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203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203B1
KR101998203B1 KR1020197008337A KR20197008337A KR101998203B1 KR 101998203 B1 KR101998203 B1 KR 101998203B1 KR 1020197008337 A KR1020197008337 A KR 1020197008337A KR 20197008337 A KR20197008337 A KR 20197008337A KR 101998203 B1 KR101998203 B1 KR 101998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egion
absorbent
absorbent artic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928A (ko
Inventor
요스케 소가베
아키라 하시노
마사시 기타가와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35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erformance of the layer, e.g. acquisition rate, distribution time, transfer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55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for improving fl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61F2013/5378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ho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멍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구멍부로부터의 흡수성 폴리머의 흘러나옴을 억제하면서, 흡수 용량 및 높은 흡수 속도를 양립시킨다. 흡수성 물품은, 구멍부 존재 영역(29)과, 한 쌍의 압착홈(37, 37')과, 고(高)평량 영역(9, 9')을 구비한다. 구멍부 존재 영역에는 복수의 구멍부(10)가 존재한다. 한 쌍의 압착홈은, 구멍부 존재 영역의 양 외측에 위치하고, 흡수체(12)의 피부측의 코어 랩(12a) 및 흡수성 코어(12b), 또는, 표면 시트(8), 당해 코어 랩 및 흡수성 코어를 압착하고 있다. 고평량 영역은 한 쌍의 압착홈에 있어서의 구멍부 존재 영역과는 반대측의 양 외측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흡수체의 흡수성 폴리머(90)의 평량이, 구멍부 존재 영역보다도 높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용 패드와 같은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로부터 배설된 생리혈 등의 배설물을 흡수하고, 홀딩하기 위해 이용된다. 흡수성 물품은 배설물을 적절히 흡수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흡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는 기술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표면 시트를 관통하여 흡수체의 내부에 도달하는 복수의 오목부(구멍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복수의 구멍부는,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배설구 맞닿음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구멍부는, 배설물을 흡수체의 내부로 유도하는 유로이며, 흡수체의 표면적의 증가에도 기여한다. 그 결과, 배설물을 흡수체의 내부로 쉽게 이행시킬 수 있어, 흡수성 물품의 흡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본국 특개 2014-68956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은, 흡수 용량을 높이기 위해, 흡수성 섬유 외에, 흡수체 전체에 대략 균일한 평량으로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복수의 구멍부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리스크가 있다. 특히, 흡수성 물품이 운반될 때, 흡수성 물품이 진동하므로, 또는 흡수성 물품이 장착될 때, 장착자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흡수성 물품이 진동·변형하므로, 상술의 리스크는 높아진다.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복수의 구멍부로부터 흘러나오면, 흡수 용량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복수의 구멍부로부터 흘러나오는 리스크를 저감하는 방법으로서, 흡수성 폴리머의 양을 줄이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경우, 결국, 흡수성 물품의 흡수 용량이 저하되어 버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는, 구멍부의 수를 줄이는 방법이나 구멍부의 크기를 작게 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경우, 흡수성 물품의 흡수 속도가 저하되어 버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복수의 구멍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구멍부로부터의 흡수성 폴리머의 흘러나옴을 억제하면서도 흡수 용량 및 높은 흡수 속도를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다음과 같다. (1)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설치되며, 흡수성 코어와 상기 흡수성 코어의 적어도 피부면측을 덮는 코어 랩을 포함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표면 시트를 관통하여, 상기 흡수체의 내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구멍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흡수체가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복수의 구멍부가 존재하는 구멍부 존재 영역과,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한쪽의 양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흡수체의 피부측의 상기 코어 랩과 상기 흡수성 코어와, 또는, 상기 표면 시트와 당해 코어 랩과 상기 흡수성 코어를 압착한 한 쌍의 압착홈과, 상기 한 쌍의 압착홈에 있어서의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과는 반대측의 양 외측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흡수체의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이,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보다도 높은 고(高)평량 영역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구성을 갖고 있고, 구멍부 존재 영역에서는, 흡수체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이 낮아, 흡수성 폴리머가 적게 존재한다(조금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에 더하여, 구멍부 존재 영역과 흡수성 폴리머가 많이 존재하는 고평량 영역과의 사이에는 압착홈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고평량 영역의 흡수체의 흡수성 폴리머가 구멍부 존재 영역의 흡수체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구멍부 존재 영역의 흡수체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들에 의해, 복수의 구멍부가 존재하고 있어도,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복수의 구멍부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흡수체의 고평량 영역에서는,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이 높아, 흡수성 폴리머가 많이 존재하므로, 흡수성 물품 전체로서 흡수성 폴리머의 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구멍부로부터의 흘러나옴 억제를 포함하여, 상기의 흡수성 물품의 흡수 용량을 유지할 수 있다. 또, 고평량 영역의 흡수체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이 높기 때문에, 구멍부 존재 영역에 존재하는 배설물은 고평량 영역으로 재빠르게 끌어 들여진다. 따라서, 배설물은 구멍부로 파고 들어가, 구멍부의 저부(底部) 부근, 즉 흡수체의 이면 부근으로 활락(滑落)한 후,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이 낮은 구멍부 존재 영역을 통하여, 고평량 영역을 향해 재빠르게 흡수체의 이면 부근을 확산할 수 있다. 즉, 구멍부에서의 흡수성을 높일 수 있고, 그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흡수 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본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복수의 구멍부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하면서, 흡수 용량의 유지와 흡수 속도의 향상을 양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2) 상기 길이 방향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전후(前後) 방향이고, 상기 한 쌍의 압착홈은,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의 양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한 쌍의 제 1 압착홈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평량 영역은, 상기 한 쌍의 제 1 압착홈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의 양 외측에 적어도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제 1 압착홈 부분은,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의 상기 전(前) 방향의 단 가장자리(端緣)를 넘어 상기 전 방향으로 길고, 상기 후(後) 방향의 단 가장자리를 넘어 상기 후 방향으로 긴, 상기 (1)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고평량 영역의 흡수성 폴리머가 흡수체의 구멍부 존재 영역을 향하여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압착홈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복수의 구멍부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3) 상기 폭 방향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좌우(左右) 방향이고, 상기 한 쌍의 압착홈은,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한 쌍의 제 2 압착홈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평량 영역은, 상기 한 쌍의 제 2 압착홈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 외측에 적어도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제 2 압착홈 부분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의 상기 좌(左) 방향의 단 가장자리를 넘어 상기 좌 방향으로 길고, 상기 우(右) 방향의 단 가장자리를 넘어 상기 우 방향으로 긴,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고평량 영역의 흡수성 폴리머가 흡수체의 구멍부 존재 영역을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압착홈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복수의 구멍부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4) 상기 흡수체는, 상기 두께 방향의 하측의 부분과, 상기 두께 방향의 상측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의 부분은, 상기 상측의 부분보다도,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높은,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구멍부로 활락한 착용자의 배설물은, 구멍부의 저부 부근인, 흡수체의 하층의 부분으로 우선적으로 확산한다. 그래서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배설물이 우선적으로 확산하는 부분에 흡수성 폴리머를 많이 배치함으로써, 흡수성 폴리머에 우선적으로 배설물을 흡수시켜, 흡수성 폴리머를 조기에 팽창시킨다. 그것에 의해, 흡수성 폴리머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키면서 팽창시켜, 흡수성 폴리머를 구멍부로부터 흘러나오지 않는 크기로 할 수 있다. 즉, 흡수성 폴리머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흡수 용량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5)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은, 착용자의 배설구가 맞닿는 배설구 맞닿음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구성을 갖고 있고, 배설구 맞닿음 영역 내에 구멍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착용자의 배설물은 구멍부에 직접 배설되게 된다. 즉, 배설물을 구멍부에 확실하게 떨어뜨려 넣을 수 있다. 