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599B1 -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599B1
KR101996599B1 KR1020170098397A KR20170098397A KR101996599B1 KR 101996599 B1 KR101996599 B1 KR 101996599B1 KR 1020170098397 A KR1020170098397 A KR 1020170098397A KR 20170098397 A KR20170098397 A KR 20170098397A KR 101996599 B1 KR101996599 B1 KR 101996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e
setting
activated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5593A (ko
Inventor
쉬크뤼 센질
안나 브라운
얀 페터 헤어다이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80015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64Ventilators and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71Air directing means, e.g. blades in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60K2360/1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for controlling multipl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1Activation of instrument input devices by approaching fingers 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60K2360/1442Emulation of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1)의 에어컨디셔닝 장치(2)를 조작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에어컨디셔닝 장치(2)는 적어도 3개의 디스플레이 모드, 즉 상태 모드, 변환 모드 및 설정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에서 에어컨디셔닝 장치(2)의 설정 파라미터의 현재 값이 검출되고,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검출된다. 조작 의도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태 모드가 활성화된다. 조작 의도가 검출되면, 변환 모드 또는 설정 모드가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서 차량(1)의 실내(10)의 그래픽 표시(20)의 그래픽 데이터들이, 상태 모드가 활성화되면, 실내(10)의 표시(20)는 설정 파라미터의 현재 설정된 값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요소(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를 포함하도록,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면, 실내(10)의 표시(20)는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22.1; 22.2; 22.3; 22.4; 22.5; 22.6)를 포함하도록, 그리고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면, 실내(10)의 표시(20)는 조작 가능한 설정 요소(23.1; 23.2; 23.3; 23.4; 23.5; 23.6)를 포함하도록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조작 장치{METHOD AND OPERATING DEVICE FOR AN AIR CONDITION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에어컨디셔닝 장치는 적어도 3개의 디스플레이 모드, 즉 상태 모드, 변환 모드 및 설정 모드를 포함한다.
주행 중에 차량 승객을 위한 안정성 및 편의성을 개선하는 다수의 장치가 차량, 특히 자동차에 제공된다. 여기에 예를 들어 운전자 보조 시스템, 차량의 외부 또는 실내를 위한 조명 장치,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장치 또는 멀티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포함된다. 개별 부품들의 개수와 복잡성이 증가할수록 운전자 또는 다른 차량 승객을 위해 상기 장치들의 조작을 가급적 간단하게 구성하고 차량 내의 시스템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요구들이 증가한다. 따라서 최근의 차량에서 주로 다기능 조작 시스템이 사용되고, 상기 시스템들은 차량 내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들을 조작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다기능 디스플레이와 조작 부재들을 포함한다. 이 경우 조작은 다기능 디스플레이에 재현되는 정보에 의해 지원되고 또는 안내된다. 또한, 다기능 디스플레이에 어떤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지는 조작 시스템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차량 승객의 자동차 운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차량 장치는 환기 장치이다. 차량의 비교적 작은 실내 체적 내부의 공기는 냄새 및 유독 물질, 특히 차량 주변의 입자들에 의한 오염에 취약하다. 주행 시 차량 및 다른 교통 이용자들이 일으키는 공기에 의해 예를 들어 먼지, 공해 또는 오염 입자가 도로 영역에 심하게 발생하여, 개방된 윈도우 또는 환기 장치를 통해 차량 내부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교통 이용자들의 차량 배출가스로 인해, 불쾌한 냄새와 유독 물질이 차량 내부로 들어올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실내의 공기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의 차량에는 여러 다양한 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주어진 시스템에서, 시스템이 현재 어떤 상태인지, 공기 품질의 변화가 얼마나 더 진행되는지 그리고 어떤 장치들이 작동 중인지에 대해 파악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있어 쉽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환기 장치의 조작은 대부분 다수의 또는 복잡한 단계들을 전제로 한다.
DE 197 35 317 A1호는 차량 탑승자가 공급된 공기량 및 규정된 구역에 대한 온도 계층화를 조절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출력하는 온 보드 모니터를 가진 차량-난방- 또는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을 기술한다.
DE 10 2007 023 502 A1호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을 위한 디스플레이- 및 조작 유닛을 기술하고, 이 경우 사람 아이콘이 표시되고, 상기 사람 아이콘의 헤드, 몸통 및 다리는 개별 탑승자들의 각각의 에어컨디셔닝 존(zone)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에어컨디셔닝 존을 향하는 화살표들이 표시된다. 이러한 아이콘을 이용해서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의 설정들이 실행될 수 있다.
DE 10 2012 016 109 A1호에 기술된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장치의 설정을 위한 조작 장치의 경우 차량의 실내의 그래픽 표시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그래픽 표시는 스위치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들은 유입 공기의 유입 방향, 유입률 및/또는 온도를 재현하고, 상기 아이콘에서 입력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로 하여금 특히 신속하게 및 간단하게 설정을 실행하는 것과 에어컨디셔닝 장치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포괄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방법 및 청구항 제 13 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조작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 및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전술한 방식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에어컨디셔닝 장치의 설정 파라미터의 현재 값이 검출되고,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검출된다. 조작 의도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태 모드가 활성화된다. 조작 의도가 검출되면, 변환 모드 또는 설정 모드가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서 차량 실내의 그래픽 표시의 그래픽 데이터들이, 상태 모드가 활성화되면, 실내의 표시는 설정 파라미터의 현재 설정된 값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요소를 포함하도록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면, 실내의 표시는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를 포함한다.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면, 실내의 표시는 조작 가능한 설정 요소를 포함한다.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서 에어컨디셔닝 장치의 조작을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가 형성됨으로써, 조작은 바람직하게 각각의 조작 상황에 맞게 조정될 수 있고, 사용자는 어떤 조작 가능성들이 현재 존재하는지 언제든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검출되었는지 여부가 고려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조작 의도의 검출 시 조작 의도의 다양한 표현 방식들을 구별하고 고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조작 의도의 이러한 표현 방식에 따라서 변환 모드 또는 설정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조작 의도의 표현 방식에 따라 상태 모드로부터 변환 모드가 및/또는 변환 모드로부터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작 의도가 더 이상 검출되지 않으면, 설정 모드 또는 변환 모드로부터 상태 모드로 바뀔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요소,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 및 설정 요소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특히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는 구별을 가능하게 한다.
실내 표시는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요소,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 및/또는 설정 요소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는 상기 요소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또는 별도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태 모드가 활성화되면, 실내의 표시는 디스플레이 요소만을 포함할 수 있고,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 및 설정 요소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면, 실내의 표시는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만,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요소와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면, 실내의 표시는 설정 요소를, 경우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요소 및/또는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와 조합하여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요소,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 및 설정 요소들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모드들을 구별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언제 조작이 가능하고 어떻게 이러한 조작을 실행할 수 있는지를 사용자는 항상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특히, 조작 의도의 검출 후에 조작 가능한 요소들만 페이드인(fade in) 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상태의 간단한 디스플레이, 다양한 요소들의 조작 가능성의 디스플레이 및 조작 인터페이스의 조작 가능한 요소들의 디스플레이 사이의 단계적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3개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공되는 것이 고려된다. 특히 조작 가능한 설정 요소는 설정 모드에서만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 요소 및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는 조작될 수 없는 것이 제공된다.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드들 사이의 변환 시 실내의 표시의 변경은 애니메이션을 이용해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특히 디스플레이 요소,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 및/또는 설정 요소의 표시 사이의 변환이 실행된다. 또한, 그래픽 요소들은 거기에 직접 지정된 디스플레이 모드뿐만 아니라,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에서도 표시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드들의 혼합 형태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모드에서 표시는 디스플레이 요소 및/또는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도 포함할 수 있다.
