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033B1 -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033B1
KR101998033B1 KR1020180126417A KR20180126417A KR101998033B1 KR 101998033 B1 KR101998033 B1 KR 101998033B1 KR 1020180126417 A KR1020180126417 A KR 1020180126417A KR 20180126417 A KR20180126417 A KR 20180126417A KR 101998033 B1 KR101998033 B1 KR 101998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anel module
base
bracket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1020180126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 E04F21/183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for setting a plurality of simi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8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for tilting the lo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7Tool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up plates, panels or slab shaped bui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간단한 방법으로 건물의 외벽 마감공사의 기간을 단축하는 건축용 판넬및하지 모듈화 공급장치를 제시한다. 그 장치는 하지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브라켓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가로격자 및 세로격자가 격자 모양으로 결합되어 이루지는 탑재부와, 탑재부를 지탱하고 탑재부와 힌지 결합을 하는 받침대와, 탑재부 상에 부착된 링크 및 받침대와 탑재부 사이에 위치하여 탑재부를 들어올리고 들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Apparatus of supplying panel module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판넬 모듈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벽 마감공사를 위하여, 하지 및 판넬이 결합된 판넬 모듈을 제공하는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판넬은 주택의 건축이나 공장 등의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건축용 판넬은 조립식으로서 간편한 시공으로 인해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용 판넬은 내부에 단열재에 금속 재질의 마감판이 부착되고, 상기 마감판의 일측에는 외벽과의 연결을 위한 하지가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지가 부착된 건축용 판넬을 판넬 모듈이라고 한다.
현재, 판넬 모듈의 설치는 하지를 먼저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하고, 그후 예를 들어 국내등록특허 제10-1193496호 등과 유사한 리프팅 장치를 활용하여 판넬을 들어 올려 상기 하지에 부착하고 있다. 종래의 판넬 모듈 설치방법은 하지와 판넬을 별도로 설치하므로, 판넬을 리프팅 크레인장비로 들고 고소작업대를 사용하여 설치를 하고 있다. 하는 같이 작업이 복잡하고 고소작업으로 인한 안정성문제가, 아직도 공사기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작업자에 안전성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판넬 및 하지철물 모듈을 간단한 방법으로 건물의 외벽에 제공하여 공사기간을 단축 및 작업자의 안정성보장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단한 방법으로 건물의 외벽 마감공사의 기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안정성문제를 해결하고자 건축용 판넬및하지철물 모듈화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건축용 판넬및하지철물 모듈 공급장치는 하지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브라켓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가로격자 및 세로격자가 격자 모양으로 결합되어 이루지는 탑재부와, 상기 탑재부를 지탱하고 상기 탑재부와 힌지 결합을 하는 받침대와, 상기 탑재부 상에 부착된 링크 및 상기 받침대 및 상기 탑재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탑재부를 들어올리고 들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하지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하지를 지지하는 하지 지지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지 지지부는 상기 링크를 수용하는 링크 수용부, 상기 하지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부 및 상기 하지의 일측에 삽입되는 하지 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 수용부의 내측에는 베어링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탑재부에 대하여 수직인 수직 가이드롤러 또는 상기 탑재부에 대하여 수평인 수평 가이드롤러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탑재부의 가로격자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브라켓 롤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는 유압 방식 또는 와이어 방식 중의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탑재부 상부에는 상기 받침대 양측의 세로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작업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작업대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작업대 롤러에 의해 상기 탑재부의 세로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탑재부를 제1 각도(θ1)로 회전하여 들어올리고, 상기 링크는 상기 하지 지지부에 고정된 판넬및하지철물 모듈을 제2 각도(θ2)로 회전하여 직립시키며, 상기 제1 각도(θ1)는 상기 제2 각도(θ2)에 비해 작다.