그 결과, 배설물은, 구멍부를 통해, 흡수체의 상층의 부분을 바이패스하여, 한번에 흡수체의 하층의 부분에 도달해, 하층의 부분을 확산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흡수체의 이면에서의 확산 효과를 재빠르게 발현할 수 있어, 흡수 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6) 상기 복수의 구멍부는, 상기 흡수체가 비피부측으로 관통하고 있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착용자의 배설물이 구멍부를 통하여 표면 시트(측)로부터 이면 시트까지 이동할 때에, 이동의 저항이 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멍부를 통하여 배설물을 재빠르게 흡수체의 하층의 부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흡수체에 의한 배설물의 흡수 속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7) 상기 복수의 구멍부의 각각은, 상기 두께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상기 두께 방향으로 일정하고, 정원(正圓) 형상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횡단면(橫斷面)의 면적 및 높이가 동일한 통(筒)끼리를 비교하면, 통의 측면의 표면적은, 횡단면이 정원 형상인 때에 최소치가 된다. 그래서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구멍부를 통으로 생각하며, 구멍부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단면(횡단면)의 형상을 일정하게 하고, 그 형상을 정원 형상으로 한다. 여기에서, 구멍부 근방에 흡수성 폴리머가 대략 균일하게 존재한 경우, 흡수성 폴리머가 구멍부로부터 흘러나오는 리스크는 구멍부(통)의 측면의 표면적에 의존한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구멍부의 횡단면이 정원 형상이므로, 구멍부의 측면의 표면적이 최저가 된다. 그에 더하여, 구멍부의 횡단면이 두께 방향으로 일정하기 때문에 구멍부의 측면의 마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 배설물이 원활히 구멍부 내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설물을 구멍부로 활락시키는 능력을 유지하면서, 흡수성 폴리머가 구멍부로부터 흘러나오는 리스크를 최저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8) 상기 복수의 구멍부의 각각은, 측면이 상기 이면 시트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는, 상기 (7)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횡단면의 면적 및 높이가 일정한 통끼리를 비교하면, 통의 측면의 표면적은, 측면이 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 설치될 때에 최소치가 된다. 그래서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구멍부를 통으로 생각하며, 구멍부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단면(횡단면)을 일정하게 하고, 구멍부의 측면을 이면 시트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 설치한다. 여기에서, 구멍부 근방에 흡수성 폴리머가 대략 균일하게 존재한 경우, 흡수성 폴리머가 구멍부로부터 흘러나오는 리스크는 구멍부(통)의 측면의 표면적에 의존한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구멍부의 측면이 이면 시트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멍부의 측면의 표면적이 최저가 된다. 따라서, 배설물을 구멍부로 활락시키는 능력(횡단면의 면적)을 유지하면서, 흡수성 폴리머가 구멍부로부터 흘러나오는 리스크를 최저로 할 수 있다. 또한, 배설물은, 구멍부의 측면을 전달하면서 저부(이면 시트측)를 향하여 활락한다. 그 때문에, 구멍부가 이면 시트에 수직이면 구멍부의 개구부(표면 시트측)부터 저부(이면 시트측)까지의 활락 거리를 최소로 할 수 있어, 배설물이 구멍부의 개구부로 침입하고 나서 흡수체의 이면측의 영역으로 확산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을 최단으로 할 수 있다. 즉, 구멍부에서의 흡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9)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멍부의 각각에 있어서의 측면을 소정의 두께로 둘러싸는 측면 영역에서의 상기 흡수체의 섬유 밀도는, 상기 측면 영역과 인접하는 주위 영역에서의 상기 흡수체의 섬유 밀도와 동일한,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구멍부의 측면을 소정의 두께로 둘러싸는 측면 영역에서의 흡수체의 섬유 밀도가, 측면 영역과 인접하는 주위 영역에서의 흡수체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으면, 측면 영역에 흡수된 배설물이 주위 영역을 포함하는 측면 영역의 외측의 영역으로 확산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측면 영역에서의 흡수체의 섬유 밀도를 주위 영역에서의 흡수체의 섬유 밀도와 동일하게 하고 있다. 그것에 의해, 측면 영역에 흡수된 배설물을 측면 영역의 외측의 영역으로 용이하게 확산시킬 수 있어, 흡수성 물품의 흡수 속도를 보다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10)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의 상기 흡수체에는, 상기 흡수성 폴리머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구멍부 존재 영역의 흡수체에는 흡수성 폴리머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구멍부 존재 영역의 흡수체의 흡수성 폴리머가, 구멍부로부터 흘러나와 떨어지거나, 배설물을 흡수해 팽창하여, 구멍부 존재 영역 이외의 흡수체로 배설물이 확산하거나 하는 것을 저해하거나 하는 리스크를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11)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압착홈의 내측의 영역인 배설구 대응 영역과,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배설구 대응 영역의 양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배설구 인접 영역을 추가로 갖고, 상기 고평량 영역은, 상기 한 쌍의 배설구 인접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표면 시트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배설구 대응 영역의 양측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위치를 한 쌍의 기점으로 하여, 상기 한 쌍의 배설구 인접 영역을 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흡수체의 양 단 가장자리보다도 양 외측에 존재하는 한 쌍의 외측 단부를 경유하며, 또한, 상기 한 쌍의 외측 단부보다도 내측에 있어서 한 쌍의 접합부를 한 쌍의 종점으로 하여, 평면시(平面視)에서 상기 흡수체의 위쪽의 시트에 접합되어 있는, 한 쌍의 루프부를 갖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구성을 갖고, 고평량 영역(흡수체의 폭 방향의 양 가장자리부)의 두께 방향의 위쪽으로부터 폭 방향(W)으로 튀어나오도록, 표면 시트의 루프부가 존재한다. 그 때문에, 착용자에 의한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체압(體壓)을 받았을 때, 루프부가 흡수체보다도 먼저 압축되어, 착용자의 체압에 의해 흡수체가 폭 방향으로 압축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막을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구멍부가 폭 방향으로 찌부러져, 구멍부에 배설물을 넣을 수 없게 되어, 흡수 속도나 흡수 용량이 저하된다는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 고평량 영역에 집약된 배설물이, 착용자의 체압에 의해 리웨트(rewet)되는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복수의 구멍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구멍부로부터의 흡수성 폴리머의 흘러나옴을 억제하면서, 흡수 용량 및 높은 흡수 속도를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구멍부를 두께 방향의 위쪽에서 본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구멍부를 폭 방향의 측방에서 본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도 1의 흡수성 물품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흡수성 물품의 다른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흡수성 물품의 변화의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XI-X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흡수성 물품의 착용의 양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대하여 생리용 패드를 예로 설명한다. 이 경우, 흡수성 물품의 흡수 대상의 배설물은 생리혈이다. 흡수성 물품의 종류 및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른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그 흡수성 물품으로서, 예를 들면 팬티 라이너, 경실금 패드, 일회용 기저귀를 들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생리용 패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전개한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갖고,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본체부(2)와, 본체부(2)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폭 방향(W)의 양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한 쌍의 플랩부(3, 3')를 구비한다. 흡수성 물품(1)은, 폭 방향(W)의 중심을 지나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중심선(CL)과, 한 쌍의 플랩부(3, 3')의 길이 방향(L)의 중심을 지나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선(CW)을 갖는다.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과, 흡수성 물품(1)의 각 자재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은 일치하므로, 흡수성 물품(1) 및 그 각 자재에 대해 공통으로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이용한다. 길이 방향(L)의 한쪽 및 다른쪽을 각각 앞쪽 및 뒤쪽으로 하고, 폭 방향(W)의 한쪽 및 다른쪽을 각각 왼쪽 및 오른쪽으로 하며, 두께 방향(T)의 한쪽 및 다른쪽을 각각 위쪽 및 아래쪽으로 한다. 도 1에 그려진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는, 그 위쪽 및 아래쪽이 각각 길이 방향(L)의 앞쪽 및 뒤쪽이고, 그 왼쪽 및 오른쪽이 각각 폭 방향(W)의 왼쪽 및 오른쪽이며, 지면(紙面)에 대하여 그 바로 앞 및 안쪽이 두께 방향(T)의 위쪽 및 아래쪽이다. 「평면시」란, 전개한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을 상면측으로부터 두께 방향(T)으로 보는 것을 말한다. 「피부측」 및 「비피부측」이란, 장착자가 흡수성 물품(1)을 장착했을 때, 두께 방향(T)에서 상대적으로 장착자의 피부면에 가까운측 및 먼측을 각각 의미한다. 「면(面) 내 방향」이란, 폭 방향(W) 및 길이 방향(L)을 포함하는 면과 평행한 방향이다. 길이 방향 중심선(CL)을 향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을 각각 폭 방향(W)의 내측 및 외측의 방향으로 한다. 폭 방향 중심선(CW)을 향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을 각각 길이 방향(L)의 내측 및 외측의 방향으로 한다. 이들 정의도 흡수성 물품(1)의 각 자재에 공통으로 이용한다.
본체부(2)는,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또는 레이스 트랙형의 형상을 갖고, 본체부(2)의 길이 방향(L)의 양단 가장자리부의 바깥 가장자리는, 대략 반원형 또는 주발형의 형상을 갖는다. 또, 한 쌍의 플랩부(3, 3')의 각각은, 아랫변이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사다리꼴 또는 현(弦)이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의 형상을 갖고, 아랫변 또는 현이 본체부(2)의 폭 방향(W)의 양측 가장자리에 접하고 있다.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8)와, 이면 시트(14)와, 표면 시트(8)의 비피부측이고 이면 시트(14)의 피부측, 즉 표면 시트(8)와 이면 시트(14)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12)를 구비한다.
표면 시트(8)는, 착용자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 시트이다. 표면 시트(8)로는, 예를 들면 액체 투과성의 부직포나 직포, 액체 투과 구멍을 갖는 합성 수지 필름, 이들의 복합 시트 등, 임의의 액체 투과성 시트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8)의 폭 방향(W)의 양 단부에 접합된, 폭 방향(W)의 양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13, 13')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사이드 시트(13, 13')는, 배설물의 폭 방향(W)으로의 누설을 억제하는 발수성 시트이다. 각 사이드 시트로는, 발수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나 통기성을 갖는 합성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8)는, 두께 방향(T)으로 2층이어도 된다. 표면 시트(8)의 평량은, 예를 들면, 5g/㎡∼100g/㎡이며, 바람직하게는 20g/㎡∼50g/㎡이다.
또, 이면 시트(14)는, 착용자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이다. 이면 시트(14)로는, 예를 들면 액체 불투과성의 부직포나 합성 수지 필름, 부직포와 합성 수지 필름의 복합 시트, SMS 부직포 등, 임의의 액체 불투과성 시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면 시트(14)의 비피부면측에 통기성의 외장 시트가 접착제 등으로 추가로 접합되어도 된다.
