앉히기 위한 오목한 오목부를 형성한다.
돌기부(Pm)는 또한 기본면과 수직을 이루며 면(Cm1)과 면(148) 사이에서 연장되는 평면(205)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Jm)와 (Jf)가 맞물리면, 면(205)과 (204)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게 되며 한편 각각의 면(148)과 (154); 그리고 (26)과 (24)들은 인접해 있다.
도 21a와 도 21b는 조인트 시스템(10l)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돌기부(Pm)는 기본면(14)에서부터 시작되어 조인트(10e, 10i)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먼저 약간 경사진 면(146)을 제공하고 아래로 연장되어 완만한 곡면(Cm1)으로 끝나게 되는 수 잠금면(ML1)을 갖는다. 첫 번째 수 잠금면(ML1)은 또한 평탄한 부분(220)을 포함하며, 경사면(146)으로부터 면(Cm1)으로 연장되는 굴곡면(Im1)을 갖는다.
돌기부(Pm)는 또한 조인트 시스템(10e)의 것과 유사한 슬롯(158)을 포함한다. 돌기부(Pm)는 곡선 원심면(40)으로 구성되고 슬롯(158)을 통과하는 중심선과 대체적으로 대칭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때 돌기부(Pm)의 목(48)을 가로지르는 최단거리선(50)은 기본면(14)과 평행되는 평면에 놓인다. 돌기부(Pm)에 있는 슬롯(158)은 면(40) 가까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대체적으로 둥글거나 구부러진 끝을 가진 두 가닥 또는 두갈래로 갈라지게 된다.
세 번째 굴곡면(Im3)과 굴곡면(IM1)의 반대쪽 돌기부(Pm)의 측면에 있는 대응되는 세 번째 수 잠금 평면(ML3)은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오목부(Rm)의 루트(32)에 있는 평면(52)으로 이어진다. 면(52)은 기본면(14)과 평행되게 놓인다. 오목부(Rm)의 반대쪽면에서 조인트(Jm)에는 완만한 곡선을 가진 굴곡면(IM2)을 포함하며 점차 경사면(56)으로 이어지는 두번째 수 잠금면(ML2)이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Jf)에 있는 첫 번째 암 잠금면(FL1)은 기본면(14)에서 시작되어 기본면(14)과 수직으로 연장된 평면부분(222)으로 이어진 짧은 경사면(155)을 포함한다. 면(222)은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오목부(Rf)의 루트(34)를 향하여 연장된 굴곡면(If1)으로 이어진다. 루트(34)에는 기본면과 평행되게 연장되는 평면(46)이 제공된다. 면(46)은 암 잠금면과 대응되는 완만한 곡선을 가지는 굴곡면으로 이어지는 굴곡면(If3)으로 연장된다. 암돌기부(Pf)의 원심부는 두번째와 세 번째 암 잠금면(FL2)과 (FL3)으로 연장되어 기본면(14)과 평행되는 평면에 놓이게 된다. 두번째 암 잠금면(FL2)은 기본면(16)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며 완만한 굽은 방식으로 굴곡면(IF2)을 지나 다음 경사(64)로 이어진다.
도 21b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각 개의 수와 암 잠금면과 대응되는 굴곡면들은 각각의 잠금 평면(18, 20, 74)을 이루며 맞물리게 된다.
조인트 시스템(10l)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에서는 이제 구체적으로 설명되게 되는 형식의 접착제 구슬(B)(팬텀 선으로 표시된)는 슬롯 입구(158)에 수용될 수 있다. 이것은 맞물린 패널들 사이에서 추가적인 수직잠금과 쿠션을 제공한다.
도 22는 조인트 시스템(10m)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조인트(Jf)와 (Jm)을 따로 따로 그러나 맞물린 패널(12a)과 (12b) 형태로 나타낸다. 조인트 시스템(10m)은 도 1a 내지 도 2에서 보여주는 조인트 시스템(10)과 유사하며 기본차이점은 돌기부(Pf)의 면(Cm3, If3)의 구성에 있다. 조인트 시스템(10m)에서 곡면(Cf3)은 또한 횡방향의 바깥방향으로 연장되어 조인트(Jm, Jf)와 맞물리면 면(Cf3) 아래의 갈고리에 걸릴수 있게 한다. 이것은 조인트 시스템(10)의 것에 비해 볼때 중간 면(74)을 따라 일어나는 수직분리를 막는 큰 장애물로 된다. 또한 면(Cf3)에는 작은 산마루 또는 산봉우리 38'이 제공되는데 이것은 면(Cm1) 위에 있는 산봉우리(38)와 구성과 효과에 있어서 유사하다. 면(Cf3)의 구성으로 인하여 조인트(Jf)와 상대적으로 조인트(Jm)가 음쪽으로 회전하는동안 면(Cm3)과 (Cm2) 사이에 있는 돌기부(Pf)는 보다 더 꼭 잡히거나 끼이게 된다. 조인트(Jm)는 특히, 독점적으로는 아니지만, 보다 부드러운 재료로 만들어진 패널이나 기재에 이용하는데 적합하다.
도 23a와 도 23b는 조인트 시스템(19)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조인트 시스템(10m)은 도 1 내지 도 3b에서 보여주는 조인트 시스템(19)과는 달리 3개의 오목한 오목부, 즉 오목부(Rf)의 루트에 형성된 오목한 오목부(42b); 오목부(Rm)에 형성된 오목한 오목부(42c); 돌기부(Pf)에 형성된 오목한 오목부(42d)가 제공된다. 오목부(42d)가 위치된것으로 하여 조인트(Jm)와 (Jf)가 맞물렸을 때 오목부(42)와 (42b)는 서로 마주 향하여 원통형 또는 타원형 틈(230)을 형성한다. 유사하게, 오목한 오목부(42c)와 (42d)가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어 조인트(Jm)와 (Jf)가 맞물렸을 때 보다 더 원통형인 틈(232)을 형성한다. 틈(230)은 조인트 시스템(Jm)이 제공된 기재(12)를 설치하는 과정에 생기는 먼지나 다른 잔여조각물들을 수집하는 뚝이나 틈으로 이용된다.
이 용도외에, 오목부(42, 42b)에는 사전 부착된 재접착식 접착재가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른 쪽 오목부(42. 42b)에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접착식 접착제"라는 표현은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떼였다가 다시 붙일 수 있는 접착제라는 의미를 가지며, 굳고 딱딱한 덩어리로 고정되거나 굳어지지 않고 장시간(다년간) 동안 유연성질, 탄성과 점착성을 유지한다. 재접착식이라는 표현은 제2표면에 적용되었을 때 당길 힘이나 전단힘을 적용하여 뗄 수 있으며 접착띠로서의 접착세기의 본질적 감소가 없이 계속하여 다시 적용(예를 들어, 10번까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접착제는 뗄수 있으며 영구적으로 고정되지 않는다. 유연성과 탄성에 있어서 접착제는 고체화되거나, 굳어지거나 경화되지 않고 일정한 수준의 유연성과 탄성과 탄력을 유지할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일시적인것으로 또는 "booger" 풀로 알려져 있으며 압력에 민감한 속건성풀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구현될 수 있는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접착제에는 다음의 풀들이 속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구현될 수 있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접착제에는 다음의 풀들이 속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COTCH-WELD(상표명) Low Melt Gummy Glue; 그리고 Glue Dots International of Wisconsin의 GLUE DOTS(상표명).
