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037B1 - 데드볼트 사용 편의성 확보를 위한 모터가 삽입된 문손잡이 - Google Patents

데드볼트 사용 편의성 확보를 위한 모터가 삽입된 문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037B1
KR101996037B1 KR1020180074871A KR20180074871A KR101996037B1 KR 101996037 B1 KR101996037 B1 KR 101996037B1 KR 1020180074871 A KR1020180074871 A KR 1020180074871A KR 20180074871 A KR20180074871 A KR 20180074871A KR 101996037 B1 KR101996037 B1 KR 101996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ser
servo motor
control signal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쳐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쳐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쳐캐스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6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by means arranged in or on the rose or escutche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데드볼트 사용 편의성 확보를 위한 모터가 삽입된 문손잡이가 개시된다. 문(100)에 고정된 로즈(300); 로즈(300)에 가이드되어 일정 반경 회전하는 인티리어 노브(200); 문(10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고, 인티리어 노브(200)가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잡아주는 로즈(300)에 결합된 다리(310); 회전 운동으로 래치볼트(210)를 안 또는 밖으로 이동시키는 인티리어 노브(200)가 회전할 때 다리(310)에 걸리지 않도록 인티리어 노브(200)의 회전 운동에 의해 그어지는 곡선을 따라 다리(310)가 가지는 일정 너비의 홈이 형성되며 일정 회전 반경을 가지는 가이드 홈(320); 다리(310)에 고정되어 인티리어 노드의 중심 회전축에 대응한 회전 운동으로 데드볼트(410)를 밖으로 돌출시켜 문(100)을 잠그는 서보 모터(400); 및 온/오프 스위치 제어되고 서보 모터(4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서보 모터를 이용하여 문손잡이를 잠글 수 있어 전자식 댁내 잠금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고, 개인 방에 사용자 접근을 통제하는 개인 통제 레벨과 모든 사용자 접근을 통제하는 완전 통제 레벨을 제공하여 댁내 잠금 시스템을 운용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데드볼트 사용 편의성 확보를 위한 모터가 삽입된 문손잡이{DEADBOLT DOOR HANDLE WITH MOTOR INSERTED FOR EASE OF USE}
본 발명은 데드볼트 사용 편의성 확보를 위한 모터가 삽입된 문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 잠금에 서보 모터의 회전 운동을 이용하는 데드볼트 사용 편의성 확보를 위한 모터가 삽입된 문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문은 문틀에 열고 닫히는데 문에는 문손잡이가 구성된다. 문손잡이는 크게 문에 고정되는 로즈, 사용자가 잡고 회전하는 인티리어 노브, 인티리어 노브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래치 볼트, 잠금 기능을 가진 데드 볼트로 구성된다.
문손잡이에는 인티리어 노브가 회전하여 래치 볼트를 안 또는 밖으로 이동시키고 문이 문틀에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잠금 열쇠는 데드 볼트를 밖으로 돌출시켜 인티리어 노브를 회전시키더라도 문이 닫혀져서 열리지 않는다.