흡수체(12)는, 본체부(2)보다 한 단계 작은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레이스 트랙형 또는 모래 시계형의 형상을 가지며, 액체 흡수 성능 및 액체 홀딩 성능을 갖는 층이고, 흡수성 코어(12b)와 흡수성 코어(12b)의 적어도 피부면측을 덮는 코어 랩(12a)을 포함한다. 흡수성 코어(12b)는, 액체 홀딩성 물질 및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액체 홀딩성 물질로는, 예를 들면 펄프 등의 흡수성 섬유를 들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로는, 물을 흡수하여 홀딩할 수 있는, 입자상 또는 섬유상의 고흡수성 폴리머(SAP)를 들 수 있다. 코어 랩(12a)으로는, 액체 투과성을 갖는 시트이고, 예를 들면 티슈 등의 친수성의 부직포를 들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는, 핫멜트 접착제 등(도시되지 않음)으로 코어 랩(12a)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고정되지 않고 코어 랩(12a)으로 덮여 있어도 된다. 각 자재의 두께나 평량은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흡수체(12)의 두께는, 예를 들면 0.2∼15mm이고, 바람직하게는 1∼10mm를 들 수 있다. 흡수체(12)의 평량은, 예를 들면 20∼1000g/㎡이며, 바람직하게는 50∼800g/㎡를 들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은, 흡수체(12) 전체로는 예를 들면 10∼500g/㎡이고, 바람직하게는 200∼400g/㎡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시트(8)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폭 방향(W)으로 소정 간격으로 늘어선 복수의 이랑부(41)와, 서로 인접하는 이랑부(41)의 사이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복수의 홈부(43)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이랑부(41) 및 복수의 홈부(43)는, 흡수성 물품의 분야에 있어서의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서로 평행한 복수의 이랑부(41) 및 홈부(43)는, 배설물을 길이 방향(L)으로 확산시켜, 흡수체(12)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랑부(41) 및 홈부(43)의 폭 방향(W)의 간격은, 예를 들면 0.1∼10mm, 바람직하게는 1∼4mm이다. 홈부(43)의 두께 방향(T)의 깊이(이랑부(41)의 꼭대기부를 기준)는, 예를 들면 0.1∼5mm, 바람직하게는 0.1∼1mm이다. 또한, 폭 방향(W)으로 홈부가 연장되어 설치되고, 길이 방향(L)으로 소정 간격으로 추가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며, 그 경우, 길이 방향(L)의 간격은, 예를 들면 0.1∼10mm, 바람직하게는 1∼4mm이다.
본체부(2)에서는, 표면 시트(8)의 비피부측의 면과 흡수체(12)의 피부측의 면은 접착제(예시: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고, 흡수체(12)의 비피부측의 면과 이면 시트(14)의 피부측의 면은 접착제 등으로 접합된다. 또, 표면 시트(8)의 비피부측의 면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이면 시트(14)의 피부측의 면은 접착제 등으로 접합된다. 표면 시트(8)의 피부측의 면의 폭 방향(W)의 양 단부와, 한 쌍의 사이드 시트(13, 13')의 각각의 비피부측의 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내측의 단부는 접착제 등으로 접합된다. 한 쌍의 플랩부(3, 3')에서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13, 13')의 각각의 비피부측의 면과 이면 시트(14)의 피부측의 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외측의 단부는 접착제 등으로 접합된다.
흡수성 물품(1)은, 본체부(2) 및 한 쌍의 플랩부(3, 3')의 비피부의 면에 각각 배치된 점착부(15) 및 한 쌍의 점착부(17, 17')를 추가로 구비한다. 점착부(15)는, 평면시에서, 흡수체(12)와 겹치는 이면 시트(14)의 비피부측의 면에 배치되고, 예를 들면 길이 방향(L)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W)으로 간헐적으로 늘어서거나, 또는, 폭 방향(W)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L)으로 간헐적으로 늘어서 있다. 흡수성 물품(1)이 착용자의 속옷에 장착될 때, 점착부(15)는 본체부(2)의 비피부측의 면을 속옷의 피부측의 면에 붙이고, 한 쌍의 점착부(17, 17')는 속옷의 아래쪽으로 되접힌 한 쌍의 플랩부(3, 3')의 피부측의 면(되접기 전의 비피부측의 면)을 각각 속옷의 비피부측의 면에 붙인다. 그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은 속옷에 고정된다. 각 점착제는, 흡수성 물품의 분야에 있어서 공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에서는, 평면시에서, 본체부(2)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8)와 흡수체(12)가 두께 방향(T)으로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의 중앙 약간 앞쪽 근처에서 폭 방향(W)의 중앙의 영역에, 배설구 맞닿음 영역(30)이 설정된다. 여기에서, 배설구 맞닿음 영역이란,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하는 또는 맞닿는 영역이다. 배설구 맞닿음 영역(30)은, 흡수성 물품(1)의 종류나 용도(예시: 소변이나 생리혈과 같은 액상 배설물의 종류, 착용자의 연령이나 성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배설구 맞닿음 영역(30)은, 예를 들면, 길이 방향(L)에 있어서 흡수체(12)의 대략 중앙부 또는 앞쪽 근처에, 흡수체(12) 전체 길이의 약 1/3 정도의 길이로 설정되고, 또한, 폭 방향(W)에 있어서 흡수체(12)의 대략 중앙부에, 흡수체(12) 전체 길이의 약 1/3 정도의 길이로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길이 방향(L)에서, 배설구 맞닿음 영역(30)의 양 단부 및 중앙부의 위치와 한 쌍의 플랩부(3, 3')의 양 단부(붙어있는 부분) 및 중앙부의 위치가 거의 겹치도록 형성된다.
흡수성 물품(1)은, 평면시에서, 본체부(2)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8)와 흡수체(12)가 두께 방향(T)으로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의 중앙 약간 앞쪽 근처에서 폭 방향(W)의 중앙의 영역에, 구멍부 존재 영역(29)을 갖고 있다. 구멍부 존재 영역(29)에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표면 시트(8)를 관통하여, 흡수체(12)의 내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구멍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즉 구멍부(10)는, 표면 시트(8)와 코어 랩(12a)의 피부측의 면을 관통하여, 흡수성 코어(12b)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다. 구멍부(10)는, 바람직하게는 흡수성 코어(12b)의 두께의 절반의 위치보다도 깊은 위치에 도달하고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흡수성 코어(12b)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 평면시에서, 구멍부 존재 영역(29)의 외측의 영역은, 구멍부 비존재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복수의 구멍부(10)는, 착용자의 배설물을 표면 시트(8)의 표면으로부터 흡수체(12)의 내부로 이송하기 위한 유로이다. 즉, 복수의 구멍부(10) 내에는 배설물의 이동의 저항이 되는 부재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표면 시트(8) 상의 배설물을 흡수체(12)의 내부로, 복수의 구멍부(10)를 통하여 재빠르게 이송할 수 있다. 또, 흡수체(12)에 있어서의 배설물을 흡수하는 면의 표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그것들에 의해, 표면 시트(8)만을 통하여 흡수체(12)의 내부로 배설물을 확산·흡수시키는 경우와 비교해, 흡수체(12)에 의한 배설물의 흡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구멍부(10)가 흡수성 코어(12b)의 두께의 절반의 위치보다도 깊은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나, 흡수성 코어(12b)를 관통하는 경우에는, 표면 시트(8) 상의 배설물을 흡수체(12)의 보다 심부(深部) 또는 하층으로, 복수의 구멍부(10)를 통하여 보다 빠르게 이송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흡수체(12)에 의한 배설물의 흡수 속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구멍부(10)의 수는, 평면시에서, 구멍부 존재 영역(29)에 있어서, 예를 들면 0.5∼5개/㎠이고, 바람직하게는 1∼3개/㎠이다. 구멍부(10)의 수가 너무 적으면 상기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너무 많으면 리웨트의 우려가 있다. 또, 구멍부(10)끼리의 간격(중심 간 거리)은, 대략 2∼20mm이고, 바람직하게는 5∼15mm이다. 또, 구멍부(10)의 개구(開口) 직경은, 평면시에서, 예를 들면 0.3∼6mm이고, 바람직하게는 0.6∼3mm이다. 구멍부(10)의 개구 직경이 너무 작으면 상기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너무 크면 흡수성 물품(1)의 강성이 낮아져 비틀리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구멍부 존재 영역(29)에 있어서, 복수의 구멍부(10)는, 기둥상, 예를 들면 원기둥상의 펀치(핀)로 표면 시트(8) 및 흡수체(12)를 구멍 뚫는 수법, 즉 펀칭(punching) 수법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주면(外周面)에 펀치를 갖는 펀칭용 롤과, 펀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펀치를 받아들이는 구멍을 갖는 구멍용 롤을 서로 대면 배치하고, 양 롤의 사이에 표면 시트(8)와 흡수체(12)의 적층체를 통과시킴으로써, 그 적층체에 복수의 구멍부(1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펀칭의 수법으로 구멍부(10)를 형성하는 경우, 표면 시트나 코어 랩이 잡아 늘려져 구멍부의 내측으로 깊게 파고 들어간 구멍부를 형성하는 압착 등의 수법과는 달리, 표면 시트(8)나 코어 랩(12a)이 구멍부(10)의 내측으로 거의 파고 들어가지 않고, 따라서 구멍부(10)의 측면을 덮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구멍부(10)의 측면 영역(70)에서의 흡수체(12)는, 표면 시트(8)나 코어 랩(12a)에 의한 압축을 그다지 받지 않는다. 