에어컨디셔닝 장치의 설정 파라미터의 현재 값의 검출은 공개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값은 공기 유동의 강도, 온도, 방향 및/또는 다른 특성에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값은 공기 유동의 재료 조성, 즉 예를 들어 공기에 포함된 입자, 방향 물질, 유독 물질, 가스 조성물 또는 유사한 파라미터들에 관한 정보와 관련될 수 있다. 상기 값은 또한 통풍 플랩의 개방과 폐쇄 및 에어컨디셔닝을 위한 다른 기능의 설정들에 관련될 수 있다. 검출된 값은 예를 들어 차량의 장치에 의해, 특히 에어컨디셔닝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검출은 센서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현재 값은 공개된 다양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소정의 출발값으로서 또는 먼저 실행된 설정에 의해 미리 주어질 수 있다.
조작 의도의 검출도 공개된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제스처가 검출될 수 있고, 상기 제스처로부터 후속 조작 행위가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검출 영역 내로 진입 또는 표면의 터치가 검출될 수 있고, 조작 의도의 예정된 신호화로서 제 1 조작 행위가 검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검출 영역 내부에서 또는 터치 감응 표면 위에서 예정된 제스처가 검출될 수 있거나, 또는 차량의 장치들의 다른 데이터를 참고로, 예를 들어 음성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정해진 명령에 조작 의도가 존재하는 것이 파악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조작 의도는 적어도 2개의 표현 방식으로, 예를 들어 다양한 기준들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다양하게 표현된 조작 의도들에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 특히 변환 모드 또는 설정 모드가 지정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변환 모드 또는 설정 모드의 활성화는 이러한 경우에 검출된 조작 의도 또는 검출된 조작 의도의 표현 방식에 따라 이루어진다.
조작 의도가 검출되지 않으면 활성화되는 상태 모드는 특히 에어컨디셔닝 장치의 현재 설정들과 관련해서 특히 사용자의 포괄적이고 신속한 정보에 이용된다. 차량 실내의 표시의 이를 위해 제공된 디스플레이 요소는 이러한 경우에 설정 파라미터의 현재 설정된 값의 출력에 이용된다. 특히 상이한 설정 파라미터들에 지정된 다수의 디스플레이 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다. 현재 설정된 값의 출력은 이 경우 공개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아이콘, 눈금, 숫자 요소 또는 텍스트 요소를 이용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변환 모드는 특히, 사용자에게 어떤 설정 가능성들이 제공될 수 있는지에 관해 사용자에게 알리는데 이용된다. 이를 위해 실내의 표시는 사용자에게 어떤 설정 가능성들이 제공되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데 적합한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를 포함한다.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는 특히 디스플레이 요소에 추가하여 표시될 수 있거나, 디스플레이 요소가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로 변환되도록 또는 "바뀌도록", 애니메이트된(animated) 표시가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를 이용해서 설정이 실행될 수 없는 것이 제공된다.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에 의한 설정 가능성의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그래픽 요소의 강조, 표시된 요소들의 추가 또는 제거에 의해 및/또는 상태 모드에 대한 표시의 추가 조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요소가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에 의해 대체될 수 있거나, 2개의 요소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설정 모드에서 사용자는 조작 가능한 설정 요소를 이용해서 조작 행위를 실행할 수 있다. 특히 이로 인해 설정 요소에 지정된 설정 파라미터의 값이 변동된다. 설정 요소는 특히 공개된 방식으로 그래픽 조작 인터페이스의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표시 내에서 특히 먼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요소 및/또는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가 대체될 수 있거나 또는 이에 대해 추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애니메이트된 변환이 출력될 수 있고, 상기 변환 시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는 설정 요소로 변환된다. 표시는 설정 모드에서, 특히 그래픽 조작 인터페이스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요소,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 및 설정 요소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입력에 이르는 3개의 단계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조작 의도의 검출 전에 설정 파라미터의 현재 설정된 값이 출력된다. 조작 의도가 검출된 후에,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에 의해, 표시의 어떤 요소들이 조작될 수 있고, 특히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면, 그래픽 조작 인터페이스의 어떤 영역에서 파라미터의 어떤 값들이 설정될 수 있는지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내의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가 에어컨디셔닝 장치의 설정 가능한 장치에 및/또는 설정 가능한 파라미터에 지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에 따라,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면, 설정 요소에 의해 입력이 검출되고, 입력에 의해 에어컨디셔닝 장치를 위한 제어 신호가 생성된다. 또한, 제어 신호에 의해 에어컨디셔닝 장치의 환기 부재가 설정된다.
입력의 검출은 이 경우 공개된 방식으로, 특히 그래픽 조작 인터페이스에 대해 공개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터치 감응 표면을 이용해서 입력이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조작은 회전식 푸쉬 버튼, 터치 패드, 마우스 또는 다른 입력 장치를 이용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제스처 및 음성 명령이 검출될 수 있다.
입력의 검출은 특히 설정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설정 요소를 이용해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은 설정 요소의 회전 또는 병진이 실행되거나 적어도 암시되는 방식으로 설정 요소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또한, 설정 요소의 표시의 추가 변경이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입력에 의해 설정 요소에 지정된 설정 파라미터의 현재 설정된 값이 변경된다. 상기 값은 특히 에어컨디셔닝 장치의 환기 부재에 관련된다. 이 경우 특히 다수의 설정 파라미터를 갖는 다수의 환기 부재들이 제공될 수 있고, 동일한 환기 부재 또는 환기 부재들의 그룹을 위한 다수의 설정 파라미터가 제공될 수 있다. 환기 부재들의 제어에 의해 바람직하게 에어컨디셔닝 장치의 특히 중요한 구성부가 설정된다.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설정 파라미터의 값, 예를 들어 환기 부재에 의해 생성된 공기 유동의 온도, 강도 및/또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공기의 필터링 또는 방향(scenting)을 위한 또는 공기의 재료 조성의 다른 방식의 변경을 위한 장치의 파라미터가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 신호에 의해 환기 부재의 개방된 상태 및 폐쇄된 상태가 설정된다. 이로 인해 바람직하게 환기 부재의 기본적인 파라미터가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심하게 오염된 주변 공기를 포함하는 환경에서, 실외로부터 차량 내로 공기의 유입이 제어될 수 있거나 저지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환기 부재의 개방된 또는 폐쇄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실외와 차량의 실내 사이의 연결부를 개방하고 폐쇄할 수 있는 통풍 플랩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대부분의 경우에 에어컨디셔닝 장치의 일반적인 작동과 무관하게 가능하며, 즉 환기 장치가 비활성화된 경우에도 통풍 플랩은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각각의 상황의 요구 및 자신의 바램에 따라 통풍 플랩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태 모드가 활성화되면, 디스플레이 요소는 환기 부재의 개방된 또는 폐쇄된 상태가 출력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환기 부재의 어떤 상태가 현재 존재하는지를 바람직하게 신속하게 및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아이콘들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아이콘들은 다양한 상태들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환기 부재가 폐쇄된 상태이면, 라인이 표시될 수 있고, 통풍 플랩이 개방된 상태이면, 화살표, 화살표 팁 또는 화살표와 유사한 형태가 표시된다. 이러한 경우에 특히, 개방된 상태에서 통풍 플랩을 통해 공기 유동이 가능한 것이 표시될 수 있다.