이러한 문손잡이에 대응되는 전자식 자물쇠가 있으며, 전자식 자물쇠는 서보 모터를 구동하여 문을 잠그거나 열림을 제어할 수 있다. 문손잡이는 전자식 자물쇠와는 다르게 전자 제어 방법을 이용하고 있지 않다. 문손잡이에 전자 제어 방법이 적용되면 전자식 문손잡이로 바뀌며 댁내에서 전자식 문손잡이에 의한 출입 통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등록번호 제20-0442949호, 패닉 릴리스 감지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운동으로 데드 볼트를 밖으로 돌출시켜 문을 잠그는 서보 모터를 가지는 데드볼트 사용 편의성 확보를 위한 모터가 삽입된 문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댁내 통제 레벨에 따라 잠금 제어 신호를 차등 발생하는 데드볼트 사용 편의성 확보를 위한 모터가 삽입된 문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개인 통제 레벨과 완전 통제 레벨을 가지는 데드볼트 사용 편의성 확보를 위한 모터가 삽입된 문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사용자의 개인 방 접근 정보에 기반하여 잠금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데드볼트 사용 편의성 확보를 위한 모터가 삽입된 문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문(100)에 고정된 로즈(300); 로즈(300)에 가이드되어 일정 반경 회전하는 인티리어 노브(200); 문(100)에 고정되는 로즈(300)에 결합되어 움직이지 않고, 서보 모터(400)를 고정하는 다리(310); 회전 운동으로 래치볼트(210)를 안 또는 밖으로 이동시키는 인티리어 노브(200)가 회전할 때 인티리어 노브(200)가 다리(310)에 걸리지 않도록 인티리어 노브(200)의 회전 운동에 의해 그어지는 곡선을 따라 형성되는 일정 너비의 홈으로서, 일정 회전 반경을 가지고 인티리어 노브(200)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320); 다리(310)에 고정되어 인티리어 노브(200)의 중심 회전축에 대응한 회전 운동으로 데드볼트(410)를 밖으로 돌출시켜 문(100)을 잠그는 서보 모터(400); 및 온/오프 스위치(510) 제어되고 서보 모터(4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서보 모터(40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또한, 댁내 잠금 시스템(600)은 댁내 통제 레벨에 따라 잠금 제어 신호를 차등 발생하는 중앙 관리부(610); 중앙 관리부(610)의 잠금 제어 신호를 종단 터미널(630)로 중계하는 중계기(620); 및 중앙 관리부(610)로부터 잠금 제어 신호를 중계기(620)를 통해 수신하는 종단 터미널(630)을 포함하고, 제어부(500)는 종단 터미널(630)로부터 수신된 잠금 제어 신호에 따라 서보 모터(40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댁내 통제 레벨은 무선 식별자를 가진 사용자별로 각 방에 접근을 제한하는 개인 통제 레벨과 모든 사용자의 댁내 침입을 제한하는 완전 통제 레벨을 포함하고, 중앙 관리부(610)는 개인 통제 레벨일 때 무선 식별자를 가진 사용자가 개인 방에 접근하도록 잠금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완전 통제 레벨일 때 외부 사용자가 댁내에 침입하지 못하도록 잠금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댁내 잠금 시스템(600)은 댁내를 촬영하는 카메라(640); 및 카메라(640)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얼굴 인식하여 사용자 움직임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개인 방 접근 정보를 중앙 관리부(610)로 전달하는 사용자 인식부(650)를 더 포함하고, 중앙 관리부(610)는 사용자의 개인 방 접근 정보에 기반하여 잠금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데드볼트 사용 편의성 확보를 위한 모터가 삽입된 문손잡이를 이용할 경우에는 서보 모터를 이용하여 문손잡이를 잠글 수 있어 전자식 댁내 잠금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개인 방에 사용자 접근을 통제하는 개인 통제 레벨과 모든 사용자 접근을 통제하는 완전 통제 레벨을 제공하여 댁내 잠금 시스템을 운용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문손잡이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문손잡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문손잡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문손잡이가 잠긴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댁내 잠금 시스템(600)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댁내 잠금 시스템(6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문손잡이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문손잡이 분해 사시도이다.
문손잡이는 문(100)에 고정된 로즈(300); 로즈(300)에 가이드되어 일정 반경 회전하는 인티리어 노브(200); 문(100)에 고정되는 로즈(300)에 결합되어 움직이지 않고, 서보 모터(400)를 고정하는 다리(310); 회전 운동으로 래치볼트(210)를 안 또는 밖으로 이동시키는 인티리어 노브(200)가 회전할 때 인티리어 노브(200)가 다리(310)에 걸리지 않도록 인티리어 노브(200)의 회전 운동에 의해 그어지는 곡선을 따라 형성되는 일정 너비의 홈으로서, 일정 회전 반경을 가지고 인티리어 노브(200)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320); 다리(310)에 고정되어 인티리어 노브(200)의 중심 회전축에 대응한 회전 운동으로 데드볼트(410)를 밖으로 돌출시켜 문(100)을 잠그는 서보 모터(400); 및 온/오프 스위치(510) 제어되고 서보 모터(4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서보 모터(40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다리(310)는 문(100)에 고정되는 로즈(300)에 결합되어 움직이지 않고, 다리(310)가 인티리어 노브(200)가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잡아주는 로즈(300)에 결합된다.