본 발명의 건축용 판넬 및 하지철물 모듈화 공급장치에 의하면, 판넬 및 하지철물 모듈을 지면에서 별도로 제작하여 공급함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건물의 외벽에 제공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는것에 목적이있으며. 또한, 작업대를 활용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판넬 및 하지철물 모듈화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급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브라켓 및 그에 관련된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하지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판넬 및 하지철물 모듈화 공급장치를 활용하여 판넬 모듈이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공급장치는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공급장치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판넬 및 하지철물 모듈을 지면에서 별도로 제작하여 공급함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건물의 외벽에 제공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판넬및하지철물 모듈 공급장치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지면에서 하지와 판넬이 결합된 판넬 모듈을 제작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상기 장치를 활용하여 판넬 모듈을 공급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판넬 모듈은 하지와 건축용 판넬이 결합된 것이다. 여기서, 지면은 공간적으로 건물의 외벽과는 대비되는 개념이다. 왜냐하면, 본 발명은 판넬 모듈을 지면에서 제작하지만, 종래에는 건물의 외벽에서 조립하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급장치(100)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받침대(10), 탑재부(20), 링크(30) 및 리프터(40)를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탑재부(20)의 상부에는 작업대(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받침대(10)은 본 발명의 공급장치(100)를 지탱하며, 사각 형태가 바람직하며, 가로틀(10a) 및 세로틀(10b)이 격자 모양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받침대(10) 및 지면 사이에는 받침대 지지대(11)가 배치된다. 받침대 지지대(11)는 잭스크류(jackscrew)와 같이 받침대(10)의 수평을 조절하는 기구가 채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잭스크류의 레버를 회전시켜 받침대(10)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놓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잭스크류는 수평을 조절하는 기능을 부여하는 사례 중의 하나로 제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른 방식, 예컨대 유압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탑재부(20)는 받침대(10) 상에 놓이며, 사각 형태가 바람직하며, 복수개의 가로격자(20a) 및 세로격자(20b)이 격자 모양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탑재부(20)는 힌지(21)에 의해 받침대(10)에 접속된다. 힌지(21)는 이를 지지하는 힌지 지지부(22)에 결속된다. 힌지 지지부(22)는 받침대(10)에 고정된다. 탑재부(20)가 받침대(10)에 힌지 결합함으로써, 탑재부(20)는 받침대(10)에 대하여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힌지(21)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힌지 지지부(22)를 향하는 면은 곡면을 이룬다. 리프터(40)로 탑재부(20)를 들어 올리면, 탑재부(20)는 힌지(2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복수개의 가로격자(20a)의 일부에는 하지(PS)가 삽입되는 브라켓(23)이 설치된다. 하지(PS)는 판넬이 결합되면서 건물의 외벽에 부착되며, 파이프(pipe)와 같은 봉(rod) 형상을 가진다. 하지(PS)는 도면에서 빈 공간이 있는 파이프(pipe) 형상의 하지(PS)를 제시하였지만, 빈 공간이 없는 막대(rod) 형태일 수도 있다. 하지(PS)는 사각 형상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형상, 예컨대 원통 형상일 수도 있다. 브라켓(23)은 받침대(10)과 연결되는 링크(30)에 인접하는 가로격자(20a)를 제외한 나머지 가로격자(20a)에 복수개가 설치된다. 브라켓(23)의 개수는 삽입되는 하지(PS)의 개수, 탑재부(20)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브라켓(23) 및 그에 관련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에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링크(30)는 원통형의 바(bar)로써, 양측은 링크 고정부(34)에 의해 탑재부(20)에 결합된다. 링크 고정부(34)는 링크(30)를 탑재부(20)에 결합시키면서, 링크(3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링크 고정부(34)에는 링크(30)를 기계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링크(30)에는 하지(PS)가 삽입되는 하지 지지부(35)가 설치된다. 하지 지지부(35)는 하지(PS)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하지 지지부(35)는 링크(3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운동을 하며, 동시에 링크(30)를 따라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하지 지지부(35)에 대해서는 추후에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리프터(40)는 받침대(10) 및 탑재부(20) 사이에서 설치되며, 탑재부(20)를 들어올리고, 들린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리프터(40)를 가동시키면, 탑재부(20)는 리프터(40)의 동작에 의해 힌지(21)에 의한 회전으로 들려진다. 리프터(40)는 탑재부(20)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들린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 일정시간은 본 발명의 공급장치가 적용되는 작업환경, 공급장치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부합하도록 설정된다.