그 때문에, 구멍부(10)의 측면 영역(70)에서의 흡수체(12)의 섬유 밀도를, 측면 영역(70)과 인접하는 주위 영역(71)에서의 흡수체(12)의 섬유 밀도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단, 측면 영역(70)이란, 구멍부(10)의 측면(측벽)(10WAL)을, 외측으로부터 면 내 방향의 소정의 두께로 둘러싸는 영역이다. 주위 영역(71)이란, 측면 영역(70)의 측면(측벽)을, 외측으로부터 면 내 방향의 소정의 두께로 둘러싸는 영역이다. 여기에서, 소정의 두께는, 예를 들면 구멍부(10)의 개구 직경의 크기, 또는, 구멍부(10) 근방에서의 흡수성 코어(12b)의 두께이다. 또, 섬유 밀도가 동일이란, 한쪽의 섬유 밀도와 다른쪽의 섬유 밀도의 상위(相違)가 ±10%의 범위 이내인 것이다. 펀칭의 수법으로 형성된 구멍부(10)의 내측에서는, 흡수체(12), 즉 흡수성 코어(12b)나 코어 랩(12a)의 단면이 노출되어 있고, 흡수체(12)는 그곳으로부터 배설물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이것은, 압착의 수법으로 구멍부를 형성했을 때의 흡수체의 섬유 밀도의 상황과 크게 상위한다. 압착의 수법으로 구멍부를 형성하면, 구멍부의 측면 영역에서의 흡수체의 섬유 밀도가, 주위 영역에서의 흡수체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아진다. 그 경우, 구멍부로부터 측면 영역으로 흡수된 배설물이, 측면 영역의 외측의 주위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확산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그러면, 구멍부 및 그 측면 영역은 배설물을 흡수할 수 있지만, 측면 영역의 외측의 주위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은 배설물을 흡수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 결과, 흡수체의 흡수 속도나 흡수 용량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흡수성 물품(1)에서는, 펀칭의 수법으로 구멍부(10)를 형성함으로써, 구멍부(10)의 측면 영역(70)에서의 흡수체(12)의 섬유 밀도와 주위 영역(71)에서의 흡수체(12)의 섬유 밀도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측면 영역(70)으로 흡수된 배설물을, 주위 영역(71)을 포함하는 외측의 영역으로 용이하게 확산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1)의 흡수 속도나 흡수 용량을 보다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멍부 존재 영역(29)은, 배설구 맞닿음 영역(30)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배설구 맞닿음 영역(30) 내에 복수의 구멍부(1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착용자의 배설물은 복수의 구멍부(10)에 직접 배설되게 된다. 즉, 배설물을 복수의 구멍부(10)에서 확실하게 붙잡아, 복수의 구멍부(10) 내로 확실하게 떨어뜨려 넣을 수 있다. 그 결과, 배설물은, 복수의 구멍부(10)를 통해, 두께 방향(T)으로 흡수체(12)의 코어 랩(12a)이나 흡수성 코어(12b)의 상층의 부분을 바이패스하여, 한번에 흡수체(12)의 흡수성 코어(12b)의 하층의 부분에 도달할 수 있어, 하층의 부분을 면 내 방향으로 확산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흡수체(12)(의 흡수성 코어(12b))의 이면측(비피부면측)의 부분에서의 확산 효과를 재빠르게 발현할 수 있어, 흡수 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은, 구멍부 존재 영역(29)에 있어서의 폭 방향(W) 및/또는 길이 방향(L)의 양 외측에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압착홈(37, 37')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은, 구멍부 존재 영역(29)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양 외측에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압착홈(37(37a, 37b, 37c, 37d), 37'(37a', 37b', 37c', 37d'))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추가로, 흡수성 물품(1)은, 구멍부 존재 영역(29)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양 외측에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압착홈(37(37a·37a'·37b·37b'), 37'(37c·37c'·37d·37d'))을 구비한다. 이 경우, 압착홈(37)이 폭 방향(W)의 오른쪽에, 압착홈(37')이 폭 방향(W)의 왼쪽에 각각 존재한다. 각 압착홈은, 흡수체(12)의 피부측의 코어 랩(12a)과 흡수성 코어(12b)와, 또는, 표면 시트(8)와 흡수체(12)의 피부측의 코어 랩(12a)과 흡수성 코어(12b)가 압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압착홈은, 표면 시트(8)와 흡수체(12)의 피부측의 코어 랩(12a)과 흡수성 코어(12b)가 압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압착홈은, 바람직하게는 흡수성 코어(12b)의 저부에 도달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면 시트(14)에 도달하고 있으며, 각 압착홈의 저부에는 고밀도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단, 각 압착홈이, 복수의 압착홈 부분이 간헐적으로 늘어서 있는 구성인 경우에는, 서로 이웃하는 압착홈 부분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흡수성 폴리머의 이동을 블록하는 관점에서, 서로 이웃하는 구멍부(10) 사이의 거리 이하로 한다. 또한, 외측에, 흡수성 폴리머의 이동을 블록하는 다른 압착홈(예시: 압착홈(38, 38'))이 있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착홈(37a, 37a') 및 압착홈(37d, 37d') 보다도 각각 길이 방향(L)의 앞쪽 및 뒤쪽에 압착홈(38, 38')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흡수성 물품(1)은, 평면시에서, 한 쌍의 압착홈(37, 37')에 있어서의 구멍부 존재 영역(29)과는 반대측의 양 외측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는 고평량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단, 고평량 영역이란, 흡수체(12)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이, 구멍부 존재 영역(29)보다도 높은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은, 한 쌍의 압착홈(37, 37')에 있어서의 구멍부 존재 영역(29)과는 반대측의 양 외측, 즉 한 쌍의 압착홈(37, 37')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양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고평량 영역(9, 9')을 구비하고 있다. 환언하면, 흡수체(12)의 한 쌍의 압착홈(37, 37')의 폭 방향(W)의 양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고평량 영역(9, 9')은, 흡수체(12)의 한 쌍의 고평량 영역(9, 9') 이외의 영역, 특히 구멍부 존재 영역(29)과 비교하여, 흡수성 폴리머(90)의 평량이 높다. 예를 들면, 흡수체(12)의 한 쌍의 고평량 영역(9, 9') 이외의 영역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은, 한 쌍의 고평량 영역(9, 9')의 각각에서의 흡수성 폴리머(90)의 평량의 0∼80%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0∼50%의 범위 내이다. 흡수체(12)의 평량에 대한 한 쌍의 고평량 영역(9, 9')의 각각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은, 예를 들면 20∼80%의 범위이다. 흡수체(12)에 있어서, 한 쌍의 고평량 영역(9, 9')의 각각과 한 쌍의 고평량 영역(9, 9')의 각각 이외의 영역과의 경계는, 흡수성 폴리머의 다과(多寡)로 설정된다. 즉, 한 쌍의 고평량 영역(9, 9')의 각각의 흡수성 폴리머(90)의 평량의 최고치를 Mx로 하면, 그 흡수성 폴리머(90)의 평량이 1/n(단, n는 양의 실수, 예시: n=3)이 되는 개소를 경계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멍부(10)의 주위 영역에서의 흡수체(12)의 섬유 밀도와 인접 영역에서의 흡수체(12)의 섬유 밀도가 동일하기 때문에, 구멍부(10)의 측면으로부터 흡수성 폴리머가 구멍부(10)의 내부로 탈락하여, 구멍부(10)를 통해 흡수성 물품(1)의 외부로 유출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흡수성 물품(1)에서는, 구멍부 존재 영역(29)에 있어서, 흡수체(12)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이 낮고, 흡수성 폴리머가 적게 존재한다(조금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에 더하여, 구멍부 존재 영역(29)과 흡수성 폴리머(90)가 많이 존재하는 고평량 영역(9, 9')의 사이에는 한 쌍의 압착홈(37, 37')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고평량 영역(9, 9')의 흡수체(12)의 흡수성 폴리머(90)가 구멍부 존재 영역(29)의 흡수체(12)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구멍부 존재 영역(29)의 흡수체(12)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들에 의해, 구멍부 존재 영역(29)에 복수의 구멍부(10)가 존재하고 있어도,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복수의 구멍부(10)로부터 흡수성 물품(1)의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흡수체(12)의 고평량 영역(9, 9')에서는, 흡수성 폴리머(90)의 평량이 높고, 흡수성 폴리머(90)가 많이 존재하므로, 흡수성 물품(1) 전체로서 흡수성 폴리머의 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구멍부(10)로부터의 흘러나옴 억제를 포함하여, 상기의 흡수성 물품(1)의 흡수 용량을 유지할 수 있다.