개선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요소, 설정 요소 및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가 각각 표시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위치는 차량 내의 환기 부재의 실제 위치에 상응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표시의 각각의 요소들이 어떤 환기 부재와 관련되는지 바람직하게 특히 신속하게 및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요소, 설정 요소 및/또는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의 위치는 이 경우, 사용자가 실제의 실내와 차량 실내의 표시의 비교에 의해 각각의 설정 가능한 또는 디스플레이된 환기 부재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환기 부재에 지정된 표시의 요소들은 이 경우 특히 환기 부재의 관련 영역에 인접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은 또한 각각의 지정된 환기 부재의 위치와 중복될 수 있고 및/또는 바로 주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차량 실내의 표시는 또한 환기 부재 자체를, 예를 들어 환기 부재의 아이콘 및/또는 표시에 의해 어느 정도 매우 추상화된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설정 파라미터의 값은 디스플레이 요소에 의해 컬러 및/또는 길이 방향 연장을 이용해서 출력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바람직하게 특히 신속하게 및 직관적으로 값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설정 파라미터의 값과 길이 방향 연장 사이에 비례적 관계가 존재할 수 있고, 이 경우 엄격한 직접적인 비례 관계가 존재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컬러 스케일이 이용될 수 있고, 이 경우 다양한 컬러에 의해 다양한 값들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컬러 스케일을 이용해서 온도가 표시될 수 있고, 이 경우 청색은 저온 그리고 적색은 고온을 나타낸다. 이 경우 중간 값들의 표시를 위한 컬러 변환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길이 방향 연장은 정해진 길이를 갖는 화살표를 이용해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더 긴 길이는 더 높은 강도의 공기 흐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공간적 분포를 표시하기 위해 폭 연장 및/또는 방향이 이용될 수 있다.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 및/또는 설정 요소의 표시도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환기 부재의 개방 및 폐쇄된 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검출된 조작 의도가 검출 공간 내로 작동 객체의 접근을 포함하면, 변환 모드가 활성화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정해진 영역에서 작동 객체를 움직이면, 바람직하게 조작 의도가 검출될 수 있다.
특히, 검출 공간이 입력 유닛의 주변에, 예를 들어 터치 감응 표면, 예컨대 터치스크린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가 작동 객체를 터치 감응 표면의 근처로 가져가면, 변환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검출된 조작 의도가 표면의 터치를 포함하면,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표면의 정해진 영역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면, 설정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에, 작동 객체가 표면에 접근하면, 변환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고, 작동 객체가 표면에 도달하여 경우에 따라서 정해진 영역에서 및/또는 정해진 압력으로 터치하면, 설정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작동 객체"란 조작 행위의 수행을 위해 이용되는 수단이다. 작동 객체는 특히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일 수 있다.
검출 영역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해질 수 있고, 이 경우 특히, 조작 행위의 실행은 일반적으로 검출 영역 내로 진입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 제공된다. 검출 영역 내로 진입의 검출은 이 경우 공개된 방식으로, 특히 접근 센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어 반사광 배리어(barrier)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반사광 배리어는 검출 영역 내로 전자기 검출 복사를 방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과 작동 객체로 산란된 및/또는 반사된 검출 복사의 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수신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특히, 수신된 검출 복사의 강도에 의해 검출 영역 내의 작동 객체가 검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근 센서는 또한, 다양한 검출 구역을 위한 다양한 발광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발광 수단은 관련 검출 구역 내로 전자기 검출 복사를 각각 방사한다. 또한, 방사된 검출 복사의 변조를 위한 변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개별 검출 구역 내로 방사된 검출 복사는 각각 그것의 변조와 관련해서 구별된다. 이러한 경우에 접근 센서는 분석 유닛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분석 유닛은, 입사되어 반사된 및/또는 산란된 검출 복사가 그것의 변조와 관련해서 분석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따라서 어떤 검출 구역 내의 검출 복사가 작동 객체에서 산란되거나 반사되었는지 조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특히 공간 분해 방식의 접근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의 터치 감응 표면 앞의 검출 공간 내로 작동 객체의 진입이 검출되면,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고, 작동 객체에 의해 터치 감응 표면의 터치가 검출되면,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작동 객체가 검출 공간 내에 위치하지 않고 터치 감응 표면을 터치하지 않으면, 상태 모드가 활성화된다. 각각의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들이 활성화되는 단계들의 이러한 순서에 의해 바람직하게 여러 단계로 그래픽 조작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조작의 전형적인 과정이 명확해진다.
개선예에 따라,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면, 디스플레이 요소와 함께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가 표시되고, 이 경우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는 디스플레이 요소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바람직하게 설정 파라미터의 설정 가능성이 특히 쉽게 파악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는, 디스플레이 요소에 대한 그것의 배치가 명확하게 신호화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요소가 화살표 형태를 포함하면,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는, 마찬가지로 전체가 또는 부분적으로 화살표 형태를 따르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 자체는 여전히 조작될 수 없고, 설정 모드의 활성화 후에야, 조작 행위에 의해 지정된 설정 파라미터의 설정을 실행할 수 있는 것만을 신호화한다.
실시예에 따라, 조작 의도가 작동 행위를 포함하면, 설정 모드가 활성화된다. 이로 인해 변환 모드와 설정 모드 사이의 특히 명확한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 행위는 이 경우 공개된 다양한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다. 작동 행위는, 예를 들어 표시 내에서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의 디스플레이 위치에 대한 공간적 할당에 의해, 특히 변환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에 대한 관계를 형성한다. 설정 모드의 활성화를 위한 작동 행위는 예를 들어 변환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의 영역에서 터치스크린의 탭(tap), 키 입력, 제스처 또는 음성 입력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작동 행위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면, 실내의 표시에 대한 작동 객체의 접근 위치가 결정되고, 접근 위치에 의해 조작 가능한 설정 요소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바람직하게 설정 모드에서 표시는, 실내의 표시의 어떤 위치에서 어떤 설정들이 가능한지를 사용자가 동시에 파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이를 위해 공간 분해 방식의 접근 센서가 사용되고, 이 경우 공간 분해도는 특히, 표시의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접근을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해진 설정 요소에 접근하면,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에어컨디셔닝 장치의 정해진 부재, 특히 환기 부재가 지정된, 실내 표시의 정해진 위치에 접근하면, 검출될 수 있다.
설정 요소는 이 경우 공개된 방식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표시된 설정 요소는, 정해진 위치로 작동 객체의 접근이 검출되었는지 또는 검출되지 않았는지 여부에 따라 구별되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표시된 설정 요소의 주변의 정해진 영역 내로 작동 객체가 진입하면, 설정 요소의 표시가 변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설정 요소의 표시의 변경은 이 경우 다양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설정 요소의 컬러 및/또는 형태의 변경 및/또는 다른 강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이내믹 효과가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 시간에 따라 가변적인 표시가 생성된다.
또한, 접근 위치에 따라서 정해진 설정 파라미터의 설정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설정 파라미터들의 다수의 값이 변경될 수 있으면 그리고 접근 위치에 의해 설정 파라미터들 중 어떤 설정 파라미터를 사용자가 추측컨대 설정할 것인지 결정되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설정 요소는, 작동 객체가 터치스크린의 정해진 영역으로 접근하거나 상기 영역을 터치하는 것이 검출되면, 터치 스크린의 상기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동시에 이러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요소 및/또는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는 터치스크린의 다른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한편, 이러한 다른 영역에 설정 요소는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특히 이로써 설정 모드는 터치스크린의 정해진 영역으로 제한될 수 있는 한편, 조작 의도, 특히 접근 또는 터치가 검출되지 않았던 다른 영역에서 변환 모드 또는 상태 모드가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의 터치 감응 표면 앞의 검출 공간 내로 작동 객체가 진입하는 것이 검출될 수 있고, 전체 터치스크린에 변환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후속해서 조작 의도의 다른 표현 방식, 특히 표면에 접촉 또는 더 근접한 접근이 검출될 수 있고, 작동 객체 주변 영역에서 설정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작동 객체 주변 영역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조작 가능한 설정 객체가 디스플레이되는 한편, 터치스크린의 다른 영역들에는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만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설정 요소들은 디스플레이될 수 없다.