리프터(40)는 탑재부(20)를 들어올리고, 들린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충분하게 수행하는 정도이면, 그 방식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리프터(40)는 유압 방식, 와이어 방식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유압 방식은 유압을 이용하여 탑재부(20)를 들어올리고, 상기 와이어 방식은 와이어로 탑재부(20)를 당겨서 들어올린다. 도면에서는 유압 방식의 유압실린더를 사례로 제시하였다. 즉, 유압을 이용하여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또는 플런저(pluger)의 왕복운동을 유도하여, 탑재부(20)를 들어올리고, 작업을 마치면 탑재부(20)를 원래의 상태로 끌어내린다.
탑재부(20)는 리프터(40)에 의해 힌지(2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하지 지지부(35)는 링크(3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하지 지지부(35)는 탑재부(20)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링크(30)의 회전을 위해, 링크 고정부(34)에는 링크(30)를 기계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작업대(50)는 탑재부(20) 양측의 세로틀(20b) 상에 설치된 레일(52)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작업대 롤러(51)에 의해 탑재부(20)의 세로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한다.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탑재부(20)의 세로틀(20b)는 수m ~ 수십m 길이의 규모를 가질 수 있다. 작업대(50)는 작업자가 탑재부(20) 상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하지(PS)를 탑재부(20)의 브라켓(23) 및 하지 지지부(35)에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을 높인다. 또한, 작업대(50)를 활용하면, 하지(PS)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작업대(50)가 없으면, 작업자는 받침대(10) 및 탑재부(20)의 빈 공간을 움직이면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걸려 넘어지는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브라켓(23) 및 그에 관련된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때, 브라켓(23)이 채용되는 공급장치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브라켓(23)은 브라켓 몸체(23a), 수직 가이드롤러(23b) 및 수평 가이드롤러(23c)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몸체(23a)는 하지(PS)가 삽입될 수 있도록 육면체의 양 측면 및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다만, 상기 상면은 수직 가이드롤러(23b)가 설치되도록 브라켓 몸체(23a)의 내측으로 일부가 절곡되어 있다. 수직 가이드롤러(23b)는 브라켓 몸체(23a) 중에서 개방되지 않은 양 측면에 배치된다. 수평 가이드롤러(23c)는 브라켓 몸체(23a) 중에서 저면에 배치된다.
수직 및 수평 가이드롤러(23b, 23c)는 하지(PS)가 브라켓(23)에서 원활하게 움직이게 한다. 수직 및 수평 가이드롤러(23b, 23c)가 없으면, 하지(PS)는 작업자의 힘으로만 움직여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이 떨어진다. 수직 및 수평 가이드롤러(23b, 23c)를 채용하면, 작업자가 사용하는 힘을 최대한으로 줄여서 작업의 효율을 높인다. 여기서는, 수직 및 수평 가이드롤러(23b, 23c)가 장착된 경우를 제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수직 및 수평 가이드롤러(23b, 23c)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장착할 수 있다. 예컨대, 수평 가이드롤러(23c)는 생략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및 수평이란 탑재부(20)를 기준으로 설정된다.
브라켓 몸체(23a)의 저면에는 브라켓(23)을 탑재부(20)의 가로격자(20a)를 따라 이동시키는 브라켓 롤러(25)가 장착된다. 브라켓 롤러(25)는 롤러 지지대(24)을 통하여 상기 저면에 고정된다. 브라켓 롤러(25)가 가로격자(20a)를 따라서 이동하면, 인접하는 브라켓(23)과의 간격이 조절된다. 인접하는 브라켓(23)과의 간격이 조절되면, 하지(PS) 사이의 간격도 함께 조절된다. 브라켓 롤러(25)가 없으면, 브라켓(23)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작업자의 힘으로만 브라켓(23)을 움직여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이 떨어진다. 브라켓 롤러(25)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힘을 최대한으로 줄여서 작업의 효율을 높인다.