가이드 홈(320)은 회전 운동으로 래치볼트(210)를 안 또는 밖으로 이동시키는 인티리어 노브(200)가 회전할 때 다리(310)에 걸리지 않도록 인티리어 노브(200)의 회전 운동에 의해 그어지는 곡선을 따라 다리(310)가 가지는 일정 너비의 홈이 형성되며 일정 회전 반경을 가진다.
서보 모터(400)는 다리(310)에 고정되어 인티리어 노드의 중심 회전축에 대응한 회전 운동으로 데드볼트(410)를 밖으로 돌출시켜 문(100)을 잠근다.
제어부(500)는 온/오프 스위치(510) 제어되고 서보 모터(4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500)가 서보 모터(400)를 제어함은 서보 모터(400)에 의한 데드볼트(410)를 완전 돌출 또는 부분 돌출로 제어할 수 있다. 완전 돌출시에는 사용자의 강제 열림이 완전 차단되고, 부분 돌출시에는 사용자의 강제 열림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문손잡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제어부(500)가 오프 스위치 제어되고 서보 모터(4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역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서보 모터(400)는 다리(310)에 고정되어 인티리어 노드의 중심 회전축에 대응한 회전 운동으로 데드볼트(410)를 안으로 이동시켜 문(100)을 열림 상태로 놓는다.
다리(310)는 문(10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고, 인티리어 노브(200)가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잡아주는 로즈(300)에 결합된다.
인티리어 노브(200)가 회전 운동으로 래치볼트(210)를 안 또는 밖으로 이동시키고, 인티리어 노브(200)가 회전할 때 다리(310)에 걸리지 않도록 가이드 홈(320)이 인티리어 노브(200)의 회전 운동에 의해 그어지는 곡선을 따라 다리(310)가 가지는 일정 너비의 홈이 형성되며 일정 회전 반경을 가진다.
도 4는 문손잡이가 잠긴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제어부(500)가 온 스위치 제어되고 서보 모터(4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정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서보 모터(400)는 다리(310)에 고정되어 인티리어 노드의 중심 회전축에 대응한 회전 운동으로 데드볼트(410)를 밖으로 이동시켜 문(100)을 잠금 상태로 놓는다.
다리(310)는 문(10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고, 인티리어 노브(200)가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잡아주는 로즈(300)에 결합된다.
인티리어 노브(200)가 회전 운동으로 래치볼트(210)를 안 또는 밖으로 이동시키더라도 데드볼트(410)가 밖으로 이동되어 문(100)이 열리지 않는다.
도 5는 댁내 잠금 시스템(600)을 보인 블록도이다.
댁내 잠금 시스템(600)은 댁내 통제 레벨에 따라 잠금 제어 신호를 차등 발생하는 중앙 관리부(610); 중앙 관리부(610)의 잠금 제어 신호를 종단 터미널(630)로 중계하는 중계기(620); 및 중앙 관리부(610)로부터 잠금 제어 신호를 중계기(620)를 통해 수신하는 종단 터미널(630)을 포함하고, 제어부(500)는 종단 터미널(630)로부터 수신된 잠금 제어 신호에 따라 서보 모터(40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중앙 관리부(610)는 댁내 통제 레벨에 따라 잠금 제어 신호를 차등 발생한다. 중앙 관리부(610)는 댁내 통제 레벨이 가지고 있는 레벨 등급에 따라 잠금 제어 신호를 차등 발생해서 종단 터미널(630)에 제공한다.
중계기(620)는 중앙 관리부(610)의 잠금 제어 신호를 종단 터미널(630)로 중계한다.
종단 터미널(630)은 중앙 관리부(610)로부터 잠금 제어 신호를 중계기(620)를 통해 수신한다.
제어부(500)는 종단 터미널(630)로부터 수신된 잠금 제어 신호에 따라 서보 모터(40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500)는 잠금 제어 신호가 잠금이면 서보 모터(400)를 정회전하고, 잠금 제어 신호가 해제이면 서보 모터(400)를 역회전한다.