개선예에 따라 설정 요소는 스케일 객체 및 포인터 객체를 포함하고, 이 경우 설정 요소의 조작을 위해 스케일 객체의 연장 방향에 대한 포인터 객체의 변위가 검출된다. 이는 바람직하게 설정 파라미터의 값의 특히 간단하고 정확한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스케일 객체의 연장 방향에 대한 포인터 객체의 변위를 이용한 값의 검출은 공개되어 있고, 그러나 이 경우 스케일 객체는 물론 포인터 객체의 정확한 배치와 형상은 가변적일 수 있다.
특히, 스케일 객체는 화살표 표시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람직하게 강도의 특히 간단한 설정이 실행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방식으로 연장 방향에 대한 포인터 객체의 위치에 의해, 설정 파라미터가 어떤 값을 취하는지가 특히 간단하게 검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포인터 객체의 위치와 스케일 객체의 연장 길이 사이에 비례 관계가 존재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스케일 객체의 연장 방향은 길이 방향 연장이고, 이 경우 스케일 객체는 길쭉한 형태를 갖는다.
스케일 객체가 화살표 표시를 포함하는 경우에, 포인터 객체는 예를 들어 화살표 팁 또는 달리 형성된 화살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포인터 객체는 또한 라인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예를 들어 라인 또는 화살표 형태의 표시에 의해 지정된 설정 파라미터의 다양한 상태들, 예를 들어 환기 부재의 다양한 상태들 사이의 구별이 표시될 수 있다.
설정 요소의 조작을 위해 예를 들어 스와이프 제스처가 이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예컨대 터치스크린에서 정해진 위치가 터치된 후에, 스와이프 제스처가 수행되고, 이어서 종료 위치에서 터치가 종료된다.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해, 즉 시작- 및 종료 위치, 동작 방향 및 동작 속도에 의해 입력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설정 요소의 조작은 조정 다이얼, 슬라이드 바 및/또는 다른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로 구현된 조작 부재들의 작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살표 표시는, 예컨대 면적의 디자인에 의해 예를 들어 채움색으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채우기가 유동 속도의 표시를 위해 이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3D 또는 투시 효과가 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표시된 차량 실내 내부로 화살표 표시의 진행이 재현된다. 특히 이로 인해 환기 부재로부터 차량 실내로 공기 유동이 재현된다.
전술한 방식의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는 에어컨디셔닝 장치의 설정 파라미터의 현재 값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유닛과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검출할 수 있는 조작 의도-검출 유닛을 포함한다. 이 경우, 조작 의도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태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고, 조작 의도가 검출되면, 변환 모드 또는 설정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조작 장치는 또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차량의 실내의 그래픽 표시의 그래픽 데이터들이, 상태 모드가 활성화되면, 실내의 표시는 설정 파라미터의 현재 설정된 값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요소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면, 실내의 표시는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를, 그리고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면, 조작 가능한 설정 요소를 포함한다. 조작 장치는 또한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는 특히,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형성된다. 조작 장치는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동일한 장점들을 갖는다.
특히 조작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요소,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 및 설정 요소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이한 모드들을 특히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의도는 조작 장치에 포함된 접근 검출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 영역 앞의 검출 영역 내로 작동 객체의 진입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작동 객체의 접근으로서 검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동 객체와 디스플레이된 표시, 특히 표시된 디스플레이 요소,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 및/또는 설정 요소 사이의 공간적 관계가 형성됨으로써, 바람직하게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검출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유닛은 이 경우 터치 감응 표면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특히 소위 터치스크린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영역 위에 필름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필름에 의해 히 사용자의 손가락 팁인 작동 객체의 터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필름은 예를 들어 저항성 터치 필름, 용량성 터치 필름 또는 압전 필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름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팁에서 시작하는 열 흐름이 측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름의 터치의 시간에 따른 전개에 따라 다양한 입력들이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간단한 경우에 필름의 터치는 정해진 위치에서 검출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객체에, 특히 디스플레이 요소,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 및/또는 설정 요소에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정해진 위치에서 또는 정해진 범위 내에서 터치의 지속시간이 검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에어컨디셔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환기 부재를 포함하고, 이 경우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면, 설정 요소에 의해 입력이 검출될 수 있고, 입력에 의해 에어컨디셔닝 장치를 위한 제어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컨디셔닝 장치의 환기 부재는 제어 신호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람직하게 설정이 실행될 수 있고, 상기 설정에 따라 환기 부재는 에어컨디셔닝 장치의 주요 구성부로서 제공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차량을 도시한 도면.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그래픽 요소들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표시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변환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표시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 도 4b 및 도 4c는 설정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표시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헤드 영역의 환기 장치가 비활성된 경우에 상태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표시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헤드 영역의 환기 장치가 비활성화된 경우에 변환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표시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a와 관련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차량이 설명된다.
차량(1)은 에어컨디셔닝 장치(2)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컨디셔닝 장치는 4개의 환기 부재(2a 내지 2d)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환기 부재들(2a 내지 2d)은 차량(1)의 실내(10)의 다양한 위치에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개수의 환기 부재(2a 내지 2d)가 제공될 수 있고, 환기 부재들(2a 내지 2d)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또한 에어컨디셔닝 장치(2)의 다른 장치들이 제공될 수 있다.
에어컨디셔닝 장치(2)에 의해 공기가 실내(10)로 안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를 위해 각각의 환기 부재(2a 내지 2d)마다 통풍 플랩이 제공되고, 상기 통풍 플랩은 차량(1)의 주변의 실외로부터 실내(10)로 공기의 유입을 가능하게 한다. 환기 부재들은 이 경우, 정해진 강도, 방향 및 온도의 공기 유동이 각각 설정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다른 설정 가능성들이 제공될 수 있다.
차량(1)은 또한 제어유닛(5)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에어컨디셔닝 장치(2)에 접속된다. 제어유닛(5)은 검출 유닛(3)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에어컨디셔닝 장치(2)로부터 데이터가 호출될 수 있다. 특히 검출 유닛(3)에 의해 에어컨디셔닝 장치(2) 및 환기 부재(2a 내지 2d)의 설정 파라미터들의 각각의 현재 설정된 값들이 검출될 수 있다. 제어유닛(5)은 또한 조작 의도 검출 유닛(4)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의도 검출 유닛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검출될 수 있고, 이 경우 다른 장치들의 데이터가 평가된다. 제어유닛(5)에 의해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6)은 디스플레이 영역(6a)에 접속된다. 디스플레이 영역(6a) 앞에 또한 터치 감응 표면(9)이 배치되고, 상기 표면은 다시 제어유닛(5)에 접속된다. 또한, 접근 검출 장치(7)는, 디스플레이 영역(6a) 앞의 검출 영역(7a) 내에서 접근을 검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영역(6a)의 주변의 영역에 배치된다. 차량 실내(10)에 또한, 작동 객체(8)가 위치하고, 상기 작동 객체는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다.