재접착풀/접착제의 제조업자들은 접착제가 특별한 재료 예를 들어 나무와 같은 재료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밝힐수도 있다. 그러나 조인트 시스템을 목재나 또는 목재를 기초 재료로 한 패널에 구현할 경우 그러한 접착제의 사용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것은 목재 또는 목재를 기초 재료로 한 패널들이 주로 폴리머 밀봉제로 또는 다른 재료로 코팅되었거나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접착제가 폴리머 표면에 이용될 수 있으면 폴리머 코팅을 한 목재 또는 목재를 기본 재료로 한 패널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42, 42b)에는 재접착식 접착제가 제공되어 조인트(Jm)와 (Jf)가 맞물릴때 서로 맞물릴 수 있게 한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오목한 오목부(42c)와 (42d)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이하에서 서술되는 유형의 재접착식 접착제의 구슬알이 제공될 수 있다. 오목부(42c)와 (42d) 중 어느 한 오목부에만 접착제가 제공되는 경우 접착제는 나머지 다른 오목부(42c)와 (42d)에 연장될 수 있도록 구슬알모양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두 오목부에 같이 제공되는 경우, 접착 재료는 여전히 구슬알 모양을 가지게 되지만 보다 두께나 깊이가 보다 작아지게 된다.
접착제의 제공은 여러가지 효과를 가져온다. 우선 그것은 일반적인 환경에서 기재의 수직 또는 수평 분리의 가능성을 줄인다. 또한 접착제는 기본 면(14)으로부터 조인트를 통과하여 기본 면(16)으로 습기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밀봉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부터 기재(12)가 놓인 표면을 통과하여 습기가 표면으로 스며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재접착식 접착제의 제공은 상기 서술된 독특한 제거 시스템을 적용하여 손상된 기재(12)를 제거하고 교체할 수 있는 가능성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접착제는 재접착식으로 되어 있고 특히 고정되거나 경화되지 않는 것으로 하여, 제거 시스템은 제거되지 않는 인접한 패널(12)의 맞물리는 조인트들에 손상을 주지 않고 한개 또는 그이상의 패널(12)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시스템으로 남아 있게 된다.
조인트 시스템(10n)의 또 다른 기능의 하나는 각 잠금면(ML3)과 (FL3)에 잠금 평면(74)과 평행으로 놓이는 평면(210)과 (212)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조인트(Jm)와 (Jf)가 맞물릴 때 이 표면들도 함께 눌리우게 된다. 왁스가 이 표면들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 그 표면들은 마찰적 중간 잠금평면74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마찰적 중간 잠금평면은 상기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23c 내지 도 23i에서 보여주는 한 실시형태에서 접착제는 수 조인트(Jm)의 오목부들에만 모두 적용되고 암 조인트(Jf)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들에서는, 재접착식 접착제의 자연성질에 의해, 기재(12)가 인접한 맞물린 기재들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제거된 기재의 오목부(42)와 (42c)에 접착제가 남아있게 된다. 더욱이, 접착제의 성질로 하여 그것은 원래 제공되었던 오목부에도 남아 있게 된다. 이것은 조인트 시스템(10n)의 조인트(Jm)와 (Jf)가 점차적으로 분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 23c 내지 도 23i에서 보여주고 있다.
도 23c는 맞물리기 전 조인트(Jm, Jf)를 보여준다. 오목부(42)와 (42c)에는 각각 재접착식 접착제(300)의 구슬알 모양의 (B1)과 (B2)가 해제띠(R1)와 (R2)와 함께 제공되었다. 오목부(42b)와 (42d)에는 접착제가 없다.
도 23d에서는 해제띠(R1)와 (R2)를 떼고 완전히 맞물린 조인트(Jm)와 (Jf)를 보여주며 이때 구슬알(B1, B2)의 재접착식 접착제(300)는 오목부(42b)와 (42d)의 표면에 달라붙게 된다.
도 23e 내지 도 23i에서는 임의의 조인트 시스템을 구현한 실시형태의 전형적인 조인트(Jm)와 (Jf)의 분리과정을 보여준다. 먼저 조인트(Jm)를 조인트(Jf)와 상대적으로 음의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오목부(Rf)로부터 돌기부(Pm)를 해제하며, 그다음 암 조인트(Jf)에 하향 압력을 가한다. 재접착식 접착제는 분리 공정에서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며 그후 오목부(42b. 42d)로부터 떨어져 나와 오목부(42, 42c)에 남아있게 된다.
조인트(J)에 부착된 접착 구슬알(B)은 또한 구슬알(B)이 부착된 오목부에 놓이게 되는 잔여 조각물들을 흡착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목부(42)에 부착된 구슬알(B)은 부착되어 있는 오목부(42b) 안의 잔여 조각물들을 흡착할 수 있다. 잔여 조각물들은 우선 구슬알(B)의 바깥 표면에 부착되게 된다. 일상 사용에서 패널(12)이 움직이는 것으로하여 구슬알(B)도 다소 이동 및 회전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잔여 조각물들을 접착제 안으로 끌어들여 잔여 조각물이 접착제안에 포위되게 되며 따라서 오목부(42b)에 깨끗한 접착 표면이 부착되게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들에서는 접착 구슬알들이 한개 또는 그 이상 제공될 수 있으며 실시형태를 충분히 실행시키고 장점들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하면서도 수직 및 수평 잠금 강도를 더 높일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조인트(Jm)나 (Jf) 중 어느 한 조인트에 재접착식 접착제의 구슬알을 앉힐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오목부(42)를 제공하는 것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구슬알의 두께에 따라 그것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다른 조인트(Jm)와 (Jf)에 필요되거나 필요하지 않을수 도 있다. 재접착식 접착제의 제공은 조인트 시스템에 추가적인 잠금평 면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접착제는 전형적으로 두개의 상호 마주하는 오목부(42)의 어느 한 곳에만 부착되게 된다. 접착제가 부착된 오목부는 그것이 접착하는 다른 기재의 맞은편 오목부보다 강한 접착력을 가진다. 따라서 기재가 제거되면, 그 기재에 부착되었던 접착제는 그 기재에 남아 있게 된다.