또, 고평량 영역(9, 9')의 흡수체(12)의 흡수성 폴리머(90)의 평량이 높기 때문에, 구멍부 존재 영역(29)에 존재하는 배설물은 고평량 영역(9, 9')으로 재빠르게 끌어 들여진다. 따라서, 배설물은 구멍부(10)로 파고 들어가, 구멍부(10)의 저부 부근, 즉 흡수체(12)의 이면 부근으로 활락한 후,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이 낮은 구멍부 존재 영역(29) 내를 확산하여, 고평량 영역(9, 9')을 향해 재빠르게 흡수체(12)의 이면 부근을 확산할 수 있다. 즉, 구멍부(10)에서의 흡수성을 높일 수 있고, 그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의 흡수 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본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복수의 구멍부(10)로부터 흡수성 물품(1)의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하면서, 흡수 용량의 유지와 흡수 속도의 향상을 양립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압착홈(37, 37')으로서, 구멍부 존재 영역(29)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양 외측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L)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연장 설치된 제 1 압착홈 부분(37a, 37b, 37c, 37d) 및 제 1 압착홈 부분(37a', 37b', 37c', 37d')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압착홈 부분(37a, 37b, 37c, 37d)은, 일체로서 보면, 구멍부 존재 영역(29)의 폭 방향(W)의 오른쪽의 바깥 가장자리(29E21)보다도 외측에 있어서, 구멍부 존재 영역(29)의 앞쪽의 바깥 가장자리(29E11)를 넘어 앞쪽으로 길고, 뒤쪽의 바깥 가장자리(29E12)를 넘어 뒤쪽으로 길다. 또, 제 1 압착홈 부분(37a', 37b', 37c', 37d')은, 구멍부 존재 영역(29)의 폭 방향(W)의 왼쪽의 바깥 가장자리(29E22)보다도 외측에 있어서, 구멍부 존재 영역(29)의 앞쪽의 바깥 가장자리(29E11)를 넘어 앞쪽으로 길고, 뒤쪽의 바깥 가장자리(29E12)를 넘어 뒤쪽으로 길다. 단, 제 1 압착홈 부분(37a∼37d, 37a'∼37d')은 상기의 조건(예시: 위치·형상)을 만족시키고 있으면, 구체적인 형상은 임의이다.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로는, 한 쌍의 고평량 영역(9, 9')은, 한 쌍의 제 1 압착홈 부분(37a·37b·37c·37d, 37a'·37b'·37c'·37d')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양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제 1 압착홈 부분(37a·37b·37c·37d, 37a'·37b'·37c'·37d')은, 길이 방향(L)에 있어서, 구멍부 존재 영역(29)의 앞쪽 방향의 단 가장자리를 넘어 앞쪽 방향으로 길고, 뒤쪽 방향의 단 가장자리를 넘어 뒤쪽 방향으로 길다. 따라서, 고평량 영역(9, 9')의 흡수성 폴리머가 흡수체(12)의 구멍부 존재 영역(29)을 향하여 폭 방향(W)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압착홈(37, 37')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복수의 구멍부(10)로부터 흡수성 물품(1)의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로는 흡수체(12)(실질적으로는 흡수성 코어(12b))는, 두께 방향(T)의 하측의 부분(82)과, 두께 방향(T)의 상측의 부분(81)을 포함하고 있고, 하측의 부분(82)이 상측의 부분(81)보다도 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높다. 특히, 한 쌍의 고평량 영역(9, 9')의 각각에 있어서, 하측의 부분(82)이 상측의 부분(81)보다도 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고평량 영역(9, 9')에서도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구멍부(10)로 활락한 착용자의 배설물은, 구멍부(10)의 저부 부근인, 흡수체(12)의 하층의 부분(82)으로 우선적으로 확산한다. 그래서, 배설물이 우선적으로 확산하는 부분에 흡수성 폴리머를 많이 배치함으로써, 흡수성 폴리머에 우선적으로 배설물을 흡수시켜, 흡수성 폴리머를 조기에 팽창을 개시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흡수성 폴리머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키면서 팽창시켜, 흡수성 폴리머를 구멍부(10)로부터 흘러나오지 않는 크기로 할 수 있다. 즉, 흡수성 폴리머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흡수 용량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적섬(fiber stacking, 積纖) 장치의 회전 드럼이 회전되어, 재료 공급기로부터 공급된 적섬 재료가, 회전 드럼의 외주면에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패턴 플레이트의 각각에 있어서의, 음압실로 연이어 통한 홈 내에 퇴적된다. 적섬 재료가 퇴적되면서, 예를 들면 횡단 방향의 양 단부 및 중앙부에 배치된 흡수성 폴리머의 공급구로부터, 각각 소정의 양의 흡수성 폴리머가 홈 내의 소정 영역에 퇴적된다. 그것에 의해, 각 패턴 플레이트의 홈 내에, 소정 영역의 소정의 양의 흡수성 폴리머를 갖는 흡수체(12)의 흡수성 코어(12b)가 형성된다. 이때, 패턴 플레이트의 홈의 형상이나, 적섬 재료 및 흡수성 폴리머의 공급량이나 공급 영역이나 공급 타이밍을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적섬 재료나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이 면 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원하는 분포(예시: 고평량 영역(9, 9'))를 갖는 흡수성 코어(12b)가 형성된다. 이어서, 형성된 홈 내의 흡수성 코어(12b)가 패턴 플레이트와 함께 양압실에 도달하면, 흡수성 코어(12b)가 패턴 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어, 코어 랩(12a)용의 시트 상에 재치되고, 반송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어서, 흡수성 코어(12b)가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코어 랩(12a)용의 시트가 개켜지고, 단부가 접합되며, 개별적으로 절단되어, 흡수체(12)가 형성된다. 이어서, 표면 시트(8)가 반송 방향으로 연속한 연속 표면 시트가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그 연속 표면 시트 상에 각각의 흡수체(12)가 소정 간격으로 재치되고, 연속 표면 시트와 흡수체(12)가 접합된다. 연속 표면 시트에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13, 13')가 반송 방향으로 연속한 연속 사이드 시트가 접합되어 있다. 이어서, 연속 표면 시트 부착의 흡수체(12)가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앤빌 롤과 엠보스 롤에 끼임으로써(엠보스 가공), 압착홈(37, 37', 38, 38')이 형성된다. 이어서, 연속 표면 시트 부착의 흡수체(12)가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앤빌 롤과 펀칭 롤에 끼임으로써(펀칭 가공), 복수의 구멍부(10)가 형성된다. 이어서, 이면 시트(14)가 반송 방향으로 연속한 연속 이면 시트가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연속 표면 시트 부착 흡수체(12)와 접합되고, 계속해서 흡수성 물품(1)의 형상으로 잘라내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흡수성 물품(1)이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두께 방향(T)의 위쪽 및 폭 방향(W)의 옆쪽에서 본 구멍부(10)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며, 구멍부(10)를 원통상의 펀치로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부(10)의 개구부의 단 가장자리는, 흰 선으로 나타내는 정원과 거의 겹치고 있어, 극히 깔끔한 원형상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부(10)의 측면(측벽) 근방의 부분, 예를 들면 구멍부(10)의 측면으로부터 구멍부(10)의 직경 정도로 외측의 위치까지의 범위에서는 표면 시트(8)나 흡수체(12)가 눌러 찌부러지는 등으로 구성 섬유가 고밀도로 되어 있는 개소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구멍부(10)의 측면 영역과, 구멍부(10)의 측면 영역과 인접하는 주위 영역에서, 표면 시트(8)나 흡수체(12)의 구성 섬유의 밀도가 대체로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로는, 복수의 구멍부(10)의 각각은, 두께 방향(T)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두께 방향(T)으로 일정하며, 정원 형상이다. 즉, 구멍부(10) 중, 표면 시트(8)의 구멍부(10a)의 단면의 형상이 두께 방향(T)으로 일정하며, 정원 형상이고, 또한, 흡수체(12)의 구멍부(10b)의 단면의 형상이 두께 방향(T)으로 일정하며, 정원 형상이다. 여기에서, 횡단면의 면적 및 높이가 동일한 통끼리를 비교하면, 통의 측면의 표면적은 횡단면이 정원 형상인 때에 최소치가 된다. 그래서, 본 흡수성 물품(1)에서는, 구멍부(10)를 통으로 생각하며, 구멍부(10)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T)에 수직인 단면(횡단면)의 형상을 일정하게 하고, 그 형상을 정원 형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구멍부(10)를 펀칭 가공으로 형성하고, 펀치의 단면 형상을 정원으로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구멍부(10) 근방에 흡수성 폴리머가 대략 균일하게 존재한 경우, 흡수성 폴리머가 구멍부(10)로부터 흘러나오는 리스크는 구멍부(10)(통)의 측면의 표면적에 의존한다. 본 흡수성 물품(1)에서는, 구멍부(10)의 횡단면이 정원 형상이므로, 구멍부(10)의 측면의 표면적이 최저가 된다. 그것에 더하여, 구멍부(10)의 횡단면이 두께 방향으로 일정하기 때문에 구멍부(10)의 측면의 마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 배설물이 원활하게 구멍부(10) 내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설물을 구멍부(10)로 활락시키는 능력을 유지하면서, 흡수성 폴리머가 구멍부(10)로부터 흘러나오는 리스크를 최저로 할 수 있다. 