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715B1 - 반죽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반죽기. - Google Patents

반죽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반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715B1
KR101996715B1 KR1020170044197A KR20170044197A KR101996715B1 KR 101996715 B1 KR101996715 B1 KR 101996715B1 KR 1020170044197 A KR1020170044197 A KR 1020170044197A KR 20170044197 A KR20170044197 A KR 20170044197A KR 101996715 B1 KR101996715 B1 KR 101996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stirring shaft
kneading
stirr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034A (ko
Inventor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이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현 filed Critical 이주현
Priority to KR1020170044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715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5Arrangements for cooling or heating ; Arrangements for applying super- or sub-atmospheric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6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horizontally-mounted mixing or kneading tools; Worm or screw mix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4Discharg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Receptacles, e.g. provided with means for carrying or guiding fluids, e.g. coo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죽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반죽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반죽기는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밀가루가 투입되는 재료투입부가 형성되는 반죽통; 상기 반죽통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형성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교반축; 상기 교반축의 외주연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는 교반날개; 상기 반죽통의 전면 및 후면의 외주연을 따라 설치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통과될 수 있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냉각파이프; 상기 반죽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반죽통의 내부에 형성된 반죽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반죽물을 후송처리 되는 믹서기 및 압연기등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컨베이어벨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Description

반죽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반죽기. {Wheat flouring device}
본원발명은 반죽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이 높은상태에서 반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재료간의 혼합비율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반죽기에 기계장치의 마찰열을 제어할 수 있는 냉각파이프를 설치하고 적정 염수온도를 맞추어 반죽물의 손상전분을 최소화하고 식감이 좋은 면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반죽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제조과정에서 숙성은 원재료간의 결합을 치밀하게 하여 밀도감 상승 및 수분의 분포를 고르게 하여 조직을 활성화 시키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반죽의 숙성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열과 수분 및 일정 압력을 필요로 하며 특히 반죽의 가수조건을 통해 열과 압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면의 식감을 높이기 위한 다가수 반죽을 할 때는 반죽시 발생되는 부하열에 따라 반죽과정에서 수분증발로 인한 건조가 발생하여 반죽의 조직파괴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다가수 반죽시 발생되는 건조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로 가수를 진행하였는데, 이러한 추가 가수가 이루어질 경우 원재료간의 균일한 혼합은 가능하나 더 많은 부하열이 발생되어 면판 이송 및 건조과정에서 늘어남 또는 면 가닥 접착문제로 인해 생산이 불가하고 그에 따라 생산의 효율성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384226 Y1
본원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수분이 높은상태에서 반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재료간의 혼합비율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높은 염도를 적용하여 글루텐의 활성율을 높이되, 반죽통 내부에 냉각파이프를 설치하여 마찰열을 제어함으로써 반죽물의 손상전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반죽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반죽기 내부에 형성되는 교반날개를 다수개로 형성하고, 각각의 교반날개가 형성되는 각도를 다르게 하여 반죽물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반죽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반죽기는 반죽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반죽기에 있어서 상기 반죽기는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밀가루가 투입되는 재료투입부가 형성되는 반죽통; 상기 반죽통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형성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교반축; 상기 교반축의 외주연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는 교반날개; 상기 반죽통의 전면 및 후면의 외주연을 따라 설치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통과될 수 있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냉각파이프; 상기 반죽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반죽통의 내부에 형성된 반죽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반죽물을 후송처리 되는 믹서기 및 압연기등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컨베이어벨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본원발명의 반죽기에 의하면, 수분이 높은상태에서 반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재료간의 혼합비율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높은 염도를 적용하여 글루텐의 활성율을 높이되, 반죽통 내부에 냉각파이프를 설치하여 마찰열을 제어함으로써 반죽물의 손상전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죽기 내부에 형성되는 교반날개를 다수개로 형성하고, 각각의 교반날개가 형성되는 각도를 다르게 하여 반죽물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죽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반죽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반죽기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죽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반죽기(1)는 상기 반죽기(1)는 상단에 재료투입부(100)가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반죽통(10)과 상기 반죽통(10) 내부 양측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교반축(20)과 상기 교반축(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는 교반날개(30)와 상기 반죽기(1)의 전면과 후면의 외주연을 따라 설치되는 냉각파이프(60)와 상기 반죽기(1)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반죽기(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반죽기(1)에서 반죽된 반죽물을 이송하도록 하는 컨베이어벨트(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반죽통(10)은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밀가루등 반죽물을 만드는데 필요한 밀가루등이 상기 반죽통(10)으로 투입되도록 재료투입부(100)가 형성된다.