상기 서술된 조인트 시스템(10)의 모든 실시형태들에서는, 돌기부(Pm)와 (Pf)가 서로 다른 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 즉 서로 자리를 바꿀 수 없게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오목부(Rm)와 (Rr)도 서로 다른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즉 서로 자리를 바꿀수 없다. 특히 각각의 맞물리는 돌기부와 오목부들은 서로 상보적인 구성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돌기부(Pm)와 (Pf); 오목부(Rm)와 (Rf); 그리고 조인트(Jm)와 (Jf)는 비대칭적이다. 결과적으로 돌기부(P)가 오목부(R)에 맞물릴 때 틈 또는 공간들이 안쪽과 바깥쪽 잠금 평면(18)과 (20)의 수와 암 잠금면(ML1, FL1) 그리고 (ML2, FL2) 사이에 생겨나게 된다. 이것은 조인트 시스템의 실시형태들에서 반대 방향으로 3°까지 롤 또는 회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하여 돌기부가 분리되지 않으면서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이것은 기복이 있는 마루 위에서도 조인트시스템을 쉽게 성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준다. 지금까지 성과적인 마루 설치를 위해 높은 수준의 바닥면을 요구하는 시스템을 이용해 온 당업자들은 이것이 특히 사용자가 자체로 설치하는 바닥 시스템을 위한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는 조인트 시스템의 특정한 구성의 결과로, 그리고 특히 이것이 진정한 수직 시스템인 것으로 하여 제조업자들은 절삭 공구 한 세트만 있으면 다양한 두께를 가진 패널을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제조한 또는 자연 목재 기재를 위해 한 세트의 절삭 공구만 있으면 20㎜부터 8㎜까지 범위 내에 있는 패널에 조인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때 요구되는 작업 공정은 길이를 절단하는 단순한 한개의 공정뿐이다. LTV와 같은 수지 패널에서도 이와 같이 절삭 공구 한 세트만 있으면 7㎜부터 3㎜까지의 범위의 패널에 조인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것은 도 17c 내지 도 17e를 참조로 하여 이미 설명되었다. 이것은 생산 원가의 저하를 가능하게 하여 매우 중요한 상업적 이익을 가져다 주며 이것은 소비자에게도 이익으로 된다.
조인트 시스템을 절삭하기 위한 절삭 공구의 가격 범위는 일반적으로US$30,000 내지 US$50,000 사이에 있다. 선행기술에서 이용된 절삭 공구는 주로 두가지의 다른 두께에 이용되었다. 예를 들어 한 세트는 7㎜ 내지 6㎜ 두께의 패널의 조인트들에 이용되었고; 두번째 세트는 5㎜ 내지 4㎜ 두께에 이용되었다. 절삭공구 한 세트를 교체하는데 드는 시간은 약 3시간 정도이며 절삭 기계에 새로운 공구 세트를 설치하는데는 몇시간이 더 추가된다. 뒤이어 시험 운행이 몇번 진행되고 나온 제품을 평가하여 공구의 장치들을 미세조정하고, 기계를 세팅한 후에 전체 규모의 제품 생산에 들어가게 된다. 절삭 두께만을 변경시켜야 한다면 새로운 절삭 공구를 구입하는데 비용이 들어가지 않게 되며 비가동 시간은 총 1시간으로 줄어들게 된다. 또 다른 이점의 하나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제조 업자들이 낮은 원가로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제품을 생산하여 큰 제조 업체들과 경쟁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경쟁을 증가시켜 소비자에게도 이익을 가져다준다.
도 24a 내지 도 26e를 참조로 반 부동/반 직접 부착 표면 커버링 시스템이 상기 서술된 조인트 시스템(10) 중 임의를 구현한 그리고 첫번째 기본면(16)에 부착된 재접착식 접착제(300)의 일정한 양을 구현한 다수의 기재(12)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재접착식 접착제(300)는 접착제(300)가 부착되는 밑바닥 표면에 적용되는 봉합제나 봉합막(보여주지 않음)과 함께 사용되게 된다. 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많은 봉합제들이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봉합제에는 예를 들어BONDCRETE(상표명)이나 CROMMELIN(상표명)과 같은 콘크리트 실러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되는 봉합제의 유형은 반 부동식 표면 커버링 시스템이 이용되게 될 표면의 유형과 관계된다. 목적은 청색 접착제(300)의 접착 강도에 영향을 줄수 있는 먼지가 생기는 것을 막자는데 있다.
일부 사람들은 지난 시기 기재를 바닥에 붙이기 위해 풀을 이용하였다. 특히 접착제는 목재 마루 보드를 밑바닥면에 붙이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발명자가 알기로는 이러한 모든 시스템들은 딱딱하고 굳은 부착된 층을 고정 및 경화시키기 위해 특수하게 제작된 풀을 이용한다. 나무 또는 목재 바닥 분야에서, 이것은 "직접 부착" 마루 깔기로 알려져 있다. 일부 사람들은 고정 및 경화되는데 한 시간 또는 두 시간 걸리는 접착제들을 설치자가 설치 공정에서 마루 패널을 이동시킬수 있게 하여 정확히 줄을 맞추도록 하는데 이용하자고 제기하기도 하였다. 또한 다른 사람들은 완전히 경화 또는 굳어지는데 28일까지 걸리는 접착제를 이용하자고 하기도 하였다.
일부 소비자들은 직접 부착 마루가 보다 견고하고 굳은 감을 주고 중요하게는 그 위로 걸어다닐 때 튀어오르는 현상이 없고 삐걱삐걱 하는 소리가 없는 것으로 하여 부동식 마루에 비해 직접 부착 마루를 선호한다. 그러나 직접 부착 마루의 단점은 설치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특별히 제작된 접착제가 일단 경화되면 손상된 한개의 또는 그 이상의 패널을 제거 및/또는 수리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집접 부착 패널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강압장치들을 사용하여 먼저 패널의 구역을 절단하고, 그 다음 남은 판자와 접착제들을 밑바닥면으로부터 긁어내야 하는 힘든 로동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많은 먼지와 소음을 초래하며 물론 소요되는 련관 시간으로 인하여 비용이 많이 든다.
조인트 시스템(10)을 구현한 상기 서술된 기재(12)에 재접착식 접착재를 이용하면 반 부동 표면 커버 시스템이 전통적인 부동 표면 커버링과 직접 부착 커버링의 이점을 동시에 가지도록 하며 직접 부착 표면 커버링의 본질적 결함을 없애도록 한다. 특히, 재접착식 접착제(300)의 사용은 전통적인 부동식 마루에서 찾아볼 수 있는 튀여 오르는 현상과 소음을 제거하면서도 고정되거나 경화되지 않는 접착제의 유연성과 탄성으로 인한 쿠션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접착제의 특성은 온도나 습도와 같은 환경조건의 변화로 인한 기재/패널(12)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직접 부착 마루에서는 불가능하다. 최근, 세계 시장에서는 전통적인 접착제로 인하여 생기는 완전히 굳고 강직된 부착으로 인하여 압축된 참대 기재의 직접 부착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압축된 참대들은 환경조건의 변화로 인하여 이동하거나 확장해야 할 경우, 직접 부착 접착제에 의해 그 움직임이 제한되게 된다. 결과 세계의 여러 마루 협회들에서는 압축된 참대들이 직접 부착되지 말고 급격한 계절 변화들에 대응할 수 있게 부동식 마루 시스템에서만 사용되도록 해야 한다고 제기하였다.
재접착식 접착제의 제공은 또한 그것이 적용되게 될 밑바닥의 기복과 다양성을 극복하도록 한다. 이것은 접착제(300)를 구슬 모양 또는 두께가 기본면(14), (16)과 수직으로 측정하였을 때 1 내지 6㎜이고 특히 2 내지 4㎜인 띠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통하여 지원되게 된다. 밑바닥의 다양성을 극복하는 것 외에도 상기 서술된 접착제는 음향학적 장점을 제공한다: (a) 전통적인 부동식 마루가 튀여오르거나 휘는 것으로 하여 생기는 소음과 삐걱거리는 소리를 제거; (b) 인접한 패널들 사이의 진동 전파의 흡수; 그리고 (c) 다층건물들에서 높은 층에서 인차 아래로 이어지는 진동(소음) 전파를 흡수. 이것을 다시 직접 부착 풀과 대비해 보면 직접 부착 풀은 그것의 굳은 부착으로의 경화로 인하여 그 어떤 식으로도 진동이나 소음 전파를 흡수할 수 없다.