또한, 단면의 형상이 일정한 정원 형상이란, 원의 직경이 ±5% 어긋나는 경우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로는, 복수의 구멍부(10)의 각각은, 측면(10WAL)이 이면 시트(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즉, 구멍부(10) 중, 표면 시트(8)의 구멍부(10a)의 측면(10WAL1)이 이면 시트(14)에 대해 이루는 각도(α1)가 90도이고, 흡수체(12)의 구멍부(10b)의 측면(10WAL2)이 이면 시트(14)에 대해 이루는 각도(α2)가 90도이다. 여기에서, 횡단면의 면적 및 높이가 일정한 통끼리를 비교하면, 통의 측면의 표면적은, 측면이 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때에 최소치가 된다. 그래서 흡수성 물품(1)에서는, 구멍부(10)를 통으로 생각하며, 구멍부(10)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T)에 수직인 단면(횡단면)을 일정하게 하고, 구멍부(10)의 측면(10WAL)을 이면 시트(14)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 설치한다. 여기에서, 구멍부(10) 근방에 흡수성 폴리머가 대략 균일하게 존재한 경우, 흡수성 폴리머가 구멍부(10)로부터 흘러나오는 리스크는 구멍부(10)(통)의 측면(10WAL)의 표면적에 의존한다. 본 흡수성 물품(1)에서는, 구멍부(10)의 측면이 이면 시트(14)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멍부(10)의 측면(10WAL)의 표면적이 최저가 된다. 따라서, 배설물을 구멍부(10)로 활락시키는 능력(횡단면의 면적)을 유지하면서, 흡수성 폴리머가 구멍부(10)로부터 흘러나오는 리스크를 최저로 할 수 있다. 또한, 배설물은, 구멍부(10)의 측면(10WAL)을 전달하면서 저부(10BOT)(이면 시트(14)측)를 향하여 활락한다. 그 때문에, 구멍부(10)가 이면 시트(14)에 수직이면 구멍부(10)의 개구부(10TP)(표면 시트(8)측)부터 저부(10BOT)(이면 시트(14)측)까지의 활락 거리를 최소로 할 수 있어, 배설물이 구멍부(10)의 개구부(10TP)로 침입하고 나서 흡수체(12)의 이면측의 영역으로 확산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을 최단으로 할 수 있다. 즉, 구멍부(10)에서의 흡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로는, 구멍부 존재 영역(29)에 있어서, 복수의 구멍부(10)의 각각에 있어서의 측면(10WAL)을 소정의 두께로 둘러싸는 측면 영역(70)에서의 흡수체(12)의 섬유 밀도는, 측면 영역(70)과 인접하는 주위 영역(71)에서의 흡수체(12)의 섬유 밀도와 동일하다. 구멍부(10)의 측면(10WAL)을 소정의 두께로 둘러싸는 측면 영역(70)에서의 흡수체(12)의 섬유 밀도가, 측면 영역(70)과 인접하는 주위 영역(71)에서의 흡수체(12)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으면, 측면 영역(70)에 흡수된 배설물이 측면 영역(70)의 외측의 주위 영역(71)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확산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흡수성 물품(1)에서는, 측면 영역(70)에서의 흡수체(12)의 섬유 밀도를 주위 영역(71)에서의 흡수체(12)의 섬유 밀도와 동일하게 하고 있다. 그것에 의해, 측면 영역(70)에 흡수된 배설물을 외측의 주위 영역(71)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용이하게 확산시킬 수 있어, 흡수성 물품(1)의 흡수 속도를 보다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로는, 구멍부 존재 영역(29)의 흡수체(12)에는, 흡수성 폴리머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즉, 구멍부 존재 영역(29)의 흡수체(12)는 흡수성 폴리머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구멍부 존재 영역(29)의 흡수체(12)의 흡수성 폴리머가, 구멍부(10)로부터 흘러나와 떨어지거나, 배설물을 흡수하여 팽창해 구멍부 존재 영역(29) 이외의 흡수체(12)로 배설물이 확산하는 것을 저해하거나 한다는 리스크를 배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평량 영역(9, 9')의 위치, 즉 고밀도로 흡수성 폴리머(90)를 배치하는 영역은, 도 1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압착홈의 외측의 영역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흡수성 물품(1)은, 구멍부 존재 영역(29)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양 외측에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압착홈(37(37a·37a'·37b·37b'), 37'(37c·37c'·37d·37d'))을 구비한다. 즉, 제 2 압착홈 부분(37a·37a'·37b·37b') 및 제 2 압착홈 부분(37c·37c'·37d·37d')을 포함한다. 이 경우, 압착홈(37)이 길이 방향(L)의 앞쪽에, 압착홈(37')이 길이 방향(L)의 뒤쪽에 각각 존재한다. 그리고, 제 2 압착홈 부분(37a·37a'·37b·37b')은, 일체로서 보면, 구멍부 존재 영역(29)의 길이 방향(L)의 앞쪽의 바깥 가장자리(29E11)보다도 외측에 있어서, 구멍부 존재 영역(29)의 오른쪽의 바깥 가장자리(29E21)를 넘어 오른쪽으로 길고, 왼쪽의 바깥 가장자리(29E22)를 넘어 왼쪽으로 길다. 또, 제 2 압착홈 부분(37c·37c'·37d·37d')은, 일체로서 보면, 구멍부 존재 영역(29)의 길이 방향(L)의 뒤쪽의 바깥 가장자리(29E12)보다도 외측에 있어서, 구멍부 존재 영역(29)의 오른쪽의 바깥 가장자리(29E21)를 넘어 오른쪽으로 길고, 왼쪽의 바깥 가장자리(29E22)를 넘어 왼쪽으로 길다. 단, 제 2 압착홈 부분(37a·37a'·37b·37b', 37c·37c'·37d·37d')은, 상기의 조건(예시: 위치·형상)을 갖고 있으면, 구체적인 형상은 임의이다. 단, 각 압착홈이, 복수의 압착홈 부분이 간헐적으로 늘어서 있는 구성인 경우에는, 서로 이웃하는 압착홈 부분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흡수성 폴리머의 이동을 블록하는 관점에서, 서로 이웃하는 구멍부(10) 사이의 거리 이하로 한다. 또한, 외측에, 흡수성 폴리머의 이동을 블록하는 다른 압착홈(예시: 압착홈(38, 38'))이 있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본 변형예에서는, 한 쌍의 고평량 영역(9, 9')은, 한 쌍의 제 2 압착홈 부분(37a·37a'·37b·37b', 37c·37c'·37d·37d')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양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제 2 압착홈 부분(37a·37a'·37b·37b', 37c·37c'·37d·37d')은, 폭 방향(W)에 있어서, 구멍부 존재 영역(29)의 왼쪽 방향의 단 가장자리를 넘어 왼쪽 방향으로 길고, 오른쪽 방향의 단 가장자리를 넘어 오른쪽 방향으로 길다. 따라서, 고평량 영역(9, 9')의 흡수성 폴리머가 흡수체(12)의 구멍부 존재 영역(29)을 향하여 길이 방향(L)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압착홈(37, 37')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복수의 구멍부(10)로부터 흡수성 물품(1)의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다른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변형예는, 도 1의 경우와, 도 7의 경우의 조합이다. 즉, 고평량 영역(9)은, 한 쌍의 제 1 압착홈 부분(37a·37b·37c·37d, 37a'·37b'·37c'·37d')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양 외측, 및 한 쌍의 제 2 압착홈 부분(37a·37a'·37b·37b', 37c·37c'·37d·37d')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양 외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그것에 의해, 도 1의 경우 및 도 7의 경우의 양쪽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9∼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1)(생리용 패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전개한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10은 도 9의 흡수성 물품(1)의 변화의 양태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11은 도 9의 XI-XI 선을 따르는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2는 도 11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은, 폭 방향(W)에 있어서, 한 쌍의 압착홈(37, 37')의 내측의 영역인 배설구 대응 영역(4)과, 배설구 대응 영역(4)의 양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배설구 인접 영역(5, 5')을 추가로 구비한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설구 대응 영역(4)과, 한 쌍의 배설구 인접 영역(5, 5')과의 사이의 한 쌍의 경계의 위치는, 평면시에서, 한 쌍의 압착홈(37, 37')의 각각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최외측 단 가장자리의 위치를 통과하는 길이 방향(L)에 평행한 한 쌍의 가상선의 위치로 한다. 이 경우, 고평량 영역(9, 9')은, 한 쌍의 배설구 인접 영역(5, 5')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경계는, 한 쌍의 압착홈(37, 37') 또는 그 외측으로서, 흡수체(12)의 폭 방향(W)의 단 가장자리보다도 내측의 위치이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시트(8)는, 피부측에 위치하는 제 1 시트(8a)와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제 2 시트(8b)의 이층 구조를 갖는다. 제 1 시트(8a)는, 제 1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8)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폭 방향(W)으로 확대되어 있다. 