상기 재료투입부(100)는 직경이 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반죽통(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재료투입부(100)를 통해 반죽물의 재료가 바로 상기 반죽통(10) 내부로 투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교반축(20)은 상기 반죽통(10)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형성되되,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제1교반축(21)과 제2교반축(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교반축(21)과 상기 제2교반축(22)은 각각이 제1구동모터(70)와 제2구동모터(80)와 연결되어 각각의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교반축(21) 및 상기 제2교반축(22)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교반축(21) 및 상기 제2교반축(22)의 위주면에는 복수개의 교반날개(30)가 형성되어 상기 제1교반축(21) 및 상기 제2교반축(2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상기 반죽통(10) 내부에 투입된 곡분 및 배합수가 교반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교반날개(30)는 상기 교반축(20)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되되, 상기 교반축(20)과 이루는 각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교반축(2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교반날개(30)가 순차적으로 반죽물에 접촉하게 되어 반죽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교반날개(30)의 끝단에는 교반봉(40)이 형성되어 상기 교반날개(30)와 더불어 반죽물의 반죽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교반봉(40)은 상기 교반날개(30)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부착시 반죽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탈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교반봉(40)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냉각파이프(6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반죽통(10)의 전면 및 후면의 외주연을 따라 설치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통과될 수 있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파이프(60)는 미도시되는 급수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파이프를 통해 상기 냉각파이프(60) 내부에 물이 투입되어 상기 반죽통(10)의 온도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부(50)는 상기 반죽통(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일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50)의 회동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져 상기 반죽통(10) 내부에 형성된 반죽물이 상기 배출부(5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컨베이어벨트(90)는 상기 배출부(5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50)에서 배출되는 반죽물을 후송처리 되는 믹서기 및 압연기등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반죽기(1)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반죽통(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재료투입부(100)에 조미료등이 가미된 곡분을 투입하여 상기 반죽통(10)의 내부에 곡분이 적정선까지 채워지도록 한다. 상기 반죽통(10) 내부에 곡분이 적정선까지 채워지면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배합수의 양 및 공급시간을 설정하여 적정량의 배합수가 상기 반죽통(10) 내부로 투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반죽통(10) 내부에 투입되는 밀가루는 300~400kg, 바람직하게는 350kg이 투입되며, 가수량은 30~40%, 바람직하게는 35%가 되도록 배합수를 투입하는데 이때 배합수의 염수농도는 3~7도, 바람직하게는 5도로 형성하여 다가수와 고염의 반죽물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반죽통(10)에 반죽물 제작에 필요한 재료가 투입되면, 상기 제1교반축(21) 및 상기 제2교반축(22)을 회전시켜 밀가루 및 배합수를 이용하여 반죽물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교반축(21) 및 상기 제2교반축(22)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상기 교반날개(30)와 교반봉(40)에 의해 반죽물의 혼합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교반날개(30) 및 상기 교반축(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되되, 상기 교반축(20)의 수평방향과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어 반죽물에 순차적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이루어져 반죽물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반죽통(10)에서 제조되는 반죽물은 수분이 높은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반죽통(10) 내부에 열이 발생되게 되면 조직과 전분손상이 일어나게 되어 반죽물의 식감이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반죽통(10)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는 상기 냉각파이프(60)를 통해 상기 반죽통(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발생을 최소화하여 반죽물의 조직과 전분손상을 최소화하여 반죽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면의 식감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반죽통(10) 내부는 원재료간의 이상적인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진공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반죽통(10)과 연결되는 진공펌프(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를 이용하면 반죽물 내부의 공기층을 제거하여 수분 및 소금과 밀가루의 결합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발명의 반죽기(1)에 의하면, 반죽을 수분이 높은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재료간의 혼합비율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높은 염도를 적용하여 글루텐의 활성율을 높이되, 반죽통(10) 내부에 냉각파이프(60)를 설치하여 마찰열을 제어함으로써 반죽물의 손상전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죽기(1) 내부에 형성되는 교반날개(30)를 다수개 형성하고, 각각의 교반날개(30)가 형성되는 각도를 다르게 하여 반죽물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죽기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반죽기 10 : 반죽통
20 : 교반축 21 : 제1교반축
22 : 제2교반축 30 : 교반날개
40 : 교반봉 50 : 배출부
60 : 냉각파이프 70 : 제1구동모터
80 : 제2구동모터 90 : 컨베이어벨트
100 : 재료투입부

Claims (6)