여기서 상기 서술된 재접착식 접착제 사용의 이점들은 접착제가 적용되게 되는 모자이크식으로 이어질수 있는 기재를 포함하는 마루 커버 시스템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여기서 상기 서술된 수직 조인트 시스템을 반드시 요구하지는 않으며 다른 유형의 조인트 시스템들과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정황들에서, 재접착식 접착제에 대한 개념은 조인트가 없는 기재를 이용한 표면 커버 시스템에 대한 착상을 가져온다. 따라서 한 실시형태에서는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 반부동식 표면 커버 시스템을 제공한다: 각 기재가 첫번째와 두번째 반대켠 기본 면들을 갖는 다수의 기재들, 여기서 첫번째 기본 면은 커버되는 표면과 평행을 이루고 마주한 면으로 된다; 상기 서술한 첫번째 기본 면에 부착된 재접착식 접착제의 일정한 양과; 그리고 한개의 또는 그 이상의 접착제를 커버하고 있는 해제 띠가 제공되게 된다.
한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제(300)가 기재가 생산되는 시점에서 적용될 것을 제기하였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 상업제품은 예를 들어 접착 재료(300)이 한 줄 또는 그이상의 줄로 제공되고 해제 띠(302)를 붙힌 기재(12)가 들어간 복스를 포함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설치가들은 표면 커버를 간단하게 설치하기 위해, 만일 사전 준비를 해놓지 않았다면, 밀봉 코트 또는 막을 표면(304)에 적용하면 된다. 기재가 조인트 시스템(10)과 같은 상기 서술된 조인트 체계를 포함하는 경우 설치자는 설치 공정에서 인접한 패널의 조인트들을 맞물리게 된다.
한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제(302)가 기본면(16)에 속건성 접착제의 띠 또는 구슬알을 롤 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4a 내지 도 24c에서는 띠 형식으로 적용된 접착제(300)를 보여주고 있으며, 한편 도 25a와 도 25b에서는 구슬알(B) 모양으로 적용된 접착제(300)를 보여주고 있다. 재접착식 접착제가 예를 들어 GLUE DOTS(상표명)로 적용된다면 점(dot)들은 기계(16)로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재접착식 접착제(300)는 3개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패널(12)의 세로 방향(L)으로 연장되는 선들에 적용되게 된다. 그러나 이하에서 더 세부적으로 설명되겠지만 접착제(300)는 다른 구성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재접착식 접착제 300은 한개 또는 그 이상의 띠(302)로 커버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따로 따로의 해제 띠(302)가 접착제(300)의 개별적인 선들에 개별적으로 적용되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기본면(16)과 거의 같은 치수를 가진 한개의 해제 띠가 재접착식 접착제(300)에 적용된다. 이 경우, 기재(12)를 이용하는 경우, 설치자는 여러개의 해제 띠들을 따로 따로 뗄 필요가 없이 해제 띠(302)를 한번만 벗기면 된다.
도 24c와 도 25b에서는 접착제에 기초한 표면 커버 시스템을 밑바닥(304), 예를 들어, 콘크리트 바닥에 이용하는 것을 보여준다. 패널(12)을 적용하기 위해 해제띠(302)를 벗기고 패널(12)은 표면(16)에 표면(304)을 향하여 또는 마주하여 적용된다. 접착제(300)를 표면(304)에 접촉시키고 하향 압력을 가하면, 패널(12)이 표면(304)에 접착되게 된다. 추가적인 패널(12)도 같은 형식으로 표면(304)에 적용되게 되며 표면 커버를 형성하기 위해 모자이크식으로 맞물려진다. 접착제(300)는 표면(204)에 부착될 수 있는 정도로 충분하게 끈적끈적하고 점착성이 세며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 패널과 표면(304) 사이의 들리기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충분한 힘을 가지고 있다. 접착제를 구슬알(B)의 형태로(도 25a와 도 25b) 제공하면 환경 조건(온도나 습도)의 변화로 인해 주로 발생하는 보다 큰 수평 이동을 제공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것은 구슬알(B)의 둥근 형태로 인한 것이며 이 형태는 접착 띠에 비해 보다 쉬운 롤링과 쉬어 롤링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손상된 패널(상기 서술된 조인트 시스템의 유형 즉 수직 조인트 시스템을 이용한 또는 이용하지 않은)의 제거는 도 6a 내지 도 6s에 관하여 상기 서술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 손상된 패널은 한개 또는 그 이상의 잭(92)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제거하게 된다. 도 26a 내지 도 26e는 부분적으로 맞물린 패널(12a)과 (12c)을 포함한 반 부동식 표면 커버 시스템의 손상된 패널(12b)의 제거를 나타낸다. 반 부동식 마루 시스템에서 각 패널은 상기 서술된 조인트 시스템의 임의의 실시형태에 따르는 조인트 시스템(10)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접착 재료(300)의 구슬알(B)은 패널(12)을 밑바닥면(90)에 부착시킨다. 이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조인트 시스템(10)의 조인트(Jm)와 (Jf) 사이에는 접착제 구슬알이 없다. 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접착 재료가 제공될 수 있다. 패널(12b)의 제거를 위한 공정의 견지에서 조인트(Jm)와 (Jf) 사이에 추가적인 접착제의 제공은 아무런 의의가 없다. 그것은 제거 공정은 조인트(Jm)와 (Jf) 사이에 접착제가 있는가 없는가에 관계없이 여전히 똑같은 공정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도 26b 내지 도 26e에서는 잭(92)을 손상된 보드 12b에 부착하는 순차적인 공정을 보여주며 잭을 작동하여 패널(12b)을 표면(90)에서 들어올리는 것을 보여 준다. 단계의 순차성과 그것들의 작용방법은 상기 도 6d 내지 도 6h를 통하여 서술한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이 경우 접착제(300)의 구슬알(B)의 제공으로 인하여 패널(12b)을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잭(92)의 작업 동작은 먼저 구슬알(B)을 유연하게 하여 늘쿠어 놓고, 뒤이어 구슬알(B)이 분리되어 밑바닥면(90)으로부터 들리워 올라가도록 하게 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되게 되는데 잭은 패널(12b)을 잭(92)의 인접 구역으로부터 낮은 바닥층의 바깥으로 들어올린다. 따라서 첫번째로 표면(90)으로부터 분리되게 되는 구슬알(B)은 잭(92)의 축(96)과 가장 가까운곳 또는 그 양쪽 면에 있던 구슬알로 될 것이다. 잭(92)이 점차적으로 패널(12b)을 들어올리면 가장 최근에 떨어진 구슬알 바로 옆의 접착제(300)의 구슬알(B)이 이제 표면(90)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또 다음 순서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구슬알(B)은 표면(90)에서 떨어지게 되며, 따라서 기재(12)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일부 경우, 접착제(300)의 매우 작은 부분이 표면(90)에 남아 있게 된다. 잭(92)이 패널(12b)을 들어 올리기 위해 동작되어 모든 접착제 구슬알(B)이 떨어지면, 도 6g 내지 도 6i를 참조로 서술한 것과 같은 남은 일반 제거 공정; 그리고 도 6j 내지 도 6o를 참조로 서술한 것과 같은 전체 교제 공정이 진행되어 새로운 손상되지 않은 패널을 다시 삽입해 넣게 된다.