즉, 폭 방향(W)의 양 단부가,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폭 방향(W)의 내측 또한 두께 방향(T)의 하측으로 되접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되접힌 양 단부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시트 부재)(13, 13')와, 길이 방향(L)으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접합부(49, 49')에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한 쌍의 접합부(49, 49')는, 예를 들면 평면시에서 폭 방향(W)에 있어서, 흡수체(12)의 한 쌍의 단 가장자리와 거의 겹치고 있다. 단, 한 쌍의 접합부(49, 49')는, 더욱 폭 방향(W)의 내측의 위치(한 쌍의 압착홈(37, 37')보다도 외측)여도 된다. 또한, 폭 방향(W)의 양 단부에는 이랑 홈 구조를 갖지 않는다. 한편, 제 2 시트는, 소위 세컨드 시트라고 일컬어지는 액체 투과성 시트이다. 제 2 시트(8b)는, 제 1 시트(8a)와 비교하여 폭 방향(W)으로 약간 작고, 제 2 시트(8b)의 폭 방향(W)의 양 단부는, 평면시에서, 흡수체(12)의 폭 방향(W)의 양 단부와 대체로 겹쳐 있다. 제 2 시트(8b)로는, 합성 섬유의 부직포, 예를 들면 에어스루 부직포를 들 수 있다. 그 평량은, 예를 들면 15g/㎡∼40g/㎡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홈부(43)는, 히트 엠보스 처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히트 엠보스 처리에서는, 표면 시트(8)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면 중,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부위가 두께 방향(T)으로 압축되고, 가열된다. 이것에 의해, 표면 시트(8)에는, 제 1 시트(8a) 및 제 2 시트(8b)를 일체화하고, 또한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부(43)가 형성되며, 홈부(43)의 사이에 이랑부(41)가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사이드 시트(13, 13')는 없어도 되고, 그 경우, 상술된 한 쌍의 사이드 시트(13, 13')의 형상으로 표면 시트(8)가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있으며, 한 쌍의 접합부(49, 49')로 흡수체(12)에 접합하면서 되접힌다.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8)에 의한 한 쌍의 루프부(45, 45')를 구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 쌍의 루프부(45, 45')는, 폭 방향(W)에 있어서, 제 1 시트(8a)에 있어서의 배설구 대응 영역(4)의 양측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표면 시트(8)를 양 외측을 향하여 루프상으로 불룩하게 한 중공(中空)의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루프부(45)에서는, 표면 시트(8)는, 폭 방향(W)에 있어서, 상기의 기점으로부터, 흡수체(12)의 단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의 배설구 인접 영역(5)을 향하여 돌출하고, 배설구 인접 영역(5)에 있어서 상기의 기점보다도 외측에 외측 단부(47)를 형성한다. 그리고, 표면 시트(8)는, 그 외측 단부(47)를 경유하면서, 그곳에서 루프상으로 느슨하게 되접히고, 외측 단부(47) 및 흡수체(12)의 단 가장자리보다도 내측에 있어서 접합부(49)를 종점으로 하여, 평면시에서 흡수체(12)의 위쪽의 사이드 시트(13)에 접합된다. 마찬가지로, 루프부(45')에서는, 표면 시트(8)는, 폭 방향(W)에 있어서, 상기의 기점으로부터, 흡수체(12)의 단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의 배설구 인접 영역(5')을 향하여 돌출하고, 배설구 인접 영역(5')에 있어서 상기의 기점보다도 외측에 외측 단부(47')를 형성한다. 그리고, 표면 시트(8)는, 그 외측 단부(47')를 경유하면서, 그곳에서 루프상으로 느슨하게 되접히고, 외측 단부(47') 및 흡수체(12)의 외측의 단 가장자리보다도 내측에 있어서 접합부(49')를 종점으로 하여, 평면시에서 흡수체(12)의 위쪽의 사이드 시트(13')에 접합된다. 또한, 각 루프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측단 가장자리(기점)부와 외측 단부(47)의 거리는, 각 루프부의 쿠션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38mm, 보다 바람직하게는 8∼30mm이다. 이와 같은 중공의 한 쌍의 루프부(45, 45')는 변형이 용이하다.
본 흡수성 물품(1)에서는, 고평량 영역(9, 9')의 두께 방향(T)의 위쪽으로부터 폭 방향(W)으로 튀어나오도록, 표면 시트(8)의 루프부(45, 45')(와 사이드 시트(시트 부재)(13, 13'))가 존재한다. 그 때문에, 착용자에 의한 폭 방향(W)의 내측을 향하는 체압을 받았을 때, 루프부(45, 45')(및 사이드 시트(13, 13'))가 흡수체(12)보다도 먼저 압축되어, 착용자의 체압에 의해 흡수체(12)가 폭 방향(W)으로 압축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막을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구멍부(10)가 폭 방향(W)으로 찌부러져, 구멍부(10)에 배설물을 넣을 수 없게 되어, 흡수 속도나 흡수 용량이 저하된다는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 고평량 영역(9, 9')에 집약된 배설물이, 착용자의 체압에 의해 리웨트되는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이 착용자의 쇼츠(55)에 장착되면, 흡수성 물품(1)의 한 쌍의 루프부(45, 45')가 흡수체(12)보다도 외측으로 밀어내어, 흡수체(12)의 폭 방향(W)의 한 쌍의 단 가장자리를 덮게 된다. 그와 같은 쇼츠(55)가 착용자에게 착용되어, 흡수성 물품(1)이 착용자의 양 다리의 대퇴부(Q, Q')에서 폭 방향(W)으로 끼여, 흡수성 물품(1) 또는 흡수체(12)가 착용자의 가랑이부의 형상을 따라 변형할 때, 한 쌍의 루프부(45, 45')는 변형이 용이하므로, 흡수체(12)의 변형에 추종하여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한 쌍의 루프부(45, 45')는, 착용자의 가랑이부와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각 루프부와 가랑이부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그 틈으로부터 체액이 새는, 즉 옆으로 샌다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또, 흡수체(12)보다도 피부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루프부(45, 45')는, 완충재의 기능을 하여, 착용자에게 대퇴부(Q, Q')에서 유연성이나 탄력성을 느끼게 하고, 흡수체(12)의 경도를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즉, 착용자는, 대퇴부(Q, Q')가 흡수성 물품(1)을 폭 방향(W)으로 밀어 눌러, 흡수체(12)에 맞닿기 전에 한 쌍의 루프부(45, 45')에 맞닿았을 때, 한 쌍의 루프부(45, 45')의 유연성이나 탄력성(쿠션성)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착용자는, 대퇴부(Q, Q')가 흡수성 물품(1)을 폭 방향(W)으로 더욱 밀어 눌러 흡수체(12)에 맞닿을 때까지, 한 쌍의 루프부(45, 45')의 유연성이나 탄력성을 서서히 보다 강하게 느껴간다. 그 결과, 착용자는, 대퇴부(Q, Q')가 흡수체(12)에 맞닿을 때, 한 쌍의 루프부(45, 45')를 통하지 않고 흡수체(12)에 갑자기 맞닿는 경우와 비교하여, 대퇴부(Q, Q')에서 흡수체(12)의 경도를 느끼기 어려워진다. 즉, 본 흡수성 물품(1)의 상기 구성에 의해, 흡수체(12)의 경도를 착용자의 양 다리의 대퇴부(Q, Q')에 전해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루프부(45, 45')는 흡수체(12)보다도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대퇴부(Q, Q')가 흡수성 물품(1)을 폭 방향(W)으로 밀어 누르면, 한 쌍의 루프부(45, 45')는 착용자의 대퇴부(Q, Q')의 형상에 따라, 폭 방향(W)으로 찌부러지도록 유연하게 변형하기 쉬워, 그 변형이 흡수체(12)에 의해 저해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착용자는, 대퇴부(Q, Q')에서의 한 쌍의 루프부(45, 45')의 유연성이나 탄력성을 보다 느낄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루프부(45, 45')의 각각은, 각 루프부의 제 1 시트(8a)에 있어서의 외측에 면(面)한 표면인 외면(ES)과, 내측에 면한 표면인 내면(IS)을 갖는다. 그리고, 한 쌍의 루프부(45, 45')의 각각에서는, 내면(IS)의 임의의 부분은 다른 부분과 접합하고 있지 않고, 그 내부 공간에 일정 정도의 공기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루프부(45, 45')의 각각은, 폭신한 감촉을 갖고, 착용자가 양 다리의 대퇴부(Q, Q')에서 흡수성 물품(1)을 폭 방향(W)으로 밀어 눌러도 흡수체(12)의 경도를 감지하기 어렵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쿠션성 기능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기재된 높이·두께 등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측정 대상의 높이·두께>
측정 대상의 높이·두께의 측정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 흡수성 물품을, 측정 대상 영역을 중심으로 30mm×30mm의 크기로 잘라서 시료로 한다. (2) 레이저 변위계((주) 키엔스사 제조 고정밀도 2차원 레이저 변위계 LJ-G 시리즈(형식: LJ-G030))를 이용하여, 이하의 비접촉 방식으로 측정을 행한다. 즉, 시료를 수평의 측정대의 위에 두고, 다른 5개의 부위에 대하여, 측정대로부터의 변위를 레이저 변위계로 측정한다. (3) 5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당해 대상물의 높이 또는 두께(mm)로 한다.
<측정 대상의 거리>
측정 대상 간의 거리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 흡수성 물품을, 측정 대상 영역을 중심으로 20×40mm의 크기로 잘라서 시료로 한다. (2) X선 투시 장치 FLEX-M863을 이용하여, 시료의 360도 스캔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시료를 0.2도 회전시킬 때마다 X선 투시 화상을 촬영하여, 360도 만큼, 즉 1800장의 X선 투시 화상을 취득하고, 취득한 1800장의 X선 투시 화상을 서로 연결하여 3D 화상을 작성한다. (3) 3D 화상으로부터 측정 대상을 포함하는 단면도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면도로부터 측정 대상의 거리를 측정했다.