댁내 통제 레벨은 무선 식별자를 가진 사용자별로 각 방에 접근을 제한하는 개인 통제 레벨과 모든 사용자의 댁내 침입을 제한하는 완전 통제 레벨을 포함한다.
중앙 관리부(610)는 개인 통제 레벨일 때 무선 식별자를 가진 사용자가 개인 방에 접근하도록 잠금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완전 통제 레벨일 때 외부 사용자가 댁내에 침입하지 못하도록 잠금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도 6은 댁내 잠금 시스템(6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댁내 잠금 시스템(600)은 댁내를 촬영하는 카메라(640); 및 카메라(640)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얼굴 인식하여 사용자 움직임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개인 방 접근 정보를 중앙 관리부(610)로 전달하는 사용자 인식부(650)를 포함한다.
카메라(640)는 댁내를 촬영한다. 카메라(640)는 하나 또는 다수 개일 수 있다.
사용자 인식부(650)는 카메라(640)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얼굴 인식하여 사용자 움직임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개인 방 접근 정보를 중앙 관리부(610)로 전달한다. 사용자 인식부(650)는 사용자 움직임으로부터 얻어진 사용자의 개인 방 접근 정보를 중앙 관리부(610)에 제공한다.
중앙 관리부(610)는 사용자의 개인 방 접근 정보에 기반하여 잠금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중앙 관리부(610)는 사용자가 개인 방에 접근하면 잠금 제어 신호로 해제 신호를 발생하고, 타인이 개인 방에 접근하면 잠금 제어 신호로 잠금 신호를 발생한다. 중앙 관리부(610)가 잠금 제어 신호를 종단 터미널(630)로 전송하면 종단 터미널(630)로부터 잠금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500)는 타인의 개인 방 접근을 차단하고, 잠금 신호음을 출력할 수 있다. 잠금 신호음은 타인이 사용자 방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 신호음이 울리는데도 타인이 사용자 방에 접근하면 중앙 관리부(610)는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 타인 접근을 알릴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타인 접근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문 200: 인티리어 노브
210: 래치볼트 300: 노즈
310: 다리 320: 가이드 홈
400: 서보 모터 410: 데드볼트
500: 제어부 510: 스위치
600: 댁내 잠금 시스템
610: 중앙 관리부 620: 중계기
630: 종단 터미널 640: 카메라
650: 사용자 인식부

Claims (4)

  1. 문(100)에 고정된 로즈(300);
    상기 로즈(300)에 가이드되어 일정 반경 회전하는 인티리어 노브(200);
    상기 문(100)에 고정되는 상기 로즈(300)에 결합되어 움직이지 않고, 서보 모터(400)를 고정하는 다리(310);
    회전 운동으로 래치볼트(210)를 안 또는 밖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인티리어 노브(200)가 회전할 때 상기 인티리어 노브(200)가 다리(310)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인티리어 노브(200)의 회전 운동에 의해 그어지는 곡선을 따라 형성되는 일정 너비의 홈으로서, 일정 회전 반경을 가지고 상기 인티리어 노브(200)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320);
    상기 다리(310)에 고정되어 상기 인티리어 노브(200)의 중심 회전축에 대응한 회전 운동으로 데드볼트(410)를 밖으로 돌출시켜 문(100)을 잠그는 서보 모터(400); 및
    온/오프 스위치(510) 제어되고 상기 서보 모터(4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서보 모터(40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고,
    댁내 잠금 시스템(600)은 댁내 통제 레벨에 따라 잠금 제어 신호를 차등 발생하는 중앙 관리부(610);
    상기 중앙 관리부(610)의 잠금 제어 신호를 종단 터미널(630)로 중계하는 중계기(620); 및
    상기 중앙 관리부(610)로부터 잠금 제어 신호를 상기 중계기(620)를 통해 수신하는 종단 터미널(63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종단 터미널(630)로부터 수신된 잠금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서보 모터(40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제어하는 데드볼트 사용 편의성 확보를 위한 모터가 삽입된 문손잡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통제 레벨은 무선 식별자를 가진 사용자별로 각 방에 접근을 제한하는 개인 통제 레벨과 모든 사용자의 댁내 침입을 제한하는 완전 통제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리부(610)는 상기 개인 통제 레벨일 때 무선 식별자를 가진 사용자가 개인 방에 접근하도록 잠금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완전 통제 레벨일 때 외부 사용자가 댁내에 침입하지 못하도록 잠금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데드볼트 사용 편의성 확보를 위한 모터가 삽입된 문손잡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잠금 시스템(600)은 댁내를 촬영하는 카메라(640); 및
    상기 카메라(640)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얼굴 인식하여 사용자 움직임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개인 방 접근 정보를 상기 중앙 관리부(610)로 전달하는 사용자 인식부(6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리부(610)는 사용자의 개인 방 접근 정보에 기반하여 잠금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데드볼트 사용 편의성 확보를 위한 모터가 삽입된 문손잡이.