일부 접착제(300)의 구슬알(B)은 인접한 패널(12a)과 (12c)에서 분리되게 된다. 보강 공정에서, 패널(12a)과 (12c)에 남은 이 구슬알들은 다시 밑바닥 면(90)에 붙게 된다. 물론 새 패널이 패널(12a)과 (12c)에 맞물려지면, 바로 그 새 패널에 있는 접착제(300) 역시 이제 표면(90)에 붙게 될 것이다.
당업자들은 이것이 손상된 마루를 적절히 수리할 수 있게 한다는 측면에서 직접 부착 마루 시스템에 비해 매우 큰 이점을 가진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손상된 마루수리에서 허용된 공업 기준은 손상된 패널이 또는 패널들의 가장 가까운 벽으로부터의 모든 패널을 다 벗기는 것이다. 직접 부착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이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로 되며 따라서 수리공들은 일반적으로 지름길을 택하여 단순하게 손상된 패널만을 제거하고 교체하려고 한다. 이렇게 되면 패널들 사이의 기계적 조인트를 다시 맞물릴 수 없게 된다. 만일 환경적 팽창이나 수축으로 인해 패널들 사이에서 치수가 변형되거나, 또는 단순히 동일한 새 패널을 구입할 수 없는 경우, 설치에서는 일반적으로 원래 있던 패널들과 새로 끼운 패널 사이의 틈을 메우기 위해 메움제의 사용을 요구하게 된다.
조인트 시스템(10)의 실시형태를 구현한 기재의 또 다른 기능은 반대로 끼워넣을수 있는 능력이다. 실례로 첫번째 패널을 방안의 평행벽들 사이의 중가운데 지점에 놓는다. 거꾸로 끼워넣을수 있는 기능으로 하여 두명의 설치자(또는 두 팀의 설치자들)들은 첫번째 패널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패널들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자연히 설치시간이 줄어들게 한다.
이것은 직접 부착 패널에 이용되며 방의 반대벽들 사이의 탈선을 보상하도록 하여 훌륭한 시각적 효과를 얻도록 한다. 직접 부착에서 거꾸로 깔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은 바닥층이 첫번째 패널을 방안 중심 또는 그 가까이에 풀로 고정시켜 벽에서의 경사를 줄여주기 때문이다. 추가 패널들은 첫번째 패널의 반대켠에서 부착되게 된다. 이것은 부동식 마루에서는 불가능하다. 그것은 첫번째 패널이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여 부동하며, 따라서 반대방향으로 마루를 깔기 위한 기초로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반대로 마루를 깐다는 것의 다른 의미는 서로 수직으로 연장되는(또는 평행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패널(12)을 맞물리는 능력을 말한다. 이것은 모자이크식으로 깔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말한다.
선행 기술에서는 직접 부착으로도 마루를 거꾸로 깔기가 힘들다. 그것은 관습적으로 암 조인트로부터 시작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선행기술에서 수 조인트를 암 조인트보다 관습적으로 50+% 더 짧게 하여 수 조인트가 암 조인트에 맞물리여 잠금 수평면을 이루는데 필요한 또는 불필요한 보다 적은 최대각도를 제공하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현 조인트 시스템(10)은 수직식이므로 내려놓는 공정이 없다. 조인트 시스템(10)의 수직성은 패널들을 양쪽에서 다 쉽게 맞물리도록 하며, 한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해 노출된 암 조인트 위에 수 조인트를 맞물리거나, 반대로 설치하기 위해 이미 설치된 패널의 수 조인트 아래에 암 조인트가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하게도 한다.
도 27a와 도 27b는 상기 반대로 설치하기의 측면 또는 의미를 그림으로 보여준다. 도 27a는 다수의 패널(12)이 놓이게 될 건물의 바닥 설계도(400)를 보여준다. 도 27b는 건물의 복도부분을 포함하는 도 27a의 세부 A의 확대도이다. 건물에서 전통적인 부동 마루를 설치한다고 하자. 층은 방(403) 안에서 벽(402)을 시작 벽으로 하여 거기에 첫번째 패널(12a)을 설치한다. 잘 알려진 것처럼 건물의 벽들은 서로 절대로 완전 평행이나 사각을 이룰 수 없으며, 선 상에서 100㎜까지 또는 그 이상 어긋나게 된다. 현 바닥 설계도에서, 벽(404)은 정확히 평행이라고는 말할 수 없지만 벽(402)과 대체적으로 평행을 이루며 약 100㎜ 정도의 길이로 벽(402)과 (404)의 서로의 반대쪽 끝에서 차이나게 된다. 따라서 층에는 패널(12b, 12c)을 비롯한 추가적인 패널을 패널(12p) 위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여 패널(12p)의 모서리가 벽(404)과 인접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 벽(404)과 (402) 사이의 줄이 맞지 않는 현상 또는 탈선이 현저하게 보이게 된다. 패널(12p)의 모서리와 벽(404) 사이에는 탈선 현상이 생긴 것으로 하여 비스듬하게 절단한 패널(12q)을 제공하여 끝에서 끝에 설치하여 패널(12p)과 벽(404) 사이에 생긴 틈을 보상할 것을 필요로 하게 된다. (참고할 것은 한개의 패널로 방(403)의 전체 길이에 연장하기 충분한 길이를 가진 패널은 거의 없다. 따라서 참조 패널(12a), (12b) 등등 은 오직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방(403)에서 보여주는 패널(12a), (12b)은 서로 끝을 연결한 다수의 패널을 포함하게 된다.)
벽(402)과 (404) 사이의 본질적인 탈선 현상은 비스듬하게 절단된 패널(12q)에 의해 표시되었다. 도 27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면에는 방(410)과 복도(412)로 들어가거나 나갈 수 있는 벽(404)의 문 입구(406)와 (408)가 있다. 방(410)과 (412)에 놓인 패널들은 방(403)의 패널(12)과 같은 방향과 정렬을 갖고 있다. 이것은 이제 집의 벽들과 패널들 사이의 탈선 각도로 이어진다.
방(414, 416), 그리고 복도(418)에서와 같은 구역들에서 패널(12)은 일반적으로 다른 방에 설치된 패널들과 수직을 이룬다. 이것은 두번째 형태의 또는 유형의 반대 설치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도 24a 내지 도 25b를 참조로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반 부동식, 반 직접 부착식 마루 시스템을 이용하여, 층은 이제 방(401)의 중심선(420)을 첫번째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시작점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반대 방향으로 반대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벽(402)과 (404)에 바로 인접한 패널들(12)의 경사를 보상하여 시각적인 견지에서 본 벽(402)과 (404)의 탈선 현상은 최소화되게 된다. 이것은 부동마루의 전통적인 설치 작업에 의해 제공된 패널(12i)과 (12j)을 비스듬하게 지나가는 중심선(420)에 의해 알 수 있다.