도 4는 도 1의 하지 지지부(35)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때, 하지 지지부(35)가 채용되는 공급장치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하지 지지부(35)는 링크(30)를 수용하고 안쪽에 베어링 구조체(31a)가 구비된 링크 수용부(31), 하지(PS)의 일측에 삽입되는 하지 삽입부(33) 및 링크 수용부(31)와 하지 삽입부(33)을 접속하고, 하지(PS)를 지지하는 걸림턱부(32)로 이루어진다. 링크 수용부(31)의 베어링 구조체(31a)는 하지 지지부(35)가 링크(30)를 따라 쉽게 움직이게 하고, 추후에 하지(PS)가 용이하게 회전하게 한다. 즉, 하지(PS)는 하지 삽입부(33)를 삽입하고, 걸림턱부(32)에 걸려서 고정된다.
하지(PS)의 일측은 하지 삽입부(33)에 삽입한 다음에, 브라켓(23)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하지 지지부(35)는 링크(30)를 회전축으로 하여 탑재부(20)의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들어 올린 후에 하지(PS)의 일측에 하지 삽입부(33)를 삽입한다. 그후, 하지 지지부(35)를 탑재부(20)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하지(PS)를 브라켓(23)에 삽입한다. 베어링 구조체(31a)는 하지 지지부(35)가 링크(30)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도와준다. 또한, 하지 지지부(35)와 브라켓(23)은 일직선을 이루어야 하므로, 하지 지지부(35)는 브라켓(23)의 위치에 부합하도록 링크(30)를 따라 이동하기도 한다. 이때, 베어링 구조체(31a)는 하지 지지부(35)를 링크(30)를 따라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100)를 활용하여 판넬 모듈을 공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이때, 판넬 모듈 공급장치(1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이 공급장치(100)를 활용하여 하지(PS)를 탑재부(20)의 브라켓(23)에 고정시킨다. 그후, 판넬(PN)을 하지(PS)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지(PS)가 결합된 판넬(PN)을 통칭하여 판넬 모듈(PO)이라고 한다. 판넬 모듈(PO)은 건물의 외벽에 부착된다. 하지(PS)를 탑재부(20)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탑재부(20)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놓인 바닥상태이다. 하지(PS)에 판넬(PN)을 부착하는 과정은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하지(PS)를 탑재부(20)에 고정시키고 판넬(PN)을 결합하는 과정은 작업대(50)를 활용할 수 있다.
도 6에 의하면, 판넬 모듈(PO)이 완성되면, 탑재부(20)를 리프터(40)를 이용하여 들어올린다. 탑재부(20)는 판넬 모듈(PO)이 탑재된 상태에서, 리프터(40)는 힌지(21)를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제1 각도(θ1)만큼 들어올린다. 리프터(40)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유압실린더를 예로 들었다. 판넬 모듈(PO)을 제1 각도(θ1)로 들어올리는 것은 판넬 모듈(PO)을 공급하기 위한 예비 단계이다. 왜냐하면, 판넬 모듈(PO)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판넬 모듈(PO)이 탑재부(20)로부터 분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제1 각도(θ1)는 작업의 편의에 맞추어 결정되며, 약 60도 정도가 좋다.