작동 객체(8)가 검출 영역(7a) 내로 진입하면 또는 상기 작동 객체가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하면, 접근 검출 장치(7)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접근은 공간 분해 방식으로 검출되는 것이 제공되고, 즉 검출 영역(7a) 내의 작동 객체(8)의 위치에 디스플레이 영역(6a) 상의 접근 위치가 지정된다. 즉, 터치 감응 표면(9)을 터치하기 전에 접근 검출 장치(7)에 의해 디스플레이 영역(6a)에 대한 위치가 결정된다. 접근 검출은 이 경우 공개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1b와 관련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그래픽 요소들이 설명된다. 이 경우 사용된 도면부호들이 이하 설명에 도입된다.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지원하기 위한 그래픽 요소의 기본 형태로서 화살표(12)가 제공된다. 상기 화살표는 면적 및 화살표 팁을 향한 연장 방향을 갖는다. 화살표의 베이스는 라인(11)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라인(11)은 화살표(12)의 연장 방향에 대해 임의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팁(13)이 제공되고, 상기 팁의 형태는 화살표(12)의 화살표 팁을 따르고, 상기 팁은 이 경우 화살표(12)의 단부에 이에 대해 평행하게 표시된다. 또한, 평행한 2개의 서로 근접한 라인(14) 및 2개의 서로 근접한 팁(15)이 표시된다.
도 2와 관련해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표시의 예가 설명된다. 이 경우 도 1a와 관련해서 전술한 시스템 및 도 1b와 관련해서 전술한 그래픽 요소들이 전제된다.
표시(10)는 제어유닛(5)에 의해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유닛(6)에 의해 디스플레이 영역(6a) 위에 디스플레이된다. 차량(1)의 실내(10)의 조망이 표시되고, 이 경우 차량의 후방으로부터 전방 영역으로, 특히 다수의 에어 밴트(air vent) 부재(25.1 내지 25.6)를 포함하는 계기판으로 향하는 시야가 투시적으로 재현된다. 실시예에서, 표시(20) 내에 도시된 각각의 에어 밴트 부재(25.1 내지 25.6)에 에어컨디셔닝 장치(2)의 하나의 환기 부재(2a 내지 2d)가 할당되는 것이 제공된다.
검출 유닛(3)에 의해 환기 부재들(2a 내지 2d)의 현재 설정된 파라미터들이 검출되고, 이 경우 특히, 환기 부재들(2a 내지 2d)에 할당된 통풍 플랩들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지 여부 및 환기 부재(2a 내지 2d)를 통해 차량(1)의 실내(10)로 어떤 온도 및 강도의 공기 유동이 안내되는지 검출된다.
도 2에 도시된 경우에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에어컨디셔닝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드로서 상태 모드가 활성화된다.
표시(20)의 에어 밴트 부재(25.1 내지 25.6)에 디스플레이 요소들(21.1 내지 21.8)이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요소들(21.1 내지 21.8)은 도 1b와 관련해서 전술한 화살표(12)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디스플레이 요소들은 길이, 폭 및 컬러 디자인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도 2에서, 제공된 또는 생략된 빗금을 이용해서 개별 디스플레이 요소들(21.1, 21.6)은 채움색(filling color)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도시된다. 나머지 디스플레이 요소(21.1 내지 21.8)는 채움색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컬러는 유입 공기 유동의 온도에 따른다. 또한, 화살표의 윤곽도 동일한 컬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표시 형태들이 제공될 수 있고, 특히 지정된 환기 부재들(2a 내지 2d)의 다양한 표현 방식과 설정들을 재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요소들(21.1 내지 21.8)의 강조 및 특징화의 다른 수단들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경우에, 여기에서 에어 밴트 부재(25.1, 25.6)로 표시된 측면의 외부 환기 부재들을 통해 차량(1)의 실내(10)로 공기가 유동하지 않는다. 이는, 지정된 디스플레이 요소(21.1, 21.6)의 채움색이 생략됨으로써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어 중간색(neutral color)이 채움색으로 이용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부분 영역에서 거울 효과와 같은 다른 효과들이 재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요소들(21.1 내지 21.8)의 화살표들은 투시적으로 재현되고, 따라서 에어 밴트 부재들(25.1 내지 25.6)을 통한 공기의 유입에 해당하는 화살표로 제시되는 이동 방향들의 인상을 형성하는 것이 제공된다.
도 3과 관련해서 변환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표시의 예가 설명된다. 이 경우 도 1a와 도 1b 및 도 2와 관련해서 전술한 조작 장치가 전제된다.
도 3에 도시된 경우에, 작동 객체(8)가 검출 영역(7a) 내로 진입한 것이 접근 검출 장치(7)에 의해 검출되었다. 따라서 에어컨디셔닝 장치(2)의 디스플레이 모드로서 변환 모드가 활성화된다.
표시(20)는 일단 상태 모드의 경우에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보완적으로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들(22.1 내지 22.6)이 표시된다. 상기 요소들은 도 1b의 팁(13) 및 라인(11)과 같은 팁 또는 라인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들(22.1 내지 22.6)은 디스플레이 요소들(21.1 내지 21.6)에 배치되어 표시된다. 도 3에 도시된 2개의 디스플레이 요소(21.7, 21.8)는 이러한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들에 의해 보완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 경우에는 설정이 실행될 수 없기 때문이다.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들(22.1 내지 22.6)은 공기 유동이 유입되는 경우에 팁(22.2 내지 22.5)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들은 또한, 지정된 환기 부재(2a 내지 2d)의 통풍 플랩이 폐쇄되어 공기가 유입될 수 없으면, 라인으로 표시된다. 실시예에서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들(22.1 내지 22.6)은, 공기 유동이 형성되면, 팁(22.2 내지 22.5)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요소들(21.1 내지 21.6)의 길이 방향 연장을 따라 배치되고, 이 경우 팁은 디스플레이 요소(21.2 내지 21.5)의 화살표 팁에 배치되고, 화살표 팁은 겹쳐서 또는 상기 팁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통풍 플랩이 폐쇄되면,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22.1, 22.6)는 라인으로서 디스플레이 요소(21.1, 21.6)의 화살표의 베이스에 표시된다. 디스플레이 요소(21.1, 21.6)의 화살표는 이러한 경우에 투시적이고 또는 다른 컬러를 갖는다.
상태 모드로부터 변환 모드로 변환 시 디스플레이 요소들(21.1 내지 21.8)에 추가하여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들(22.1 내지 22.6)이 나타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표시들 사이의 변환이 출력될 수 있고, 상기 변환 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요소들(21.1 내지 21.8)은 사라지고,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들(22.1 내지 22.6)이 나타난다. 변환 모드에서 표시는, 상기 표시가 디스플레이 요소들(21.1 내지 21.8)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들(22.1 내지 22.6)만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와 관련해서 설정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표시의 예가 설명된다. 이 경우 도 1a와 도 1b 및 도 2와 관련해서 전술한 조작 장치가 전제된다.
도 4a에 도시된 경우에, 작동 객체(8)에 의한 작동이 검출되었다. 실시예에서 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 감응 표면(9)의 터치이다. 따라서 에어컨디셔닝 장치(2)의 디스플레이 모드로서 설정 모드가 활성화된다. 에어 밴트 부재들(20.1 내지 20.6)부터 시작되는 화살표들이 애니메이션을 이용해서 확대됨으로써, 표시(20)가 변경되고, 따라서 상기 화살표들이 차량 실내의 표시(20) 내부로 뻗어가는 인상을 준다. 이 경우 설정 요소들(23.1 내지 23.6)로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들(22.1 내지 22.6)의 변환이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은 다른 방식으로, 예컨대 작동 객체(8)의 거리가 터치 감응 표면(9)과의 정해진 거리에 미달되면,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정해진 제스처, 음성 명령 또는 정해진 시간 이상 터치 감응 표면(9)의 정해진 위치 위에서 작동 객체(8)의 정지와 같은 다른 조작 행위들이 작동으로서 검출될 수 있다.