이렇게 수직 조인트 시스템의 실시형태들과 표면 커버 시스템은 상세히 설명되었으며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과 변형이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들은 목재 마루 패널과 관련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시스템은 많은 서로 다른 재료들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마루외의 다른 표면이나 구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인트 시스템을 구현한 패널은 수지재료로 만들어져 LVT(고급비닐타일) 시장에 이용되거나 기초 기재가 수지로 만들어지고 카펫이나 세라믹 타일과 같은 다른 겉면을 가진 패널들에 이용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결과 패널은 라미네이트 형 구조를 갖고 있으며 그 기초에는 조인트 시스템의 실시형태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패널 겉면은 소비자가 바라는 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명백하게 서로 다른 실시형태들의 많은 특징들은 상호 교환될 수 있거나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부(42)는 조인트 시스템의 각 실시형태들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의 실시형태들: 도 22a에서 보여주는 오목부(42b) 유형의 마주하는 오목부; 또는 추가적인 오목부(42b), (42c), 그리고 (42d)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재접착식 접착제(300)는 그와 같은 오목부들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잭(92)은 나사형 잭으로 서술되었다. 그러나 다른 유형의 잭 또는 들어올리는 시스템도 레버 잭 또는 공기식 또는 수압식으로 동작하는 시스템들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시스템(10)은 대부분 가늘고 긴 사각형 패널에 적용하는 것으로 서술되었다. 그러나 시스템은 모자이크식 포장을 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패널들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인트 시스템은 사각형, 육각형, 또는 삼각형 패널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패널들을 동일한 모양 및/또는 크기로 만들 필요는 없다.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들에게 명백한 이상의 모든 수정과 변형들은 다른 모든 내용들과 함께 본 발명의 범위로 간주되게 되며, 상기의 설명과 청구사항들에서 정의되게 된다.

Claims (84)

  1. 대향하는 첫 번째 기본 면(major surface)과 두 번째 기본 면을 갖는 기재(substrate)용 수직 조인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조인트 시스템은, 상기 기재의 첫 번째 기본 면 및 두 번째 기본 면을 따라 연장되는 첫 번째 비대칭 조인트와 두 번째 비대칭 조인트를 포함하되,
    상기 첫 번째 조인트와 두 번째 조인트는,
    기본 면들에 수직인 맞물림 방향으로 적용되는 힘에 응답하여 같은 조인트 시스템을 가진 2개 이상의 기재들이 서로 맞물리게 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첫 번째 기재의 양측에 맞물린 서로 마주보는 인접한 맞물린 기재들이 첫 번째 기재로부터 기울어진 면들에 놓이도록 상기 인접한 맞물린 기재들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첫 번째 기재를 맞물림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것, 그리고 이어서 맞물린 기재들의 두 번째 조인트들에 맞물림 방향으로 힘을 적용하는 것에 의하여, 맞물린 기재들이 분리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첫 번째 조인트와 두 번째 조인트에는, 각각 하나의 기재의 첫 번째 조인트가 두 번째 기재의 두 번째 조인트에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측면으로 이격된 두 개의 횡방향 연장 면(transversely extending surface)들이 제공되며, 상기 첫 번째 조인트의 두 개의 횡방향 연장 면들이 상기 두 번째 조인트의 두 개의 횡방향 연장 면들과 상관적으로 배치되어 각 조인트의 가장 안쪽과 가장 바깥쪽에 첫 번째 잠금면(locking plane)과 두 번째의 잠금면을 각각 형성하며, 각각의 잠금 면은 상기 맞물림 방향과 평행을 이루고 있고, 각 잠금면과 연관된 횡방향 연장 면들은 잠금면의 대향하는 측면들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측면으로 연장되며, 맞물린 조인트들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두 번째 조인트의 횡방향 연장 면들은 첫 번째 조인트의 횡방향 연장 면들 위에 드리우게 되며(overhanging), 각 잠금면과 연관된 횡방향 연장 면들의 적어도 하나는 곡선 프로파일을 갖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연장 면들은 두 기재의 맞물림을 유지하면서 맞물린 두 기재의 상대적 회전을 3°까지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연장 면들은 두 기재의 맞물림을 유지하면서 맞물린 기재들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서 상기 기재들이 놓인 면을 향하는 방향에서 7°내지 10°사이의 각도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조인트와 두 번째 조인트의 비대칭 구조로 인하여 각 잠금면의 최소 한쪽에 틈(void)이 형성되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면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연장 면은 연속적인 볼록 곡선의 프로파일을 갖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연장 면들 중 하나는 연속적인 볼록 곡선의 프로파일을 갖고 다른 하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직선들을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갖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연장 면들의 각각은 연속적인 볼록 곡선의 프로파일을 갖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연장 면들 중 두 개 이상은 서로 다른 연속적인 볼록 곡선의 프로파일들을 갖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인트는 상기 맞물림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와 상기 기재의 각 측면을 따라 형성된 인접한 오목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횡방향 연장 면들은 각 돌기부의 가장 바깥면 및 각 오목부의 가장 안쪽면에 형성되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조인트의 돌기부는 감소된 폭의 목(neck)을 가진 구근모양(bulbous)의 프로파일을 갖고 있으며, 상기 첫 번째 조인트의 돌기부 상의 횡방향 연장 면의 일부는 상기 목의 가장 바깥쪽면과 인접하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조인트와 두 번째 조인트 각각은 그 조인트의 두 개의 횡방향 연장 면들 사이에 위치한 세 번째 횡방향 연장 면과 함께 형성되고, 세 번째 횡방향 연장 면들은 첫 번째 잠금면과 두 번째 잠금면의 중간에 위치된 세 번째 잠금 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세 번째 잠금 면과 연관된 상기 세 번째 횡방향 연장 면들은 상기 세 번째 잠금 면의 대향하는 편들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측면으로 연장되되, 상기 두 번째 조인트의 세 번째 횡방향 연장 면은 상기 첫 번째 조인트의 세 번째 횡방향 연장 면과 일직선 상에 또는 그 위에 드리워지게 되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조인트와 두 번째 조인트는 맞물린 조인트들의 분리를 방지하는 세 번째 잠금면을 중심으로(about) 맞물림 방향과 병행한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상대적으로 구성되고, 세 번째 잠금면은 첫 번째 및 두 번째 잠금면들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첫 번째 및 두 번째 잠금면들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조인트 시스템.
  14. 다수의 기재를 포함하는 표면 커버 시스템으로서,
    각 기재에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직 조인트 시스템이 제공되는,
    표면 커버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굳은 목재, 강화목재, 합판 제품, 참대, 수지 및 비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진,
    표면 커버 시스템.