도 7에 의하면, 판넬 모듈(PO)은 탑재부(20)의 브라켓(23)으로부터 분리되어 직립된다. 판넬 모듈(PO)이 직립하면, 약 90도에 근접한 제2 각도(θ)를 이룬다. 링크(30)에 의해 판넬 모듈(PO)을 강제로 회전시키면, 판넬 모듈(PO)은 브라켓(23)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리프터(40)는 탑재부(20)가 제1 각도(θ1)를 유지하도록 탑재부(20)를 견고하게 붙잡고 있다. 즉, 리프터(40)는 탑재부(20)를 들어올리고, 들린 상태인 제1 각도(θ1)를 유지한다. 물론, 판넬 모듈(PO)을 상기 바닥상태에서 제2 각도(θ2)로 직접 들어올릴 수 있으나, 이렇게 되면 링크(30)의 회전을 위한 부하가 지나치게 커서 링크(30)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리프터(40)로 제1 각도(θ1)를 유지하는 이유는 링크(30)의 제2 각도(θ2)로의 회전에 대한 부하를 최대한으로 줄이기 위한 것이다.
판넬 모듈(PO)이 제2 각도(θ2)로 직립되면, 판넬 모듈(PO)은 하지 지지부(35)에 거치된 상태가 된다. 판넬 모듈(PO)이 직립되면, 판넬 모듈(PO)의 하중에 의해 하지 지지부(35)가 훼손될 수 있으므로, 제2 각도(θ2)는 90도에 근접하여 하지 지지부(35), 실질적으로는 걸림턱부(32)에는 수직항력만 작용하게 하는 것이 좋다. 만일, 제2 각도(θ2)가 90도를 크게 벗어나면, 하지 지지부(35)에는 수직항력 이외에 수평방향의 응력이 작용하여, 하지 지지부(35)가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각도(θ2)는 90도로 직립하는 것이 좋다. 판넬 모듈(PO)이 직립하면, 크레인과 같은 리프팅 기기를 투입하여 판넬 모듈(PO)을 건물의 외벽으로 공급한다. 이때, 제1 및 제2 각도(θ1, θ2) 사이의 공간은 상기 리프팅 기기가 작업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100)는 판넬 모듈을 지면에서 제작하여 공급함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건물의 외벽에 제공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하지와 판넬을 별도로 설치하므로, 판넬을 별도의 리프팅 기기(예컨대, 크레인)로 하지까지 들어올려서 부착해야 하는 등과 같이 작업이 복잡하고, 공사기간이 상대적으로 길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공급장치(100)는 하지와 판넬이 결합된 판넬 모듈을 크레인 등으로 들어올려서 직접 외벽에 부착되도록 하기 때문에, 작업이 간단하고 공사기간을 상당히 단축시킬수있으며 작업자에 안전성을 보장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받침대 10a; 가로틀
10b; 세로틀 11; 받침대 지지대
20; 탑재부 20a; 가로격자
20b; 세로격자 21; 힌지
22; 힌지 지지대 23; 브라켓
23a; 브라켓 몸체 23b; 수직 가이드롤러
23c; 수평 가이드롤러 24; 롤러 지지대
25; 브라켓 롤러 30; 링크
31; 링크 수용부 31a; 베어링 구조체
33; 하지 삽입부 35; 하지 지지부
40; 리프터 50; 작업대
51; 작업대 롤러 52; 레일

Claims (10)

  1. 하지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브라켓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가로격자 및 세로격자가 격자 모양으로 결합되어 이루지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를 지탱하고 상기 탑재부와 힌지 결합을 하는 받침대;
    상기 탑재부에 부착된 링크; 및
    상기 받침대 및 상기 탑재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탑재부를 들어올리고 들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하지의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하지를 지지하는 하지 지지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 지지부는 상기 링크를 수용하는 링크 수용부, 상기 하지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부 및 상기 하지의 일측에 삽입되는 하지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수용부의 내측에는 베어링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탑재부에 대하여 수직인 수직 가이드롤러 또는 상기 탑재부에 대하여 수평인 수평 가이드롤러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탑재부의 가로격자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브라켓 롤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유압 방식 또는 와이어 방식 중의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 상부에는 상기 받침대 양측의 세로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작업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작업대 롤러에 의해 상기 탑재부의 세로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탑재부를 제1 각도(θ1)로 회전하여 들어올리고, 상기 링크는 상기 하지 지지부에 고정된 판넬 모듈을 제2 각도(θ2)로 회전하여 직립시키며, 상기 제1 각도(θ1)는 상기 제2 각도(θ2)에 비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