KR1020180074871A 2018-04-16 2018-06-28 데드볼트 사용 편의성 확보를 위한 모터가 삽입된 문손잡이 KR101996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626 2018-04-16
KR20180044626 2018-04-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037B1 true KR101996037B1 (ko) 2019-07-03

Family

ID=6725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871A KR101996037B1 (ko) 2018-04-16 2018-06-28 데드볼트 사용 편의성 확보를 위한 모터가 삽입된 문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805A (ko)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퓨쳐캐스트 잠금 장치를 제어하는 외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2579A (en) * 1976-08-09 1977-12-13 Norris Industries, Inc. Knob attachment for door latch
KR200442949Y1 (ko) 2007-06-28 2008-12-23 주식회사 아이레보 패닉 릴리스 감지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KR20090033954A (ko) * 2007-10-02 2009-04-07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도어락 제어장치
KR101741729B1 (ko) * 2015-06-19 2017-05-31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도어락의 손잡이 조립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2579A (en) * 1976-08-09 1977-12-13 Norris Industries, Inc. Knob attachment for door latch
KR200442949Y1 (ko) 2007-06-28 2008-12-23 주식회사 아이레보 패닉 릴리스 감지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KR20090033954A (ko) * 2007-10-02 2009-04-07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도어락 제어장치
KR101741729B1 (ko) * 2015-06-19 2017-05-31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도어락의 손잡이 조립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805A (ko)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퓨쳐캐스트 잠금 장치를 제어하는 외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06157A1 (en) Smart lock having an electromechanical key with power saving
KR101996048B1 (ko) 래치볼트 사용 편의성 확보를 위한 모터가 삽입된 문손잡이
KR101996037B1 (ko) 데드볼트 사용 편의성 확보를 위한 모터가 삽입된 문손잡이
US20160024823A1 (en) Door Handle and Power Configuration
KR20130117459A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US10612282B2 (en) Door lock assembly for a dwelling
KR100825446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EP3631125B1 (en) Door lock assembly for a dwelling
EP3506215A1 (en) Smart lock having an electromechanical key
CN110439384A (zh) 一种基于物联网的远程控制智能门锁
KR100446415B1 (ko) 전기 전자식 디지털 도어록
JP4823492B2 (ja) 自動ドア装置
KR200311370Y1 (ko) 전자식 도어록에 적용되는 전동 모티스 록킹 장치
WO2017019256A1 (en) Door lock assembly for a dwelling
KR100825447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101782060B1 (ko) 침입방지 도어록
KR20200080893A (ko) 스마트 도어락
CN109972920A (zh) 具有电动机械钥匙的具有三个位置的智能锁
KR20160056000A (ko)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KR200283422Y1 (ko) 자동문 로킹장치
US20230272647A1 (en) Door lock assembly for a dwelling
US20220325557A1 (en) Detection and correction of insufficient locking behavior of an electronic lockset
JP3709122B2 (ja) 窓サッシ等の換気用補助錠
KR100702583B1 (ko) 문틀 프레임에 수용되는 출입문 잠금장치
EP3505709B1 (en) Secure smart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