  16. 다수의 기재들을 포함하는 표면 커버 시스템으로서,
    각 기재는, 대향하는 첫 번째 기본면 및 두 번째 기본면과, 수직 조인트 시스템을 갖고,
    첫 번째 기본면은 상기 시스템에 의해 커버되는 밑에 놓인 지지층과 마주 보도록 배열되고,
    상기 수직 조인트 시스템은, 기재의 첫 번째 기본면 및 두 번째 기본면을 따라 연장하는 첫 번째 비대칭 조인트 및 두 번째 비대칭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첫 번째 조인트와 두 번째 조인트는,
    기본 면들에 수직인 맞물림 방향으로 적용되는 힘에 응답하여 2개 이상의 기재들이 서로 맞물릴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a) 첫 번째 기재의 양측에 맞물린 서로 마주보는 인접한 맞물린 기재들이 첫 번째 기재로부터 기울어진 면들에 놓이도록 상기 인접한 맞물린 기재들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첫 번째 기재를 맞물림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것, 그리고 (b) 이어서 맞물린 기재들의 두 번째 조인트들에 맞물림 방향으로 힘을 적용하는 것에 의하여, 맞물린 기재들이 분리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면 커버 시스템은, 첫 번째 기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잭은 밑에 놓인 지지층에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첫 번째 기재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축을 포함하며, 상기 잭은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축을 연장하도록 작동가능하고 그로써 밑에 놓인 지지층으로부터 상기 첫 번째 기재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면 커버 시스템.
  17. 삭제
  18. 삭제
  19. 바닥 기재들의 각각에 제공된 조인트 시스템들에 의해 함께 접합된 다수의 바닥 기재들로 형성된 바닥 씌우개(floor covering)로부터 바닥 기재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첫 번째 바닥 기재는 상기 바닥 씌우개 내의 다른 바닥 기재들과 모든 측면 상에서 접합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첫 번째 기재를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단계로서, 각각 첫 번째 기재의 양측에 맞물린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다른 기재들의 회전과 상기 두 개의 다른 기재들의 부분적 분리를 야기(effect)하도록, 첫 번째 바닥 기재가 처음에 바닥 씌우개에 평행하게 놓여 있고 수직으로 들어 올리는 중에도 바닥 씌우개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남아 있는(remain) 방식으로,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힘(lifting force)을 첫 번째 바닥 기재에 직접적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첫 번째 바닥 기재를 바닥 씌우개로부터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단계와,
    두 개의 다른 기재들 중 첫 번째 다른 기재에 하향력(downward force)을 인가하여 상기 첫 번째 다른 기재를 상기 첫 번째 기재로부터 완전히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닥 기재를 제거하는 방법.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KR1020137027591A 2011-03-18 2012-03-16 수직 조인트 시스템과 그와 관련된 표면 커버 시스템 KR101998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1900987 2011-03-18
AU2011900987A AU2011900987A0 (en) 2011-03-18 Structural Locking System
AU2011902017 2011-05-24
AU2011902017A AU2011902017A0 (en) 2011-05-24 Structural Locking System
AU2011902871A AU2011902871A0 (en) 2011-07-19 Structural Locking System
AU2011902871 2011-07-19
AU2011904668A AU2011904668A0 (en) 2011-11-09 Structural Locking System
AU2011904668 2011-11-09
PCT/AU2012/000280 WO2012126046A1 (en) 2011-03-18 2012-03-16 Vertical joint system and associated surface cover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596A KR20140050596A (ko) 2014-04-29
KR101998335B1 true KR101998335B1 (ko) 2019-07-09

Family

ID=4687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591A KR101998335B1 (ko) 2011-03-18 2012-03-16 수직 조인트 시스템과 그와 관련된 표면 커버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3) EP3597836B1 (ko)
JP (1) JP6254519B2 (ko)
KR (1) KR101998335B1 (ko)
CN (1) CN103547749B (ko)
BR (1) BR112013023790B1 (ko)
CA (1) CA2866109C (ko)
CL (1) CL2013002698A1 (ko)
MY (1) MY167150A (ko)
PL (2) PL2686502T3 (ko)
RU (1) RU2604358C2 (ko)
SG (1) SG193535A1 (ko)
WO (1) WO20121260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5499B2 (en) 2009-09-04 2013-02-05 Valinge Innovation Ab Resilient floor
US11725395B2 (en) 2009-09-04 2023-08-15 Välinge Innovation AB Resilient floor
WO2014033628A1 (en) 2012-08-27 2014-03-06 Pergo (Europe) Ab Panel
EP3450650B1 (en) 2012-09-19 2024-03-06 Välinge Innovation AB Floor covering panel
MX363175B (es) 2013-03-25 2019-03-12 Vaelinge Innovation Ab Tarimas provistas con un sistema de cierre mecánico y un método para producir tal un sistema de cierre.
CN105283614A (zh) 2013-04-24 2016-01-27 胡默帕尔克特系统有限公司 尤其用于地板的铺设板
US10422131B2 (en) * 2013-11-01 2019-09-24 Groupe Isolofoam Inc. Rigid insulating panel and rigid insulation panel assembly
WO2015070890A1 (en) 2013-11-12 2015-05-21 Grigorij Wagner Flooring component
CN103711284B (zh) * 2014-01-20 2015-09-09 刘夷 悬浮地板及其连体集成、铺装和拆除方法
DE102014106492A1 (de) 2014-05-08 2015-11-12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Paneel
CN203821776U (zh) * 2014-05-09 2014-09-10 山东欧宝板业有限公司 糯米胶双球锁扣地板
WO2016010414A1 (en) * 2014-07-17 2016-01-21 Fok Seng Chong Floor panel
FR3024990B1 (fr) 2014-08-25 2018-11-16 Gerflor Panneau de sol pour la realisation d'un revetement.
HUE061045T2 (hu) 2014-08-29 2023-05-28 Vaelinge Innovation Ab Függõleges illesztékrendszer felületburkoló panelhez
DK3031998T3 (en) 2014-12-08 2018-01-08 Innovations4Flooring Holding N V Panel with a hook-like locking system
US9803374B2 (en) * 2014-12-22 2017-10-31 Ceraloc Innovation Ab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BE1022985B1 (nl) * 2015-01-16 2016-10-27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Vloerpaneel voor het vormen van een vloerbekleding
NL1041176B1 (en) * 2015-02-06 2016-10-12 Petrus Hendricus Akerboom Reindert Tiling system.