<측정 대상의 깊이>
깊이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측정 대상 영역을 중심으로 소정 크기의 시료를 잘라낸다. (2) 삼차원 측정기((주) 키엔스사 제조 고정밀도 형상 측정 시스템(고정밀도 스테이지: KS-1100을 포함한다))와, 고속·고정밀도 CCD 레이저 변위계(컨트롤러: LK-G3000V 세트, 센서 헤드: LK-G30을 포함한다)를 이용하여, 시료의 단면 형상을 측정한다. (3) 측정한 단면 형상에 화상 데이터 처리를 행하고, 스무딩 처리가 실시된 단면 형상의 윤곽선을 얻는다. (4) 얻어진 윤곽선에 의거하여 단면 형상의 윤곽선을 특정하고, 단면 형상의 윤곽 선으로부터 얻어지는 각 부위의 치수에 의거하여 깊이를 구한다.
<시트의 평량>
각 시트(흡수층을 포함한다)의 평량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 시트로부터 5cm×5cm의 크기의 부분을 잘라내어 시료로 한다. (2) 시료에 대하여, 100℃ 이상의 공기 분위기에서 건조 처리를 행한다. (3) 시료의 질량을 측정한다. (4) 질량의 측정치를 시료의 면적으로 나눗셈하여 시료의 평량을 산출한다. (5) 10개의 시료의 평량을 평균한 값을 시트의 평량으로 한다. 상기에서 특별히 규정하지 않는 측정 조건에 대해서는, ISO 9073-1 또는 JIS L 1913 6.2에 기재한 측정 조건을 채용했다.
<시트의 두께>
각 시트(흡수층을 포함한다)의 두께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 시트로부터 5cm×5cm의 크기의 부분을 잘라내어 시료로 한다. (2) 시료에 대하여, 100℃ 이상의 공기 분위기에서 건조 처리를 행한다. (3) 15㎠의 측정자를 구비한 후도계(厚度計)((주) 다이에이 가가쿠 세이키 세이사쿠쇼 제조 형식 FS-60DS)를 이용하여, 3g/㎠의 측정 하중의 조건으로 시트의 두께를 측정한다. (4) 1개의 시료로 3개소의 두께를 측정하고, 3개소의 두께의 평균치를 시트의 두께로 한다. 또한 시트의 두께는 X선 투시 화상에 의한 3D 화상으로부터 구해도 된다.
<시트의 섬유 밀도>
각 시트(흡수층을 포함한다)의 섬유 밀도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 상기 방법으로 시트의 평량 및 시트의 두께를 구한다. (2) 시트의 평량을, 시트의 두께로 나눗셈하여 시트의 섬유 밀도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목적,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조합이나 변경 등이 가능하다.
1: 흡수성 물품 8: 표면 시트
9, 9': 고평량 영역 10: 구멍부
12: 흡수체 12a: 코어 랩
12b: 흡수성 코어 29: 구멍부 존재 영역
37, 37': 압착홈 90: 흡수성 폴리머

Claims (11)

  1.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설치되며, 흡수성 코어와 상기 흡수성 코어의 적어도 피부면측을 덮는 코어 랩을 포함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표면 시트를 관통하여, 상기 흡수체의 내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구멍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흡수체가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복수의 구멍부가 존재하는 구멍부 존재 영역과,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한쪽의 양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흡수체의 피부측의 상기 코어 랩과 상기 흡수성 코어와, 또는, 상기 표면 시트와 당해 코어 랩과 상기 흡수성 코어를 압착한 한 쌍의 압착홈과,
    상기 한 쌍의 압착홈에 있어서의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과는 반대측의 양 외측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흡수체의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이,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보다도 높은 고(高)평량 영역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전후(前後) 방향이고,
    상기 한 쌍의 압착홈은,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의 양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한 쌍의 제 1 압착홈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평량 영역은, 상기 한 쌍의 제 1 압착홈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의 양 외측에 적어도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제 1 압착홈 부분은,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의 상기 전(前) 방향의 단 가장자리(端緣)를 넘어 상기 전 방향으로 길고, 상기 후(後) 방향의 단 가장자리를 넘어 상기 후 방향으로 긴, 흡수성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좌우(左右) 방향이고,
    상기 한 쌍의 압착홈은,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한 쌍의 제 2 압착홈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평량 영역은, 상기 한 쌍의 제 2 압착홈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 외측에 적어도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제 2 압착홈 부분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의 상기 좌(左) 방향의 단 가장자리를 넘어 상기 좌 방향으로 길고, 상기 우(右) 방향의 단 가장자리를 넘어 상기 우 방향으로 긴, 흡수성 물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상기 두께 방향의 하측의 부분과, 상기 두께 방향의 상측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의 부분은, 상기 상측의 부분보다도,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밀도가 높은, 흡수성 물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은, 착용자의 배설구가 맞닿는 배설구 맞닿음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멍부는, 상기 흡수체가 비피부측으로 관통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멍부의 각각은, 상기 두께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상기 두께 방향으로 일정하고, 정원(正圓) 형상인, 흡수성 물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멍부의 각각은, 측면이 상기 이면 시트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멍부의 각각에 있어서의 측면을 소정의 두께로 둘러싸는 측면 영역에서의 상기 흡수체의 섬유 밀도는, 상기 측면 영역과 인접하는 주위 영역에서의 상기 흡수체의 섬유 밀도와 동일한, 흡수성 물품.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 존재 영역의 상기 흡수체에는, 상기 흡수성 폴리머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흡수성 물품.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압착홈의 내측의 영역인 배설구 대응 영역과,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배설구 대응 영역의 양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배설구 인접 영역을 추가로 갖고,
    상기 고평량 영역은, 상기 한 쌍의 배설구 인접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표면 시트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배설구 대응 영역의 양측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위치를 한 쌍의 기점으로 하여, 상기 한 쌍의 배설구 인접 영역을 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흡수체의 양 단 가장자리보다도 양 외측에 존재하는 한 쌍의 외측 단부를 경유하며, 또한, 상기 한 쌍의 외측 단부보다도 내측에 있어서 한 쌍의 접합부를 한 쌍의 종점으로 하여, 평면시(平面視)에서 상기 흡수체의 위쪽의 시트에 접합되어 있는, 한 쌍의 루프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KR1020197008337A 2016-11-30 2016-11-30 흡수성 물품 KR101998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5646 WO2018100703A1 (ja) 2016-11-30 2016-11-30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928A KR20190035928A (ko) 2019-04-03
KR101998203B1 true KR101998203B1 (ko) 2019-07-09

Family

ID=62242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337A KR101998203B1 (ko) 2016-11-30 2016-11-30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62819B1 (ko)
KR (1) KR101998203B1 (ko)
CN (1) CN110035731B (ko)
WO (1) WO20181007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9889A1 (ja) * 2019-03-06 2020-09-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827493B2 (ja) * 2019-05-10 2021-02-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4038676A (ja) * 2022-09-08 2024-03-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吸収性物品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457A (ja) 1998-09-18 2000-04-04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02165834A (ja) 2000-11-30 2002-06-11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08284190A (ja) 2007-05-18 2008-11-27 Oji Nepia Kk 吸収性物品
US20120220972A1 (en) 2009-11-13 2012-08-30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2013111356A (ja) 2011-11-30 2013-06-10 Daio Paper Corp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14068956A (ja) 2012-09-30 2014-04-21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5963961B2 (ja) 2013-06-28 2016-08-0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63522A (en) * 2010-12-24 2017-09-15 Kao Corp Absorbent body and absorbent articl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457A (ja) 1998-09-18 2000-04-04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02165834A (ja) 2000-11-30 2002-06-11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08284190A (ja) 2007-05-18 2008-11-27 Oji Nepia Kk 吸収性物品
US20120220972A1 (en) 2009-11-13 2012-08-30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2013111356A (ja) 2011-11-30 2013-06-10 Daio Paper Corp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14068956A (ja) 2012-09-30 2014-04-21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5963961B2 (ja) 2013-06-28 2016-08-0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100703A1 (ja) 2018-11-29
JP6362819B1 (ja) 2018-07-25
KR20190035928A (ko) 2019-04-03
WO2018100703A1 (ja) 2018-06-07
CN110035731B (zh) 2020-10-27
CN110035731A (zh) 2019-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866B1 (ko) 흡수성 제품
TWI660718B (zh) Absorbent article
AU2010313991B2 (en) Absorbent article with annular absorbent member
CN106794085B (zh) 吸收性物品
TWI555520B (zh) Absorbent items
US20100057031A1 (en) Absorptive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14083934A1 (ja) 吸収性物品
JP2010119454A (ja) 吸収性物品
KR102557730B1 (ko) 흡수 용품
JP2009519098A (ja) 吸収性用品
KR101998203B1 (ko) 흡수성 물품
CN107847374B (zh) 吸收性物品
CN109195559B (zh) 吸尿垫
CN109715115B (zh) 吸收性物品
JP2014100201A (ja) 吸収性物品
KR102570212B1 (ko) 흡수성 물품
JP2019118487A (ja) 吸収性物品
JP6886798B2 (ja) 吸収性物品
JP6620004B2 (ja) 吸収性物品
CN115916129B (zh) 吸收性物品
KR102631170B1 (ko)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CN111374826A (zh) 吸收性物品
JP6153291B2 (ja) 使い捨ておむつ
TW201821043A (zh) 吸收性物品
TWI758380B (zh) 吸收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