KR1020180126417A 2018-10-23 2018-10-23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 KR101998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417A KR101998033B1 (ko) 2018-10-23 2018-10-23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417A KR101998033B1 (ko) 2018-10-23 2018-10-23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033B1 true KR101998033B1 (ko) 2019-07-08

Family

ID=67256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417A KR101998033B1 (ko) 2018-10-23 2018-10-23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0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858A (ko) *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삼우이앤아이 모듈형 외장재 설치용 거푸집 및 이를 갖는 차륜형 거푸집 작업장치 및 이를 사용한 모듈형 외장재 설치 공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04659A (ja) * 1988-06-14 1990-12-27 住金鋼材工業株式会社 足場
KR20170076341A (ko) * 2015-12-24 2017-07-04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탈부착 및 이동이 용이한 구명줄 고정구
KR20180069458A (ko) * 2016-12-15 2018-06-25 삼성물산 주식회사 조립벽체 유닛 설치장비 및 이를 이용한 조립벽체 유닛을 설치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04659A (ja) * 1988-06-14 1990-12-27 住金鋼材工業株式会社 足場
KR20170076341A (ko) * 2015-12-24 2017-07-04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탈부착 및 이동이 용이한 구명줄 고정구
KR20180069458A (ko) * 2016-12-15 2018-06-25 삼성물산 주식회사 조립벽체 유닛 설치장비 및 이를 이용한 조립벽체 유닛을 설치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858A (ko) *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삼우이앤아이 모듈형 외장재 설치용 거푸집 및 이를 갖는 차륜형 거푸집 작업장치 및 이를 사용한 모듈형 외장재 설치 공정
KR102502713B1 (ko) * 2021-02-24 2023-02-23 주식회사 삼우이앤아이 모듈형 외장재 설치용 거푸집 및 이를 갖는 차륜형 거푸집 작업장치 및 이를 사용한 모듈형 외장재 설치 공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5098C (zh) 地下预埋立柱高精度智能调垂系统及安装施工方法
CN110005072A (zh) Pc外挂墙板连接结构及pc外挂墙板的安装方法
KR101998033B1 (ko) 건축용 판넬 모듈 공급장치
CN112554549A (zh) 一种圆弧形壳体板的模板支撑结构及施工方法
CN112282073A (zh) 竖向作动器的埋件及其施工方法
CN111058653A (zh) 一种组合式构件支撑工装系统及其施工方法
CN210146855U (zh) 一种便捷式钢筋折弯装置
JP6045741B1 (ja) 太陽電池パネル施工方法
CN213297151U (zh) 一种砌筑架
CN210536214U (zh) 一种电缆桥架用改进型支架
JPH0849235A (ja) 構真柱建て込み工法における傾斜調整装置
CN208604911U (zh) 一种新型悬吊梁支架
KR20220126404A (ko) 벽면패널 부착용 보조 장치
CN112095875A (zh) 钢筋结构建筑新型叠合楼板的快速支撑体系及其施工工艺
CN110847352A (zh) 一种螺栓球网架檩条拼装施工方法
JP5799547B2 (ja) エレベーターの設置方法及び昇降機の設置方法
JP4351969B2 (ja) 復水器据え付け方法およびガイドレール
KR20120079369A (ko) 무정전 및 무이설 방식의 이중바닥 보강장치
CN210369830U (zh) 折叠可拆卸脚手架
CN220166945U (zh) 具有调节结构的基坑支护结构
CN220847617U (zh) 一种基坑支护用防护桩
CN213536959U (zh) 一种电梯门安装结构
KR20190002012A (ko) 철근 구조물 로딩장치
KR102332640B1 (ko) 모듈식 건축을 위한 고중량물 자가인양장치
KR102502713B1 (ko) 모듈형 외장재 설치용 거푸집 및 이를 갖는 차륜형 거푸집 작업장치 및 이를 사용한 모듈형 외장재 설치 공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