CA164757S (en) 2015-10-07 2016-06-21 Groupe Isolofoam Inc Insulation panel
EA035583B1 (ru) 2015-12-17 2020-07-10 Велинге Инновейшн Аб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ханической замковой системы для панелей
US10648182B2 (en) * 2015-12-31 2020-05-12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BE1023779B1 (nl) 2015-12-31 2017-07-24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Vloerpaneel voor het vormen van een vloerbekleding
JP7051828B2 (ja) * 2016-09-30 2022-04-11 ベーリンゲ、イノベイション、アクチボラグ 鉛直方向の変位により組み付けられ鉛直方向及び水平方向に一体に係止されるパネルのセット
CN106930441B (zh) * 2017-04-07 2023-03-14 芜湖科逸住宅设备有限公司 用于整体浴室的快速易拼装式壁板及其连接方法
NL2018781B1 (en) * 2017-04-26 2018-11-05 Innovations4Flooring Holding N V Panel and covering
UA125235C2 (uk) * 2017-07-18 2022-02-02 Зайло Текнолоджіз Аґ Панелі зі знімною випнутою крайкою для настінних, стельових або підлогових покриттів
DE102017116603A1 (de) * 2017-07-24 2019-01-24 Arsratio Gmbh Bauelement zur Bildung eines Bodenbelags
NL2019609B1 (en) 2017-09-22 2019-03-28 Innovations4Flooring Holding N V Panel and covering
KR102556891B1 (ko) * 2018-01-09 2023-07-17 뵈린게 이노베이션 에이비이 패널들의 세트
NL2020256B1 (en) * 2018-01-09 2019-07-15 Innovations4Flooring Holding N V Panel
EP3737803A4 (en) * 2018-01-10 2021-10-20 Välinge Innovation AB SUB-FLOOR CONNECTION
SE542114C2 (en) * 2018-01-27 2020-02-25 Ipendor Ab Joining system for floor panels
WO2019154500A1 (de) * 2018-02-08 2019-08-15 Otto Fuchs - Kommanditgesellschaft - Profilverbund mit speziellen verbindungselementen
EP3581732B1 (de) * 2018-06-15 2022-12-07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Paneel mit dichtungsrille und dichtungsleiste
NL2021886B1 (en) * 2018-10-26 2020-05-13 I4F Licensing Nv Panel, in particular a floor panel or wall panel, and panel covering
WO2020159355A1 (en) * 2019-01-30 2020-08-06 Floor Locking Technology B.V. Panel and covering comprising the same
BR112021015045A2 (pt) * 2019-01-30 2021-11-30 I4F Licensing Nv Um painel para a construção de um revestimento de piso
CN114207230B (zh) * 2019-01-30 2023-10-13 I4F许可有限责任公司 镶板和包括所述镶板的地板覆盖物
WO2021045612A1 (en) * 2019-09-06 2021-03-11 Riflock B.V. Floor panel and floor
TWI738231B (zh) * 2020-02-27 2021-09-01 謝啟煌 音響空間聲學原木結構
EP3892793B1 (de) * 2020-04-08 2023-10-25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Paneel mit bruchfesten koppelelementen
CA3181383A1 (en) 2020-05-05 2021-11-11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Insulation boards with interlocking shiplap edges
NL2026189B1 (en) * 2020-07-31 2022-04-04 I4F Licensing Nv Panel suitable as a floor, ceiling or wall covering, and covering for a floor, ceiling or wall, which is constituted by a multitude of such panel
BR112023000155A2 (pt) * 2020-07-31 2023-02-07 I4F Licensing Nv Painel adequado como painel de piso, teto ou parede e cobertura para piso, teto ou parede
MX2023001166A (es) * 2020-07-31 2023-02-22 I4F Licensing Nv Panel y revestimiento.
NL2026188B1 (en) * 2020-07-31 2022-04-04 I4F Licensing Nv Panel, covering, and method of uncoupling two interconnected panel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2453A (ja) * 2002-07-23 2004-02-19 Sekisui Chem Co Ltd フローリング床の敷設構造、施工方法並びに改修方法及びフローリング材
JP2009533571A (ja) * 2006-04-14 2009-09-17 深▲川▼市燕加隆実業発展有限公司 フロアパネルとフロー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フローリングシステムの敷設方法
US20100031594A1 (en) * 2008-08-08 2010-02-11 Liu David C Flooring Boards With Press Down Lock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002342L (sv) * 2000-06-22 2001-07-16 Tarkett Sommer Ab Golvbräda med kopplingsorgan
SE9301595L (sv) * 1993-05-10 1994-10-17 Tony Pervan Fog för tunna flytande hårda golv
SE512313E (sv) * 1998-06-03 2004-03-16 Valinge Aluminium Ab Låssystem samt golvskiva
SE522860C2 (sv) * 2000-03-10 2004-03-09 Pergo Europ Ab Vertikalt förenade golvelement innefattande en kombination av olika golvelement
BE1013569A3 (nl) * 2000-06-20 2002-04-02 Unilin Beheer Bv Vloerbekleding.
DE10120062B4 (de) * 2001-04-24 2008-03-20 Kronotec Ag Fussbodenpaneel
DE10138285A1 (de) * 2001-08-10 2003-03-06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Paneel sowie Befestigungssystem für Paneele
JP2003293556A (ja) * 2002-03-29 2003-10-15 Sekisui Chem Co Ltd 木質系内装仕上げ材の施工方法、木質系内装仕上げ材及び両面テープ
EP1350904B2 (de) * 2002-04-05 2012-10-24 tilo GmbH Fussbodendielen
GB0303136D0 (en) * 2003-02-12 2003-03-19 Temp A Stor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looring systems
DE10305695B4 (de) * 2003-02-12 2008-01-17 Stefan Coors Verkleidungsplatte, insbesondere Fussbodenplatte
US20060191222A1 (en) * 2005-02-28 2006-08-31 Vincente Sabater Flooring system having large floor pattern
DE202005004537U1 (de) * 2005-03-17 2005-06-16 Schulte, Johannes Paneele für Fußboden-, Wand- oder Deckenbeläge
US20060260252A1 (en) * 2005-05-23 2006-11-23 Quality Craft Ltd. Connection for laminate flooring
DE102005028072B4 (de) * 2005-06-16 2010-12-30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Fußbodenpaneel
DE202008010555U1 (de) * 2008-08-08 2009-12-17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Kunststoffpaneel mit Hakenprofil
CN201261936Y (zh) * 2008-09-11 2009-06-24 乐山吉象地板制品有限公司 太极锁扣地板
NL2003019C2 (nl) * 2009-06-12 2010-12-15 4Sight Innovation Bv Vloerpaneel en vloerbedekking bestaande uit meerdere van dergelijke vloerpanelen.
US20110030300A1 (en) * 2009-08-10 2011-02-10 Liu David C Floor And Tile With Padd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2453A (ja) * 2002-07-23 2004-02-19 Sekisui Chem Co Ltd フローリング床の敷設構造、施工方法並びに改修方法及びフローリング材
JP2009533571A (ja) * 2006-04-14 2009-09-17 深▲川▼市燕加隆実業発展有限公司 フロアパネルとフロー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フローリングシステムの敷設方法
US20100031594A1 (en) * 2008-08-08 2010-02-11 Liu David C Flooring Boards With Press Down Lock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93535A1 (en) 2013-10-30
JP6254519B2 (ja) 2017-12-27
EP3597836A1 (en) 2020-01-22
EP3597836B1 (en) 2022-01-12
EP2686502A1 (en) 2014-01-22
EP2686502A4 (en) 2014-09-17
JP2014513757A (ja) 2014-06-05
BR112013023790A2 (pt) 2016-12-06
WO2012126046A1 (en) 2012-09-27
BR112013023790B1 (pt) 2021-06-29
KR20140050596A (ko) 2014-04-29
EP2686502B1 (en) 2019-09-11
PL3597836T3 (pl) 2022-05-02
CA2866109C (en) 2017-07-25
MY167150A (en) 2018-08-13
CN103547749B (zh) 2016-09-28
CA2866109A1 (en) 2012-09-27
CN103547749A (zh) 2014-01-29
CL2013002698A1 (es) 2014-11-14
PL2686502T3 (pl) 2020-03-31
RU2604358C2 (ru) 2016-12-10
RU2013146212A (ru) 2015-04-27
EP4050180A1 (en)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335B1 (ko) 수직 조인트 시스템과 그와 관련된 표면 커버 시스템
US20230313541A1 (en) Vertical joint system and associated surface covering system
US9885187B2 (en) Panel for covering a surface or support and an associated joint system
WO2012159162A1 (en) Clip for coupling two substrates together
JP7394553B2 (ja) 床材
AU2017200662B2 (en) Vertical Joint System and Associated Surface Cove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