설정 요소들(23.1 내지 23.6)의 디자인은 도 4b 및 도 4c와 관련해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화살표 형태가 제공되고, 이 경우 화살표의 면적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채움색으로 채워질 수 있고, 또는 채움색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화살표 형태는 길이 방향 연장을 포함하고, 포인터 객체(23b)는, 화살표 형태 자체가 스케일 객체(23a)로서 설정 요소(23.1 내지 23.6)에 의해 표시된 설정 파라미터의 값의 정량적 출력이 가능하도록 화살표 형태의 길이 방향 연장을 따라 배치된다.
도 4c에 도시된 경우에 또한, 사용자의 작동 객체(8)는 표시된 설정 요소(23.1 내지 23.6)의 정해진 가까운 주변에 위치하는 것이 제공된다. 포인터 객체(23b)는 도 4b의 라인의 표시로부터 도 4c의 팁의 표시로 변경된다. 이로 인해, 포인터 요소(23b)는 이제 순수 디스플레이 기능으로부터 설정 기능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이제 설정 요소(23.1 내지 23.6)의 조작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이 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 객체(8)의 접근 시 표시의 다른 변동, 예를 들어 설정 요소(23.1 내지 23.8)의 컬러 변경, 시간에 따라 가변적인 표시의 다이내믹 효과 및/또는 설정 요소(23.1 내지 23.6)에 관하여 다른 방식의 표시 변경이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다른 설정 요소들(23.1 내지 23.6)에 대해 변경이 이루어진다.
도 4a에 도시된 경우에, 외부 측면 설정 요소들(23.1, 23.6)은 지정된 환기 부재들(2a 내지 2d)의 상태를 재현하는 것이 제공되고, 상기 상태에서 통풍 플랩은 폐쇄된다. 화살표 형태들은 투시적으로 표시되고, 스케일 요소(23b)는 라인 형태로 설정 요소(23.1, 23.6)의 화살표 형태의 베이스에 표시된다.
다른 설정 요소(23.2 내지 23.5)에서, 공기 유동이 차량(1)의 실내(10)로 유동하는 것이 제공되고, 즉 설정 요소들(23.2 내지 23.5)의 해당 표시에서 화살표 형태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채움색이 씌워진다. 2개의 중앙 에어 밴트 부재(25.3, 25.4)에 각각 설정 요소(23.2, 23.4)가 배치되고, 상기 설정 요소에서 유입 공기 유동은 그것의 최대 강도에 아직 도달하지 않은 것이 디스플레이된다. 화살표 형태의 면적은 부분적으로만 채움색으로 채워진 한편, 나머지 면적은 투시적으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라인으로 형성된 포인터 요소(23b)는 채워진 면적과 채워지지 않은 면적 사이의 전환을 나타낸다.
또한, 여기에서 포인터 요소(23b)는, 화살표 형태의 길이 방향 연장에 대한 배치로 인해 유입 공기의 강도가 나타나도록 표시된다. 최대 강도의 유입 공기 유동이 표시되는 설정 요소들(23.2, 23.5)에서 전체 화살표 형태는 채움색으로 채워지고, 포인터 요소(23b)는 팁으로서 형성되어 설정 요소(23.2, 23.5)의 화살표 팁에 표시된다. 이 경우, 포인터 요소(23b)는 화살표 형태의 팁과 겹치거나 또는 이에 대해 평행하게 표시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 객체(8)의 접근 위치는 공간 분해 방식으로 검출될 수 없는 것이 제공될 수 있고, 즉 이러한 경우에, 설정의 가능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정해진 설정 요소만(23.1 내지 23.6)이 변경되는 한편, 다른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22.1 내지 22.6) 및/또는 디스플레이 요소(21.1 내지 21.8)는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은 제공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포인터 요소(23b)의 위치로부터 설정 요소(23.1 내지 23.6)의 화살표 형태의 길이 방향 연장을 따라 스와이프 제스처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작동 객체(8)를 이용해서 설정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스와이프 제스처의 종료점은 이 경우 설정 요소(23.1 내지 23.6)의 길이 방향 연장을 따른 포인터 요소(23b)의 새로운 위치이다. 또한, 설정은 정해진 위치에서 설정 요소의 탭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탭의 위치는 스와이프 제스처의 종료 위치처럼 취급되고 따라서 포인터 요소(23b)의 새로운 위치가 표시된다.
또한, 통풍 플랩이 폐쇄되면, 설정 요소(23.1, 23.6)의 베이스에 라인으로서 표시된 포인터 객체(23b) 위로 탭에 의해 통풍 플랩이 개방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와 관련해서 헤드 영역의 환기 장치가 비활성화된 경우에 상태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표시의 예가 설명된다. 이 경우 도 1a와 도 1b 및 도 2와 관련해서 전술한 조작 장치가 전제된다.
도 5에 도시된 경우에, 에어컨디셔닝 장치(2)의 상태 모드가 활성화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 경우 에어컨디셔닝 장치(2)는, 여기에서 에어 밴트 부재들(25.1 내지 25.6)에 의해 표시된 헤드 환기 장치가 비활성화된 한편, 동시에 표시되지 않은 레그 영역 내의 에어 밴트는 활성화되도록 구성되었다. 헤드- 또는 레그 영역 및 차량 실내의 다른 영역에 있는 환기 장치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위해 특히, 예컨대 표시의 버튼 및/또는 아날로그 스위치 또는 다른 입력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이 검출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레그 영역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요소(21.7, 21.8)가 화살표 형태로서 형성되는 한편, 에어 밴트 부재들(25.1 내지 25.6)에 지정된 디스플레이 요소들(21.1 내지 21.6)은 도 1b에 도시된 팁(13) 및 라인(11)과 유사하게 라인 또는 팁으로만 표시되도록 재현된다. 이 경우 라인은, 할당된 통풍 플랩이 폐쇄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고, 팁은, 통풍 플랩이 개방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6과 관련해서 변환 모드에서 헤드 영역의 환기 장치가 비활성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표시의 예가 설명된다. 이 경우 도 1a와 도 1b 및 도 2와 관련해서 전술한 조작 장치가 전제된다.
도 6에 도시된 경우에, 작동 객체(8)가 검출 영역(7a) 내로 진입하여 접근이 검출된 것이 전제된다. 따라서 에어컨디셔닝 장치(2)의 디스플레이 모드로서 변환 모드가 활성화된다.
이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레그 영역의 디스플레이 요소들(21.7, 21.8)은 더 이상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것이 제공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디스플레이 요소들은 조작될 수 없기 때문이다. 라인 및 팁에서 감소한 전술한 디스플레이 요소들(21.1 내지 21.6)이 디스플레이되고, 이에 근접하게 라인 및 팁이 설정 가능-디스플레이-설정 요소들(22.1 내지 22.6)로서 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설정 모드로 변환 시 디스플레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제공되고, 이 경우 근접 라인 및 근접 화살표로서 디스플레이 요소들(21.1 내지 21.6)과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들(22.1 내지 22.6)의 평행하게 표시된 라인과 화살표들은 설정 요소(23.1 내지 23.6)로 이용된다. 탭에 의해 할당된 통풍 플랩의 개방 또는 폐쇄가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공간 분해 방식의 접근 검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고, 접근 검출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 영역(6a)의 어떤 영역 또는 어떤 위치에 작동 객체(8)가 접근하는지 검출될 수 있다. 상기 영역에서 또는 상기 위치 주변에 규정된 영역에서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는 한편, 디스플레이 영역(6a)의 다른 영역에 상태 모드가 활성화된다. 즉, 상기 영역에서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들(22.1 내지 22.6)이 디스플레이되는 한편, 상기 요소들은 디스플레이 영역(6a)의 나머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특히 이러한 경우에도, 작동 객체(8)가 디스플레이 영역(6a)을 따라 이동하면, 검출될 수 있고, 변환 모드가 활성화된 영역은 작동 객체(8)의 위치에 상응하게 변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정해진 영역에서 조작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는 한편, 다른 영역들은 변경되지 않는다.