  1. 반죽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반죽기에 있어서,
    반죽기(1)는 상단에 직경이 큰 파이프 형상의 재료투입부(100)가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반죽통(10)과 상기 반죽통(10) 내부 양측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교반축(20)과 상기 반죽기(1)의 전면과 후면의 외주연을 따라 설치되는 냉각파이프(60)와 상기 반죽기(1)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반죽기(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반죽기(1)에서 반죽된 반죽물을 믹서기 및 압연기로 이송시키 컨베이어벨트(9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반죽통(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재료투입부(100)를 통해 반죽물의 재료가 바로 상기 반죽통(10) 내부로 투입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반죽통(10) 내부에 투입되는 밀가루는 300~400kg이 투입하고, 가수량은 30~40%가 되도록 배합수를 투입하며, 이때 배합수는 3~7도의 염수농도인 다가수를 투입하여 고염의 반죽물을 형성시키며,
    상기 교반축(20)은 상기 반죽통(10)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형성되되,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제1교반축(21)과 제2교반축(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교반축(21)과 상기 제2교반축(22)은 각각이 제1구동모터(70)와 제2구동모터(80)와 연결되어 각각의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교반축(21) 및 상기 제2교반축(22)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교반축(21) 및 상기 제2교반축(22)에 형성되는 교반날개(30)는 상기 교반축(20)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되되, 상기 교반축(20)과 이루는 각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교반축(2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교반날개(30)가 순차적으로 반죽통(10) 내부에 투입된 곡분 및 배합수가 교반되어 반죽되며,
    상기 반죽통의 내부에 형성된 반죽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반죽통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반죽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의 끝단에는 상기 교반날개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
  6. 삭제
KR1020170044197A 2017-04-05 2017-04-05 반죽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반죽기. KR101996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197A KR101996715B1 (ko) 2017-04-05 2017-04-05 반죽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반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197A KR101996715B1 (ko) 2017-04-05 2017-04-05 반죽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반죽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034A KR20180113034A (ko) 2018-10-15
KR101996715B1 true KR101996715B1 (ko) 2019-10-01

Family

ID=6386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197A KR101996715B1 (ko) 2017-04-05 2017-04-05 반죽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반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7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019Y1 (ko) 2005-01-13 2005-03-24 김평선 냉각기능을 갖는 떡 재료 반죽기
KR200384226Y1 (ko) 2005-02-14 2005-05-12 권치원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KR200411117Y1 (ko) * 2005-11-18 2006-03-10 김형려 떡가루 증숙장치
KR100851360B1 (ko) * 2008-05-30 2008-08-08 최종묵 쌀면 제조장치
JP2011062113A (ja) * 2009-09-16 2011-03-31 Shikishima Baking Co Ltd 食用生地製造装置および食用生地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2936A (ja) * 1983-03-09 1984-09-13 Shinagawa Kogyosho:Kk サニタリ−型混練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019Y1 (ko) 2005-01-13 2005-03-24 김평선 냉각기능을 갖는 떡 재료 반죽기
KR200384226Y1 (ko) 2005-02-14 2005-05-12 권치원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KR200411117Y1 (ko) * 2005-11-18 2006-03-10 김형려 떡가루 증숙장치
KR100851360B1 (ko) * 2008-05-30 2008-08-08 최종묵 쌀면 제조장치
JP2011062113A (ja) * 2009-09-16 2011-03-31 Shikishima Baking Co Ltd 食用生地製造装置および食用生地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034A (ko) 201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13461B (zh) 连续式原料混合装置
CN204894216U (zh) 一种定量进料混凝土搅拌机
CN203801580U (zh) 一种下料均匀的和面机
KR20170059809A (ko) 함수물질 건조용 또는 생균제 제조용 팽화 장치와 상기 장치에 사용되는 교반 이송용 스크류
WO2013091420A1 (zh) 沥青混合料搅拌设备及集料预混装置
CN104543766A (zh) 即时自动制面机
JP2014171446A (ja) 食品用粉の攪拌混練方法および食品用粉の攪拌混練装置
KR101355966B1 (ko) 무 점성 곡물용 제면 장치
KR101996715B1 (ko) 반죽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반죽기.
EP2247186B1 (en) Method and device for mixing and/or kneading food products
KR20060091364A (ko)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CN208175931U (zh) 小麦挂面生产用和面机
CN204560845U (zh) 即时自动制面机
CN203955073U (zh) 新型饲料搅拌机
KR200477452Y1 (ko) 건면 파지 반죽장치
CN207915751U (zh) 一种墙体材料的均匀搅拌装置
CN205032099U (zh) 一种硅胶捏合机
CN220361118U (zh) 一种带有定量进料机构的拌馅机
CN110303574A (zh) 一种超轻黏土发泡设备
CA3203246C (en) Progressive hydration system
US11432564B2 (en) Progressive hydration system
CN211358680U (zh) 一种脆筒原料混合搅拌装置
US12004536B2 (en) Foodstuff processing apparatus
CN211746515U (zh) 一种下料均匀的和面机
RU2780998C1 (ru) Перемешивающее и взбалт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й обработк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гипсовой суспензи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плит,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луводного гипса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й обработк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гипсовой суспензи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пли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