유사한 방식으로, 특히 작동의 검출이 디스플레이 영역(6a)의 정해진 위치와 관련해서 공간 분해 방식으로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영역(6a)의 정해진 영역에 설정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1 차량
2 에어컨디셔닝 장치
2a; 2b; 2c; 2d 환기 부재
3 검출 유닛
4 조작 의도-검출 유닛
5 제어유닛
6 디스플레이 유닛
6a 디스플레이 영역
7 접근 검출 장치
7a 검출 영역
8 작동 객체
10 실내
11 라인
12 화살표
13 팁
14 근접 라인
15 근접 팁
20 그래픽 표시
21.1; 21.1; 21.3; 21.4; 21.5; 21.6; 21.7; 21.8 디스플레이 요소
22.1; 22.2; 22.3; 22.4; 22.5; 22.6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
23.1; 23.2; 23.3; 23.4; 23.5; 23.6 설정 요소
23a 스케일 객체
23b 포인터 객체
25.1; 25.2; 25.3; 25.4; 25.5; 25.6 에어 밴트 부재

Claims (15)

  1. 차량(1)의 에어컨디셔닝 장치(2)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에어컨디셔닝 장치(2)는 적어도 3개의 디스플레이 모드, 즉 상태 모드, 변환 모드 및 설정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에서,
    상기 에어컨디셔닝 장치(2)의 설정 파라미터의 현재 값이 검출되고;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검출되고;
    조작 의도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태 모드가 활성화되고;
    조작 의도가 검출되면, 변환 모드 또는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고; 및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서 차량(1)의 실내(10)의 그래픽 표시(20)의 그래픽 데이터들이,
    상태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실내(10)의 상기 표시(20)는 설정 파라미터의 현재 설정된 값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요소(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를 포함하도록,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실내(10)의 상기 표시(20)는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22.1; 22.2; 22.3; 22.4; 22.5; 22.6)를 포함하도록, 그리고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실내(10)의 상기 표시(20)는 조작 가능한 설정 요소(23.1; 23.2; 23.3; 23.4; 23.5; 23.6)를 포함하도록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상태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실내(10)의 상기 표시(20)는 오직 디스플레이 요소(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만을 포함하고,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22.1; 22.2; 22.3; 22.4; 22.5; 22.6) 및 조작 가능한 설정 요소(23.1; 23.2; 23.3; 23.4; 23.5; 23.6)를 모두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요소(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상기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22.1; 22.2; 22.3; 22.4; 22.5; 22.6) 및 상기 설정 요소(23.1; 23.2; 23.3; 23.4; 23.5; 23.6)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설정 요소(23.1; 23.2; 23.3; 23.4; 23.5; 23.6)는 스케일 객체(23a)와 포인터 객체(23b)를 포함하고, 설정 요소의 조작을 위해 상기 스케일 객체(23a)의 연장 방향에 대한 상기 포인터 객체(23b)의 변위가 검출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설정 요소(23.1; 23.2; 23.3; 23.4; 23.5; 23.6)에 의해 입력이 검출되고, 입력에 의해 상기 에어컨디셔닝 장치(2)를 위한 제어 신호가 생성되고,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에어컨디셔닝 장치(2)의 환기 부재(2a; 2b; 2c; 2d)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환기 부재(2a; 2b; 2c; 2d)의 개방된 상태 및 폐쇄된 상태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태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요소(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는, 상기 환기 부재(2a; 2b; 2c; 2d)의 개방된 또는 폐쇄된 상태가 출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요소(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상기 설정 요소(23.1; 23.2; 23.3; 23.4; 23.5; 23.6) 및 상기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22.1; 22.2; 22.3; 22.4; 22.5; 22.6)는 각각, 상기 차량(1) 내의 상기 환기 부재(2a; 2b; 2c; 2d)의 실제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표시(20)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설정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디스플레이 요소(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에 의해 컬러 및/또는 길이 방향 연장을 이용해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검출된 조작 의도가 검출 공간(7a) 내로 작동 객체(8)의 접근을 포함하면,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요소(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와 함께 상기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22.1; 22.2; 22.3; 22.4; 22.5; 22.6)가 표시되고, 상기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22.1; 22.2; 22.3; 22.4; 22.5; 22.6)는 상기 디스플레이 요소(21.1; 21.1; 21.3; 21.4; 21.5; 21.6; 21.7; 21.8)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작 의도가 작동 행위를 포함하면,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실내(10)의 상기 표시(20)에 대한 작동 객체(8)의 접근 위치가 결정되고, 접근 위치에 의해 조작 가능한 설정 요소(23.1; 23.2; 23.3; 23.4; 23.5; 23.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차량(1)의 에어컨디셔닝 장치(2)의 조작을 위한 조작 장치로서, 상기 에어컨디셔닝 장치(2)는 적어도 3개의 디스플레이 모드, 즉 상태 모드, 변환 모드 및 설정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장치는,
    상기 에어컨디셔닝 장치(2)의 설정 파라미터의 현재 값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유닛(3);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검출할 수 있는 조작 의도-검출 유닛(4); 이 경우 조작 의도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태 모드가 활성화되고, 조작 의도가 검출되면, 변환 모드 또는 설정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고;
    제어유닛(5); 및
    디스플레이 유닛(6)을 포함하고,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차량(1)의 실내(10)의 그래픽 표시(20)의 그래픽 데이터들이,
    상태 모드가 활성화되면, 실내(10)의 표시(20)는 설정 파라미터의 현재 설정된 값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요소(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를 포함하도록,
    변환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실내(10)의 상기 표시(20)는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22.1; 22.2; 22.3; 22.4; 22.5; 22.6)를 포함하도록, 그리고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실내(10)의 상기 표시(20)는 조작 가능한 설정 요소(23.1; 23.2; 23.3; 23.4; 23.5; 23.6)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그래픽 데이터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상태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실내(10)의 상기 표시(20)는 오직 디스플레이 요소(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만을 포함하고,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22.1; 22.2; 22.3; 22.4; 22.5; 22.6) 및 조작 가능한 설정 요소(23.1; 23.2; 23.3; 23.4; 23.5; 23.6)를 모두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요소(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상기 설정 가능-디스플레이 요소(22.1; 22.2; 22.3; 22.4; 22.5; 22.6) 및 상기 설정 요소(23.1; 23.2; 23.3; 23.4; 23.5; 23.6)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설정 요소(23.1; 23.2; 23.3; 23.4; 23.5; 23.6)는 스케일 객체(23a)와 포인터 객체(23b)를 포함하고, 설정 요소의 조작을 위해 상기 스케일 객체(23a)의 연장 방향에 대한 상기 포인터 객체(23b)의 변위가 검출되는 조작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의도는 조작 장치에 포함된 접근 검출 장치(7)에 의해 디스플레이 영역(4a) 앞의 검출 영역(7a) 내로 작동 객체(8)의 진입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6a)에 대한 상기 작동 객체(8)의 접근으로서 검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디셔닝 장치(2)는 적어도 하나의 환기 부재(2a; 2b; 2c; 2d)를 포함하고,
    설정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설정 요소(23.1; 23.2; 23.3; 23.4; 23.5; 23.6)에 의해 입력이 검출될 수 있고, 입력에 의해 상기 에어컨디셔닝 장치(2)를 위한 제어 신호가 생성될 수 있고,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에어컨디셔닝 장치(2)의 상기 환기 부재(2a; 2b; 2c; 2d)가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098397A 2016-08-03 2017-08-03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조작 장치 KR101996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4354.5A DE102016114354A1 (de) 2016-08-03 2016-08-03 Verfahren und Bedienvorrichtung zum Bedienen einer Klimatisierungsvorrichtung eines Fahrzeugs
DE102016114354.5 2016-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593A KR20180015593A (ko) 2018-02-13
KR101996599B1 true KR101996599B1 (ko) 2019-07-04

Family

ID=59363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397A KR101996599B1 (ko) 2016-08-03 2017-08-03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49829B2 (ko)
EP (1) EP3279018B1 (ko)
KR (1) KR101996599B1 (ko)
CN (1) CN107685609B (ko)
DE (1) DE102016114354A1 (ko)
ES (1) ES283254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0594B2 (en) * 2017-11-22 2021-06-22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VAC driver-focus mode operation mechanism
DE102018100939A1 (de) * 2018-01-17 2019-07-1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Lufteinströmers
DE102018205690A1 (de) 2018-04-13 2019-10-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ystem zur Steuerung einer Benutzeroberfläche und einer Klimatisierungseinheit
DE102019204046B4 (de) * 2019-03-25 2021-07-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sgabe eines Parameterwerts in einem Fahrzeug
KR102370492B1 (ko) * 2020-02-24 2022-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조기능이 구비된 차량의 인테리어 트림
DE102020105004A1 (de) 2020-02-26 2021-08-2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teuereinheit zum Betrieb einer Benutzerschnittstelle für ein Klimasystem
ES2930480A1 (es) * 2021-06-08 2022-12-13 Seat Sa Sistema, metodo y programa de ordenador para el control de un dispositivo de salida de air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9355A (en) * 1997-01-28 1999-12-28 American Calcar Inc. Multimedia information and control system for automobiles
DE19735317B4 (de) 1997-08-14 2006-03-2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nzeigeeinheit für eine Fahrzeug-Heiz- oder Klimaanlage mit einem Bordmonitor
DE10026760B4 (de) * 2000-05-30 2004-12-3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Zuordnung von Bedienfunktionen zu Bedienelementen einer elektronischen Vorrichtung, welche umschaltbar die Funktionen mehrerer elektronischer Geräte, insbesondere Geräte der Kraftfahrzeug-Komfortelektronik, ausüben kann, und entsprechende Vorrichtung
DE102007023502A1 (de) 2006-05-23 2007-12-06 Wolfgang Kirchner Anzeige- und Bedieneinheit für eine Fahrzeug-, Heiz- oder Klimaanlage
US7886815B2 (en) * 2007-02-21 2011-02-15 Honda Motor Co., Ltd. HVAC reset logic improvement for rear control usability
JP4668946B2 (ja) * 2007-04-25 2011-04-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エアコン用操作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車載エアコン制御装置
FR2931566B1 (fr) * 2008-05-26 2010-04-30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Interface tactile pour chauffer ou climatiser un vehicule, et son procede de reglage
US8384687B2 (en) * 2008-08-21 2013-02-26 Denso Corporation Manipulation input apparatus
US9268345B2 (en) * 2008-10-27 2016-02-23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a user interface dashboard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FR2939554B1 (fr) * 2008-12-10 2015-08-21 Somfy Sas Procede de fonctionnement d'un systeme domotique
EP2347921A1 (de) * 2010-01-26 2011-07-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anuelle Klimaanlag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0011039A1 (de) * 2010-03-11 2011-09-15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enutzerschnittstelle
JP5012957B2 (ja) * 2010-05-31 2012-08-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入力システム
JP5652432B2 (ja) * 2011-06-29 2015-01-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
JP6004693B2 (ja) * 2012-03-23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DE102012016109A1 (de) * 2012-08-15 2014-02-2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dien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r Klimatisierungsvorrichtung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hierzu
DE102012022590A1 (de) * 2012-11-20 2014-06-0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nzeigen des Zustands einer Standheizung eines Fahrzeugs und Standheizungssystem für ein Fahrzeug
FR2999725B1 (fr) * 2012-12-18 2015-01-23 Thales Sa Procede de reglage d'un secteur de cision/masquage d'un dispositif de scrutation d'environnement, dispositif de reglage et terminal d'operateur correspondants
JP2015096413A (ja) * 2013-10-11 2015-05-21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処理方法、プログラム、処理装置および検出システム
DE102014200992A1 (de) * 2014-01-21 2015-07-2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nutzerschnittstelle zur Steuerung einer Klimaanlage eines Fortbewegungsmittels
FR3023023B1 (fr) * 2014-06-27 2016-06-10 Airbus Helicopters Procede et dispositif de commande d'au moins un equipement
US10875380B2 (en) * 2014-08-21 2020-12-29 Apple Inc. Climate control
US9751380B2 (en) * 2014-12-18 2017-09-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 vent assembly with integral air vent and control head
US10131204B2 (en) * 2015-01-05 2018-11-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mart connected climate control
KR102464242B1 (ko) * 2015-01-20 2022-11-0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DE102015207975A1 (de) * 2015-04-30 2016-11-0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Bedien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r Klimatisierungsvorrichtung eines Fahrzeugs
JP2017026230A (ja) * 2015-07-23 2017-0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調制御装置、空調装置、空調制御方法、空調制御システム、空調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70120724A1 (en) * 2015-10-28 2017-05-04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Cabin temperature setting and display method and system
US20170291469A1 (en) * 2016-04-08 2017-10-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ventilation register control system for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37087A1 (en) 2018-02-08
EP3279018B1 (de) 2020-09-30
DE102016114354A1 (de) 2018-02-08
KR20180015593A (ko) 2018-02-13
CN107685609A (zh) 2018-02-13
CN107685609B (zh) 2020-10-27
US10449829B2 (en) 2019-10-22
EP3279018A1 (de) 2018-02-07
ES2832545T3 (es)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599B1 (ko)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조작 장치
KR101675181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1701017B1 (ko)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장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660224B1 (ko) 차량용 표시 장치
CN104619544B (zh) 操作界面、用于显示易于进行操作界面的操作的信息的方法和程序
CN106415469B (zh) 用于使显示单元上的视图适配的方法和用户界面
KR20170085996A (ko) 차량의 주변광 장치 및 주변광 설정 방법
JP2013140597A (ja) 投影による動的なアイコン・ノブ
KR101609024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76921A (ko)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객체의 표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동차의 디스플레이 및 조작 시스템과 그 디스플레이 및 조작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
KR102355683B1 (ko) 차량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립체 및 차량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JP2002528312A (ja) 自動車の多機能式表示兼操作装置の操作方法と多機能式表示兼操作装置
KR102123342B1 (ko) 이미지 기록 유닛 및 차량의 장치들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및 조작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KR20180003451A (ko) 차량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제1 시트 부재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8179211A (ja) スイッチ制御装置およびスイッチ制御方法
US20130002605A1 (en) Control device for entering control commands into an electronic device
US20170242491A1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actlessly operating a hardware operating element in a 3-d gesture mode
US20160347177A1 (en) Operating device
ES2725465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mando para la regulación de un dispositivo de climatización de un vehículo
CN109415004B (zh) 用于控制车辆座椅的空气调节的方法和装置
US20240109418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opera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having an operating device
CN114924669A (zh) 车载系统的交互方法、车辆及存储介质
KR20160124460A (ko)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
US118163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a value for a parameter in a vehicle control system
EP4350494A1 (en) Equipment control device,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